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828B1 - 재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828B1
KR102462828B1 KR1020220063234A KR20220063234A KR102462828B1 KR 102462828 B1 KR102462828 B1 KR 102462828B1 KR 1020220063234 A KR1020220063234 A KR 1020220063234A KR 20220063234 A KR20220063234 A KR 20220063234A KR 102462828 B1 KR102462828 B1 KR 102462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groove
loading unit
fastening mem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모
Original Assignee
곽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진모 filed Critical 곽진모
Priority to KR102022006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고 관리 시스템으로서 비어 있는 내부로 물품 보관이 가능하며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고 관리 시스템{Invento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재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매업, 소매업 및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은 일반적으로 고객이나 거래처 등에 의해 주문 및 구입이 가능한 다양한 상품의 재고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진열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매장 내에서 재고관리 시에는 직접 수기로 제품의 품목과 수량을 체크하고 있어,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21-0079965 호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이 보관되는 적재부에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적재부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의 재고량을 관리할 수 있는 재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은, 비어 있는 내부로 물품 보관이 가능하며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는, 소형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제1 적재부; 및 대형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제2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는, 물품이 비어 있는 내부로 안착되거나 내부에 위치한 물품이 외부로 꺼내어지는 것을 무게로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각 하단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는, 적재부에 보관되는 물품의 코드번호가 입력된 채 적재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적재부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각 물품의 코드번호에 맞추어 재고량을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로 무게의 증감여부를 송신하여 관리자 서버를 통해 물품의 재고량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서버는, 무게의 증감여부에 맞추어 입력되어 있던 기존의 물품의 재고량을 계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적재부는,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적재부의 하단에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적재부는,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적재부의 하단에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적재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지부재는, 삽입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제1 관통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재; 삽입부재가 끼워진 체결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제2 삽입홈 내부에 체결부재가 안착되고 각 제1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홈이 각각 형성되는 양단지지부를 갖는 고정부재; 및 각각의 제1 관통홈 및 제2 관통홈에 체결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전진 동작 시 각 제1 관통홈을 통과하여 삽입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지지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는, 삽입부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는,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바닥밀착부의 평면 및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나사는, 삽입부재의 자중에 따라 조임력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나사는, 삽입부재를 체결부재와 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후진 동작하여 고정나사가 제1 관통홈 및 제2 관통홈으로부터 분리되며 삽입부재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관통홈과 제2 관통홈은, 전,후 및 좌,우의 4방향에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은 물품이 보관되는 적재부에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적재부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의 재고량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재고 관리 창고에 위치한 적재부의 하단에 위치한 안전지지부재는 삽입부재와 같은 가공물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에 결합시켜 축 중심과 평면이 일치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적재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안전지지부재의 일부 구성인 삽입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으로 구성된 완충장치로 적재부를 탄력 지지하는 것이므로 충격의 흡수율이 매우 높아 적재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탄성부의 완충력이 변하지 않아 매우 안정적으로 적재부를 탄력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완충장치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적재부의 다리부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서버(500) 및 비어 있는 내부로 물품 보관이 가능하며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110, 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110, 210)는 소형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제1 적재부(110) 및 대형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제2 적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110, 210)는 물품이 비어 있는 내부로 안착되거나 내부에 위치한 물품이 외부로 꺼내어지는 것을 무게로 감지하는 감지센서(120, 220)가 각 하단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센서(120, 220)는 적재부에 보관되는 물품의 코드번호가 입력된 채 적재부(110, 2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적재부(110, 210)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각 물품의 코드번호에 맞추어 재고량을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500)로 무게의 증감여부를 송신하여 관리자 서버(500)를 통해 물품의 재고량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500)는 무게의 증감여부에 맞추어 입력되어 있던 기존의 물품의 재고량을 계수할 수 있다.
한편, 제2 적재부(210)는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적재부의 하단에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바퀴(7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제2 적재부(210)는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110, 21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적재부(110, 210)의 하단에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적재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지지부재가 이동바퀴(700) 대신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안전지지부재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8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적재부(200')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안전지지부재(800)는, 체결부재(810), 고정부재(820) 및 고정나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810)는 삽입부재(80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제1 관통홈(8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재(820)는 삽입부재(801)가 끼워진 체결부재(8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2 삽입홈(8205)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1 관통홈(8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홈(8215)이 각각 형성되는 양단지지부(82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나사(830)는 각각의 제2 관통홈(8215)에 체결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전진 동작 시 각 제1 관통홈(812)을 통과하여 삽입부재(801)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삽입부재(801)를 고정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체결부재(810)는 삽입부재(80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것을 준비함으로써, 고정이 필요한 삽입부재(801)에 적합한 형태 및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810)는 대략 역삼각형 형태의 삽입부재(801)를 삽입하여 고정부재(820)에 낮은 무게중심을 갖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바닥밀착부(802)의 평면 및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810)는 그 형태가 중앙에 제1 삽입홈(8105)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810)는 전,후 및 좌,우 방향인 4방향으로 외측이 연통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홈(8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820)는 체결부재(810)가 내측을 관통하여 안착되도록 상부에 체결부재(8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수 있으며 제2 삽입홈(8205)을 갖는 양단지지부(821)가 형성될 수 있다.
양단지지부(821)에는 체결부재(810)의 제1 관통홈(8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나사(830)가 체결되어 전,후 이동 가능 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2 관통홈(8215)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820)의 양단지지부(821) 내측에 체결부재(810)를 안착시키면서 고정부재(820)의 제2 삽입홈(8205)에 체결부재(810)의 하단을 끼움 결합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820)에 끼워진 체결부재(810)의 제1 삽입홈(8105)에 삽입부재(801)을 삽입시킨 후에, 양단지지부(821)의 제2 관통홈(8215)에 고정나사(83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어서, 고정나사(830)를 제2 관통홈(8215) 내에서 전진 동작시키면, 고정나사(830)의 단부가 제1 관통홈(812)을 통과하여 삽입부재(801)의 외측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즉, 삽입부재(801)의 표면 바닥밀착부(802)를 바닥면에 중심이 수직 선상에 기립되게 접촉되도록 한 후에 4방향의 고정나사(830)를 전진 동작시켜 삽입부재(801)의 외측면 부위에 접촉시켜 균일한 압력으로 삽입부재(801)를 지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때, 고정나사(830)는 삽입부재(801)의 자중에 따라 조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부재(801)를 체결부재(810)와 고정부재(8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나사(830)를 다시 후진 동작시키면, 고정나사(830)가 제1 관통홈(812) 및 제2 관통홈(8215)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삽입부재(801)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삽입부재(801)와 같은 가공물을 체결부재(810)을 이용하여 고정부재(820)에 결합시켜 축 중심과 평면이 일치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적재부(200')를 바닥면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600)는 바닥면의 상부 중앙에는 하단부(620)가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620)에는 탄성부(64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을 수 있다.
탄성부(640)의 상부에는 상단부(63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부(630)의 중앙에는 제1 나사홈(630')이 뚫려져 있을 수 있다.
제1 나사홈(630')의 하부에는 제1 나사(65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나사(650)에 뚫려진 제2 나사홈은 제1 나사홈(630')과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나사(650)에는 결합볼트(660)가 나사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결합볼트(660)에는 제2 나사홈(660'')이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나사홈(660'')에는 평면형 지지판(680)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나사(670)가 나사 결합되어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키면 지지판(680)이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은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상단에 위치한 적재부(200')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삽입부재(600)의 구성이다.
삽입부재(600)들은 적재부(200')가 위치한 치과 내부의 바닥에 적어도 두개 이상 연속 설치되어 있을수 있고, 삽입부재(600)들의 지지판(680)에는 적재부(200')의 하단과 결합되어 수평을 이루어 연속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성부(640)로 구성된 완충장치로 적재부(200')를 탄력 지지하는 것이므로 충격의 흡수율이 매우 높아 적재부(2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탄성부(640)의 완충력이 변하지 않아 매우 안정적으로 적재부(200')를 탄력 지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지지판(680)이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므로 지지판(680)에 결합된 적재부(200')의 높이 및 수평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 적재부(200') 설치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완충부재와 높이조절용 부재가 삽입부재(600)에 일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나사(650)에 결합된 결합볼트(660)와 제2 나사홈(660'')에 결합된 제2 나사(670)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하면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켰을 때 결합볼트(660)와 제2 나사(670)가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높이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결합볼트(660)는 오른 나사산을 이루고 제2 나사(670)는 왼 나사산을 이루도록 하면 헤드부(660')를 회전시켰을 때 함께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적재부

Claims (3)

  1. 비어 있는 내부로 물품 보관이 가능하며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소형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제1 적재부; 및
    대형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제2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물품이 비어 있는 내부로 안착되거나 내부에 위치한 물품이 외부로 꺼내어지는 것을 무게로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각 하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적재부에 보관되는 물품의 코드번호가 입력된 채 상기 적재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각 물품의 코드번호에 맞추어 재고량을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로 무게의 증감여부를 송신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를 통해 물품의 재고량 확인이 가능하고,
    상기 관리자 서버는,
    무게의 증감여부에 맞추어 입력되어 있던 기존의 물품의 재고량을 계수하고,
    상기 제2 적재부는,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적재부의 하단에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적재부는,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적재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적재부의 하단에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상기 적재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지지부재는,
    삽입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제1 관통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재;
    삽입부재가 끼워진 체결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홈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각 제1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홈이 각각 형성되는 양단지지부를 갖는 고정부재; 및
    상기 각각의 제1 관통홈 및 제2 관통홈에 체결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전진 동작 시 상기 각 제1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지지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삽입부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 가능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바닥밀착부의 평면 및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삽입부재의 자중에 따라 조임력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후진 동작하여 상기 고정나사가 상기 제1 관통홈 및 상기 제2 관통홈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삽입부재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 관통홈과 제2 관통홈은,
    전,후 및 좌,우의 4방향에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63234A 2022-05-24 2022-05-24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46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34A KR102462828B1 (ko) 2022-05-24 2022-05-24 재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34A KR102462828B1 (ko) 2022-05-24 2022-05-24 재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828B1 true KR102462828B1 (ko) 2022-11-03

Family

ID=8404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234A KR102462828B1 (ko) 2022-05-24 2022-05-24 재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8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811B1 (ko) * 2015-05-26 2016-04-22 정승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KR20210079965A (ko) 2019-12-20 2021-06-30 김승연 재고관리 및 상품판매를 위한 스마트 진열대 및 스마트 진열대를 이용한 재고관리 및 상품 판매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811B1 (ko) * 2015-05-26 2016-04-22 정승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KR20210079965A (ko) 2019-12-20 2021-06-30 김승연 재고관리 및 상품판매를 위한 스마트 진열대 및 스마트 진열대를 이용한 재고관리 및 상품 판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2820A (en) Portable storage support structure
US8720704B2 (en) Modular storage and display system
US10531735B1 (en) Double storage shoe rack
US3805965A (en) Storage unit
KR102462828B1 (ko) 재고 관리 시스템
US20170190346A1 (en) Cart with tilting supports
US20190178020A1 (en) Police and military equipment rack
KR20160007293A (ko) 쉬프트형 상품진열대
CN103126397B (zh) 商品陈列柜移动货架
US2177678A (en) Shelving
KR101876448B1 (ko) 상품 진열대
KR20130058932A (ko) 물품보관대
CN204280465U (zh) 库房用零部件储存架
JP2013165861A (ja) 物品棚における物品落下防止装置
CN211282361U (zh) 一种航材库仓储货架统计设备
CN211810751U (zh) 一种扩张式塑料托盘
WO2017025563A1 (en) Tray with level indication
CN215099024U (zh) 一种用于商品展示使用的包装盒
US3645404A (en) Display stands
CN110255056A (zh) 一种物流网与物流信息系统用防止货物掉落的储存架
JP6081342B2 (ja) 感震式落下防止装置
US2936905A (en) Display bin supporting shelf
KR102614933B1 (ko) 가변이 가능한 대차
KR102263196B1 (ko) 코드를 통한 렌탈제품 관리 시스템
JP2015048180A (ja) 物品収納棚及び架け具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