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897Y1 - 박스형 수납함 - Google Patents
박스형 수납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8897Y1 KR200458897Y1 KR2020100000621U KR20100000621U KR200458897Y1 KR 200458897 Y1 KR200458897 Y1 KR 200458897Y1 KR 2020100000621 U KR2020100000621 U KR 2020100000621U KR 20100000621 U KR20100000621 U KR 20100000621U KR 200458897 Y1 KR200458897 Y1 KR 2004588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ox
- bottom plate
- coupled
- side plat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7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all walls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to collapse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형의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장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판과;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4개의 모서리 기둥; 및 상기 도어판, 제1 및 제2 측면판, 후면판을 상기 바닥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을 상기 바닥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판, 제1 및 제2 측면판, 후면판 그리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에 동시에 결합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박스형 수납함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도 뒤틀림이나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부피로 인한 물류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운반상의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박스형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어서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는 박스형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박스형 수납함은 옷, 장난감 기타 물건들을 담아 보관하는 용도로서 사용되는 가구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융수지를 박스 형태로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용기(container)와, 여기에 별도로 제작되는 도어 내지 덮개가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형 수납함에 의하면, 상기 용기가 일체로 성형 제작될 경우 용융수지의 응고 과정에서 쉽게 뒤틀리게 되어 비교적 큰 사이즈의 수납함을 생산하기에는 부적당하였다.
또한, 이러한 박스형 수납함은 사용 환경에 따라서도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였다.
특히, 물류 측면에서는, 박스형 수납함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이 책정되는데 반해 그 크기로 인해 적은 수량으로 차량 등의 운송수단에 적재될 수 밖에 없으므로 운송비로 인한 원가상승이 큰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차량에의 적재, 운반, 하역 시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이즈가 큰 경우에도 뒤틀림이나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부피로 인한 물류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운반상의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박스형 수납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박스형의 수납함에 있어서, 장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판과;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4개의 모서리 기둥; 및 상기 도어판, 제1 및 제2 측면판, 후면판을 상기 바닥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을 상기 바닥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판, 제1 및 제2 측면판, 후면판 그리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에 동시에 결합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은 각각 판면의 양측단부에 제1돌출가이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대응하여 해당 제1돌출가이드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안내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은 각각 판면의 상단부에 제2돌출가이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대응하여 해당 제2돌출가이드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제2안내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각 제2돌출가이드는 측면에 쐐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2안내홈의 내벽면에 상기 쐐기가 삽입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은 각각 상하단부에 돌출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은 각각의 모서리에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의 돌출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의 상하단부 각 돌출단부는 측면에 쐐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판의 각 결합홈은 상기 쐐기가 삽입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후면판은 각각 상기 바닥판에 대해 포개진 위치로부터 수직으로 직립된 위치까지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이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힌지축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후면판이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힌지축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의 힌지축 높이보다 더 높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어판이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힌지축의 높이는 상기 후면판의 힌지축 높이보다 더 높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수납함에 의하면, 수납함의 측벽을 구성하는 판들이 바닥판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박스형 수납함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도 개별 판들만을 별도 제작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모두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와 달리 제조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사용 중 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물류 측면에서도 박스형 수납함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운송비의 부담을 큰 폭으로 낮출 수 있으며, 수출/수입과 같은 장거리 운송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박스형의 수납함을 접은 상태로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반중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수납함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박스형 수납함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박스형 수납함이 설치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박스형 수납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박스형 수납함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박스형 수납함이 설치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박스형 수납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수납함(100)을 접은 상태에서 펼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수납함(100)은 제조가 완료된 후 접혀진 상태로 운반 내지 구매되며, 사용자가 직접 펼쳐서 박스형태로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박스형 수납함(100)은 아래에 위치하는 장방형의 바닥판(110), 이 바닥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의 도어판(120), 좌우측의 제1 및 제2 측면판(130, 140), 후방의 후면판(150)을 포함한다.
도어판(120), 제1 및 제2 측면판(130, 140), 후면판(150)은 모두 바닥판(110) 상에 접힌 상태로 준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도어판(120)을 회동시킨 후, 그 아래에 놓인 후면판(150)을 펼쳐 수직으로 세운다.
그리고, 좌우측의 제1 및 제2 측면판(130, 140)을 펼쳐 수직으로 세운다(도 4 참조).
이때, 도어판(120)을 제외하고 상기 후면판(150)과 제1, 제2 측면판(130, 140)은 회동 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더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판(150, 130, 140)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그 바닥면(모서리면, 예를 들어 도 3의 131)이 바닥판(110)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면접촉으로 인해 해당 판(150, 130, 140)이 더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도어판(120)은 박스형 수납함(100)의 개폐를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상기한 다른 판들과 달리 추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수납함(100)의 네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기둥(161, 162, 163, 164)을 결합한다.
이때, 이들 모서리 기둥(161 ~ 164)에는 각각, 도 4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면판(130, 140)과 후면판(150)에 대응하여 상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62a, 162b)이 형성된다.
또한, 이들 안내홈(162a, 162b 등)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측면판(130, 140)과 후면판(150)에는 각각 판면의 양측단부에 돌출가이드(132, 152 참조)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모서리 기둥(162)은 해당 모서리 부분에 정위치할 경우 양측의 안내홈(162a, 162b)이 이웃하는 제1측면판(130) 및 후면판(150)의 돌출가이드(132, 152)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측면판(130) 및 후면판(150)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후방의 다른 모서리 기둥(163)은 상기 모서리 기둥(162)과 같은 구조이나, 전방의 2개의 모서리 기둥(161, 164)은 측면판(130, 140)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홈(161a, 164a)만이 형성된다.
한편, 모든 모서리 기둥(161 ~ 164)은 상하단부에 각각 돌출단부(ex. 도 4 확대도의 162c)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바닥판(110)과 후술할 상판(170)에는 각각의 모서리에 상기 돌출단부(ex. 162c)에 대응하여 결합홈(ex. 111)이 형성된다.
도 4에서, 바닥판(110)의 일측 결합홈(111)에는 모서리 기둥(162)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단부(도면 미도시)가 삽입 결합된다.
이때, 돌출단부(ex. 162c)의 측면에는 쐐기(ex. 162d)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바닥판(110) 및 상판(170)의 결합홈(ex. 111)의 내벽면에는 상기 쐐기(ex. 162d)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요홈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결합된 모서리 기둥(161 ~ 164)은 바닥판(110) 및 상판(170)과의 체결을 통해 박스형태로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4개의 모서리 기둥(161 ~ 164)이 모두 결합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70)이 결합된다.
결합 시,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서리 기둥(161 ~ 164)의 각 상단의 돌출단부(ex. 161c)는 상판(170)의 해당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홈(ex. 171)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제1 및 제2 측면판(130, 140)과 후면판(150)은 각 판면의 상단부에 돌출가이드(133, 143, 153)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판(170)의 테두리 부분에는 각 해당 돌출가이드(133, 143, 15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홈(172, 173, 174)이 형성된다.
이때에도, 측면판(130, 140), 후면판(150)과 상판(170)의 체결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가이드(133, 143, 153)의 측면에 쐐기(ex. 133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판(170)의 안내홈(172, 173, 174)의 내벽면에는 상기 쐐기(ex. 133a)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요홈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상판(170)의 나머지 일측 테두리 부분에는 스토퍼부(175)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도어판(120)이 수납함(100) 내부로 추가 회동하는 것을 막아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175)에는 자석(175a)을 매립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판(120) 측에는 철편(121)을 부착함으로써 도어판(120)의 닫힘 시 서로 간 접촉 결합을 유지토록 한다.
도 6은 상기의 순서에 따라 설치가 완료된 박스형 수납함(100)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박스형 수납함(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도어판(120)을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수납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0) 상에 제1 및 제2 측면판(130, 140), 후면판(150) 그리고 도어판(120)이 순차로 접혀서 포개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측면판(130, 140)이 바닥판(110)과 이루는 힌지축(A)의 높이를 가장 낮게 설정하고, 후면판(150)이 상기 바닥판(110)과 이루는 힌지축(도면 미도시)의 높이는 상기 힌지축(A)보다 더 높게 설정하며, 마지막으로 도어판(120)의 힌지축(도 2의 Z)의 높이를 가장 높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접은 상태에서 박스형 수납함(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호 적재가 가능할 정도로 구성 판 간 포개어질 수 있어 운반에 유리하며 파손 또한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박스형 수납함(100)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박스형 수납함 110: 바닥판
111: 결합홈 120: 도어판
121: 철편 130: 제1측면판
132, 152: 돌출가이드 133, 143, 153: 돌출가이드
140: 제2측면판 150: 후면판
161 ~ 164: 모서리 기둥 162a, 162b: 안내홈
162c: 돌출단부 162d: 쐐기
170: 상판 171: 결합홈
172, 173, 174: 안내홈 175: 스토퍼부
175a: 자석
111: 결합홈 120: 도어판
121: 철편 130: 제1측면판
132, 152: 돌출가이드 133, 143, 153: 돌출가이드
140: 제2측면판 150: 후면판
161 ~ 164: 모서리 기둥 162a, 162b: 안내홈
162c: 돌출단부 162d: 쐐기
170: 상판 171: 결합홈
172, 173, 174: 안내홈 175: 스토퍼부
175a: 자석
Claims (9)
- 박스형의 수납함에 있어서,
장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판과;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4개의 모서리 기둥; 및
상기 도어판, 제1 및 제2 측면판, 후면판을 상기 바닥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을 상기 바닥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판, 제1 및 제2 측면판, 후면판 그리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에 동시에 결합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은 각각 상하단부에 돌출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은 각각의 모서리에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의 돌출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은 각각 판면의 양측단부에 제1돌출가이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대응하여 해당 제1돌출가이드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은 각각 판면의 상단부에 제2돌출가이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대응하여 해당 제2돌출가이드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제2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각 제2돌출가이드는 측면에 쐐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2안내홈의 내벽면에 상기 쐐기가 삽입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모서리 기둥의 상하단부 각 돌출단부는 측면에 쐐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판의 각 결합홈은 상기 쐐기가 삽입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과 후면판은 각각 상기 바닥판에 대해 포개진 위치로부터 수직으로 직립된 위치까지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이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힌지축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후면판이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힌지축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의 힌지축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이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힌지축의 높이는 상기 후면판의 힌지축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수납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0621U KR200458897Y1 (ko) | 2010-01-20 | 2010-01-20 | 박스형 수납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0621U KR200458897Y1 (ko) | 2010-01-20 | 2010-01-20 | 박스형 수납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431U KR20110007431U (ko) | 2011-07-27 |
KR200458897Y1 true KR200458897Y1 (ko) | 2012-03-15 |
Family
ID=4559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0621U KR200458897Y1 (ko) | 2010-01-20 | 2010-01-20 | 박스형 수납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889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753Y1 (ko) | 2013-11-26 | 2014-05-22 | 서정국 | 접이식 소비판 수납상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6504B1 (ko) * | 2017-10-17 | 2019-07-04 |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 다용도 수납박스 |
KR101930799B1 (ko) * | 2017-11-10 | 2018-12-19 | 정화찬 |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
KR200493901Y1 (ko) * | 2020-06-19 | 2021-06-23 | 김현수 | 폴딩박스용 쉘프 브릿지 구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59136U (ko) * | 1975-10-27 | 1977-04-28 | ||
JPS61244742A (ja) * | 1985-04-15 | 1986-10-31 | 平田紙管株式会社 | 梱包箱 |
KR20090003935A (ko) * | 2007-07-05 | 2009-01-12 |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 제과제빵류 운반용 보냉상자 |
-
2010
- 2010-01-20 KR KR2020100000621U patent/KR2004588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59136U (ko) * | 1975-10-27 | 1977-04-28 | ||
JPS61244742A (ja) * | 1985-04-15 | 1986-10-31 | 平田紙管株式会社 | 梱包箱 |
KR20090003935A (ko) * | 2007-07-05 | 2009-01-12 |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 제과제빵류 운반용 보냉상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753Y1 (ko) | 2013-11-26 | 2014-05-22 | 서정국 | 접이식 소비판 수납상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431U (ko) | 201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83907B1 (en) | Folding assembly box | |
KR200458897Y1 (ko) | 박스형 수납함 | |
KR20120006461U (ko) | 절첩식 철재 컨테이너 | |
KR101126112B1 (ko) | 와인 포장용 케이스 | |
CN209080422U (zh) | 整体形成的可折叠容器 | |
WO2008088152A1 (en) | Packing box | |
KR20120050129A (ko) | 시건수단을 갖는 접이식 포장상자 | |
KR20120006954U (ko) | 컨테이너 파렛트 | |
CN106697489B (zh) | 折叠式保冷箱 | |
KR200430436Y1 (ko) | 조립식 포장상자 | |
KR20110002932U (ko) | 절첩식 상자 | |
KR101572778B1 (ko) | 조립식 상자 | |
CN207644845U (zh) | 一种可拆卸可叠加的储物箱 | |
CN203646670U (zh) | 一种工具箱 | |
KR100768494B1 (ko) | 회동 인출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
CN221563804U (zh) | 一种全息投影礼盒 | |
CN205612076U (zh) | 一种可收缩三合一写字板 | |
CN220077001U (zh) | 一种拆卸组合箱子 | |
CN221294502U (zh) | 一种服装加工用辅料储存装置 | |
KR20210071930A (ko) | 팔레트를 구비한 조립 포장상자 | |
KR20150065459A (ko) | 회수용 박스 파렛트 | |
CN209601094U (zh) | 一种路灯用纸托 | |
CN221394543U (zh) | 一种多功能立式包装礼盒 | |
CN220343856U (zh) | 滑动重力锁盖粉盒 | |
CN209160279U (zh) | 一种新型折叠式快递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