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926B1 -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926B1
KR102539926B1 KR1020177034264A KR20177034264A KR102539926B1 KR 102539926 B1 KR102539926 B1 KR 102539926B1 KR 1020177034264 A KR1020177034264 A KR 1020177034264A KR 20177034264 A KR20177034264 A KR 20177034264A KR 102539926 B1 KR102539926 B1 KR 10253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waist
region
panel
di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896A (ko
Inventor
슌스케 다키노
šœ스케 다키노
히데아키 마키
가츠후미 아오키
다쿠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61F13/4906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the diaper having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diaper waist region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부위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풀 온 타입의 기저귀를 일례로 하는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10)에 있어서의 앞뒤 허리 영역(11, 12) 중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이 피부 대향면의 일부를 형성하여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탄성 밴드부를 갖는다. 탄성 밴드부는 가로 방향의 중앙 부분이 탄성적으로 수축하는 것이며, 중앙 부분의 탄성적 수축량은 중앙 부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에 접합하는 일없이 대향하고 있는 부분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적 수축량보다 크다.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에 있어서의 체액 흡수성의 코어재에는, 탄성 밴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어, 착용 물품에 돌출부(100a)가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본 개시는 일회용 기저귀를 일례로 하는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를 일례로 하는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으로서, 앞 허리 영역과 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체액 흡수성 패널이 상기 크로치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연장되고, 탄성 부재를 수축시킴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 및 크로치 영역 중 어느 한쪽을 외측을 향하여 만곡시키는 착용 물품은,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의 본체는, 허리부와 크로치부를 갖는 세로로 긴 것이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부분에는 탄성 부재가 부착된 입체 가드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는 입체 가드의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컵형으로 만곡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88016호 공보
입체 가드를 사용하여 흡수성 물품의 본체를 만곡시키는 종래 기술에서는, 입체 가드가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는 한편, 본체의 전체는 컵형으로 만곡하여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본체는, 컵으로서의 형상이 일정한 것이 되기 어렵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착용 물품은 부피가 큰 것으로 보여,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하는 일도 있다. 컵 형상이 된 본체의 내측에서는, 배설물이 유동하여, 착용자의 피부를 넓은 범위에 있어서 더럽힌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이 과제로 하면 바는, 일회용 기저귀를 일례로 하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있어서의 앞뒤 허리 영역과 크로치 영역 중 특정 부위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여, 착용 물품의 내측에 배설물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개량된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의 제공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 상태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가지고, 앞 허리 패널과 뒤 허리 패널과 크로치 패널에 의해 형성되고, 앞 허리 영역과 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 각 영역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피부 대향면과, 착의와 대향하는 착의 대향면을 가지고, 상기 크로치 패널에 있어서의 체액 흡수성의 코어재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은,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이, 상기 피부 대향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하는 탄성 밴드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부의 상기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탄성적 수축량은, 상기 중앙 부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이 중앙 부분에 접합하는 일없이 대향하고 있는 부위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탄성적 수축량보다 크고,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재에는, 상기 탄성 밴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코어재의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만곡을 쉽게 하는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하고, 상기 양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채택할 수 있다.
(1) 상기 탄성 밴드부는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부분이 접합 상태에 있으며, 상기 중앙 부분의 적어도 하방 부위가 비접합의 상태에 있는 탄성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2)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은, 상기 착의 대향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와, 상기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와, 상기 외면 시트와 상기 내면 시트의 사이에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는 탄성체를 가지고 있다.
(3)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에는, 상기 중앙 부분과 대향하는 부위에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4)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은, 이 허리 영역의 꼭대기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한 허리 탄성 영역을 가지고, 이 허리 탄성 영역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Z자형의 절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접어 포개어져 있고, 상기 Z자형의 절첩부에서는,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접어 포개어진 상태로 서로 접합하는 한편, 상기 양측 사이의 부분이 비접합 상태에 있으며, 상기 허리 탄성 영역의 일부분이 상기 탄성 밴드부를 형성하고 있다.
(5) 상기 변형 유도부가 상기 기저귀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탄성 밴드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
(6) 상기 변형 유도부가 상기 기저귀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탄성 밴드부와 중첩되는 일이 없는 위치에 있다.
(7) 상기 탄성 밴드부가 탄성사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이 부직포가 상기 탄성 밴드부의 적어도 상기 중앙 부분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다.
(8) 상기 탄성 밴드부는 신장 상태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실형 및 띠형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가 부착된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9)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에는, 신장 상태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실형 및 띠형 중 어느 하나인 복수개의 탄성체가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병렬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에는, 상기 기저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에 대향하는 내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10)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 중에, 상기 상하 방향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1줄의 상기 탄성체의 상기 내단부와 상기 세로 중심선이 이격하는 치수는, 상기 적어도 1줄의 상기 탄성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내단부와 상기 세로 중심선이 이격하는 치수보다 작다.
(11) 상기 변형 유도부는 상기 크로치 패널의 상기 코어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줄의 슬릿 및 홈부 중 어느 하나이다.
(12) 상기 슬릿은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것과, 상기 세로 중심선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있다.
(13) 상기 슬릿은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상기 코어재의 전단 가장자리와 상기 착용 물품의 가로 중심선의 사이 및 상기 코어재의 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가로 중심선의 사이 중 적어도 한쪽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14) 상기 코어재에서는,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변형 유도부에 인접하는 부위와 상기 변형 유도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두께 및 밀도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서는, 탄성 밴드부가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하면, 앞뒤 허리 영역의 적어도 한쪽은,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코어재와 함께 착용 물품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하고, 그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착용자의 피부의 사이에는, 배설물이 유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형태는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에 더하여, 선택적 또는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인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고, (b)는 그 기저귀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저귀의 시임부를 박리하여, 각 탄성체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켜 얻어지는 신전 상태의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도 3은 신전 상태의 기저귀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앞 허리 패널의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V-V선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a)에 나타낸 부분이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뒤 허리 패널의 부분 파단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도 6의 VII-VII선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a)에 나타낸 부분이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3과 같은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같은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의 배면도이고, (b)는 그 기저귀가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배면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0의 (a)에 있어서의 XIa-XIa선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도 10의 (b)에 있어서의 XIb-XIb선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b)의 XII-XII선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기의 각 실시형태는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구성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의 일례인 풀 온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기저귀(10)의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단,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착용자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과, 세로 방향(Y)에 교차하는 가로 방향(X)과, 가로 방향(X)의 치수를 2등분하여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세로 중심선(P)을 가지고, 세로 중심선(P)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로 방향(Y)은 상하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기저귀(10)는 앞 허리 영역(11)을 형성하는 앞 허리 패널(20)과, 뒤 허리 영역(12)을 형성하는 뒤 허리 패널(30)과, 크로치 영역(13)을 형성하는 크로치 패널(40)를 포함한다. 앞뒤 허리 패널(20, 30)은, 양측 가장자리부끼리가 시임부(14)에 있어서 접합하여, 허리 개구(15)를 획정하고 있다. 크로치 패널(40)은 앞뒤 허리 패널(20, 30)에 접합하여 앞뒤 허리 패널(20, 30)과 함께 한쌍의 다리 개구(16)를 획정하고 있다. 앞뒤 허리 패널(20, 30)과 크로치 패널(40)은,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후기하는 피부 대향면(SS)(도 2 참조)과, 착의에 대한 착의 대향면(CS)을 갖는다. 착의 대향면(CS)에는 다수의 개더(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풀 온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10)란, 허리 개구(15) 및 다리 개구(16)를 가지고, 기저귀(10)를 착용할 때에, 양다리를 다리 개구(16)에 삽입하고 나서 기저귀(10)를 허리까지 끌어올려 착용하는 것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기저귀(10)는 팬츠형 기저귀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도 1의 (a)의 기저귀(10)의 앞 허리 패널(20)에는, 세로 중심선(P) 상에 기저귀(10)의 외측을 향하여 부풀어 오른 돌출부(10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b)의 뒤 허리 패널(30)에도 또한, 기저귀(10)의 외측을 향한 돌출부(100b)(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100a, 100b)에 대한 설명은 후기와 같다.
도 2, 3은 시임부(14)에 있어서의 앞뒤 허리 패널(20, 30)의 접합을 풀어, 기저귀(10)를, 그것에 형성되어 있던 개더(5)가 소실되는 곳까지 평면적으로 신전 시켜 얻어지는 신전 상태의 기저귀(10)의 부분 파단 평면도와, 신전 상태의 기저귀(10)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면에 있어서의 쌍두 화살표(Y)는 도 1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2, 3에 있어서, 앞뒤 허리 패널(20, 30)은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20A, 30A)와, 하단 가장자리(20A, 30A)와 대향하여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상단 가장자리(20B, 30B)와, 하단 가장자리(20A)와 상단 가장자리(20B)의 사이 및 하단 가장자리(30A)와 상단 가장자리(30B)의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20C)와 양측 가장자리(30C)를 갖는다. 상단 가장자리(20B, 30B)의 각각은, 앞뒤 허리 패널(20, 30) 각각의 꼭대기 가장자리이다. 앞 허리 패널(20)의 양측 가장자리(20C)의 각각을 따르는 부분과 뒤 허리 패널(30)의 양측 가장자리(30C)의 각각을 따르는 부분은, 도 1에 있어서 중합되어, 세로 방향(Y)으로 단속하는 시임부(14)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기저귀(10)의 양측부가 되고, 허리 개구(15)가 획정되어 있다. 앞 허리 패널(20)의 하단 가장자리(20A)와 뒤 허리 패널(30)의 하단 가장자리(30A) 사이에는, 크로치 패널(40)이 연장되어 있다.
앞 허리 패널(20)은 앞 허리 영역(11)의 착의 대향면(CS)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21)와, 피부 대향면(SS)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22)를 포함한다. 외면 시트(21)와 내면 시트(22)의 사이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실형 또는 띠형의 복수개의 앞 허리 탄성체(24)가 신장 상태로 개재되어, 앞 허리 패널(20)의 상단 가장자리(20B)를 따르는 부분에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한 앞 허리 탄성 영역(25)을 형성하고 있다. 앞 허리 패널(20)에서는 또한, 내측 탄성 시트(44)가 내면 시트(22)의 일부분을 덮으며, 크로치 패널(40)을 횡단하여 양시임부(14)를 향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시임부(14)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내측 탄성 시트(44)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적어도 중앙 부분(44b)(도 4 참조)이 기저귀(10)의 앞 허리 영역(11)에 있어서의 탄성 밴드부(1a)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 밴드부(1a)는, 탄성 밴드부(1a)에 있으며 크로치 패널(40)에 있어서의 적어도 후기하는 흡수체(42)를 횡단하는 부분이 크로치 패널(40)에 대하여 비접합의 상태에 있고, 가로 방향(X)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하다.
뒤 허리 패널(30)은, 뒤 허리 영역(12)의 착의 대향면(CS)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31)와, 피부 대향면(SS)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32)를 포함한다. 외면 시트(31)와 내면 시트(32)의 사이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실형 또는 띠형의 복수개의 뒤 허리 탄성체(34)가 신장 상태로 개재되어, 뒤 허리 패널(30)의 상단 가장자리(30B)를 따르는 부분에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한 뒤 허리 탄성 영역(35)을 형성하고 있다. 뒤 허리 패널(30)에서는 또한, 기저귀(10)의 내측에 있어서 내면 시트(32)의 일부분을 덮고 있으며 양시임부(14)를 향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시임부(14)까지 연장되는 내측 탄성 시트(55)가 기저귀(10)의 뒤 허리 영역(12)에 있어서의 탄성 밴드부(1b)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 밴드부(1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밴드부의 일례로서, 그와 같은 탄성 밴드부(1b)로서의 내측 탄성 시트(55)는,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55b) 중 적어도 하방 부위(55c)가 내측 탄성 시트(55)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하방 부위(55c)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비접합의 상태에 있고, 가로 방향(X)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하다.
크로치 패널(40)은 전단 가장자리(40A)와, 후단 가장자리(40B)와, 전후단 가장자리(40A, 40B) 사이에 위치하는 양측 가장자리(40C)를 갖는다. 크로치 패널(40)에서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 예컨대 액체 투과성의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피부 대향면(SS)을 형성하는 톱 시트(41a)와, 착의 대향면(CS)을 형성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 또는 액체 난투과성을 갖는 백 시트(41b)(도 1, 도 5의 (a), (b) 참조)의 사이에, 체액 흡수성의 흡수체(42)를 가지고, 흡수체(42)와 백 시트(41b)의 사이에는 플라스틱 필름제의 샘 방지 시트(43)(도 5 참조)가 개재되어 있다.
흡수체(42)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42A) 및 후단 가장자리(42B)와, 전후단 가장자리(42A, 42B) 사이에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42C)를 갖는다. 흡수체(42)는 예컨대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로 형성되는 코어재(46a)와, 코어재(46a)를 피복하는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로 형성된 액체 투과성의 랩핑 시트(46b)를 포함한다. 코어재(46a)의 양측 가장자리(46c)는 세로 중심선(P)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크로치 패널(40)에 있어서의 백 시트(41b)는, 흡수체(42)의 양측 가장자리(42C)로부터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45)을 갖는다. 양측 부분(45)은 샘 방지 시트(43)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절곡 라인(60)에 있어서 세로 중심선(P)의 측으로 절곡되어 중합되고, 상하 방향(Y)의 단부(51)에 있어서 중합되는 부분끼리가 예컨대 핫 멜트 접착제(HA2)(도 6 참조)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백 시트(41b)는 앞 허리 패널(20)과 뒤 허리 패널(30)에 대하여, 서로 중합되는 부분이 예컨대 핫 멜트 접착제(HA3)(도 6 참조)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양측 부분(45)은 또한, 다리 둘레 플랩(45a)과 배리어 커프(48)를 형성하고 있다(도 1을 더불어 참조). 다리 둘레 플랩(45a)은 세로 방향(Y)으로 신장된 다리 탄성체(49a)를 가지고, 배리어 커프(48)는 세로 방향(Y)으로 신장된 커프 탄성체(49b)를 갖는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앞 허리 패널(20)과, 그것에 중첩되는 크로치 패널(40)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앞 허리 패널(20)은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앞 허리 탄성체(24)와, 앞 허리 탄성체(24)의 하방에 있으며, 하단 가장자리(20A)를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보조 탄성체(24A)와, 앞 허리 탄성체(24)와 제1 보조 탄성체(24A)의 사이에 위치하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2 보조 탄성체(24B)를 포함한다. 앞 허리 탄성체(24), 제1 보조 탄성체(24A), 제2 보조 탄성체(24B)는, 실형 또는 띠형의 탄성체이다.
앞 허리 패널(20)에서는, 복수개의 앞 허리 탄성체(24)가 크로치 패널(40)의 전단 가장자리(40A)보다 상방에 있으며, 이들 앞 허리 탄성체(24)에 의해, 상단 가장자리(20B)를 따라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앞 허리 탄성 영역(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조 탄성체(24A)는 코어재(46a)를 횡단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 앞 허리 패널(20)의 양측부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보조 탄성 영역(27)을 형성하고 있다. 제2 보조 탄성체(24B)는 신장 상태로 양시임부(14)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제2 보조 탄성 영역(28)을 형성하고 있다. 제1 보조 탄성 영역(27)은 크로치 패널(40)에 있어서의 흡수체(42)를 통해 가로 방향(X)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한쌍의 것으로서 형성되는 탄성 영역으로서, 가로 방향(X)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하다. 한쌍의 제1 보조 탄성 영역(27) 사이에는, 탄성적으로 수축하는 일이 없는 비탄성 영역(29)(도 3을 더불어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조 탄성 영역(28)은 앞 허리 탄성 영역(25)과 제1 보조 탄성 영역(27)의 사이에 있으며, 크로치 패널(40)과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2 보조 탄성체(24B)가 수축하면, 제2 보조 탄성 영역(28)과, 제2 보조 탄성 영역(28)에 중첩되어 있는 부분의 크로치 패널(40)이 가로 방향(X)으로 수축한다. 앞 허리 탄성 영역(25)과 제1 보조 탄성 영역(27)과 제2 보조 탄성 영역(28)의 수축에 의해, 앞 허리 패널(20)에는 다수의 개더(5)(도 1 참조)가 형성된다.
앞 허리 탄성체(24)로서는, 예컨대, 310∼620 dtex를 갖는 스판덱스를 신장 배율이 2.2∼2.9배가 되도록 신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보조 탄성체(24A)로서는, 310∼620 dtex를 갖는 스판덱스를 신장 배율이 2.7∼3.7배가 되도록 신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보조 탄성체(24B)로서는, 310∼620 dtex를 갖는 스판덱스를 신장 배율이 2.2∼2.9배가 되도록 신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의, 내측 탄성 시트(44)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양측 부분(44a)이, 앞 허리 패널(20)의 내면 시트(22) 및 크로치 패널(40)의 양측 부분(52a)에 대하여 핫 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내측 탄성 시트(44)에 실시되어 있는 사선(49)은, 그와 같이 접합되어 있는 부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내측 탄성 시트(44)는 적어도 중앙 부분(44b)이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으며, 탄성적으로 수축할 때에는, 앞 허리 패널(20)과 크로치 패널(40)과 돌출부(100a)(도 1 및 후기의 도 5 참조)를 형성시키는 탄성 밴드부(1a)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내측 탄성 시트(44)의 중앙 부분(44b)은 내측 탄성 시트(4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44b)과 비접합 상태로 대향하고 있는 부위와 비교하면, 중앙 부분(44b)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탄성적 수축량이, 대향하고 있는 부위의 가로 방향(X)의 탄성적 수축량보다 크다. 도시예에 있어서, 그 대향하고 있는 부위에는 앞 허리 패널(20)과 크로치 패널(40)이 포함되어 있다. 기저귀(10)가 영유아용의 것인 경우의 일례에 있어서, 중앙 부분(44b)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50∼100 ㎜의 범위에 있을 때에, 탄성적으로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4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44b)의 가로 방향(X)의 치수와, 중앙 부분(44b)에 대향하고 있는 부위의 가로 방향(X)의 치수의 차는 15∼3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00a)는 수축량의 이러한 차와 후기하는 변형 유도부(81)의 존재에 의해 형성된다.
내측 탄성 시트(44)는 우레탄 탄성사 등의 탄성사를 포함함으로써 탄성적인 신장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는 부직포나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탄성체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 탄성적으로 신장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는 부직포에 의해 만들 수 있다. 도면에서는, 탄성사를 포함하는 경우의 내측 탄성 시트(44)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또한, 흡수체(42)의 코어재(46a)에, 전단 가장자리(46d)로부터 크로치 영역(13)을 향하여 연장되는 변형 유도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의 변형 유도부(81)는, 코어재(46a)를 관통하고 있는 슬릿으로서, 신전 상태의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앞 허리 패널(20)의 비탄성 영역(29)과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 도시예의 변형 유도부(81)는, 세로 중심선(P)에 일치하여 연장되는 중앙 변형 유도부(81a)와, 중앙 변형 유도부(81a)의 가로 방향(X)의 양측 각각에 위치하는 사이드 변형 유도부(81b, 8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변형 유도부(81)는 상단(87a)이 코어재(46a)의 전단 가장자리(46d)에 있으며, 그 하단(86a)이 앞 허리 패널(20)의 하단 가장자리(20A)를 넘고 있다. 단, 하단(86a)은 신전 상태의 기저귀(10)의 상하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도 2 참조)에 닿을 정도까지 연장되는 일은 없다. 바꾸어 말하면, 변형 유도부(81)는 그 하단(86a)이 가로 중심선(Q)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도 1에 있어서의 크로치 영역(13)의 최하부에는, 도 4에 예시된 변형 유도부(81)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8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기저귀(10)에 의하면, 앞 허리 패널(20)은 앞 허리 패널(20)의 피부 대향면(SS)의 일부를 덮어 가로 방향(X)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내측 탄성 시트(44)를 가지고, 내측 탄성 시트(44)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양측 부분(44a)이 사이드 변형 유도부(81b, 81b) 각각의 외측에 있어서, 크로치 패널(40)의 양측 부분(52a)과 앞 허리 패널(20)의 양측 부분(23)에 대하여 접합되는 한편, 양측 부분(44a) 사이에 위치하며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한 중앙 부분(44b)이, 크로치 패널(40)에 중첩되고는 있지만, 사이드 변형 유도부 81b와 81b와의 사이에 있어서는 크로치 패널(40)에 대해서는 비접합의 상태에 있으며, 앞 허리 패널(20)과 크로치 패널(40)과 돌출부(100a)를 형성시키는 탄성 밴드부(1a)로서 기능한다.
도 5에 있어서, (a)는 도 4에 있어서의 V-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b)는 기저귀(10)가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a)에 나타낸 부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도 5의 (b)의 도면은 도 1의 (a)에 있어서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도 5의 (a)에 있어서, 앞 허리 패널(20)에 중첩되고 있는 크로치 패널(40)은 그 상방 부분에, 변형 유도부(81)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탄성 밴드부(1a)인 내측 탄성 시트(44)가 가로 방향(X)으로 수축하면, 변형 유도부(81)에 중첩되어 있는 부분의 앞 허리 패널(20)과 함께, 사이드 변형 유도부 81b와 81b와의 사이의 부분이 기저귀(1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호를 그리도록 만곡하여, 라운딩이 있는 돌출부(100a)를 형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착용자가 선 자세에서 앉은 자세로 변화하여, 복부가 전방으로 돌출할 때에는, 기저귀(10)가 돌출부(100a)를 형성하기 때문에, 복부는 압박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돌출부(100a)에서는, 앞 허리 패널(20)과 그것에 중첩되는 크로치 패널(40)이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떨어지도록 볼록하게 변형하는 한편, 내측 탄성 시트(44)가 피부(S)에 밀착하여 피부(S)와 크로치 패널(40) 사이에는, 배설물을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간(59a)이 형성된다(도 5의 (b) 참조).
도 5의 (b)에 예시과 같이, 돌출부(100a)는 크로치 패널(40) 중에서도 변형 유도부(81)가 존재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착용자마다 내측 탄성 시트(44)의 수축량은 거의 일정해지기 때문에, 착용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돌출부(100a)의 위치와 크기 및 기저귀(10)의 외관은 일정한 것이 된다. 돌출부(100a)에 인접하고 있는 앞 허리 패널(20)의 양측 부분(23)(도 4를 더불어 참조)과 크로치 패널(40)의 양측 부분(45)은, 내측 탄성 시트(44)의 양측 부분(44a)과 일체가 되어, 착용자의 피부(S)(도 5 참조)에 밀착한다. 따라서, 기저귀(10)의 외관은, 그 전체가 부풀어 오른 느낌의 것이 되는 일이 없고, 또한 공간(59a)에 수용된 배설물이 가로 방향(X)으로 퍼진다고 하는 일도 없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크로치 패널(40) 중 일부분과 뒤 허리 패널(30)의 확대도이다. 도 6에 있어서의 뒤 허리 패널(30)에서는, 뒤 허리 탄성체(34)가, 허리 개구(15)의 주연부(15a)와 크로치 패널(40)의 후단 가장자리(4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주연부(15a)를 따라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뒤 허리 탄성 영역(35)을 형성하고 있다. 뒤 허리 패널(30)에서는 또한, 뒤 허리 탄성체(34)의 하방에, 복수개의 제1 보조 탄성체(34A)와 복수개의 제2 보조 탄성체(34B)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보조 탄성체(34A, 34B)는 뒤 허리 패널(30)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흡수체(42)를 횡단하는 일이 없는 것이며, 흡수체(42)를 사이에 두고 가로 방향(X)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쌍의 보조 탄성 영역(37)을 형성하고 있다. 보조 탄성 영역(37)끼리의 사이에는, 신장 상태에 있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일이 없는 비탄성 영역(39)(도 3을 더불어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 보조 탄성체(34A, 34B)의 각각은, 세로 중심선(P)에 대향하는 내단부(36A, 36B)를 갖는다. 세로 중심선(P)으로부터 내단부(36A)까지의 치수(D1)는, 세로 중심선(P)으로부터 내단부(36B)까지의 치수(D2)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로 방향(X)에 있어서 대향하는 내단부(36A)끼리의 간격, 즉 D1의 2배의 치수는, 내단부(36B)끼리의 간격, 즉 D2의 2배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내측 탄성 시트(55)는, 우레탄 탄성사 등의 탄성사를 포함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신축할 수 있는 부직포나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탄성체가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탄성적으로 신축할 수 있는 부직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일부분이 뒤 허리 탄성 영역(35)과 중첩된 상태에 있으며,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양측 부분(55a)이, 내면 시트(32)와 크로치 패널(40)의 양측 부분(45)에 대하여 예컨대 핫 멜트 접착제(HA1)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측 탄성 시트(55) 중에서 내면 시트(32) 및 크로치 패널(40)에 접합되어 있는 부분은, 사선(49)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내측 탄성 시트(55)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양측 부분 55a와 55a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55b)을 가지고, 그 중앙 부분(55b) 중 하방 부위(55c)가 그것과 중첩되는 뒤 허리 패널(30) 및 크로치 패널(40)에 대하여 비접합의 상태에 있고, 하방 부위(55c)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상방 부위(55d)가 뒤 허리 패널(30)에 대하여 예컨대 핫 멜트 접착제(HA1)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하방 부위(55c)는, 중앙 부분(55b) 중에, 뒤 허리 탄성 영역(35)보다 하방으로 넓어지는 부분이다.
도 6의 중앙 부분(55b)은 또한, 하방 부위(55c)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탄성적 수축량이, 내측 탄성 시트(55)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하방 부위(55c)에 접합하는 일없이 대향하고 있는 부위의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탄성적 수축량보다 크다. 기저귀(10)가 영유아용의 것인 경우의 일례에 있어서, 중앙 부분(55b)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50∼100 ㎜의 범위에 있을 때에, 탄성적으로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하방 부위(55c)의 가로 방향(X)의 치수와, 하방 부위(55c)에 대향하고 있는 부위의 가로 방향(X)의 치수의 차는, 15∼3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의 흡수체(42)에서는, 변형 유도부(82)가 코어재(46a)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의 변형 유도부(82)는, 신전 상태의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뒤 허리 패널(30)의 비탄성 영역(39)에 중첩되어 있지만, 내측 탄성 시트(55)에 대해서는 중첩되어 있는 경우와,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고, 도면에는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나타나 있다. 변형 유도부(82)는 코어재(46a)에 형성된 슬릿으로서, 코어재(46a)의 후단 가장자리(46e)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하단부(86b)는 뒤 허리 패널(30)의 하단 가장자리(30A)를 넘는 경우와, 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도면에서는 넘지 않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하단부(86b)는 또한, 가로 중심선(Q)(도 2 참조)에는 닿는 일이 없고, 크로치 영역(13)에는 가로 중심선(Q)과 하단부(86b)의 사이에는, 변형 유도부(82)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89)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의 변형 유도부(82)는, 세로 중심선(P) 상에 위치하는 중앙 변형 유도부(82a)와, 중앙 변형 유도부(82a)의 가로 방향(X)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로 중심선(P)에 관해서 대칭인 한쌍의 사이드 변형 유도부(82b, 82b)를 갖는다.
도 7의 (a)는 도 6의 VII-V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b)는 기저귀(10)가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a)에 나타낸 부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b)에는 내측 탄성 시트(55)가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다. VII-VII선은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비탄성 영역(39)을 횡단하고 있다. 도 7의 (a)에 있어서, 내측 탄성 시트(55)의 하방 부위(55c)(도 6 참조)가 가로 방향(X)으로 수축하면, 거의 평탄한 상태에 있으며 탄성적으로는 수축하는 일이 없는 뒤 허리 패널(30)의 비탄성 영역(39)과, 그것에 중첩되는 부분의 크로치 패널(40)은, 크로치 패널(40)에 있어서의 변형 유도부(82)의 존재에 의해, 피부 대향면(SS)으로부터 착의 대향면(CS)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하여, 라운딩이 있는 외관의 돌출부(100b)(도 1의 (b)를 더불어 참조)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피부(S)와의 사이에 공간(59b)이 생긴다. 공간(59b)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외측 각각에서는, 뒤 허리 패널(30)과 크로치 패널(40)의 각각이,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뒤 허리 탄성체(34)와, 제1 보조 탄성체(34A)와, 제2 보조 탄성체(34B)(도 6 참조)의 수축에 의해, 피부(S)에 접촉한다. 크로치 패널(40)에 있어서의 코어재(46a)는, 변형 유도부(82)에 의해,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세분화되어 있어 변형하기 쉬운 상태에 있기 때문에, 사이드 변형 유도부(82b)보다 외측의 부분이 둔부의 형상에 용이하게 핏트한다.
착용 상태에 있는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영역(13)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12)을 향하여 흐르는 무른 변 등의 배설물을 공간(59b)에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뒤 허리 패널(30)과 크로치 패널(40)을 변형시키는 내측 탄성 시트(55), 특히 내측 탄성 시트(55)의 하방 부위(55c)는, 뒤 허리 패널(30)과 크로치 패널(40)에 돌출부(100b)를 형성시키는 탄성 밴드부(1b)가 된다.
뒤 허리 패널(30)과 크로치 패널(40)이 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공간(59b)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치수(W)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제1 보조 탄성체(34A)끼리 사이의 치수(도 6의 치수(D1)의 2배의 치수)와, 제2 보조 탄성체(34B)끼리 사이의 치수(도 6의 치수(D2)의 2배의 치수)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돌출부(100b)가 형성될 때에, 크로치 패널(40)은 사이드 변형 유도부(82b, 82b)로부터 급격하게 만곡하지 않고, 사이드 변형 유도부(82b)와 제1 보조 탄성체(34A) 사이의 부분 및 사이드 변형 유도부(82b)와 제2 보조 탄성체(34B) 사이의 부분도 만곡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치수가 D1<D2라고 하는 관계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 7의 (b)의 공간(59b)의 폭 방향의 치수(W)는, 뒤 허리 패널(30)의 하단 가장자리(30A)로부터 상단 가장자리(30B)를 향함에 따라, 제1 보조 탄성체(34A)끼리가 가로 방향(X)에서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치수(W)가 작고, 제2 보조 탄성체(34B)끼리가 가로 방향(X)에서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치수(W)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공간(59b)에 유입된 무른 변은, 공간(59b)으로부터 유출하는 것이 어려워, 공간(59b)에 머물게 된다. 또한, 그 공간(59b)을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100a)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치수(W)가 서서히 커지는 라운딩이 있는 것이 된다.
뒤 허리 탄성체(34)로서는, 예컨대, 310∼620 dtex를 갖는 스판덱스를 신장 배율이 2.2∼2.9배가 되도록 신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제2 보조 탄성체(34A, 34B)로서는, 예컨대 310∼620 dtex를 갖는 스판덱스를 신장 배율이 약 2.8∼3.8배가 되도록 신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형 유도부(81, 82)에 의해 예시된 변형 유도부는, 변형 유도부(81)만이어도 좋고, 변형 유도부(82)만이어도 좋다. 또한, 변형 유도부는 지금까지 설명한 작용, 효과를 갖는 한에 있어서, 형성하여야 하는 수나 세로 방향(Y)의 치수 및 가로 방향(X)의 치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변형 유도부(81, 82)에 있어서, 세로 방향(Y)의 치수를 15∼60 ㎜로 설정하고, 가로 방향(X)의 치수를 2∼10 ㎜로 설정할 수 있다. 변형 유도부(81a, 81b)의 각각 및/또는 변형 유도부(82a, 82b)의 각각은, 도시예와 같이 치수와 형상이 같은 것 외에, 치수나 형상이 서로 상이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형 유도부(81, 82)는, 코어재(46a)의 전단 가장자리(46d) 및 후단 가장자리(46e)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슬릿이지만, 전단 가장자리(46d) 및/또는 후단 가장자리(46e)의 하방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이어도 좋다. 변형 유도부는 또한, 코어재(46a)를 부분적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을 갖는 홈부여도 좋다. 코어재(46a)에 형성되는 홈부는, 그 깊이 방향이 피부 대향면(SS)으로부터 착의 대향면(CS)을 향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형 유도부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나 플러프 펄프 등으로 형성되는 코어재(46a)의 밀도를 변형 유도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밀도보다 낮게 하거나 또는 높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변형 유도부는, 랩핑 시트(46b)를 포함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형 유도부(81)는, 앞 허리 패널(20)의 하단 가장자리(20A)를 넘는 것이었지만, 하단 가장자리(20A)를 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수(D1) 및 치수(D2)는, 치수(D1과 D2)를 동일한 값으로 하여도 좋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치수(D1)를, 치수(D2)보다 작게 하면, 뒤 허리 영역(12)에 형성되는 공간(59b)을, 개구쪽보다 안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수용한 배설물이, 공간(59b)의 개구측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 허리 패널(20)에 있어서 예시된 변형 유도부(81)와 내측 탄성 시트(44)는,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변형 유도부(82)와 내측 탄성 시트(55) 대신에 뒤 허리 패널(30)에 대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변형 유도부(82)와 내측 탄성 시트(55)를 앞 허리 패널(20)에 대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변형 유도부(81)와 내측 탄성 시트(44)의 위치 관계는, 도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 4에 있어서, 변형 유도부(81)와 내측 탄성 시트(44)는, 중합되는 관계에 없어도 좋다. 또한, 앞 허리 패널(20)에 있어서의 내측 탄성 시트(44)의 위치는, 도시예의 위치보다 상방이어도 좋고, 하방이어도 좋다.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도 6의 내측 탄성 시트(55)는, 흡수체(42)와 중첩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은, 전술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영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 외에, 남성 실금 환자가 착용하는 데 적합한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있어서, 도 5의 (b)에 있어서의 공간(59a)은, 페니스를 수용하거나, 뇨흡수 패드를 수용하거나 하는 데 적합한 공간이 된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3과 같은 도면이다. 단, 도 8에 있어서의 앞 허리 패널(20)에서는, 도 3에 예시된 제1 보조 탄성체(24A)가 코어재(46a)를 횡단하도록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제1 보조 탄성체(24A)는, 코어재(46a)를 횡단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하여 수축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와, 탄성을 잃고 수축 불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가 있다. 앞 허리 패널(20)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내측 탄성 시트(44)의 중앙 부분(44b)에 대향하고 있는 부위에 대한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탄성적 수축량이, 내측 탄성 시트(44)의 중앙 부분(44b)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탄성적 수축량보다 작아지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보조 탄성체(24A)와 제2 보조 탄성체(24B)를 구별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제1, 제2 보조 탄성체(24A, 24B)를 총칭하여 단순히 보조 탄성체라고 부를 수 있다.
도 9는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같은 도면이다. 도 9의 신전 상태의 기저귀(10)로부터는 도 1의 기저귀(10)와 같은 외관의 기저귀를 얻을 수 있다. 그 신전 상태의 기저귀(10)에 있어서의 코어재(46a)는, 변형 유도부(81)의 형상과 위치가 도 2, 4에 있어서의 변형 유도부(81)의 형상과 위치와 같지만, 변형 유도부(82)인 슬릿의 형상과 위치가 도 2, 6에 있어서의 변형 유도부(82)와는 상이하다.
도 9에 있어서의 변형 유도부(82)는, 세로 방향(Y)에 있어서의 상하 양단부(86b, 86c)가 코어재(46a)의 후단 가장자리(46e)와 교차하는 일이 없는 것이며, 후단 가장자리(46e)와 가로 중심선(Q)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내측 탄성 시트(55)의 하방 부위(55c)가 수축하면, 흡수체(42)는 호를 그리도록 변형하며, 변형 유도부(82)의 각각이 가로 방향(X)에 있어서 폭을 넓히도록 변형하여, 뒤 허리 패널(30)과 크로치 패널(40)은 도 7의 (b)에 예시된 돌출부(100b)와 같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호를 그리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의 내측에는 공간(59b)(도 7 참조)과 같은 공간이 생긴다.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코어재(46a)의 변형 유도부(81)를 코어재(46a)의 전단 가장자리(46d)와 교차하는 일이 없도록 전단 가장자리(46d)와 가로 중심선(Q)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0의 (a)는 실시형태의 일례인 일회용 기저귀(10)의 배면도로서, 기저귀(10)에 사용되고 있는 후기하는 뒤 허리 탄성체(34) 등의 탄성체(도 11, 12 참조)가 가로 방향(X) 또는 세로 방향(Y)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다. 도 10의 (b)는 (a)의 기저귀(10)가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기저귀(10)의 배면도이다.
도 10의 (a)에 있어서, 기저귀(10)는 앞 허리 패널(20)과, 뒤 허리 패널(30)과, 크로치 패널(40)을 갖는다. 뒤 허리 패널(30)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절곡 부위(92)(도 11의 (a), (b)를 더불어 참조)가 형성되고, 절곡 부위(92)로부터는 한쌍의 접합선(108)과, 한쌍의 절곡 안내선(109)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기하는 도 11에 있어서 분명한 바와 같이, 접합선 108과 108 사이의 부분인 중앙 부분(101)에 있어서, 뒤 허리 패널(30)의 내측 부위(104)와, 외측 부위(105)와, 중간 부위(106)는, 비접합의 상태로 중합되어 있다. 또한, 후기하는 도 12에 있어서 분명한 바와 같이, 접합선(108)과 시임부(14) 사이의 부분인 측방 부분(103)에 있어서, 내측 부위(104)와, 외측 부위(105)와, 중간 부위(106)는 접합 상태에 있다.
기저귀(10)에서는 또한, 중앙 부분(101)에 절첩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b)의 기저귀(10)에서는, 그 절첩부(102)가 기저귀(10)의 외측을 향하여 부풀어 올라 돌출부(100c)를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100c)는, 뒤 허리 패널(30)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 안내선(109)의 작용에 의해, 형상이 도시예와 같이 거의 일정한 것이 되기 쉽다. 절곡 안내선(109)은,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형상이 일정한 돌출부(100c)의 형성이 특히 용이해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다. 그와 같은 부분은, 예컨대, 뒤 허리 패널(30)을 제작할 때에 그 뒤 허리 패널(30)에 미리 접음선을 냄으로써 얻을 수 있다.
기저귀(10)에서는 또한,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측방 부분(103)이, 그 측방 부분(103)에 포함된 제1, 제2 보조 탄성체(34A, 34B)의 수축 작용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S)에 접촉한다(도 11의 (b), 도 12 참조). 도 10의 (b)에 있어서, 앞 허리 패널(20)은 도 2∼4에 나타낸 앞 허리 패널(20)과 같은 것이며, 뒤 허리 패널(30)은 후기하는 바와 같은 것으로서, 이들 앞 허리 패널(20)과 뒤 허리 패널(30)은, 허리 개구(15)의 둘레 가장자리(15a)인 각각의 앞뒤 허리 패널(20, 30)의 꼭대기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앞뒤 허리 탄성 영역(25, 35)에 있어서도 착용자의 피부(S)에 접촉한다.
도 11의 (a), (b)는 도 10의 (a), (b) 각각에 있어서의 XIa-XIa, XIb-XIb선 절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의 뒤 허리 패널(30)은, 도 2의 뒤 허리 패널(30)과 마찬가지로, 핫 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접합하고 있는 외면 시트(31)와 내면 시트(32)를 갖는 것에 더하여, 외면 시트(31)와 내면 시트(32) 사이에는, 이들 외면 시트(31)와 내면 시트(32) 중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고 있는 뒤 허리 탄성체(34)를 갖는다. 내면 시트(32)에 있어서의 피부 대향면(SS)에는, 크로치 패널(40)이 핫 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하고 있다. 크로치 패널(40)의 흡수체(42)에 포함된 코어재(46a)에는, 도 9에 예시와 같은 크로치 패널(40)에 있어서의 변형 유도부(82)인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슬릿은, 코어재(46a)의 후단 가장자리(46e)의 하방에 있으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슬릿 중 하나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슬릿은, 기저귀(10)의 앞뒤 방향에 있어서 크로치 패널(40)이 후방으로 돌출하고, 가로 방향(X)에 있어서 뒤 허리 패널(30)과 크로치 패널(40)이 만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변형 유도부로서 작용한다. 도시예의 변형 유도부(82)는, 코어재(46a)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후기하는 탄성 밴드부(1c)인 내측 부위(104)와 중첩되는 일이 없는 위치에 있는 것의 일례이다.
도 11의 (a), (b)에 있어서, 뒤 허리 패널(30)은, 뒤 허리 탄성 영역(35)보다 하방의 부분에 대하여 형성되는 절곡 부위(91과 92)에 있어서 절곡되어, 중첩됨으로써, 뒤 허리 탄성 영역(35)과 협동하여 Z자형으로 절첩된 절첩부(102)를 형성하고 있다. 즉, 절첩부(102)는, 뒤 허리 탄성 영역(35)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한 내측 부위(104)를 포함하는 것에 더하여, 뒤 허리 패널(30) 중에서 탄성체를 포함하는 일이 없는 비탄성 영역(39)(도 3 참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외측 부위(105)와 중간 부위(106)를 포함한다. 단, 중간 부위(106)에는, 도 11의 (b)의 상태에 있는 중간 부위(106)가 기저귀(10)의 외측을 향하여 더욱 쓰러진 상태로 되는 것을 막기 위해, 310∼620 dtex의 스판덱스를 신장 배율이 1.4∼1.8배가 되도록 신장한 보조 탄성체(34C)를 도시예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외측 부위(105)는,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하는 일이 없는 부위이다. 또한, 중간 부위(106)는,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일이 없는 부위이다.
도 12는 도 10의 (b)에 있어서의 뒤 허리 패널(30)의 XII-XII선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XII-XII선은, 뒤 허리 패널(30)에 있어서의 측방 부분(103)을 통과하는 절단선이다. 도 12에 있어서, 측방 부분(103)은, 상하 방향(Y)의 단면 형상이 Z자형인 절첩부(112)를 가지고 있다. 절첩부(112)에서는, 내측 부위(104)와 외측 부위(105)와 중간 부위(106)가 중합되어, 핫 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접합한 상태에 있고, 도 11에 있어서의 내측 부위(104)와 외측 부위(105)와 중간 부위(106)에 이어져 있다. 또한, 도 12의 외측 부위(105)에서는, 외면 시트(31)와 내면 시트(32) 사이에, 가로 방향(X)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제1, 제2 보조 탄성체(34A, 34B)가 개재되어 있다.
도 10∼12의 상태에 있는 기저귀(10)의 뒤 허리 패널(30)에서는, 중앙 부분(101)에 있어서의 내측 부위(104)가 몸통 둘레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수축하면, 내측 부위(10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내측 부위(104)에 접합하는 일없이 대향하고 있는 중간 부위(106)는, 내측 부위(104)에 이어지는 부위(106a)에서는, 내측 부위(104)의 수축하고자 하는 움직임에 추종하여 수축하고, 가로 방향(X)의 치수가 내측 부위(104)와 동일한 정도로 작아져도, 외측 부위(105)에 이어지는 부위(106b)에서는, 내측 부위(104)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이 곤란하여, 가로 방향(X)의 치수는 거의 변화하는 일이 없다. 또한, 중간 부위(106)를 통해 내측 부위(104)에 대향하고 있는 외측 부위(105)는, 절곡 부위(91, 92)를 통해 뒤 허리 탄성 영역(35)에 이어져 있는 것과, 높은 굽힘 강성을 갖는 크로치 패널(40)이 접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내측 부위(104)가 수축하여도, 가로 방향(X)의 치수는 거의, 또는 전혀 변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내측 부위(104)가 탄성적으로 수축할 때의 수축량은, 외측 부위(105)와 중간 부위(106) 중 적어도 외측 부위(105)가 수축할 때의 수축량보다 크다. 또한, 이들 수축량을 비교하는 방법은, 후기와 같다. 수축량이 큰 내측 부위(104)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수축하면, 탄성적 수축량이 작은 외측 부위(105)와 중간 부위(106)의 부위(106b)는, 허리 개구(1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으며, 가로 방향(X)에 있어서는 만곡하고 있는 도 10의 (b)의 돌출부(100c)를 형성하고, 도 11의 (b)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S)와의 사이에 공간(159)을 형성한다. 도 11의 (b)의 기저귀(10)에서는, 내측 부위(104)의 수축량이 도시예보다 더욱 커지면, 돌출부(100c)는 화살표(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더 크게 부풀어 오른다. 공간(159)은 도 7에 있어서의 공간(59b)과 마찬가지로 기저귀 착용자의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도 11의 (b)에 있어서는 또한, 외측 부위(105)와 중간 부위(106)가, 하향으로 개구한 포켓 부분(159c)을 형성하고 있다. 그 포켓 부분(159c)은 공간(159)의 일부분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내측 부위(104)는, 도 10의 (a)에 있어서의 기저귀(10)의 탄성 밴드부(1c)가 되는 부위이다.
도 10-12에 예시된 기저귀(10)에 있어서도,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공간(159)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방 부분(103)이 탄성적인 수축력의 작용 하에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S)에 접촉한다(도 10의 (b), 도 12 참조). 그렇기 때문에, 기저귀(10)에서는, 착탈을 반복하여도 뒤 허리 패널(30)은 일정 부위가 부풀어 올라, 그 부위의 내측에 공간(159)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공간(159)에 인접하고 있는 측방 부분(103)에서는, 뒤 허리 패널(30)이 피부(S)에 접촉하기 때문에, 배설물이 공간(159)으로부터 가로 방향(X)으로 퍼진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이 기저귀(10)의 앞 허리 패널(20)과 크로치 패널(40)은, 도 4에 예시된 양태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수축량의 측정과 비교의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밴드부(1a, 1b, 1c)와 그 외의 부위의 탄성적 수축량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한다. 예컨대, 도 4에 있어서의 내측 탄성 시트(44)의 중앙 부분(44b)과, 중앙 부분(44b)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44b)과 대향하고 있는 부위와의 비교에서는, 기저귀(10)의 개더가 소실되는 곳까지 기저귀(10)를 가로 방향(X)과 상하 방향(Y)으로 신장시킨 것인 신전 상태의 기저귀(10)를 준비한다. 그 신전 상태의 기저귀(10)에 있어서, 중앙 부분(44b)과, 중앙 부분(44b)에 대향하고 있는 부위의 각각에 대하여, 수축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범위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전체 길이를 구하기 위한 직선을 기입하여, 각 직선에 대한 길이(전체 길이)(L1)를 측정한다. 다음에, 중앙 부분(44b)과 중앙 부분(44b)에 대향하고 있는 부위의 각각을, 신전 상태의 기저귀(10)로부터 절취하여, 측정용 시험편으로 한다. 측정용 시험편은, 평면 상에 있어서, 수축시킨다. 수축시킨 각각의 시험편은, 그것에 곧은자나 손가락을 대서 직선형으로 유지하면서, 측정용 시험편에 기입되어 있는 직선의 길이(L2)를 측정한다. 길이(L1)와 길이(L2)의 차를 탄성적 수축량(L3)으로 하여, 각각의 시험편 사이에서 탄성적 수축량(L3)을 비교한다. 또한, 중앙 부분(44b)과 중앙 부분(44b)에 대향하고 있는 부위를 신전 상태의 기저귀(10)로부터 절취할 때에, 이들 부분이 핫 멜트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절취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그 핫 멜트 접착제를 톨루엔 용액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길이(L1)와 길이(L2)는, 0.1 ㎜의 단위까지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 방향(X)의 전체 길이를 구하기 위한 직선을 기입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전체 길이 중의 일부분에 대한 길이를 측정해 두고, 그 길이를 전체 길이의 경우의 길이로 환산하여도 좋다.
1a 탄성 밴드부
1b 탄성 밴드부
1c 탄성 밴드부
10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일회용 기저귀)
11 앞 허리 영역
12 뒤 허리 영역
13 크로치 영역
20 앞 허리 패널
21 외면 시트
24 앞 허리 탄성체
24A 제1 보조 탄성체
24B 제2 보조 탄성체
25 허리 탄성 영역
29 비탄성 영역
30 뒤 허리 패널
31 외면 시트
34 뒤 허리 탄성체
34A 제1 보조 탄성체
34B 제2 보조 탄성체
35 허리 탄성 영역
36A 내단부
36B 내단부
39 비탄성 영역
40 크로치 패널
42A 전단 가장자리
42B 후단 가장자리
44 탄성 시트(내측 탄성 시트)
44a 양측 부분
44b 중앙 부분
46a 코어재
46d 전단 가장자리
46e 후단 가장자리
55 탄성 시트(내측 탄성 시트)
55a 양측 부분
55b 중앙 부분
55c 하방 부위
81a 중앙 변형 유도부(변형 유도부)
81b 사이드 변형 유도부(변형 유도부)
82a 중앙 변형 유도부(변형 유도부)
82b 사이드 변형 유도부(변형 유도부)
86b 단부(하단부)
86c 단부(상단부)
101 중앙 부분
102 절첩부
103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측방 부분)
104 일부분(내측 부위)
D1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내단부(36A)까지의 치수
D2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내단부(36B)까지의 치수
P 세로 중심선
Q 가로 중심선
X 가로 방향
Y 상하 방향(세로 방향)

Claims (15)

  1. 착용 상태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가지고, 앞 허리 패널과 뒤 허리 패널과 크로치 패널에 의해 형성되고, 앞 허리 영역과 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영역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피부 대향면과, 착의와 대향하는 착의 대향면을 가지고, 상기 크로치 패널에 있어서의 체액 흡수성의 코어재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중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영역은, 상기 피부 대향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하는 탄성 밴드부를 가지고,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부의 상기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탄성적 수축량은, 이 중앙 부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이 중앙 부분에 접합하는 일 없이 대향하고 있는 부위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탄성적 수축량보다 크고,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재에는, 상기 탄성 밴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코어재의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만곡을 용이하게 하는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영역은, 이 허리 영역의 꼭대기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한 허리 탄성 영역을 가지고, 이 허리 탄성 영역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Z자형의 절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접어 포개어져 있고,
    상기 Z자형의 절첩부에서는,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접어 포개어진 상태로 서로 접합하는 한편, 상기 양측 사이의 부분이 비접합 상태에 있으며, 상기 허리 탄성 영역의 일부분이 상기 탄성 밴드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부는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영역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부분이 접합 상태에 있으며, 상기 중앙 부분의 적어도 하방 부위가 비접합의 상태에 있는 탄성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패널은, 상기 착의 대향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와, 상기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와, 상기 외면 시트와 상기 내면 시트의 사이에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는 탄성체를 가지고 있는 착용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패널은, 상기 중앙 부분과 대향하는 부위에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착용 물품.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부가 상기 기저귀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탄성 밴드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착용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부가 상기 기저귀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탄성 밴드부와 중첩되는 일이 없는 위치에 있는 착용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부가 탄성사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가 상기 탄성 밴드부의 적어도 상기 중앙 부분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는 착용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부는 신장 상태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실형 및 띠형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가 부착된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착용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영역에는, 신장 상태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실형 및 띠형 중 어느 하나인 복수개의 탄성체가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병렬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에는 상기 기저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에 대향하는 내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착용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 중에, 상기 상하 방향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1줄의 상기 탄성체의 상기 내단부와 상기 세로 중심선이 이격하는 치수는, 상기 적어도 1줄의 상기 탄성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내단부와 상기 세로 중심선이 이격하는 치수보다 작은 착용 물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부는 상기 크로치 패널의 상기 코어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줄 이상의 슬릿 및 홈부 중 어느 하나인 착용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것과, 상기 세로 중심선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있는 착용 물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상기 코어재의 전단 가장자리와 상기 착용 물품의 가로 중심선의 사이 및 상기 코어재의 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가로 중심선의 사이 중 한쪽 또는 양쪽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착용 물품.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로서는,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변형 유도부에 인접하는 부위와 상기 변형 유도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두께 및 밀도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상이한 착용 물품.
KR1020177034264A 2015-06-30 2016-05-19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2539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2229 2015-06-30
JP2015132229A JP5946568B1 (ja) 2015-06-30 2015-06-30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PCT/JP2016/064842 WO2017002479A1 (ja) 2015-06-30 2016-05-19 使い捨て体液吸収性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896A KR20180023896A (ko) 2018-03-07
KR102539926B1 true KR102539926B1 (ko) 2023-06-02

Family

ID=5632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264A KR102539926B1 (ko) 2015-06-30 2016-05-19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13795B2 (ko)
EP (1) EP3318232B1 (ko)
JP (1) JP5946568B1 (ko)
KR (1) KR102539926B1 (ko)
CN (1) CN107613928B (ko)
EA (1) EA033732B1 (ko)
WO (1) WO2017002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6835B2 (en) * 2016-12-19 2021-08-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sealing absorbent cores on absorbent articles
JP6976129B2 (ja) * 2017-10-12 2021-1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CN212166013U (zh) * 2018-12-29 2020-12-1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尿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459B1 (ko) * 1994-09-21 1999-12-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굴곡된 차단 커프스를 갖는 흡수제품
JP2000140004A (ja) 1998-11-06 2000-05-23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9240639A (ja) * 2008-03-31 2009-10-22 Uni Charm Corp 使い捨て吸収性着用物品
JP2011240054A (ja) 2010-05-20 2011-12-01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428Y2 (ja) * 1990-07-11 1996-09-25 株式会社資生堂 使捨ておむつ
US6280426B1 (en) * 1999-02-19 2001-08-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ap and biasing spacer
JP2000288016A (ja) 1999-04-07 2000-10-17 Kao Corp 吸収性物品
JP3734720B2 (ja) * 2001-05-18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A101351C2 (ru) * 2008-01-16 2013-03-25 Юни-Чарм Корпорейшн Подгузник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ипа трусов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5855901B2 (ja) * 2010-11-02 2016-02-0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28794B2 (ja) * 2013-09-26 2017-11-08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紙おむつ
WO2015072218A1 (ja) 2013-11-14 2015-05-21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219691B2 (ja) * 2013-11-14 2017-10-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459B1 (ko) * 1994-09-21 1999-12-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굴곡된 차단 커프스를 갖는 흡수제품
JP2000140004A (ja) 1998-11-06 2000-05-23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9240639A (ja) * 2008-03-31 2009-10-22 Uni Charm Corp 使い捨て吸収性着用物品
US20110066127A1 (en) 2008-03-31 2011-03-17 Seiichi Kuwano Disposable absorbent wearing article
JP2011240054A (ja) 2010-05-20 2011-12-01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93206A1 (en) 2018-07-12
EP3318232A1 (en) 2018-05-09
CN107613928B (zh) 2020-11-20
US10813795B2 (en) 2020-10-27
JP5946568B1 (ja) 2016-07-06
JP2017012460A (ja) 2017-01-19
CN107613928A (zh) 2018-01-19
KR20180023896A (ko) 2018-03-07
WO2017002479A1 (ja) 2017-01-05
EP3318232A4 (en) 2018-05-09
EA201792557A1 (ru) 2018-07-31
EA033732B1 (ru) 2019-11-20
EP3318232B1 (en)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9601B (zh) 一次性尿布
KR102008543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165947B1 (ko) 팬츠형 기저귀
KR102179940B1 (ko) 착용 물품
KR20120099291A (ko) 일회용 착용 물품
CN107613926A (zh) 一次性穿用物品
CN105705125B (zh) 短裤型的穿着物品
KR102555430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539926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20110021992A (ko) 흡수성 물품
KR10251126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3206405U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92701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CN108289767B (zh) 穿用物品
JP5839760B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20180000064U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CN111542291B (zh) 短裤型吸收性物品
JP2017012462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6158815A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2520783B1 (ko) 일회용 기저귀
JP641284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833270B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497019B1 (ko) 착용물품
JPWO2016104752A1 (ja) 使い捨てのおむつ
JP6429741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