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601B1 -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601B1
KR102535601B1 KR1020220183702A KR20220183702A KR102535601B1 KR 102535601 B1 KR102535601 B1 KR 102535601B1 KR 1020220183702 A KR1020220183702 A KR 1020220183702A KR 20220183702 A KR20220183702 A KR 20220183702A KR 102535601 B1 KR102535601 B1 KR 10253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acrylat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그라스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그라스가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그라스가드
Priority to KR102022018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2Layer formed of wires, e.g.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포함하는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Anti-bird collision film with ins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열 소재를 바탕으로 표식 문양에 인광물질인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를 고분자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조류충돌방지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필름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단열 필름으로는 뜨거운 태양 아래 복사열 및 전도열의 실내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윈도우 필름이 있다. 이러한 윈도우 필름은 단열 필름의 성능을 가지기 위해 자외선 차단 지수 IR을 일정 수준 확보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IR값 40 이상을 가지고 있으면 단열 필름이라고 할 수 있으나 지수에 따른 성능의 차등이 존재한다.
또한, 안전 필름으로는 유리 비산으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필름의 두께로 인해 유리창이 파손되기 위해서는 더 큰 힘을 가해야 되므로 훨씬 안전함을 도모할 수 있다. 최소 0.05 mm 이상의 필름 두께를 확보해야 한다.
장식 필름은 단순히 유리창에 장식 효과를 주어 심미적인 안정감과 미려함을 추구하는 목적을 가지며, 이는 특별한 스펙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또한, 조류의 특성상 투명하거나 완전 반사가 되는 미러형태의 유리창을 고속으로 비행하면서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충돌하면서 사망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건물의 고층화와 방음벽의 방음창 교체 트렌드와 맞물려 매년 800만 마리의 야생 조류가 희생되고 있음으로 인해 환경부 및 지자체가 나서서 조류충돌저감방안의 일종으로 조류충돌방지필름을 적극 설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외선 반사율 99%, 환경부에서 발표한 표준 야생 조류 충돌 저감 가이드라인의 기준에 준한 제품 스펙이 요구되며, 주로 주간에 필름의 자외선 반사 및 조류가 인지할 수 있는 조그마한 문양을 이용하여 조류가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리창의 특성상 투명 글라스의 경우 내부 시설이 외부에서 투과되어 보임에 따라 프라이버시 및 비밀 보존의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고자 외부에서는 내부를 볼 수 없고 내부에서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름으로 시선차단 필름이 있다.
각각의 필름은 고유한 목적 달성을 위해 그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고유의 기능을 가지기 위해 개발되어 있다보니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성능을 낼 수가 없고, 사회가 복잡 다변화 하면서 여러가지 성능을 동시에 적용받기를 원하는 장소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기존의 출시된 제품들은 이러한 기능을 만족시킬 수가 없어서 여러 필름을 동시에 붙이거나 아니면 아예 적용이 힘든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 성능을 나타내는 조류충돌방지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포함하는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이형필름(10);
상기 이형필름(10) 상에 형성된 점착층(20);
상기 점착층(20) 상에 형성된 스폰지층(30);
상기 스폰지층(30) 상에 형성된 기재층(40);
상기 기재층(40) 상에 형성된 단열기능층(50);
상기 단열기능층(50) 상에 형성된 접착층(60); 및
상기 접착층(60)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7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20)은,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8-42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1-15 중량부, 제1 아크릴계 화합물 7-11 중량부, 탄산칼슘 4-8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인 은 나노입자 2-6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의 산화아연 나노입자 1-5 중량부,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 0.2-3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0.1-1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1 중량부 및 물 21-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20,000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73-77:23-27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화합물은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3:3:4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스폰지층(30)은,
폼(foam) 형태의 실리콘 층에 스트론튬 인광물질이 분산된 것이고,
상기 기재층(4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이루어진 층이고,
상기 단열기능층(50)은,
은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층이고,
상기 접착층(60)은,
제2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0-34 중량부, 제2 아크릴계 화합물 17-21 중량부, 하기 화학식 1의 실리콘계 화합물 8-12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5 중량부,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 18-22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05-0.5 중량부,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3-7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4-8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6 중량부 및 항산화제 0.7-1.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제1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제2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68-72:28-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화합물은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이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하드코팅층(70)은,
열경화성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기능성 나노입자,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주쇄를 이루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70-80 중량부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중합체 2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13940761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9의 정수이고, m은 1-9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은 인광물질을 이용하여 야간에 활동하는 생명체의 충돌을 방지하며, 동시에 우수한 단열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방충성, 항균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의 구조를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포함하는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을 제공한다.
이때,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의 일례를 모식도로 나타내었으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이형필름(10); 상기 이형필름(10) 상에 형성된 점착층(20); 상기 점착층(20) 상에 형성된 스폰지층(30); 상기 스폰지층(30) 상에 형성된 기재층(40); 상기 기재층(40) 상에 형성된 단열기능층(50); 상기 단열기능층(50) 상에 형성된 접착층(60); 및 상기 접착층(60)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이형필름(10)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필름(10)은 이형 표면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점착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20)은 상기 이형필름(1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20)은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8-42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1-15 중량부, 제1 아크릴계 화합물 7-11 중량부, 탄산칼슘 4-8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인 은 나노입자 2-6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의 산화아연 나노입자 1-5 중량부,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 0.2-3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0.1-1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1 중량부 및 물 21-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9-41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2-14 중량부, 제1 아크릴계 화합물 8-10 중량부, 탄산칼슘 5-7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인 은 나노입자 3-5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의 산화아연 나노입자 2-4 중량부,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 0.5-1.5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0.3-0.7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3-0.7 중량부 및 물 22-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20,000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73-77:23-27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로 상기 조성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우수한 부착강도 및 부착유지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실리콘 수지로 활용하여 점착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화합물은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3:3:4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로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더욱 우수한 부착강도와 유지력을 나타낸다.
상기 탄산칼슘은 충전제로 적용되어 우수한 내구성과 더불어 부착성이 향상된다. 여기에 소성변형 저항성이 뛰어난 이점을 나타내며 또한, 점착층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입자크기가 20-30 nm인 은 나노입자 및 입자크기가 20-30 nm의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무기항균제로 적용된 것으로, 은 나노입자는 박테리아 및 세균을 99.99% 이상 살균시키거나 생성 자체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항균성이 우수하다.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태양 빛을 에너지원으로 촉매 반응(산화, 환원 반응)을 촉진해 각종 세균 및 오염물질을 분해시켜주는 물질이다. 산화아연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의 신진대사를 저해시킴으로써 이를 고사시켜 제거하는 메커니즘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벌크 재료가 구비하지 못한 표면효과를 가지며, 건조된 도막이 공기 중의 수분과 접촉하게 될 때,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아연의 아연 금속 성분이 이온화되어 용출되면서 박테리아 등의 유해균에 항균제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은 유기항균제로 적용된 것으로, 무기 항균제와 유기 항균제를 모두 적용하여 복합화시킴으로써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기반의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 자체의 내충격성, 열안정성 등 제반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세균 뿐만 아니라 곰팡이에 대한 항균성 및 항균성 지속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증점제로 적용된다.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며, 강화제로 적용된다.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스폰지층(30)을 포함한다. 상기 스폰지층(30)은 상기 점착층(2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스폰지층(30)은 폼(foam) 형태의 실리콘 층에 스트론튬 인광물질이 분산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폰지층(30)은 비닐기를 가지는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 66-70 중량부, 스트론튬 인광분말 24-28 중량부, 60-130℃의 발포 개시온도를 가지며 입자크기가 1-25 ㎛인 물리발포제 0.5-4 중량부, 입자크기가 1-25 ㎛인 실리카 0.5-4 중량부,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0.1-2 중량부 및 백금 촉매 0.1-2 중량부를 포함하는 스폰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점착층(20) 상에 도포한 후, 가열 발포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은 비닐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록산으로서 비닐기를 포함하는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을 사용하는 경우 140℃ 이하의 온도에서 경화 반응이 이루어지고(폴리디메틸실록산의 경우, 150℃ 이상의 온도를 가하여야 경화 반응이 이루어짐), 경화 반응 과정 중에 폴리디메틸실록산에서 발생하는 과산화물과 같은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론튬 인광분말은 스트론튬 인광분말 또는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계 분말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계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계 분말은 SrAl2O4의 화학식을 가지며, 광특성이 우수하다. 상기 스트론튬 인광분말을 적용하여 조류충돌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물리발포제는 질소 가스를 방출하지 않는 비염소계 물리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균일한 폼 형태의 실리콘 층 형성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는 상기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고, 발포된 폼 형태의 실리콘 층의 표면을 고르게 한다.
상기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은 경화제로 적용되어 스폰지층 형성용 조성물의 원활한 가교를 사용되는 것으로서, Si-H를 갖는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을 사용한다.
상기 백금 촉매는 상기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의 가교를 촉진시킨다.
상기 스폰지층은 스트론튬 인광분말로 인한 조류충돌방지 효과 뿐만 아니라 폼 형태의 실리콘 층에 분산된 스트론튬 인광물질을 가지는 것으로, 단열 성능을 월등히 높여주며, 내구성을 향상시켜준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기재층(4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40)은 상기 스폰지층(30) 상에 형성된다.
상기 기재층(4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이루어진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4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탄소섬유가 5: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사는 탄소섬유가 적용되어 기계적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통해 유연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다.
상기 기재층(40)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섬유를 질소분위기에서 1-2℃/분의 승온속도로 300-400℃의 온도까지 승온시킨 후 2-4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하여 탄소섬유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소섬유 전구체를 질소분위기에서 4-6℃/분의 승온속도로 700-800℃의 온도까지 승온시킨 후 0.5-2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1:5의 중량비율로 혼타면공정을 통해 혼합한 후, 상기 혼타면공정을 거친 혼방랩을 소면, 연조, 조방 및 정방공정을 수행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사를 직조하여 기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단열기능층(50)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기능층(50)은 상기 기재층(4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단열기능층(50)은 은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은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층은 스퍼터링 방식을 활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은 나노와이어는 직경 10-30 nm이고, 길이가 20-4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접착층(60)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60)은 상기 단열기능층(5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접착층(60)은 제2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0-34 중량부, 제2 아크릴계 화합물 17-21 중량부, 하기 화학식 1의 실리콘계 화합물 8-12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5 중량부,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 18-22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05-0.5 중량부,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3-7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4-8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6 중량부 및 항산화제 0.7-1.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제2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1-33 중량부, 제2 아크릴계 화합물 18-2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의 실리콘계 화합물 9-11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2-4 중량부,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 19-21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08-0.12 중량부,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4-6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5-7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3-5 중량부 및 항산화제 0.8-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제1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제2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68-72:28-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적용하여 접착력, 유지력 및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접착 유지력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213940761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9의 정수이고, m은 1-9의 정수이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이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제2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접착성과 더불어 경화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여 접착력 및 응집력을 확보할 수 없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을 포함하여 접착력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실리카졸은 물과 혼합이 가능한 알콜계 용매에 3가 알콕시 실란 또는 4가 알콕시 실란을 첨가하여 실란혼합물을 형성한 후, 알콜계 용매에 상기 3가 알콕시 실란 도는 상기 4가 알콕시 실란이 일정하게 분산되도록 교반을 수행하여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나노 실리카졸은 입자크기가 5-100 nm일 수 있고, 5-20 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가 알콕시 실란은 하이드록시기(-OH)가 3개 포함된 실란을 말하며, 트리메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ethoxysilane), 트리-n-프로폭시실란(Tri-n-propoxysilane), 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Triisopropoxysilane),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메틸트리에톡시실란(Methyltriethoxysilane), 페닐트리메톡시실란(Phenyltrimethoxysilane), 페닐트리에톡시실란(Phenyltr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등이 있다.
상기 4가 알콕시 실란은 하이드록시기(-OH)가 4개 포함된 실란이며, 테트라메톡시실란(Tetramethoxysilane),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silane), 테트라프로폭시실란(Tetrapropoxysilane),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Tetraisopropoxysilane), 테트라부톡시실란(Tetrabutoxysilane), 테트라페녹시실란(Tetraphenoxysilane), 테트라아세톡시실란(Tetraacethoxysilane)으로 등이 있다.
상기 알콜계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이 있다.
상기 나노 실리카졸과 실록산은 1:2-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4.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실리카졸은 pH를 산성으로 맞춘 다음, 10-30 중량%에 해당하는 실록산류 물질을 사용하여 표면개질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류는 알킬 실록산류이고, 상기 알킬 실록산류는 헥사알킬실록산, 테트라알킬실록산일 수 있고, 헥사알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개시제는 아크릴계 화합물을 중합반응시키는 매개체로써 그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반응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저하되고, 미반응 단량체가 조성물 내에 잔류할 우려가 있다. 반면, 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인해 반응속도를 제어하기 어렵고, 중합도 및 분자량이 낮아져 접착제의 응집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방지필름(100)은 하드코팅층(70)을 포함한다. 상기 하드코팅층(70)은 상기 접착층(60) 상에 형성된다.
상기 하드코팅층(70)은, 열경화성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기능성 나노입자,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1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주쇄를 이루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70-80 중량부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중합체 2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라디칼 반응성이 매우 높고, 속경성과 고경도인 점에서 우위성이 있다. 일례로,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 디아크릴레이트, 아릴화 시클로헥실 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티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카르복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중합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 및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을 반응시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예를 들면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9-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에틸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o, m 또는 p)-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디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1,4-디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메틸렌디톨릴렌-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클로로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1,3- 또는 1,4-)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1,3-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은 동식물유로부터 유도되는 불포화 다가 지방산을 환원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 예를 들면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2,2-디메틸올부탄산, N,N-비스히드록시에틸글리신, N,N-비스히드록시에틸알라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은 N,N-비스히드록시에틸글리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을 상기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고경도 및 고광택을 확보할 수 있고, 내열탕성, 내알콜성, 내약품성 등의 성능이 우수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나노입자는 실리카 나노입자, 알루미나 나노입자, 산화아연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나노입자, 지르코니아 나노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입자크기 5-10 nm인 실리카 나노입자 및 입자크기가 25-30 nm인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나노입자를 도입함으로써 하드코팅층에 더욱 높은 경도를 적용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고 항균성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는 기타 첨가제로서 당분야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50-60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0 중량부 및 카르복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15-25 중량부를 반응시켜 형성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70-80 중량부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중합체 20-30 중량부가 혼합된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0-20 중량부, 입자크기 5-10 nm인 실리카 나노입자 및 입자크기가 25-30 nm인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기능성 나노입자 45-55 중량부, 산화방지제 0.3-0.5 중량부 및 UV 안정제 0.5-0.7 중량부가 혼합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4구 플라스크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n-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촉매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 g을 적하 투입하여 88℃까지 승온시켰다.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90분 동안 유지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투명한 액체 상태의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와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20,000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75:2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다.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3:3:4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1 아크릴계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4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3 중량부, 상기 제1 아크릴계 화합물 9 중량부, 탄산칼슘 6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인 은 나노입자 4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의 산화아연 나노입자 3 중량부,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 1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0.5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5 중량부 및 물 2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스폰지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비닐기를 가지는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 68 중량부,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계 분말 26 중량부, 60-130℃의 발포 개시온도를 가지며 입자크기가 1-25 ㎛인 물리발포제 2 중량부, 입자크기가 1-25 ㎛인 실리카입자 2 중량부,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1 중량부 및 백금 촉매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폰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기재층의 제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섬유를 질소분위기에서 1℃/분의 승온속도로 350℃의 온도까지 승온시킨 후 3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하여 탄소섬유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탄소섬유 전구체를 질소분위기에서 5℃/분의 승온속도로 750℃의 온도까지 승온시킨 후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탄소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혼타면공정을 통해 1:5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상기 혼타면공정을 거친 혼방랩을 소면, 연조, 조방 및 정방공정을 수행하여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타면공정에 의해 제조된 혼방랩을 카딩기(침포간격 640개/inch2)에 공급하여 슬라이버를 제조한 후, 연조, 조방 및 정방공정을 수행하였고, 연조공정시 사용된 기기조건은 R/O Gauge: 18×19×22, D/R rate: 6-8이고, 조방공정시 사용된 기기조건은 R/O Gauge: 24×29×31, Flyer RPM: 680-720, TPI: 0.616, D/R rate: 5-7이고, 정방공정시 사용된 기기조건은 Spindle RPM: 7000, TPI: 650-800, D/R rate: 25-45이다.
상기 복합사를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하여 기재층으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4>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4구 플라스크에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n-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촉매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 g을 적하 투입하여 88℃까지 승온시켰다.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90분 동안 유지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투명한 액체 상태의 제1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다른 4구 플라스크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아크릴산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촉매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 g을 적하 투입하여 88℃까지 승온시켰다.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90분 동안 유지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투명한 액체 상태의 제2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제1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와 제2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70:3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다.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를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아크릴계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2 중량부, 상기 제2 아크릴계 화합물 19 중량부, 상기 화학식 1의 실리콘계 화합물 10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3 중량부,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 20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1 중량부,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5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6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4 중량부 및 항산화제 0.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55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및 카르복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반응시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준비하였다. 1,3-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2 중량부, 불포화 다가 지방산으로 소베르몰 908 52 중량부, N,N-비스히드록시에틸글리신 12 중량부에 유기 용매(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75 중량부 및 폴리우레탄 중합체 25 중량부를 혼합한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트리이소시아네이트 15 중량부, 입자크기 5-10 nm인 실리카 나노입자 및 입자크기가 25-30 nm인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기능성 나노입자 50 중량부, 산화방지제 0.4 중량부 및 UV 안정제 0.6 중량부를 혼합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조류충돌방지필름의 제조
이형필름 상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가열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 상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스폰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 발포하여 스폰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스폰지층 상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기재층을 위치시켰다. 상기 기재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으로 은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단열기능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은 나노와이어는 직경 20 nm, 길이 22 ㎛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단열기능층 상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가열하여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접착층 상에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가열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조류충돌방지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물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류충돌방지필름을 아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외관
외관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결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자체평가로 진행하였다.
2. X-Cutting
1 mm X-Cut 조건으로 자체평가를 진행하였다.
3. 연필경도
ASTM D3502 측정법에 따라 연필경도시험기를 사용하여 750g 하중으로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4. 내열탕성
8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박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5. 내알콜성
에탄올 99.9% 용매에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박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6. 내약품성
지우개에 1 kg의 하중을 인가하고, 에탄올이 마르지 않게 투입하면서 500회 반복한 후, 박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시험항목 시험조건 평가
외관 외관 결점 기준 O
X-Cutting 1 mm X-cut O
연필경도 ASTM D3502 1H
내열탕성 80℃, 30분 O
내알콜성 에탄올 99.9% 30분 O
내약품성 지우개에 1 kg 하중인가, 에탄올 500 회 투입 O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조류충돌방지필름은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단열 및 광학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류충돌방지필름을 아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방사율 측정
유리판이 공간에 방사하는 열방사 방사력의 같은 온도의 흑체가 방사하는 열방사 방사력에 대한 비율로, 상온의 열방사 파장영역 5 ~ 50 ㎛ 중 적어도 5 ~ 25 ㎛를 측정할 수 있는 분광 측정기로 측정한 분광 반사율을 이용하여 KS L 2514에 명시된 방법으로 계산한 수직 방사율 값(수정 방사율)을 나타내었다.
2. 태양열 취득율 측정
창유리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태양방사에 대하여 유리 부분을 투과하는 태양방사의 방사속과 유리에 흡수되어 실내 쪽으로 전달되는 열류속을 합한 것의, 입사하는 태양방사의 방사속에 대한 비율로, KS L 2514의 시험 방법으로 태양열 취득율을 측정하였다.
3. 방사율 유지 내구성 평가
온도 85℃ 상대습도 85%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시킨 후, 상기 방사율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사율을 측정하였다.
4. UV 차단율 평가
MODEL# WE2500 장비를 사용하여 UV 차단율을 측정하였다.
시험항목 평가
수정 방사율 0.11
태양열 취득율 0.27
방사율 유지 내구성 0.12
UV 차단율 10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조류충돌방지필름은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이형필름(10);
    상기 이형필름(10) 상에 형성된 점착층(20);
    상기 점착층(20) 상에 형성된 스폰지층(30);
    상기 스폰지층(30) 상에 형성된 기재층(40);
    상기 기재층(40) 상에 형성된 단열기능층(50);
    상기 단열기능층(50) 상에 형성된 접착층(60); 및
    상기 접착층(60)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7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20)은,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8-42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1-15 중량부, 제1 아크릴계 화합물 7-11 중량부, 탄산칼슘 4-8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인 은 나노입자 2-6 중량부, 입자크기가 20-30 nm의 산화아연 나노입자 1-5 중량부,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 0.2-3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0.1-1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0.1-1 중량부 및 물 21-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20,000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73-77:23-27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화합물은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3:3:4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스폰지층(30)은,
    폼(foam) 형태의 실리콘 층에 스트론튬 인광물질이 분산된 것이고,
    상기 기재층(4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이루어진 층이고,
    상기 단열기능층(50)은,
    은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층이고,
    상기 접착층(60)은,
    제2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30-34 중량부, 제2 아크릴계 화합물 17-21 중량부, 하기 화학식 1의 실리콘계 화합물 8-12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5 중량부,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 18-22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05-0.5 중량부,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3-7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4-8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6 중량부 및 항산화제 0.7-1.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제1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인 제2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68-72:28-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화합물은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이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하드코팅층(70)은,
    열경화성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기능성 나노입자,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주쇄를 이루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70-80 중량부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중합체 2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충돌방지필름(100):
    <화학식 1>
    Figure 112023029865526-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9의 정수이고, m은 1-9의 정수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층(30)은 비닐기를 가지는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 66-70 중량부, 스트론튬 인광분말 24-28 중량부, 60-130℃의 발포 개시온도를 가지며 입자크기가 1-25 ㎛인 물리발포제 0.5-4 중량부, 입자크기가 1-25 ㎛인 실리카 0.5-4 중량부,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0.1-2 중량부 및 백금 촉매 0.1-2 중량부를 포함하는 스폰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점착층(20) 상에 도포한 후, 가열 발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충돌방지필름(100).
KR1020220183702A 2022-12-23 2022-12-23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 KR10253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3702A KR102535601B1 (ko) 2022-12-23 2022-12-23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3702A KR102535601B1 (ko) 2022-12-23 2022-12-23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601B1 true KR102535601B1 (ko) 2023-05-30

Family

ID=8652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3702A KR102535601B1 (ko) 2022-12-23 2022-12-23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024B1 (ko) 2023-09-07 2024-02-19 이진희 조류 충돌방지용 첨가제, 이를 이용한 조류 충돌방지용 조성물 및 조류 충돌방지용 자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432B1 (ko) * 2007-04-03 2014-10-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US20160041319A1 (en) * 2004-05-13 2016-02-11 Artscape Inc. Bird anti-collision window film
KR101832630B1 (ko) * 2013-07-29 2018-02-26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해충 기피성 클리어 도장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55714A (ko) * 2017-09-18 2020-05-21 가디언 글라스, 엘엘씨 조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포함하는 ig 윈도우 유닛
KR102164051B1 (ko) * 2019-08-06 2020-10-12 문성훈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 제조방법
KR20210018169A (ko) * 2019-08-06 2021-02-17 문성훈 패턴을 갖는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1319A1 (en) * 2004-05-13 2016-02-11 Artscape Inc. Bird anti-collision window film
KR101451432B1 (ko) * 2007-04-03 2014-10-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KR101832630B1 (ko) * 2013-07-29 2018-02-26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해충 기피성 클리어 도장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55714A (ko) * 2017-09-18 2020-05-21 가디언 글라스, 엘엘씨 조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포함하는 ig 윈도우 유닛
KR102164051B1 (ko) * 2019-08-06 2020-10-12 문성훈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 제조방법
KR20210018169A (ko) * 2019-08-06 2021-02-17 문성훈 패턴을 갖는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024B1 (ko) 2023-09-07 2024-02-19 이진희 조류 충돌방지용 첨가제, 이를 이용한 조류 충돌방지용 조성물 및 조류 충돌방지용 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601B1 (ko) 단열기능을 포함한 조류충돌방지필름
DE112010001964T5 (de) Ein den Photokatalysator unterstützender Bogen und Primer für den den Photokatalysator unterstützenden Bogen
DE112011102333B4 (de) Verwendung eines anorganischen Feinpartikeldispergiermittels zum Dispergieren von anorganischen Feinpartikeln
KR20140113423A (ko) 플라스틱 필름
KR101447775B1 (ko) 감촉 특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시트
KR101986811B1 (ko) 야자섬유매트의 미끄럼방지용 코팅 조성물
JP2019072935A (ja) 伸長可能フィルム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853888B1 (ko) 고신율/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KR102369667B1 (ko) 시트
JP2019123782A (ja) 耐スクラッチ性を有するフィルム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組成物
TWI817009B (zh) 塗料組成物、裝飾薄膜及裝飾成形品
KR102066171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어 로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13424A (ko) 코팅 조성물
KR20140113426A (ko)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방법
KR101447280B1 (ko) 단열성을 지닌 태양열차단 코팅제
CN107760219B (zh) 一种耐磨隔热窗膜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2543761B1 (ko) 친환경 수용성 페인트 도장 시스템
WO2016126103A1 (ko) 자기 복원 특성을 갖는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코팅층 및 코팅 필름
KR102659609B1 (ko) 탄소섬유 피복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탄소섬유 직조원단
US20220186046A1 (en) Laminate and surface coating agent exhibiting low gloss appearance
KR101470468B1 (ko) 플라스틱 필름
US5880212A (en) Surface coating composition, cured film thereof and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coated with cured film
CN112500808B (zh) 一种抗菌型漆面保护膜
KR102671390B1 (ko)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JP2018172638A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を用いた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