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799B1 -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 Google Patents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799B1
KR101930799B1 KR1020170149619A KR20170149619A KR101930799B1 KR 101930799 B1 KR101930799 B1 KR 101930799B1 KR 1020170149619 A KR1020170149619 A KR 1020170149619A KR 20170149619 A KR20170149619 A KR 20170149619A KR 101930799 B1 KR101930799 B1 KR 10193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upper plate
hinge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찬
Original Assignee
정화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찬 filed Critical 정화찬
Priority to KR102017014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799B1/ko
Priority to PCT/KR2018/013235 priority patent/WO201909371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 물품을 보관하는 접이식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00); 제2상판(120)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후면판(200); 제1상판(110)의 전방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제1상판(11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전면판(300); 전면판(300)의 개구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전면판(30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어 전면판(300)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도어부(400); 전면판(300)의 하단부 또는 후면판(200)의 하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전면판(300) 또는 후면판(20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바닥판(500);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으로 이루어지며, 제1측판(610)은 전면판(3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전면판(300)의 좌우측 단부 각각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고, 제2측판(620)은 후면판(2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후면판(200)의 좌우측 단부 각각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고,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600); 및, 바닥판(500)을 상향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Collapsible Delivery Box}
본 발명은 손쉽게 접을 수 있는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함의 상부판만 접으면 이에 연동하여 바닥판과 측면판이 접히면서 부피가 최소화되고, 빌라나 연립주택 등의 복도에 보관하더라도 분실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품을 보관하는 상자들 가운데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자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490849호(접이식 보관용기)의 경우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커버(100)와 측벽패널(300)로 구성되는데, 측벽패널(300)은 서로 대향하도록 상하에 배치된 한의 커버(1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측벽패널(300)은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커버(1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즉, 2개의 커버(10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접혀진 상태의 측벽패널(300)을 수납하는 구조가 되는데, 2개의 커버(100)와 측벽패널(300)이 분리된 3조각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해체(수납)이 번거롭고, 분리된 부품의 분실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011003호(접이식 무인 택배 물품보관함)의 경우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과정으로 펼쳐야 한다. 즉, 접이식 무인 택배 물품보관함이 설치된 상태에서 택배 물품을 배달할 경우에는 배면판(10)에 설치된 체결고리(18)를 바닥판(40)의 걸쇠(48)로부터 풀고, 바닥판(40)을 바닥에 눕힌 다음 전면판(30)을 손으로 잡아서 앞으로 당기면, 한쌍의 측면판(20)이 접혀져 상기 배면판(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펼쳐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전면판(30)을 바닥판(40)의 끝까지 잡아당기면, 전면판(30)의 결합홈에 바닥판(40)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판(50)을 손잡이(59)를 잡고 들어올리면 비로소 택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바 그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선행기술목록]
등록특허 제10-1490849호(접이식 보관용기)
공개특허 제10-2017-0011003호(접이식 무인 택배 물품보관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을 제공하여 빌라나 연립주택의 복도에 설치할 경우에도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택배 물품을 보관하는 접이식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상판(110)과 상기 제2상판(12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상부판(100); 상기 제2상판(120)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제2상판(12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후면판(200); 상기 제1상판(110)의 전방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제1상판(11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며, "□ "자 형태로 중앙부에 택배 물품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판(300); 상기 전면판(300)의 개구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30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300)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도어부(400); 상기 전면판(300)의 하단부 또는 상기 후면판(200)의 하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300) 또는 상기 후면판(20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바닥판(500);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측판(610)은 상기 전면판(3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300)의 좌우측 단부 각각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2측판(620)은 상기 후면판(2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후면판(200)의 좌우측 단부 각각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1측판(610)과 상기 제2측판(62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600); 및,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닥판(500)을 상향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터치 방식으로 보관함을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부(400)가 열린 상태에서 바닥판(500)을 펼치면 자연스럽게 상부판(100)과 측면판(600)이 펼쳐지게 되고, 택배 물품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판(100)을 구성하는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을 접으면 바닥판(500)은 이미 탄성부(700)의 작용으로 상향 회동한 상태이므로 전면판(300)과 후면판(200) 사이에 힌지 결합된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이 압착되면서 연동하여 자연스럽게 접히는 구조가 된다.
둘째, 빌라나 연립주택의 현관문 외부에 설치하더라도 도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도난방지부()는 보관함에 부착하고 제2도난방지부()는 실내에 설치하여 제1도난방지부(810)와 제2도난방지부(820) 상호간 거리가 멀어져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면 "도난 상태"로 인식하여 제1도난방지부(810) 또는 제2도난방지부(820)에 구비된 경보음 발생기능을 통하여 도난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도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셋째, 물품 보관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힌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현관문 외부의 복도에 설치할 경우에도 거주자들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1 및 도2는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4는 펼쳐진 상태의 전면판(300), 후면판(200) 및 바닥판(50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측면판(60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a)측면판(600)이 접힌 상태, (b)측면판(600)이 펼쳐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6은 도어부(400)의 외측면에 전단지수납부(910)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인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이 접혀지는 과정을 도시하는데, (a)완전히 펼쳐져 도어부(400)가 개방된 상태, (b)바닥판(500)이 상향 회동한 상태, (c)도어부(400)가 닫히고 상부판(100)이 접힘에 따라 측면판(600)도 연동하여 접히고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택배 물품을 보관하는 접이식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판(100), 후면판(200), 전면판(300), 도어부(400), 바닥판(500), 및 측면판(6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부판(100)은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으로 이루어지며,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서로 접히는 구조로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이 접힐 경우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상향 이동하면서 "∧"자 형태로 접히는 구조가 된다.
아울러 제1상판(110)에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핸들부(130)가 구비되어 접이식 보관함을 접거나 펼칠 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고, 접히거나 펼쳐진 접이식 보관함을 걸어둘 때 걸이용 고리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핸들부(130)는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상판(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후면판(200)은 제2상판(120)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제2상판(12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된다.
전면판(300)은 제1상판(110)의 전방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제1상판(11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데, "□ "자 형태로 중앙부에 택배 물품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도어부(400)는 전면판(300)의 개구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전면판(30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어 전면판(300)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게 된다.
이러한 도어부(400)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판(300)의 개구부 테두리 가운데 좌측 테두리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우측, 상측 또는 하측 테두리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도어잠금부(410)는 전면판(300)과 도어부(4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도어부(400)의 개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의 잠금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바닥판(500)은 전면판(300)의 하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전면판(300) 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판(300)의 하단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후면판(200)의 하단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도4는 펼쳐진 상태의 전면판(300), 후면판(200) 및 바닥판(50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수평으로 펼쳐진 바닥판(500)이 더 이상 하향 회동하지 않도록 후면판(200)의 하단부에 바닥판거치부(210)가 돌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바닥판(500)이 후면판(200)의 하단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될 경우에는 이러한 바닥판거치부(210)는 전면판(300)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어야 한다.
탄성부(70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바닥판(500)을 상향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축에 맞물려 결합되는 일반적인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700)는 물품이 보관될 경우 물품의 하중에 의하여 바닥판(500)이 자연스럽게 하강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럴 경우 물품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부(700)가 상향 회동하여 수직(또는 수직에 가까운 자세)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측면판(600)은 전면판(300)과 후면판(200)의 좌우 양측 각각을 연결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데, 각각의 측면판(600)은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으로 이루어진다.
제1측판(610)은 전면판(3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전면판(300)의 좌우측 단부 각각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된다.
제2측판(620)은 후면판(2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후면판(200)의 좌우측 단부 각각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어 하나로 연결된다.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을 연결하는 힌지축 각각이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좌측에 있는 측면판(600)은 ">"자 형태로 접히고, 우측에 있는 측면판(600)은 "<"자 형태로 접히는 구조인데, 결과적으로 좌우 양측이 "> <"와 같은 형태로 접히게 된다.
도5는 측면판(600)을 위에서 내려다 본 단면 구조로서, 도5(a)는 측면판(600)이 접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5(b)는 측면판(600)이 펼쳐진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데, 측면판(600)은 도5(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도 평각(平角)을 이루지 않고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을 연결하는 힌지축 각각이 서로를 향하여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택배 물품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판(100)을 구성하는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을 접으면 바닥판(500)은 이미 탄성부(700)의 작용으로 상향 회동한 상태이므로 전면판(300)과 후면판(200) 사이에 힌지 결합된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이 압착되면서 연동하여 자연스럽게 접히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도 평각(平角)에 도달하지 않고 둔각(鈍角)을 이루기 위하여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이 맞물리는 부위를 따라 회동제한돌기(6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도난방지부(810)와 제2도난방지부(820)는 상호간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구비되며, 제1도난방지부(810) 또는 제2도난방지부(820)에는 경보음 발생기능도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제1도난방지부(810)는 상부판(100), 후면판(200), 전면판(300), 도어부(400), 바닥판(500), 또는 측면판(600)의 일측에 부착되고, 제2도난방지부(820)는 제1도난방지부(810)와 이격된 다른 장소(예를 들면 현관문 내측의 실내)에 설치된다.
제1도난방지부(810)와 제2도난방지부(820)는 상호간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무선통신 모듈이 활용될 수 있으며, 제1도난방지부(810)와 제2도난방지부(820) 상호간 거리가 멀어져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면 "도난 상태"로 인식하여 제1도난방지부(810) 또는 제2도난방지부(820)에 구비된 경보음 발생기능을 통하여 도난경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난 상태를 인식하는 기준값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현장 여건이나 사용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킨다.
도6은 투명한 재질의 전단지수납부(910)가 도어부(400)의 외측면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전단지수납부(910)의 상측은 광고용 전단지를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단지수납부(910)가 구비될 경우 특정 사업자들과의 계약을 통하여 광고용 전단지를 수납하여 게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전단지수납부(910)는 도어부(400)에만 구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후면판(200), 제1측판(610), 제1측판(610), 제1상판(110), 또는 제2상판(120) 가운데 어느 한 곳 또는 두 곳 이상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인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이 접혀지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7(a)는 완전히 펼쳐져 도어부(40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택배 물품을 보관할 경우 이러한 상태가 된다.
도7(b)는 바닥판(500)이 상향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데, 보관함 내부에 보관 중이던 택배 물품을 외부로 꺼낼 경우 탄성부(700)에 의하여 바닥판(500)이 자동적으로 상향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7(c)는 도어부(400)가 닫히고 상부판(100)이 접힘에 따라 측면판(600)도 연동하여 접히고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관함이 접히게 되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상부판
110:제1상판
120:제2상판
130:핸들부
200:후면판
210:바닥판거치부
300:전면판
400:도어부
410:도어잠금부
500:바닥판
600:측면판
610:제1측판
620:제2측판
630:회동제한돌기
700:탄성부
810:제1도난방지부
820:제2도난방지부
910:전단지수납부

Claims (6)

  1. 택배 물품을 보관하는 접이식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제1상판(110)과 제2상판(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상판(110)과 상기 제2상판(12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상부판(100);
    상기 제2상판(120)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제2상판(12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후면판(200);
    상기 제1상판(110)의 전방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제1상판(11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며, "□ "자 형태로 중앙부에 택배 물품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판(300);
    상기 전면판(300)의 개구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30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300)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도어부(400);
    상기 전면판(300)의 하단부 또는 상기 후면판(200)의 하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300) 또는 상기 후면판(200)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바닥판(500);
    제1측판(610)과 제2측판(6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측판(610)은 상기 전면판(3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300)의 좌우측 단부 각각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2측판(620)은 상기 후면판(2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후면판(200)의 좌우측 단부 각각에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1측판(610)과 상기 제2측판(62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접히는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600); 및,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닥판(500)을 상향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판(100)은,
    상기 제1상판(110)과 상기 제2상판(120)이 접힐 경우 상기 제1상판(110)과 상기 제2상판(120)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상향 이동하면서 "∧"자 형태로 접히는 구조이고,
    상기 측면판(600)은,
    상기 제1측판(610)과 상기 제2측판(620)을 연결하는 힌지축 각각이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좌측에 있는 상기 측면판(600)은 ">"자 형태로 접히고, 우측에 있는 상기 측면판(600)은 "<"자 형태로 접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3. 제2항에서,
    상기 측면판(600)은,
    상기 제1측판(610)과 상기 제2측판(62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도 평각(平角)을 이루지 않고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상기 제1측판(610)과 상기 제2측판(620)을 연결하는 힌지축 각각이 서로를 향하여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택배 물품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1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상판(110)과 상기 제2상판(120)을 접으면 상기 전면판(300)과 상기 후면판(200) 사이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1측판(610)과 상기 제2측판(620)이 압착되면서 연동하여 접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면판(300)과 상기 도어부(4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400)의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잠금부(41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5.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상부판(100), 상기 후면판(200), 상기 전면판(300), 상기 도어부(400), 상기 바닥판(500), 또는 상기 측면판(600)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1도난방지부(810); 및,
    상기 제1도난방지부(810)와 이격된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제2도난방지부(820);
    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도난방지부(810)와 상기 제2도난방지부(820)는 상호간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구비되고, 상기 제1도난방지부(810)와 상기 제2도난방지부(820) 상호간 거리가 멀어져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면 "도난 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제1도난방지부(810) 또는 상기 제2도난방지부(820)에 구비된 경보음 발생기능을 통하여 도난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6.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도어부(400), 상기 후면판(200), 상기 제1측판(610), 상기 제1측판(610), 상기 제1상판(110), 또는 상기 제2상판(120) 가운데 어느 한 곳 또는 두 곳 이상의 외측면에 광고용 전단지를 수용하는 투명한 재질의 전단지수납부(91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KR1020170149619A 2017-11-10 2017-11-10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KR10193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619A KR101930799B1 (ko) 2017-11-10 2017-11-10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PCT/KR2018/013235 WO2019093719A1 (ko) 2017-11-10 2018-11-02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619A KR101930799B1 (ko) 2017-11-10 2017-11-10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799B1 true KR101930799B1 (ko) 2018-12-19

Family

ID=6500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619A KR101930799B1 (ko) 2017-11-10 2017-11-10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0799B1 (ko)
WO (1) WO20190937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225A (ko) * 2021-08-10 2023-02-17 이재준 사각육면 밀폐형 접이식 스퀘어박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426A (ja) 1999-12-03 2001-06-12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Kk 軽量折りたたみコンテナ
KR200425024Y1 (ko) 2006-06-19 2006-08-28 장광순 우편함
JP2010013139A (ja) 2008-07-02 2010-01-21 Toyomi Sasaki 箱体
US20100051616A1 (en) 2008-08-29 2010-03-04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20140117072A1 (en) 2012-10-30 2014-05-01 Rodair Holdings Ltd. Reusable foldable shipping container
CN204143553U (zh) 2014-07-16 2015-02-04 河南去吧看看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式密码操控的物流终端配送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158A (ja) * 1997-01-30 1998-08-18 Mitsubishi Pencil Co Ltd 折畳式箱状部材ストッカー
KR200458897Y1 (ko) * 2010-01-20 2012-03-15 이재현 박스형 수납함
KR20120006461U (ko) * 2011-03-11 2012-09-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절첩식 철재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426A (ja) 1999-12-03 2001-06-12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Kk 軽量折りたたみコンテナ
KR200425024Y1 (ko) 2006-06-19 2006-08-28 장광순 우편함
JP2010013139A (ja) 2008-07-02 2010-01-21 Toyomi Sasaki 箱体
US20100051616A1 (en) 2008-08-29 2010-03-04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20140117072A1 (en) 2012-10-30 2014-05-01 Rodair Holdings Ltd. Reusable foldable shipping container
CN204143553U (zh) 2014-07-16 2015-02-04 河南去吧看看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式密码操控的物流终端配送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225A (ko) * 2021-08-10 2023-02-17 이재준 사각육면 밀폐형 접이식 스퀘어박스
KR102564619B1 (ko) * 2021-08-10 2023-08-07 이재준 사각육면 밀폐형 접이식 스퀘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719A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321B2 (en) Foldable and collapsible safe box for securing package delivery
US10537196B1 (en) Package receiving system
US6868979B2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with locking feature
US7073677B2 (en) Secure trash container assembly
US8919596B2 (en) No-spill tackle, tool or utility box
US11617465B2 (en) Article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US20150274362A1 (en) Toolbox
EP3793413A1 (en) Package receiving locker
US20140203070A1 (en) Packing box
US6913161B2 (en) Collapsible storage or shipping box
KR101879621B1 (ko) 현관문 부착용 접이식 택배함
US8348076B2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locking device
US20120006834A1 (en) Collapsible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KR101930799B1 (ko)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US11492172B1 (en) Porch mounted floor vault for securing packages
CN209863236U (zh) 物品存取装置
JP7062619B2 (ja) 配布ターミナル
US10821912B1 (en) Foldable toolbox for a pickup truck bed
JP2020032181A5 (ko)
KR200476136Y1 (ko) 현관문 설치형 택배함
JPH09140550A (ja) 宅配ボックス
KR20230124364A (ko) 다기능 멀티 박스
EP1028061B1 (en) Collapsible container
GB2346392A (en) Foldable portable toilet cubicle
US20130032500A1 (en) Safety cardboard packaging in particular for beverage dispen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