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044B1 -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044B1
KR102533044B1 KR1020220058374A KR20220058374A KR102533044B1 KR 102533044 B1 KR102533044 B1 KR 102533044B1 KR 1020220058374 A KR1020220058374 A KR 1020220058374A KR 20220058374 A KR20220058374 A KR 20220058374A KR 102533044 B1 KR102533044 B1 KR 10253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rame
storag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상
Original Assignee
이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상 filed Critical 이완상
Priority to KR102022005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6Combinations with letter-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6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안성을 높인 우편 또는 택배의 배송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서로 독립된 다수 개의 보관 공간을 형성하며, 배송인 또는 수취인의 인증에 따라 상기 보관 공간을 개폐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에 보관 중인 보관물에 대한 보관 처리 및 상기 보관함의 개폐 제어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보관물의 보관 정보 및 수취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Smart Mail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안성을 높인 우편 또는 택배의 배송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상거래 시장의 성장으로 구매된 상품의 운송을 위한 택배 서비스의 이용이 많아지고 있다. 택배를 통해 물건을 배송 및 수령하기 위해서는 수취인이 집에 있어야 하거나, 경비실 등 대리 수령이 가능한 장소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배송 과정에서 물품이 분실되거나, 악의의 제3자가 물품을 탈취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물품 배송의 편의와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무인 택배함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무인 택배함을 설치하더라도 택배함의 인증시 이용되는 비밀번호가 유출되거나 해킹에 의해 제3자에 비밀번호를 알 수 있는 경우, 택배 범죄가 발생할 수 있어, 보관함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택배 뿐만 아니라, 우편 배송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80226호(2020.02.21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4052호(2016.12.16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본안성을 높인 우편 또는 택배의 배송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은,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서로 독립된 다수 개의 보관 공간을 형성하며, 배송인 또는 수취인의 인증에 따라 상기 보관 공간을 개폐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에 보관 중인 보관물에 대한 보관 처리 및 상기 보관함의 개폐 제어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보관물의 보관 정보 및 수취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함은, 보관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구역의 바닥 상에 고정 설치되는 보관함 함체; 상기 보관함 함체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독립된 보관 공간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관함 함체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내부 패널; 상기 다수 개의 내부 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 개의 독립된 보관 공간의 각 전단 개구부 마다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보관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 개의 도어 패널; 및 상기 다수 개의 도어 패널 마다 각각 설치되어 배송인 또는 수취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의 시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패널은, 상기 보관함 함체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상기 보관함 함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 각 코너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4 개의 로드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4 개의 로드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덮게 플레이트; 보관 공간으로 투입되는 보관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덮게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덮게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안착 설치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안착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충격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패널은,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바닥면을 덮고 설치되는 완충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덮게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 설치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형 지지 실린더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 상기 경사형 지지 실린더와 상기 유체 탱크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를 전달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유체 전달관; 상기 유체 탱크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으로 구분하면서 상기 유체 탱크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격벽; 및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우편 또는 택배 보관함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우편/택배 보관함을 하나의 통합형 보관함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 편의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관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2의 내부 패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충격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10)은, 보관함(100), 통합관리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보관함(100)은, 통합관리서버(200)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되며, 보관물(P)을 보관하기 위한 서로 독립된 다수 개의 보관 공간(S)을 형성하며, 배송인 또는 수취인의 인증에 따라 보관 공간(S)을 개폐한다.
통합관리서버(200)는, 보관함(100)에 보관 중인 보관물(P)에 대한 보관 처리 및 보관함(100)의 개폐 제어를 통합 관리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 우편 택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네트워크(N)를 통해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보관물(P)의 보관 정보 및 수취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10)은, 우편 또는 택배 보관함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우편/택배 보관함을 하나의 통합형 보관함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 편의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보관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관함(100)은, 보관함 함체(110), 다수 개의 내부 패널(120), 다수 개의 도어 패널(130) 및 제어 패널(140)을 포함한다.
보관함 함체(110)는, 보관물(P)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구역의 바닥 상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 개의 내부 패널(120), 다수 개의 도어 패널(130) 및 제어 패널(1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다수 개의 내부 패널(120)은, 보관함 함체(110)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독립된 보관 공간(S)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보관함 함체(1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다.
다수 개의 도어 패널(130)은, 다수 개의 내부 패널(120)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 개의 독립된 보관 공간(S)의 각 전단 개구부 마다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보관 공간(S)을 개폐한다.
제어 패널(140)은, 다수 개의 도어 패널(130) 마다 각각 설치되어 배송인 또는 수취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라 도어 패널(130)의 시건장치(131)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관함(100)은, 보관함의 내, 외부 및 도어의 경첩, 손잡이 등에 적용되었던 용접이나 볼팅 구성을 최소화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마감하고 편리한 작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2의 내부 패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패널(500)은, 베이스 플레이트(510), 4 개의 로드셀(520), 덮게 플레이트(530), 안착 플레이트(540) 및 다수 개의 충격 완충부(6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보관함 함체(110)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보관함 함체(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 각 코너에 로드셀(520)이 설치된다.
4 개의 로드셀(520)은,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측 각 코너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한 뒤, 측정된 무게 또는 무게의 실시간 변동 사항을 제어 패널(14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패널(14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안착 플레이트(540)에 안착되어 있는 보관물(P)의 무게가 불규칙적으로 변동되는 경우를 비인가자가 불법적으로 보관되어 있는 보관물(P)을 반출하려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 패널(130)의 시건장치(131)를 체결시키는 동시에 네트워크(N)를 통해 통합관리서버(200)로 이에 대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덮게 플레이트(53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4 개의 로드셀(520)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측에 안착된다.
안착 플레이트(540)는, 보관 공간(S)으로 투입되는 보관물(P)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충격 완충부(600)에 의해 지지되어 덮게 플레이트(530)의 상측에 안착된다.
다수 개의 충격 완충부(600)는, 안착 플레이트(540)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덮게 플레이트(530)의 상측을 따라 안착 설치되며, 안착 플레이트(5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안착 플레이트(5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패널(500)은, 완충 패드(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패드(550)는, 연질의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제작되어 안착 플레이트(540)의 바닥면을 덮고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패널(500)은, 보관함 함체(110)의 내부 공간은 구획시켜 줌은 물론, 보관함 함체(110)에 보관 중인 보관물(P)의 불법적인 반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충격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충부(60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하부 지지 블록(630),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 및 플레이트 지지부(65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지지부(65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안착 플레이트(540)의 하측을 지지하며,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상측 테두리가 설치된다.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덮게 플레이트(530)의 상측에 안착 설치되며, 상측에 하부 지지 블록(630)이 설치된다.
하부 지지 블록(6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하측 테두리가 설치되며, 상부에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된다.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원통 형상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플레이트 지지부(650)로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중심 포스트(651),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를 포함한다.
중심 포스트(65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서로 120º의 등간격으로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설치된다.
이때, 중심 포스트(651)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의 상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700-2)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 및 제2 완충 지지부(700-2)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1/3씩 분할하여 각자가 설치된 구역을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수평하게 하강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만이 하강하는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또는 제3 완충 지지부(700-3) 중 어느 하나의 완충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충부(60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 또는 완충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후술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완충 지지부(700-1)의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형 지지부(71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713)가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711)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712)에 의해 지지된다.
즉, 수직형 지지부(7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 스프링(712)의 내측을 통과하여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완충 스프링(712)은, 상부 거치대(711)를 지지함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에 의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부 거치대(711)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물 또는 오일 등)에 의해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상승시켜 주고, 유체가 유출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경사형 지지부(730)는,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지지 헤드(713)를 지지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하강하여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면서 회동 지지 헤드(71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사형 지지부(730)는, 제1 회동 프레임(731), 제2 회동 프레임(732),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제2 완충 스프링(735),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 및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를 포함한다.
제1 회동 프레임(731)은, 상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제2 회동 프레임(732)은,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어 상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는,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중단(H)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F3-1, F3-2, F3-3)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접철되면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일단이 다른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2 링크 프레임(F2)과 제1 링크 프레임(F1)의 각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H)의 일측 마다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고 삽입된다.
즉,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완충 스프링(735)은,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는,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완충 스프링(735)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중간 지지 프레임(734)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을 통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삽입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유체 탱크(721)로 공급하고,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유체(L)가 공급되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형 지지부(730)는, 수직형 지지부(71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회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수직형 지지부(7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유체 탱크(721), 유체 전달관(722), 분리 격벽(723) 및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포함한다.
유체 탱크(721)는, 유체(L)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유체 전달관(722)은,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와 유체 탱크(721)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L)를 전달하거나 공급받는다.
분리 격벽(723)은, 유체 탱크(721)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N1)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N2)으로 구분하면서 유체 탱크(72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지지한다.
수직 완충 스프링(724)은, 분리 격벽(7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평상시에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며,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하여 도 7의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간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로부터 유체(L)가 유체 탱크(721)로 공급되어 분리 격벽(723)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100: 보관함
200: 통합관리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400: 보관물
500: 내부 패널

Claims (8)

  1.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서로 독립된 다수 개의 보관 공간을 형성하며, 배송인 또는 수취인의 인증에 따라 상기 보관 공간을 개폐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에 보관 중인 보관물에 대한 보관 처리 및 상기 보관함의 개폐 제어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수취인이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보관물의 보관 정보 및 수취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을 포함하며,
    상기 보관함은,
    보관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단이 개방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구역의 바닥 상에 고정 설치되는 보관함 함체;
    상기 보관함 함체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독립된 보관 공간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관함 함체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내부 패널;
    상기 다수 개의 내부 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 개의 독립된 보관 공간의 각 전단 개구부 마다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보관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 개의 도어 패널; 및
    상기 다수 개의 도어 패널 마다 각각 설치되어 배송인 또는 수취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의 시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패널은,
    상기 보관함 함체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상기 보관함 함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 각 코너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4 개의 로드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4 개의 로드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덮게 플레이트;
    보관 공간으로 투입되는 보관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덮게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덮게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안착 설치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안착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충격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패널은,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바닥면을 덮고 설치되는 완충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충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덮게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 설치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가위의 연결 구조와 같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형 지지 실린더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
    상기 경사형 지지 실린더와 상기 유체 탱크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를 전달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유체 전달관;
    상기 유체 탱크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으로 구분하면서 상기 유체 탱크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격벽; 및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58374A 2022-05-12 2022-05-12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KR10253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374A KR102533044B1 (ko) 2022-05-12 2022-05-12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374A KR102533044B1 (ko) 2022-05-12 2022-05-12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044B1 true KR102533044B1 (ko) 2023-05-15

Family

ID=8639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374A KR102533044B1 (ko) 2022-05-12 2022-05-12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0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795A (ko) * 2012-10-09 2014-04-17 김형철 무인 택배장치
KR20160144052A (ko) 2015-06-08 2016-12-16 류구환 스마트 택배함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080226B1 (ko) 2018-11-21 2020-02-21 이해곤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KR102180315B1 (ko) * 2020-03-25 2020-11-18 엠에스파워시스템(주)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KR20200144916A (ko) * 2019-06-19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품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795A (ko) * 2012-10-09 2014-04-17 김형철 무인 택배장치
KR20160144052A (ko) 2015-06-08 2016-12-16 류구환 스마트 택배함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080226B1 (ko) 2018-11-21 2020-02-21 이해곤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KR20200144916A (ko) * 2019-06-19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품 보관 장치
KR102180315B1 (ko) * 2020-03-25 2020-11-18 엠에스파워시스템(주)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321B2 (en) Foldable and collapsible safe box for securing package delivery
US10251503B1 (en) Secure delivery/drop box for parcels and products
US6347737B1 (en) Delivery vault
KR102533044B1 (ko)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CN101410682B (zh) 具有高度可调的储存元件的制冷设备
US10743696B2 (en) Parcel box
US10881234B2 (en) Secure mail and package storage apparatus
US11033136B2 (en) Home wall insert mailbox with convenient box handling features
KR20110011656A (ko) 도어 움직임 댐핑 시스템
KR102034467B1 (ko) 창고 관리 시스템
KR102115613B1 (ko) 화물 차량 관리 시스템
JP3211813U (ja) 受取ボックス
KR102159831B1 (ko)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90177089A1 (en) Home Delivery Box
CN206569493U (zh) 一种液体药物存储容器
JP3194427U (ja) 宅配ボックス
JP3212994U (ja) 受取ボックス
KR101708615B1 (ko)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43580B1 (ko)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590312B1 (ko) 화장품 보관 관리 시스템
EP1831080A1 (en) Collapsible container
KR102495482B1 (ko) 범죄 예방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30799B1 (ko)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KR102219968B1 (ko)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저장장치
CN214258573U (zh) 一种立柱型包裹接收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