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344B1 - 도로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344B1
KR102540344B1 KR1020210097353A KR20210097353A KR102540344B1 KR 102540344 B1 KR102540344 B1 KR 102540344B1 KR 1020210097353 A KR1020210097353 A KR 1020210097353A KR 20210097353 A KR20210097353 A KR 20210097353A KR 102540344 B1 KR102540344 B1 KR 102540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road
drum case
bit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778A (ko
Inventor
김관국
Original Assignee
김관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국 filed Critical 김관국
Priority to KR102021009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3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7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rotary, e.g. rotary 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도로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도로 파쇄장치는 중장비에 장착되어 회전에 의해 도로 표면을 파쇄하는 도로 파쇄장치에 있어서, 중장비 전방에 장착되도록 걸림부가 구비된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결합되는 드럼 케이스, 상기 드럼 케이스와 상기 장착 프레임을 고정하면서 상기 드럼 케이스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유압부, 상기 드럼 케이스 내부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파쇄몸체, 상기 드럼 케이스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파쇄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몸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서 연결되어 상기 드럼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파쇄몸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파쇄몸체에 전달하여 상기 파쇄몸체를 회전시키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을 포함하되, 상기 파쇄몸체는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는 몸체고정부, 상기 몸체고정부에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 인접하는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몸체고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축, 및 상기 복수의 보조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보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파쇄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파쇄장치{ROAD CRUSHER}
본 발명은 중장비와 이에 결합된 도로 파쇄장치를 이용하여 도로의 표면을 파쇄함에 있어서, 도로 파쇄장치 및 중장비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정밀하게 도로 표면을 파쇄할 수 있는 도로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상부 표면에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되어 있으며, 계절의 변화에 따라 혹은 시간이 흘러 도로의 표면이 많이 손상되는 경우 이를 교체하고 새로 포장을 하기 위해 도로 파쇄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또는 도로의 하부에 매설된 상하수도 시설 등을 보수하기 위해서도 도로의 표면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포장층을 제거하는데 도로 파쇄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도로 파쇄장치의 경우 강한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구성되는 도로 표면을 파쇄하기 위해 도로의 표면과 직접 맞닿는 부분에 날카로운 장치(비트 유닛)가 구비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날카로운 장치가 회전하면서 도로 표면을 깎아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 파쇄장치는 도로 표면과 닿는 날카로운 부분이 회전하는 몸체에 고정되어 있어, 도로 표면과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파쇄장치나 이를 회전하기 위한 모터 혹은 중장비에 많은 하중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나, 중장비가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이 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도로 표면과 닿는 날카로운 장치 또한 회전하는 몸체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날카로운 장치는 도로를 직접 파고들어가 깎아내는 방식이어서 정밀한 파쇄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장치가 도로와 닿으면서 회전함에 의해 도로와 장치의 마찰력에 따라 도로 파쇄장치 자체가 도로를 따라 끌려가는 문제가 있어 더욱 정교한 파쇄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도로 파쇄를 정밀하게 하면서도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중장비나 모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도로 파쇄장치의 사용연한을 늘리면서도 도로 표면을 파쇄하는 부품이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하고, 마찰력에 의해 도로 파쇄장치가 도로를 따라 끌려가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도로 파쇄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2970호(공개일자 2016.08.25.)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로 표면을 정밀하게 파쇄하면서도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중장비나 모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내구성 및 사용연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도로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도로 표면과 직접 닿아 도로를 파쇄하는 부품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도로 표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도로 파쇄장치가 도로를 따라 원치 않게 끌려가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도로 파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로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는 중장비에 장착되어 회전에 의해 도로 표면을 파쇄하는 도로 파쇄장치에 있어서, 중장비 전방에 장착되도록 걸림부가 구비된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결합되는 드럼 케이스, 상기 드럼 케이스와 상기 장착 프레임을 고정하면서 상기 드럼 케이스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유압부, 상기 드럼 케이스 내부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파쇄몸체, 상기 드럼 케이스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파쇄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몸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서 연결되어 상기 드럼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파쇄몸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파쇄몸체에 전달하여 상기 파쇄몸체를 회전시키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을 포함하되, 상기 파쇄몸체는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는 몸체고정부, 상기 몸체고정부에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 인접하는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몸체고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축, 및 상기 복수의 보조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보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파쇄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쇄비트는 상기 보조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되, 상기 파쇄비트가 관통되는 영영은 상기 보조축의 단면의 영역에 비해 더 큼으로써, 상기 보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몸체에서 상기 인접하는 지지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파쇄비트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몸체에서 인접하는 파쇄비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어 인접하는 파쇄비트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보조축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비트는 외곽부분에서 보조축 방향으로 함몰되고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된 함몰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쇄비트가 수직단면 상으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몸체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보조축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몸체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되,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복수의 파쇄비트는 서로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쇄비트가 도로 표면에 접함으로써, 도포 표면이 파쇄되고, 상기 파쇄비트는 도로 표면을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축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에 의하면, 도로 표면을 정밀하게 파쇄하면서도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중장비나 모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내구성 및 사용연한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로 표면과 직접 닿아 도로를 파쇄하는 부품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로 표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도로 파쇄장치가 도로를 따라 원치 않게 끌려가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도로 파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가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드럼 케이스 내외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파쇄몸체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파쇄몸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조축에 파쇄비트가 결합되고 이들을 이격시키는 이격부가 결합된 일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비트를 적용한 도로 파쇄기를 이용하였을 경우 콘크리트 바닥을 파쇄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로 파쇄기를 이용하였을 경우 콘크리트 바닥을 파쇄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도 7 및 8의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기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가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드럼 케이스 내외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정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로 파쇄장치는 중장비(1)의 전방에 장착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도로 표면을 파쇄하며, 도로 파쇄장치는 중장비(1) 전방에 장착되도록 걸림부가 구비된 장착 프레임(100), 상기 장착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드럼 케이스(400), 상기 드럼 케이스(400)와 상기 장착 프레임(100)을 고정하면서 상기 드럼 케이스(40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유압부(200, 300), 상기 드럼 케이스(400) 내부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파쇄몸체(700), 상기 드럼 케이스(400)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파쇄몸체(700)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몸체(70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600), 및 상기 모터부(600)에서 연결되어 상기 드럼 케이스(400) 내측에서 상기 파쇄몸체(700)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600)의 회전력을 상기 파쇄몸체(700)에 전달하여 상기 파쇄몸체(700)를 회전시키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500)을 포함한다.
도로 파쇄장치는 트렉터,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의 전방에 결합되어 작동되며, 이들 중장비에 결합되기 위해 걸림부가 구비된 장착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장착 프레임(100)에 의해 결합된 도로 파쇄장치는 파쇄하고자 하는 도로 표면으로 하강하고, 모터부(600)의 회전에 의해 파쇄몸체(700)가 회전하면서 도로 표면을 깎아낼 수 있다. 장착 프레임(100)에는 드럼 케이스(400)가 고정되고, 상기 드럼 케이스(400)와 상기 장착 프레임(100)을 고정하면서 상기 드럼 케이스(40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유압부(200, 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부는 중장비의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상하좌우 드럼 케이스(400)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드럼 케이스(400)가 유압부(200, 300)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 표면이 경사가 있는 경우 유압부(200, 300)를 제어함으로써 도로 표면을 수평하게 파쇄하도록 할 수 있다.
파쇄몸체(700)는 도로 표면과 직접 맞닿아 파쇄하는 것으로, 드럼 케이스(400) 내부에 축설되어 회전하며, 모터부(600)에 연결되어 파쇄몸체(7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500)에 의해 모터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500)에 의해 모터부(600)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을 파쇄몸체(700)로 전달되어 파쇄몸체(700)가 회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600)는 중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장비에서 가해지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500)은 모터부(600)에서 파쇄몸체(700) 방향으로 수평방향에서 제 1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 1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로 파쇄장치를 이용한 도로 파쇄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파쇄몸체(700)가 중장비의 전방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파쇄몸체(700)의 파쇄비트가 회전력에 의해 도로 표면에 강력한 충격을 가하고 이러한 회전력에 의한 충격에 의해 도로 표면을 파쇄(깎아 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쇄몸체(7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하기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파쇄몸체의 정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파쇄몸체의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쇄몸체(700)는 상기 중심축(500)과 연결되는 몸체고정부(705), 상기 몸체고정부(705)에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710) 인접하는 지지부(710)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몸체고정부(705)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축(730) 및 상기 복수의 보조축(730)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보조축(7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파쇄비트(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고정부(705)는 파쇄몸체(700)를 상기 중심축(50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고정부(705)에 의해 중심축(500)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파쇄몸체(700)에 전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710)는 상기 몸체고정부(705)에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다. 즉, 지지부(710)는 몸체고정부(705)나 중심축(500)에서 방사형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파쇄몸체(700)가 전체적으로 회전할 때, 지지부(710)에 결합된 보조축(730)이 회전하는 회전반경이 중심축(500)이나 몸체 고정부(705)의 회전반경보다 더 큰 회전반경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10)는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지지부(710)는 몸체 고정부(705) 상에서 제 1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제 1방향에 수직하는 수직방향으로 상하로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조축(730)은 복수의 파쇄비트(7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인접하는 지지부(710)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되되, 상기 몸체고정부(705)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보조축(730)은 인접하는 지지부(710) 사이에서 연결되어 형성되되, 몸체고정부(705)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이격되어) 배치되어 파쇄몸체(700)가 회전할 때, 몸체고정부(705)에 비해 더 큰 회전반경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축(730)은 복수개 형성되면서, 보조축(730)에는 복수의 파쇄비트(720)가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파쇄비트(720)는 상기 보조축(7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지지부(710)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몸체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보조축(730)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몸체 고정부(705)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되,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복수의 파쇄비트(720)는 서로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도로 표면을 파쇄하기 위한 비트가 회전하는 몸체에 결합되고, 도로 표면과 직접 닿는 부분은 날카롭게 형성되어 몸체의 회전과 날카로운 강성에 의해 도로 표면을 깎아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도로 표면과 비트와의 서로 접합에 의한 충격이 비트와 결합되어 있는 몸체에 그대로 전달되었다. 이러한 경우 회전하는 몸체나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혹은 장치와 연결된 중장비 전체에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도로 파쇄장치가 쉽게 망가지거나, 중장비에 많은 하중을 가하여 중장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었다. 또한, 도로 표면과 비트간의 충격에 의해 비트가 회전하는 몸체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쉽게 마모되어 교체 주기가 짧은 문제가 있었고, 비트가 손상되는 경우 비트가 결합된 몸체를 통체로 교체하여야 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몸체부에서 이격된 보조축(73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미세한 파쇄비트(720)가 도로 표면을 강하게 때리면서 도로 표면을 파쇄하고, 동시에 파쇄비트(720)가 완전히 결합된 방식이 아니고, 도로 표면을 때리면서도 자체 회전을 하여 모든 하중이 도로 파쇄장치의 모터부나 중장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파쇄비트(720)가 지지부(710) 사이에 배치된 보조축(730) 사이에 일종의 단위체를 형성하여 배치됨으로써, 일부 파쇄비트(720)가 손상되더라도 일부 파쇄비트(720)만 교체하여 보다 쉽게 보수가 가능하다.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도로 파쇄장치는 파쇄몸체(700)가 전체적으로 모터부(600)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을 하면서도, 보조축(730)에 결합된 복수개의 파쇄비트(720)가 도로 표면을 때리면서 동시에 보조축(7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로 파쇄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장비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의 경우 회전하는 몸체에 완전히 고정되어 연결된 비트로 도로표면을 깎아내거나 파내는 방식이어서 정밀한 파쇄가 어려웠고, 도로 표면을 깎아내는 힘이 그대로 장치에 전달되어 도로 파쇄장치 전체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몸체의 회전력에 의해 도로를 따라 원치 않는 속도로 이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도로 파쇄장치나 이와 연결된 중장비가 몸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그대로 딸려가는(끌려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파쇄비트(720)가 (도로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보조축(730)을 중심으로 자체 회전하면서) 도로 표면에 타격을 가해 도로 표면을 파쇄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정밀한 도로 파쇄를 할 수 있으면서, 파쇄몸체(7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파쇄비트(720)와 도로 표면 간의 모든 힘이 장치 전체에 모두 전달되지 않아 정확한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도로 파쇄장치나 이와 연결된 중장비가 파쇄몸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딸려가는(끌려가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쇄비트(720)는 상기 보조축(730)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되, 상기 파쇄비트(720)가 관통되는 영영은 상기 보조축(730)의 단면의 영역에 비해 더 큼으로써, 상기 보조축(7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쇄비트(720)가 도로 표면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할 때, 보조축(7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비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파쇄비트(720)의 관통되는 영역에 일정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파쇄몸체(7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쇄비트(720)가 도로 표면에 접함으로써, 도포 표면이 파쇄되고, 상기 파쇄비트(720)는 도로 표면을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축(730)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밀한 도로 표면의 파쇄를 위해 상기 파쇄몸체(700)에서 상기 인접하는 지지부(710) 사이에는 복수개의 파쇄비트(72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지지부(710)와 지지부(710) 사이에 복수개의 파쇄비트(720)를 촘촘히 배치하여 일종의 단위체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단위체를 여러 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도로 파쇄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인접하는 지지부(710)와 지지부(710) 사이에 복수개의 파쇄비트(720)를 배치한 단위체를 여러 개 형성함으로써, 어느 일부 파쇄비트(720)가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파쇄비트만 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쇄몸체(700)에서 인접하는 파쇄비트(7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축(730)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어 인접하는 파쇄비트(720)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부(7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730)는 인접하는 파쇄비트(720)가 서로 접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하게 도로 표면이 파쇄되도록 할 수 있고, 도로 표면과 파쇄비트(720)의 접함에 의한 충격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쇄비트(720)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파쇄비트(720)의 형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와 같이, 파쇄비트(720)는 외곽부분에서 보조축(730) 방향으로 함몰되고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된 함몰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쇄비트(720)가 수직단면 상으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파쇄비트(720)는 외곽부분에서 보조축(7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함몰부나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렇게 돌출된 부분이 도로 표면을 때리면서도 파쇄비트(720)의 돌출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보조축(730)을 중심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파쇄비트(720)가 톱니와 같은 형상을 가짐에 의해 도로 표면에 충격을 주면서도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조축에 파쇄비트가 결합되고 이들을 이격시키는 이격부가 결합된 일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격부(741)는 상기 보조축(730)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파쇄비트(720)간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이격부(741)에 의해 파쇄비트(720)의 회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격부(741)가 보조축(730)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져 보조축(730)에서 멀어질수록 파쇄비트(720)가 유동할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직접 도로 표면과 닿는 부분인 파쇄비트(720)의 외곽 부분의 유동성이 좋아질 수 있다. 파쇄비트(720)의 경우 도로 표면에 충격을 가하면서 일부 좌우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격부(741)의 보조축(730)과 가까운 방향에서는 폭이 상대적으로 커 파쇄비트(72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력을 부여하면서 보조축(730)과 먼 방향에서는 폭이 상대적으로 적게 하여 파쇄비트(720)에 가해지는 충격이 좌우방향으로 상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비트를 적용한 도로 파쇄기와 본 발명의 도로 파쇄기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도포 표면이 파쇄되는 정밀도를 비교하기 위해 실제 도로 표면을 파쇄하는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동일한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바닥에서 진행하였으며, 도 7에는 종래의 비트를 적용한 도로 파쇄기를 이용하였을 경우 콘크리트 바닥을 파쇄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사진이 나타나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도로 파쇄기를 이용하였을 경우 콘크리트 바닥을 파쇄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사진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 7 및 8의 결과를 동시에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 나타나 있다. 도 9에서 우측에 파쇄된 부분이 본 발명의 도로 파쇄기를 이용하였을 경우이고, 좌측에 파쇄된 부분이 종래의 도로 파쇄기를 이용하였을 경우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종래의 도로 파쇄기를 이용하여 도로 표면을 파쇄하였을 경우 대비 본 발명의 도로 파쇄기를 이용하여 도로 표면을 파쇄하였을 때 보다 정밀한 간격을 가지고 도로 표면이 파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 보다 적은 하중이 장치 전체에 가해지고, 회전력에 따라 도로 표면을 따라 파쇄장치가 끌려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도로 파쇄기의 경우 종래에 비해 보다 정교하게 도로 표면을 파쇄하면서도 장치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중장비
100: 장착 프레임
200, 300: 유압부
400: 드럼 케이스
500: 중심축
600: 모터부
700: 파쇄몸체
705: 몸체 고정부
710: 지지부
720: 파쇄비트
730: 보조축
740, 741: 이격부

Claims (8)

  1. 중장비에 장착되어 회전에 의해 도로 표면을 파쇄하는 도로 파쇄장치에 있어서,
    중장비 전방에 장착되도록 걸림부가 구비된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결합되는 드럼 케이스;
    상기 드럼 케이스와 상기 장착 프레임을 고정하면서 상기 드럼 케이스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유압부;
    상기 드럼 케이스 내부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파쇄몸체;
    상기 드럼 케이스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파쇄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몸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서 연결되어 상기 드럼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파쇄몸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파쇄몸체에 전달하여 상기 파쇄몸체를 회전시키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을 포함하되,
    상기 파쇄몸체는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는 몸체고정부; 상기 몸체고정부에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 인접하는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몸체고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축; 상기 복수의 보조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보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파쇄비트; 및 상기 파쇄몸체에서 인접하는 파쇄비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어 인접하는 파쇄비트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쇄몸체에서 상기 인접하는 지지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파쇄비트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보조축에서 멀어질수록 경사지면서 폭이 좁아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몸체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보조축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몸체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되,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기 복수의 파쇄비트는 서로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파쇄비트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단위체를 형성하여 배치되면서 단위체 별로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중심축의 상기 제 1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체들은 지지부 및 보조축이 동일 수평선상에서 일(ㅡ)자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축이 회전할 때 동일 수평선상에 있는 파쇄비트가 동시에 모두 도로에 접하고,
    상기 단위체 내에서는 상기 파쇄비트와 상기 이격부 만 반복적으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비트는 상기 보조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되, 상기 파쇄비트가 관통되는 영영은 상기 보조축의 단면의 영역에 비해 더 큼으로써, 상기 보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비트는 외곽부분에서 보조축 방향으로 함몰되고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된 함몰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쇄비트가 수직단면 상으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쇄비트가 도로 표면에 접함으로써, 도포 표면이 파쇄되고, 상기 파쇄비트는 도로 표면을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축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KR1020210097353A 2021-07-23 2021-07-23 도로 파쇄장치 KR10254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53A KR102540344B1 (ko) 2021-07-23 2021-07-23 도로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53A KR102540344B1 (ko) 2021-07-23 2021-07-23 도로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778A KR20230015778A (ko) 2023-01-31
KR102540344B1 true KR102540344B1 (ko) 2023-06-02

Family

ID=8510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353A KR102540344B1 (ko) 2021-07-23 2021-07-23 도로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3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30B1 (ko) * 2019-10-16 2020-08-03 황일규 노면파쇄기의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273B2 (ja) * 1992-12-07 1999-06-07 株式会社キンキ ハンマークラッシャー
KR20160002970U (ko) 2015-02-17 2016-08-25 최영천 도로파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30B1 (ko) * 2019-10-16 2020-08-03 황일규 노면파쇄기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778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27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ction, breaking and rubblization
US5875980A (en) Traveling rock crusher
US10550527B2 (en) Earth working roller
US5842747A (en) Apparatus for roadway surface reclaiming drum
US7387464B2 (en) Pavement trimming tool
US81524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ction, breaking and rubblization
US71440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lling paving material with increased stability, support, and power
US6033031A (en) Milling machine with vibrating mechanism and rotary drum
CN102310488A (zh) 具有磨损盘的切削工具配置
KR102540344B1 (ko) 도로 파쇄장치
US10323364B2 (en) Asphalt milling cutter arrangements
CN210738562U (zh) 一种煤矿掘进设备机械的坚固铲板结构
KR101355134B1 (ko) 굴착기의 치즐 구조장치
KR102460289B1 (ko) 도로 파쇄장치
JP4263085B2 (ja) 土木機械の破砕バケット
CN109778658B (zh) 具有可互换矩形和v形桨叶的再生滚筒
WO1989003635A1 (en) Self-propelled stone crusher
JP4018128B1 (ja) 舗装路面溝切削装置
JP2019027158A (ja) 舗装版取り壊し用バケット並びにそのバケットを用いた建設機械および舗装版取り壊し方法
US20210277612A1 (en) Gravel scarifying and levelling device with integrated roller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834798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torque from driveshafts to milling drums
CN215925579U (zh) 一种防飞溅路面破碎锤
CN109537426B (zh) 一种工地碎石路面破碎用工程机械
KR20220000510U (ko) 노면파쇄기의 파쇄 드럼용 파쇄부
JPH09291509A (ja) 掘削用エンドミルおよび掘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