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071B1 -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071B1
KR102532071B1 KR1020150189973A KR20150189973A KR102532071B1 KR 102532071 B1 KR102532071 B1 KR 102532071B1 KR 1020150189973 A KR1020150189973 A KR 1020150189973A KR 20150189973 A KR20150189973 A KR 20150189973A KR 102532071 B1 KR102532071 B1 KR 10253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is
displayed
display device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419A (ko
Inventor
이진하
양민하
문종보
심다혜
김지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8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07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0945822.7A priority patent/CN113655925A/zh
Priority to PCT/KR2016/015070 priority patent/WO2017116071A1/en
Priority to EP16882023.1A priority patent/EP3338174A4/en
Priority to CN201680067006.8A priority patent/CN108292202B/zh
Priority to US15/391,990 priority patent/US10528226B2/en
Publication of KR2017007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419A/ko
Priority to US16/704,333 priority patent/US10969938B2/en
Priority to US17/198,810 priority patent/US11347378B2/en
Priority to US17/738,690 priority patent/US11693535B2/en
Priority to KR1020230059706A priority patent/KR2023006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071B1/ko
Priority to US18/200,241 priority patent/US202302890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복수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제어 상태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구분되도록 상기 UI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공유에 관하여 다양하고, 편리하면서도, 흥미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치 있는 공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READABLE MEDIUM,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사용자가 컨텐츠를 공유하는 기술로서, 복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기를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1:1로 연결하여, 스마트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여 함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순히 출력장치로서, 사용자단말기는 단순히 컨텐츠의 제공수단으로서의 역할만 할 뿐이며,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유되는 컨텐츠를 함께 사용한다는 가치 있는 경험을 주기에는 부족하다. 예컨대, 여행을 함께 다녀온 여러 명의 사용자가 서로가 찍은 사진을 공유하려고 할 때, 한 사람씩 돌아가며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장치나, 사용자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으로서는, 컨텐츠의 공유를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경험으로 만들 수 있는 활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공유에 관하여 다양하고, 편리하면서도, 흥미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치 있는 공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복수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제어 상태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구분되도록 상기 UI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항목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각각 부여된 색상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구분되어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의 상태에 대응하여 시각적 효과가 변화하는 비쥬얼라이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에 상기 항목의 선택을 위한 커서를 더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상기 항목의 선택 및 선택 해제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의 모양이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에 배경이미지를 더 표시하고, 상기 항목을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항목이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항목에 대기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타이머를 더 표시하고,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상기 대기시간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상기 타이머의 크기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2이상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앨범의 항목을 더 표시하고, 상기 앨범의 항목에, 상기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의 사용자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복수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제어 상태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구분되도록 상기 UI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항목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각각 부여된 색상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UI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구분되어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의 상태에 대응하여 시각적 효과가 변화하는 비쥬얼라이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UI에 배경이미지를 더 표시하고, 상기 항목을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항목이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항목에 대기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타이머를 더 표시하고,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제1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UI를 이용한 상기 터치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항목이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커서를 포함하는 제2UI를 표시하고, 상기 커서를 이용한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UI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공유할 것으로 선택된 항목이 상기 제1UI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항목의 선택 및 선택 해제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UI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검색할 수 있는 제1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제2UI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항목이 나타내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제2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검색 기능 및 상기 제2검색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제1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UI를 이용한 상기 터치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항목이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커서를 포함하는 제2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를 이용한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 간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되는 복수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제어 상태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별로 구분되도록 상기 UI의 표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제1UI를 표시하고, 상기 제1UI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항목이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제2UI를 표시하고, 상기 제2UI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공유에 관하여 다양하고, 편리하면서도, 흥미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치 있는 공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사용자단말기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가 표시하는 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가 표시하는 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UI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가 표시하는 UI의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11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UI의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UI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가 표시하는 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1)는 TV, 모니터, 대화면 디스플레이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싸이니지, 대형광고판, 차량 내 모니터, 차량 내 헤드업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가상현실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 도 1에 도시된 각 사용자단말기(12)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패드, PC 등의 개인기기로 구현될 수 있 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MP3플레이어, 스마트안경, 가상현실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각 사용자(13)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2)를 가진다. 각 사용자(13)와, 사용자단말기(12)는 디스플레이장치(1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사용자(13)는 디스플레이장치(11)의 화면을 보면서,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2)를 조작할 수 있다. 각 사용자(13)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2)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11)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사용자단말기(12)를 통한 각 사용자(13)의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13)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컨대, 음악, 동영상, 사진, 웹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용자(13)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2)와, 디스플레이장치(11)를 이용하여, 자신들이 선택한 컨텐츠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여행을 함께 다녀온 복수의 사용자(13)는, 서로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찍은 사진을 디스플레이장치(11)를 통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13)가 같은 공간에서 각자의 컨텐츠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더욱 가치 있는 새로운 경험을 만들 수 있는 활동(이하, '컨텐츠 공유 활동'이라고도 함)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공유 활동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13)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컨텐츠를 공유할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사용자(13)는, 사용자단말기(12)를 이용하여 자신이 직접 만들었거나, 자신의 취향에 따라 필터링되어 있는 컨텐츠 등을 공유할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13)는, 컨텐츠를 공유하는 도중에 각자의 사용자단말기(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를 통해 각자의 선호도, 취향, 의견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에 의하면, 같은 공간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13)가 서로의 관심사, 취향 등이 반영이 되어있는 음악, 동영상, 사진 등의 컨텐츠에 대하여, 각자가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12)와, 사용자(13)가 함께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11)를 이용하여, 각자의 컨텐츠를 서로 공유할 수 있으며, 또한, 컨텐츠를 공유하면서 같은 화면을 보고 서로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보다 가치 있는 경험을 만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영상처리부(21), 디스플레이부(22), 제1통신부(23) 및 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1)는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UI 및/또는 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22)는 영상처리부(21)에 의해 처리된 UI 및/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제1통신부(23)는 사용자단말기(12)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24)는 디스플레이장치(11)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4)는 사용자단말기(12)로부터 수신되는 각 사용자(13)의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13)가 컨텐츠 공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단말기(12)는, 디스플레이부(31), 사용자입력부(32), 통신부(33) 및 제어부(3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1)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UI를 표시한다. 사용자입력부(32)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입력부(32)의 구현 형태에는 제한은 없으나, 예컨대, 디스플레이부(31) 상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3)는 디스플레이장치(11)의 제1통신부(23)와 통신한다. 제어부(34)는 사용자단말기(12)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34)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입력부(32)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을 통신부(33)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13)가 컨텐츠 공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의 제1통신부(23)와 사용자단말기(12)의 통신부(33) 간의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의 제어부(24) 및 사용자단말기(12)의 제어부(34)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1) 또는 사용자단말기(12)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1) 또는 사용자단말기(12)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 또는 사용자단말기(12)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1) 또는 사용자단말기(12)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기(41) 및 제2사용자단말기(4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사용자단말기(12) 중 임의의 2대의 사용자단말기(12)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사용자단말기(12) 중 임의의 2대의 사용자단말기(12)의 경우만을 도시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3대 이상의 사용자단말기의 경우도 포함한다. 먼저, 제1사용자단말기(41)와, 디스플레이장치(11)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S41). 제1사용자단말기(41)와, 디스플레이장치(11) 간의 통신 연결의 개시는, 제1사용자단말기(41)와, 디스플레이장치(11) 중 어느 쪽에서도 주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1)에 의해 통신 연결의 개시가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41)는,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된 UI를 이용하여, 사용자(13)로부터 컨텐츠 공유 활동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컨텐츠 공유 활동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제1사용자단말기(41)의 주위의 통신 가능한 장치를 검색한다. 제1사용자단말기(41)는,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검색되면,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11)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장치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제1사용자단말기(41)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장치ID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11)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장치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제1사용자단말기(41)로 디스플레이장치(11)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1)는, 통신 연결할 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저장부(도 3의 35 참조)를 더 포함하고, 저장부(35)에 저장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정보와,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11)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를 대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11)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예컨대, 장치이름, 장치설명 등과 같은,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11)의 정보와, 디스플레이장치(11)로의 연결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하고, 사용자입력부(32)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1)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디스플레이장치(11) 혹은 디스플레이장치(11)의 리모컨(후술함)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한 터치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와 연결할 수도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1)와, 디스플레이장치(11) 간의 통신 연결의 개시는, 디스플레이장치(11)에 의해서도 주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에 의해 통신 연결의 개시가 수행되는 경우도,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기(41)에 의해 통신 연결의 개시가 수행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1)는, 컨텐츠 공유 활동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도 2의 25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의 사용자입력부(25)는, 디스플레이장치(11)의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입력을 직접 수신하는 패널입력부 및/또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1)는, 통신 연결할 사용자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저장부(도 2의 36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2사용자단말기(42)와, 디스플레이장치(11)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S42). 제2사용자단말기(42)와, 디스플레이장치(11) 간의 통신 연결은, 일실시예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사용자단말기(41)와, 디스플레이장치(11) 간의 통신 연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사용자단말기(42)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1)와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와 연결할 수 있다. 혹은, 제2사용자단말기(42)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 제2사용자단말기(42)와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고, 제1사용자단말기(41)로 하여금 상기 연결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1)로 전달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로 하여금 제2사용자단말기(42)와 연결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사용자(13)가 2대 이상의 사용자단말기(12)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사용자(13)가 자신의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를 사용자단말기(12)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인 사용자단말기(12)를 이용하여 어느 사용자로 디스플레이장치(11)와 연결한 다음, 스마트워치인 사용자단말기(12)를 이용하여 동일한 사용자로 디스플레이장치(11)와 연결할 수 있다. 스마트워치인 사용자단말기(12)는, 예컨대,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폰인 사용자단말기(12)와 연결 정보를 공유하고, 와이파이와 같은 같은 통신방식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1)는, 동일한 사용자가 2이상의 사용자단말기(12)를 이용하는 경우, 2이상의 사용자단말기(12)에 대해 해당 사용자 및 그 컨텐츠 제어 상태를 모두 동일하게 표시하거나, 혹은 각 사용자단말기(12) 별로 컨텐츠 제어 상태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사용자단말기(41)에서 공유할 컨텐츠가 선택된다(S43).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사용자(13)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UI를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사용자단말기(41)가 표시하는 UI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UI(51)는, 공유할 컨텐츠로 선택 가능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54)을 포함하는 제1영역(52)과, 공유할 컨텐츠로 선택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55)을 포함하는 제2영역(53)를 가진다. 항목(54) 및 항목(55)는 해당 컨텐츠의 정보, 예컨대, 컨텐츠의 섬네일이미지, 명칭,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3)는, 제1영역(52)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입력으로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사용자의 제1영역(52) 상의 상하방향의 슬라이드(57)에 따라 제1영역(52)에 포함된 컨텐츠의 항목(54)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고, 제1영역(52)에 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컨텐츠의 항목(54)을 추가로 표시한다.
사용자(13)는, 제1영역(52)에 포함된 항목(54)이 나타내는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공유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제2영역(5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어느 컨텐츠의 항목(54)에 대한 사용자(13)의 제1영역(52)으로부터 제2영역(53)으로의 드래그앤드롭(56)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항목(54)이 제2영역(53)으로 이동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이동되는 항목(54)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항목(55)이 제2영역(53)에 추가로 나타나도록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의 사용자입력부(32)는, 디스플레이부(31) 상의 터치입력의 세기(혹은 압력)를 소정 범위에 걸쳐 감지할 수 있고,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어느 컨텐츠의 항목(54)을 터치하여 홀드한 상태에서, 보다 큰 세기로 누르는 경우 해당 컨텐츠의 항목(54)이 제2영역(53)으로 이동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움직임 혹은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도 3의 36 참조)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13)가 어느 컨텐츠의 항목(54)을 터치하여 홀드한 상태에서, 제1사용자단말기(41)를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움직이거나, 기울이는 조작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항목(54)이 제2영역(53)으로 이동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사용자(13)가 제1영역(52)으로부터 제2영역(53)으로 컨텐츠의 항목(54)을 이동한 것을, 해당 컨텐츠의 공유를 결정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제2영역(53)에 새로운 컨텐츠의 항목(55)이 추가됨에 대응하여, 제2영역(53)에서의 컨텐츠의 항목(55)을 UI(51)의 가장자리로 향하는 방향(59)으로 이동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영역(53)의 상단까지 도달된 컨텐츠의 항목(55)은 제2영역(53)에서 사라지게 표현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제2영역(53)에 새로운 컨텐츠의 항목(55)이 추가된 후, 사용자(13)의 후속 입력이 있으면, 제2영역(53)에 표시된 항목(55)에 대한 컨텐츠의 공유를 결정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사용자가 제1사용자단말기(41)를 디스플레이장치(11)를 향하는 방향, 즉, 상측방향(591)으로 기울이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제2영역(53)의 컨텐츠에 대한 공유를 결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상측방향(591)으로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제2영역(53)에 표시된 컨텐츠의 항목(55)이 상측방향(59)으로 이동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영역(53)의 상단까지 도달된 컨텐츠의 항목(55)은 제2영역(53)에서 사라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유하기를 원하는 컨텐츠가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1)로 이동하거나 쏟아지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공유할 컨텐츠가 결정되면, 제1사용자단말기(41)는, 결정된 컨텐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1)로 전송한다(S44). 한편, 제2사용자단말기(42)에서도, 제1사용자단말기(41)의 경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사용자입력에 따라 공유할 컨텐츠를 선택하고(S45),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1)로 전송한다(S46).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 및 제2사용자단말기(42)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의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되는 컨텐츠(이하, '공유 컨텐츠'라고도 함)를 표시할 수 있다(S47).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를 각 사용자(13) 별로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표시하는 UI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UI(61)는, 컨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13)를 나타내는 항목(62)과,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63)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13)를 나타내는 항목(62)은, 디스플레이장치(11)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제1사용자단말기(41) 및 제2사용자단말기(42)의 사용자(13)를 각각 나타낸다. 컨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13)를 나타내는 항목(62)은, 예컨대 색상, 이름, ID 등에 의해 각 사용자(13) 별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 또는 제2사용자단말기(42)가 연결되는 때, 연결된 제1사용자단말기(41) 또는 제2사용자단말기(42)의 사용자(13) 별로 각기 다른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각 사용자(13)에게 부여된 색상의 정보를 해당 사용자(13)의 제1사용자단말기(41) 또는 제2사용자단말기(42)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 및/또는 제2사용자단말기(42)로부터 공유 컨텐츠의 정보가 전송되는 것(S44, S46)에 대응하여, 해당 공유 컨텐츠의 항목(63)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63)이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UI(61)에 나타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공유 컨텐츠의 항목(63)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면서 UI(61)에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63)을 UI(6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지듯이 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승하듯이 UI(61)에 진입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사용자단말기(41) 및/또는 제2사용자단말기(42)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1)로 컨텐츠가 쏟아지는 듯한 시각적 효과가 보다 강조될 수 있다.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63)은, 공유 컨텐츠의 섬네일이미지, 명칭,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63)은, 해당 컨텐츠의 사용자(13)에게 부여된 색상에 의해 각 사용자(13) 별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13)는,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63)의 색상을 보고, 해당 컨텐츠가 어느 사용자(13)의 단말기로부터 공유된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각 사용자(13)는, 자신의 제1사용자단말기(41) 또는 제2사용자단말기(4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1) 및 제2사용자단말기(42) 중 어느 쪽도 유사하게 동작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사용자단말기(41)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사용자단말기(41)가 표시하는 UI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UI(71)는,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분류를 위한 항목(72), 공유 컨텐츠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항목(73), 공유 컨텐츠의 재생 개시를 위한 항목(74), 다음 공유 컨텐츠로 재생을 건너뛰기 위한 항목(75), 공유 컨텐츠의 선호 투표를 위한 항목(76) 및 재생 중인 공유 컨텐츠의 볼륨 조절을 위한 항목(7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디스플레이장치(1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UI(71)를 해당 사용자(13)에게 부여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3)는, 자신에게 부여된 색상을 보다 쉽게 알 수 있다.
사용자(13)는, UI(71)의 복수의 항목(72 내지 7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도 4의 S48, S49 참조). 제1사용자단말기(41)는, UI(71) 상의 터치와 같은 사용자입력에 따라, UI(71)의 복수의 항목(72 내지 77)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항목(72 내지 77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재생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1)로 전송한다(도 4의 S491, S492 참조).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전송되는 재생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재생 제어 상태를 표시한다(도 4의 S493 참조).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의 재생 제어 상태를 각 사용자(13) 별로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UI(71)의 공유 컨텐츠의 분류를 위한 항목(72)이 선택되면, 제1사용자단말기(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가능한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메뉴항목(82)을 포함하는 UI(81)를 표시할 수 있다. 메뉴항목(82)의 분류 가능한 카테고리는, 예컨대, 컨텐츠의 장르, 사용자, 시간, 선호도 증가, 선호도 감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3)는, 메뉴항목(82)의 분류 가능한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메뉴항목(82)을 통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따라, 공유 컨텐츠의 항목(63)을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장르 또는 사용자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선택된 장르 또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63)만을 표시할 수 있다. 혹은, 시간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표시되고 있는 복수의 공유 컨텐츠의 항목(63)을 연도, 월, 일, 요일 등의 시간 순으로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혹은, 선호도 증가, 선호도 감소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결정된 값 혹은 그 이상의 선호도를 가지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63)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의 UI(61)는, 각 공유 컨텐츠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항목(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13)는, 재생할 공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UI(71)의 항목(73)을 이용하여 공유 컨텐츠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UI(71)의 항목(73) 위를 상하방향(78)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유 컨텐츠의 항목(63) 중에서 현재 선택된 항목(65)을 포커스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각 항목(65)의 포커스는, 예컨대, 해당 항목(65)을 선택한 사용자(13) 별로 다른 색상으로 구별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항목(73)에 대한 사용자입력의 슬라이드 방향(78)에 대응하여, 선택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65)에 대한 포커스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13)는, UI(71)의 항목(74)을 이용하여 선택된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3)는, 디스플레이장치(11)에 포커스된 항목(65)의 공유 컨텐츠가 자신이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UI(71)의 항목(74)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13)는, UI(71)의 항목(73) 위를 상하방향(78)으로 슬라이드 하다가 보다 큰 세기로 누르거나, 항목(73) 위를 상하방향(78)으로 슬라이드 하다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 하는 방법으로 해당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항목(74)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현재 포커스된 항목(65)의 공유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UI(61)의 배경화면을 현재 재생되는 공유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재생되는 공유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UI(61)의 배경화면은, 해당 음악의 앨범 재킷 또는 해당 음악과 관련되어 외부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한 부가정보에서 추출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재생할 공유 컨텐츠의 데이터를, 재생을 요청한 사용자(13)의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제1사용자단말기(41) 간 재생할 공유 컨텐츠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는 제한은 없으나,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재생을 요청한 사용자(13)의 제1사용자단말기(41) 이외의 다른 장치(14; 이하, '컨텐츠저장장치'라고도 함)로부터 재생할 공유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저장장치(14)는,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USB메모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통신부(23)를 통하여 컨텐츠저장장치(14)로부터 재생할 공유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혹은, 제1통신부(23)와는 다른 통신방식의 제2통신부(27)를 더 포함하고, 제2통신부(27)를 통하여 컨텐츠저장장치(14)로부터 재생할 공유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공유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UI를 제공하고, UI를 통해 입력된 공유 컨텐츠의 검색 쿼리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1)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컨텐츠의 검색 쿼리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저장장치(14)에 저장된 공유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수행된 공유 컨텐츠의 검색 결과를 사용자(13)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 처리는, 해당 컨텐츠의 종류나 속성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재생되는 공유 컨텐츠의 데이터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재생되는 공유 컨텐츠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동영상 비디오 또는 사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음성데이터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혹은,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재생되는 공유 컨텐츠의 데이터 처리 결과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13)는, 공유 컨텐츠의 재생 도중에 UI(71)의 항목(75)을 선택하여 다음 공유 컨텐츠로 재생을 건너뛰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항목(75)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현재 포커스된 항목(65)의 다음에 위치하는 항목(63)의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한다.
또한, 사용자(13)는, 도 7에 도시된 UI(71)의 항목(76)을 선택하여 원하는 공유 컨텐츠의 선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항목(76)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13)가 지정한 공유 컨텐츠의 선호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각 공유 컨텐츠의 선호도에 해당하는 값을 저장부(26)에 저장하고, 사용자(13)의 선호도 증가에 대응하여 저장부(26)에 저장된 해당 공유 컨텐츠의 선호도에 해당하는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공유 컨텐츠의 선호도는 사용자(13)의 선택 등에 의해 감소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13)는, 도 7에 도시된 UI(71)의 항목(77)을 선택하여 재생 중인 공유 컨텐츠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3)는, 항목(77) 위를 시계방향/반시계방향(79)으로 슬라이드하여 재생 중인 공유 컨텐츠의 볼륨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항목(77)에 대한 슬라이드 방향에 대응하여, 현재 재생 중인 공유 컨텐츠, 예컨대 음악 혹은 동영상의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에 대한 각 사용자(13)의 재생 제어 상태를 대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1)는, 각 사용자(13)가 공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기 위하여 자신의 사용자단말기(41, 42)를 조작하는 상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변화하는 시각적 효과를 가지는 비쥬얼라이저(visualizer)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1)는, 상기 시각적 효과를 가지는 비쥬얼라이저를 각 사용자(13) 별로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UI(6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상기 시각적 효과 내지 비쥬얼라이저로서 공유 컨텐츠의 각 사용자(13) 마다 부여된 격자 형태의 그리드(91)를 표시할 수 있다. 각 그리드(91)는, 예컨대 색상에 의해 각 사용자(13) 별로 구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각 사용자단말기(41, 42)로부터 공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공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상태는, 예컨대, 사용자단말기(41, 42)의 움직임 또는 기울어짐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13)가 제1사용자단말기(41)를 좌측 방향(92)으로 기울이면, 제1사용자단말기(41)는 기울어진 방향(92)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1)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응하는 그리드(91)를 제1사용자단말기(41)가 기울어진 방향(92)과 대응하는 방향(93)으로 변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13)는, 공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기 위한 자신 조작 상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시각적 효과를 보면서 화면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흥미로운 컨텐츠 공유를 경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비쥬얼라이저는, 공유 컨텐츠에 대한 각 사용자(13)의 재생 제어 상태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2)가 표시하는 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표시하는 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에 관하여,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기(41)는 공유 컨텐츠의 재생 제어를 위한 UI(101)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공유 컨텐츠의 재생은, 사용자(13)로 하여금 디스플레이장치(11)를 통하여 공유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상황을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공유 컨텐츠의 재생은, 디스플레이장치(11)를 통하여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사진을 표시하거나, 음악을 재생하거나, 해당 컨텐츠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UI(101)는, 커서(102), 공유 컨텐츠의 카테고리 선택하거나, 공유 컨텐츠의 분류 및/또는 정렬을 위한 항목(104, 10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3)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UI(101)에 나타난 커서(102) 및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한 모션 조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커서(102) 및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한 모션 조작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1)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재생 제어에 관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의 재생 제어를 위한 UI(111)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되는 UI(111)는, 커서(112) 및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1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서(112)는, 제1사용자단말기(41) 및 제2사용자단말기(42)에 각각 대응하여 표시된다. 커서(112)는, 각 사용자(13)에 부여된 색상으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되는 커서(112)는, 제1사용자단말기(41) 및 제2사용자단말기(42)의 UI(101)에 표시되는 커서(10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113)은, 각 컨텐츠의 섬네일이미지, 명칭 및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113)이 배치되는 모양에는 제한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랜덤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113)은, 3차원의 구형 등 다양한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각 항목(113)은, UI(101)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듯이 나타날 수 있다(도 1의 114 참조). 나타난 각 항목(115)은, 마치 물에 잠긴 듯한 애니메이션으로 움직이도록 표시될 수 있다(도 1의 116 참조).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각 항목(113)의 크기는, 표시되는 공유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UI(1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보다 많은 수의 공유 컨텐츠를 표시하는 UI(121)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121)에 표시되는 공유 컨텐츠의 각 항목(122)의 크기는, 도 11에 도시된 UI(1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각 항목(113)보다 작게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UI(111) 및 UI(121)의 배경에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으며, 배경의 이미지도 공유 컨텐츠의 각 항목(113) 및 항목(122)의 크기 변화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13)는,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한 모션 조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커서(112, 123)를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3)가 제1사용자단말기(41)를 상하좌우방향(103)으로 기울이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응하는 커서(112, 123)를, 제1사용자단말기(41)가 기울어진 방향(103)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3)가 제1사용자단말기(41)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의 커서(112, 123)를 움직이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나의 실시예로서, 사용자(13)는,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한 모션 조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의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3)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커서(102)를 슬라이드하거나, 커서(102)를 터치하여 홀드한 상태에서 제1사용자단말기(41)를 상하좌우방향(103)으로 기울이는 모션 조작을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1)는,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복수의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 전체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줌인하거나, 줌아웃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3)는, 다양한 형태로 컨텐츠의 항목(113, 122)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13)는,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을 지정함으로써 재생을 원하는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13)는, 재생을 원하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에 커서(112, 123)를 위치시키고, 그 공유 컨텐츠의 재생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3)는, 커서(112, 123)를 이용하여,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을 선택하여 포커스하거나, 선택을 해제하거나, 스크롤할 수 있다. 커서(112, 123)는, 현재 커서(112, 123)를 움직이고 있는 사용자(13)에 부여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커서(112, 123)는, 마치 숨을 쉬듯이 그 크기가 반복적으로 커졌다가, 작아지도록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흥미로운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13은, 도 11 및 12에 각각 도시된 UI(111) 및 UI(121)에 표시되는 어느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컨텐츠의 항목(131)은, 커서(132)가 위치하기 전에는,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형태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공유 컨텐츠의 항목(131)에는, 해당 공유 컨텐츠가 어느 사용자(13)의 것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133)가 표시될 수 있다. 식별자(133)의 색상은 해당 공유 컨텐츠의 사용자(13)에게 부여된 색상일 수 있다. 공유 컨텐츠의 항목(131)에는, 해당 공유 컨텐츠의 섬네일 이미지(134)가 표시될 수 있다. 공유 컨텐츠의 항목(131)에는, 해당 공유 컨텐츠의 출처, 즉, 컨텐츠가 제공된 소스에 관한 출처 정보(135)가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공유 컨텐츠의 출처 정보(135)는, 출처가 제1사용자단말기(41)인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고, 출처가, 예컨대, 웹이나, 외부기기 등의 컨텐츠저장장치(도 1의 14 참조)인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컨텐츠의 항목(136)은, 항목(136) 위로 커서(132)가 위치하면, 해당 항목(136)이 포커스되었음을 나타내도록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13의 137 참조). 하이라이트(137)는, 항목(136)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표시되며, 예컨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이라이트(137)의 색상은, 해당 공유 컨텐츠의 식별자(133)와 동일한 색상일 수 있다. 공유 컨텐츠의 항목(136)이 포커스되는 경우, 해당 공유 컨텐츠의 부가 정보(138)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공유 컨텐츠의 부가 정보(138)는, 해당 컨텐츠의 타이틀, 설명, 특정 서비스와 연계된 경우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된 정보는,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추천 정도를 나타내는 별표로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컨텐츠의 항목(138)이 포커스된 상태에서, 사용자(13)는, 항목(138)을 선택하여 공유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13)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커서(102)에 대한 조작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의 항목(138)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사용자(13)의 입력에 따라 공유 컨텐츠의 항목(138)이 선택되면, 항목(138) 위의 커서(139)는, 마치 사용자(13)의 손에 움켜쥐어지듯이 작아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3)는, 자신의 조작에 따라 커서(139)의 모양이 유기적으로 변화하므로, 보다 흥미롭게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표시하는 UI(141)의 일례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사용자(13)의 입력에 따라 공유 컨텐츠의 항목(138)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138)이 나타내는 공유 컨텐츠(142)의 재생을 수행한다. 도 14는, 공유 컨텐츠(142)의 재생 형태로서, 웹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일례로서 도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유 컨텐츠의 재생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공유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으며, 공유 컨텐츠가 사진인 경우, 사진이 표시되는 등 공유 컨텐츠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11 및 12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의 배치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5 및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표시하는 UI(151, 161)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151, 161)에서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52, 162)이 2차원의 그리드 혹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한 사용자(13)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UI(151, 16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한 사용자(13)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도 11 및 12에 도시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의 배치 형태와, 도 15 및 16에 도시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152, 162)의 배치 형태 간을 상호 스위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3)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 152, 162)을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한층 더 편리하게 원하는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한 사용자(13)의 조작 입력에 따라 커서(163)가 화면의 가장자리, 예컨대 좌측 가장자리로 도달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공유 컨텐츠의 전체 항목(162)을 우측으로 스크롤하면서(도 16의 164 참조), 아직 표시되지 않은 공유 컨텐츠의 항목(165)이 화면에 진입하여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제한되지는 않으나 하나의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복수의 사용자(13)에 대응하는 커서(163)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13) 전부에 해당하는 커서(163)가 가장자리로 도달한 경우에만 공유 컨텐츠의 항목(162)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13) 중 어느 사용자에게도 공유 컨텐츠의 항목(162)을 충분히 볼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일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 152, 162)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 및/또는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표시하는 UI(171)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171)에는, 공유 컨텐츠의 각 항목(172)이 카테고리 별로 분류 및/또는 정렬되어 표시된다. UI(171)는, 각 카테고리의 이름(173)을 표시할 수 있다. UI(171)에는, 각 카테고리가 가로로 배치되며,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72)이 세로로 나열되어 표시된다. 분류 및/또는 정렬 방법이나, 형태는, 도 17에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이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13)는, 제1사용자단말기(41)의 항목(104 및 105)을 이용하여, 분류 및/또는 정렬하고자 하는 공유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공유 컨텐츠의 카테고리는, 예컨대, 컨텐츠의 종류로서 사진, 동영상, 음악, 웹정보 등이거나, 컨텐츠의 정렬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르, 선호도, 시간 등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카테고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류나, 정렬할 수 있는 모든 카테고리가 적용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사용자(13)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의 카테고리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1)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13)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72)이 분류 및/또는 정렬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13)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72)을 다양한 형태로 분류 및/또는 정렬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13, 122, 152, 162, 172)을 배경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배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표시하는 UI(181)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181)는, 배경이미지(182)와, 배경이미지(182) 상에 배치되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8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의 배경이미지(182)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지도의 이미지일 수 있다. 공유 컨텐츠의 각 항목(183)은, 배경이미지(182)인 지도 상에서 해당 공유 컨텐츠에 대응하는 특정 위치(184)에 배치되어 표시된다. 예컨대, 공유 컨텐츠가 식당의 정보인 경우, 해당 항목(183)은, 지도(182) 상의 해당 식당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184)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13)는, 제1사용자단말기(41)에 대한 조작 입력을 통해, 배경이미지(182)인 지도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확대 또는 축소해가며, 원하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83)을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3)는,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표시하는 UI(191)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191)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192, 193)과, 검색창(19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사용자단말기(41)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사용자(13)가 검색하고자 하는 공유 컨텐츠의 검색어(195)를 검색창(193)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입력이 완료된 검색어(195)에 대응하는 공유 컨텐츠의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192)을 UI(191)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사용자(13)가 검색 결과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검색 수행 전에 표시되고 있던 다른 공유 컨텐츠의 항목(193)에 비하여, 검색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192)이 더 부각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192)은 앞으로 배치되고, 다른 공유 컨텐츠의 항목(193)은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192)은 활성화되고, 다른 공유 컨텐츠의 항목(193)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비활성화된 다른 공유 컨텐츠의 항목(193)은 흐리거나, 어둡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13)는, 제1사용자단말기(41)를 이용하여 공유 컨텐츠의 검색 기능을 개시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공유 컨텐츠의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13)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의 항목(105)를 이용하여 검색 기능을 개시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1)는, 검색 기능이 개시되면, 제1사용자단말기(41)의 화면에 검색어 입력을 위한 UI를 표시하여 사용자(13)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혹은 일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는, 사용자(13)의 음성입력에 기초하여 검색어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9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검색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13)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검색창(194)을 현재 검색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13)에 부여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어느 사용자(13)가 검색 기능을 개시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1)는, 해당 사용자(13)에 대응하는 커서 제어를 중단하고, 검색창(194)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어느 사용자(13)가 검색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사용자(13)의 검색이 허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어느 사용자(13)에게 부여된 검색 기능은, 해당 사용자(13)가 검색 기능을 완료하였음을 입력하거나, 소정 타임아웃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유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어느 사용자(13)에게 부여된 검색 기능이 종료되면, 검색창(194)의 표시를 해제하고, 해당 사용자(13)에 대응하는 커서 제어를 재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3)는, 공유 컨텐츠의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제한되지는 않으나, 하나의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1)는, 어느 사용자(13)에 의해 공유 컨텐츠의 재생이 요청된 경우, 요청 시점부터 미리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요청된 공유 컨텐츠의 재생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기시간 동안, 다른 사용자(13)에게도 자신이 원하는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다. 대기시간은, 각 공유 컨텐츠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각 공유 컨텐츠에 대한 재생이 요청된 때로부터 독립적으로 시간 경과가 진행된다.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재생이 요청된 각 공유 컨텐츠의 항목(1391)에 대기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1392)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재생이 요청된 복수의 공유 컨텐츠 중에서, 대기시간이 가장 먼저 완료된 공유 컨텐츠만을 재생할 수 있다. 혹은, 디스플레이장치(11)는, 재생이 요청된 복수의 공유 컨텐츠에 대하여, 대기시간이 완료되는 순서로 공유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하나의 공유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13)의 요청이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을 요청하는 사용자(13)의 수가 많을수록, 대기시간이 감소되거나, 시간이 빠르게 경과될 수 있다. 즉, 재생을 원하는 사용자(13)의 수가 많은 공유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공유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13)의 요청이 중첩될수록, 타이머(1392)의 크기가 커지거나, 3차원으로 표시하는 등의 다른 시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희망하는 공유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1)가 표시하는 UI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 및 21에 도시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에 관하여, 도 1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된 UI(201)은, 커서(202), 공유 컨텐츠를 나타내는 항목(203) 및 사용자/선호도를 나타내는 항목(205)을 포함한다. 도 20에 도시된 공유 컨텐츠는, 예컨대, 사진이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유 컨텐츠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사진의 항목(203)은, 예컨대 2차원의 그리드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각 공유 컨텐츠의 항목(203)에는, 사용자/선호도를 나타내는 항목(205)이 부가 표시된다. 항목(205)은, 각 사용자(13)에 부여된 색상으로 표시되며, 해당 사진이 어느 사용자(13)의 단말기로부터 공유된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항목(205)은, 바 모양으로 표시되어, 바의 길이로 해당 사진의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사용자단말기(12)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커서(202)를 움직인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현재 커서(202)가 위치하는 사진의 항목(204)이 포커스되도록 한다. 예컨대, 현재 포커스된 사진의 항목(204)은, 다른 항목(203)보다 상대적으로 커지며,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제1사용자단말기(41)는, 디스플레이장치(11)에 사진의 항목(204)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13)가 UI(101)를 터치하면, 커서(102)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1)는, 커서(202)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사용자단말기(41)에 표시된 커서(102)의 원은 눌린 것처럼 늘어나고,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커서(202)는 사진을 잡는 것처럼 줄어들어, 사용자에게 보다 흥미로운 조작 경험을 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1)에 표시된 커서(102)는, 사용자(13)가 UI(101)을 터치한 세기에 따라서 커서(102)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도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사용자단말기(12)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UI(211)의 하단에 편집영역(212)을 표시할 수 있다. 편집영역(212)에는 앨범을 추가하기 위한 항목(213)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커서(214)를 이용하여 사용자(13)가 항목(213)을 선택하면, 편집할 앨범을 나타내는 항목(215)을 표시한다. 각 사용자(13)는, 드래그앤드롭 등의 방법으로, UI(211)에 표시된 복수의 사진의 항목(216)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사진의 항목(216)을 앨범의 항목(215)으로 옮겨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사용자(13)는, 서로가 원하는 사진으로 구성된 공유 사진 앨범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앨범의 항목(215)에, 해당 앨범에 포함된 사진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항목(217)을 부가 표시할 수 있다. 항목(217)은, 해당 앨범에 포함된 각 사진의 사용자(13)에 부여된 색상으로(또는 색상들로) 표시되며, 해당 앨범에 누구의 사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항목(215)은, 바 모양으로 표시되어, 해당 앨범에 복수의 사용자(13)의 사진이 포함된 경우, 각 색상 바의 길이의 비가, 해당 앨범에 포함된 각 사용자(13)의 사진의 수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앨범의 사용자 구성 정보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의 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사용자단말기(12)의 UI(221, 222)에 관하여,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사용자단말기(41)의 UI(71, 8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221, 222)는 원형으로 표시되며,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2)가 스마트워치 등인 경우를 예시한다. UI(221, 222)는 각각 다른 제어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며, 각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항목(225, 2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항목(225, 226)은, 예컨대, 재생, 스피커 등의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I(221, 222)는 사용자(13)의 입력에 따라 상호 스위칭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3)가 UI(221, 222) 상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와이프(swype)하거나, 소정 크기 이상의 세기로 누르면, UI(221, 222)가 상호 스위칭될 수 있다.
UI(221, 222)는, 화면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휠(223)을 포함한다. 사용자(13)는, 휠(223)을 터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224)으로 휠(22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13)가 휠(223)을 회전시키면, 휠(223)을 구성하는 점들이 사용자(13)의 조작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UI(221)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13)는, 휠(223)을 회전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된 공유 컨텐츠의 항목(63)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는, 사용자(13)의 입력에 의한 휠(223)의 회전 방향(224)에 따라, 복수의 공유 컨텐츠의 항목(63)에 대한 포커스(65)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3)는, 원하는 공유 컨텐츠의 항목(65)이 포커스된 상태에서, 해당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3)가 UI(221)의 항목(225)을 선택하면, 포커스된 항목(65)이 나타내는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선택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13)가 휠(223)을 회전하다가 휠(223)을 보다 큰 세기로 누르는 경우, 포커스된 항목(65)이 나타내는 공유 컨텐츠의 재생을 선택한 것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선택된 공유 컨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사용자(13)가 UI(221)의 항목(225)을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중단되며, 컨텐츠의 재생이 중단된 중에 사용자(13)가 UI(221)의 항목(225)을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재개될 수 있다. 한편, UI(222)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13)는, 휠(223)을 회전하면서 재생되고 있는 공유 컨텐츠의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9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은, 도 10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의 실시예, 혹은 도 20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각 사용자(13) 별로 구별하여 표시되는 비쥬얼라이저(91)의 특징은, 도 10 내지 19 혹은 도 20 내지 21을 각각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의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재생이 요청된 때로부터 재생될 때까지의 대기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1392)의 특징은, 도 1 내지 9 및 도 22 혹은 도 20 내지 21을 각각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1) 및 사용자단말기(12)의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 밖에, 명세서에서 일일이 언급하지는 않으나, 어느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은, 특단의 모순이 없는 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11: 디스플레이장치
12: 사용자단말기
13: 사용자
14: 컨텐츠저장장치

Claims (36)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랜덤하게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각적 효과가 적용된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랜덤하게 배치된 복수의 UI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랜덤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UI의 개수에 대응하여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랜덤하게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각적 효과가 적용된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하게 배치된 복수의 UI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랜덤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UI의 개수에 대응하여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비쥬얼라이저를 통해 시각적 효과가 적용된 복수의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UI를 제공한 소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복수의 UI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UI 각각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복수의 UI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배치된 복수의 UI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랜덤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기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UI의 개수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UI 각각의 크기가 감소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 나누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이동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UI 각각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다른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UI의 크기가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되는 UI의 크기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UI의 크기가, 상기 제1영역에서 표시되는 UI의 크기보다 작게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비쥬얼라이저를 통해 시각적 효과가 적용된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를 제공한 소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복수의 UI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 각각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복수의 UI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배치된 복수의 UI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랜덤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기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UI의 개수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UI 각각의 크기가 감소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 나누어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UI 각각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다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UI의 크기가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되는 UI의 크기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UI의 크기가, 상기 제1영역에서 표시되는 UI의 크기보다 작게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89973A 2015-12-30 2015-12-30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KR10253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73A KR102532071B1 (ko) 2015-12-30 2015-12-30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PCT/KR2016/015070 WO2017116071A1 (en) 2015-12-30 2016-12-22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16882023.1A EP3338174A4 (en) 2015-12-30 2016-12-22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201680067006.8A CN108292202B (zh) 2015-12-30 2016-12-22 显示装置、用户终端、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202110945822.7A CN113655925A (zh) 2015-12-30 2016-12-22 显示装置、用户终端、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5/391,990 US10528226B2 (en) 2015-12-30 2016-12-28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6/704,333 US10969938B2 (en) 2015-12-30 2019-12-05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7/198,810 US11347378B2 (en) 2015-12-30 2021-03-11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7/738,690 US11693535B2 (en) 2015-12-30 2022-05-06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0230059706A KR20230069074A (ko) 2015-12-30 2023-05-09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US18/200,241 US20230289037A1 (en) 2015-12-30 2023-05-22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73A KR102532071B1 (ko) 2015-12-30 2015-12-30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706A Division KR20230069074A (ko) 2015-12-30 2023-05-09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19A KR20170079419A (ko) 2017-07-10
KR102532071B1 true KR102532071B1 (ko) 2023-05-15

Family

ID=59225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973A KR102532071B1 (ko) 2015-12-30 2015-12-30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KR1020230059706A KR20230069074A (ko) 2015-12-30 2023-05-09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706A KR20230069074A (ko) 2015-12-30 2023-05-09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0528226B2 (ko)
EP (1) EP3338174A4 (ko)
KR (2) KR102532071B1 (ko)
CN (2) CN113655925A (ko)
WO (1) WO2017116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3839B1 (en) 2017-10-24 2020-07-14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Virtual vehicle generation by multi-spectrum scanning
KR102464590B1 (ko) * 2017-11-13 2022-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US10521962B1 (en) 2018-03-08 2019-12-31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zing overlays in virtual environments
US10970923B1 (en) 2018-03-13 2021-04-0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area visualization
US10732001B1 (en) 2018-04-06 2020-08-04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response vehicle deployment
US10832476B1 (en) 2018-04-30 2020-11-10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virtual visualization of physical locations
USD928829S1 (en) * 2019-02-15 2021-08-24 Canva Pty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6204S1 (en) 2019-02-15 2021-07-27 Canva Pty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036456B1 (en) * 2019-10-18 2021-06-15 Splunk Inc. Control of a display device included in a display grid
KR102530229B1 (ko) * 2019-10-18 2023-05-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원격 회의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0004A2 (ko) 2008-03-24 2009-10-01 Kang Min Soo 디지털 콘텐츠 관련 메타 정보 활용 키워드 광고 방법 및 그 관련 시스템
US20090307633A1 (en) * 2008-06-06 2009-12-10 Apple Inc. Acceleration navigation of media device displays
JP2010004403A (ja) * 2008-06-20 2010-01-07 Sharp Corp 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提供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データ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
KR101380898B1 (ko) 2013-11-28 2014-04-01 주식회사 가온소프트 멀티플랫폼 환경의 실시간 웹 화이트보드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45187C (en) * 1992-12-09 2007-05-01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Set top terminal for cable television delivery systems
JP2957938B2 (ja) * 1995-03-31 1999-10-06 ミツビシ・エレクトリック・インフォメイション・テクノロジー・センター・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インドウ制御システム
US7620900B2 (en) * 2000-04-27 2009-11-1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ointing devices
JP4254950B2 (ja) * 2003-09-0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における操作メニュー表示方法
KR20050036281A (ko) * 2003-10-15 2005-04-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정보 제공 컨텐츠를 이용한 대기모드에서의 맞춤 정보 제공 방법
US7948448B2 (en) * 2004-04-01 2011-05-24 Polyvision Corporation Portable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7954143B2 (en) * 2006-11-13 2011-05-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network ser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ynamically assigning users to firewall policy groups
EP1950892A1 (en) * 2007-01-26 2008-07-30 Sony Deutschland Gmbh A user interface based on magnetic induction
KR101434568B1 (ko) * 2007-02-02 2014-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396967B1 (ko) * 2007-03-2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방법
US8922650B2 (en) * 2007-07-13 2014-12-30 Logitech Europe S.A. Systems and methods for geographic video interface and collaboration
AU2009229679A1 (en) 2008-03-24 2009-10-01 Min Soo Kang Keyword-advertisement method using meta-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contents and system thereof
US8458255B2 (en) * 2008-06-20 2013-06-04 Sharp Kabushiki Kaisha Data output device, data providing device, data output system, data output device control method, and data providing device control method
US8805450B2 (en) * 2008-09-05 2014-08-12 Microsoft Corp. Intelligent contact management
JP5369702B2 (ja) * 2009-01-23 2013-1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共有情報表示装置、共有情報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61353B2 (en) 2009-05-29 2014-02-25 Microsoft Corporation Avatar integrated shared media experience
US8660545B1 (en) * 2010-01-06 2014-02-25 ILook Corporation Responding to a video request by displaying information on a TV remote and video on the TV
US8698762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US8418257B2 (en) * 2010-11-16 2013-04-09 Microsoft Corporation Collection user interface
KR101283611B1 (ko) * 2010-12-27 2013-07-12 남기원 능동적 데이터 노출을 통한 광고 인센티브 제공시스템
US9525998B2 (en) 2012-01-06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isplay with multiscreen service
TWI513319B (zh) * 2012-01-31 2015-12-11 Quanta Comp Inc 在視訊會議中切換分享內容之方法以及視訊會議系統
JP5905783B2 (ja) * 2012-06-28 2016-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40136576A (ko) * 2013-05-20 2014-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07044A (ko) 2013-07-10 2015-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KR102087987B1 (ko) * 2013-10-04 202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 기기,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화면 미러링 방법
KR102085181B1 (ko) * 2013-10-23 202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US10028002B2 (en) * 2013-12-16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device for sharing contents, client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9383894B2 (en) * 2014-01-0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sual feedback for level of gesture completion
KR101597563B1 (ko) * 2014-06-27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US9507506B2 (en) * 2014-11-13 2016-11-29 Interactive Memories, Inc. Automatic target box in methods and systems for editing content-rich layouts in media-based projects
US9693375B2 (en) * 2014-11-24 2017-06-27 Apple Inc. Point-to-point ad hoc voice communication
KR102462671B1 (ko) * 2015-10-28 2022-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0004A2 (ko) 2008-03-24 2009-10-01 Kang Min Soo 디지털 콘텐츠 관련 메타 정보 활용 키워드 광고 방법 및 그 관련 시스템
US20090307633A1 (en) * 2008-06-06 2009-12-10 Apple Inc. Acceleration navigation of media device displays
JP2010004403A (ja) * 2008-06-20 2010-01-07 Sharp Corp 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提供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データ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
KR101380898B1 (ko) 2013-11-28 2014-04-01 주식회사 가온소프트 멀티플랫폼 환경의 실시간 웹 화이트보드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5080386A1 (ko) 2013-11-28 2015-06-04 주식회사 가온소프트 멀티플랫폼 환경의 실시간 웹 화이트보드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074A (ko) 2023-05-18
CN108292202B (zh) 2021-09-03
US11347378B2 (en) 2022-05-31
US20210200394A1 (en) 2021-07-01
US10969938B2 (en) 2021-04-06
US10528226B2 (en) 2020-01-07
CN113655925A (zh) 2021-11-16
US11693535B2 (en) 2023-07-04
US20220261123A1 (en) 2022-08-18
US20200110517A1 (en) 2020-04-09
WO2017116071A1 (en) 2017-07-06
CN108292202A (zh) 2018-07-17
US20170192631A1 (en) 2017-07-06
US20230289037A1 (en) 2023-09-14
KR20170079419A (ko) 2017-07-10
EP3338174A1 (en) 2018-06-27
EP3338174A4 (en)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071B1 (ko)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시스템
US20200301567A1 (en) User interfaces for viewing and accessing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CN110554818B (zh) 用于导航媒体内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5739813A (zh)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TWI585670B (zh) 呈現應用程式選單之方法、電子裝置及電腦可讀取媒體
RU2597525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и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способленное для этого
US92619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by tracking head of user through camera modu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CN103365592B (zh) 执行显示器上的对象的方法和设备
US20130318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AU2014287943A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s thereof
JP2016517994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700831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10090599A (ko)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501565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a recommendations
KR10231761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56211B1 (ko) 위치 기반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257561B2 (en) Time-line based digital media post viewing experience
JP7187737B2 (ja) 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CN112578980A (zh) 终端页面显示方法和装置
JP202017371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提供サーバ、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提供方法
JP737329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提供サーバ、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提供方法
JP626292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150042531A (ko) 구간 알림 방식을 사용한 컨텐츠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JP2013218375A (ja) 端末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