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186B1 -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 Google Patents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186B1
KR101311186B1 KR1020130078475A KR20130078475A KR101311186B1 KR 101311186 B1 KR101311186 B1 KR 101311186B1 KR 1020130078475 A KR1020130078475 A KR 1020130078475A KR 20130078475 A KR20130078475 A KR 20130078475A KR 101311186 B1 KR101311186 B1 KR 10131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thermal insulation
insulation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김용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지피에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지피에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7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접이식 보온단열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는, 수평으로 놓여지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대해 수직인 제1 측판과 제2 측판, 앞판과 뒤판, 그리고 바닥판과 평행한 상부 덮개로 구성된 박스이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앞판과 뒤판은 상기 바닥판의 좌우앞뒤 가장자리에 박스 내측으로 접힐 수 있게 연결되고, 상부 덮개는 바닥판과 연결된 상기 앞판과 뒤판의 반대쪽에 단부에 연결대를 통해 한 쌍이 상향 여닫이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보온단열박스{Folding type Heat insulation box}
본 발명은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에 유리한 형태에서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형태로의 변경이 자유로운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품 포장 및 안전한 이송을 위해 발포 포장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발포 포장재는 다른 포장재 예컨대, 일반 종이재질의 포장재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완충효과가 우수하여 상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고 이송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이재질의 일반 포장재에 비해 큰 부피로 인하여 보관과 이동에 있어 불리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06516호에는 절첩식 이송용 상자라는 제목으로 발포 성형된 패널형 포장재를 이용해 포장상자를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포장에 이용하기 전 포장상자를 접어 부피를 최대한 줄인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보관 및 이동에 있어 유리함을 확보하고자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발포 포장재는, 두 판재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음부 구성이 복잡해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며 생산성이 떨어지고, 측판을 이루는 테두리부에 대해 밑판부와 덮개부가 탈착 가능하게 분리 조립되는 구조이어서 접어서 보관할 때 테두리부와 밑판부, 그리고 덮개부를 따로 보관해야 하는 보관상의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박스 위에 또 다른 박스를 쌓아 올린 상태로 보관 또는 이동하는 때 박스 간 면접촉에 따른 슬립 때문에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많은 양의 박스들을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구조적으로 박스의 강도가 취약하여 박스가 쉽게 찌그러져 변형되는 문제가 있고, 판재 이음부의 틈새로 인해 기밀성과 밀폐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6516호(공개일자 2009. 1. 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밀성과 밀폐성이 우수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 보관에 유리한 형태로 부피를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고, 휴대 보관에 유리한 형태에서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형태로 변경이 자유로운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립이 용이하여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다수개의 박스들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쌓아 올릴 수 있으며,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갖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평으로 놓여지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대해 수직인 제1 측판과 제2 측판, 앞판과 뒤판, 그리고 바닥판과 평행한 상부 덮개로 구성된 박스이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앞판과 뒤판은 상기 바닥판의 좌우앞뒤 가장자리에 박스 내측으로 접힐 수 있게 연결되고, 상부 덮개는 바닥판과 연결된 상기 앞판과 뒤판의 반대쪽에 단부에 연결대를 통해 대향된 한 쌍이 상향 여닫이 식으로 개폐될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의 좌우앞뒤 각 가장자리 중앙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볼록부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 앞판과 뒤판 하단 중앙에는 바닥판에 대해 각각의 판을 수직으로 전개시켜 세웠을 때 상기 볼록부와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하는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하단부가 접하는 상기 볼록부 양측의 바닥판 가장자리와 제1 측판과 제2 측판 하단의 요홈부 양측에는 제1, 제2 측판을 수직으로 전개시켰을 때 상호 계합되는 형태로 맞물리는 단턱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바닥판에 대해 수직으로 세웠을 때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된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측판과 바닥판이 그 이음부에 틈새 발생 없이 긴밀하게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앞판과 뒤판이 연결되는 바닥판 앞뒤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테두리가 있고, 상기 돌출테두리에 상기 앞판과 뒤판이 박스 내측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박스를 접었을 때 바닥판 위로 제1 측판과 제2 측판이 위치하고, 제1 측판과 제2 측판 위로 상기 앞판과 뒤판이 포개지듯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테두리는 제1, 제2 측판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박스를 접었을 때 제1, 제2 측판과 이들 위로 포개지는 상기 앞판과 뒤판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판 양 측면에는 박스 이동을 위한 손잡이부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폭방향 양 측면에는 측면 돌부가 상기 제1, 제2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 각 판을 수직으로 전개시켜 세웠을 때 상기 측면 돌부와 맞물리게 결합하는 측면 요부가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양 측면이 접하는 앞판과 뒤판 양 측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측판과 앞판과 뒤판 이음부에 대한 보다 확실한 기밀성의 확보 및 박스 외력이 작용한 때 앞판과 뒤판에 대해 제1, 제2 측판이 뒤틀리거나 이들 이음부에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면 돌부와 측면 요부 내단부를 따라 상호 형합 가능한 형태의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부 덮개는, 앞판 상단에 상기 연결대를 통해 두 개의 절첩 관절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부 덮개와, 뒤판 상단에 상기 연결대를 통해 두 개의 절첩 관절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부 덮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상단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 덮개를 덮었을 때 상기 제1, 제2 측판의 상단과 접하는 제1, 제2 상부 덮개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결합요홈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조립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제2 측판의 측면부에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박스는 변형됨이 없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덮개를 덮었을 때 제1, 제2 상부 덮개의 경계부 틈새에 대한 기밀성과 밀폐성의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상부 덮개의 자유단 측면과 제2 상부 덮개 자유단 측면에는 상부 덮개를 덮었을 때 서로 맞물리게 접하는 돌부와 요부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박스를 쌓아 올린 상태로 보관 또는 이동시키는 경우, 다수의 박스들이 흔들림 없는 안정된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 저면에는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부 덮개 상면에는 상기 돌출면과 접하는 요홈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박스는, 박스를 접었을 때 박스 내측으로 접힌 제1 측판과 제2 측판 위로 앞판과 뒤판이 포개지듯 위치하며, 앞판과 뒤판 위로 상부 덮개가 포개지듯 위치하는 형태로 접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판과 제1, 제2 측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과 앞판과 뒤판은, 맞물리게 결합하는 중앙 힌지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판상 연결부가 절첩 가능한 구성의 체결구와, 대향부 측면에서 상기 체결구와 결합하는 피체결구로 이루어진 제1 힌지를 통해 상기 바닥판에 접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의 판상 연결부에는 상기 바닥판과 제1, 제2 측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과 앞판과 뒤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쐐기형 결합구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피체결구에는 상기 쐐기형 결합구와 결합하는 쐐기형 요홈면을 형성한 체결관을 구비하여, 바닥판과 제1, 제2 측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과 앞판과 뒤판 바깥에서 상기 체결구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와 앞판과 뒤판, 그리고 연결대와 한 쌍의 상부 덮개는, 기다란 하나의 연결바를 통해 한 쌍의 힌지 조립구가 상기 연결바의 축선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의 제2 힌지를 매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힌지 조립구는, 측면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마주하는 측면에는 상호 연통되는 측면 개구가 있고 반대쪽은 막혀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측면 개구와 통하는 일정 깊이의 수용홈이 있고, 수용홈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상기 연결바의 상부 이탈을 저지하는 언더 컷이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바는 양 말단에 다른 부분에 비해 큰 직경의 확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힌지 조립구의 측면 개구 반대쪽에는 수용홈 바닥 측으로의 상기 확경부의 조립을 안내하고 상기 확경부가 걸리게 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에 따르면, 판재 간 이음부에 대한 기밀성과 밀폐성이 우수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휴대 보관에 유리한 형태로 부피를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고, 휴대 보관에 유리한 접이식 형태에서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형태로 변경이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조립이 용이하여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바닥판 저면과 상부 덮개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면과 요홈면에 의해 박스 위에 또 다른 박스를 쌓아 올린 경우 상하 박스 간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해도 박스가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부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난 보온단열박스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직각 배치를 이루는 측판과 앞판 또는 뒤판 이음부에 대한 사시도.
도 8는 도 7에 나타난 이음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사용 상태도로서, 박스 위에 따른 박스를 쌓아 올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박스 내측에서 바닥판과 제1, 제2 측판, 그리고 바닥판과 앞, 뒤판 사이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제1 힌지의 결합 단면도.
도 14는 앞, 뒤판과 연결대, 그리고 연결대와 상부 덮개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2 힌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난 제2 힌지의 결합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접이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온단열박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상부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는, 바닥에 수평으로 놓여지는 바닥판(1)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1)에 대해 수직인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 앞판(3a)과 뒤판(3b), 그리고 바닥판(1)에 대해 평행한 상부 덮개(4)를 포함한다.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 앞판(3a)과 뒤판(3b)은 상기 바닥판(1)의 좌우앞뒤 가장자리에 제1 힌지(6)를 통해 박스 내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덮개(4)는 바닥판(1)과 연결된 상기 앞판(3a)과 뒤판(3b)의 반대쪽 상단에 연결대(5)와 제2 힌지(7)를 통해 한 쌍이 상향 여닫이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 앞판(3a)과 뒤판(3b), 그리고 상기 바닥판(1)과 상부 덮개(4)는, 작은 구슬 모양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고온 환경에서 가압하여 판상 형태로 압축 가공한 EPP 판재일 수 있으며, 제1, 제2 측판(2b) 폭에 비해 앞판(3a)과 뒤판(3b)이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제1 힌지(6)는 박스 내측에서 상기 네 개의 판과 바닥판(1)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박스를 펼쳤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네 개의 판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바닥판(1)의 양 측면에는 박스 이동을 위한 손잡이부(14)가 함몰 형성된다.
손잡이부(14)에는 박스를 들어올릴 때 손가락을 위치시키기에 유리한 형태로 곡선상으로 연속되는 손잡이면을 형성한 손잡이(부호 생략)가 조립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4)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기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의 외측면 중앙에도 다른 손잡이부(2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1)의 좌, 우, 앞, 뒤 각 가장자리 중앙에는 일정 높이로 볼록부(1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부(10)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 앞판(3a)과 뒤판(3b) 하단 중앙에는 각 판을 수직으로 전개시켜 세웠을 때 상기 볼록부(10)와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하는 요홈부(20)(30)가 형성된다.
볼록부(10)와 요홈부(20)(30)는 바닥판(1)에 대해 제1, 제2 측판(2b), 그리고 앞판(3a)과 뒤판(3b)이 각 판의 폭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바닥판(1)과 각 판을 박스 내측에서 연결하는 제1 힌지(6)를 기준으로 각각의 판이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하여 직립상태가 유지되도록 기능한다.
앞판(3a)과 뒤판(3b)이 연결되는 바닥판(1)의 앞뒤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일정 높이로 돌출테두리(12)가 바닥판(1)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테두리(12)에 앞판(3a)과 뒤판(3b)이 상기한 제1 힌지(6)를 매개로 박스 내측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부피를 축소시키는 형태로 박스를 접게 되면, 도 9 및 도 10을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 위로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이 포개지듯 위치하고,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 위로 상기 앞판(3a)과 뒤판(3b)이 포개지듯 위치하는 형태로 접히게 된다.
돌출테두리(12)는 바람직하게, 박스를 접었을 때 앞판(3a)과 뒤판(3b)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의 두께(D)에 상응하는 높이(H)로 형성될 수 있으며(도 9 내지 도 10 참조), 이 경우 박스를 접었을 때 제1, 제2 측판(2b)과 그 위로 포개지듯 위치하는 앞판(3a)과 뒤판(3b)은 틈새 없는 안정된 면접촉을 이루게 된다.
앞판(3a)과 뒤판(3b)의 상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 덮개(4)는 구체적으로, 앞판(3a) 상단에 상기 연결대(5)를 통해 두 개의 절첩 관절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부 덮개(4a)와, 뒤판(3b) 상단에 상기 연결대(5)를 통해 두 개의 절첩 관절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부 덮개(4b)로 구성된다.
제1 상부 덮개(4a)와 제2 상부 덮개(4b)는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5)에 의한 두 개의 절접 관절에 의해, 박스의 상측 개구를 덮는 수평한 배치형태에서, 도 5의 파선의 도시와 같이 앞판(3a)과 뒤판(3b)의 외면에 포개지듯 접하는 수직한 배치형태로 개방될 수 있다.
제1 상부 덮개(4a)의 자유단 측면과 제2 상부 덮개(4b) 자유단 측면에는 상부 덮개(4)를 덮었을 때 서로 맞물리게 접하는 돌부(40)와 요부(42)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부 덮개(4)를 덮었을 때 상기 돌부(40)와 요부(42)의 결합에 의해 제1, 제2 상부 덮개(4b) 사이의 경계부 틈새에 대한 기밀성이 확보된다.
도 6은 도 5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의 상단에는 결합돌기(25)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덮개(4)를 덮었을 때 상기 결합돌기(25)가 결합하는 결합요홈(45)이 상기 제1, 제2 측판(2b)의 상단과 접하는 제1, 제2 상부 덮개(4b) 하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부 덮개(4)를 덮었을 때의 상기 제1, 제2 측판(2b)의 결합돌기(25)와 상부 덮개(4) 형성되는 결합요홈(4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제2 측판(2b)의 측면부에서 박스 내측을 향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 제2 측판(2b)은 내측으로 절첩되지 않고 견고한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의 하단부가 접하는 볼록부(10) 양측의 바닥판(1) 가장자리와 요홈부(20) 양측의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의 하단부에는 계단 모양으로 단차져서 제1, 제2 측판(2b)을 수직으로 전개시켰을 때 상호 계합되는 형태로 맞물리는 단턱부(18)(28)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18)(28)의 구성에 의해,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을 전개시켜 바닥판(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웠을 때 제1, 제2 측판(2b)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는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제2 측판(2b)과 바닥판(1)은 이음부 틈새 발생 없는 긴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직각 배치를 이루는 측판과 앞판 또는 뒤판 이음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는 도 7에 나타난 이음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판을 바닥판(1)에 대해 수직한 배치를 이루도록 세웠을 때, 상기 앞판(3a)과 뒤판(3b)은 상기 제1, 제2 측판(2a)(2b)의 폭방향 양 측면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 제2 측판(2a)(2b)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의 폭방향 양 측면에는 측면 돌부(22)가 상기 제1, 제2 측판(2b)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 돌부(22)와 맞물리게 결합하는 측면 요부(32)가 상기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의 양 측면이 접하는 앞판(3a)과 뒤판(3b) 양 측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된다.
제1, 제2 측판(2a)(2b)의 측면 돌부(22)와 앞판(3a)과 뒤판(3b)에 형성되는 측면 요부(32)는 각 판을 바닥판(1)에 대해 수직으로 전개시켜 세웠을 때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며, 따라서 제1, 제2 측판(2b)과 바닥판(1)은 이음부 틈새 발생 없는 긴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제2 측판(2a)(2b)과 앞판(3a)과 뒤판(3b) 이음부에 대한 보다 확실한 기밀성의 확보 및 박스에 외력이 작용한 때 앞판(3a)과 뒤판(3b)에 대해 제1, 제2 측판(2a)(2b)이 뒤틀리거나 이들 이음부에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면 돌부(22)와 측면 요부(32) 내단부를 따라서는 상호 형합 가능한 형태의 요철면(27)(37)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판(1)의 저면에는 일정 면적과 높이로 돌출면(19)에 형성되어 있으며, 박스의 상측 개구를 덮도록 상부 덮개(4)를 수평상으로 펼쳤을 때 상부 덮개(4)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면(19)과 접하는 요홈면(49)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박스를 쌓아 올리더라도 박스 간 흔들림 없는 안정된 적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2는 박스 내측에서 바닥판과 제1, 제2 측판, 그리고 바닥판과 앞, 뒤판 사이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제1 힌지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의 도시와 같이, 제1 힌지(6)는 맞물리게 결합하는 중앙 힌지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판상 연결부가 절첩 가능한 구조로 된 체결구(60)와, 대향부 측면에서 상기 체결구(60)와 결합하는 피체결구(62)로 구성되어, 바닥판(1)에 제1, 제2 측판(2b)과 앞판(3a)과 뒤판(3b)을 접이식으로 연결한다.
체결구(60)를 구성하는 상기 판상 연결부에는 바닥판(1)과 제1, 제2 측판(2b), 그리고 상기 바닥판(1)과 앞판(3a)과 뒤판(3b)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쐐기형 결합구(61)가 일체로 구비되며, 피체결구(62)에는 상기 쐐기형 결합구(61)가 결합하는 쐐기형 요홈면을 형성한 체결관(63)을 일체로 구비한다.
따라서 박스 안쪽에서 상기 바닥판(1)과 제1, 제2 측판(2b), 그리고 상기 바닥판(1)과 앞판(3a)과 뒤판(3b)을 쐐기형 결합구(61)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끼운 상태에서, 박스 바깥에서 상기 체결관(63)에 쐐기형 결합구(61)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피체결구(62)를 조립하는 것으로 힌지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물론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쐐기형 결합구와 요홈면의 구성을 채택하는 것 외에도, 일반적인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부재와 피체결부재가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일반적인 변형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4와 도 15는 연결대와 앞판과 뒤판, 그리고 연결대와 한 쌍의 상부 덮개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2 힌지(7)는 측면이 서로 마주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힌지 조립구(70a)(70b)와, 이들 힌지 조립구(70a)(70b)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바(75)를 포함한다.
한 쌍의 힌지 조립구(70a)(70b)는 연결대상 두 부재의 절첩 경계부에 형성되는 조립홈(h)에 하나씩 끼워져 압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연결바(75)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바(75)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바(75)의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한 쌍의 힌지 조립구(70a)(70b)는 구체적으로,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상호 연통하는 측면 개구(71)가 있고 반대쪽은 막혀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측면 개구(71)와 통하는 일정 깊이의 수용홈(72)이 있고, 수용홈(72)의 상부는 상기 연결바(75)를 조립할 수 있게 개방되어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연결바(75)는 상기 수용홈(72)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조립되어 수용홈(72) 바닥 측에 위치하게 되며, 연결바(75)가 수용홈(72) 바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로 이탈하지 않고 한 쌍의 힌지 조립구(70a)(70b)에 대한 힌지축으로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72) 바닥 측에는 언더 컷(73)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75)는 양 말단에 다른 부분에 비해 큰 직경의 확경부(76)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힌지 조립구(70a)(70b)의 상기 측면 개구(71) 반대쪽에는 수용홈(72) 바닥 측으로의 상기 확경부(76)의 조립을 안내하고 확경부(76)와 맞물려서 한 쌍의 힌지 조립구(70a)(70b)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하는 가이드홈(74)이 형성된다.
가이드홈(74)은 상기 확경부(76)의 직경과 비슷하거나 다소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박스의 전체적인 무게와 잦은 동작에 따른 마모 등을 고려했을 때 상기 한 쌍의 힌지 조립구(70a)(70b)와 연결바(75)는 내마모성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서 도면부호 78은 힌지 조립구(70a)(70b) 내측으로의 이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바(75)가 진입하는 상기 힌지 조립구(70a)(70b) 상측 개방부를 덮는 힌지 커버를 가리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를 보관에 유리한 형태로 접는 과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6의 (a)를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덮개(4)를 열어 박스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되, 이때 상부 덮개(4)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앞판(3a)과 뒤판(3b) 외측으로 이들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한 배치를 이루면서 밀착되도록 완전히 개방한다.
그런 다음,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을 내측으로 접어 도 16의 (b)와 같이 바닥판(1) 위에 포개지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도 16의 (c)와 같이 앞판(3a)과 뒤판(3b)을 박스 내측으로 접어 먼저 접힌 상기 제1 측판(2a)과 제2 측판(2b) 상에 포개지도록 하면 간단하게 접이가 완료된다.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형태로의 펼침은 위 과정의 역순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온단열박스에 따르면, 판재 간 이음부에 대한 기밀성과 밀폐성이 우수하며, 휴대 보관에 유리한 형태로 부피를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고, 휴대 보관에 유리한 접이식 형태에서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형태로 변경이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조립이 용이하여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바닥판 저면과 상부 덮개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면과 요홈면에 의해 박스 위에 또 다른 박스를 쌓아 올린 경우 상하 박스 간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해도 박스가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바닥판 2a : 제1 측판
2b : 제1 측판 3a : 앞판
3b : 뒤판 4 : 상부 덮개
5 : 연결대 6 : 제1 힌지
7 : 제2 힌지 10 : 볼록부
12 : 돌출테두리 14, 24 : 손잡이부
18 : 단턱부 19 : 돌출면
20, 30 : 요홈부 22 : 측면 돌부
25 : 결합돌기 27, 37 : 요철면
32 : 측면 요부 45 : 결합요홈
49 : 요홈면 60 : 체결구
61 : 쐐기형 결합구 62 : 피체결구
63 : 체결관 70a, 70b : 힌지 조립구
71 : 측면 개구 72 : 수용홈
73 : 언더 컷 74 : 가이드홈
75 : 연결바 76 : 확경부
78 : 힌지 커버

Claims (18)

  1. 수평으로 놓여지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대해 수직인 제1 측판과 제2 측판, 앞판과 뒤판, 그리고 바닥판과 평행한 상부 덮개로 구성된 박스이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앞판과 뒤판은 상기 바닥판의 좌우앞뒤 가장자리에 박스 내측으로 접힐 수 있게 연결되고,
    상부 덮개는 바닥판과 연결된 상기 앞판과 뒤판의 반대쪽 단부에 연결대를 통해 대향된 한 쌍이 상향 여닫이 식으로 개폐될 수 있게 연결되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폭방향 양 측면에는 측면 돌부가 상기 제1, 제2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 각 판을 수직으로 전개시켜 세웠을 때 상기 측면 돌부와 맞물리게 결합하는 측면 요부가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양 측면이 접하는 앞판과 뒤판 양 측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좌우앞뒤 각 가장자리 중앙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볼록부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 앞판과 뒤판 하단 중앙에는 바닥판에 대해 각각의 판을 수직으로 전개시켜 세웠을 때 상기 볼록부와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하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하단부가 접하는 상기 볼록부 양측의 바닥판 가장자리와 제1 측판과 제2 측판 하단의 요홈부 양측에는, 제1, 제2 측판을 수직으로 전개시켰을 때 상호 계합되는 형태로 맞물리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과 뒤판이 연결되는 바닥판 앞뒤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테두리가 있고, 상기 돌출테두리에 상기 앞판과 뒤판이 박스 내측으로 접힐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두리는 제1, 제2 측판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양 측면에 손잡이부가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부와 측면 요부 내단부를 따라 상호 형합되는 요철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는,
    앞판 상단에 상기 연결대를 통해 두 개의 절첩 관절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부 덮개와,
    뒤판 상단에 상기 연결대를 통해 두 개의 절첩 관절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부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상단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 덮개를 덮었을 때 상기 제1, 제2 측판의 상단과 접하는 제1, 제2 상부 덮개 하면 가장자리에는 결합요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덮개의 자유단 측면과 제2 상부 덮개 자유단 측면에는 상부 덮개를 덮었을 때 서로 맞물리게 접하는 돌부와 요부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저면에는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부 덮개 상면에는 박스를 쌓아서 보관할 때 상기 돌출면이 맞물리는 요홈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박스를 접었을 때 박스 내측으로 접혀 수평상으로 놓인 제1 측판과 제2 측판 위로 앞판과 뒤판이 포개지듯 위치하며, 앞판과 뒤판 위로 상부 덮개가 포개지듯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제1, 제2 측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과 앞판과 뒤판은, 맞물리게 결합하는 중앙 힌지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판상 연결부가 절첩 가능한 구성의 체결구와, 대향부 측면에서 상기 체결구와 결합하는 피체결구로 이루어진 제1 힌지를 통해 상기 바닥판에 접이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판상 연결부에는 상기 바닥판과 제1, 제2 측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과 앞판과 뒤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쐐기형 결합구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피체결구에는 상기 쐐기형 결합구와 결합하는 쐐기형 요홈면을 형성한 체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와 앞판과 뒤판, 그리고 연결대와 한 쌍의 상부 덮개는, 개구된 측면부가 서로 마주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힌지 조립구와, 한 쌍의 힌지 조립구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진 제2 힌지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 조립구는, 측면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마주하는 측면에 상호 연통하는 측면 개구가 있고 반대쪽은 막혀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측면 개구와 통하는 일정 깊이의 수용홈이 있고, 수용홈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상기 연결바의 상부 이탈을 저지하는 언더 컷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양 말단에 다른 부분에 비해 큰 직경의 확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힌지 조립구의 측면 개구 반대쪽에는 수용홈 바닥 측으로의 상기 확경부의 조립을 안내하고 상기 확경부가 위치하게 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KR1020130078475A 2013-07-04 2013-07-04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KR10131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75A KR101311186B1 (ko) 2013-07-04 2013-07-04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75A KR101311186B1 (ko) 2013-07-04 2013-07-04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186B1 true KR101311186B1 (ko) 2013-09-26

Family

ID=4945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475A KR101311186B1 (ko) 2013-07-04 2013-07-04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1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2464A (zh) * 2017-11-14 2018-03-13 昆山登之旺精密模具有限公司 折叠周转箱
KR102021279B1 (ko) * 2018-11-15 2019-09-16 조항우 폴딩 보온 박스
KR102263002B1 (ko) 2019-12-16 2021-06-10 디에스브이(주) 보온 박스
CN115920282A (zh) * 2022-12-15 2023-04-07 江山市宇昌压力容器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组装的灭火器箱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320A (ko) * 1999-11-30 2002-06-21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콘테이너
KR20090007050U (ko) * 2008-01-08 2009-07-13 지피에스코리아(주) 딸기상자
KR20110002932U (ko) * 2009-09-16 2011-03-23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절첩식 상자
KR20110034814A (ko) * 2009-09-29 2011-04-0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수납상자용 경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320A (ko) * 1999-11-30 2002-06-21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콘테이너
KR20090007050U (ko) * 2008-01-08 2009-07-13 지피에스코리아(주) 딸기상자
KR20110002932U (ko) * 2009-09-16 2011-03-23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절첩식 상자
KR20110034814A (ko) * 2009-09-29 2011-04-0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수납상자용 경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2464A (zh) * 2017-11-14 2018-03-13 昆山登之旺精密模具有限公司 折叠周转箱
KR102021279B1 (ko) * 2018-11-15 2019-09-16 조항우 폴딩 보온 박스
KR102263002B1 (ko) 2019-12-16 2021-06-10 디에스브이(주) 보온 박스
CN115920282A (zh) * 2022-12-15 2023-04-07 江山市宇昌压力容器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组装的灭火器箱及使用方法
CN115920282B (zh) * 2022-12-15 2023-12-22 江山市宇昌压力容器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组装的灭火器箱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186B1 (ko)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JP2020023359A (ja) 容器装置
US9815587B2 (en) Folding container
WO2020249046A1 (zh) 可折叠箱
WO2020249049A1 (zh) 可折叠箱
US20230391497A1 (en) Container
CN211568573U (zh) 可折叠箱
JPWO2014068699A1 (ja) 折畳みコンテナ
JP2007099369A (ja) 折り畳み式搬送用コンテナ
KR101867463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JP2012106761A (ja) 折りたたみ可能な組立式箱
JP4422065B2 (ja) 組立式梱包体
CN210971926U (zh) 可折叠箱
KR102105158B1 (ko) 힌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JP5437697B2 (ja) 輸送容器
JP6530682B2 (ja) 合成樹脂製折り畳み容器
JPH07215357A (ja) コーナパッド
KR20140143512A (ko) 개폐형 도어를 구비한 조립식 수납상자
JP2019094084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3230468U (ja) 折り畳み携帯食品ケース
JP4634876B2 (ja) 合成樹脂製の折り畳み箱
JPH08143034A (ja) 合成樹脂製組立箱
KR20150132908A (ko) 무접합 접철 조립식 포장박스
JP4681368B2 (ja) 合成樹脂製の折り畳み箱
JP4965920B2 (ja) 合成樹脂製の折り畳み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