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386B1 - 방화 셔터 - Google Patents

방화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386B1
KR102534386B1 KR1020180087854A KR20180087854A KR102534386B1 KR 102534386 B1 KR102534386 B1 KR 102534386B1 KR 1020180087854 A KR1020180087854 A KR 1020180087854A KR 20180087854 A KR20180087854 A KR 20180087854A KR 102534386 B1 KR102534386 B1 KR 102534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s
locking member
fire shut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493A (ko
Inventor
이상민
안준상
전승근
윤은상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3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of the vertical rod type
    • E05B65/1013Trigger means for holding the bolt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releasing the bolt when the door is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Abstract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가 개시된다.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통로와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개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열리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닫히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도어를 안내하며 상기 도어가 자중에 닫히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유닛과,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 셔터{Fireproof shutt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수평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 공장의 제조 라인은 복층의 클린룸들로 구성되며 각 층들에는 증착, 노광, 식각, 이온 주입, 세정 등의 공정 수행을 위한 설비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도체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반도체 웨이퍼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유리 기판에 대하여 일련의 단위 공정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층들 사이에서의 자재 이송 즉 반도체 웨이퍼 또는 유리 기판과 같은 자재들의 이송은 상기 각 층들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타워 리프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층들에는 상기 타워 리프트의 승강 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 통로 상에는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 셔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화 셔터는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개폐될 수 있으나, 화재 발생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방화 셔터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유독 가스가 전체 층들로 전달될 수 있고, 아울러 전체 층들로 화재가 확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2017년 08월 23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106652호에는 화재 발생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자중에 의해 동작 가능한 방화 셔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화 셔터는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 상에서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구성된 도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들이 닫힌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도어 상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도어들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106652호의 후속 출원으로서 방화 셔터의 도어들이 닫힌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통로와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개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열리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닫히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도어를 안내하며 상기 도어가 자중에 닫히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유닛과,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도어에 장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와,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잠금 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에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도어의 후방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잠금 부재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하우징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플런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잠금 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잠금 부재에 인가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잠금 부재의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키(key)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 패널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잠금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 방식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볼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를 견인하는 구동 유닛과,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도어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동 유닛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된 전자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브레이크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동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와 연결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에서 그리고 상기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되는 동안 수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통로와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개구 상부의 폐쇄 위치들 및 상기 폐쇄 위치들보다 높게 구성된 상기 개구 양측의 개방 위치들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도어들과, 상기 개방 위치들과 상기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도어들을 안내하며 상기 도어들이 상기 개방 위치들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들로 자중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유닛들과, 상기 도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도어들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화 셔터는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와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한 쌍의 도어들과, 상기 도어들이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유닛들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도어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과 상기 도어들이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구동 유닛의 모터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 유닛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동 유닛은 화재 발생시 상기 도어들이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동 유닛은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동 상태를 해제하는 전자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발생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방화 셔터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 등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이 닫힌 상태는 각각의 제1 및 제2 도어들에 장착된 잠금 유닛들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유닛들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 상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잠금 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들이 삽입되도록 배치된 삽입홈들이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잠금 유닛들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의 잠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상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의 의도치 않은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의 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화 셔터의 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화 셔터의 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화 셔터의 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도어들에 각각 장착된 잠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의 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화 셔터의 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화 셔터의 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화 셔터의 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100)는 건물 내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화 셔터(100)는 반도체 제조 공정이 수행되는 상하 클린룸들 사이의 통로(10)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로(10)는 상기 클린룸들 사이에서 반도체 웨이퍼들의 수납 용기, 예를 들면, 풉(FOUP)과 같은 물건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타워 리프트(미도시)의 승강 통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화 셔터(100)는, 상기 통로(10)와 대응하는 개구(104)를 갖는 베이스 패널(102)과, 상기 베이스 패널(102)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개구(104)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개구(104)가 상기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104)가 상기 도어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도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도어가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즉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자중에 의해 이동되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에는 한 쌍의 도어들(110, 112)과 상기 도어들(110, 112)을 상기 개구(104) 양측의 개방 위치들과 상기 개구(104) 상부의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들(120, 122, 124, 126)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들(110, 11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 위치들은 상기 폐쇄 위치들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들(120, 122, 124, 126)은 상기 도어들(110, 112)이 상기 개방 위치들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들로 자중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유닛들(120, 122, 124, 126)은 약 3° 내지 5° 정도의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에는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1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가장자리 부위들에는 상기 제1 도어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3 가이드 유닛들(120, 124)과 상기 제2 도어(112)를 안내하기 위한 제2 및 제4 가이드 유닛들(122, 126)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3 가이드 유닛들(120, 124)은 상기 제1 도어(1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4 가이드 유닛들(122, 126)은 상기 제2 도어(11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들(120, 122, 124, 126)은 상기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레일(130)과 상기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 부재(13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들(120, 122, 124, 126)의 가동 부재들(132)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과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들(130) 상에 배치되는 주행 휠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은 상기 개방 위치들과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그리고 상기 개방 위치들과 상기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되는 동안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들(132)은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가장자리 부위들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들(136)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100)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개방을 위한 구동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50)은 모터(152; 도 5 참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견인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 셔터(100)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상기 개방 위치들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모터(152)의 회전축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 유닛(1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유닛(150)은 제1 가이드 유닛(1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5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152)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동 유닛(162)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동 유닛(162)으로는 전자 브레이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브레이크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브레이크는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152)의 회전축에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152)의 동작시 상기 제동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을 개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을 폐쇄할 수 있다. 특히, 화재 발생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제동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상기 가이드 레일들(130)을 따라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50)은 체인(154)과 스프로킷들(156) 또는 타이밍 벨트와 타이밍 풀리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도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가이드 유닛(12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도어(112)와 연결되는 상기 제2 가이드 유닛(122)의 가이드 프레임(136)에는 상기 구동 유닛(150)과 연결되는 제2 체인(158)과 제2 스프로킷들(160) 또는 제2 타이밍 벨트와 제2 타이밍 풀리들이 장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구동 유닛(1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 모두를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다르게 상기 제2 도어(112)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제2 구동 유닛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프레임들(136)에는 상기 폐쇄 위치들을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전방 스토퍼(138)와 상기 개방 위치들을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후방 스토퍼(14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동 부재들(132)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 기구(142), 예를 들면, 쇼크 옵서버(shock absorber)와 같은 완충 장치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자중에 의해 닫히는 경우 상기 가동 부재들(132)에 장착된 충격 흡수 기구들(142)이 상기 전방 스토퍼들(138)에 먼저 충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12)가 부드럽게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들(120, 122)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144)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개방 위치들 및 폐쇄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을 감지하기 위한 광 센서들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들(120, 122)의 가이드 프레임들(136)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로(10)에는 상기 타워 리프트의 마스터 레일들(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레일들(20)에는 물건 이송을 위한 승강 모듈(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전방 측면들은 상기 마스터 레일들(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전방 측면들의 일부는 상기 폐쇄 위치들에서 상기 마스터 레일들(20)의 외측면들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나머지 부위들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마스터 레일들(20)의 내측 공간은 상기 타워 리프트의 웨이트 모듈이 승강되는 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레일들(20)의 내측에는 상기 내측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제2 방화 셔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전방 측면들, 즉 상기 폐쇄 위치들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전방 부위들 상에는 화재 발생시 연기와 가스 등을 차단하기 위한 테이프 형태의 제1 밀봉 부재(170)가 각각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폐쇄 위치들에서 상기 베이스 패널(102)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테이프 형태의 제2 밀봉 부재(172)가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전방 측면들 상에는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 사이를 차단하는 테이프 형태의 제1 팽창 부재(174)가 각각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폐쇄 위치들에서 상기 베이스 패널(102)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테이프 형태의 제2 팽창 부재(176)가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팽창 부재들(174, 176)로는 세키스이 케미컬(Sekisui Chemical) 주식회사(에서 입수 가능한 에프아이 블록(Fi-Block; 등록상표)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100)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 유닛들(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유닛들(180)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닫힌 후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 유닛들(180)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후방 부위들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도어들에 각각 장착된 잠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 유닛(180)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잠금 부재(182)와, 상기 잠금 부재(182)가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잠금 부재(182)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18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에는 상기 잠금 부재(182)가 설치하기 위한 하우징(186)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182)는 상기 하우징(186)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플런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86)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후방 부위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대략 사각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잠금 부재(182)는 상기 하우징(186)의 상부 패널(188)과 하부 패널(190)을 관통하여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84)로는 상기 하우징(186) 내부에서 상기 잠금 부재(182)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182)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184)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부재(19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184)는 상기 하우징(186)의 상부 패널(188)과 상기 서포트 부재(1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184)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잠금 부재(182)에 인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잠금 부재(182)는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 상에서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볼 플런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86)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부재(182)의 하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잠금 부재(182)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볼(ball; 194)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에는 상기 잠금 부재(182)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된 삽입홈들(10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들(182)의 하부가 상기 삽입홈들(10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닫히는 경우 상기 잠금 부재들(182)은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 상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삽입홈들(106)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 부재(182)의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키(key; 196)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196)는 상기 잠금 부재(182)의 하부 측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86)의 하부 패널(190)에는 상기 키(196)가 삽입되는 키홈(190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키홈(190B)은 상기 잠금 부재(182)가 통과하는 상기 하부 패널(190)의 관통홀(190A)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182)의 수직 방향 이동은 상기 키(196)와 키홈(190B)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개방을 위해 상기 잠금 유닛들(18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잠금 부재들(182)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잠금 유닛들(18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86)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부재(182)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된 레버(19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레버(198)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 부재(182)를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98)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 부재(182)를 상승시킨 후 상기 잠금 부재(18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잠금 부재(182)를 내려놓을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196)가 상기 하우징(186)의 하부 패널(190) 상에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잠금 유닛(180)의 잠금 해제가 상기 키(196)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개방된 후 상기 키(196)가 상기 키홈(190B)에 삽입되도록 상기 잠금 부재(182)를 반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화 셔터(100)는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10)와 대응하는 개구(104)를 갖는 베이스 패널(102)과, 상기 개구(104)를 폐쇄하기 위한 한 쌍의 도어들(110, 112)과, 상기 도어들(110, 112)이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유닛들(120, 122, 124, 126)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화 셔터(100)는 상기 도어들(110, 112)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150)과 상기 도어들(110, 112)이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구동 유닛(150)의 모터(152)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 유닛(16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동 유닛(162)은 화재 발생시 상기 도어들(110, 112)이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상기 모터(152)의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동 유닛(162)은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동 상태를 해제하는 전자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발생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방화 셔터(100)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 등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이 닫힌 상태는 각각의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에 장착된 잠금 유닛들(18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유닛들(180)은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 상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잠금 부재들(18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102)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들(182)이 삽입되도록 배치된 삽입홈들(106)이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잠금 유닛들(18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잠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 상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12)의 의도치 않은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통로 20 : 마스터 레일
100 : 방화 셔터 102 : 베이스 패널
104 : 개구 106 : 삽입홈
110 : 제1 도어 112 : 제2 도어
120 : 제1 가이드 유닛 122 : 제2 가이드 유닛
124 : 제3 가이드 유닛 126 : 제4 가이드 유닛
130 : 가이드 레일 132 : 가동 부재
134 : 주행 휠 136 : 가이드 프레임
138 : 전방 스토퍼 140 : 후방 스토퍼
142 : 충격 흡수 기구 144 : 센서
150 : 구동 유닛 152 : 모터
154 : 체인 156 : 스프로킷
158 : 제2 체인 160 : 제2 스프로킷
162 : 제동 유닛 170 : 제1 밀봉 부재
172 : 제2 밀봉 부재 174 : 제1 팽창 부재
176 : 제2 팽창 부재 180 : 잠금 유닛
182 : 잠금 부재 184 : 탄성 부재
186 : 하우징 188 : 상부 패널
190 : 하부 패널 190A : 관통홀
190B : 키홈 192 : 서포트 부재
194 : 볼 196 : 키
198 : 레버

Claims (17)

  1.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통로와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개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열리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닫히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도어를 안내하며 상기 도어가 자중에 닫히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도어의 후방 부위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플런저 형태로 구성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에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 부재의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키(key)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패널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잠금 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잠금 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잠금 부재에 인가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잠금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 방식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볼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를 견인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도어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유닛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된 전자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브레이크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동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와 연결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에서 그리고 상기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되는 동안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1. 상층과 하층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통로와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
    상기 개구 상부의 폐쇄 위치들 및 상기 폐쇄 위치들보다 높게 구성된 상기 개구 양측의 개방 위치들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도어들;
    상기 개방 위치들과 상기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도어들을 안내하며 상기 도어들이 상기 개방 위치들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들로 자중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가이드 유닛들; 및
    상기 도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도어들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유닛들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유닛들 각각은, 상기 도어들 각각의 후방 부위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플런저 형태로 구성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에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유닛들의 잠금 부재들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들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 부재의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키(key)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패널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2. 건물 내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물건의 이송을 위한 타워 리프트의 승강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 통로와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및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서로 마주하는 전방 측면들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과 상기 베이스 패널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밀봉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복수의 체인들과 복수의 스프로킷들 또는 복수의 타이밍 벨트들과 복수의 타이밍 풀리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은 상기 체인들 또는 상기 타이밍 벨트들과 연결되며, 상기 체인들 또는 상기 타이밍 벨트들의 회전 시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도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3 가이드 유닛들과,
    상기 제2 도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도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및 제4 가이드 유닛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3 가이드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1 도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4 가이드 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2 도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배치되는 주행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가이드 유닛들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중앙 부위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7. 삭제
KR1020180087854A 2018-07-27 2018-07-27 방화 셔터 KR10253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854A KR102534386B1 (ko) 2018-07-27 2018-07-27 방화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854A KR102534386B1 (ko) 2018-07-27 2018-07-27 방화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493A KR20200012493A (ko) 2020-02-05
KR102534386B1 true KR102534386B1 (ko) 2023-05-18

Family

ID=6951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854A KR102534386B1 (ko) 2018-07-27 2018-07-27 방화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3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64Y1 (ko) * 2008-11-11 2009-07-03 주식회사 텍시빌 방사선 차폐문 개폐장치
JP2010048063A (ja) * 2008-08-25 2010-03-04 Sanwa Shutter Corp 袖扉付き防火シャッ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167Y1 (ko) * 1986-06-23 1989-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제어에 의한 역율 개선회로의 기동회로
KR20090056822A (ko) * 2007-11-30 2009-06-03 박재웅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
KR200468383Y1 (ko) * 2011-08-23 2013-08-09 이근수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8063A (ja) * 2008-08-25 2010-03-04 Sanwa Shutter Corp 袖扉付き防火シャッター装置
KR200445164Y1 (ko) * 2008-11-11 2009-07-03 주식회사 텍시빌 방사선 차폐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493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60B1 (ko) 수직반송 시스템
JP2007022677A (ja) ストッカ装置
JP4470225B2 (ja) 物品を格納する容器を処理ツールに差出すためのシステム、半導体製造装置
TWI496732B (zh) 供工具利用之緩衝儲存和運輸裝置
WO2008078135A1 (en) Car door locking device
US10597259B2 (en) Elevator apparatus with seal member and link mechanism
JP200906751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閉装置
KR102534386B1 (ko) 방화 셔터
JP2013116807A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ドア装置
US10954714B2 (en) Fireproof shutter
US20080075564A1 (en) Container Carrying Equipment
KR101935669B1 (ko) 타워 리프트
US7243760B2 (en) Elevator door unit having mechanism to release lock unit manually in emergency
KR102534383B1 (ko) 방화 셔터
KR102185264B1 (ko) 이송 장치
KR102385585B1 (ko) 건설 리프트용 세대 안전문 개폐장치
JP3091169B2 (ja) 扉開閉装置
JPH116374A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180065613A (ko) 웨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
JPH05132272A (ja) エレベータ
JP2015134669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2003292273A (ja) ロック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ドア装置
JPH07303711A (ja) 搬送装置が通り抜ける防火壁の開口部に設けられた防火シャッター装置
KR100773265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JPH05201666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