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447B1 -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3447B1 KR102533447B1 KR1020210073789A KR20210073789A KR102533447B1 KR 102533447 B1 KR102533447 B1 KR 102533447B1 KR 1020210073789 A KR1020210073789 A KR 1020210073789A KR 20210073789 A KR20210073789 A KR 20210073789A KR 102533447 B1 KR102533447 B1 KR 102533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layer
- raw material
- oral cavity
- covering material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1 Poly(ox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61549 Sensation of foreign body Diseases 0.000 abstract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60003943 hypromellose Drugs 0.000 description 6
- TUSDEZXZIZRFGC-UHFFFAOYSA-N 1-O-galloyl-3,6-(R)-HHDP-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2)COC(=O)C3=CC(O)=C(O)C(O)=C3C3=C(O)C(O)=C(O)C=C3C(=O)OC1C(O)C2OC(=O)C1=CC(O)=C(O)C(O)=C1 TUSDEZXZIZRF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LRBQNJMCXXYXIU-PPKXGCFTSA-N Penta-digallate-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PPKXGCFTSA-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5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856 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ZSNKZQZMQGXPY-UHFFFAOYSA-N 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CCOCC1OC(OC)C(OCC)C(OCC)C1OC1C(O)C(O)C(OC)C(CO)O1 ZZSNKZQZMQGX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SEJCLTVZPLZKY-UHFFFAOYSA-N Triethanolamine Chemical compound OCCN(CCO)CCO GSEJCLTVZPLZ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OOTYTYQINUNNV-UHFFFAOYSA-N Trieth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OC(=O)CC(O)(C(=O)OCC)CC(=O)OCC DOOTYTYQINUN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49 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25 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069 triethyl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MYFZRTXGLUXMZ-UHFFFAOYSA-N triethyl citrate Natural products CCOC(=O)C(O)(C(=O)OCC)C(=O)OCC VMYFZRTXGLUX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769 triethyl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63 hydr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1574 hydroxymethyl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00 mouth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57 residual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URAYPUMNDPQOKB-UHFFFAOYSA-N triacetin Chemical compound CC(=O)OCC(OC(C)=O)COC(C)=O URAYPUMNDPQO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21 water soluble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440 Herpetic Sto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17 Oral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7 Thi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0 amphoter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52 auxilia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3 cat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99 coating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87 glyceryl tri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73 glyceryl tri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7 hydrophil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0 hydrophob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53 low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3 micel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16 pharmaceutical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13 selfh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22 tria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WEAPVABOECTMGR-UHFFFAOYSA-N triethyl 2-acetyloxypropane-1,2,3-tr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OC(=O)CC(C(=O)OCC)(OC(C)=O)CC(=O)OCC WEAPVABOECTMG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659—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714—Plasters adhesive adhesives for mucos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강 내부에서 피복재의 유연성과 두께에 따른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구강 내 방해요소에 대응하여 부착시간을 장기간 유지하는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는 구강 내 부착 방해요소에 대한 영향과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러운 탈락이 가능하고, 구강용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은 건조시간을 제어하여 피복재의 크랙이나 파손을 방지하면서 균일한 두께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여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는 구강 내 부착 방해요소에 대한 영향과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러운 탈락이 가능하고, 구강용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은 건조시간을 제어하여 피복재의 크랙이나 파손을 방지하면서 균일한 두께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여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강 내부에서 피복재의 유연성과 두께에 따른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구강 내 방해요소에 대응하여 부착시간을 장기간 유지하는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피부에 창상과 같은 결손부위가 발생할 경우, 상기 결손 부위를 방어하고 자가 치유를 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런 경우에 결손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유하고, 그 치유속도를 높이기 위한 보조제로서, 창상피복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창상피복재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결손부위에 있어서 거부반응이 없어야 하며, 창상부위로부터 삼출하는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야 하고, 피복재의 일부가 신생조직에 함몰되어도 분해 생성물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야 하고, 창상면과 피복재가 적절히 밀착되어야 한다. 또한, 결손부위의 추가감염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고, 참출액을 흡수하더라도 당해 피복재가 흩어지지 않고, 교환시에 창상부에 작은 조각이 남지 않아야 한다.
구강점막에 부착가능한 피복제형 중 겔 제형은 구강궤양, 단순포진 등의 치료에 흔히 사용되지만 타액에 의하여 쉽게 섞이고 팽윤되어 제형의 형태 유지시간이 짧아 구강 점막에 흡수되는 약물의 양보다는 경구로 삼키는 양이 더 많다. 정제형 제형은 점막에서 제형의 형태 유지시간은 연장되지만 그 크기와 두께 등에 의해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이 있으며, 점막에 부착시 음식물 섭취 등에 영향을 받아 음식물과 함께 삼킬 위험도 있다.
한편, 필름형 제형은 구강점막에 부착시 이물감이 적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약물이 전달되는 일정시간 동안 형태의 변형 없이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상처부위에 적용시 치료 및 상처보호 효과의 특징도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001호와 같이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점막에 부착하는 피복제의 경우 일정시간 동안 그 형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음에도 구강점막 부착형 필름형 제제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점막 점착성 고분자들은 수분과 접촉시 빠르게 팽윤 또는 용해되기 때문에 점막에 장시간 머무르는 시간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필름의 유연성과 두께에 따른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구강 내 부착시간을 유지하는 구강용 창상 피복재에 대한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필요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내 음식물 등에 의한 부착 방해를 최소화하고, 이물감을 최소화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러운 탈락이 가능한 구강용 창상 피복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강용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록사머(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poly(oxyethylene)[POE-POP-POE] 중합체) 2.0~3.5 중량%, 점증제 2.5~4.0 중량%, 유화제 3.0~8.0 중량%, 계면활성제 3.0~4.5 중량%, 및 잔부 용제를 포함하는 부착층 원료를 건조하여 제조된 부착층; 및
코팅제 15.0~20.0 중량%, 가소제 1.0~5.0 중량%, 및 잔부 용제를 포함하는 필름층 원료를 건조하여 제조된 필름층;을 포함하고, 부착층 상부에 필름층이 코팅된 적층 구조인, 구강용 창상 피복재를 제공한다.
상기 부착층 원료는 산도 조절제를 1.0~3.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층의 두께는 30 ~ 50 μm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부착층 원료 및 필름층 원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부착층 원료를 PET 필름 상부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부착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부착층 상부에 상기 필름층 원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용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단계의 건조시간은 1~2시간, 상기 제3단계의 건조시간은 30분~1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는 구강 내 부착 방해요소에 대한 영향과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러운 탈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은 건조시간을 제어하여 피복재의 크랙이나 파손을 방지하면서 균일한 두께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여 이물감을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패복재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패복재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록사머(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poly(oxyethylene)[POE-POP-POE] 중합체) 2.0~3.5 중량%, 점증제 2.5~4.0 중량%, 유화제 3.0~8.0 중량%, 계면활성제 3.0~4.5 중량%, 및 잔부 용제를 포함하는 부착층 원료를 건조하여 제조된 부착층; 및 코팅제 15.0~20.0 중량%, 가소제 1.0~5.0 중량%, 및 잔부 용제를 포함하는 필름층 원료를 건조하여 제조된 필름층;을 포함하고, 부착층 상부에 필름층이 코팅된 적층 구조인, 구강용 창상 피복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는 부착층 및 필름층을 포함한다.
부착층의 원료는 플록사머, 점증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산도 조절제, 및 잔부 용제로 구성된다.
플록사머는 친수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Oxide(PEO)와 소수성 고분자인 Polypropylene Oxide(PPO)로 구성된 비이온성의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poly(oxyethylene)[POE-POP-POE]의 삼중 블록공중합체로 대표적 온도감은성 고분자이다. 일정 농도(약 18wt%) 이상의 Pol 수용액은 상온에서는 낮은 점도의 용약생태이지만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PPO와 물 분자와의 수소결합이 깨지면서 PPO 블록들간의 소수성 상호 작용에 의해 미셀 구조를 형성하고 이차적인 회합 및 패킹에 의해 젤의 형태로 변하는 졸(Sol)-젤(Gel) 상전 현상을 가진다.
점증제는 점도를 조절하는 물질로, 창상 피복재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의 점도를 조절한다. 높은 점성을 제공하여 젤형 제품의 모양을 고정하거나 점도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점증제는 카보폴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카보폴은 흰색의 분말 형태로 산도가 높으므로 알카리 성질을 1배 이상 첨가하여야만 점도가 발생하는 특징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물과 교합 시 물의 양에 따라 pH는 1~3 정도를 가지며 pH가 4이상에서 젤화가 이루어진다. pH가 9이상으로 상승할 시 다시 점도가 떨어지며 계면활성제와의 뛰어난 호환성과 안전하고 자극성이 매우 낮아 바람직하다. 또한 곁사슬을 가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더 포함하여 우수한 내염성과 pH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유화제는 증점안정제로 이용가능한 물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또는 하이프로멜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프로멜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프로멜로오스는 하이드록시플로필 메틸셀룰로스로 불리우기도 하며 셀룰로스 유도체로 무수에탄올에는 거의 녹지 않고 물에 넣을 때 부피가 커지고 혼탁성을 가지는 점소성이 있는 액체가 되는 특징이 있다. 흡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량이 많을수록 약물이나 고분자 등의 확산 이동 거리를 증가시켜 방출속도를 감소시킨다.
계면활성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각종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높은 흡습성을 가지고 중합도의 조절에 따라 흡습성이 제어되어 독성과 피부자극성이 낮은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산도조절제를 1.0~3.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산도 조절제는 산소 작용으로 인해 일어나는 산화를 억제하고, 산화에 의한 변질, 부패,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산도 조절 및 착향제 역할을 하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레에틸시트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탄닌산과 같은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건조하여 부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부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산화방지제,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탄닌산(Tanni acid)을 이용함이 바람직하고, 고분자 접착제로는 폴리아크릴산(PAA)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층의 원료는 코팅제, 가소제, 및 잔부 용제로 구성된다.
코팅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생체친화성의 천연물질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우 바람직하게 에틸셀룰로오스를 이용할 수 있다. 수용성 셀룰로오스로 식음료, 제약 그리고 화장품 산업의 첨가제 및 코팅 필름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에칠셀루로스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입자의 필름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투명/유연하여 제약의 코팅제로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필름에 유연성과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시트레이트에스터, 트리에세틴 및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건조하여 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패복재의 사진이다. 도 1과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구강용 창상 피복재는 부착층과 필름층을 포함한다.
부착층은 일면이 구강내 경조직 또는 연조직에 직접 접촉하여 부착되고, 필름층은 부착층의 타면에 형성되어 부착층이 혀나 타액에 의해 쉽게 용해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강용 창상 피복재의 두께는 0.2~0.5mm일 수 있다. 구강용 창상 피복재의 두께가 0.2㎜이하일 경우 제형의 형태 유지가 어려우며 0.5㎜ 이상의 경우 이물감을 느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 후 전체 창상피복재 중 부착층의 두께는 30 ~ 50 μ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부착층 원료 및 필름층 원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부착층 원료를 PET 필름 상부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부착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부착층 상부에 상기 필름층 원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용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성분에 따라 부착층 원료 및 필름층 원료를 준비한다. 먼저, 부착층 원료를 PET 필름 상부에 도포한다. 코팅기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며 내부에 미세기포가 제거되도록 수행한다.
이 후 알코올 및 수분 제거를 위해 건조기에 넣어 건조한다. 부착층 원료를 건조하는 상기 제2단계의 건조는 1~2시간일 수 있다. 부착층의 건조시간이 초과되는 경우 크랙이 발생하거나 과도하게 수축하여 파손될 위험이 있고, 건조시간에 미만되는 경우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건저된 부착층 상부에 필름층 원료를 도포한다. 코팅기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며 내부에 미세기포가 제거되도록 수행한다.
이 후 알코올 및 수분 제거를 위해 건조기에 넣어 건조한다. 필름층 원료를 건조하는 상기 제3단계의 건조는 30분~1시간의 조건일 수 있다. 필름층의 건조시간이 초과되거나 미만되는 경우, 부착층과 필름층의 비열차이에 의해 제품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원료의 도포는 두께를 원료 내부에 미세기포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상온 탈포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각 실시예는 부착층과 필름층으로 나누어 배합되었고, 이후 필름층 코팅, 건조과정을 거쳐 제조되었다. 각 실시예의 배합 비율을 하기 표 1(부착층 원료)과 표 2(필름층 원료)에 나타내었다. 이하 표 1 및 표 2를 참고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착층 원료의 점증제는 카포폴, 유화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또는 하이프로멜로오스,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산도 조절제는 TEA, 산화방지제는 탄닌산(TA), 접착제로 폴리아크릴산(PAA), 용제는 수용성 용매를 이용하였다. 필름층 원료의 코팅제는 에틸셀룰로오스, 가소제는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용제는 수용성 용매를 이용하였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
플록사머 | 3.0 | 2.1 | 4.2 | 2.6 | 2.5 | 2.4 | 0.0 | 3.0 | 0.0 | 4.3 | 2.9 | 2.9 | 2.8 |
점증제 | 3.5 | 2.4 | 2.4 | 3.1 | 2.9 | 2.8 | 2.9 | 3.5 | 1.5 | 4.5 | 3.4 | 3.4 | 3.3 |
유화제 | 10.0 | 10.4 | 4.8 | 8.8 | 8.3 | 11.9 | 11.7 | 3.5 | 8.9 | 4.5 | 3.4 | 3.4 | 3.3 |
계면활성제 | 3.9 | 2.7 | 4.2 | 3.4 | 3.2 | 3.1 | 0.0 | 3.9 | 0.0 | 3.9 | 3.8 | 3.8 | 3.7 |
용제 | 79.5 | 81.7 | 83.7 | 81.7 | 82.8 | 79.4 | 83.1 | 86.0 | 88.9 | 83.0 | 84.0 | 84.3 | 81.5 |
산도조절제 | 0.0 | 0.0 | 0.0 | 0.0 | 0.0 | 0.0 | 1.2 | 0.0 | 0.6 | 0.0 | 2.4 | 0.0 | 3.3 |
구연산 | 0.0 | 0.7 | 0.7 | 0.4 | 0.4 | 0.4 | 0.7 | 0.0 | 0.0 | 0.0 | 0.0 | 0.0 | 0.0 |
산화방지제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1.1 | 1.0 |
접착제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1.1 | 1.0 |
TIO2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1 | 0.0 | 0.0 | 0.0 | 0.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
코팅제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16.5 | 16.5 |
가소제 | 2.9 | 2.9 | 2.9 | 2.9 | 2.9 | 2.9 | 2.9 | 2.9 | 2.9 | 2.9 | 2.9 | 7.3 | 7.3 |
용제 | 77.1 | 77.1 | 77.1 | 77.1 | 77.1 | 77.1 | 77.1 | 77.1 | 77.1 | 77.1 | 77.1 | 76.3 | 76.3 |
(1) 부착층 원료의 배합
상기 표 1에 따른 중량비로 점증제, 계면활성제, 용제를 먼저 혼합하여 호모게나이저로 용해시켰다. 이후 플록사머와 유화제, 용제를 첨가하여 부착층 원료를 준비하였다. 모든 실시예는 상온 탈포과정을 통해 내부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여 진행하였다.
실시예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산도조절제, 보존제, 산화방지제, 접착제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2) 필름층 원료의 배합
상기 표 2에 따른 중량비로 코팅제, 가소제, 용제를 배합한 후 호모게나이저로 완전히 용해시켜 필름층 원료를 준비하였다. 모든 실시예는 상온 탈포과정을 통해 내부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여 진행하였다.
(3) 부착층 코팅
준비된 부착층 원료를 PET 필름 위에 부은 후 코팅기를 운전시켜 1.8mm로 코팅하였다. 알코올 및 수분의 제거를 위해 건조기에 넣어 75℃로, 각 실시예에 따라 1~2시간 건조시켰다.
(4) 필름층 코팅
부착층이 형성된 PET 필름을 코팅기에 위치시키고 준비된 필름층 원료를 부어 코팅기를 운전시켜 코팅하였다. 코팅 두께는 0.4mm로 설정하였다. 알코올 및 수분의 제거를 위해 건조기에 넣어 30℃로, 각 실시예에 따라 30분~1시간 건조시시켜 구강용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결과 및 평가>
제품화
각 실시예에 따라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은 유화제로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를, 실시예 8 내지 13은 하이프로멜로오스를 사용하여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은 보존재로 구연산을 추가 첨가하였고, 실시예 8 내지 13은 이를 첨가하지 않았다.
실시예 1의 경우 점증제가 용해되지 않아 필름화가 어려웠고, 실시예 2의 경우 점증제의 용해시간이 2시간 이상 소요되고 점도가 낮아 필름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웠다. 실시예 3의 경우 점증제와 유화제, 계면활성제의 배합비를 조절하여 배합시간은 단축되었으나 점도가 낮아 필름 형태가 유지되지 않았다. 실시예 4 역시 점증제가 용해되지 않아 필름 형태로 제조하거나 유지하기 어려웠다. 실시예 1 내지 4는 원료의 용해가 어렵거나 점도가 낮아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해야 하고, 제품화가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했다.
실시예 5 및 6의 경우 유화제와 물의 비율을 조절하여 제형화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건조 과정에서 고형분이 다량 증발하여 표면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하기 모사 구강 환경에서 부착시간은 1시간, 일반 환경에서 형태 유지 시간은 3시간 정도이며 높은 수분 흡수로 빠른 분해가 이루어졌다.
실시예 7의 경우 필름층과 구별을 위해 부착층에 코팅제와 pH 조절제를 첨가하였으나 제조과정에서 제형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 8은 산화방지제, 접착제, pH 조절제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았고 부착시간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9는 부착층과 필름층의 생상 구별을 위하여 용제에 물을 첨가하지 않고 알코올(에탄올)을 사용하여 배합하였으나 필름형태로 제조되지 않았다.
실시예 10은 유화제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유화제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건조 후 부착층의 두께가 두꺼워졌고, 그만큼 부착시간은 증가하였다.
실시예 11과 13은 pH 조절제(TEA)를 첨가한 것으로 부착층이 플록사머의 pH에 반응하여 원료가 겔화되도록 하며 제조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는 pH 조절제는 미첨가하고, 부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산화방지제(탄닌 산)와 접착제(폴리아크릴산)를 첨가하였다.
평가
실험 방법과 관련하여, 모사 구강 환경에서의 부착시간은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필름을 일정 크기로 잘라 지름 8.5cm, 높이 12cm의 유리 벽에 부착하고 37.0±0.5℃ 증류수 100ml를 넣고 50rpm의 속도로 패들을 회전시켜 검체의 박리 상태를 관찰하였다.
일반 환경에서의 부착시간은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필름을 일정 크기로 잘라 지름 9cm, 높이 1cm 유리용기 바닥에 부착하고, 일정량의 증류수를 넣은 후 37.0±0.5℃로 보관하면서 유지 시간을 관찰하였다.
이하 표 3은 피복재로 필름형태로 제조된 실시예 5, 6, 8 및 10 내지 13에 대한 두께, 부착 시간(구강모사/일반)에 대한 데이터를 정리한 것이다.
두께(μm) | 부착시간(구강모사) | 부착시간(일반) | |
5 | 15 | 1.0h | 3h |
6 | 18 | 1.0h | 3h |
8 | 25 | 2.5h | 8h |
10 | 40 | 3.2h | 12h |
11 | 40 | 3.0h | 12h |
12 | 40 | 5.4h | 42h |
13 | 40 | 5.0h | 42h |
흡수력은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필름을 일정 크기로 잘라 지름 8.5cm, 높이 12cm의 용기에 넣고, 37.0±0.5℃의 증류수 100ml에 10분 동안 방치 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함수율을 계산하는 식은 하기와 같다.
[식1] 함수량 = (함수된 무게 - 시료 무게)/(시료무게) ×100
흡수력 측정은 실시예 8, 12, 13에 대하여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무게(g) | 함수된 무게(g) | 함수량(%) | |
8 | 0.1526 | 0.4265 | 179.48 |
12 | 0.2371 | 0.8844 | 273.00 |
13 | 0.2445 | 0.8942 | 265.72 |
표 3과 표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점증제의 점증을 돕는 유화제의 경우 하이프로멜로오스를 포함하는 실시예 8 내지 13이 피복재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며,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제품화가 가능하였다. 계면활성제, 산도 조절제, 산화방지제, 접착제를 일정량 첨가하여 피복재의 두께를 제어하고 부착시간과 흡수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제는 물과 알코올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3.0~4.5 중량% 포함하여 용해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산화방지제와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부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실시예 12, 13). 한편 산도 조절제는 부착 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실시예 11, 13).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 플록사머(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poly(oxyethylene)[POE-POP-POE] 중합체) 2.0~3.5 중량%, 점증제 2.5~4.0 중량%, 유화제 3.0~3.4 중량%, 계면활성제 3.0~4.5 중량% 및 잔부 용제를 포함하는 부착층 원료를 건조하여 제조된 부착층; 및
코팅제 15.0~20.0 중량%, 가소제 1.0~5.0 중량%, 및 잔부 용제를 포함하는 필름층 원료를 건조하여 제조된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층 원료는 산화방지제와 접착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산화방지제와 상기 접착제의 중량비는 1 : 1이고,
상기 부착층의 두께는 30 ~ 50 μm이며,
상기 부착층 상부에 상기 필름층이 코팅된 적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창상 피복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층 원료는 산도 조절제를 1.0~3.0 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창상 피복재. - 삭제
- 부착층 원료 및 필름층 원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부착층 원료를 PET 필름 상부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가 30 ~ 50 μm인 부착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부착층 상부에 상기 필름층 원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층 원료는,
플록사머(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poly(oxyethylene)[POE-POP-POE] 중합체) 2.0~3.5 중량%, 점증제 2.5~4.0 중량%, 유화제 3.0~3.4 중량%, 계면활성제 3.0~4.5 중량% 및 잔부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층 원료는,
코팅제 15.0~20.0 중량%, 가소제 1.0~5.0 중량%, 및 잔부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층 원료는 산화방지제와 접착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산화방지제와 상기 접착제의 중량비는 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3789A KR102533447B1 (ko) | 2021-06-07 | 2021-06-07 |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3789A KR102533447B1 (ko) | 2021-06-07 | 2021-06-07 |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5148A KR20220165148A (ko) | 2022-12-14 |
KR102533447B1 true KR102533447B1 (ko) | 2023-05-17 |
Family
ID=8443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3789A KR102533447B1 (ko) | 2021-06-07 | 2021-06-07 |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344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3010B1 (ko) * | 2023-01-17 | 2023-06-13 | 주식회사 이노트 | 고기능성 창상 피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538233A (ja) * | 2015-11-25 | 2018-12-27 | ティービーエム カンパニーTbm Company | 口腔止血及び創傷保護フィルム |
WO2020014431A1 (en) * | 2018-07-11 | 2020-01-16 | Cure Pharmaceutical | Rapidly disintegrating oral film matrix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3001B1 (ko) | 2002-01-16 | 2008-07-01 |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 구강점막 부착형 필름제제 |
JP5137286B2 (ja) * | 2003-06-10 | 2013-02-06 | 帝國製薬株式会社 | フェンタニル含有口腔粘膜貼付剤 |
US9456860B2 (en) * | 2006-03-14 | 2016-10-04 | Kci Licensing, Inc. | Bioresorbable foaming tissue dressing |
-
2021
- 2021-06-07 KR KR1020210073789A patent/KR1025334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538233A (ja) * | 2015-11-25 | 2018-12-27 | ティービーエム カンパニーTbm Company | 口腔止血及び創傷保護フィルム |
WO2020014431A1 (en) * | 2018-07-11 | 2020-01-16 | Cure Pharmaceutical | Rapidly disintegrating oral film matri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5148A (ko) | 2022-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43755B2 (en) | Anhydrous hydrogel composition and delivery system | |
EP1951328B1 (en) | Sustained release film formulation for healing wound comprising epidermal growth factor | |
DE69736641T2 (de) | Pharmazeutische Trägerzusammensetzung zur Anwendung an muköse Oberflächen | |
EP3017808B1 (en) | Water-soluble hyaluronic acid g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JP5503888B2 (ja) | 化粧品パック用ゲルシート | |
JP5654451B2 (ja) | 油性物質を含む経口投与のためのフイルム状製剤 | |
KR20130046842A (ko) |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 |
KR20070099533A (ko) | 중합체 성분들간의 상호작용의 메카니즘을 이용한 중합체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
KR102533447B1 (ko) | 구강용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
JPH04259467A (ja) | ヒト及び動物医薬用材料 | |
CN110859989B (zh) | 一种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 |
ES2952012T3 (es) | Película para blanquear los dientes, proces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y método para utilizar dicha película | |
Xu et al. | Etamsylate loaded oxidized Konjac glucomannan-ε-polylysine injectable hydrogels for rapid hemostasis and wound healing | |
KR101540318B1 (ko) | 수면마취용 구강점막 부착형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398062B2 (ja) | ハイドロゲル外用剤 | |
KR102553868B1 (ko) | 점착성 투명 다기능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 |
KR101328162B1 (ko) | 생분해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테입형 불소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JPS6034923B2 (ja) | スポンジ状医薬用バンド | |
CN104490851A (zh) | 依色格南的速释膜剂 | |
JPH04173730A (ja) | 徐放性口腔内疾患治療剤およびその製法 | |
EP3861981A1 (en) | Novel sertaconazole compositions | |
JP2014517060A (ja) | 皮膜形成組成物及びヘルペスを治療するためのその使用 | |
KR20120015573A (ko) | 암포테리신 b의 서방성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 |
JPS6393717A (ja) | 口腔粘膜用粘着剤もしくは接着剤 | |
Perchyonok et al. | Chitosan: Vitamin C Containing Hydrogels as a Prototype Functional Prolonged Pain Management Restorative Material In-Vitro Stud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