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861B1 -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861B1
KR102632861B1 KR1020230101459A KR20230101459A KR102632861B1 KR 102632861 B1 KR102632861 B1 KR 102632861B1 KR 1020230101459 A KR1020230101459 A KR 1020230101459A KR 20230101459 A KR20230101459 A KR 20230101459A KR 102632861 B1 KR102632861 B1 KR 10263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ol
user
unit
electronic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호
Original Assignee
(주)성산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산기획 filed Critical (주)성산기획
Priority to KR102023010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에 대한 e-book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실행 아이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감지부; 상기 객체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교가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객체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학교의 연혁에 대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e-book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방법{A kiosk that executes the school history archive e-book album}
본 발명은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학교의 학생기록, 앨범, 행사 등에 대한 기록자료를 보관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자료를 보관공간 및 보관비용이 소모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54205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에 대한 e-book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실행 아이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방문자를 감지 및 촬영하는 객체감지부; 상기 객체감지부의 객체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교가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상기 객체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의 스냅샷을 촬영하고, 상기 방문자의 e-book 관람내역을 기록하는 방문자 기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e-book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e-book 서비스부는 역대교장선생님, 역대이사장님, 연도별 졸업앨범, 학교경영실적, 행사앨범, 학교연혁, 학교동창회, 학교운영위원, 학교상징, 학교교가, 학교환경영상 등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과 관련된 전자자료를 사용자가 선택 및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GU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상기 e-book 서비스부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등록 및 관리하는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에서 호출하는 데이터 호출부;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 컨텐츠 또는 노출방식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록물을 가공처리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 가공처리된 전자기록물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특수효과가 노출되도록 상기 가공처리된 전자기록물에 특수효과를 제공하는 특수효과 제공부; 및 챗봇 에이전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지능형 챗봇에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정보 내의 문장을 형태소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술어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반하여 질의어를 분석하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기록물 중 다수의 영상파일(동영상,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일시 및 위치정보와 영상데이터로부터의 인식객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라벨링을 자동 수행하고,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영상의 맥락 추정을 통해 라벨링된 영상의 자동 배열, 그룹화 및 경계설정을 수행하고, 경계 지점에서의 트랜지션을 자동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에피소드나 스토리텔링을 갖춘 동영상파일로 가공처리하고, 지정된 전자기록물(영상파일)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통일되도록 각각 변환하고, 영상파일의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영상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데이터를 정규화하고, 상기 특수효과 제공부는 입력된 영상 파일에 대하여 해당 영상 파일 중 확대 또는 축소할 영역을 설정하고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여 설정된 대상 영역의 테두부에 다양한 형태의 사진틀을 표시하거나, 전자 앨범의 페이지 넘김 시 애니메이션 설정 아이콘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한 설정 아이콘을 부가하여 제작된 전자앨범 구동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축 소 또는 확대, 애니메이션 효과가 구동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동작방법은 객체감지부에서 기 설정된 영역 내에 객체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객체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에서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아이콘이 실행되거나 또는 질의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아이콘 또는 질의어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호출하는 단계; e-book 서비스부에서 호출된 전자기록물을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 형태로 가공처리하는 단계; 상기 e-book 서비스부에서 가공처리된 컨텐츠에 특수효과를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가공처리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book 서비스부는 역대교장선생님, 역대이사장님, 연도별 졸업앨범, 학교경영실적, 행사앨범, 학교연혁, 학교동창회, 학교운영위원, 학교상징, 학교교가, 학교환경영상 등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과 관련된 전자자료를 사용자가 선택 및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GU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등록 및 관리하는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에서 호출하는 데이터 호출부;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 컨텐츠 또는 노출방식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록물을 가공처리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 가공처리된 전자기록물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특수효과가 노출되도록 상기 가공처리된 전자기록물에 특수효과를 제공하는 특수효과 제공부; 및 챗봇 에이전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지능형 챗봇에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정보 내의 문장을 형태소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술어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반하여 질의어를 분석하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기록물 중 다수의 영상파일(동영상,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일시 및 위치정보와 영상데이터로부터의 인식객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라벨링을 자동 수행하고,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영상의 맥락 추정을 통해 라벨링된 영상의 자동 배열, 그룹화 및 경계설정을 수행하고, 경계 지점에서의 트랜지션을 자동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에피소드나 스토리텔링을 갖춘 동영상파일로 가공처리하고, 지정된 전자기록물(영상파일)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통일되도록 각각 변환하고, 영상파일의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영상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데이터를 정규화하고, 상기 특수효과 제공부는 입력된 영상 파일에 대하여 해당 영상 파일 중 확대 또는 축소할 영역을 설정하고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여 설정된 대상 영역의 테두부에 다양한 형태의 사진틀을 표시하거나, 전자 앨범의 페이지 넘김 시 애니메이션 설정 아이콘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한 설정 아이콘을 부가하여 제작된 전자앨범 구동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축 소 또는 확대, 애니메이션 효과가 구동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면, 종래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학생부정보, 학생앨범, 행사사진 등을 관리 및 보관하기 위한 지속적인 인력비용 소모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이점을 통해 한눈에 학교의 역사, 졸업, 행사, 연혁을 손쉽게 열람할 수 있고, 학교의 행사나 입학한 학생들에게 교육적 자료로 언제나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실사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e-book 서비스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에서 실행된 전자기록물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실사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장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e-book 서비스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에서 실행된 전자기록물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100)는 역대교장선생님, 역대이사장님, 연도별 졸업앨범, 학교경영실적, 행사앨범, 학교연혁, 학교동창회, 학교운영위원, 학교상징, 학교교가, 학교환경영상 등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과 관련된 자료를 방문객들에게 표시 또는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100)는 객체감지 및 촬영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40), 메모리(150), 음성출력부(160), 방문자 기록부(170) 및 E-book 서비스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감지 및 촬영부(110)는 광감지, 열감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거리내에 위치하는 객체(방문자)을 감지하고, 객체(방문자)를 촬영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정보 아이콘을 통해 실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패널(121) 및 디스플레이 유닛(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21)은 별도의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화면에서 직접 입력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21)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와 스크린의 접촉을 센싱하고, 센싱한 위치정보(터치좌표)를 파악하여 정보처리부(19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22)은 상기 터치 패널(121)의 후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값(위치정보)에 상응하는 기 설정된 컨텐츠 정보 및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22)은 정보처리부(19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2)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예컨대, 후술하는 e-book 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아카이브 e-book 앨범 및/또는 영상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에이부(110)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4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90) 또는 메모리(1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메모리(1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처리부(19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50)는 자신만의 e-book 전자 앨범을 꾸미기 위한 다양한 앨범 샘플이 저장되고,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전자 앨범 샘플들이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부(160)는 후술하는 E-book 서비스(180)에서 가공한 전자기록물의 컨텐츠 효과음 및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방문자 기록부(170)는 객체감지 및 촬영부(110)에서 감지 및/또는 촬영한 객체의 정보(방문자 수, 일자)를 기록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E-book 서비스부(180)는 역대교장선생님, 역대이사장님, 연도별 졸업앨범, 학교경영실적, 행사앨범, 학교연혁, 학교동창회, 학교운영위원, 학교상징, 학교교가, 학교환경영상 등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과 관련된 전자자료를 사용자가 선택 및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GU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E-book 서비스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연도별 행사상황, 연도별 학교경영실적, 연도별 학교동장회, 연도별 교직원상황 중 어느 하나의 전자기록물을 디스플레이로 지원(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E-book 서비스부(180)는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181), 데이터 호출부(182),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 특수효과 제공부(184) 및 데이터 공유부(185)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181)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연도별 행사상황, 연도별 학교경영실적, 연도별 학교동장회, 연도별 교직원상황 중 어느 하나의 전자기록물(이미지)를 저장 및 보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181)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연도별 행사상황, 연도별 학교경영실적, 연도별 학교동장회, 연도별 교직원상황을 기록한 기록물을 PDF, HWP, DOC, XLS, JPG, PNG 등의 전자 파일로 보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호출부(182)는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181)에서 호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는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 컨텐츠 또는 전자기록물 노출방식(예컨대, 페이지 넘기, 파노라마 등등)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자기록물을 가공처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기록물 중 다수의 영상파일(동영상,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일시 및 위치정보와 영상데이터로부터의 인식객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라벨링을 자동 수행하고,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영상의 맥락 추정을 통해 라벨링된 영상의 자동 배열, 그룹화 및 경계설정을 수행하고, 경계 지점에서의 트랜지션을 자동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에피소드나 스토리텔링을 갖춘 동영상파일로 가공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서(i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는 지정된 전자기록물(영상파일)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통일되도록 각각 변환하고, 영상파일의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영상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 이때, 영상파일은 그 촬영방향 즉 세로로 촬영되었는지 또는 가로로 촬영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영상의 사이즈와 형태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일시키도록 영상을 회전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특수효과 제공부(184)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전자기록물 및/또는 전자앨범에 특수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특수효과 제공부(184)는 입력된 영상 파일에 대하여 해당 영상 파일 중 확대 또는 축소할 영역을 설정하고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여 설정된 대상 영역의 테두부에 다양한 형태의 사진틀을 표시하거나, 전자 앨범의 페이지 넘김 시 애니메이션 설정 아이콘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한 설정 아이콘을 부가하여 제작된 전자앨범 구동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축 소 또는 확대, 애니메이션 효과가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지능형 챗봇 서비스부(190)는 챗봇 에이전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지능형 챗봇에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정보 내의 문장을 형태소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술어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반하여 질의어를 분석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형태소 분석을 하기 이전에, 입력문장을 정규화하는 전처리를 시작(즉, 입력문장 정규화는 발화에 존재하는 띄어쓰기 오류 및 철자오류의 제거, 과도한 반복어구의 제거, 분해된 음소의 조합, 이모티콘의 인식과 같은 정규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다음 단계인 형태소 분석으로 이어지는 오류전파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함)한다.
여기서, 띄어쓰기 오류 교정을 하기 위하여 HMM(Hidden Markov Models)기반의 띄어쓰기 모형을 이용할 수 있고, 입력문장의 각 음절이 띄어쓰기 태그(1로 표시)와 붙여쓰기 태그(0으로 표시)를 가진다고 가정하며, 같은 음절/태그 확률을 최대로 하는 태그열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철자 오류 교정 기술도 적용할 수 있는데, 자소단위와 음절단위 규칙을 이용하여 규칙기반 오류 교정을 수행하고, 이는 사용자 입력 발화와 교정 발화로 구성된 학습 말뭉치에서 문자열 수정 규칙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용자 입력 발화에 대해 문자열을 수정하게 된다.
이렇게 전처리가 끝나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을 하게 되는데,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 기술은 어절 단위 분석 모형과 형태소 단위 분석 모형의 결합을 통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질의내용 및 질의어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와 가장 매칭 또는 유사도가 높은 기 설정된 복수의 질의 시나리오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즉, 질의어가 일치하거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의 시나리오를 챗봇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대응하는 응답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챗봇 데이터베이스는, 검색 기반 모델인 Retrieval-based 모델과,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인 Generative 모델에 기반할 수 있다.
챗봇에 대해서는 다양한 유사 용어가 존재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은, 지능형 가상비서, 가상 개인비서(Virtual Personal Assistant), 지능형 개인비서(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대화형 에이전트(conversational agent), 가상 동반자(virtual companion), 가상도우미(virtual assistant) 등과 같은 용어로 이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챗봇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챗봇은 채팅을 나누는 챗앱, 채팅 내용에 따라 정보를 검색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챗앱과 서버를 중계하는 봇API로 구성될 수 있고, 인공지능 분야의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자연어 처리(NLP)와 자연어 생성(NLG)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챗봇은, 인간이 하는 말과 글을 이해하고 자기가 갖고 있거나 학습한 데이터를 분석해서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말과 글로 대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형, 문자, 음성 등의 패턴을 인식하여 인간이 쓰는 언어를 처리할 수 있으며, 논리적 추론까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챗봇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비정형 데이터에서 찾아낼 수도 있고, 현실의 상황을 정보화하고 활용하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챗봇은, 기계가 도형, 문자, 음성 등을 식별하는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인간이 보통 쓰는 언어를 기계가 인식하도록, 정보검색, 질의응답, 시스템 자동번역, 통역의 기능을 포함하는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정보 데이터의 뜻을 이해하고, 논리적 추론까지 할 수 있는 시멘틱 웹(Semantic Web),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새롭고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가상공간에서 현실의 상황을 정보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컴퓨팅(Text Aware Computing)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화형 에이전트를 사람처럼 느끼게 하는 인터랙션 설계인 의인화(anthropomorphis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Computers Are Social Actors(CASA) 관련 연구들을 이용하여 긍정적인 사회적 반응을 끌어내 사람과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의 질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정보처리부(17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ur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거래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집한 빅데이터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ur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동작방법(S700)은 객체감지 및 촬영부(110)에서 기 설정된 영역 내에 객체 유무를 감지하고, 객체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20)에서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을 실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아이콘이 실행되거나 또는 질의어를 입력받으면, e-book 서비스부(180)에서 상기 아이콘 또는 질의어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호출한 후, 호출된 전자기록물을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 형태로 가공처리하고, 가공처리된 컨텐츠에 특수효과를 반영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20)는 가공처리된 컨텐츠를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E-book 서비스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연도별 행사상황, 연도별 학교경영실적, 연도별 학교동장회, 연도별 교직원상황 중 어느 하나의 전자기록물을 디스플레이로 지원(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E-book 서비스부(180)는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181), 데이터 호출부(182),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 특수효과 제공부(184) 및 데이터 공유부(185)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181)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연도별 행사상황, 연도별 학교경영실적, 연도별 학교동장회, 연도별 교직원상황 중 어느 하나의 전자기록물(이미지)를 저장 및 보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181)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연도별 행사상황, 연도별 학교경영실적, 연도별 학교동장회, 연도별 교직원상황을 기록한 기록물을 PDF, HWP, DOC, XLS, JPG, PNG 등의 전자 파일로 보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호출부(182)는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181)에서 호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는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 컨텐츠 또는 전자기록물 노출방식(예컨대, 페이지 넘기, 파노라마 등등)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자기록물을 가공처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기록물 중 다수의 영상파일(동영상,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일시 및 위치정보와 영상데이터로부터의 인식객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라벨링을 자동 수행하고,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영상의 맥락 추정을 통해 라벨링된 영상의 자동 배열, 그룹화 및 경계설정을 수행하고, 경계 지점에서의 트랜지션을 자동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에피소드나 스토리텔링을 갖춘 동영상파일로 가공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서(i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183)는 지정된 전자기록물(영상파일)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통일되도록 각각 변환하고, 영상파일의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영상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 이때, 영상파일은 그 촬영방향 즉 세로로 촬영되었는지 또는 가로로 촬영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영상의 사이즈와 형태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일시키도록 영상을 회전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특수효과 제공부(184)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전자기록물 및/또는 전자앨범에 특수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특수효과 제공부(184)는 입력된 영상 파일에 대하여 해당 영상 파일 중 확대 또는 축소할 영역을 설정하고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여 설정된 대상 영역의 테두부에 다양한 형태의 사진틀을 표시하거나, 전자 앨범의 페이지 넘김 시 애니메이션 설정 아이콘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한 설정 아이콘을 부가하여 제작된 전자앨범 구동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축소 또는 확대, 애니메이션 효과가 구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제작 및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학생부정보, 학생앨범, 행사사진 등을 관리 및 보관하기 위한 지속적인 인력비용 소모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이점을 통해 한눈에 학교의 역사, 졸업, 행사, 연혁을 손쉽게 열람할 수 있고, 학교의 행사나 입학한 학생들에게 교육적 자료로 언제나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부”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지털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장치
110: 객체감지 및 촬영부
120: 디스플레이부
121: 터치패널
122: 디스플레이 유닛
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50: 메모리
160: 음성출력부
170: 방문자 기록부
180: E-book 서비스부
190: 지능형 챗봇 서비스부

Claims (6)

  1.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에 대한 e-book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실행 아이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방문자를 감지 및 촬영하는 객체감지부;
    상기 객체감지부의 객체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교가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상기 객체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의 스냅샷을 촬영하고, 상기 방문자의 e-book 관람내역을 기록하는 방문자 기록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e-book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e-book 서비스부는
    역대교장선생님, 역대이사장님, 연도별 졸업앨범, 학교경영실적, 행사앨범, 학교연혁, 학교동창회, 학교운영위원, 학교상징, 학교교가, 학교환경영상 등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과 관련된 전자자료를 사용자가 선택 및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GU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상기 e-book 서비스부는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등록 및 관리하는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에서 호출하는 데이터 호출부;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 컨텐츠 또는 노출방식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록물을 가공처리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
    가공처리된 전자기록물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특수효과가 노출되도록 상기 가공처리된 전자기록물에 특수효과를 제공하는 특수효과 제공부; 및
    챗봇 에이전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지능형 챗봇에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정보 내의 문장을 형태소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술어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반하여 질의어를 분석하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기록물 중 다수의 영상파일(동영상,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일시 및 위치정보와 영상데이터로부터의 인식객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라벨링을 자동 수행하고,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영상의 맥락 추정을 통해 라벨링된 영상의 자동 배열, 그룹화 및 경계설정을 수행하고, 경계 지점에서의 트랜지션을 자동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에피소드나 스토리텔링을 갖춘 동영상파일로 가공처리하고,
    지정된 전자기록물(영상파일)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통일되도록 각각 변환하고, 영상파일의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영상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데이터를 정규화하고,
    상기 특수효과 제공부는
    입력된 영상 파일에 대하여 해당 영상 파일 중 확대 또는 축소할 영역을 설정하고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여 설정된 대상 영역의 테두부에 다양한 형태의 사진틀을 표시하거나, 전자 앨범의 페이지 넘김 시 애니메이션 설정 아이콘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한 설정 아이콘을 부가하여 제작된 전자앨범 구동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축 소 또는 확대, 애니메이션 효과가 구동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객체감지부에서 기 설정된 영역 내에 객체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객체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에서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아이콘이 실행되거나 또는 질의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아이콘 또는 질의어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호출하는 단계;
    e-book 서비스부에서 호출된 전자기록물을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 형태로 가공처리하는 단계;
    상기 e-book 서비스부에서 가공처리된 컨텐츠에 특수효과를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가공처리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book 서비스부는
    역대교장선생님, 역대이사장님, 연도별 졸업앨범, 학교경영실적, 행사앨범, 학교연혁, 학교동창회, 학교운영위원, 학교상징, 학교교가, 학교환경영상 등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과 관련된 전자자료를 사용자가 선택 및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GU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학교의 연혁, 학생기록부, 연도별 학생앨범, 행사상황, 학교경영실적, 학교동창회, 교직원상황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등록 및 관리하는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
    사용자의 입력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아이콘에 해당하는 전자기록물을 상기 전자기록물 등록관리부에서 호출하는 데이터 호출부;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 컨텐츠 또는 노출방식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록물을 가공처리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
    가공처리된 전자기록물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특수효과가 노출되도록 상기 가공처리된 전자기록물에 특수효과를 제공하는 특수효과 제공부; 및
    챗봇 에이전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지능형 챗봇에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정보 내의 문장을 형태소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술어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반하여 질의어를 분석하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편집 및 가공부는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기록물 중 다수의 영상파일(동영상,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일시 및 위치정보와 영상데이터로부터의 인식객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라벨링을 자동 수행하고,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영상의 맥락 추정을 통해 라벨링된 영상의 자동 배열, 그룹화 및 경계설정을 수행하고, 경계 지점에서의 트랜지션을 자동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에피소드나 스토리텔링을 갖춘 동영상파일로 가공처리하고,
    지정된 전자기록물(영상파일)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통일되도록 각각 변환하고, 영상파일의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회전시켜 영상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데이터를 정규화하고,
    상기 특수효과 제공부는
    입력된 영상 파일에 대하여 해당 영상 파일 중 확대 또는 축소할 영역을 설정하고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여 설정된 대상 영역의 테두부에 다양한 형태의 사진틀을 표시하거나, 전자 앨범의 페이지 넘김 시 애니메이션 설정 아이콘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한 설정 아이콘을 부가하여 제작된 전자앨범 구동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축 소 또는 확대, 애니메이션 효과가 구동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의 동작방법.
KR1020230101459A 2023-08-03 2023-08-03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KR10263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459A KR102632861B1 (ko) 2023-08-03 2023-08-03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459A KR102632861B1 (ko) 2023-08-03 2023-08-03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861B1 true KR102632861B1 (ko) 2024-02-06

Family

ID=8985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459A KR102632861B1 (ko) 2023-08-03 2023-08-03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86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3679A1 (en) * 2000-11-29 2002-05-30 Goodwin John C.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y a network kiosk
KR20090052014A (ko) * 2007-11-20 2009-05-25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인물별 자동분류 패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제공하는 키오스크
KR20120117876A (ko) * 2010-01-26 2012-10-24 터치튠즈 뮤직 코포레이션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디지털 쥬크박스 장치, 및 관련된 방법
US20150019332A1 (en) * 2013-07-15 2015-01-15 Verizon and Redbox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eatures Associated with Distribution of Media Programs by Way of a Network of Media Vending Kiosks
US20150294318A1 (en) * 2014-04-11 2015-10-15 Infocus Corporation Interactive and custom-support kiosk, methods and system
KR20180087630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331772B1 (ko) * 2021-07-01 2021-12-01 최영주 지역 안내 키오스크 시스템
KR102521903B1 (ko) *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오토 라벨링을 활용한 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1904B1 (ko) *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오토 라벨링 활용과 디자인 요소 삽입을 통한 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2053B1 (ko) 2022-04-18 2023-06-13 한국타피(주)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3679A1 (en) * 2000-11-29 2002-05-30 Goodwin John C.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y a network kiosk
KR20090052014A (ko) * 2007-11-20 2009-05-25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인물별 자동분류 패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제공하는 키오스크
KR20120117876A (ko) * 2010-01-26 2012-10-24 터치튠즈 뮤직 코포레이션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디지털 쥬크박스 장치, 및 관련된 방법
US20150019332A1 (en) * 2013-07-15 2015-01-15 Verizon and Redbox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eatures Associated with Distribution of Media Programs by Way of a Network of Media Vending Kiosks
US20150294318A1 (en) * 2014-04-11 2015-10-15 Infocus Corporation Interactive and custom-support kiosk, methods and system
KR20180087630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스마트 디지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331772B1 (ko) * 2021-07-01 2021-12-01 최영주 지역 안내 키오스크 시스템
KR102542053B1 (ko) 2022-04-18 2023-06-13 한국타피(주)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521903B1 (ko) *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오토 라벨링을 활용한 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1904B1 (ko) *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오토 라벨링 활용과 디자인 요소 삽입을 통한 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권광혁. 칠곡교육지원청, '경북교육 사이버 박물관' 키오스크 설치 상시 운영. 스쿨iTV. 2021.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9299B2 (en) Multi-media context language processing
US10303768B2 (en) Exploiting multi-modal affect and semantics to assess the persuasiveness of a video
US9471559B2 (en) Deep analysis of natural language questions for question answering system
US10963504B2 (en) Zero-shot event detection using semantic embedding
US20200387567A1 (en) Document editing models and localized content management
CN107436922A (zh) 文本标签生成方法和装置
CN109783796A (zh) 预测文本内容中的样式破坏
US108614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factoid associated words from natural language sentences
US116152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ntiment of natural language text content
CN110162786B (zh) 构建配置文件以及抽取结构化信息的方法、装置
US20170344625A1 (en) Obtaining of candidates for a relationship type and its label
US20200125671A1 (en) Altering content based on machine-learned topics of interest
CN105760363B (zh) 文本文件的词义消歧方法及装置
CN107861948B (zh) 一种标签提取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1854285B2 (en) Neural network architecture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documents
US20230214423A1 (en) Video generation
EP4248301A1 (en) Automatic document sketching
WO2022143608A1 (zh) 语言标注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Sahin et al. Introduction to Apple ML tools
Sharma et al. Full-pag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automated essay scoring for in-the-wild essays
KR102632861B1 (ko)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US11653071B2 (en) Responsive video content alteration
Madan et al. Parsing and summarizing infographics with synthetically trained icon detection
US11055491B2 (en) Geographic location specific models for information extraction and knowledge discovery
US20210142188A1 (en) Detecting scenes in instructional v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