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383B1 - 방화 셔터 - Google Patents

방화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383B1
KR102534383B1 KR1020180043308A KR20180043308A KR102534383B1 KR 102534383 B1 KR102534383 B1 KR 102534383B1 KR 1020180043308 A KR1020180043308 A KR 1020180043308A KR 20180043308 A KR20180043308 A KR 20180043308A KR 102534383 B1 KR102534383 B1 KR 10253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s
main frame
inner passag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848A (ko
Inventor
전승근
안준상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3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가 개시된다.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제1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제2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 셔터{Fireproof shutt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물건을 이송하기 위해 설치된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 공장의 제조 라인은 복층의 클린룸들로 구성되며 각 층들에는 증착, 노광, 식각, 이온 주입, 세정 등의 공정 수행을 위한 설비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도체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반도체 웨이퍼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유리 기판에 대하여 일련의 단위 공정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각 층들 사이에서의 자재 이송 즉 반도체 웨이퍼 또는 유리 기판과 같은 자재들의 이송은 상기 각 층들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타워 리프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43021호, 제10-2016-0161923호 및 제10-2016-0166726호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인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캐리지 모듈을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각 층들에는 상기 타워 리프트의 승강 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 통로 상에는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 셔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106652호에는 상기 타워 리프트가 설치되는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에는 웨이트 모듈의 수직 방향 이동을 위한 내부 통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상기 승강 통로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통로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재 발생시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 내부 통로를 차단하기 위한 방화 셔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제1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제2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제1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각각 전자 브레이크에 의해 기립 상태를 유지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내부 통로를 폐쇄하기 위하여 각각 수평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은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상기 기립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전자 브레이크의 제동 상태는 전원 공급의 차단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은 상기 내부 통로의 폐쇄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측면들을 갖고, 상기 측면들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의 측면이 상기 제1 도어의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쪽 내측면들의 형상 프로파일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도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쪽 내측면들 사이를 폐쇄하기 위한 측면 도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측면 도어들이 상기 제1 도어의 양쪽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측면 도어들을 동작시키는 측면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측면 도어 구동부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는 동작에 의해 상기 측면 도어들이 상기 제1 도어의 양쪽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링크 기구와,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도어들이 상기 제1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측면 도어들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내부 통로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 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어에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핀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내부 통로에는 상기 타워 리프트의 웨이트 모듈과 연결되는 벨트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통로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벨트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제2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이 닫히는 경우 상기 벨트를 상기 제1 도어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조 도어는 상기 제2 도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 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에는 상기 벨트가 통과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에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사이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들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밀봉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들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팽창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는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에 의해 각각 동작될 수 있다. 화재 발생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통로는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 등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통로는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의 회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안정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측면 도어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측면 도어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100)는 건물 내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물건의 이송을 위한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10) 내부 통로(12)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타워 리프트는 반도체 제조 공정이 수행되는 상하 클린룸들 사이에서 반도체 웨이퍼들의 수납 용기, 예를 들면, 풉(FOUP)과 같은 물건의 이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린룸들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승강 통로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캐리지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웨이트 모듈(미도시)의 수직 방향 이동을 위한 내부 통로(1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방화 셔터(100)는 상기 내부 통로(12)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화 셔터(1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일측, 예를 들면, 상기 캐리지 모듈이 배치되는 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통로(12)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11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타측, 예를 들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통로(12)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110)는 제1 수평축(114)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130)는 제2 수평축(134)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상기 캐리지 모듈을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레일들(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들(14)이 장착되는 제1 프레임(16)과 제2 프레임(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110)는 상기 제1 프레임(16)과 제2 프레임(18)의 전방 부위들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 부재(116)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130)는 상기 제1 프레임(16)과 제2 프레임(18)의 후방 부위들에 결합된 서포트 플레이트(136)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화 셔터(100)는 상기 제1 도어(110)를 개폐하기 위한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도어(130)를 개폐하기 위한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구동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1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모터(118)는 상기 제1 수평축(114)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평축(114)에는 상기 제1 수평축(114)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제1 전자 브레이크(120)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구동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1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모터(138)는 상기 제2 수평축(134)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평축(134)에는 상기 제2 수평축(134)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제2 전자 브레이크(1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자 브레이크들(120, 140)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이 기립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들(114, 134)에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들(114, 134)의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모터들(118, 138)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들(114, 134)의 제동 상태가 해제된 후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을 수평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부 통로(12)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재 발생시 상기 제1 모터(118)가 상기 제1 도어(110)를 먼저 닫을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제2 모터(138)가 상기 제2 도어(130)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모터들(118, 138)과 상기 제1 및 제2 전자 브레이크들(120, 140)의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156)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156)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모터들(118, 138)과 상기 제1 및 제2 전자 브레이크들(120, 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모터들(118, 138)과 상기 제1 및 제2 전자 브레이크들(120, 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는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전자 브레이크들(120, 140)은 화재 발생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들(114, 134)에 대한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립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는 상기 기립 상태에서 약 5° 내지 10° 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도어(110)가 상기 제2 도어(130)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무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도어(110)가 상기 제2 도어(130)보다 먼저 닫힐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110)는 상기 내부 통로(12)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부재(1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부재(116)는 상기 제1 도어(110)의 회전을 멈추게 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130)는 상기 제1 도어(110) 상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는 상기 내부 통로(12)의 폐쇄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측면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측면들은 상기 제2 도어(130)가 상기 제1 도어(110)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도어(110)는 상기 서포트 부재(1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130)는 상기 제1 도어(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통로(12)에는 상기 웨이트 모듈과 연결된 벨트(30)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110)에는 상기 벨트(30)가 통과하는 오목부(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130)에는 상기 오목부(112)에 대응하는 돌출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30)와 밀착되는 상기 오목부(112)의 내측면과 상기 돌출부(132)의 외측면은 상기 벨트(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오목부(112)의 내측면과 상기 돌출부(132)의 외측면을 제외하고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의 서로 마주하는 다른 측면들만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의 측면들은 수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가 닫힌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측면들 사이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의 측면들 상에는 밀봉 부재(15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의 측면들 상에는 상기 밀봉 부재(150)에 더하여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측면들 사이를 폐쇄하기 위한 팽창 부재(15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팽창 부재(150)로는 세키스이 케미컬(Sekisui Chemical) 주식회사(에서 입수 가능한 에프아이 블록(Fi-Block; 등록상표)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참조하면, 상기 제2 도어(13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110, 130)이 닫히는 경우 상기 벨트(30)를 상기 제1 도어(110)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보조 도어(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어(142)는 상기 제2 도어(1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방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2 도어(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제2 도어(130)가 닫히는 경우 상기 보조 도어(142)가 상기 벨트(30)에 먼저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130)가 닫히는 동안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벨트(30)가 상기 제1 도어(11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가 닫히는 동안 상기 벨트(30)의 흔들림이 상기 보조 도어(142)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웨이트 모듈 또는 상기 캐리지 모듈의 추락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어(11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제1 도어(110) 사이를 폐쇄하기 위한 측면 도어들(160)이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측면 도어들(16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양쪽 내측면들의 형상 프로파일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어(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측면들에는 상기 웨이트 모듈의 수직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들로서 기능하는 리세스(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어(110)의 양측에는 상기 리세스(20)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측면 도어들(160)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측면 도어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들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측면 도어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제1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측면 도어들(160)이 상기 제1 도어(110)의 양쪽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측면 도어들(160)을 동작시키는 측면 도어 구동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측면 도어 구동부(162)는, 상기 제1 도어(110)가 닫히는 동작에 의해 상기 측면 도어들(160)이 상기 제1 도어(110)의 양쪽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링크 기구(164)와, 상기 제1 도어(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도어들(160)이 상기 제1 도어(11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측면 도어들(16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기구(164)는 알파벳 ‘V’자 형태로 구성된 두 개의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링크들의 연결 부위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링크들의 다른 부위들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도어들(160)은 상기 링크들의 다른 부위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부위의 수직 방향 이동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상기 제1 도어(110) 상에는 상기 링크들의 연결 부위의 수직 방향 이동을 위한 제1 가이드 부재(168)와 상기 다른 부위들의 수평 방향 이동을 위한 제2 가이드 부재들(1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측면 도어들(160)의 수평 이동을 위한 제3 가이드 부재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 부재(168)는 수직 방향 안내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들(170)은 수평 방향 안내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가이드 부재들로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부재(116) 상에는 상기 링크 기구(164)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핀(12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어(110)에는 상기 제1 도어(11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핀(122)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12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도어(11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핀(122)이 상기 관통구(124)를 통해 상기 제1 도어(11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링크 기구(164)의 연결 부위가 상승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링크 기구(164)의 양측 단부들이 양쪽 측방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측면 도어들(160)이 상기 제1 도어(110)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66)는 상기 제1 도어(11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돌출된 측면 도어들(160)을 원래의 위치들로 복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코일 스프링이 상기 측면 도어들(160)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측면 도어들(160)이 상기 제1 도어(1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측면 도어들(160)의 외측면에는 밀봉 부재와 팽창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1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부 통로(12)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는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에 의해 각각 동작될 수 있다. 화재 발생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부 통로(12)는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 등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부 통로(12)는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의 회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30)가 안정적으로 닫힐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메인 프레임 12 : 내부 통로
14 : 레일 20 : 리세스
30 : 벨트 100 : 방화 셔터
110 : 제1 도어 112 : 오목부
114 : 제1 수평축 116 : 서포트 부재
118 : 제1 모터 120 : 제1 전자 브레이크
122 : 구동 핀 124 : 관통구
130 : 제2 도어 132 : 돌출부
134 : 제2 수평축 136 : 서포트 플레이트
138 : 제2 모터 140 : 제2 전자 브레이크
142 : 보조 도어 150 : 밀봉 부재
152 : 팽창 부재 156 : 센서
160 : 측면 도어 162 : 측면 도어 구동부
164 : 링크 기구 166 : 탄성 부재

Claims (23)

  1.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제1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제2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은 상기 내부 통로의 폐쇄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측면들을 갖고, 상기 측면들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2 도어의 측면이 상기 제1 도어의 측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각각 전자 브레이크에 의해 기립 상태를 유지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내부 통로를 폐쇄하기 위하여 각각 수평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은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상기 기립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전자 브레이크의 제동 상태는 전원 공급의 차단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5. 삭제
  6. 삭제
  7.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제1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제2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쪽 내측면들의 형상 프로파일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도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쪽 내측면들 사이를 폐쇄하기 위한 측면 도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측면 도어들이 상기 제1 도어의 양쪽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측면 도어들을 동작시키는 측면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도어 구동부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는 동작에 의해 상기 측면 도어들이 상기 제1 도어의 양쪽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링크 기구; 및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도어들이 상기 제1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측면 도어들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 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에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핀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1.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제1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제2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통로에는 상기 타워 리프트의 웨이트 모듈과 연결되는 벨트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 통로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벨트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이 닫히는 경우 상기 벨트를 상기 제1 도어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도어는 상기 제2 도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 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에는 상기 벨트가 통과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에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5.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제1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제2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6. 제1항, 제7항, 제1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사이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들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밀봉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7. 제1항, 제7항, 제1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들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들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팽창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8. 건물 내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물건의 이송을 위한 캐리지 모듈을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고 내측에는 웨이트 모듈의 수직 이동을 위한 내부 통로를 형성하며 내측면들에는 상기 웨이트 모듈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리세스가 각각 구비되는 타워 리프트의 메인 프레임용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제1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도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제2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리세스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도어의 양쪽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장착되는 측면 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제1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 통로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동안 상기 측면 도어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핀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 도어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측면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 도어 구동부는, 서로 연결된 두 개의 링크들과, 상기 링크들의 연결 부위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링크들의 다른 부위들을 서로 반대의 수평 방향으로 각각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도어들은 상기 링크들의 다른 부위들에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들의 연결 부위는 상기 관통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구동 핀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도어 구동부는,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측면 도어들이 상기 제1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측면 도어들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웨이트 모듈과 연결된 벨트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KR1020180043308A 2018-04-13 2018-04-13 방화 셔터 KR10253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08A KR102534383B1 (ko) 2018-04-13 2018-04-13 방화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08A KR102534383B1 (ko) 2018-04-13 2018-04-13 방화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48A KR20190119848A (ko) 2019-10-23
KR102534383B1 true KR102534383B1 (ko) 2023-05-18

Family

ID=6846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08A KR102534383B1 (ko) 2018-04-13 2018-04-13 방화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3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365U (ja) * 1991-12-17 1993-07-09 株式会社ノダ 防火ドアの構造
JP3446858B2 (ja) * 1996-04-15 2003-09-16 株式会社ダイフク クリーンルーム用の昇降装置
KR20090056822A (ko) * 2007-11-30 2009-06-03 박재웅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
KR101347542B1 (ko) * 2012-04-03 2014-01-07 주식회사 다원시스 강판 유도 가열기용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48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71095B (en) Load port system of substrate processor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KR101731260B1 (ko) 수직반송 시스템
KR20180047185A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KR101854044B1 (ko) 텐션 롤러를 갖는 타워 리프트
JP2003092339A (ja) ウエハマッピ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ロードポート
KR102616683B1 (ko) 오토 텐셔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
KR102534383B1 (ko) 방화 셔터
TW201908220A (zh) 物品搬送車
KR20020035563A (ko) Smif 호환 개방 카세트 인클로저
KR101864947B1 (ko) 브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
KR20210041343A (ko) 타워 리프트
US10954714B2 (en) Fireproof shutter
KR101935669B1 (ko) 타워 리프트
KR101610168B1 (ko) 웨이퍼 카세트
KR102607317B1 (ko) 타워 리프트
KR102534386B1 (ko) 방화 셔터
KR20180130388A (ko) Smif 장치
KR102385585B1 (ko) 건설 리프트용 세대 안전문 개폐장치
KR102185264B1 (ko) 이송 장치
KR20200079031A (ko) 이송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TWI811526B (zh) 搬送車
KR20180065613A (ko) 웨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타워 리프트
KR102076166B1 (ko) 정렬부가 포함된 카세트모듈 로드락 장치
JP2016222411A (ja) エレベータの乗場側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