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932U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932U
KR20110002932U KR2020090012190U KR20090012190U KR20110002932U KR 20110002932 U KR20110002932 U KR 20110002932U KR 2020090012190 U KR2020090012190 U KR 2020090012190U KR 20090012190 U KR20090012190 U KR 20090012190U KR 20110002932 U KR20110002932 U KR 201100029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rear side
plate
fold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548Y1 (ko
Inventor
주유신
Original Assignee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2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54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5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이나 화물을 수납하는 절첩식 상자에 있어서, 특히 바닥판(10) 상부 테두리를 따라 단차부를 형성하되, 전후방 장폭 테두리는 적어도 전후 측면판(20)(20')의 두께 이상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부(11)(12)를 형성하여 하부가 힌지 결합된 전후 측면판(20)(20')이 차례로 포개지게 절첩하고, 상기 좌우측 단폭 테두리는 후방 장폭 테두리와 적어도 측면판(30)(30')의 두께 이상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부(13)(13)를 형성하여 하부가 힌지 결합된 좌우 측면판(30)(30')이 후방 측면판(20') 상부에 좌우로 포개지게 절첩하며, 상기 단폭 좌우 측면판(30)(30')의 상단에 힌지(45) 결합되어 전후 측면판(20)(20')의 상단에서 좌우로 덮개 역활을 하는 덮개판(40)(40')이 좌우 측면판(30)(30') 상부에 외측으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제공하므로서, 절첩 휴대성이 우수하고, 덮개를 갖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물품의 포장을 위해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절첩, 상자, 바닥판, 측면판, 힌지, 덮개판

Description

절첩식 상자{FOLDABLE BOX}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이나 화물을 수납하는 절첩식 상자에 있어서, 특히 바닥판의 상부 테두리를 단차 형성하여 장폭의 전후 측면판, 단폭의 좌우 측면판을 상하로 다단 포개지게 절첩 구성하되, 상기 좌우 측면판의 상단에 좌우 덮개판을 힌지 연결하여 상자 상부에서 좌우로 회전 개폐하는 덮개로 사용함은 물론 좌우 측면판 상하로 절첩가능케 제공하므로 절첩 휴대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덮개에 의해 더욱 다양한 물품의 포장에 사용되므로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는 산업 현장에서 각종 물품이나 화물을 수납 보관하고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자는 주로 종이, 플라스틱 재질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재질의 상자는 취급 견고성 및 상품 보관성 등이 종이 재질에 비해 우수한 잇점을 갖는데 반하여 각종 물품이나 화물을 수납하지 않고 보관 및 운반할 때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없어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상자를 절첩식으로 제조하여 각종 물품이나 화물을 수납하지 않고 보관 및 운반할 때 전체 부피를 줄이도록 하는 절첩식 상자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절첩식 상자는 바닥판을 중심으로 4개의 측면판을 다수의 경첩으로 각각 연결 조립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절첩 및 원위치 조립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이 때문에 현장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바닥판의 상부 테두리를 단차 형성하여 장폭의 전후 측면판, 단폭의 좌우 측면판을 상하로 다단 포개지게 절첩 구성하여 절첩 작업성 및 절첩 휴대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좌우 측면판의 상단에 좌우 덮개판을 힌지 연결하여 상자 상부에서 좌우로 회전 개폐하는 덮개로 사용함은 물론 좌우 측면판 상하로 절첩가능케 제공하므로 절첩 휴대성은 물론 덮개에 의해 더욱 다양한 물품의 포장에 사용되므로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바닥판 상부 테두리를 따라 단차부를 형성하되, 전후방 장폭 테두리는 적어도 전후 측면판의 두께 이상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부를 형성하여 하부가 힌지 결합된 전후 측면판이 차례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하고; 상기 좌우측 단폭 테두리는 후방 장폭 테두리와 적어도 측면판의 두께 이상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부를 형성하여 하부가 힌지 결합된 좌우 측면판이 후방 측면판 상부에 좌우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하며; 상기 단폭 좌우 측면판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전후 측면판의 상단에서 좌우로 덮개 역활을 하는 덮개판이 좌우 측면판 상부에 외측으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단폭 좌우 측면판의 양측에는 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을 돌출 형성하여 장폭 전후 측면판이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지지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장폭 전후 측면판의 상부 양측에는 단폭 좌우 측면판의 걸림홈과 일직선상의 조립공을 형성하여 결합지지구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대향되게 삽입 결합하되, 상기 결합 지지구의 끝단 걸림돌기가 좌우 측면판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조립되어 전후, 좌우 측면판의 조립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바닥판의 상부 테두리를 단차 형성하여 장폭의 전후 측면판, 단폭의 좌우 측면판을 상하로 다단 포개지게 절첩 구성하되, 상기 좌우 측면판의 상단에 좌우 덮개판을 힌지 연결하여 상자 상부에서 좌우로 회전 개폐하는 덮개 로 사용함은 물론 좌우 측면판 상하로 절첩가능케 제공하므로 절첩 작업성, 절첩 휴대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덮개에 의해 더욱 다양한 물품의 포장에 사용되므로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바닥판 상부 테두리의 장폭 측면판과 단폭 측면판 및 단폭 측면판 상부로 연결되는 덮개판을 바닥판 상부에 포개지도록 절첩하여 최소 부피를 갖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 상부 테두리를 따라 단차부를 형성하되, 전후방 장폭 테두리는 적어도 전후 측면판(20)(20')의 두께 이상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부(11)(12)를 형성하여 하부가 힌지 결합된 전후 측면판(20)(20')이 차례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단폭 테두리는 후방 장폭 테두리와 적어도 측면판(30)(30')의 두께 이상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부(13)(13)를 형성하여 하부가 힌지 결합된 좌우 측면판(30)(30')이 후방 측면판(20') 상부에 좌우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폭 좌우 측면판(30)(30')의 상단에 좌우로 회동가능케 힌지(45) 결합되어 전후 측면판(20)(20')의 상단에서 좌우로 덮개 역활을 하는 덮개판(40)(40') 이 좌우 측면판(30)(30') 상부에 외측으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폭 좌우 측면판(30)(30')의 양측에는 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32)을 돌출 형성하여 장폭 전후 측면판(20)(20')이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지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폭 전후 측면판(20)(20')의 상부 양측에는 단폭 좌우 측면판의 걸림홈(33)과 일직선상의 조립공(25)을 형성하여 결합지지구(50)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대향되게 삽입 결합하되, 상기 결합 지지구의 끝단 걸림돌기(52)가 좌우 측면판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조립되어 전후, 좌우 측면판의 조립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5는 바닥판(10)의 결합 요홈으로 각 측면판(20)(20'), (30)(30')의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회동가능케 결합되는 힌지축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바닥판 상부 테두리에 장폭 측면판과 단폭 측면판 및 단폭 측면판 상부로 연결되는 덮개판을 간단히 조립 및 절첩 사용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자를 조립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닥판(10) 상부에 테두리에 전,후 측면판(20)(20'), 좌,우측면판(30)(30')를 기립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장폭 전후 측면판(20)(20')의 상부 양측에서 조립공(25)을 통해 지지구(50)를 삽입하되, 상기 지지구 끝단의 걸림돌기(52)가 단폭 좌우 측면판의 걸림홈(33)에 삽입 걸림작동하도록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 측면판(20)(20')의 상단에 힌지(45) 결합된 좌우 덮개판(40)(40')를 좌우 회전시켜 덮개 역활을 행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상자는 내부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토록 사용하되, 덮개를 구비하여 내부 물품을 더 효과적으로 보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보관, 운반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좌우 측면판(30)(30')과 전후 측면판(20)(20')은 지지구(50)에 의해 조립됨과 함께, 좌우 측면판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32)이 전후 측면판(20)(20')이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므로 견고한 조립 상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상자를 절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구(50)를 분리한 상태에서 장폭의 전후 측면판(20)(20')을 바닥판(10) 상부로 차례로 포개지게 절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 측면판 상부 좌우로 좌우 측면판(30)(30')을 차례로 포개지게 절첩한 후, 다시 상기 좌우 측면판(30)(30') 상단에 연결된 좌우 덮개판(40)(40')을 외측방향으로 절첩하여 상기 좌우 측면판 상부로 포개지게 절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휴대하게 되는 것이다.
즉, 판재 형태로 바닥판, 전후 측면판, 좌우 측면판, 좌우 덮개판을 차례로 절첩하므로 보관, 운반이 간편함은 물론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정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절첩된 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판 11,12,13: 단차부
20,20',30,30': 측면판
45: 힌지 40,40': 덮개판
32: 지지턱 50: 결합지지구
33: 걸림홈 52: 걸림돌기

Claims (3)

  1. 바닥판, 전후 측면판 및 좌우 측면판을 절첩 사용하는 절첩식 상자에 있어서,
    바닥판(10) 상부 테두리를 따라 단차부를 형성하되, 전후방 장폭 테두리는 적어도 전후 측면판(20)(20')의 두께 이상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부(11)(12)를 형성하여 하부가 힌지 결합된 전후 측면판(20)(20')이 차례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단폭 테두리는 후방 장폭 테두리와 적어도 측면판(30)(30')의 두께 이상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부(13)(13)를 형성하여 하부가 힌지 결합된 좌우 측면판(30)(30')이 후방 측면판(20') 상부에 좌우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폭 좌우 측면판(30)(30')의 상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케 힌지(45) 결합되어 전후 측면판(20)(20')의 상단에서 좌우로 덮개 역활을 하는 덮개판(40)(40')이 좌우 측면판(30)(30') 상부에 외측으로 포개지게 절첩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폭 좌우 측면판(30)(30')의 양측에는 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 턱(32)을 돌출 형성하여 장폭 전후 측면판(20)(20')이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지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폭 전후 측면판(20)(20')의 상부 양측에는 단폭 좌우 측면판의 걸림홈(33)과 일직선상의 조립공(25)을 형성하여 결합지지구(50)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대향되게 삽입 결합하되, 상기 결합 지지구의 끝단 걸림돌기(52)가 좌우 측면판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조립되어 전후, 좌우 측면판의 조립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KR2020090012190U 2009-09-16 2009-09-16 절첩식 상자 KR200457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90U KR200457548Y1 (ko) 2009-09-16 2009-09-16 절첩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90U KR200457548Y1 (ko) 2009-09-16 2009-09-16 절첩식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32U true KR20110002932U (ko) 2011-03-23
KR200457548Y1 KR200457548Y1 (ko) 2011-12-26

Family

ID=4420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190U KR200457548Y1 (ko) 2009-09-16 2009-09-16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5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186B1 (ko) * 2013-07-04 2013-09-26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KR101963744B1 (ko) * 2018-11-12 2019-04-01 김용진 다용도 수납함
WO2022241524A1 (en) * 2021-05-21 2022-11-24 Icee Holdings Pty Ltd Storage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674B1 (ko) 2021-09-28 2023-12-14 엔피씨(주) 단일 덮개판을 갖는 절첩식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1534B2 (ja) 2001-04-10 2011-06-29 株式会社スチールセンター 折畳み収納式梱包容器
KR100580886B1 (ko) 2004-02-12 2006-05-22 박기범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KR200382459Y1 (ko) 2004-12-23 2005-04-20 (주) 더메이드 커버가 구비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용 커버
KR200390242Y1 (ko) 2005-03-10 2005-07-25 삼화플라스틱(주) 접이식 수장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186B1 (ko) * 2013-07-04 2013-09-26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KR101963744B1 (ko) * 2018-11-12 2019-04-01 김용진 다용도 수납함
WO2022241524A1 (en) * 2021-05-21 2022-11-24 Icee Holdings Pty Ltd Sto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548Y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33247A (ja) 保管・輸送箱
MX2012003283A (es) Marco de refuerzo para una caja o una tarima de transporte.
KR200457548Y1 (ko) 절첩식 상자
US20140339227A1 (en) Foldable sealing container apparatus
KR200390242Y1 (ko) 접이식 수장함
KR101875279B1 (ko) 다용도 수납박스
KR100793239B1 (ko)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200393366Y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ZA200607040B (en) Collapsible container
KR100627177B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WO2008088152A1 (en) Packing box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200378562Y1 (ko)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KR100913061B1 (ko) 적층이 용이한 선물용 포장상자
KR200395583Y1 (ko) 운반용 조립식 박스
JP2006335388A (ja) コンテナのスタック構造
CN216333930U (zh) 一种包装箱
JP2761198B2 (ja) 折畳み式輸送容器
KR200443133Y1 (ko) 포장박스
JP4253030B1 (ja) 組立式収納箱
KR200430540Y1 (ko) 접이형 포장박스
JP3242579U (ja) 折りたたみ箱
JP3139384U (ja) 組立式収納箱
US20230257160A1 (en) Collapsible box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220011448A (ko) 포장상자 제작용 전개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