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926B1 -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926B1
KR102533926B1 KR1020150155179A KR20150155179A KR102533926B1 KR 102533926 B1 KR102533926 B1 KR 102533926B1 KR 1020150155179 A KR1020150155179 A KR 1020150155179A KR 20150155179 A KR20150155179 A KR 20150155179A KR 102533926 B1 KR102533926 B1 KR 10253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ear
terminal
power terminal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981A (ko
Inventor
박경상
김성진
박창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9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부; 상기 스테이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와 함께 회전하고,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 및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동력 전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실시 예는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스테이터가 배치되고 스테이터 중앙에는 로터가 배치된다. 로터는 스테이터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따라 회전하여 외부에 동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기어가 회전하여 마스터 실린더를 가압함으로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모터와 기어박스가 각각 단일 제품으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경우 조립이 복잡해지고, 부품(예: 체결부품)이 증가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는 기어를 장착할 수 있는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부; 상기 스테이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와 함께 회전하고,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 및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부 및 로터부가 배치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 및 상기 전원단자가 배치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전원단자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고정하는 몸체;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원단자; 및 상기 전원단자를 커버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은 상기 캡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터미널 및 몸체를 커버하는 제1캡 및 상기 전원단자를 커버하는 제2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과 연결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산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부,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버스바, 로터부, 및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과 연결되는 기어부가 배치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동력 전달 장치.
상기 기어부는, 상기 나사산에 의해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고정하는 몸체;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기어박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원단자; 및 상기 전원단자를 커버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터미널 및 몸체를 커버하는 제1캡 및 상기 전원단자를 커버하는 제2캡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 제작 과정에서 기어를 장착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원단자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ECU 및 인터버와 조립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동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동작하는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동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100A)는, 하우징(110)과, 스테이터(120), 로터(130), 회전축(140), 버스바(150), 및 커버(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이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되는 경우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1하우징(111)은 로터(130) 및 스테이터(120)가 배치되는 제1수용홈(113), 및 커버(160)와 결합되는 체결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1)은 모터 하우징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하우징(112)은 기어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홈(114)을 포함한다. 제2수용홈(114)의 바닥면에는 제1홀(115)이 형성되고, 제1홀(115)의 외주면에는 돌출턱(116)이 형성되어 기어부를 고정할 수 있다. 제2하우징(112)은 기어박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하우징(112)은 열 방출을 위해 방열핀(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홈(113)의 연장 방향과 제2수용홈(114)의 연장방향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테이터(120)는 제1하우징(111)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120)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121) 및 복수 개의 분할 코어(121)에 권선된 코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122)은 제1단과 제2단이 축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단은 권선의 시작단일 수 있고, 제2단은 권선의 종료단일 수 있다.
로터(130)는 원통 형상의 로터 코어(131)와 로터 코어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132)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130)는 스테이터(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40)은 로터(1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40)의 일단에는 나사산(141)이 형성되어 기어부와 치합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스테이터(120)의 각 코일(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152)과 복수 개의 터미널(152)을 고정하는 절연몸체(151), 및 터미널(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154)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152)은 U, V, W상 구동 터미널(152)일 수 있다. 또한, 중성 터미널(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150)에 의해 스테이터(120)의 코일(122)은 3상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결선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전원단자(154)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각 구동 터미널(152)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단자(154)의 일단(154a, 이하 접속부)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구동 터미널(152)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미널(152)과 전원단자(15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단자(154)는 일부 구간이 절연체로 커버될 수 있다.
캡(155)은 절연 재질로 제작되어 버스바(150)와 하우징(110)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캡(155)은 터미널(152)과 절연몸체(151)를 커버하는 제1캡(156), 및 전원단자(154)를 커버하는 제2캡(1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캡(156)은 절연몸체(151)를 커버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외측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접속 돌기(158)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돌기(158)는 제1캡(156)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스테이터(120)에 삽입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캡(157)은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전원단자(154)와 하우징(110)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이때, 전원단자(154)의 접속부(154a)는 제2캡(157)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어부(170)의 제1기어(171)는 제2수용홈(114)에 배치되어 나사산(141)과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171)는 회전하게 된다.
전원단자(154)의 접속부(154a)는 제2하우징(112)에 형성된 관통홀(1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접속부(154a)가 제어부(70)의 회로기판(7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어부(70)은 인버터 또는 ECU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캡(157)은 전원단자(154)와 관통홀(118)의 내벽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회전축(140)의 끝단에는 센싱 마그넷(182)이 장착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넷(182)을 이용하여 로터(13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에 배치된 홀 센서(미도시)는 센싱 마그넷(182)의 회전을 감지하여 로터(120)의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센싱 마그넷(182)을 회전축(140)의 끝단에 고정하는 홀더(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0)은 복수 개의 베어링(151, 152, 15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베어링(151, 152, 153)은 회전축(140)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151), 회전축(140)의 중단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152), 및 회전축(140)의 상단을 제어하는 제3베어링(15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0)은 제2하우징(112)의 제2수용홈(114)과 연결된 제3홀(119)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81)는 제3홀(119)에 결합되어 오일(Oil)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동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동작하는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4를 참고하면, 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과 연결된 제1기어(171)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기어(171)와 연결된 제2기어(173)가 회전하면서 운동부재(172)를 직선 운동시킨다. 제2기어(173)와 운동부재(172)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운동부재(172)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40)를 가압하게 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축(140)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어 구조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은, 먼저 회전축(140)에 로터(130)와 제2베어링(152)을 고정한다. 이후, 제2베어링(152)이 조립된 회전축(140)을 하우징(110)에 삽입한다.
하우징(110)에 제2베어링(152)을 먼저 삽입한 후 회전축(140)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제2베어링(152)의 내경 지지 공간이 부족하여 회전축(140)의 삽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공정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삽입된 회전축(140)의 일단은 제3홀(119)로 노출될 수 있다.
이후, 스테이터(120)에 버스바(150)를 조립하여 하우징(110)에 삽입할 수 있다. 버스바(150)의 제1캡(156)의 중앙에는 제2홀(15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홀(156a)의 직경은 로터(13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에서 로터(130)는 스테이터(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커버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어를 장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100B)는 기어박스(191), 스테이터(120), 로터(130), 회전축(140), 버스바(150), 및 모터 하우징(19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하우징의 구조만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기어박스(191)는 기어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홈(193)을 포함한다. 제3수용홈(193)의 양측벽에는 회전축(140)이 배치되는 제4홀(195) 및 제5홀(19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50)의 전원단자(154a)가 노출되는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92)은 스테이터(120), 로터(130), 버스바(150), 회전축(140)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기어박스(191)와 결합되는 체결부(192a)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20)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121) 및 복수 개의 분할 코어(121)에 권선된 코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130)는 원통 형상의 로터 코어와 로터 코어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130)는 스테이터(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40)은 로터(1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40)의 일단에는 나사산(141)이 형성되어 기어부(170)와 치합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스테이터(120)의 각 코일(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152)과 복수 개의 터미널(152)을 고정하는 절연몸체(151), 및 터미널(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154)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152)은 U, V, W상 구동 터미널(152)일 수 있다. 또한, 중성 터미널(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원단자(154)는 구동 터미널(152)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미널(152)과 전원단자(15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159)은 복수 개의 전원단자(154)를 커버하여 기어박스(191)와 전원단자(154)를 절연한다. 전원단자(154)의 접속부(154a)는 캡(159)에서 노출되어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기어부(170)의 제1기어(171)는 제3수용홈(193)에 배치되어 나사산(141)과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171)는 회전하게 된다.
전원단자(154)의 접속부(154a)는 기어박스(19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어부(70)의 회로기판(7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어부(70)은 인버터 또는 ECU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0)의 끝단에는 센싱 마그넷(182)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마그넷(182)을 회전축(140)의 끝단에 고정하는 홀더(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0)은 복수 개의 베어링(151, 152, 15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베어링(151, 152, 153)은 회전축(140)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151), 회전축(140)의 중단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152), 및 회전축(140)의 상단을 제어하는 제3베어링(15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0)은 제5홀(19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81)는 제5홀(196)에 결합되어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에 기어가 동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회전축(140)은 기어부(170)를 구동시킨다. 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141)과 연결된 제1기어(171)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기어(171)와 연결된 제2기어(173)가 회전하면서 운동부재(172)를 직선 운동시킨다. 운동부재(172)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를 가압하게 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접속단자의 접속부(154a)는 관통홀(19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먼저, 회전축(140)에 로터(130)를 고정한 후 기어박스(191)에 삽입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동일한 이유로 베어링을 회전축(140)에 고정한 후 기어박스(191)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모터 하우징(192)에 스테이터(120)를 고정하고 그 위에 버스바(150)를 연결한다. 모터 하우징(192)은 스테이터(120)가 배치되는 삽입공간(192b)의 측면에 공간부(192c)가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192c)에는 캡(159)으로 커버된 전원단자(194)가 삽입된다. 이때, 전원단자의 타단(154b)은 터미널의 끝단(15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후, 기어박스(191)와 모터 하우징(192)을 결합한다. 이때, 전원단자의 접속부(154a)는 기어박스(191)에 형성된 관통홀(19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60)은 차량의 페달(1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 유닛(20), 컨트롤 유닛(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100)에 3상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30), 회전력을 기어부(170)에 전달하는 모터(100), 모터(1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마스터 실린더(40)를 가압하는 기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0)은 전자 제어 유닛(ECU)일 수 있고, 구동 유닛(30)은 인버터일 수 있다. 컨트롤 유닛(20)은 페달(10)의 조작 신호에 맞게 모터의 토크를 결정하고 제어 신호를 구동 유닛(30)에 출력할 수 있다.
구동 유닛(30)은 배터리의 직류 전원을 3상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100)에 인가할 수 있다. 기어부(170)는 모터(100)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여 마스터 실린더(40)를 감속하게 된다. 마스터 실린더(40)가 가압됨으로써 차량 휠(50)의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110: 하우징
111: 제1하우징
112: 제2하우징
120: 스테이터
130: 로터
140: 회전축
141: 나사산
170: 기어부
191: 기어박스
192: 모터 하우징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부;
    상기 스테이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와 함께 회전하고,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 및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고정하는 몸체; 및
    상기 전원단자를 커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터미널 및 몸체를 커버하는 제1캡 및 상기 전원단자를 커버하는 제2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캡은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커버하는 동력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부 및 로터부가 배치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 및 상기 전원단자가 배치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는 동력 전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나사 결합되는 동력 전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전원단자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은 상기 캡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동력 전달 장치.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과 연결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산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11.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부,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버스바, 로터부, 및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과 연결되는 기어부가 배치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과 함께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고정하는 몸체; 및
    상기 전원단자를 커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터미널 및 몸체를 커버하는 제1캡 및 상기 전원단자를 커버하는 제2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캡은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커버하는 동력 전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나사산에 의해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155179A 2015-11-05 2015-11-05 동력 전달 장치 KR102533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79A KR102533926B1 (ko) 2015-11-05 2015-11-05 동력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79A KR102533926B1 (ko) 2015-11-05 2015-11-05 동력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81A KR20170052981A (ko) 2017-05-15
KR102533926B1 true KR102533926B1 (ko) 2023-05-18

Family

ID=5873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179A KR102533926B1 (ko) 2015-11-05 2015-11-05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961B1 (ko) * 2017-09-26 2018-11-13 (주)타마스 볼 스크류 타입의 전자 브레이크 모터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213A (ja) * 2001-02-13 2002-08-23 Asmo Co Ltd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06038091A (ja) * 2004-07-27 2006-02-09 Aisin Seiki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13162730A (ja) * 2012-02-08 2013-08-19 Nsk Ltd 回転電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2844D0 (en) * 1998-06-16 1998-08-12 Lucas Ind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assisted steering
KR20050112014A (ko) * 2004-05-24 2005-11-29 효성전기주식회사 자동차 모터용 커버-유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213A (ja) * 2001-02-13 2002-08-23 Asmo Co Ltd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06038091A (ja) * 2004-07-27 2006-02-09 Aisin Seiki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13162730A (ja) * 2012-02-08 2013-08-19 Nsk Ltd 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81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6808B2 (en) Electric linear actuator
US20100019586A1 (en) External rotor motor
US10587166B2 (en) Motor
EP3089330B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8247936B2 (e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motor vehicle
US20230387749A1 (en) Driving motor equipped with bldc motor, and actuator using same
WO2016068073A1 (ja) 駆動装置
KR102557295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CN113678346B (zh) 具有无刷电动马达的驱动设备
KR102533926B1 (ko) 동력 전달 장치
KR102180737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JP6396862B2 (ja) 構造体一体型回転電機
JP4875857B2 (ja) 回転電機
JP6572087B2 (ja) 電動機
JP5906029B2 (ja) 電動モータ
JP7432706B2 (ja) 自動車のワイパーシステム用のブラシレス直流電気モータ
JP2008283816A (ja) 回転電機
WO2015174090A1 (ja) 内燃機関用回転電機
KR102477861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102488442B1 (ko) 모터 장치
KR101987168B1 (ko) 스크류 전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8297B1 (ko) 모터 모듈
JPWO2018051773A1 (ja) モータ
JP2019216549A (ja) コイル、モータ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7059739B2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