KR102368308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308B1
KR102368308B1 KR1020210137372A KR20210137372A KR102368308B1 KR 102368308 B1 KR102368308 B1 KR 102368308B1 KR 1020210137372 A KR1020210137372 A KR 1020210137372A KR 20210137372 A KR20210137372 A KR 20210137372A KR 102368308 B1 KR102368308 B1 KR 10236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hole
inflatable
block coding
in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창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3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시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저장부와, 통신부와, 표시 입력부와, 전면 영상 촬영부와, 후면 영상 촬영부와, 제어부를 포함함에 따라, 카메라가 달린 컴퓨터 등 별도의 학습 수단을 구비할 필요없이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블록 코딩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Block coding studying apparatus based on image cognition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딩(coding)이란 명령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입력하는 과정을 말하고, 프로그래밍과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다.
최근 코딩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유치원생, 초등학생 등에게 흥미를 유발하면서 코딩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 블록을 맞추면서 코딩 교육을 수행하는 블록 코딩 학습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코딩 교육에 관한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블록 코딩 학습을 이용한 코딩 교육 방식에 의하면, 학습자가 카메라가 달린 컴퓨터 등 별도의 학습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9-0077954호, 공개일자: 2019.07.04., 발명의 명칭: 코딩학습을 위한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방법
본 발명은 카메라가 달린 컴퓨터 등 별도의 학습 수단을 구비할 필요없이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블록 코딩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는 블록 코딩 학습의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내장된 저장 수단이면서,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이 앱 형태로 저장된 저장부;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통신 수단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식 디스플레이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학습자에 의해 소정의 명령이 터치식으로 입력될 수 있는 표시 입력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전면 영상 촬영부;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설치된 후면 카메라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후면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제어 회로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을 로딩 및 작동시키고,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 상황에 따라 상기 통신부, 상기 표시 입력부,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 및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의 프레임의 측면, 상하면 및 후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 상하면 및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중앙 내부에 직육면체의 홀 형태로 형성되어 에어가 채워져 있는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금속의 중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상면과 하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에어를 가압할 수 있는 홀 이동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네 모서리 중 상부 일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네 모서리 중 상부 타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네 모서리 중 하부 일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네 모서리 중 하부 타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상부 제 1 연결관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상부 제 2 연결관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네 모서리 중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하부 제 1 연결관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네 모서리 중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하부 제 2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는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파지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는 각각 수축된 형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에서 상기 홀 이동체의 양 측 공간에는 동일한 압력으로 에어가 수용되어, 상기 홀 이동체는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가 있는 부분이 아래를 향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낙하되는 경우, 상기 홀 이동체는 정지해 있으려는 관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 홀 중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이 연결된 부분 쪽으로 이동되는 형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 중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홀 이동체 사이에 있던 에어가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가 팽창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바닥과 부딪힐 때의 충격이 완충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가 있는 부분이 아래를 향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낙하되는 경우, 상기 홀 이동체는 정지해 있으려는 관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 홀 중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이 연결된 부분 쪽으로 이동되는 형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 중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홀 이동체 사이에 있던 에어가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가 팽창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바닥과 부딪힐 때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저장부와, 통신부와, 표시 입력부와, 전면 영상 촬영부와, 후면 영상 촬영부와, 제어부를 포함함에 따라, 카메라가 달린 컴퓨터 등 별도의 학습 수단을 구비할 필요없이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블록 코딩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의 메인 화면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의 사이드 메인 메뉴 중 하나를 활성화시킨 화면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를 이용하여 코딩을 수행하는 예시적 화면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에서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화면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를 구성하는 보호 케이스에 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의 메인 화면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의 사이드 메인 메뉴 중 하나를 활성화시킨 화면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를 이용하여 코딩을 수행하는 예시적 화면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에서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화면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100)는 저장부(140)와, 통신부(135)와, 표시 입력부(110)와, 전면 영상 촬영부(120)와, 후면 영상 촬영부(125)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101은 블록 코딩 학습의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이 지지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의 학습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저장 수단, 예를 들어 에스에스디(solid state drive, SSD)이면서,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이 앱 형태로 저장된 것이다.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은 상기 학습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각 명령어를 상징하는 블록들을 서로 끼워서 코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등록특허 제 10-1843831호, 등록특허 제 10-2097920호 등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부(135)는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통신 수단, 예를 들어 5G, LTE 등의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회로이면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표시 입력부(110)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식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터치식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이면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학습자에 의해 소정의 명령이 터치식으로 입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120)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이면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전방, 즉 상기 스마트폰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125)는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설치된 후면 카메라이면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후방, 즉 상기 스마트폰의 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제어 회로이면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을 로딩 및 작동시키고,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 상황에 따라 상기 통신부(135), 상기 표시 입력부(110),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120) 및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125)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학습자에 의해 소정의 명령이 상기 표시 입력부(110)를 통해 터치식으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로딩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을 구동시킴으로써, 아래의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100)의 작동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상기 학습 프로그램이 로딩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입력부(110)에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이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화면에는 상기 메인 화면의 일 측부를 따라 복수 개의 코딩 명령 아이콘(152)이 나열된 사이드 메인 메뉴(151)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상기 사이드 메인 메뉴(151)와 분리된 지점에 표시되는 설정 메뉴(153)가 표시된다.
도면 번호 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화면을 구성하면서 각종 상기 코딩 명령 아이콘(152)이 나열되면서 코딩이 이루어지게 되는 베이스 영역이고, 도면 번호 154는 상기 베이스 영역(150)에서 코딩이 이루어지는 동안 잘못 입력된 상기 코딩 명령 아이콘(152)을 드래그하여 제거시킬 수 있는 아이콘 쓰레기통이다.
상기 사이드 메인 메뉴(151)는 상기 베이스 영역(150)의 일 측부를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코딩 명령 아이콘(152)이 서로 다른 높이로 나열되고, 상기 설정 메뉴(153)는 상기 베이스 영역(150)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사이드 메인 메뉴(151)에 나열된 복수 개의 상기 코딩 명령 아이콘(152) 중 하나가 선택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택된 상기 코딩 명령 아이콘(152)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하부 명령 아이콘이 표시되어 각각 선택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설정 메뉴(153)가 상기 표시 입력부(110)의 터치에 따라 선택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 메뉴(153)에는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관련하여 상기 저장부(140), 상기 통신부(135), 상기 표시 입력부(110),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120) 및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125)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설정 명령 아이콘(155)이 나열된다.
상기 설정 명령 아이콘(155) 중 카메라 활성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입력부(110)의 터치에 따라 최초 선택되면,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120)가 활성화되고,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12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활성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입력부(110)의 터치에 따라 추가로 다시 선택되면,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125)가 활성화되고,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125)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활성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입력부(110)의 터치에 따라 추가로 다시 선택되면,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120) 및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125)가 비활성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100)가 상기 저장부(140)와, 상기 통신부(135)와, 상기 표시 입력부(110)와,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120)와,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125)와, 상기 제어부(130)를 포함함에 따라, 카메라가 달린 컴퓨터 등 별도의 학습 수단을 구비할 필요없이 학습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를 구성하는 보호 케이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는 스마트폰의 프레임의 측면, 상하면 및 후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2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 케이스(260)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 상하면 및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몸체(261)와, 상기 케이스 몸체(261)의 중앙 내부에 직육면체의 홀 형태로 형성되어 에어가 채워져 있는 케이스 내부 홀(262)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금속의 중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의 상면과 하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의 에어를 가압할 수 있는 홀 이동체(280)와, 상기 케이스 몸체(261)의 네 모서리 중 상부 일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5)와, 상기 케이스 몸체(261)의 네 모서리 중 상부 타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6)와, 상기 케이스 몸체(261)의 네 모서리 중 하부 일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7)와, 상기 케이스 몸체(261)의 네 모서리 중 하부 타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8)와,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6)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과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상부 제 1 연결관(270)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5)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과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상부 제 2 연결관(271)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의 네 모서리 중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8)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과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하부 제 1 연결관(272)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의 네 모서리 중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7)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과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하부 제 2 연결관(27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5)와,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6)와,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7)와,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8)는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블록 코딩 학습의 학습자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파지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5)와,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6)와,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7)와,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8)는 각각 수축된 형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에서 상기 홀 이동체(280)의 양 측 공간에는 동일한 압력으로 에어가 수용되어, 상기 홀 이동체(280)는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그러다가,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5)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7)가 있는 부분이 아래를 향하면서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의 학습자에 의해 파지되어 있던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실수 등으로 낙하되는 경우, 상기 홀 이동체(280)는 정지해 있으려는 관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 중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270)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272)이 연결된 부분 쪽으로 이동되는 형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 중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270)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272)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홀 이동체(280) 사이에 있던 에어가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270)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272)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5)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267)가 팽창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바닥과 부딪힐 때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6)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8)가 있는 부분이 아래를 향하면서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의 학습자에 의해 파지되어 있던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실수 등으로 낙하되는 경우, 상기 홀 이동체(280)는 정지해 있으려는 관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 중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271)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273)이 연결된 부분 쪽으로 이동되는 형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262) 중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271)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273)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홀 이동체(280) 사이에 있던 에어가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271)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273)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6)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268)가 팽창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바닥과 부딪힐 때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상기 보호 케이스(26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의 학습자에 의해 파지되어 있던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실수 등으로 낙하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바닥과 부딪힐 때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가 달린 컴퓨터 등 별도의 학습 수단을 구비할 필요없이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블록 코딩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110 : 표시 입력부
120 : 전면 영상 촬영부
125 : 후면 영상 촬영부
130 : 제어부
135 : 통신부
140 : 저장부

Claims (3)

  1. 블록 코딩 학습의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내장된 저장 수단이면서, 상기 블록 코딩 학습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이 앱 형태로 저장된 저장부;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통신 수단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식 디스플레이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학습자에 의해 소정의 명령이 터치식으로 입력될 수 있는 표시 입력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전면 영상 촬영부;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설치된 후면 카메라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후면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제어 회로이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을 로딩 및 작동시키고,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 상황에 따라 상기 통신부, 상기 표시 입력부,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 및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의 프레임의 측면, 상하면 및 후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 상하면 및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중앙 내부에 직육면체의 홀 형태로 형성되어 에어가 채워져 있는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금속의 중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상면과 하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에어를 가압할 수 있는 홀 이동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네 모서리 중 상부 일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네 모서리 중 상부 타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네 모서리 중 하부 일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네 모서리 중 하부 타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이 형성된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상부 제 1 연결관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상부 제 2 연결관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네 모서리 중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하부 제 1 연결관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네 모서리 중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과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 홀과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을 연통시키는 하부 제 2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는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파지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와,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는 각각 수축된 형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에서 상기 홀 이동체의 양 측 공간에는 동일한 압력으로 에어가 수용되어, 상기 홀 이동체는 상기 케이스 내부 홀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가 있는 부분이 아래를 향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낙하되는 경우, 상기 홀 이동체는 정지해 있으려는 관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 홀 중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이 연결된 부분 쪽으로 이동되는 형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 중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홀 이동체 사이에 있던 에어가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 제 1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1 연결관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홀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 및 상기 하부 일 측 모서리 팽창체가 팽창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바닥과 부딪힐 때의 충격이 완충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가 있는 부분이 아래를 향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낙하되는 경우, 상기 홀 이동체는 정지해 있으려는 관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 홀 중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이 연결된 부분 쪽으로 이동되는 형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홀 중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홀 이동체 사이에 있던 에어가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 제 2 연결관 및 상기 하부 제 2 연결관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홀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 및 상기 하부 타 측 모서리 팽창체가 팽창되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가 바닥과 부딪힐 때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학습 프로그램이 로딩되면, 상기 표시 입력부에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메인 화면에는 상기 메인 화면의 일 측부를 따라 복수 개의 코딩 명령 아이콘이 나열된 사이드 메인 메뉴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상기 사이드 메인 메뉴와 분리된 지점에 표시되는 설정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설정 메뉴가 상기 표시 입력부의 터치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설정 메뉴에는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작동에 관련하여 상기 저장부, 상기 통신부, 상기 표시 입력부,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 및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설정 명령 아이콘이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명령 아이콘 중 카메라 활성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입력부의 터치에 따라 최초 선택되면,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가 활성화되고,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활성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입력부의 터치에 따라 추가로 다시 선택되면,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가 활성화되고,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활성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입력부의 터치에 따라 추가로 다시 선택되면, 상기 전면 영상 촬영부 및 상기 후면 영상 촬영부가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KR1020210137372A 2021-10-15 2021-10-15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KR10236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72A KR102368308B1 (ko) 2021-10-15 2021-10-15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72A KR102368308B1 (ko) 2021-10-15 2021-10-15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308B1 true KR102368308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372A KR102368308B1 (ko) 2021-10-15 2021-10-15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3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431A (ko) * 2012-12-12 2014-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KR20150096171A (ko) * 2014-02-14 2015-08-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190077954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트라이캐치미디어 코딩학습을 위한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방법
KR20190136865A (ko) * 2018-05-31 2019-12-10 김난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KR20200093933A (ko) * 2019-01-29 2020-08-06 성창경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431A (ko) * 2012-12-12 2014-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KR20150096171A (ko) * 2014-02-14 2015-08-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190077954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트라이캐치미디어 코딩학습을 위한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방법
KR20190136865A (ko) * 2018-05-31 2019-12-10 김난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KR20200093933A (ko) * 2019-01-29 2020-08-06 성창경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56594B (zh) 控制屏幕的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104246680B (zh) 发起帮助特征
RU2701988C2 (ru) Параметрическая инерция и интерфейсы прикладного 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я
EP1940082A3 (en) Storage area network system construction aid apparatus, same system construction aid method and same system construction aid program
KR101432381B1 (ko)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JP567123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3156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braille in device having touch screen
CN110658971B (zh) 一种截屏方法及终端设备
CN105637467B (zh) 识别用户手势的电子装置和方法
CN103185948A (zh) 照相机模块、包含该模块的电子设备及自动对焦方法
US20180329612A1 (en) Interfacing with a computing device
CN105242825A (zh) 终端控制方法及装置
KR2019002101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830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KR102414170B1 (ko) 골프 레슨 제공 장치
US10635460B2 (en) Assisted interaction for mobile products
KR101352462B1 (ko) 이동 단말의 가상 키보드
JP2017033130A (ja) 力覚誘導装置
CN104866263A (zh) 根据接受的操作输入来显示图像的电子黑板装置
JP479458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00624B1 (ko) 굴삭기 가상 현실 장치
KR20080010734A (ko)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전환 제어방법
CN102947772B (zh) 用于确定输入的方法和装置
CN10387012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CN106101559A (zh)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