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315B1 -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315B1
KR102180315B1 KR1020200036095A KR20200036095A KR102180315B1 KR 102180315 B1 KR102180315 B1 KR 102180315B1 KR 1020200036095 A KR1020200036095 A KR 1020200036095A KR 20200036095 A KR20200036095 A KR 20200036095A KR 102180315 B1 KR102180315 B1 KR 102180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eated
seat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수
Original Assignee
엠에스파워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파워시스템(주) filed Critical 엠에스파워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0003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서버 등의 컴퓨터 관련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컴퓨터 부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복수의 층 각각에 설치되어 컴퓨터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 및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일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컴퓨터 부품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보관 창고; 컴퓨터 부품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각 적재 선반 별로 적재된 컴퓨터 부품의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 단말기; 및 상기 식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물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관 창고로 입고 또는 출고되는 컴퓨터 부품들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COMPUTER SERVE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서버 등의 컴퓨터 관련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고 관리시스템이란 재고 수준을 관찰하여 어느 정도로 재고 수준을 유지할 것인지, 언제 보충해야 하는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련의 정책과 통제 절차를 의미하며, 통상적인 생산재고는 기업의 생산 산출에 필요하거나 혹은 일부가 되는 품목을 가르키며, 대체로 원자재, 완제품, 부품, 가지재, 재공품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물류의 재고를 유지하는 이유는 작업의 독립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기 위해서 작업장에 어느 정도 재고를 보유함에 따라 작업당 소요시간 차이를 상호 중화시킬 수도 있고 산출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 수요의 변동에 맞추어 생산할 수 있으나, 대개의 경우 수요는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수요변동을 흡수하려면 어느 정도의 안전재고가 필요하고, 원자재 조달 측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장에서는 물류창고의 재고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종래 물류 재고관리시스템은 창고에 보관하는 물품의 입력수단을 전자저울이나 키보드, 바코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입력수단을 선택하여 재고관리를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고체, 액체, 분말 등 다양한 형태의 부품류들의 재고량 파악을 통합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물류 재고관리시스템에서는 회사 자체 내의 자재관리부에서 물류의 재고관리 및 발주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자재관리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물품의 생산원가 상승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140442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5577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컴퓨터 서버 등의 부품의 입고 및 출고 등의 흐름을 식별 코드의 식별을 통해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부품의 재고를 관리 서버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보관 창고에 있어서 일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컴퓨터 부품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보관 창고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부품의 이송하여야 하는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시켜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안착부가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컴퓨터 부품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켜 컴퓨터 부품가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컴퓨터 부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복수의 층 각각에 설치되어 컴퓨터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 및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일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컴퓨터 부품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보관 창고; 컴퓨터 부품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각 적재 선반 별로 적재된 컴퓨터 부품의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 단말기; 및 상기 식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물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관 창고로 입고 또는 출고되는 컴퓨터 부품들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장치는, 컴퓨터 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전단 충격 완충부, 상기 안착부의 후단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후단 충격 완충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전단 충격 완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전단 안착 바아,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후단 충격 완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후단 안착 바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부와 바닥면 간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완충부; 상기 보관 창고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승강 또는 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승하강 레일; 및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시키면서 상기 안착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충격 완충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상부 평판; 상기 전단 안착 바아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충격 완충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상부 받침대; 상기 상부 받침대와 상하 대칭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하부 받침대; 상기 상부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쌍의 상부 레일; 상기 상부 본체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받침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쌍의 상부 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상부 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4 개의 상부 지지 롤러; 상기 상부 받침대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 상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받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바닥면을 따라 회전 롤러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되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양측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지지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기 하부 받침대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본체를 지지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 날개; 상기 하부 본체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쌍의 하부 레일;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쌍의 하부 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4 개의 하부 지지 롤러; 및 상기 하부 받침대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본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천장면을 따라 회전 롤러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되는 하부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안착부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며, 상부가 "ㄱ" 형태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절곡 거치대의 절곡면이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의 전단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 방지대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절곡 거치대의 절곡면을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 거치대의 절곡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서버 등의 부품의 입고 및 출고 등의 흐름을 식별 코드의 식별을 통해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부품의 재고를 관리 서버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창고의 적재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보관 창고에 있어서 일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컴퓨터 부품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보관 창고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부품의 이송하여야 하는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시켜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안착부가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컴퓨터 부품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켜 컴퓨터 부품가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관 창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안착부 및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전단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탄성 조절 실린더에 의한 간격 지지부의 수축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승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전도 방지대의 지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도 방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 도 11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0의 전단 충격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1)은, 보관 창고(10), 식별 단말기(20) 및 재고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관 창고(10)는, 복수의 층(S1, S2)으로 형성되어 컴퓨터 서버를 포함하는 컴퓨터 부품(P)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복수의 층 각각에 설치되어 컴퓨터 부품(P)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100-1, 100-2), 및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일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컴퓨터 부품(P)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 장치(200)를 구비한다.
식별 단말기(20)는, 컴퓨터 부품(P)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C)를 인식하여 보관 창고(10)에 구비되는 각 적재 선반(100) 별로 적재된 컴퓨터 부품(P)의 물품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물품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재고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재고 관리 서버(3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식별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물품 정보를 이용하여 보관 창고(10)로 입고 또는 출고되는 컴퓨터 부품(P)들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재고를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1)은, 재고 관리 서버(30)로 전송되는 물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1)은, 컴퓨터 서버 등의 부품의 입고 및 출고 등의 흐름을 식별 코드의 식별을 통해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부품의 재고를 관리 서버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창고의 적재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 장치(200)는, 안착부(210), 완충부(220), 승하강 레일(230) 및 권취부(240)를 포함한다.
안착부(210)는, 컴퓨터 부품(P)을 안착시키기 위한 적재면을 형성하며, 레일(230)에 안착되어 후단 상측에 설치되는 와이어(W)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컴퓨터 부품(P)를 이동시켜 준다.
완충부(220)는, 안착부(210)와 바닥면 간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승하강 레일(230)은, 보관 창고(10)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안착부(21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유도한다.
권취부(240)는, 안착부(2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와이어(W)를 권취 또는 권취시키면서 안착부(21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승강 장치(20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보관 창고(10)에 있어서 일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컴퓨터 부품(P)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보관 창고(10)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부품(P)의 이송하여야 하는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시켜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안착부 및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착부(210)는, 컴퓨터 부품(P)을 올려 놓기 위한 안착 플레이트(211), 안착 플레이트(211)의 양측에 설치되어 컴퓨터 부품(P)이 안착 플레이트(2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플레이트(212) 및 안착 플레이트(211)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플레이트(213)로 형성된다.
그리고, 완충부(220)는, 두 개의 후단 충격 완충부(300), 전단 안착 바아(400), 후단 안착 바아(500) 및 두 개의 전단 충격 완충부(700)를 포함한다.
전단 충격 완충부(700)는, 안착부(210)의 전단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하측에 전단 안착 바아(400)가 설치된다.
후단 충격 완충부(300)는, 안착부(210)의 후단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하측에 후단 안착 바아(500)가 설치된다.
전단 안착 바아(40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두 개의 전단 충격 완충부(7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된다.
후단 안착 바아(50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두 개의 후단 충격 완충부(3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부(220)는, 안착부(210)가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안착부(210)에 안착되어 있는 컴퓨터 부품(P)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켜 컴퓨터 부품(P)가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전단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단 충격 완충부(700)는, 상부 평판(710), 하부 평판(720), 간격 지지부(730), 유체 공급 고리(740) 및 탄성 조절 실린더(7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단 충격 완충부(300)는, 전단 충격 완충부(70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는 것인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평판(71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하부 평판(7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안착부(2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안착부(210)를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하부 평판(72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상부 평판(7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전단 안착 바아(400)의 상측에 설치된다.
간격 지지부(730)는, 용수철 등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유체 공급 고리(740)는,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시켜 준다.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간격 지지부(730)가 안착되는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및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간격 지지부(730)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단 충격 완충부(700)는, 단순히 탄성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이나 충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간격 지지부(730)를 이에 따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켜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더이상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체 공급 고리(740)는, 제1 사각 고리(741), 제2 사각 고리(742), 제1 지지관(743), 제2 지지관(744), 제1 유체 파우치(745) 및 제2 유체 파우치(746)를 포함한다.
제1 사각 고리(741)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사각 고리(74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연결되며, 상측에 제1 지지관(743)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1 유체 파우치(745)가 설치된다.
제2 사각 고리(742)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사각 고리(741)와 교차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제2 지지관(744)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2 유체 파우치(746)가 설치된다.
제1 지지관(743)은, 제1 사각 고리(741)의 상부로부터 상부 평판(71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1 유체 파우치(745)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
제2 지지관(744)은, 제2 사각 고리(742)의 하부로부터 하부 평판(72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2 유체 파우치(746)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하부 평판(72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
제1 유체 파우치(745)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1 사각 고리(741)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2 사각 고리(742)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1 지지관(743)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
제2 유체 파우치(746)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2 사각 고리(742)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1 사각 고리(741)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2 지지관(744)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
도 7은 도 5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하우징(751) 및 안착 플런저(752)를 포함한다.
하우징(751)은,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또는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유체(L)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안착 플런저(752)가 연결 설치된다.
안착 플런저(752)는, 하우징(751)에 안착되며, 하우징(751)으로 유체(L)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L)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751)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지지부(730)를 수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키 아니하여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1이 되도록 하나,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압축됨에 따라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에 의하여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2(t1 > t2)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이에 대응하여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승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승강 장치(200a)는, 승강 장치(200)는, 안착부(210), 완충부(220), 승하강 레일(230), 권취부(240) 및 전도 방지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 장치(200)는, 안착부(210), 완충부(220), 승하강 레일(230) 및 권취부(24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도 방지대(800)는, 안착부(210)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며, 상부가 "ㄱ" 형태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안착부(210)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절곡 거치대(214)의 절곡면(215)이 안착되어 안착부(210)의 전단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전도 방지대(8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0)가 하강함에 따라 안착부(210)의 전단에 설치되는 절곡 거치대(214)의 절곡면(215)이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착부(210)에 안착되는 컴퓨터 부품(P)의 하중으로 인해 완충부(220)의 탄성력을 넘어 안착부(210)가 전단으로 기울어짐으로 인해 안착부(210)에 다수 층으로 안착되는 컴퓨터 부품(P)들이 무너져 컴퓨터 부품(P)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전도 방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도 방지대(80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 지지 기둥(820) 및 기둥 지지부(8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10)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 또는 앵커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지지 기둥(820)이 연장 형성된다.
지지 기둥(820)은,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기둥 지지부(830)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
기둥 지지부(830)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기둥(820)의 상부에서 형성된 지지홈(822)을 통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 받침대(824)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절곡 거치대(214)의 절곡면(215)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 지지부(830)는, 지지 플레이트(831), 육각 프레임(832) 및 제동 렉기어(8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83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거치대(214)의 절곡면(215)을 지지하며, 하부면으로부터 육각 프레임(832)이 연장 형성된다.
육각 프레임(832)은, 육각 기둥 형태로 지지 플레이트(831)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6개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제동 렉기어(833)이 형성된다.
제동 렉기어(833)는, 육각 프레임(832)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동 플레이트(8233)가 밀착됨에 따라 육각 프레임(832)의 하강을 저지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820)은, 기둥 바디(821), 지지홈(822), 제동부(823) 및 탄성 받침대(824)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821)는,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
지지홈(822)은,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기둥 바디(821)의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의 하측에 탄성 받침대(824)가 안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 제동부(823)가 형성된다.
제동부(823)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기둥을 제동시킨다.
즉, 제동부(82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프레임(832)의 3면에 제동 렉기어(833)가 설치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3개(823a, 823b, 823c)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탄성 받침대(824)는,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동부(823)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받침대(824)는, 상판(8241), 하판(8242), 지지 스프링(8243), 유체 탱크(8244) 및 유체 공급관(82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8241)은, 지지 스프링(8243)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판(8242)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하판(824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8244)를 압축시켜 준다.
하판(8242)은, 상판(824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판(8241)과의 사이에 지지 스프링(8243)과 유체 탱크(8244)가 설치된다.
지지 스프링(8243)은,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판(8242)의 상측에서 상판(8241)을 지지한다.
유체 탱크(8244)는,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설치되며, 상판(8241)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관(8245)를 통해 공급한다.
유체 공급관(8245)은, 유체 탱크(8244)로부터 전진 실린더(8232)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 탱크(824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진 실린더(8232)로 전달한다.
도 14는 도 11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동부(823)는, 안착 플레이트(8231), 전진 실린더(8232), 제동 플레이트(8233), 슬라이딩홈(8234), 탄성체(8235) 및 슬라이딩바아(8236)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8231)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8221)에 안착되며, 후면에 설치되는 전진 실린더(823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진함에 따라 전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동 플레이트(8233)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시켜 준다.
전진 실린더(8232)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후면에 설치되며, 탄성 받침대(82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유체공급관(8237)를 통해 전달받아 안착 플레이트(8231)를 육각 프레임(832) 방향으로 전진시켜 준다.
제동 플레이트(8233)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전면에 제동 렉기어(833)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G)를 형성하며, 안착 플레이트(8231)가 전진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프레임(832)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킨다.
슬라이딩홈(8234)은,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바아(8236)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탄성체(8235)가 설치된다.
탄성체(8235)는, 슬라이딩홈(8234)의 하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8234)애 안착되는 슬라이딩바아(8236)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슬라이딩바아(8236)는, 슬라이딩홈(8234)에 대향하는 제동 플레이트(8233)의 후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홈(8234)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탄성체(8235)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0의 전단 충격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단 충격 완충부(600)는, 상부 받침대(610), 하부 받침대(620), 상부 지지대(630), 하부 지지대(640) 및 지지 스프링(650)을 포함한다.
상부 받침대(610)는, 안착부(210)의 하측에 안착되어 안착부(210)를 지지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611)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부 지지대(6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받침대(620)는, 전단 안착 바아(400)의 상측에 안착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대(610)와 상하 대칭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621)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측에 하부 지지대(640)가 안착된다.
상부 지지대(630)는, 상부 받침대(6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받침대(610)를 지지하며, 하부 지지대(640)의 상측에 체결된다.
하부 지지대(640)는, 상부 지지대(63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하부 받침대(6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부 지지대(630)를 지지한다.
지지 스프링(650)은, 상부 지지대(630)와 하부 지지대(640)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지지대(630)와 하부 지지대(640)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단 충격 완충부(600)는, 안착부(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지지 스프링(650)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받침대(610)와 하부 받침대(620)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안착부(210)의 하강에 따라 바닥면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에 따른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630)는, 상부 본체(631), 두 쌍의 상부 레일(632), 4 개의 상부 지지 롤러(633), 상부 슬라이딩 레일(634), 체결홈(635) 및 안착홈(636)을 포함한다.
상부 본체(631)는, 상부 받침대(610)의 하부 공간에 안착되어 상부 받침대(610)를 지지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640)의 상측에 체결된다.
상부 레일(632)은, 상부 본체(631)의 상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 지지 롤러(633)가 각 레일에 안착된다.
상부 지지 롤러(633)는, 상부 본체(631)에 안착되는 상부 받침대(6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 쌍의 상부 레일(632)에 각각 안착되어 상부 본체(631)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부 받침대(610)를 지지한다.
이때, 상부 지지 롤러(633)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631)의 상측으로 롤러의 일부가 노출되어 상부 받침대(61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부 받침대(610)가 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시킨다.
상부 슬라이딩 레일(634)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대(610)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611)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본체(631)의 양측 상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 받침대(610)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바닥면을 따라 회전 롤러(612)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된다.
체결홈(635)은, 하부 지지대(640)의 상부 양측, 즉 체결 날개(64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63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안착홈(636)은, 지지 스프링(6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631)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부 지지대(640)는, 하부 본체(641), 체결 날개(642), 두 쌍의 하부 레일(643), 4 개의 하부 지지 롤러(644) 및 슬라이딩 레일(645)을 포함한다.
하부 본체(641)는, 하부 받침대(620)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부 본체(631)를 지지하고, 하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하부 레일(643)이 형성된다.
체결 날개(642)는, 하부 본체(641)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 지지대(630)의 체결홈(635)에 체결된다.
하부 레일(643)은, 하부 본체(641)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레일에 하부 지지 롤러(644)가 안착된다.
하부 지지 롤러(644)는, 하부 받침대(620)의 상측에서 하부 본체(64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 쌍의 하부 레일(643)에 각각 안착된다.
이때, 하부 지지 롤러(644)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641)의 하측으로 롤러의 일부가 노출되어 하부 받침대(62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하부 받침대(620)가 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시킨다.
슬라이딩 레일(645)은, 하부 받침대(620)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621)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본체(64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 받침대(620)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천장면을 따라 회전 롤러(642)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10: 보관 창고
20: 식별 단말기
30: 재고 관리 서버
100: 적재 선반
200: 승강 장치
300: 후단 충격 완충부
400: 전단 안착 바아
500: 후단 안착 바아
600, 700: 전단 충격 완충부
800: 전도 방지대

Claims (11)

  1.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컴퓨터 서버를 포함하는 컴퓨터 부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복수의 층 각각에 설치되어 컴퓨터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 및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일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컴퓨터 부품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보관 창고;
    컴퓨터 부품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각 적재 선반 별로 적재된 컴퓨터 부품의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 단말기; 및
    상기 식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물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관 창고로 입고 또는 출고되는 컴퓨터 부품들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 장치는,
    컴퓨터 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전단 충격 완충부, 상기 안착부의 후단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후단 충격 완충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전단 충격 완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전단 안착 바아,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후단 충격 완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후단 안착 바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부와 바닥면 간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완충부;
    상기 보관 창고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승강 또는 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승하강 레일; 및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시키면서 상기 안착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충격 완충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상부 받침대; 상기 상부 받침대와 상하 대칭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하부 받침대; 상기 상부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쌍의 상부 레일; 상기 상부 본체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받침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쌍의 상부 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상부 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4 개의 상부 지지 롤러; 상기 상부 받침대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 상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받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바닥면을 따라 회전 롤러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되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양측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지지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기 하부 받침대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본체를 지지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 날개; 상기 하부 본체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쌍의 하부 레일;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쌍의 하부 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4 개의 하부 지지 롤러; 및 상기 하부 받침대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본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천장면을 따라 회전 롤러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되는 하부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안착부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며, 상부가 "ㄱ" 형태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절곡 거치대의 절곡면이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의 전단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 방지대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절곡 거치대의 절곡면을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 거치대의 절곡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하는,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36095A 2020-03-25 2020-03-25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18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95A KR102180315B1 (ko) 2020-03-25 2020-03-25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95A KR102180315B1 (ko) 2020-03-25 2020-03-25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315B1 true KR102180315B1 (ko) 2020-11-18

Family

ID=7369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095A KR102180315B1 (ko) 2020-03-25 2020-03-25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31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460B1 (ko) * 2021-12-23 2022-05-10 주식회사 진우테크 재고관리시스템
KR102399238B1 (ko) * 2021-12-07 2022-05-18 차미현 소스 보관 관리 시스템
KR102419657B1 (ko) * 2022-01-14 2022-07-11 김태우 반도체 부품 보관 및 실시간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446869B1 (ko) * 2021-06-02 2022-09-22 정일웅 온라인 판매시스템
KR102466193B1 (ko) * 2022-04-05 2022-11-14 (주)한국비씨피솔루션즈 파일 복제 솔루션
KR102497098B1 (ko) * 2022-11-17 2023-02-07 주식회사 스케줄코퍼레이션 재고량을 고려한 제품 주문 시스템
KR102533044B1 (ko) * 2022-05-12 2023-05-15 이완상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76B1 (ko) 2011-10-31 2013-04-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KR101404420B1 (ko) 2013-12-06 2014-06-27 안기풍 Diy 조립식 창고 시스템
KR102046814B1 (ko) * 2019-06-11 2019-11-20 이재환 물품보관창고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76B1 (ko) 2011-10-31 2013-04-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KR101404420B1 (ko) 2013-12-06 2014-06-27 안기풍 Diy 조립식 창고 시스템
KR102046814B1 (ko) * 2019-06-11 2019-11-20 이재환 물품보관창고 관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69B1 (ko) * 2021-06-02 2022-09-22 정일웅 온라인 판매시스템
KR102399238B1 (ko) * 2021-12-07 2022-05-18 차미현 소스 보관 관리 시스템
KR102395460B1 (ko) * 2021-12-23 2022-05-10 주식회사 진우테크 재고관리시스템
KR102419657B1 (ko) * 2022-01-14 2022-07-11 김태우 반도체 부품 보관 및 실시간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466193B1 (ko) * 2022-04-05 2022-11-14 (주)한국비씨피솔루션즈 파일 복제 솔루션
KR102533044B1 (ko) * 2022-05-12 2023-05-15 이완상 스마트 우편 택배 시스템
KR102497098B1 (ko) * 2022-11-17 2023-02-07 주식회사 스케줄코퍼레이션 재고량을 고려한 제품 주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315B1 (ko) 컴퓨터 서버 재고 관리 시스템
AU2015317033B2 (en) Supply method for palettizing devices in distribution centers
US9555967B2 (en) Lift configuration for carriage-based warehouse
US9429930B2 (en) Automated order-picking station for the manual picking of articles from storage containers into an order container
US6602037B2 (en) System for picking articles situated in rack storage units
JP2019517446A (ja) 保管システム
US20090265031A1 (en) Automatic warehouse
US7780019B2 (en) Cantilever pallet cart
JP2017520492A5 (ko)
US6588608B2 (en) Storage system with automatic elevator
WO2014124406A1 (en) Apparatus for storing, transporting and distributing kegs
CN101434330A (zh) 储存装置
US20140203693A1 (en) Module for packages
KR102324862B1 (ko) 재고 관리 시스템
JP7206454B2 (ja) 立体自動倉庫
JP2017088403A (ja) 立体自動倉庫
JP7004424B2 (ja) 立体自動倉庫
CN219340561U (zh) 一种悬臂式立体仓库货架
CN213922626U (zh) 一种防碰撞的移动式货架
CN108814025A (zh) 一种物品存放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273554U (zh) 一种拣选车
CN218490544U (zh) 悬臂式棒材立体货架
CN215015166U (zh)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不锈钢货架
KR102462828B1 (ko) 재고 관리 시스템
US20210362952A1 (e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handling tyres and a high bay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