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929Y1 -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929Y1
KR200495929Y1 KR2020210000370U KR20210000370U KR200495929Y1 KR 200495929 Y1 KR200495929 Y1 KR 200495929Y1 KR 2020210000370 U KR2020210000370 U KR 2020210000370U KR 20210000370 U KR20210000370 U KR 20210000370U KR 200495929 Y1 KR200495929 Y1 KR 200495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rushing
unit
pavemen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963U (ko
Inventor
조병봉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플레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플레이너 filed Critical (주)코리아플레이너
Priority to KR2020210000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2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7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rotary, e.g. rotary ham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런더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파쇄부를 고정시키므로 파쇄부가 도로 포장면의 일측 끝에서부터 타측 끝까지 이송되면서 효율적인 파쇄작업이 가능하며, 고정부재로부터 파쇄부의 분리시 데크부의 후방에서 제2볼트의 고정력을 해제하여 손쉽게 분리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Road crusher}
본 고안은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런더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파쇄부를 고정시키므로 파쇄부가 도로 포장면의 일측 끝에서부터 타측 끝까지 이송되면서 효율적인 파쇄작업이 가능하며, 고정부재로부터 파쇄부의 분리시 데크부의 후방에서 제2볼트의 고정력을 해제하여 손쉽게 분리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국도, 농로, 이면도로, 주차장 등을 포장하는 방법은 해당 공법 또는 각각의 기능이나 장소에 따라 크게 아스팔트 포장면과 콘크리트 포장면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로 포장면은 외부력 작용, 노후화 등 여러가지 이유로 파손 내지 손상되기 마련이며, 이러한 이유로 파손된 도로 포장면은 신속하게 보수해 주어야 한다.
상기 파손된 도로 포장면은 파쇄장치를 이용하여 파손된 부분의 표면을 파쇄한 후, 파쇄된 도로면에 포장재를 도포하여 눌러주면서 도로의 재포장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파쇄장치를 이용하여 손상된 부분의 도로면을 파쇄할 때, 데크부에 설치된 파쇄수단이 실린더의 작동으로 좌,우로 이동하면서 파쇄비트의 회전에 의해 도로면을 파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쇄수단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고정베이스판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린더의 가장 끝단부에 고정되므로 파쇄수단의 좌,우 이동 가능한 폭이 한정되기 때문에 도로면의 가장자리 부분은 파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작업용 중장비인 로우더에 설치되는 데크부는 여러 개수의 판재를 조립한 후 용접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이 증가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5239호(2016. 03. 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9685호(2012. 02. 14.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이송안내부의 실런더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부재를 고정하고 고정부를 통해 파쇄부를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므로 파쇄부가 도로 포장면의 일측 끝에서부터 타측 끝까지 이송되면서 효율적인 파쇄작업이 가능한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손 및 손상된 도로의 포장면을 파쇄하기 위한 작업용 차량에 장착되는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차량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데크부; 상기 데크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파쇄부를 도로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송안내부; 상기 이송안내부의 실린더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데크부의 전방에 위치되며 이송안내부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면서 파쇄드럼의 회전에 의해 도로의 포장면을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를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크부는, 판형으로 형성된 가로 방향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되어 파쇄부가 고정된 고정부가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공간;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작업용 차량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플레이트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파쇄부의 상,하부에 형성된 레일홈과 결합되는 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안내부는 로드와 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가 플레이트 일측의 고정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에 의해 파쇄부와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몸체부와 돌출부 및 스토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실린더에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몸체부에서 파쇄부 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브라켓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는 몸체부와 돌출부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의 결합시 측면고정편의 단부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을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볼트 및 너트; 상기 고정브라켓을 파쇄부의 고정면에 고정시키는 제2볼트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전면고정편과 측면고정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고정편의 하단부는 고정부재의 돌출부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면고정편의 상단부는 제2볼트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돌출부의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볼트는 데크부의 후방에서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전면고정편과 고정면으로 체결되어 파쇄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에 의하면, 실런더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파쇄부를 고정시키므로 파쇄부가 도로 포장면의 일측 끝에서부터 타측 끝까지 이송되면서 효율적인 파쇄작업이 가능하며, 고정부재로부터 파쇄부의 분리시 데크부의 후방에서 제2볼트의 고정력을 해제하여 손쉽게 분리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파쇄장치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부재와 고정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와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데크부가 고정부재와 고정부에 의해 파쇄부에 고정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파쇄장치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도로 포장면의 좌,우로 이송되면서 포장면을 파쇄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파쇄장치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부재와 고정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와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데크부가 고정부재와 고정부에 의해 파쇄부에 고정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파쇄장치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도로 포장면의 좌,우로 이송되면서 포장면을 파쇄하는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는 파손 및 손상된 도로의 재포장을 위하여 작업용 차량(10)에 장착되어 도로의 포장면을 파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고안으로, 데크부(100), 이송안내부(200), 고정부재(300), 파쇄부(400), 고정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부(100)는 도로의 폭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로우더와 같은 작업용 차량(10)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데크부(100)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110)로 형성되어 제조단가 절감 및 부품의 무게를 줄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플레이트(110)의 중앙부는 폭 방향으로 이동공간(120)이 관통형성되어 실린더(220)에 고정된 고정부재(30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110)의 후방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착부(1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130)는 작업용 차량(10)의 선단부에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110)의 상,하부에는 레일(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140)은 플레이트(110)와 인접하는 파쇄부(400)에 형성되는 레일홈(430)이 결합된다.
상기 레일(140)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1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안내부(200)는 데크부(100)에 설치되어 파쇄부(400)를 도로의 폭방향인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이송안내부(200)는 로드(210)와 실린더(220)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210)가 플레이트(110) 일측의 고정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220)는 고정부재(300)와 고정부(500)에 의해 파쇄부(400)와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이송안내부(200)의 실린더(220)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몸체부(310)와 돌출부(320) 및 스토퍼(3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10)는 실린더(220)에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0)는 실린더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도로 폭 및 작업 여건에 따라 몸체부(310)의 간격 및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도 있다.
상기 돌출부(320)는 몸체부(310)의 전방 즉, 파쇄부(400) 측으로 돌출된 부분이며, 몸체부(310)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330)는 몸체부(310)와 돌출부(320)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고정브라켓(510)이 고정부재(300)로 결합시 측면고정편(512)의 단부가 밀착되어 고정브라켓(510)과 고정부재(30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파쇄부(400)는 데크부(100)의 전방에 위치되어 이송안내부(200)의 작동에 의해 도로의 폭방향인 좌,우로 이송되면서 파쇄드럼(420)의 회전에 의해 도로 포장면의 포장을 파쇄하게 된다.
상기 파쇄부(400)는 내부에 파쇄드럼(420)이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가 구비되고, 케이스 본체의 후방 즉, 데크부(100)와 인접되는 면에는 고정면(41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면(410)의 상,하부에는 도로의 폭 방향인 가로 방향으로 'ㄷ'자 형상의 레임홈(43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는 파쇄부(400)를 고정부재(3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고정부(500)는 고정브라켓(510), 제1볼트(520) 및 너트(521), 제2볼트(5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510)은 고정부재(300)의 돌출부(320)에 고정되는 것으로, 평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10)은 돌출부(320)의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고정편(511), 돌출부(320)의 측면과 스토퍼(330)의 수직면에 위치되는 측면고정편(5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고정편(511)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하단부는 고정부재(300)의 돌출부(320) 전면에 밀착되고, 상단부는 돌출부(320)의 상부로 연장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320)의 상부로 전면고정편(511)이 연장되는 이유는, 상기 고정부재(300)에 파쇄부(400)를 고정시 제2볼트(53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볼트(530)는 파쇄부(400)의 타측인 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이동공간(120)을 통해 전면고정편(511)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파쇄부(400)의 고정면(410)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고정편(512)은 돌출부(320)의 양측면에 위치하게 되며, 측면고정편(512)의 단부는 스토퍼(330)에 밀착되거나 근접되게 위치되어 고정브라켓(51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며, 측면고정편(512)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제1볼트(520)와 너트(521)가 체결되어 고정브라켓(510)을 고정부재(300)에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은 본 고안인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의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용 차량(10)을 운전하여 손상 또는 파손된 도로의 포장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데크부(100)의 전방에 고정된 파쇄부(400)는 플레이트(110)의 중앙부가 아닌 일측에 위치된 최초의 상태가 된다.
작업자가 작업용 차량(10)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이송안내부(200)의 실린더(220) 내부로 작동유가 공급되어 로드(210)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파쇄부(400)는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레일(140)을 따라 도로 포장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파쇄부(400)가 포장면의 일측에서 타측로 이송하면서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파쇄드럼(420)이 손상 또는 파손된 도로 포장면을 파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패쇄부(4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가 실린더(22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쇄부(400)가 도로 포장면의 일측 끝에서부터 타측 끝까지 이송되면서 효율적인 파쇄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22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하게 되면, 도로 포장면에서 파쇄부(400)의 좌,우 이송 폭을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쇄부(400)는 고정면(41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10)의 전면고정편(511)과 측면고정편(512)이 고정부재(300)의 돌출부(320) 전면과 측면에 위치되어 고정되므로 고정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쇄작업을 연속으로 수행하더라도 파쇄부(400)와 고정부재(300)의 고정력이 유지되어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로 포장면의 파쇄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용 차량에서 파쇄장치를 분리하게 되며, 작업용 차량(10)의 선단부와 장착부(130)를 고정하고 있던 고정볼트를 해체하여 파쇄장치와 작업용 차량(10)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파쇄장치의 파쇄드럼(420)을 수리하거나 파쇄드럼(420)에 장착되는 다수의 파쇄팁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파쇄부(400)와 데크부(100)를 분리해야 하며, 파쇄부(400)의 타측인 데크부(100)의 후방에서 이동공간(120)을 통해 제2볼트(530)의 고정력을 해재하게 되면 파쇄부(400)가 고정브라켓(510)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이동공간(120)을 통해 데크부(100)의 후방에서 파쇄부(400)를 데크부(10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 및 변형 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데크부 110: 플레이트
120: 이동공간 130: 장착부
140: 레일
200: 이송안내부 210: 로드
220: 실린더
300: 고정부재 310: 몸체부
320: 돌출부 330: 스토퍼
400: 파쇄부 410: 고정면
420: 파쇄드럼 430: 레일홈
500: 고정부 510: 고정브라켓
520: 제1볼트 530: 제2볼트

Claims (5)

  1. 파손 및 손상된 도로의 포장면을 파쇄하기 위한 작업용 차량(10)에 장착되는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차량(10)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데크부(100);
    로드(210)와 실린더(220)로 구성되고, 상기 데크부(100)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파쇄부(400)를 도로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송안내부(200);
    상기 이송안내부(200)의 실린더(220)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00);
    상기 데크부(100)의 전방에 위치되며 이송안내부(200)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면서 파쇄드럼(420)의 회전에 의해 도로의 포장면을 파쇄하는 파쇄부(400);
    상기 파쇄부(400)를 고정부재(3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00)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안내부(200)의 상기 로드(210)는 플레이트(110) 일측의 고정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220)는 고정부재(300)와 고정부(500)에 의해 파쇄부(400)와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300)는 몸체부(310)와 돌출부(320) 및 스토퍼(33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10)는 실린더(220)에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20)는 몸체부(310)에서 파쇄부(400) 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브라켓(510)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330)는 몸체부(310)와 돌출부(320)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510)의 결합시 측면고정편(512)의 단부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100)는,
    판형으로 형성된 가로 방향의 플레이트(110);
    상기 플레이트(110)에 관통형성되어 파쇄부(400)가 고정된 고정부(500)가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공간(120);
    상기 플레이트(110)의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작업용 차량(10)에 장착되는 장착부(130);
    상기 플레이트(110)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파쇄부(400)의 상,하부에 형성된 레일홈(430)과 결합되는 레일(1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510);
    상기 고정브라켓(510)을 고정부재(300)에 고정시키는 제1볼트(520) 및 너트(521);
    상기 고정브라켓(510)을 파쇄부(400)의 고정면(410)에 고정시키는 제2볼트(5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510)은 전면고정편(511)과 측면고정편(5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고정편(511)의 하단부는 고정부재(300)의 돌출부(320)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면고정편(511)의 상단부는 제2볼트(53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돌출부(320)의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볼트(530)는 데크부(100)의 후방에서 이동공간(120)을 통과하여 전면고정편(511)과 고정면(410)으로 체결되어 파쇄부(4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KR2020210000370U 2021-02-04 2021-02-04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KR200495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70U KR200495929Y1 (ko) 2021-02-04 2021-02-04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70U KR200495929Y1 (ko) 2021-02-04 2021-02-04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63U KR20220001963U (ko) 2022-08-11
KR200495929Y1 true KR200495929Y1 (ko) 2022-09-23

Family

ID=8280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70U KR200495929Y1 (ko) 2021-02-04 2021-02-04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2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1370A (ja) * 2006-11-15 2008-05-29 Tategasaki Kensetsu:Kk アスファルト面取装置のグラインダ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85B1 (ko) 2011-03-11 2012-02-14 의왕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파쇄 장치 및 방법
KR101605239B1 (ko) 2014-03-21 2016-03-21 김관국 정화장치가 구비된 도로파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1370A (ja) * 2006-11-15 2008-05-29 Tategasaki Kensetsu:Kk アスファルト面取装置のグライン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63U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1604B2 (en) Scraper blade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and method
US7810888B2 (en) Portable rock crusher and scarifier
US7201536B1 (en) Road patching equipment
JP4106183B2 (ja) 地表面、特に車道の粉砕装置
DE19726122C2 (de) Vorrichtung zum Abfräsen von Bodenbelägen, insbesondere Fahrbahnen
US10704216B2 (en) Sweeping machine with material presentation system
KR101626257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AU2013230915A1 (en) Cold planer anti-slabbing mechanism
CN208219382U (zh) 道路破碎装置
US7357595B1 (en) Pavement removal machine
KR200495929Y1 (ko) 도로 포장면 파쇄장치
US4815542A (en) Ground leveling attachment for box-scraper
US6655870B1 (en) Narrow gauge road paving apparatus
US5484229A (en) Road repairing system and apparatus
US6883436B2 (en) Template door and wing assembly with break-away feature for rail ballast regulator
KR102240094B1 (ko) 가드레일 보강장치
US10233599B2 (en) Milling machine
US4309126A (en) Machine for separating concrete from steel
KR101451252B1 (ko) 바퀴형 노면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파쇄방법
KR101456200B1 (ko)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KR101843979B1 (ko) 기존도로 또는 도로진입 토공과의 접속을 위한 가설교량의 범용적 가변 거더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KR20070075396A (ko) 신축이음장치
US10633809B2 (en) Adjustable-width modular broom assembly for sweeping machine
KR102329658B1 (ko) 이동식 도로 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RU2316627C2 (ru) Держатель ножа для снегоубор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