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830B1 -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 - Google Patents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830B1
KR102533830B1 KR1020220121642A KR20220121642A KR102533830B1 KR 102533830 B1 KR102533830 B1 KR 102533830B1 KR 1020220121642 A KR1020220121642 A KR 1020220121642A KR 20220121642 A KR20220121642 A KR 20220121642A KR 102533830 B1 KR102533830 B1 KR 10253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dehumidified
cooling
de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프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2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14Explosion or fire protection arrangements on packages or ammuni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는, 제습대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습대상으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된 제습대상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제습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로터를 통해 제습을 수행한 뒤 상기 제습대상으로 재공급하는 제습유닛, 외부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유닛 측으로 유동되는 순환공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킴에 따라 상기 제습유닛 내 수분이 증발되어 상기 순환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히팅유닛 및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습유닛에 의해 제습된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히트싱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Ammo Storage Dry Dehumidifier with Temperature Control}
본 발명은 탄약고의 제습을 위해 설치되는 건식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트싱크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제습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대상에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탄약고 건식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군용시설 및 군용장비는 긴급 상황에도 차질 없는 운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군용시설 및 군용장비의 경우 탄약이나 화약, 그리고 유도 미사일을 비롯한 다양한 무기 등 군수용품이 보관되어 있으므로, 지속적인 제습을 통해 군수용품 등이 부식 및 산화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는 냉매를 순환하는 방식의 일반적인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는 제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냉매 순환 방식의 제습기는 그 효율은 좋은 편이나 안전 상의 문제가 존재하여, 국방부 지침 상 제습기에 냉매를 사용할 수 없어 군용시설 및 군용장비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냉매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의 제습기가 개발되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제습기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 습도 조건은 만족시킬 수 있으나 온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44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제습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대상에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탄약고 건식제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는, 제습대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습대상으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된 제습대상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제습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로터를 통해 제습을 수행한 뒤 상기 제습대상으로 재공급하는 제습유닛, 외부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유닛 측으로 유동되는 순환공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킴에 따라 상기 제습유닛 내 수분이 증발되어 상기 순환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히팅유닛 및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습유닛에 의해 제습된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히트싱크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히트싱크유닛은, 내부에 상기 열전소자가 구비되는 냉각하우징 및 일측이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 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냉각부에서 발생한 냉기를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히트싱크유닛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에서 발생한 열기를 상기 냉각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습로터는,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가 구비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히팅유닛을 거친 순환공기를 통해 건조되는 재생부 및 상기 제습부와 상기 재생부를 구획하는 제습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히트싱크유닛이 구동 불가능한 상황에서 상기 히트싱크유닛을 대체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제습유닛을 통과하여 제습대상 측으로 유동되는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냉각유닛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어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통해 상기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는, 냉매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제습 메커니즘을 통해 제습대상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다시 제습대상으로 재공급할 수 있으므로, 냉매의 사용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습도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제습 후 재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강하시키는 히트싱크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탄약고 내에 구비되는 다양한 군수용품들의 보존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가 탄약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의 제습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에 있어서, 히트싱크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에 있어서, 히트싱크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1)가 탄약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1)는 탄약고와 같이 군수용품이 보관되는 내부공간(S)을 가지는 시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1)는 지하 탄약고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적용 예로서 본 발명은 기타 다른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은 탄약고 건식제습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탄약고 건식제습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는 메인하우징(10), 제습유닛(100), 히팅유닛(200), 히트싱크유닛(300) 및 보조냉각유닛(400)을 포함한다.
메인하우징(10)은 내부에 타 구성요소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습대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습대상은 지하 탄약고의 내부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습대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메인하우징(10)은 전면 및 후면에 내부의 수용공간(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11)가 구비되며, 또한 하부에는 지면에 설치되어 메인하우징(10)을 지지하는 지지다리(13)가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메인하우징(10)의 일측에는 제습대상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구(20a)와, 제1공기유입구(20a)를 통해 유입되어 제습된 공기가 다시 제습대상으로 공급되는 제1공기배출구(20b)가 구비되며, 메인하우징(10)의 타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구(30a)와, 제2공기유입구(30a)를 통해 유입되어 후술할 제습유닛(100)의 제습로터(110)를 재생시킨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제2공기배출구(30b)가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메인하우징(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습유닛(100)은 메인하우징(10)의 수용공간(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습대상으로부터 메인하우징(10) 내측으로 유입된 제습대상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제습로터(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습로터(110)에 의해 제습을 수행한 이후 제습대상공기는 제습대상으로 재공급된다.
여기서 제습대상공기는 제습대상의 실내에서 메인하우징(10)으로 유입되는, 제습 과정을 통해 습도를 낮추기 위한 대상이 되는 공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히팅유닛(200)은 외부로부터 메인하우징(10) 내측으로 유입되어 제습유닛(100) 측으로 유동되는 순환공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킴에 따라, 제습유닛(100) 내 수분이 증발되어 순환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순환공기는 외부로부터 메인하우징(10)으로 유입되어, 제습유닛(100)의 제습로터(110)를 건조시키기 위한 공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제습로터(110)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히트싱크유닛(300)은 제습유닛(100)에 의해 제습되어 제습대상 측으로 유동되는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강하시키도록 구비되며,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열전소자(320, 도 6 참조) 및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는 히트파이프(330,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히트싱크유닛(300)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보조냉각유닛(400)은 히트싱크유닛(300)이 구동 불가능한 상황에서 히트싱크유닛(300)을 대체하도록 작동하여, 제습유닛(100)을 통과하여 제습대상 측으로 유동되는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키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냉각유닛(400)은 메인하우징(10)의 외측에 장착되어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420)와, 수용공간(11) 내에 구비되어 실외기(420)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통해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냉각유닛(400)은 소정의 냉매를 통해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보조냉각유닛(400)은 열전소자(320)를 통한 냉각 방식을 가지는 형태의 히트싱크유닛(30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히트싱크유닛(300)을 대체하도록 작동하여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는 히트싱크유닛(300)이 고장 등과 같은 사유로 인해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도 보조냉각유닛(400)을 통해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습 메커니즘과, 제습유닛(100) 및 히트싱크유닛(3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의 제습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의 제습로터(110)는 구동벨트를 통해 구동모터(12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해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습로터(110)는 제습대상공기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부(111)와, 제습부(111)가 구비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형성하며, 히팅유닛(200)을 거친 순환공기를 통해 건조되는 재생부(112)와, 제습부(111)와 재생부(11)를 구획하는 제습격벽(11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습로터(11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습격벽(113)에 의해 분할된 부채꼴 형태의 영역인 제습부(111)는 제1공기유입구(20a)를 통해 유입된 제습대상공기에서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습로터(110)는 흡습성을 가지는 소재 또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습부(111)에서 제습을 수행하여 습윤해진 영역은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되어 재생영역(140b)으로 이동하게 되고, 재생영역(140b)에서 히팅유닛(200)에 의해 건조된 고온의 순환공기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제습로터(110)는 제습 - 건조 - 재생의 과정을 거치면서 제습대상공기에 대한 제습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습로터(110)를 통과한 제습대상공기는 제습로터(110)의 건조 과정에서 남아 있는 열에 의해 다소 가열된 상태를 가지므로, 이후 제습대상공기는 히트싱크유닛(300)으로 유입되어 냉각된 후 제습대상에 재공급될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유닛(300)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보조냉각유닛(400)이 작동하여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에 있어서, 히트싱크유닛(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히트싱크유닛(300)은, 내부에 열전소자(320)가 구비되는 냉각하우징(310)과, 일측이 열전소자(320)의 냉각부(322) 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노출됨에 따라 열전소자(320)의 냉각부(322)로부터 발생하는 냉기를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로 전달하여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히트파이프(330)를 포함한다.
즉 제습유닛(100)을 거쳐 제습대상 측으로 유동되는 제습대상공기는 히트싱크유닛(300)의 히트파이프(330)를 거치는 과정에서 목표온도로 강하되고, 메인하우징(10)의 제1공기배출구(20b)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공기배출구(20b)로 배출되는 제습대상 공기의 목표온도는 25℃ 이하일 수 있으며, 목표습도는 40~60%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히트싱크유닛(300)은, 열전소자(420)의 발열부(421) 측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냉각하우징(310)에 형성된 배기홀(311)을 통해 외측으로 방출시키는 송풍기(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출된 열기는 외부로 배기될 수도 있으나, 외부기기 측에 공급되어 열에너지를 활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열에너지를 재사용하기 위한 외부기기는 본 발명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전열장치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냉매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제습 메커니즘을 통해 제습대상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다시 제습대상으로 재공급할 수 있으므로, 냉매의 사용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습도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제습 후 재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강하시키는 히트싱크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탄약고 내에 구비되는 다양한 군수용품들의 보존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이하 설명될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약고 건식제습기에 있어서, 히트싱크유닛(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히트싱크유닛(300)이 다소 변형된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히트싱크유닛(300)은 제1실시예의 히트파이프를 대신하여,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에 노출됨에 따라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냉각용 방열판(3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냉각용 방열판(350)은 열 전달률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방열핀(3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히트싱크유닛(300)은, 냉각용 방열판(350)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방열핀(351) 사이사이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냉각배관(37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냉각배관(370)은 제습유닛(100) 측에 연결되는 배관과 제1공기배출구(20b) 측에 연결되는 배관을 서로 연통시키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방열핀(351) 사이를 통과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습유닛(100)으로부터 유동된 제습대상공기는 복수 개의 냉각배관(370)을 통해 분할 유동되며, 냉각용 방열판(350)의 내측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냉각배관(370)을 통해 제습대상공기의 유량을 분산시킨 뒤, 온도가 낮은 지점, 즉 방열핀(351) 사이를 직접적으로 통과시킴에 따라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히트싱크유닛(300)은, 열전소자(320) 및 냉각용 방열판(350)을 소정 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하행정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행정부(360)는 열전소자(320)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열전소자(320)의 발열부(321)에서 발생한 열기를 하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하행정부(360)는 열전소자(320)를 고정시키는 고정파이프(361)와, 이와 같은 고정파이프(36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회전파이프(362)와, 구동벨트를 통해 회전파이프(362)를 회전시키는 보조모터(3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파이프(361)와 회전파이프(362)는 서로 외경이 다르게 형성되어 나사산에 의해 치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보조모터(363)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파이프(362)가 회전하게 될 경우 고정파이프(36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열전소자(320) 및 냉각용 방열판(350)의 높이를 가변시키게 된다. 여기서 고정파이프(361)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되,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용 방열판(350)과 냉각배관(370)과의 접촉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각배관(370)으로 유동되는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미세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은 제1공기배출구(20b)를 통해 배출되는 제습대상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온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온습도센서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보조모터(363)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온습도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제습대상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보조모터(363)를 제어하여 냉각용 방열판(350)과 냉각배관(370)과의 접촉면적을 가변시키고, 이에 따라 냉각배관(370)으로 유동되는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미세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탄약고 건식제습기
10: 메인하우징
11: 수용공간
12: 개폐도어
13: 지지다리
20a: 제1공기유입구
20b: 제1공기배출구
30a: 제2공기유입구
30b: 제2공기배출구
100: 제습유닛
110: 제습로터
111: 제습부
112: 재생부
113: 제습격벽
120: 구동모터
200: 히팅유닛
300: 히트싱크유닛
310: 냉각하우징
311: 배기홀
320: 열전소자
321: 발열부
322: 냉각부
330: 히트파이프
340: 송풍기
350: 냉각용 방열판
351: 방열핀
360: 상하행정부
361: 고정파이프
362: 회전파이프
363: 보조모터
370: 냉각배관
400: 보조냉각유닛
410: 냉각모듈
420: 실외기

Claims (6)

  1. 제습대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습대상으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된 제습대상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제습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로터를 통해 제습을 수행한 뒤 상기 제습대상으로 재공급하는 제습유닛;
    외부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유닛 측으로 유동되는 순환공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킴에 따라 상기 제습유닛 내 수분이 증발되어 상기 순환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히팅유닛; 및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습유닛에 의해 제습된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히트싱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히트싱크유닛은,
    일측이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 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강하시키며, 열 전달률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냉각용 방열판;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방열핀 사이사이를 통과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습대상공기를 분할 유동시킴에 따라 냉각 효율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냉각배관; 및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측에서 발생한 열기를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되,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냉각용 방열판을 소정 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냉각용 방열판과 상기 냉각배관과의 접촉면적을 가변시키는 상하행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행정부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열전소자를 고정시키는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회전파이프; 및
    구동벨트를 통해 상기 회전파이프를 회전시키는 보조모터;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파이프와 상기 회전파이프는 서로 외경이 다르게 형성되어 나사산에 의해 치합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파이프가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냉각용 방열판의 높이를 가변시키며,
    상기 제습대상 측으로 배출되는 제습대상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온습도센서; 및
    상기 온습도센서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상기 보조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제습대상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용 방열판과 상기 냉각배관과의 접촉면적을 가변시키고, 상기 냉각배관으로 유동되는 제습대상공기의 온도를 미세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탄약고 건식제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유닛은,
    내부에 상기 열전소자가 구비되는 냉각하우징; 및
    일측이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 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냉각부에서 발생한 냉기를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유동경로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
    를 포함하는,
    탄약고 건식제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유닛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에서 발생한 열기를 상기 냉각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탄약고 건식제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로터는,
    상기 제습대상공기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가 구비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히팅유닛을 거친 순환공기를 통해 건조되는 재생부; 및
    상기 제습부와 상기 재생부를 구획하는 제습격벽;
    을 포함하는,
    탄약고 건식제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유닛이 구동 불가능한 상황에서 상기 히트싱크유닛을 대체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제습유닛을 통과하여 제습대상 측으로 유동되는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유닛을 더 포함하는,
    탄약고 건식제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냉각유닛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어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통해 상기 제습대상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을 포함하는,
    탄약고 건식제습기.
KR1020220121642A 2022-09-26 2022-09-26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 KR102533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642A KR102533830B1 (ko) 2022-09-26 2022-09-26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642A KR102533830B1 (ko) 2022-09-26 2022-09-26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830B1 true KR102533830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642A KR102533830B1 (ko) 2022-09-26 2022-09-26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8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561A (ja) * 1997-04-09 1998-10-20 Calsonic Corp ヒートポンプ式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120035010A (ko) * 2010-10-04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KR101507524B1 (ko) * 2014-10-22 2015-04-07 주식회사 미르텍 항공기용 이동형 제습장치
KR101664464B1 (ko) * 2016-04-26 2016-10-14 주식회사 미르텍 탄약고 건식 제습기
KR101672427B1 (ko) * 2016-04-26 2016-11-04 주식회사 미르텍코리아 항공기용 이동형 제습기
KR20170044470A (ko) 2015-10-15 2017-04-25 이종찬 실내 실외 공용 제습기용 하우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561A (ja) * 1997-04-09 1998-10-20 Calsonic Corp ヒートポンプ式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120035010A (ko) * 2010-10-04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KR101507524B1 (ko) * 2014-10-22 2015-04-07 주식회사 미르텍 항공기용 이동형 제습장치
KR20170044470A (ko) 2015-10-15 2017-04-25 이종찬 실내 실외 공용 제습기용 하우징
KR101664464B1 (ko) * 2016-04-26 2016-10-14 주식회사 미르텍 탄약고 건식 제습기
KR101672427B1 (ko) * 2016-04-26 2016-11-04 주식회사 미르텍코리아 항공기용 이동형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9747B2 (ja) 空気調和機
JP5944058B2 (ja) 冷凍装置の昇華デフロストシステム及び昇華デフロスト方法
KR102302927B1 (ko) 천장형 액체 흡습제 공조 시스템
JP5636452B2 (ja) 除湿/空調装置
JP2971843B2 (ja) 除湿空調装置
US6959875B2 (en) Humidity controller
US5817167A (en) Desiccant based dehumidifier
US20110174003A1 (en) Evaporative Cooling Tower Performance Enhancement Through Cooling Recovery
KR20080007407A (ko) 공조 시스템
KR20120062593A (ko)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
JP2008111649A (ja) 除湿空調装置
US9297543B2 (en) Dehumidification system
WO2015163304A1 (ja) 除湿空調方法及び装置
JP5228336B2 (ja) ハイブリッド型除湿装置
JP2014014787A (ja) 除湿システム
BR112013009954A2 (pt) Sistema desumidificador e método de desumidificação de um fluxo de ar
KR101960158B1 (ko) 제습 장치 및 제습 시스템
KR102533830B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탄약고 건식제습기
JP6165150B2 (ja) 除湿機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228948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WO2018109990A1 (ja) 塗装用乾燥設備
WO2005123225A1 (ja) 除湿装置
JP2014206376A (ja) デシカントロータを用いた外気処理装置
JP2008170137A (ja) 除湿空調装置
KR101664464B1 (ko) 탄약고 건식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