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289B1 - 도로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89B1
KR102460289B1 KR1020210097349A KR20210097349A KR102460289B1 KR 102460289 B1 KR102460289 B1 KR 102460289B1 KR 1020210097349 A KR1020210097349 A KR 1020210097349A KR 20210097349 A KR20210097349 A KR 20210097349A KR 102460289 B1 KR102460289 B1 KR 10246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road
case
crush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숙
백성열
Original Assignee
리안건설 주식회사
이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안건설 주식회사, 이성숙 filed Critical 리안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7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rotary, e.g. rotary 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도로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도로 파쇄장치는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어 도로의 표면을 파쇄하는 도로 파쇄장치에 있어서,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도록 제 1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봉을 포함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상기 걸림봉 하단에 배치된 제 1케이스, 상기 걸이부와 상기 제 1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 1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부, 상기 제 1케이스에 상기 제 1방향으로 측단에 연결되는 제 2케이스,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케이스 및 상기 제 2케이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축에 따라 회전하는 축부, 상기 제 2케이스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축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도로를 파쇄하는 파쇄기, 및 상기 제 2케이스의 외측 일단에 결합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파쇄기가 도로와 접하여 도로를 파쇄할 때, 도로의 상단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 파쇄장치{ROAD CRUSHER}
본 발명은 중장비의 투입이 어려운 적은 공간의 하단에 위치하는 도로 파쇄를 쉽게 하면서도 정밀한 도로 파쇄가 가능한 도로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상부 표면에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되어 있으며, 계절의 변화에 따라 혹은 시간이 흘러 도로의 표면이 많이 손상되는 경우 이를 교체하고 새로 포장을 하기 위해 도로 파쇄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또는 도로의 하부에 매설된 상하수도 시설 등을 보수하기 위해서도 도로의 표면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포장층을 제거하는데 도로 파쇄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도로 파쇄장치의 경우 강한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구성되는 도로 표면을 파쇄하기 위해 크기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도로 파쇄장치의 일측면을 트랙터나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말단에 부분에 고정하고, 중장비를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장비가 향하는 일 방향으로만 도로표면을 파쇄하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그러나, 중앙분리대와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그 하단에 위치하는 좁은 공간에서는 종래의 장치를 이용하여 도로 표면을 파쇄하는 것이 어려웠다. 종래의 도로 파쇄장치의 경우 중장비의 직접적인 전방위치에서 중장비가 향하는 방향으로만 도로 파쇄가 가능하여 이렇게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중장비의 방향을 변경하여 도로 파쇄를 한 후 다시 중장비의 방향을 바꿔 다음 위치로 이동한 후 다시 파쇄하고자 하는 도로가 중장비의 전방을 향하도록 중장비의 방향을 바꿔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장애물이 존재하는 위치의 하단 도로를 파쇄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도로 파쇄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혹은 좁은 공간에서도 도로 표면을 쉽고 빠르게 파쇄할 수 있는 도로 파쇄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53755호(등록일자 2011.05.18.)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로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 하단에 위치하는 부분을 쉽고 빠르게 파쇄할 수 있는 도로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도로 파쇄장치를 거치하는 중장비가 방향을 바꾸지 않더라도 쉽게 파쇄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도로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도로의 표면을 파쇄함에 있어서, 보다 정교하게 파쇄를 할 수 있으면서, 도로 파쇄장치 및 이를 거치하는 중장비에 하중을 보다 적게 줄 수 있는 도로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는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어 도로의 표면을 파쇄하는 도로 파쇄장치에 있어서,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도록 제 1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봉을 포함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상기 걸림봉 하단에 배치된 제 1케이스, 상기 걸이부와 상기 제 1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 1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부, 상기 제 1케이스에 상기 제 1방향으로 측단에 연결되는 제 2케이스,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케이스 및 상기 제 2케이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축에 따라 회전하는 축부, 상기 제 2케이스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축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도로를 파쇄하는 파쇄기, 및 상기 제 2케이스의 외측 일단에 결합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파쇄기가 도로와 접하여 도로를 파쇄할 때, 도로의 상단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케이스에 연결된 제 2케이스는 제 2케이스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게 비대칭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제 2케이스의 외측 일단에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복수의 지지부;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레일 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수직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복수의 레일; 및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 측단에 모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레일의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제 2케이스는 유압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레일이 도로면에 닿을 때 상기 유압부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기는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파쇄 고정부, 상기 파쇄 고정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파쇄 지지부, 및 인접하는 상기 파쇄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파쇄 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파쇄 톱날을 포함하되, 상기 인접하는 파쇄 지지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파쇄 톱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파쇄 톱날은 파쇄 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파쇄 축과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상기 파쇄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파쇄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파쇄 톱날은 상기 파쇄 톱날 사이에 배치되고 인접하는 파쇄 톱날 사이를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복수의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파쇄 축은 상기 축부에 고정된 파쇄 고정부의 수직단면 상의 둘레를 따라 상기 파쇄 고정부를 둘러싸도록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되, 인접하는 파쇄 축에 결합된 파쇄 톱날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 톱날은 외곽부분에서 파쇄 축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복수개 이격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유압방식에 의해 회전가능하여 상기 걸이부와 상기 제 1케이스를 수평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에 의하면, 도로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 하단에 위치하는 부분을 쉽고 빠르게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도로 파쇄장치를 거치하는 중장비가 방향을 바꾸지 않더라도 쉽게 파쇄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로의 표면을 파쇄함에 있어서, 보다 정교하게 파쇄를 할 수 있으면서, 도로 파쇄장치 및 이를 거치하는 중장비에 하중을 보다 적게 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에서 제 2케이스 내측에 배치된 파쇄기를 더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를 중장비 전방에 장착한 후의 모습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를 중장비 전방에 장착한 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 중 파쇄기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 톱날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에서 제 2케이스 내측에 배치된 파쇄기를 더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는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어 도로의 표면을 파쇄하는 도로 파쇄장치에 있어서,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도록 제 1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봉을 포함하는 걸이부(100), 상기 걸이부(100)의 상기 걸림봉 하단에 배치된 제 1케이스(200), 상기 걸이부(100)와 상기 제 1케이스(200)를 연결하는 연결부(50), 상기 제 1케이스(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부(500), 상기 제 1케이스(200)에 상기 제 1방향으로 측단에 연결되는 제 2케이스(300), 상기 모터부(500)와 연결되고 상기 제 1케이스(200) 및 상기 제 2케이스(30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축에 따라 회전하는 축부(400), 상기 제 2케이스(300)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축부(40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도로를 파쇄하는 파쇄기(600), 및 상기 제 2케이스(300)의 외측 일단에 결합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파쇄기(600)가 도로와 접하여 도로를 파쇄할 때, 도로의 상단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레일(800)을 포함한다.
걸이부(100)는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도록 제 1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봉을 포함하여 중장비에 도로 파쇄장치가 결합되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케이스(200)는 걸이부(100)의 하단에 연결되며, 이들 사이에 개재된 연결부(50)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모터부(500)는 제 1케이스(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며, 이와 연결된 축부(400)에 회전력을 부여하고 결국 축부(400)에 연결된 파쇄기(600)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도로 표면을 파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중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장비의 작업자가 입력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제 2케이스(300)는 제 1케이스(200)에서 제 1방향으로 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걸림봉이 제 1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와 동일한 제 1방향으로 제 1케이스(200)와 제 2케이스(3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케이스(200)에 연결된 제 2케이스(300)는 제 2케이스(300)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게 비대칭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도로 파쇄장치는 중장비의 전면에 배치되고, 도로를 파쇄하는 부분과 이를 내측에 수용하여 도로 표면의 조각들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도 전면부로 돌출되어 배치됨으로써, 중장비가 전면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만 도로 표면을 파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파쇄기(600) 및 파쇄기(600)를 내측에 수용하는 제 2케이스(300)를 제 1방향인 측면방향으로 비대칭하도록(즉, 좌우로 길게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장비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도로 표면을 파쇄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 파쇄장치는 중앙분리대와 같은 장애물이 있는 위치 하단의 도로를 파쇄하기 위해서는 중장비의 진행경로를 모두 변경하여야 하여 많은 시간이 걸리고, 폭이 좁은 도로에서는 작업을 진행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본원 발명의 도로 파쇄장치의 경우 측면 부분으로 비대칭하게 배치된 제 2케이스(300) 내의 파쇄기(600)를 장애물 하단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도로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중장비를 이동함으로써, 도로 표면의 파쇄가 가능하여 기존과 달리 중장비의 진행방향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장애물이 위치하는 도로 표면의 파쇄가 매우 쉽게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도로 파쇄장치의 경우 이와 결합된 중장비의 전면에 파쇄장치가 배치되고, 중장비를 도로 진행방향으로 앞뒤로 이동하며 도로 표면의 파쇄를 진행하였기에 도로의 진행방향에 장애물이 배치되는(중앙분리대 하단과 같은 경우) 경우 중장비가 투입되기 어려워 어쩔 수 없이 중장비의 진행방향을 도로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전환한 후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로 표면을 파쇄하여야 하여 많은 작업시간이 걸리고 1차선과 같이, 도로 폭(도로가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이 매우 좁은 위치에서는 작업을 진행하기가 매우 난해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도로 파쇄장치의 경우 중장비와 결합되는 걸이부(100)를 기준으로 비대칭하게 한쪽 측면으로 길게 배치된 부분에 제 2케이스(300) 및 이에 결합된 파쇄기(600)를 배치함으로써,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 하단의 도로 표면으로 파쇄기(600) 부분만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중장비가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더라도 도로 표면의 파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장비의 진행방향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쉽게 장애물이 위치하는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도로 표면을 파쇄할 수 있다.
한편, 축부(400)는 모터부(500)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을 파쇄기(600) 부분으로 전달하며, 이를 위해 제 1케이스(200)를 거쳐 제 2케이스(300)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제 1케이스(200) 내의 모터부(500)의 회전력을 제 2케이스(300) 내의 파쇄기(6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일(800)은 상기 제 2케이스(300)의 외측 일단에 결합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파쇄기(600)가 도로와 접하여 도로를 파쇄할 때, 도로의 상단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레일(800)을 포함한다. 종래 중장비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도로를 파쇄하는 도로 파쇄장치의 경우 중장비 자체에 의해 지지되는 힘에 의해 도로 파쇄에 의한 힘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지지가 용이하고, 파쇄기의 위치 이탈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중장비의 측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파쇄기의 경우 측면부에서 밀리는 힘이 중장비 자체에 의해 지지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레일(800)을 배치하여 파쇄기(600)와 도로 표면간에 발생하는 힘을 일정 수준으로 지지하여 파쇄기가 정확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쇄기(600)와 다른 구성들(예를 들어, 축부(400)) 사이에 전달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보다 구제척으로, 본 발명의 파쇄기(600)에 존재하는 파쇄 톱날(620)은 중장비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로 표면을 파쇄할 수 있고, 이는 수평방향에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하는 제 2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도로 파쇄장치는 제 1방향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비대칭하게 연결된 형태이면서, 도로 표면은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파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파쇄기(600)의 전단이나 후단에는 별도의 지지하는 부분이 없어 축부(400)나 케이스(200, 300)의 힘만으로 도로 표면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여야 할 수 있다. 장기 지지레일(800)은 이와 같이 파쇄기(600)가 도로 표면과 맞닿아 전달되는 힘을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축부(400)나 케이스(200, 300)에 전달되는 많은 하중을 분산하여 파쇄기가 정확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도로 파쇄장치가 도로 파쇄에 의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일(800)은 상기 제 2케이스(300)의 외측 일단에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복수의 지지부(810),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810)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레일 축(미도시)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수직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복수의 레일(820) 및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810) 측단에 모두 연결되는 고정부(8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레일(820)은 원형의 바퀴와 같은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레일 축(미도시)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 표면에서 파쇄기(600)로 전달되는 힘을 다시 도로 표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810) 측단에 모두 연결되는 고정부(830)에 의해 이에 연결된 복수의 레일(820)은 지지레일(800)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로 표면으로 되돌릴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으로, 상기 레일(820)은 마찰력을 보다 증가시키도록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거나, 내구성 향상을 위해 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지지레일(800)의 상기 복수의 지지부(810)는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810)와 상기 제 2케이스(300)는 유압부(미도시)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레일(820)이 도로면에 닿을 때 상기 유압부(미도시)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820)에 더 많은 힘을 가하여 파쇄기(600)가 도로를 파쇄하는 과정 중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연결부(50)는 유압방식에 의해 회전가능하여 상기 걸이부(100)와 상기 제 1케이스(200)를 수평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장비에서 방향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연결부(50)를 회전함으로써, 도로 파쇄장치의 방향을 쉽게 선회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를 중장비 전방에 장착한 후의 모습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를 중장비 전방에 장착한 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7과 같이, 본 발명의 도로 파쇄장치의 경우 중장비에 결합되는 걸이부(100)를 기준으로 한쪽 측면으로 치우쳐지도록 제 2케이스를 배치하고, 제 2케이스(300) 내에 위치하는 파쇄기(600)에 제 1케이스(200)의 모터부(50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장애물이 위치하는 하단의 도로 표면을 보다 쉽게 파쇄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중앙 분리대와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측면부로 치우쳐진 파쇄기(600) 부분을 삽입하고 중장비를 도로가 진행되는 방향인 앞뒤로 이동함으로써, 쉽게 도로 표면을 파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파쇄장치 중 파쇄기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 톱날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파쇄기는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파쇄 고정부(605), 상기 파쇄 고정부(605)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파쇄 지지부(630), 및 인접하는 상기 파쇄 지지부(630)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파쇄 축(610)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파쇄 톱날(620)을 포함하되, 상기 인접하는 파쇄 지지부(630) 사이에는 복수개의 파쇄 톱날(62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파쇄 톱날(620)은 파쇄 축(610)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파쇄 축(610)과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상기 파쇄 축(610)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파쇄 고정부(705)는 파쇄기(600)를 상기 축부(400)에 연결하여 모터부(500)에서 축부(400)로 전달된 회전력을 파쇄기(600)에 전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파쇄 지지부(630)는 상기 파쇄 고정부(605)에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다. 즉, 파쇄 지지부(630)는 파쇄 고정부(60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파쇄기(600)가 전체적으로 회전할 때, 파쇄 고정부(605) 보다 큰 회전 반경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와 결합된 파쇄 톱날(620)이 도로 표면에 닿아 도로를 파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쇄 지지부(630)는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고, 파쇄 지지부(630)는 파쇄 고정부(605) 상에서 제 1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제 1방향에 수직하는 수직방향으로 상하로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파쇄 축(610)은 복수의 파쇄 톱날(620)을 결합하는 것으로, 인접하는 파쇄 지지부(630) 사이를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되, 파쇄 고정부(605)에서 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파쇄 지지부(630)는 복수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파쇄 축(610)도 복수개 형성되며, 파쇄 축(610)에는 파쇄 톱날(620)이 파쇄 측(6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기(600)가 회전할 때, 파쇄 측(610)에 결합된 복수의 파쇄 톱날(620)이 도로 표면을 파쇄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파쇄 축(610)은 상기 축부(400)에 고정된 파쇄 고정부(605)의 수직단면 상의 둘레를 따라 상기 파쇄 고정부(605)를 둘러싸도록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되, 인접하는 파쇄 축에 결합된 파쇄 톱날(620)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도로 표면을 파쇄하기 위한 비트가 회전하는 몸체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결합되고, 도로 표면과 직접 닿는 부분은 날카롭게 형성되어 몸체의 회전과 날카로운 강성에 의해 도로 표면을 깎아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도로 표면과 비트와의 서로 접합에 의한 충격이 비트와 결합되어 있는 몸체에 그대로 전달되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회전하는 파쇄기에 많은 하중을 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회전하는 축부(400)에 연결된 파쇄 고정부(605)의 고정된 형태가 아닌 파쇄 톱날(620)이 파쇄 축(610)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파쇄톱날(620)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도로 표면을 강하게 타격하여 파쇄하면서도 회전하도록 하여 도로 표면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그대로 축부(4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의 경우 회전하는 몸체에 완전히 고정되어 연결된 비트로 도로표면을 깎아내거나 파내는 방식이어서 정밀한 파쇄가 어려웠고, 도로 표면을 깎아내는 힘이 그대로 장치에 전달되어 도로 파쇄장치 전체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몸체의 회전력에 의해 도로를 따라 원치 않는 속도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즉, 도로 파쇄장치나 이와 연결된 중장비가 몸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그대로 딸려가는(끌려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파쇄톱날(620)이 도로 표면에 타격을 가해 도로 표면을 파쇄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정밀한 도로 파쇄를 할 수 있으면서, 파쇄 톱날(620)들이 자체적으로 파쇄 축(610)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도로 표면으로부터 전달된 힘을 그대로 축부(400)에 전달하지 않아 파쇄기(600)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과 같이 비대칭하게 일 측면으로 치우쳐져 중장비가 전면에서 지지되지 않는 파쇄기(600) 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 부분의 하단 도로 표면을 쉽고, 정교하게 파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 톱날(620)은 외곽부분에서 파쇄 축(610)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복수개 이격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쇄 톱날(620)이 수직단면 상으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파쇄 톱날(620)은 외곽부분에서 파쇄 축(6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함몰부나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렇게 돌출된 부분이 도로 표면을 때리면서도 파쇄 톱날(620)의 돌출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파쇄 축(6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파쇄 톱날(620)이 톱니와 같은 형상을 가짐에 의해 도로 표면에 충격을 주면서도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파쇄 지지부(6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파쇄 톱날(620)은 상기 파쇄 톱날(620) 사이에 배치되고 인접하는 파쇄 톱날(620) 사이를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복수의 간격조정부(6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정부(640)는 인접하는 파쇄 톱날(620)이 서로 접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하게 도로 표면이 파쇄되도록 할 수 있고, 도로 표면과 파쇄 톱날(620)의 접함에 의한 충격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쇄 톱날(620)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0: 연결부
100: 걸이부
200: 제 1케이스
300: 제 2케이스
400: 축부
500: 모터부
600: 파쇄기
605: 파쇄 고정부
610: 파쇄 축
620: 파쇄 톱날
630: 파쇄 지지부
640: 간격 조정부
800: 지지레일
810: 지지부
820: 레일
830: 고정부

Claims (10)

  1.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어 도로의 표면을 파쇄하는 도로 파쇄장치에 있어서,
    중장비의 전방에 장착되도록 제 1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봉을 포함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상기 걸림봉 하단에 배치된 제 1케이스;
    상기 걸이부와 상기 제 1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 1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부;
    상기 제 1케이스에 상기 제 1방향으로 측단에 연결되는 제 2케이스;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케이스 및 상기 제 2케이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축에 따라 회전하는 축부;
    상기 제 2케이스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축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도로를 파쇄하는 파쇄기;및
    상기 제 2케이스의 외측 일단에 결합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파쇄기가 도로와 접하여 도로를 파쇄할 때, 도로의 상단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제 2케이스의 외측 일단에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복수의 지지부;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레일 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수직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복수의 레일; 및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 측단에 모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일의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제 2케이스는 유압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레일이 도로면에 닿을 때 상기 유압부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케이스에 연결된 제 2케이스는 제 2케이스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게 비대칭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파쇄 고정부; 상기 파쇄 고정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파쇄 지지부; 및 인접하는 상기 파쇄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파쇄 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파쇄 톱날;을 포함하되,
    상기 인접하는 파쇄 지지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파쇄 톱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쇄 톱날은 파쇄 축에 중심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파쇄 축과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상기 파쇄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파쇄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파쇄 톱날은 상기 파쇄 톱날 사이에 배치되고 인접하는 파쇄 톱날 사이를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복수의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쇄 축은 상기 축부에 고정된 파쇄 고정부의 수직단면 상의 둘레를 따라 상기 파쇄 고정부를 둘러싸도록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되되, 인접하는 파쇄 축에 결합된 파쇄 톱날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톱날은 외곽부분에서 파쇄 축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복수개 이격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유압방식에 의해 회전가능하여 상기 걸이부와 상기 제 1케이스를 수평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파쇄장치.
KR1020210097349A 2021-07-23 2021-07-23 도로 파쇄장치 KR10246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49A KR102460289B1 (ko) 2021-07-23 2021-07-23 도로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49A KR102460289B1 (ko) 2021-07-23 2021-07-23 도로 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289B1 true KR102460289B1 (ko) 2022-10-28

Family

ID=8383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349A KR102460289B1 (ko) 2021-07-23 2021-07-23 도로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2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123A (ja) * 1992-12-07 1994-08-16 Kinki:Kk ハンマークラッシャー
JPH10325108A (ja) * 1997-03-27 1998-12-08 Yamaichi Kenki Kk 表面削取機
KR20120019593A (ko) * 2010-08-26 2012-03-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포장용 골재 노출장치
JP2015214810A (ja) * 2014-05-08 2015-12-03 ヒートロック工業株式会社 車両側方に研削体を備えた舗装路面の表面研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123A (ja) * 1992-12-07 1994-08-16 Kinki:Kk ハンマークラッシャー
JPH10325108A (ja) * 1997-03-27 1998-12-08 Yamaichi Kenki Kk 表面削取機
KR20120019593A (ko) * 2010-08-26 2012-03-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포장용 골재 노출장치
JP2015214810A (ja) * 2014-05-08 2015-12-03 ヒートロック工業株式会社 車両側方に研削体を備えた舗装路面の表面研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980A (en) Traveling rock crusher
CN205529823U (zh) 地面作业机械
EP21427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ction, breaking and rubblization
US81524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ction, breaking and rubblization
JP5624076B2 (ja) 舗装工法、回転ドラム、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および注意喚起舗装
US6033031A (en) Milling machine with vibrating mechanism and rotary drum
KR102460289B1 (ko) 도로 파쇄장치
US56649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d pulverizing steel reinforced pavement
US10233599B2 (en) Milling machine
US2015028492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n anti-slip groove on roadway by using the non-cutting technology
KR101451252B1 (ko) 바퀴형 노면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파쇄방법
EP2783048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a verge
CA1210931A (en) Mobile rotary crusher for land reclamation, open mining, rock spoils and similars
WO201602025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epairing a longitudinal joint
KR102540344B1 (ko) 도로 파쇄장치
CN202913333U (zh) 一种带移动搅拌器的路面整修机
CN206971063U (zh) 沥青路面铣刨装置
JPS60261810A (ja) 支持車両に取り付けて使用するアタツチメント装置
EP13894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velling of gravel road or corresponding non-paved ground and blade for removal of non-paved ground
CN215976705U (zh) 水泥路面加铺沥青用路面摊铺装机
RU2614847C2 (ru) Дорожная фреза с виброприводом
KR200495929Y1 (ko)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CN211972995U (zh) 一种沥青路面材料耐磨设备
CN219059712U (zh) 一种防止钻头偏移的路面破碎机
CN212223541U (zh) 一种排水沥青混凝土摊铺防离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