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973B1 -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973B1
KR102531973B1 KR1020197034302A KR20197034302A KR102531973B1 KR 102531973 B1 KR102531973 B1 KR 102531973B1 KR 1020197034302 A KR1020197034302 A KR 1020197034302A KR 20197034302 A KR20197034302 A KR 20197034302A KR 102531973 B1 KR102531973 B1 KR 102531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ke
wheel
frame member
axle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216A (ko
Inventor
윌리엄 호
Original Assignee
윌리엄 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호 filed Critical 윌리엄 호
Publication of KR2019014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2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made to th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5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having additional wheels for use when folded or collapsed

Abstract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부 프레임 부재, 및 상부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접이식 바이크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여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는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상태 동안 뒷바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지만, 바이크의 접힌 비탑승 가능한 상태 동안 뒷바퀴의 하부 부분 및 지면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차축의 측방향 및 가로 부착, 분리, 및 변위는 수평의 선회 가능한 변위이든 아니든 관계없이 그 위의 보조 바퀴를 갖는 차축 부재를 위해 제공되어서,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와 함께, 시스템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수하물 카트형 보조 휠링 모드 또는 쇼핑 카트형 휠링 모드에서 바이크를 사용자가 밀어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17년 4월 21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88,244호('244 출원)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특허 출원은 또한 2017년 6월 3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14,821호('821 출원)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인은 또한 유사한 요지를 갖는 2016년 8월 1일자로 미국 가출원 제62/369,274호('274 출원)를 출원하였다. '244 출원은 '274 출원, '821 출원은 두 '244 및 '274 출원을 참조하였다. 전술한 각각의 출원, 즉 '244 출원, '821 출원, 및 '274 출원은 본 출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접힌 위치에 있는 동안 바이크(bike)와 그 접이식 프레임을 롤링(rolling)시키기 위한, 접이식 프레임을 갖는, 바이크로서도 공지된 자전거(bicycle)에 부착하기 위한 보조 바퀴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별개의 랙(rack), 별개의 보조 프레임에 장착되거나, 또는 접이식 바이크에, 특히 주 바이크 바퀴 및 그 지지 프레임을 뒤집힌 배향으로 가져오기 위해, 그러나 보조 바퀴가 접힌 바이크와 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반된 접이식 바이크의 유형에 관계없이, 주 바이크 바퀴(예를 들어, 후방 바이크 바퀴) 및 주 바퀴의 지지 프레임이 바이크의 접는 부분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보관 또는 접힌 위치로 접히는 접이식 프레임을 갖는 특정 유형의 접이식 바이크에 부착 또는 이와 통합되는데 적합하든지에 관계없이, 보조 바퀴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대중 교통으로 여행하는 동안, 빌딩 사이를 걷는 동안, 슈퍼마켓에서 쇼핑하는 동안, 또는 가파른 계단을 올라가는 등의 동안, 사이클 사용자에 의한 여행을 용이하게 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비교적 콤팩트한 접힌 바이크 패키지를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최신 스타일의 바이크가 제공되었다. 그리고, 이들 접이식 바이크는 바이크의 운반성을 크게 용이하게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거리 및 이동 기간 동안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보조 바퀴의 세트 없이, 더욱 긴 거리, 예를 들어 공항에서 터미널 사이 또는 더욱 긴 기간 동안, 예를 들어 슈퍼마켓 쇼핑 동안, 이러한 유형의 접힌 바이크가 용이하게 운반될 수 없게 충분히 무거운, 약 24 파운드이기 때문에, 이러한 접힌 바이크는 사용자가 접힌 바이크를 휴대하여 운반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보조 바퀴는 하나의 회전축에서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더욱 작은 바퀴뿐만 아니라 스위블 캐스터 또는 전방향성 보조 바퀴(omnidirectional auxiliary wheel)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맥락에서, 전방향성 바퀴는 그 일반적인 의미, 즉 바퀴가 구르는 표면의 평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휠링(wheeling)할 수 있는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같은 바퀴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방향성 바퀴와 스위블 캐스터 바퀴는 상호 교환 가능하다.
접이식 바이크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접이식 바이크가 접혀진 후에, 접이식 바이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다른 종래 기술의 보조 바퀴 또는 보조 바퀴들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보조 바퀴 또는 바퀴들 시스템은 때때로 하나 이상의 보조 바퀴를 갖는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었으며, 즉 보조 바퀴는 바이크의 주 바퀴보다 상당히 작고, 보조 운반 동안 접힌 바이크를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바퀴이다.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보조 바퀴는 때때로 접이식 바이크의 프레임 또는 펜더에 직접 장착된다. 이러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접힌 바이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바이크의 주 바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접이식 바이크의 보조 바퀴 시스템에 의해 용이하게 되는 보조 운반의 2개의 모드, 즉 수하물 카트형 롤링 모드(rolling luggage cart type mode) 및 쇼핑 카트형 롤링 모드(rolling shopping cart type mode)가 있다. 접힌 바이크의 수하물 카트형 롤링 모드의 보조 운반 또는 휠링에서,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바이크를 접는 방식에 의존하여, 바이크 안장, 핸들 바, 또는 심지어 프레임의 일부와 같은 접힌 바이크의 가장 높거나 연장된 부분을 잡고, 전형적으로 비스위블(즉, 하나의 회전축에 고정되지만 그럼에도 회전할 수 있음) 바퀴로 접힌 바이크를 기울여서, 사용자는 큰 여행 가방의 사용자가 여행 가방 바닥에 장착된 바퀴에서와 같이 할 수 있는 것처럼 접힌 바이크의 보조 휠링을 하였다.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롤링 모드의 보조 운반 또는 휠링에서, 비록 사용자가 여전히 바이크의 가장 높거나 연장된 부분을 잡았을지라도(상기 언급된 운반 유형과 같이), 사용자는 이러한 경우에 바이크를 비스위블 바퀴로 바이크를 기울이기 보다는 오히려, 접힌 바이크는 종래 기술의 보조 바퀴 시스템에 똑바로 세워지는데 자유로웠으며, 이것은 차례로 사용자가 슈퍼마켓 또는 기타 쇼핑몰의 표면과 같은 평평한 표면에서 바이크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쇼핑 카트형 운반의 경우에, 개방 백에서 식료품류 또는 구입한 물품의 배치에 적합한 백을 홀딩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이들 종래 시스템의 보조 바퀴 골격에서의 쇼핑 카트 모드에서 휠링되도록 접힌 바이크의 핸들 바 부분 근처에서 바이크 제조업자에 의한 부착물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심미적 관점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손상되었으며, 더욱 중요하게 안정성이 쇼핑 카트형 모드 디바이스만큼 유용하지 않았다.
보조 운반의 전술한 유형 또는 모드 모두에서, 특히 식료품류를 운반하기 위해 바이크 프레임에 부착된 쇼핑 백 또는 컨테이너가 제공될 때, 접힌 바이크의 의도하지 않은 기울어짐 및 넘어짐에 대한 안정성 및 더욱 용이한 조향이 필요하다. 또한 너무 좁은 차축 또는 바퀴 베이스에서 수하물 카트형 모드의 운반 동안 물체를 신속하게 조작하려고 시도하는 동요성 보행(waddling) 또는 좌우 기울어짐을 겪는 것이 통상적으로 이해된다. 또한, 충분히 안정적이지 않은 보조 바퀴 운반 시스템에 의해 야기되는 기울어짐에 대한 안정성 개선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더욱 긴 차축을 갖는 보조 바퀴 운반 시스템이 제공되었지만, 과거에 이러한 더욱 긴 차축 보조 바퀴 운반 시스템의 일부는 사용자의 발로 바이크의 크랭크의 용이한 회전을 방해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종래 기술에서, 접힌 바이크 보조 운반 동안 (즉, 연장 가능한 차축의 연장된 위치를 갖는) 보조 바퀴 운반 시스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즉, 후퇴된 보조 운반 모드 차축을 갖는) 펼쳐진 바이크 탑승 중에 사용자의 다리와 발로 바이크 크랭크를 돌리는 동안 사용자를 위한 최대 이동성을 제공하는 연장 가능한 차축이 제공되었다.
전술한 유형의 보조 바퀴 시스템 중에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이한 분류 유형의 시스템이 (그 단점 중 일부와 함께) 제공되었다:
1) 접힌 바이크는 바이크의 접힌 상태에서 바이크 자체의 주 바퀴에서만 독점적으로 롤링되었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보조 바퀴 시스템과 비교하여 몇몇 단점을 가지며;
2) 접힌 바이크는 고정된(즉, 스위블 캐스터 바퀴가 아닌) 세트와 함께 바이크의 주 바퀴(또는 바퀴들)의 조합으로 롤링되었으며(Gerencser의 미국 특허 제9,776,682호 참조);
3) 접힌 바이크는 쇼핑 카트형 및 수하물 카트형 모드의 운반 모두를 가능하게 하도록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함께 바이크의 주 바퀴의 조합으로 롤링되었었다(Hon의 미국 특허 제4,433,85호 및 Lu의 미국 특허 제7,175,192호 참조). 위의 1), 2) 및 3) 유형인 자전거는 전진 방향으로만 휠링될 수 있다는 단점을 공유하였다(또는 주 바퀴가 페달을 돌리면 보조 롤링 동안 페달이 자전거 프레임에 부딪치게 한다). 또한, 보조 롤링 동안 접힌 자전거의 조향은 일부 설계에서 스위블 캐스터 바퀴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이 이상적이지 않았거나, 또는 스위블 캐스터가 존재하였으면, 자전거의 전방 절반이 자전거 후방 절반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혀질 때, 스위블 캐스터 바퀴가 주행 차선의 중심선으로부터 벗어난 자전거 중심선에 또는 그 근방에 장착되기 때문에, 스위블 캐스터는 주행 차선의 중심선으로부터 벗어나 위치되었으며;
4) 접힌 바이크는 옆으로 더욱 안정적인 수하물 카트형 롤링 모드만을 위하여 랙에 장착된 비스위블 롤러로 롤링되었었다(Scholz의 미국 특허 제7,341,270호 및 Uimonen 등의 미국 특허 제8,205,902호 참조).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의 단점은 더욱 성가신 구조를 제시하며 보조 롤링 동안 좁은 공간에서 조작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는 것이며;
5) 접힌 바이크는 2개보다 많은 비스위블 롤러(예를 들어, 종종 4개의 롤러)를 갖는 롤링 플랫폼으로 롤링되었었다(Tak-Wei Hon 등의 미국 특허 제7,591,473호; 또한 Brompton Bicycle Limited, Mezzo Folding Bikes Limited 및 Birdy Folding Bikes 참조). 이러한 설계는 약 5 인치의 보다 좁은 바퀴 베이스 때문에 보조 롤링 동안 안정적이지 않았으며, 보조 롤링 동안 조향이 없었다는 단점을 가졌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면으로부터 바퀴를 들어올려야만 하였거나 또는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도록 바퀴를 끌었어야만 하였다. Birdy Rear Racks에 의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종래 기술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전방의 2개의 비스위블 롤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향 링크를 이용하여 최소로 회전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킬 때 일부 안정성을 도왔었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X-롤러가 제공되었지만, 이것은 이러한 설계와 관련된 조향 부족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 유형의 보조 바퀴 시스템의 각각의 결점은 본 개시 및 발명에 의해 교시된 바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접이식 바이크를 위한 종래 기술의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접이식 바이크의 후방 랙, 또는 바이크 자체의 프레임 또는 펜더에 장착되었다. 후자 유형의 설계는 일반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다소 어려웠으며, 바이크의 펜더가 보조 휠링 시스템을 갖는 것과 같이 이러한 무거운 구조물을 달리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패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당연히 다소 번거롭고, 조향하는 것이 어려웠었거나, 조향 능력을 가지지 않았었거나, 불안정하였거나(특히 높은 롤링 속도에서), 기계적인 고장의 대상이 되었거나, 접힌 바이크의 패키지 크기를 과도하게 증가시켰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작동 및 실시가 복잡하게 되었었다. 따라서, 다양한 정도까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반복된 사용을 위해, 장거리에 걸쳐서 밀려짐 또는 끌려짐을 위해, 또는 바이크에 장착된 백에서 더욱 큰 중량의 쇼핑 내용물을 지지하는데 이상적으로 효과적이지 않았다. 그리고 일부 종래 기술의 설계가 수하물 카트형 운반을 허용하였던 반면에, 다른 종래 기술의 설계가 쇼핑 카트형 운반을 허용하였지만, 다수의 상이한 보조 운반 모드에서 보다 안정하고 사용이 용이한 하나의 설계로 두 가지 유형의 운반을 모두 제공하는 단일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재차, 특정의 접는 바이크 설계(즉, 옆으로 롤링시키는 설계)는 사용자가 접힌 바이크의 기울어진 위치에서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다음 지점으로 접힌 바이크를 운반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가능하게 하였고, 바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여행자가 큰 여행 가방으로 행하였던 것과 같이 고정된 축 바퀴로 바이크를 운반한 사용자에 의해 2개의 방향으로 고정된 바퀴를 갖는 차축에서 바람직하게는 기울어진 위치에서 홀딩되었다. 이것은 페달링 동작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바이크의 이동 라인 또는 축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더욱 긴 바퀴 베이스가 허용되었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다른 시스템은 바이크의 직립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에서 쇼핑 카트로서 접힌 바이크를 사용하는 동안 (안정성 측면에서 덜 성공적으로) 사용자가 접힌 바이크를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접힌 바이크를 운반하는 이러한 두 가지 모드는 사용자가, 바이크를 통근 열차와 같이 바이크를 타고 목적지로 가고, 공지된 바와 같이 바이크를 보조 운반 모드로 접고, 슈퍼마켓과 같은 목적지로 수하물 카트형 모드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유형의 설계로 운반을 위하여 보조 바퀴 골격의 2개의 바퀴로 선택적으로 기울어진 바이크를 휠링하고, 공지된 바와 같이 보조 운반 모드로 바이크를 접고, 쇼핑 카트형 모드로 롤링 보조 바퀴 골격에 기초하여 바이크를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휠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일부 바이크가 단일 설계로 쇼핑 카트 모드 및 수하물 카트 모드의 두 운반 모두를 가능하게 하였지만, 그 차축 시스템은 너무 짧은(또는 좁은), 약 5 인치 이하의 폭을 가져서, 보다 무겁거나 상부가 무거운 쇼핑 카트형 하중이 적용되었을 때 차축 시스템이 기울어지게 하기 쉬웠었다. 그리고, 이것은 부분적으로, 이러한 설계에 의해 진행 중일 때 일반적으로 상충되는 목표, 즉 가로 배향 차축의 콤팩트한 접힌 가로 설계, 및 다른 설계가 존재하였기 때문이다(차축은 바이크의 바퀴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직각으로 고정, 즉 장착되고 배향되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설계에서 너무 긴 차축은 바이크의 페달링을 과도하게 방해하였던데 반하여, 이러한 설계에서의 너무 짧은 차축(과거에 통상적이었던)은 쇼핑 카트 모드 또는 수하물 카트 모드에 관계없이 조작 시에 과도한 불안정성 또는 흔들림으로 이어졌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러한 설계를 위해 연장 가능한 차축이 개발되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두 운반 모드는 모두 쇼핑 카트형 운반 및/또는 수하물 여행 가방형 운반이든 바이크의 주 바퀴와 관계없이 또는 바이크의 주 바퀴와 함께 일어나는 보조 휠링을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서 가능하였다.
전술한 일부 유형의 보조 운반은 다른 유형보다 불안정성의 유형 이상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물론, 접힌 바이크의 주 바퀴가 수하물 카트형 보조 운반 모드 또는 쇼핑 카트형 보조 운반 모드에서 바이크를 운반하는데 사용되었을 때, 정돈되고 좁은 접힌 바이크 설계의 상충되는 목표는 안정성을 위해 충분히 넓은 바퀴 베이스를 가졌을 차축을 제공한다는 다른 목표와 충돌하였다. 과거에, 이러한 상충되는 목표는 고정된 바퀴 베이스가 보다 넓은 바퀴 베이스를 요구하는 더욱 안정적인 보조 운반을 제공하기에는 너무 좁은 차축으로 이어졌었다. 또는, 수하물 카트형 보조 운반 모드를 위해 더욱 긴 차축 바퀴 베이스를 채택한 보조 운반 시스템이 사용자에 의한 페달링을 방해하였기 때문에, 연장 가능한 차축 바퀴 베이스가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연장 가능한 바퀴 베이스 시스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오작동하기 쉬울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접이식 바이크의 보조 운반을 위해 안정성에 대한 일부 개선이 제공되었지만, 그 접힌 상태에서 바이크 보조 운반 동안, 예를 들어 바이크의 보조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바이크의 보다 큰 주 바퀴를 수하물 카트 운반 모드 또는 쇼핑 카트 운반 모드 모두에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일부 안정성 문제가 여전히 지속되었다. 그리고, 보조 휠링 시스템의 수하물 카트 운반 및 쇼핑 카트 운반 유형을 위해 차축을 연장시키거나 차축을 연장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안정성에 대한 일부 개선 사항이 제공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크의 탑승 능력(rideability)을 과도하게 방해하지 않는 이러한 단순한 설계가 지금까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하물 카트 모드 또는 쇼핑 카트 모드에 관계없이, 두 가지 유형의 운반 모드 모두에서 불안정성 및 고유한 구조적 약점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아마도 더욱 중요하게,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탑승자가 바이크를 탑승하는데 과도하게 방해되지 않는 단일의 사용하기 용이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에서 더욱 안정적인 보조 운반의 수하물 카트 모드 및 더욱 안정적인 보조 운반의 쇼핑 카트 모드 모두 용이하지 않았다.
전술한 유형의 종래 기술의 보조 바퀴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이 개발된 하나의 특정 스타일의 바이크는, 펜더와 함께, 바이크 주 뒷바퀴 및 그 지지 프레임을 만약에 있다면, 펼쳐진 바이크의 탑승 가능한 정상적인 배향에 대해 뒤집힌 배향으로 가져오도록, 바이크 주 뒷바퀴 및 그 뒷바퀴의 지지 프레임이 바이크의 전방 부분을 위해 더욱 전방의 선회 지점을 중심으로, 또한 하부 후방 선회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된 보관 또는 접힌 위치로 접혀진 접이식 프레임을 갖는 그 유형의 접이식 바이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접는 바이크 프레임의 예는 Brompton, Birdy, Bike Friday(BF) 및 Mezzo, 접이식 바이크와 같은 인기 브랜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힌 위치에서, 이러한 유형의 바이크를 위한 보조 운반 바퀴 시스템(접을 때 뒤집힌 바퀴)은 그 주 바퀴를 포함하는 접힌 바이크와 지면 사이의 복수의 가능한 위치 중 하나에 위치되었었다. 따라서, 보관된 바이크는 본 명세서에 추가로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도의 안정성으로, 사용자에 의해 보조 바퀴만으로 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이크의 주 바퀴와 함께 휠링될 수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접이식 바이크는 접힌 바이크 프레임이 2개의 고정 방향형(비스위블링하는) 보조 바퀴로 휠링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기울어지는 수하물 카트 모드에서 2개의 기본 운반 모드를 제공하였다. 또는, 바이크의 보조 운반은 접힌 바이크 프레임이 복수의 보조 바퀴만으로 똑바로 세워지는 쇼핑 카트 모드에서 달성될 수 있었으며, 바퀴들 중 하나 이상은 캐스터형 짐수레(dolly)로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전방향성 바퀴로서 제공되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설계를 갖는 보조 운반은 수하물 카트 모드에서 휠링하는 경우에 좁은 공간에서 덜 조종 가능하였거나, 또는 쇼핑 카트 모드에서 원하는 것보다 덜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반전된 뒷바퀴 유형의 설계의 접이식 바이크를 위한 두 가지 운반 모드에 대한 요구에 대한 독립적인 해결책이 고안되었지만(예를 들어, 연장 가능한 차축 설계 때문에 약하고 고장나기 쉬운 연장 가능한 가로 차축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까지, 단일의 신뢰 가능하고 견고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접이식 바이크를 운반하기 위한 멀티 모드의 보다 안정적이고 보다 효과적이며 실시가 용이한 보조 바퀴 시스템이 종래 기술에는 없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이식 프레임, 및 접이식 프레임에서 바이크 탑승을 위하여, 접이식 프레임에서 뒷바퀴를 지지하는 측방향 바퀴 지지 스트럿(lateral wheel supporting strut)을 갖는 바이크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접힌 바이크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이크의 보조 롤링을 가능하게 하는데 적합하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바이크의 접이식 프레임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또한 접이식 프레임의 바퀴 지지 스트럿에 부착되는데 적합하여서,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및 가로 프레임 부재는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에서 뒷바퀴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에 부착 및 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데 적합한 분리 가능하거나, 재위치 가능하거나, 또는 전치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보조 바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또는 전방향성 보조 바퀴가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방향성 바퀴는 그 일반적인 의미에서, 즉 바퀴가 구르는 표면의 평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휠링할 수 있는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같은 바퀴로서 간주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전방향성 바퀴와 스위블 캐스터 바퀴는 상호 교환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상의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제1 부착 위치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접힌 바이크의 수하물 카트형 보조 롤링을 가능하게 하는데 적합하며, 수하물 카트형 보조 롤링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보조 바퀴로 보조 롤링을 위해 접힌 바이크를 사용자가 기울일 때 지면에 닿을 필요가 없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 상의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제2 부착 위치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롤링에 적합하며, 쇼핑 카트형 롤링 동안,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의 각각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모두 지면에 닿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접힌 바이크의 보조 휠링 동안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이크의 펼쳐진 상태에서 넓이의 바이크보다 적어도 더 긴 차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약 5 인치의 최소 길이로부터 약 30 인치까지의 더욱 긴 길이의 범위에 놓이는, 안정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차축 길이의 범위가 존재한다. 그러나,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임의의 주어진 상황에서 차축의 길이가 상이한 특성, 중량, 무게 중심, 펼쳐진 폭, 접힌 폭 등에 의존하고 이와 관련되도록, 다른 바이크가 이들 고려 사항을 가질 것임에 따라서, 임의의 특정 길이의 차축에 종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차축은 가요성 가로 및 측방향 위치 사이에서 차축의 실질적인 수평 선회, 이러한 위치에서 시스템 골격에서의 볼 및 소켓 선회, 부착 및 재부착, 또는 멀티 모드 보조 시스템의 차축을 재위치시키는 다른 등가의 방법에 관계없이 재위치 가능하거나 또는 전치 가능하다. 분리 및 재부착, 수평 선회 또는 그 조합에 관계없이 재위치 및 전치 가능한이라는 이러한 용어는 본 출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한 용어이다.
본 발명의 작동의 쇼핑 카트 모드 동안, 차축은 바람직하게는 가로 위치에 있을 수 있지만 측방향 위치 또는 다른 부분적인 위치에 있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차축 상의 이들 2개의 보조 바퀴와 전방향성 바퀴는 전방향성 바퀴가 삼각형의 이등분선에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 베이스 구성을 형성하고, 이등분선은 쇼핑 카트 모드에서 시스템의 이동 중심선에 중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등변 구성의 베이스로서 달성뒬 수 있는 적절한 길이뿐만 아니라, 이등변 구성의 적절한 높이(차축으로부터 전방향성 바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를 허용하여, 바이크가 접히지 않고 탑승 가능한 탑승 또는 슬립스트림 모드(riding or slipstream mode), 바이크가 사용자에 의한 휠링을 위해 접혀져 기울어진 수하물 카트 모드, 및 바이크가 접혀져 정지하고 적어도 3개의 보조 바퀴로 휠링 가능한 쇼핑 카트 모드의 3개의 사용 모드를 위한 재위치 가능한 차축의 본 발명 개념을 통해 안정성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설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형태의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 및 양상의 전술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바이크의 뒷바퀴의 각각의 측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 및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 및 실시형태에 의해,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각각은 측방향 프레임 부재를 가로 프레임 부재에 서로 연결할 수 있고, 각각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및 가로 프레임 부재를 접이식 프레임의 바퀴 지지 스트럿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및 가로 프레임 부재는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에서 뒷바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 및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는 실질적으로 수평일 수 있고,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수평일 수 있는 반면에,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 중 다른 것은 역 U자 형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각각은 각진 V자 형상 프레임 부재를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각진 V자 형상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V자 형상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도록 각각의 V자 형상 프레임 부재의 최상측 부분에 인접한 가로 프레임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의 각각은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을 위한 대체로 삼각형 및 쐐기 형상 전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V자 형상 부재의 각각의 최상측 각진 부분에 걸쳐져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V자 형상 프레임 부재의 최하측 부분은 접이식 프레임의 바퀴 지지 스트럿이 뒷바퀴를 위한 후방 차축에 부착되거나 이에 인접하는 지점에서 접이식 프레임과 전체 프레임 구조의 상호 연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 및 양상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방향성 바퀴(예를 들어, 스위블 캐스터 바퀴)의 차축 부분을 유지하는데 적합하도록 복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프레임 부재는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보조 롤링을 위한 안정적인 보조 바퀴 롤링 베이스를 생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예를 들어, 바이크의 뒷바퀴의 다른 측면에 위치되는데 적합한 다른 측방향 프레임 부재) 상의 부착 영역으로부터 멀고, 복수의 가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바이크의 뒷바퀴의 후방 부분 근처 또는 뒤에 위치되는데 적합한 다른 측방향 프레임 부재) 상의 부착 영역으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의 실시형태는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오프셋 부착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오프셋 부착 브래킷은 다른 회전 가능한 차축 바퀴보다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 상의 하나의 회전 가능한 차축 바퀴에 더욱 밀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 중 실질적으로 수평인 것에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를 부착할 때, 회전 가능한 바퀴 및 적어도 하나의 전방향성 또는 캐스터 바퀴는 쇼핑 카트형 롤링 동안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의 회전 중심이 삼각형의 이등분 중심선(이등분 중심선이 또한 쇼핑 카트 모드에서 시스템의 이동 중심선 위에 중첩되어 있음)에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더욱 무거운 바이크 또는 운반 능력 하중을 더욱 양호하게 수용하도록 오프셋 부착 브래킷으로부터 멀리 있는 차축의 세장형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에 추가적인 노치 또는 노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쇼핑 카트 모드에서 더욱 큰 안정성은 대안적으로 또는 개선된 대안으로, 분리 가능한 보조 차축 부재 상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가 연장된 배향 동안 더욱 멀어지고 접힌 배향에서 바이크의 보조 휠링을 위해 더욱 큰 안정성에 적합하도록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가 연장 가능한 것 제공하는 것에 의해 더욱 큰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바퀴 베이스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더 좁게 접힌 패키지의 상충되는 설계 제약은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연장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 및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의 복수의 부착 리셉터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은 신속 해제 1/4 회전 체결 하드웨어, 또는 클립 또는 스트랩과 같은 다른 신속 해제형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부착 리셉터클은 복수의 부착 리셉터클에 그리고 이로부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용이하고 신속한 부착 및 신속한 분리를 위해 체결 하드웨어의 수용 및 방출에 적합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부착 리셉터클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 및 출원인의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 가출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임 또는 차축 상의 클립, 차축 및 프레임 상의 슬라이딩 가능한 핀 및 슬롯 조합, 직사각형 또는 원형 리셉터클 및 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르면, 뒷바퀴 및 바퀴 지지 스트럿을 갖는 유형의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는데 적합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이 제공되며, 뒷바퀴 및 지지 스트럿 조합은 뒷바퀴 및 지지 스트럿이 바이크의 접힌 비탑승 구성으로 있는 동안 뒤집혀 위치되는 접힌 위치로 바이크 프레임 관절 조인트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른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및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가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에서 뒷바퀴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접이식 바이크의 바퀴 지지 스트럿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제1 부착 리셉터클,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제2 부착 리셉터클, 및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제1 부착 리셉터클에, 대안적으로 제2 부착 리셉터클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보조 바퀴, 및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또는 전방향성 보조 바퀴가 제공된다.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제1 부착 위치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접힌 바이크의 수하물 카트형 보조 롤링을 가능하게 하는데 적합하며, 수하물 카트형 보조 롤링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보조 바퀴로 보조 롤링을 위해 사용자가 접힌 바이크를 기울일 때 지면에 닿을 필요가 없다.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 상의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부착의 제2 위치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롤링에 적합하다. 이러한 작업 동안,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의 각각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모두 지면에 닿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의 실시형태는, 바이크의 탑승 가능한 펼쳐진 상태 동안,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가 사용자가 바이크를 타는 동안 책, 식료품류 등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해 평탄 표면 또는 랙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목적에 기여하도록,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가 바이크에 부착되는데 적합하한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 및 실시형태의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상부 랙은 실질적으로 또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프레임 부재일 수 있고, 직사각형 프레임 부재는, 바이크의 접힌 상태에서, 랙이 바이크의 뒷바퀴와 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을 접을 때, 바이크 상의 뒷바퀴 및 그 관련 지지 스트럿이 뒤집혀 보관되는 유형의 접이식 바이크의 뒷바퀴를 위한 바퀴 지지 스트럿에 지지되는데 적합하다. 이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베이스 구성에서 전방향성 바퀴를 포함하는데 적합한 재위치 가능한 차축이 제공되는 한,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서 언급된 유형의 바이크만이 아니라 임의의 접이식 바이크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오프셋 부착 브래킷이 제공되며, 오프셋 부착 브래킷은 제2 부착 위치에서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부착시에,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의 회전 중심이 쇼핑 카트형 롤링 동안 개선된 안정성을 위해 삼각형의 이등분 중심선에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회전 가능한 바퀴 및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가 구성되도록,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 상의 다른 바퀴보다 하나의 회전 가능한 차축 바퀴에 더욱 밀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더욱 무거운 바이크 또는 운반 능력 하중을 더욱 양호하게 수용하도록 오프셋 부착 브래킷으로부터 멀리 있는 차축의 세장형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에 추가적인 노치 또는 노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는 분리 가능한 보조 차축 부재 상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가 연장된 배향 동안 더욱 멀리 있고 접힌 배향에서 바이크의 보조 휠링을 위해 더욱 큰 안정성에 적합하도록 연장 가능하다. 이러한 안정성 능력은 또한 세장형 차축의 측방향 또는 선회 가능한 재위치 능력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의 회전 중심이 쇼핑 카트형 롤링 동안 개선된 안정성을 위해 삼각형의 이등분 중심선에 위치되는 안정적인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베이스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준비는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각각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는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각각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는 접이식 바이크의 대응하는 지지 스트럿에 부착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가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에서 주 바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가 제1 부착 리셉터클을 통해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될 때 접힌 바이크의 수하물 카트형 운반 및 휠링에 적합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이 제공되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가 제2 부착 리셉터클을 통해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될 때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운반 및 휠링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바퀴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연장 가능한 캐스터 차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바퀴는 (예를 들어, 쇼핑 카트 모드 작동을 위해) 다른 보조 바퀴와 동일한 레벨로, 다른 보조 바퀴의 레벨 위로 (예를 들어, 수하물 랙형 모드 작동을 위해, 스위블 캐스터 바퀴가 보조 휠링 모드 동안 바이크 아래에 위치되는 것으로 인해) 사용자 재위치 가능하도록 연장 가능한 캐스터 차축에서 후퇴 가능하고 연장 가능하다. 스위블 캐스터는 사용자 선호도 및 시스템 구성에 의존하여 세워진 바이크 탑승 모드 동안 상부 재위치 가능하고 연장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위블 캐스터 바퀴가 쇼핑 카트 사용 모드 동안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의 표면 아래에 있을 것이기 때문에, 따라서, 이것은 시스템의 다른 보조 바퀴와 함께 보조 시스템 프레임 부재의 골격을 통해 접힌 바이크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위블 바퀴는 그 스위블 캐스터 차축의 위 또는 아래의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아래의 위치에서, 바퀴는 회전할 수 없으며, 바퀴 상단은 랙 또는 프레임 상부 표면과 동일 평면에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전방향성 바퀴로 지칭되는 스위블 바퀴는 랙의 상단에 탑재되는 하중으로부터 보호되며, 스위블 바퀴는 그 회전 운동이 방해받지 않고 랙 프레임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으며, 시스템은 작동 시에 충분한 지면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의 단점은 사용자에게 추가로 회전시키도록 요구하는 여분의 작업이다. 바퀴가 탑승 모드 동안 언제나 랙 상단 표면의 레벨 또는 약간 위에 있는 슬라이딩 가능하지 않은 스위블 바퀴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지만, 슬라이딩 가능하고 연장 가능하며 후퇴 가능한 스위블 바퀴 시스템의 전술한 장점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접이식 바이크를 롤링시키는데 적합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및 접이식 바이크 조합체가 제공되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및 접이식 바이크 조합은 뒷바퀴 및 앞바퀴를 지지하는 접이식 프레임을 갖는 바이크를 포함하며, 뒷바퀴는 접이식 프레임의 탑승 바퀴 차축 및 복수의 지지 측방향 스트럿에 의해 지지되며, 접이식 프레임은 복수의 측방향 스트럿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 상호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뒷바퀴, 측방향 스트럿, 및 가로 상호 연결 부재 조합은 바이크가 접힌 비탑승 구성으로 있는 동안 뒷바퀴, 지지 측방향 스트럿, 및 가로 상호 연결 부재가 뒤집혀 위치되는 접힌 위치로 바이크 프레임 관절 조인트를 중심으로 함께 선회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 및 양상은 바이크의 접이식 프레임에 부착된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로서,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가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에서 뒷바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제1 단부가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제2 단부가 접이식 바이크의 지지 스트럿에 부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 및 가로 상호 연결 부재 및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 및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에 부착되는데 적합하고 바이크의 접이식 프레임에 대한 복수의 상이한 위치로 재위치되는데 적합한 세장형 차축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에서 세장형 차축 부재의 부착에 대한 복수의 위치로 변위, 전치, 또는 수평 선회에 적합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보조 바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 및 양상은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방향성(예를 들어,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를 더 포함하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 상의 세장형 차축 부재에 장착된 보조 바퀴의 변위 위치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보조 휠링에 적합하며, 쇼핑 카트형 보조 휠링 동안, 세장형 차축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에 장착된 복수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의 각각은 모두 지면에 닿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른 실시형태는 다른 부착 리셉터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은 가로 상호 연결 부재 상에 있고, 다른 부착 리셉터클은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 상에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차축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반복적으로 분리 가능하고 재부착 가능하여서, 세장형 차축 부재는 수하물 카트형 보조 휠링 작동을 위해 상부 보조 바퀴 프레임 부재 상의 다른 부착 리셉터클, 및 대안적으로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와 함께 쇼핑 카트형 작동을 위해 가로 상호 연결 부재 상의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에 임시로 부착되는데 적합하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더욱 큰 안정성이 대안적으로 바이크의 동작의 슬립스트림에서 바이크에 유지될 수 있는 더욱 긴 차축으로, 그러나 탑승자의 동작 또는 페달링을 간섭하지 않는 이러한 형태로, 또는 연장 가능한 차축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물론, 슬립스트림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거나 또는 바이크의 페달링 동안 탑승자의 동작을 방해하는 것이 허용되면 탑승할 때 세장형 차축이 더욱 위험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양상에 따른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에서, 분리 가능한 보조 차축 부재 상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가 연장된 배향 동안 더욱 멀리 있고 접힌 배향에서 바이크의 보조 휠링을 위해 더욱 큰 안정성에 적합하도록 일정 정도 연장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 및 양상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1/4 회전 체결형 하드웨어와 같은 신속 해제 부착 및 분리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그리고 이로부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용이하고 신속한 부착 및 신속한 분리를 위한 체결 하드웨어의 수용 및 방출에 적합한 제1 부착 리셉터클 및 제2 부착 리셉터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청구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클립 또는 스트랩과 같은 다른 신속 해제 부착 및 분리 시스템이 고려되고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이식 자전거의 후방 부분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이 제공되되, 해당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프레임 부재, 접이식 자전거 폭보다 더 긴 길이의 세장형 차축, 차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보조 바퀴, 프레임 부재에 고정 연결된 지지 구조물, 지지 구조물 또는 프레임 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게, 후퇴 가능하게 또는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고, 자전거 뒷바퀴에 대해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전방향성 보조 바퀴를 포함하며, 차축은 프레임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향성 바퀴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장형 차축이 가로 위치에 있을 때, 보조 바퀴 및 전방향성 바퀴는 전방향성 바퀴가 중심선에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서, 자전거 뒷바퀴가 뒤집혔을 때, 보조 바퀴와 전방향성 바퀴는 쇼핑 모드 구성에서 접힌 바이크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닿는다.
세장형 차축이 측방향 위치에 있을 때, 세장형 차축은 탑승 가능한, 측방향 위치 구성에서 자전거의 슬립스트림에 있도록 가로 위치로부터 대략 바람직하게는 90°에 위치되어서, 세장형 차축과 보조 바퀴가 페달링을 방해하지 않으며, 페달링 방해는 세장형 차축이 바이크의 슬립스트림으로부터 밖으로 또는 바이크의 탑승자 페달링 영역 내로 돌출되도록 허용되었으면 탑승할 때 위험한 상태를 유발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장형 차축은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차축을 선회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로 및 측방향 위치로 재위치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세장형 차축은 본 명세서에서 교시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클립 또는 다른 유지 부재 리셉터클과 같은 유지 부재에 의해 가로 및 측방향 위치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상 및 실시형태는 접힌 바이크의 보조 휠링 동안 사용의 더욱 큰 안정성, 더욱 큰 기능성 및 더욱 큰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 시스템의 한계를 해결한다. 또한, 바이크의 슬립스트림 내로 그리고 페달링 동안 탑승자의 동작으로부터 멀어지게 더욱 긴 차축을 제공하는 한편, 보조 휠링 동안 시스템의 이러한 더욱 큰 안정성 및 유용성을 위하여 차축의 재위치를 여전히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은 사용자를 위해 안전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스위블 전방향성 캐스터 바퀴가 삼각형의 이등분 중심선에 있는 이등변 삼각형 구성 형상의 베이스를 시스템이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합하기 때문에, 조향 및 안정성이 가능해지고 종래 기술 시스템에 비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본 명세서의 결론 부분에서 특히 언급되고 명백하게 청구된다. 그러나, 다른 장점 및 목적과 함께, 조직 및 동작 방법 모두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멀티 모드 시스템이 바이크에 설치되지만 바이크가 펼쳐진(탑승 가능한) 위치에 도시된, 바이크의 뒷바퀴 및 뒷바퀴 지지 골격이 뒤집혀 위치되도록 프레임 상의 접는 지점(98, 114)을 중심으로 접혀진 뒷바퀴를 갖는 유형의 Brompton® 브랜드의 바이크와 같은 접이식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의, 본 발명의 하나 양상에 따른 랙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바이크가 펼쳐진(탑승 가능한) 위치에 도시된, 도 1에 도시된 바이크와 동일한 유형의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의 상부 랙을 갖지 않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도 3은 바이크가 멀티 모드 시스템의 복수의 보조 바퀴에 놓이고 사용자의 손으로 밀거나 또는 당기는 것으로 수하물 카트형 모드에서 운반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기울어지는데 적합한 접힌(탑승 불가능한) 위치에 있는, (도 1에 바이크의 다른 구성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후방 랙 실시형태의 측면 사시도;
도 4a는 바이크가 접힌(탑승 불가능한) 위치에서, 식료품류를 운반하기 위한 백 부착물(bag attachment)을 구비하고 복수의 보조 바퀴 및 스위블 캐스터와 같은 전방향성 바퀴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이동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러한 바퀴는 쇼핑 카트형 휠링 모드에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운반을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의 일부인, (도 1에서의 바이크의 다른 구성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배면 사시도;
도 4b는 바이크가 접힌(탑승 불가능한) 위치에서, 식료품류를 운반하기 위한 백 부착물을 구비하고 복수의 보조 바퀴 및 스위블 캐스터와 같은 전방향성 바퀴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보조 이동을 위해 준비되고, 각각의 이러한 바퀴는 쇼핑 카트형 휠링 모드에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운반을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의 일부인, (도 2에서의 바이크의 다른 구성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랙이 없는 실시형태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전방향성 또는 스위블 캐스터 바퀴가 접힌 바이크를 자유롭게 세우고 쇼핑 카트형 운반 모드 모두에 사용되는, 수하물 카트형 및 쇼핑 카트형 운반 모드 모두에 사용되는 (도 1에서 바이크로 도시된 것과 같은)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의 후방 랙 실시형태의 부분 분해 측면 사시도;
도 6a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고 종래 기술 이상의 본 발명의 존재하는 재위치 가능한 바퀴 및 세장형 차축 양상의 향상된 안정성 및 조향 능력의 도시 및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동시에, 수하물 카트형 모드의 보조 운반을 위해 재위치된 차축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b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접혀진 바이크를 롤링시키고 종래 기술 이상의 본 발명의 존재하는 재위치 가능한 바퀴 및 세장형 차축 양상의 향상된 안정성 및 조향 능력의 도시 및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동시에, 수하물 카트형 모드의 보조 운반을 위해 재위치된 차축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7은 시스템이 쇼핑 카트형 모드 위치에 도시되어 있지만 차축이 (종래 기술 시스템에서와 같이) 연장되지 않아서 시스템이 더욱 긴 차축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안정하지 않을 수 있는, 종래 기술 이상의 본 발명의 존재하는 재위치 가능한 바퀴 및 세장형 차축의 향상된 안정성 및 조향 능력의 도시 및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위치 가능한 차축 시스템인지에 관계없이,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연장 가능한 차축 시스템의 개략 평면도;
도 8은 시스템이 쇼핑 카트형 모드 위치에서 도시되고 연장 가능한 바퀴 차축 부분이 향상된 안정성으로 도시하도록 연장된, 종래 기술 이상의 본 발명의 존재하는 재위치 가능한 바퀴 및 세장형 차축의 향상된 안정성 및 조향 능력의 도시 및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위치 가능한 차축 시스템인지에 관계없이,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연장 가능한 차축 시스템의 개략 평면도;
도 9는 시스템이 쇼핑 카트형, 및 대안적으로 수하물 카트형(점선으로) 보조 운반 모드에서 도시된,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분해 측면 사시도;
도 10은 다른 유형의 전방향성 바퀴가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참된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데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각각을 위해 사용 가능한 바람직한 연장 가능하고 후퇴 가능한 (스위블 바퀴 또는 캐스터 바퀴와 같은) 전방향성 바퀴 또는 스위블 캐스터 바퀴의 사시도;
도 11a는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하여 멀티 모드 시스템에 대한 보조 바퀴 차축 부분의 신속한 부착 및 분리를 위한 하드웨어의 부분으로서, 가로 배향에서 보조 바퀴 차축을 수용하여 이와 맞물리는데 적합하며 예를 들어 스프링 장전식 1/4 회전형 볼트 체결구를 사용하는 구멍뿐만 아니라, Brompton® Brand 바이크의 가로 지지 프레임 부재에 대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접이식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의 전방 부분의 부착을 위한 구멍을 갖는 면판(face plate)의 평면도;
도 11b는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하여 멀티 모드 시스템에 대한 보조 바퀴 차축 부분의 신속한 부착 및 분리를 위한 하드웨어의 부분으로서, 가로 배향에서 보조 바퀴 차축을 수용하여 이와 맞물리는데 적합하며 예를 들어 표준의 스프링 장전식 1/4 회전형 볼트 체결구를 사용하는 표준 슬롯뿐만 아니라, Brompton® Brand 바이크의 가로 지지 프레임 부재에 대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접이식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의 전방 부분의 부착을 위한 구멍을 갖는 대안적인 면판의 평면도;
도 12는 바이크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고, 수하물 카트형 및 쇼핑 카트형 보조 운반 모드를 위해 사용되는데 적합한 선회 가능한 바퀴 차축을 갖는,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멀티 모드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배면 사시도.
접는 프레임 바이크 개요
도면을 참조하면, 사이클 사용자에 의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또한 예를 들어 대중 교통으로 여행하는 동안, 건물 사이를 걷는 동안, 보도를 바쁘게 걷는 동안, 슈퍼마켓에서 쇼핑하는 동안, 가파른 계단을 오르는 등 동안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거나 휠링될 수 있는 (대체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콤팩트한 접힌 바이크 패키지(100)를 제공하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바이크(100)로서 알려진 접이식 자전거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접이식 바이크(100)의 특정 유형은 뒷바퀴(104) 및 앞바퀴(106)를 지지하는 접이식 프레임(102)을 갖는 바이크(100)를 특징으로 하고, 뒷바퀴는 접이식 프레임의 탑승 바퀴 차축(112) 및 복수의 지지 측방향 스트럿(108)(스트럿이 탑승 모드에서 그 의도된 이동 방향에 대해 뒷바퀴(104) 옆에 있는 측방향)에 의해 지지된다. 접이식 프레임(102)은 바이크 프레임(102)에 강도 및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을 돕기 위해 복수의 측방향 스트럿(108) 중 2개를 서로 연결하는 특정의 가로 상호 연결 프레임 부재(110)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유형의 접이식 바이크(100)에서, 지지 측방향 스트럿(108)와 함께, 뒷바퀴(104) 및 가로 상호 연결 부재(110)의 조합은 뒷바퀴, 지지 측방향 스트럿, 및 가로 상호 연결 부재가 바이크가 접힌 비탑승 구성으로 동안 뒤집혀 위치되는 접힌 위치로, 후방 바이크 프레임 관절 조인트(114)를 중심으로 함께 선회할 수 있다.
보조 휠링 모드 개요
본 명세서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 116', 116")의 다수의 실시형태가 제시되며, 사용자는 접이식 바이크(100)와 함께 사용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운반의 2개의 주요 모드, 즉 대체로 도 3에 도시되고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바퀴의 수하물 카트형 롤링 모드 구성, 및 대체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고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바퀴의 쇼핑 카트형 롤링 모드 구성으로 지지된다. 접힌 바이크(100)의 보조 운반 또는 휠링의 수하물 카트형 롤링 모드에서, 사용자는 큰 여행 가방의 사용자가 여행 가방의 바닥에 장착된 바퀴에서 할 수 있었던 것처럼 사용자가 접힌 바이크의 보조 휠링을 가능하게 하도록, 대체로 도 3에 도시된 측방향 배향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비스위블(즉, 하나의 회전축에서 고정되지만 그럼에도 회전 가능한) 바퀴 상으로 접힌 바이크를 기울이기 위하여, 바이크의 접는 방식에 의존하여 안장 기둥(107) 상의 바이크 안장(101), 핸들 바(109), 심지어 바이크 프레임(102)의 일부와 같은 접힌 바이크의 가장 높은, 또는 연장된 부분을 잡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세장형 차축을 이용하여 보조 운반의 하나 또는 두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더욱 안정적인 바퀴 베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휠링의 수하물 카트 모드에서도 휠링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접힌 바이크(100)의 쇼핑 카트형 롤링 모드의 보조 운반 또는 휠링에서, 사용자가 여전히 (전술한 운반 유형에서와 같이 안장 기둥(107)의 안장(101)과 같은) 바이크의 가장 높거나 또는 연장된 부분을 여전히 잡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경우에 바이크를 비스위블 바퀴(120)로 기울이지 않고, 오히려 접힌 바이크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 캐스터 바퀴, 즉 전방향성 바퀴(122) 및 바퀴(120)의 가로 배향 구성으로 구성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 116', 116")으로 자유롭게 세워질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사용자가 슈퍼마켓 또는 다른 쇼핑몰의 표면과 같은 평탄 표면에서 바이크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쇼핑 카트 모드 유형의 운반을 위해, 본 발명의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 116', 116")으로 쇼핑 카트 모드에서 휠링되도록 컨테이너에 식료품류 또는 다른 구매한 물품의 배치에 적합한 개방 가능한 컨테이너(103)를 홀딩하기 위하여, 바이크 제조업체에 의한 부착 부재(105), 예를 들어 접힌 바이크(100)의 핸들 바 부분 아래에 위치된 부착 부재(105)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이 세장형 차축을 이용하여 보조 운반의 하나 또는 두 모드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더욱 안정적인 바퀴 베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쇼핑 카트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 보조 휠링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컨테이너(103)의 사용은 바이크(100)의 기울어짐, 결과적으로 컨테이너의 내용물의 엎지름 또는 손상의 가능성이 적게 조장되고 지지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방향성 바퀴는 바퀴가 구르는 표면의 평면에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휠링할 수 있는 그 일반적인 의미, 즉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같은 바퀴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방향성 및 스위블 캐스터 바퀴는 상호 교환 가능하다.
랙 프레임 실시형태
접이식 바이크의 보조 휠링 운반의 안정성, 조향, 기능성, 이동성 및 사용 용이성을 개선하는 한편, 탑승 모드 동안 바이크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고, 즉 이러한 바이크의 페달링 및 사용을 방해함이 없이, 접이식 바이크(100)의 보조 휠링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종래 기술의 한계를 해결하도록, 도 1, 도 3, 도 4a, 및 도 5에, 세장형 차축(118), 세장형 차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더욱 작은 보조 바퀴 또는 롤러(120), 및 바이크의 뒷바퀴(104)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된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같은 전방향성 바퀴(122)를 포함하는 신규의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의 제1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은 상부 랙 부재(134)를 형성하도록 안정화 가로 크로스 프레임 부재(132)와 서로 연결되는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부"라는 용어는 바이크(일반적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유형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랙(134)이 뒷바퀴(104)와 지면 사이에 있을 것이기 때문에, 바이크(100)가 세워져 펼쳐진 탑승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의 랙(134)을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랙(134)은 바이크의 탑승 가능한 펼쳐진 상태 동안,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134)로서 알려진 랙(134)이 사용자가 바이크를 탑승한 동안 책, 식료품류 등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평탄 표면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목적에 기여하도록 바이크(100)에 부착되는데 적합하다.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은 복수의 후방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복수의 전방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8), 및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140)(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랙(134)의 가로 크로스 프레임 부재(132)로서 알려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 및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140)는 바이크(100)의 뒷바퀴(104)의 각각의 측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데 적합하여서,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각진 V자 형상 및 쐐기 형상 골격을 형성되며, 뒷바퀴의 어느 한 측면 상의 각각의 측면 프레임 부재의 상부 부분은 가로 프레임 부재(140)(이 경우에 랙(134)의 가로 크로스 프레임 부재(132)와 동일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는 본질적으로 뒷바퀴(104) 차축(112)에, 따라서 접이식 바이크 프레임(102)의 뒷바퀴 지지 스트럿(108)에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와 가로 프레임 부재(140, (132))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은 바퀴 지지 스트럿(108)의 수렴 지점 근처의 위치에서 복수의 아일릿, 또는 신속 해제 슬롯(113)을 통해 달성되고, 수렴 지점에서, 바퀴 지지 스트럿 및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는 일반적으로 바이크 랙 및 바이크 프레임의 제조 및 부착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목적에 적합한 방식 및 고강도 강, 또는 다른 재료로 적절하게 만들어진 뒷바퀴(104)의 차축(112)에 각각 인접한 바이크(100)의 프레임(102)과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을 (아일릿(113)을 통해) 서로 연결한다. 바이크(100)의 탑승 모드 동안, 상부 측방향 지지 프레임 부재(130) 및 가로 프레임 부재(132, (140))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수평으로 배향되고, 바퀴(104)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보조 휠링 모드 동안, 이들 동일한 상부 측방향 지지 프레임 부재(130) 및 가로 프레임 부재는 뒷바퀴(104)와 지면 사이에서 대체로 수평으로 배향되어 위치되도록 이것을 접는 동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형의) 바이크(100)의 선회 작용을 통해 뒤집힌다.
따라서, 어느 상태에서든, 탑승 모드 동안이든 또는 어느 유형의 보조 휠링 모드 동안이든, 전술한 세장형 차축(118), 세장형 차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더욱 작은 보조 바퀴(120), 및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같은 전방향성 바퀴(122)는 랙(134) 및 뒷바퀴(104)에 대해 재위치 가능하게 고정된다. 쇼핑 카트형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 시스템(116)은 바람직하게는 이등변 삼각형 베이스 구성으로 바퀴(120, 122)를 재위치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수하물 카트형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 차축(118)의 단부에 장착된 보조 바퀴(120)는 바람직하게는 랙(134) 및 뒷바퀴(104)에 대해 측방향으로 재위치 가능하게 위치된다. 또한, 수하물 카트형 모드에서, 스위블 캐스터 바퀴(122)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면 평면 위에서 후퇴된 위치로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여전히 서있고 접힌 바이크의 보조 이동에 관여하지 않는 동안 접힌 바이크(100)를 직립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간단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 지지 구조물(124), 및 전방향성 바퀴(122)가 그 안에서 바이크 후방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방향 측면 부재(130)를 통해) 유지 튜브(126)가 제공된다. 전방향성 바퀴(122)는 지지 구조물(124) 및 유지 튜브(126)를 통해 바이크(100)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가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가능한/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는 바퀴 부분(123'), 조임 너트(125'), 내부 튜브 샤프트(127'), 내부 튜브 샤프트(127')에 있는 오리피스로부터 중간 정도 연장되는 스프링 장전식 유지 핀(129), 및 외부 유지 튜브(126)에서 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를 홀딩하는데 적합한 나사 캡 유지 부재(131)를 포함한다.
작동 시에, 내부 튜브 샤프트(127')는 스프링 장전식 유지 핀 또는 버튼(129)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림에 접할 때까지 지지 구조물(124) 상의 유지 튜브(12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랙(134)의 평면 위로 연장된 전방향성 바퀴를 이용하여 연장된 위치에서 내부 튜브 샤프트(127') 및 튜브에 있는 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를 유지하도록(바이크(100)의 탑승 모드 배향 동안), 나사 캡 유지 부재(131')가 내부 튜브 샤프트의 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어서(샤프트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됨), 캡 유지 부재는 그 연장된 위치에서 내부 튜브 샤프트 및 전방향성 바퀴를 적소에서 홀딩한다. 그런 다음, 전방향성 바퀴(122')를 후퇴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프링 장전식 핀 또는 버튼(129)을 누를 수 있어서, 튜브 샤프트(127')는 유지 튜브에 있는 그 후퇴된 위치에서 전방향성 바퀴를 홀딩하기 위하여 유지 튜브(126)의 내측에 있는 오목 부분, 또는 구멍에 버튼이 맞물릴 때까지 튜브 내로 밀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랙(134)은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가지도록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랙(134)의 어느 한 단부에, 그러나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랙의 전방 단부에, 가로 프레임 부재 및 부착판(attachment plate)(141)이 제공되지만,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및 바이크 조합에서, 본 발명의 부착판(141) 또는 본 발명의 가로 또는 다른 프레임 부재는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의 다른 프레임 부재가 바이크 프레임 부재에 매달리는 바이크(100) 자체의 프레임(예를 들어, 크로스 부재(110))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부착판(141)은 실시형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와 관련하여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산 정렬 구멍 또는 슬롯(14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차축(118)은 각각의 정렬 구멍(143) 또는 슬롯(143')과 일치하는 돌출 가이드 및 정렬 핀(147)을 갖는 그 위에 용접된 대응하는 부착판(14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판(142)의 중앙에 위치되며, 신속 해제 부착 및 분리 기술의 분야에서 공지된 스프링 장전식 1/4 회전 신속 해제 하드웨어 시스템 부착 부재(146)가 추가로 제공된다.
따라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부착판(141)은 또한 중앙 구멍(145)을 포함하고, 중앙 구멍은 그 안에 설치된 암형 부착 하드웨어와 함께 차축(118)의 대응하는 부착판(142)에 장착된 키형(keyed) 부착 부재(146)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부착 리셉터클(149)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 및 이러한 유형의 신속 해제 하드웨어에 따르면, 키형 부착 부재(146)의 수형 돌출 핀(150)을 1/4 회전시킬 때, 차축(118) 상의 키는 분산된 가이드 구멍(143)에 유지되는 유지 가이드 또는 핀(147)과 함께 차축과 결합되어 차축을 적소에 잠근다. 차축(118)의 분리는 이와 동일한 공정으로 달성되지만,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추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측방향으로 위치된 부착 리셉터클로 차축의 재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 리셉터클(149)로부터 키형 부착 부재(146)를 분리하기 위해 역으로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 이전의 가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신속 해제 시스템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및 유지 핀 및 슬롯과 함께, 부분적으로 직사각형의 차축 부재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대체로 직사각형의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판(141)은 T-형상 베이스 부재(1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부에 구멍(156)을 한정하고, 바이크 프레임에 시스템(116)을 또한 부착하고 안정화하기 위하여 바이크 프레임(102)의 크로스 부재(110)와 부착판(141)을 서로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이것은 표준 너트 및 볼트 조합, 수동 조작 가능한 신속 해제 나사 및 너트로(또는 크로스 부재(110) 자체에 나사 결합 및 조임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에 측방향 부착판(158) 또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측방향 지지 구조물(161)이 제공된다. 부착판(141)과 유사하게, 부착판(158)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분산 정렬 구멍 또는 슬롯(160)을 포함한다. 그리고, 부착판(141)과 유사하게, 부착판(158)은 또한 각각의 가이드 또는 정렬 구멍 또는 슬롯(160)뿐만 아니라 세장형 차축(118)의 스프링 장전식 1/4 회전 신속 해제 하드웨어 시스템 부착 부재(146)와 또한 일치하는 돌출 가이드 및 정렬 핀(147)을 갖는 그 위에 용접된 대응하는 부착판(142)을 더 포함하는 세장형 차축(118)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구멍(168)은 부착판(158)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부착판(158)은 또한 중앙 구멍(162)을 포함하며, 중앙 구멍은 그 안에 설치된 암형 부착 하드웨어와 함께, 차축(118)의 대응하는 부착판(142)에 장착된 키형 부착 부재(146)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부착 리셉터클(164)을 포함한다. 따라서, 키형 부착 부재(146)의 수형 돌출 핀(150)을 1/4 회전시킬 때, 차축(118) 상의 키는 분산 가이드 구멍(160)에서 유지된 유지 가이드 또는 핀(147)과 함께 차축에 결합되고 차축을 적소에 잠근다. 차축(118)의 분리는 이와 동일한 공정으로 달성되지만, 전술한 부착 리셉터클(149)을 이용하여 다른 위치, 예를 들어 부착판(141)으로 재차 차축의 재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 리셉터클(164)로부터 키형 부착 부재(146)를 분리하기 위해 역으로 수행된다.
당업자는 청구된 바와 같은 그 보다 넓은 양상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의 개시에 기초하여 2개의 바퀴, 3개의 바퀴 또는 4개의 바퀴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프레임, 부착성/분리성, 및 보조 바퀴 구성을 구성하는 몇몇 상이한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부착 시스템은 복수의 핀을 갖는 정사각형 채널 튜브를 포함할 수 있고, 차축의 정사각형 부분을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채널 내로의 절개부는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시스템 골격에서 차축의 분리성 및 재부착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채택될 수 있으며, 차축은 다수의 상이한 각도 배향 중 임의의 각도 배향을 통하여, 그러나 편리한 보조 바퀴 모드 변경을 위하여 차축을 재위치시키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적합하게 90°배향으로 선회되거나 또는 변위될 수 있다.
감소된 프레임 실시형태
접이식 바이크의 보조 휠링 운반의 안정성, 조향, 기능성, 이동성 및 사용 용이성을 개선하는 한편, 탑승 모드 동안 바이크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고, 즉 이러한 바이크의 안전한 페달링 및 사용을 방해함이 없이, 접이식 바이크(100)의 보조 휠링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종래 기술의 한계를 해결하도록, 도 2, 도 4b, 도 9에, 세장형 차축(118'), 세장형 차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더욱 작은 보조 바퀴 또는 롤러(120'),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이크의 뒷바퀴(104)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된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같은 전방향성 바퀴(122')를 포함하는 신규의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의 제2의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은 안정화 가로 크로스 프레임 부재(132')와 상호 연결된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를 포함한다. 시스템(116')의 이러한 실시형태와 전술한 실시형태(116)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이러한 시스템 실시형태(116')가 상부 랙 부재(134)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상부"는, 바이크(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형)가 접힌 상태로 있을 때, 시스템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면에서 보조 운반 모드를 위해 바이크(100)를 지지하는데 적합할 수 있도록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가 수평 이등분선 아래에 있기 때문에, 바이크(100)가 세워져 펼쳐진 탑승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가 뒷바퀴(104)의 수평 이등분선 위에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은 복수의 후방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복수의 전방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8'), 및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140')(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가로 크로스 프레임 부재(132')로서 알려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 및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140')는 바이크(100)의 뒷바퀴(104)의 각각의 측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데 적합하여서,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뒷바퀴의 어느 한쪽에 있는 각각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136', 138')의 상부 부분이 가로 프레임 부재(14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각진 V자 형상 및 쐐기 형상 골격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는 본질적으로 접이식 바이크 프레임(102)의 뒷바퀴(104) 탑승 차축(112)에, 따라서 뒷바퀴 지지 스트럿(108)에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와 가로 프레임 부재(140')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은 바퀴 지지 스트럿(108)의 수렴 지점 근처의 위치에서 복수의 아일릿 또는 신속 해제 슬롯(113')을 통해 달성되며, 수렴 지점에서, 바퀴 지지 스트럿 및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는 대체로 바이크 랙 및 바이크 프레임의 부착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뒷바퀴(104)의 차축(112)에 각각 인접한 바이크(100)의 프레임(102)과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을 (아일릿(113')을 통해) 서로 연결한다. 바이크(100)의 탑승 모드 동안, 상부 측방향 지지 프레임 부재(130') 및 가로 프레임 부재(140')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수평으로 배향되고 바퀴(104)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보조 휠링 모드 동안, 이들 동일한 상부 측방향 지지 프레임 부재(130') 및 가로 프레임 부재는 뒷바퀴(104)와 지면 사이에서 대체로 수평으로 배향되어 위치되도록 이것을 접는 동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형의) 바이크(100)의 선회 작용을 통해 뒤집힌다. 따라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의 감소된 프레임 실시형태의 경우에, 가로 프레임 부재 및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는 바이크(100)의 탑승 모드 동안 대체로 역 U자 형상 위치인데 반하여, 보조 휠링 모드 동안, 이것들은 보조 바퀴(120' 및 122')를 이용하여 바이크(100)를 지지하고 바이크의 보조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U"의 바닥 부분이 바퀴(104)와 지면 사이에 위치된 대체로 U자 형상 위치로 위치된다.
따라서, 어느 상태에서든, 탑승 모드 동안이든 또는 어느 유형의 보조 휠링 모드 동안이든, 전술한 세장형 차축(118'), 세장형 차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더욱 작은 보조 바퀴(120'), 및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같은 전방향성 바퀴(122')는 뒷바퀴(104) 및 접이식 바이크 프레임(102)에 대해 재위치 가능하게 고정된다. 쇼핑 카트형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 시스템(116')은 바람직하게는 이등변 삼각형 베이스 구성으로 바퀴(120', 122')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수하물 카트형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 차축(118')의 단부에 장착된 보조 바퀴(120')는 바람직하게는 뒷바퀴(104)에 대해 측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바이크를 접는 동안 바퀴(104)를 뒤집을 때, 더욱 작은 보조 바퀴(120')가 사용중이더라도, 수하물 카트형 모드 동안 바퀴(104)가 지면으로부터 충분한 여유 공간을 허용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130')가 지면에 충분히 밀접하도록,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가 바람직하게는 탑승 모드에서 바퀴(104)의 상부 부분에 밀접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수하물 카트형 모드에서, 스위블 캐스터 바퀴(122')는 바람직하게는 지면 평면 위로 후퇴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여전히 서있고 접힌 바이크의 보조 이동에 관여하지 않는 동안 접힌 바이크(100)를 세워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간단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 지지 구조물(124'), 및 그 안에서 전방향성 바퀴(122')가 바이크 후방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유지 튜브(126')가 제공된다. 전방향성 바퀴(122')는 지지 구조물(124') 및 유지 튜브(126')를 통해 바이크(100)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 지지 구조물과 유지 튜브를 통해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가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가능한/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는 바퀴 부분(123'), 조임 너트(125'), 내부 튜브 샤프트(172'), 내부 튜브 샤프트(172')에 있는 오리피스로부터 중간 정도 연장되는 스프링 장전식 유지 핀(129), 및 외부 유지 튜브(126')에서 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를 홀딩하는데 적합한 나사 캡 유지 부재(131)를 포함한다.
작동 시에, 내부 튜브 샤프트(12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장전식 유지 핀 또는 버튼(129)이 상부 림에 접할 때까지 지지 구조물(124) 상의 유지 튜브(12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랙(134)의 평면 위로 연장된 전방향성 바퀴를 이용하여 연장된 위치에서 내부 튜브 샤프트(127') 및 튜브에 있는 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를 유지하도록(바이크(100)의 탑승 모드 배향 동안), 나사 캡 유지 부재(131')가 내부 튜브 샤프트의 단부(나사가 내부에 나사로 고정됨) 내로 나사 결합될 수 있어서, 캡 유지 부재는 그 연장된 위치에서 내부 튜브 샤프트 및 전방향성 바퀴를 적소에 홀딩한다. 전방향성 바퀴(122')를 후퇴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프링 장전식 핀 또는 버튼(129)을 누를 수 있어서, 튜브 샤프트(127')는 유지 튜브에서 그 후퇴된 위치에서 전방향성 바퀴를 홀딩하기 위하여 유지 튜브(126')의 내측에 있는 오목 부분, 또는 구멍에 버튼이 맞물릴 때까지 튜브 내로 밀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프레임 부재(136', 138') 및 가로 프레임 부재(140')로 구성되는 V자 형상, 쐐기 형상 프레임은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갖고 그 평면도에서 뒷바퀴 위에 올라타고 씌우는(envelope) 것처럼 보이도록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러한 직사각형 골격의 어느 단부에서든, 평면도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골격의 전방 단부에서 보았을 때, 가로 프레임 부재 및 부착판(141')이 제공되지만,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및 바이크 조합에서, 본 발명의 부착판(141') 또는 가로 또는 다른 프레임 부재는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의 다른 프레임 부재가 바이크 프레임 부재에 매달리는 바이크(100) 자체의 프레임(예를 들어, 크로스 부재(110))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부착판(141, 141', 141")은 실시형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와 관련하여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산 정렬 구멍 또는 슬롯(14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차축(118')은 각각의 정렬 구멍(143') 또는 슬롯(143")과 일치하는 돌출 가이드 및 정렬 핀(147')을 갖는 그 위에 용접된 대응하는 부착판(142')을 더 포함한다. 부착판(142')의 중앙에 위치되며, 신속 해제 부착 및 분리 기술의 분야에서 공지된 스프링 장전식 1/4 회전 신속 해제 하드웨어 시스템 부착 부재(146')가 추가로 제공된다.
따라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부착판(141')은 또한 중앙 구멍(145')을 포함하고, 중앙 구멍은 그 안에 설치된 암형 부착 하드웨어와 함께 차축(118')의 대응하는 부착판(142')에 장착된 키형 부착 부재(146')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부착 리셉터클(149')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 및 이러한 유형의 신속 해제 하드웨어에 따르면, 키형 부착 부재(146')의 수형 돌출 핀(150')을 1/4 회전시킬 때, 차축(118') 상의 키는 분산된 가이드 구멍(143')에 유지되는 유지 가이드 또는 핀(147')과 함께 차축과 결합되고 차축을 적소에 잠근다. 차축(118)의 분리는 이와 동일한 공정으로 달성되지만,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추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측방향으로 위치된 부착 리셉터클로 차축의 재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 리셉터클(149')로부터 키형 부착 부재(146')를 분리하기 위해 역으로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이전의 가출원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축의 부착 및 분리를 위한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및 유지 핀 및 슬롯과 함께 직사각형 차축 부재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직사각형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부착판(141')은 T-형상 베이스 부재(1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부에 구멍(156')을 한정하고, 바이크 프레임의 시스템(116')을 또한 부착하고 안정화하기 위하여 바이크 프레임(102)의 크로스 부재(110)와 부착판(141')을 서로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이것은 표준 너트 및 볼트 조합, 수동 조작 가능한 신속 해제 나사 및 너트로(또는 크로스 부재(110) 자체에 나사 결합 및 조임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에 측방향 부착판(158')이 또한 제공된다. 부착판(141')과 유사하게, 부착판(158')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분산 정렬 구멍 또는 슬롯(160')을 포함한다. 그리고 부착판(141')과 유사하게, 부착판(158')은 또한 각각의 가이드 또는 정렬 구멍 또는 슬롯(160')뿐만 아니라 세장형 차축(118')의 스프링 장전식 1/4 회전 신속 해제 하드웨어 시스템 부착 부재(146')에 또한 대응하는 돌출 가이드 및 정렬 핀(147')을 갖는 그 위에 용접된 대응하는 부착판(142')을 더 포함하는 세장형 차축(118')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구멍(168')은 부착판(141' 및 158')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클립 또는 스트랩 또는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다른 등가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차축(118')을 프레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방법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부착판(158')은 또한 중앙 구멍(162')을 포함하고, 중앙 구멍은 그 안에 설치된 암형 부착 하드웨어와 함께, 차축(118')의 대응하는 부착판(142')에 장착된 키형 부착 부재(146')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부착된 리셉터클(164')을 포함한다. 따라서, 키형 부착 부재(146')의 수형 돌출 핀(150')을 1/4 회전시킬 때, 차축(118') 상의 키는 분산 가이드 구멍(160')에서 유지된 유지 가이드 또는 핀(147')과 함께 차축과 결합되어 차축을 적소에 잠근다. 차축(118')의 분리는 이와 동일한 공정으로 달성되지만, 전술한 부착 리셉터클(149')을 이용하여 다른 위치, 예를 들어 부착판(141')으로 재차 차축의 재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 리셉터클(164')로부터 키형 부착 부재(146')를 분리하기 위해 역으로 수행된다.
도 3 및 도 9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다 큰 하중이 차축에 부과될 때 시스템에 더욱 큰 강도 및 안정성을 부여하고 차축 또는 프레임 플레이트(158')가 프레임 플레이트(158')에 대한 그 부착 지점에서 과도하게 응력을 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 수하물 카트 모드형 작동에서 차축(118')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노치(191)가 제공된다.
대안적인 선회 실시형태
특히 도 12를 참조하면, 랙(134)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시스템(116')과 유사하지만, 차축(118")의 각각의 단부 상의 보조 바퀴(120")를 이용하여, 수하물 카트형 모드 작동을 위한 하나의 측방향 위치와, 전방향성 바퀴(122, 122')와 함께 쇼핑 카트형 모드 작동을 위한 하나의 가로 위치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재위치 가능한 선회 가능한 차축(118")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스템(116')과 다른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의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제공된다.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처럼, 시스템(116")은 안정화 가로 크로스 프레임 부재(140")와 서로 연결되는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를 포함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상부"는 바이크(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형)가 접힌 상태로 있을 때, 시스템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면에서 보조 운반 모드를 위해 바이크(100)를 지지하는데 적합할 수 있도록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가 수평 이등분선 아래에 있기 때문에, 바이크(100)가 세워져 펼쳐진 탑승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가 뒷바퀴(104)의 수평 이등분선 위에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은 복수의 후방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복수의 전방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8"), 및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 및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140")는 바이크(100)의 뒷바퀴(104)의 각각의 측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데 적합하여서,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뒷바퀴의 어느 한 측면 상의 각각의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의 상부 부분이 가로 프레임 부재(14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각진 V자 형상 및 쐐기 형상 골격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는 본질적으로 접이식 바이크 프레임(102)의 뒷바퀴(104) 탑승 차축(112)에, 따라서 뒷바퀴 지지 스트럿(108)에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와 가로 프레임 부재(140")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은 바퀴 지지 스트럿(108)의 수렴 지점 근처의 위치에서 복수의 아일릿, 또는 신속 해제 슬롯(113")을 통해 달성되며, 수렴 지점에서, 바퀴 지지 스트럿 및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136", 138")는 대체로 바이크 랙 및 바이크 프레임의 제조 및 부착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뒷바퀴(104)의 차축(112)에 각각 인접한 바이크(100)의 프레임(102)과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을 (아일릿(113")을 통해) 서로 연결한다.
바이크(100)의 탑승 모드 동안, 상부 측방향 지지 프레임 부재(130") 및 가로 프레임 부재(140")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수평으로 배향되고 바퀴(104)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보조 휠링 모드 동안, 이들 동일한 상부 측면 지지부 프레임 부재(130") 및 가로 프레임 부재(140")는 뒷바퀴(104)와 지면 사이에서 대체로 수평으로, 또는 상부 측방향 지지 프레임 부재(130")의 경우에 적절한 수하물 카트 보조 휠링을 가능하게 하도록 바퀴의 중간선 충분히 아래(즉, 탑승 차축(112)의 아래)에서 배향되어 위치되도록 이것을 접는 동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형의) 바이크(100)의 선회 작용을 통해 뒤집힌다. 따라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의 감소된 프레임의 교번 선회 가능한 실시형태의 경우에, 가로 프레임 부재 및 측방향 프레임 부재(136", 138")는 바이크(100)의 탑승 모드 동안 대체로 역 U-자 구성으로 위치되는데 반하여, 보조 휠링 모드 동안, 이것들은 보조 바퀴(120" 및 122")를 이용하여 바이크(100)를 지지하고 바이크의 보조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U"의 바닥 부분이 바퀴(104)와 지면 사이에 위치된 대체로 U자 형상 위치로 위치된다.
따라서, 어느 상태에서든, 탑승 모드 동안이든 또는 어느 유형의 보조 휠링 모드 동안이든, 전술한 세장형 차축(118"), 세장형 차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더욱 작은 보조 바퀴(120"), 및 스위블 캐스터 바퀴와 같은 전방향성 바퀴(122")는 뒷바퀴(104) 및 접이식 바이크 프레임(102)에 대해 재위치 가능하게(예를 들어, 이 실시형태에서 선회를 통해) (예를 들어, 이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추후에 설명될 클립(180, 182)과 같은 유지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시스템(116")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바이크 프레임(102), 바퀴(104), 및 스위블 캐스터, 또는 전방향성 바퀴(122, 122', 122")에 대해 복수의 위치에서 재위치 가능하고 선회 가능한 차축(118")을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클립(180, 182)과 같은 복수의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클립은 전방향성 바퀴 선회 차축이 삼각형의 이등분 중심선에 위치된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를 하는 안정적인 베이스를 용이하게 하도록 시스템(116")의 골격 상의 위치에 위치되며, 이등분 중심선은 쇼핑 카트 모드에서 시스템의 이동 중심선 위에 중첩되어 놓인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만 제시된 이러한 시스템(116")이 차축(118")의 부착 및 분리 또는 재위치를 단순화하여서, 바이크 바퀴(104)에 대한 보조 바퀴의 다수의 상이한 배향이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쇼핑 카트형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 시스템(116")은 바람직하게는 근위 전방 측면 지지 프레임 부재(138")에 고정된 선회 유지 튜브 부재(184)의 사용으로 이등변 삼각형 베이스 구성(사용시에 단지 3개의 보조 바퀴가 있으면)으로 바퀴(120" 및 122")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며, 선회 유지 튜브 부재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복수의 위치로, 직각으로 부착되고 대체로 수직으로 배향된 선회축 막대 부재(188)에서 차축(118")의 선회를 가능하게 한다. 선회축 막대 부재(188)는, 차축을 재위치시키도록 가로 쇼핑 카트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의 시스템(116")의 사용 후에 클립(182)으로부터 차축(118")을 분리하여, 유지 튜브 부재(184) 내에 있는 선회축 막대 부재(188)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각진 전치(angular transposition)를 통해 차축을 측방향 및 수하물 카트형 모드 운반으로 선회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유지 캡(190)의 사용으로 선회 유지 튜브 부재(184)에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유지 캡(190)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라서 모두, 차축을 재위치시키도록 측방향 수하물 카트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의 시스템(116")의 사용 후에 클립(180)으로부터 차축(118")을 분리하여, 유지 튜브 부재(184) 내의 선회축 막대 부재(188)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각진 전치를 통해 차축을 가로 쇼핑 카트 모드의 보조 운반으로 재차 선회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수하물 카트형 모드의 보조 운반에서, 차축(118")의 단부에 장착된 보조 바퀴(120")는 바람직하게는 뒷바퀴(104)에 대해 측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가 대체로 탑승 모드에서 바퀴(104)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서, 바이크를 접는 동안 바퀴(104)를 뒤집을 때, 프레임 부재(130")가 바퀴의 중간선 아래(즉, 바퀴 차축(112)의 레벨 아래)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수하물 카트형 모드에서, 스위블 캐스터 바퀴(122")는 바람직하게는 지면 평면 위로 후퇴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여전히 서있고 접힌 바이크의 보조 이동에 관여하지 않는 동안 접힌 바이크(100)를 세워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간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전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프레임 부재 지지 구조물(124") 및 유지 튜브(126")가 또한 제공되며, 전방향성 바퀴(122")는 유지 튜브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시스템(116") 골격을 통해, 즉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 및 측면 지지 프레임 부재(136", 138")를 통해 바이크 후방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향성 바퀴(122")는 지지 구조물(124") 및 유지 튜브(126")를 통해 바이크(100)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 지지 구조물 및 유지 튜브를 통해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후퇴 가능한 전방향성 바퀴(122")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프레임 부재(136", 138") 및 가로 프레임 부재(140")로 구성되는 V자 형상, 쐐기 형상 프레임은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갖고 그 평면도에서 뒷바퀴 위에 올라타고 씌우는 것처럼 보이도록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러한 대체로 직사각형 골격의 어느 단부에서든, 평면도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골격의 전방 단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의 동일한 부재(141, 141')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 부재 및 부착판(158)은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지만, 시스템(116")의 본 실시형태에서, 존재하고 또한 후술되는 선회 가능한 차축 시스템이 이러한 부착 하드웨어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기 때문에 부착 리셉터클 하드웨어의 필요성이 없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및 바이크 조합의 이러한 실시형태(116")(다른 실시형태처럼)에서, 본 발명의 부착판, 또는 가로 또는 다른 프레임 부재(또는 다른 프레임 부재)는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의 다른 프레임 부재가 바이크 프레임 부재에 매달리는 바이크(100) 자체의 프레임(예를 들어, 전방 크로스 부재(140")는 실제로 바이크(100)의 크로스 부재(110)일 수 있다)의 부분일 수 있다. 여전히 또한, 부착판(141) 하드웨어(146', 147')는 이것이 부착 클립(182)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예로서 도시된 더욱 간단한 결합 메커니즘, 또는 유지 메커니즘에 의해 제거될 것임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 포함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부착 클립(182)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선회 튜브(184)에 근접하여 위치된 측방향 프레임 부재(138")에 장착된 유지 선회 튜브(184)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와 전방 측방향 프레임 부재(138")의 수렴 지점(183)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시스템(116")의 이러한 실시형태의 세장형 차축(118")은 또한 이것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그 위에 용접된 대응하는 부착판(142'), 또는 돌출 가이드 및 정렬 핀(147') 및 관련 특징부를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립(180)과 같은 보다 간단한 유지 부재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목적을 기여할 것이기 때문에 측방향 프레임 부재(130') 상의 측방향 부착판(158')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작동 공정을 단순화시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를 단순화시킨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청구된 바와 같이, 바이크 프레임, 바퀴 및/또는 전방향성 바퀴(들)에 대해 차축이 재위치될 수 있는 한, 그 위의 보조 바퀴를 구비한 재위치 가능한 차축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방향성 바퀴(3륜 실시형태에서) 또는 복수의 전방향성 바퀴(4륜 실시형태에서)와 함께 사용되는 임의의 구성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안정성 향상을 위한 작동 원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이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더욱 이해될 것이고, 이러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원리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또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설명된 각각의 요소의 기본 부호만이 나열될 뿐이며, 다양한 프라임은 나열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연장 가능한 차축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경우에서와 같이 차이가 있는 경우에, 이들 도면은 새로운 실시형태를 지정하기 위해 단일 도면 부호로 지정되어 있지만, 이와 함께 설명된 일반적인 원리는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116)(본 명세서의 시스템(116)의 모든 실시형태 포함하는), 따라서 전방향성 바퀴(122)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안정성 향상을 위해 시스템 작동 원리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바이크 중심선 및 바이크 바퀴 이동 중심선(지정된 CLB)에 대한 다양한 배치 위치에 있는 차축(118)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향성 바퀴는 쇼핑 모드의 작동 동안, 스위블 축이 이동된 차축(도 6b 및 도 8)의 중심선에 있는 방식으로 바이크의 중심선 및 그 바퀴의 이동 중심선(지정된 CLB) 및 프레임 부재의 이동 중심선(또한 지정된 CLB)으로부터의 그 선회 오프셋 축을 갖는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며, 차축의 이동 중심선은 CLT로서 지정된다(도 6a 내지 8). 그리고, 이러한 CLT에 스위블 바퀴 회전축이 유익하게 위치된다. 이것은 카트가 밀려졌을 때 단일 전방향성 또는 스위블 바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지 않도록 하는데 필요하며, 이것은 차례로 기술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개선된 안정성 및 조향성에 크게 기여한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시스템은 랙 또는 시스템 골격의 단부를 향해 위치된 스위블 바퀴, 및 랙 또는 시스템 골격의 전방을 향해 위치된 차축 바퀴를 가진다. 역순으로 바퀴, 즉 시스템의 전방 가까이 위치된 스위블 바퀴를 갖는 설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스위블 바퀴의 배치는 심미감에 의존할 수 있으며, 스위블 바퀴는 시스템 골격의 전방 가까이에서 더욱 숨겨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학적 측면은 시스템의 안정성, 조향성 등에 대해 계량화되어야만 한다. 모든 도 6a 내지 도 8에서, 스위블 바퀴는 안정성의 목적을 위해 시스템 골격의 후방에서 가장 많은 수의 바이크 유형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6a의 시스템은 수하물 카트 모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시스템에서, 차축(118"')은 연장 가능하며, 그러나, 더욱 중요하게, 측방향으로든 가로로든, 도 12에서 시스템(116")으로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각진 측방향 변위형 회전을 통해 선회하는 것에 의하든 또는 시스템(116 및 11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시키기 위한 차축 자체의 부착 및 분리 변위에 의한 것이든, 재위치될 수 있는 차축 자체를 현재 청구된 바와 같이 포함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예의 차축(118"')은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양상와 조화를 이룬다. 따라서, 시스템의 이러한 변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골격의 후방 가까이에 스위블 바퀴가 장착되는 최적의 구성으로 수하물 카트형 모드 및 쇼핑 카트형 모드에 관여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를 위한 스위블 바퀴 축은 또한 차축이 완전히 연장될 때 이동된 차축의 CLT에 있도록 CLB로부터 오프셋된다.
조합된 바이크 및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본 발명은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크(100)와 별개인 또는 바이크(100)와 조합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조합에서, 아마도 전방 측면 지지 부재(138) 또는 가로 부재(141)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프레임 및 지지 부재는 측방향 스트럿 부재(108), 크로스 지지 부재(110), 또는 아마도 심지어 바이크 펜더(166)가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모두 충분히 견고하게 만들어지면 이것들과 같은 바이크 자체의 구성 요소에 의해 다양한 정도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바이크의 프레임 부재가 기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116)의 프레임 부재의 기능적 등가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 이것이 청구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그 보다 넓은 양상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많은 변경 및 수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혼합하고 매칭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이한 구조, 양상 및 목적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개시된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혼합되고 매칭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랙이 있든 또는 랙이 없든, 도면에 도시된 바이크의 유형 또는 바이크의 상이한 유형이든, 쇼핑 카트 모드 또는 수하물 카트 모드형의 보조 휠링에 도달하도록 차축을 재위치시키는 상이한 모드가 이용되든, 부착 및 분리형 하드웨어의 상이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개시된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혼합 및 매칭은 그럼에도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있도록 의도된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접힌 바이크 상태(folded bike condition)에서 바이크의 보조 롤링(auxiliary rolling)을 위해, 접이식 프레임, 및 상기 접이식 프레임에 뒷바퀴를 지지하는 측방향 바퀴 지지 스트럿(lateral wheel supporting strut)을 갖는 바이크에 부착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상기 접이식 프레임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상기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및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가 상기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에서 상기 뒷바퀴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접이식 프레임의 뒷바퀴 지지 스트럿에 부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의 각각에 그리고 각각으로부터 부착되고 용이하게 분리되는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보조 바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상의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제1 부착 위치에서, 상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기 접힌 바이크의 수하물 카트형 보조 롤링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수하물 카트형 보조 롤링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복수의 보조 바퀴로 보조 롤링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접힌 바이크를 기울일 때 지면에 닿을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 상의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제2 부착 위치에서, 상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기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롤링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쇼핑 카트형 롤링 동안,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의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모두 지면에 닿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상부 측방향 프레임 부재 중 하나는 상기 바이크의 뒷바퀴의 각각의 측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가로 프레임 부재에 측방향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며, 각각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상기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및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가 상기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에서 상기 뒷바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접이식 프레임의 바퀴 지지 스트럿에 측방향 프레임 부재 및 가로 프레임 부재를 부착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는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상기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 중 하나는 실질적으로 수평이며, 상기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 중 다른 것은 역 U자 형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각각은 각진 V자 형상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며, 각각의 각진 V자 형상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V자 형상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도록 각각의 V자 형상 프레임 부재의 최상측 부분에 인접한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의 각각은 상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을 위한 삼각형 및 쐐기 형상 전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V자 형상 부재의 각각의 최상측 각진 부분에 걸쳐져 서로 연결하며, 각각의 V자 형상 프레임 부재의 최하측 부분은, 상기 접이식 프레임의 바퀴 지지 스트럿이 상기 뒷바퀴를 위한 후방 차축에 부착되는 지점에서 상기 접이식 프레임과 상기 전체 프레임 구조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의 차축 부분을 유지하는 상기 복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 상의 오프셋 부착 브래킷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가로 프레임 부재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가로 프레임 부재에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를 부착할 때, 쇼핑 카트형 롤링 동안 개선된 안정성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의 회전 중심이 삼각형의 이등분 중심선에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상기 회전 가능한 바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가 구성되도록, 상기 오프셋 부착 브래킷은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 상의 하나의 회전 가능한 차축 바퀴에 밀접하게 위치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가 연장 가능하여서, 상기 분리 가능한 보조 차축 부재 상의 상기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는 연장된 배향 동안 더욱 이격되고, 접힌 배향에서 상기 바이크의 보조 휠링을 위해 더욱 큰 안정성을 갖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프레임 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 프레임 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의 복수의 부착 리셉터클, 및 신속 해제 체결 하드웨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부착 리셉터클은 상기 복수의 부착 리셉터클에 그리고 이로부터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용이하고 신속한 부착 및 신속한 분리를 위하여 상기 체결 하드웨어를 수용 및 방출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7. 뒷바퀴 및 지지 스트럿이 바이크의 접힌 비탑승 구성에 있는 동안 뒤집혀 위치되는 접힌 위치로 상기 뒷바퀴 및 상기 지지 스트럿 조합이 바이크 프레임 관절 조인트를 중심으로 접힘 가능한, 상기 뒷바퀴를 갖는 유형의 접이식 바이크를 바퀴 지지 스트럿을 이용하여 롤링시키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으로서,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가 상기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 동안 상기 뒷바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접이식 바이크의 뒷바퀴 지지 스트럿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제1 부착 리셉터클;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제2 부착 리셉터클;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제1 부착 리셉터클, 및 대안적으로 상기 제2 부착 리셉터클에 부착되는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보조 바퀴; 및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제1 부착 위치에서, 상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기 접힌 바이크의 수하물 카트형 보조 롤링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수하물 카트형 보조 롤링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복수의 보조 바퀴로 보조 롤링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접힌 바이크를 기울일 때 지면에 닿을 필요가 없으며,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 상의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제2 부착 위치에서, 상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기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롤링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쇼핑 카트형 롤링 동안,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의 각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모두 지면에 닿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는, 상기 바이크의 탑승 가능한 펼쳐진 상태 동안,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랙 프레임 부재가 사용자가 바이크를 탑승하는 동안 책, 식료품류 등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평탄 표면을 제공하는 추가의 목적에 기여하도록 상기 바이크에 부착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 상의 오프셋 부착 브래킷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부착 위치에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를 부착할 때, 쇼핑 카트형 롤링 동안 개선된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의 회전 중심이 삼각형의 이등분 중심선에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상기 회전 가능한 바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 바퀴가 구성되도록, 상기 오프셋 부착 브래킷은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 상의 하나의 회전 가능한 차축 바퀴에 더욱 밀접하게 위치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는 연장 가능하여서, 상기 분리 가능한 보조 차축 부재 상의 상기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는 연장된 배향 동안 더욱 이격되고, 접힌 배향에서 상기 바이크의 보조 휠링을 위해 더욱 큰 안정성을 갖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신속 해제 체결 하드웨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착 리셉터클 및 상기 제2 부착 리셉터클은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그리고 이로부터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용이하고 신속한 부착 및 신속한 분리를 위하여 상기 체결 하드웨어를 수용 및 방출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각각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가 상기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 동안 상기 뒷바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각각의 상기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며, 각각의 상기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접이식 바이크의 대응하는 지지 스트럿에 부착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가 상기 제1 부착 리셉터클을 통해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될 때 상기 접힌 바이크의 수하물 카트형 운반 및 휠링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가 상기 제2 부착 리셉터클을 통해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될 때 상기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운반 및 휠링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바퀴는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연장 가능한 캐스터 차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바퀴는 상기 연장 가능한 캐스터 차축에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 가능하고 후퇴 가능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15.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접이식 바이크를 롤링시키는 접이식 바이크 조합체로서,
    뒷바퀴 및 앞바퀴를 지지하는 접이식 프레임을 갖는 바이크로서, 상기 뒷바퀴는 상기 접이식 프레임의 탑승 바퀴 차축 및 복수의 지지 측방향 스트럿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이식 프레임은 복수의 측방향 스트럿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 상호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뒷바퀴, 상기 측방향 스트럿, 및 상기 가로 상호 연결 부재 조합은 상기 바이크가 접힌 비탑승 구성으로 있는 동안 때 상기 뒷바퀴, 상기 지지 측방향 스트럿, 및 상기 가로 상호 연결 부재가 뒤집혀 위치되는 접힌 위치로, 후방 바이크 프레임 관절 조인트를 중심으로 함께 선회 가능한, 상기 바이크;
    상기 바이크의 상기 접이식 프레임에 부착되는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가 상기 바이크의 펼쳐진 탑승 가능한 배향 동안 상기 뒷바퀴의 상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접이식 바이크의 지지 스트럿에 부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측면 프레임 부재;
    상기 가로 상호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상의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에 부착되고 상기 바이크의 상기 접이식 프레임에 대한 복수의 상이한 위치로 재위치되는 세장형 차축 부재;
    상기 세장형 차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에서 상기 세장형 차축 부재의 부착에 대한 복수의 위치로 변위되는 복수의 보조 바퀴; 및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 상의 상기 세장형 차축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보조 바퀴의 변위 위치에서, 상기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은 상기 접힌 바이크의 쇼핑 카트형 보조 휠링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쇼핑 카트형 보조 휠링 동안, 상기 세장형 차축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의 각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는 모두 지면에 닿는, 접이식 바이크 조합체.
  16. 제15항에 있어서, 다른 부착 리셉터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은 상기 가로 상호 연결 부재에 있고, 상기 다른 부착 리셉터클은 상기 상부 보조 바퀴 시스템 프레임 부재에 있으며, 상기 세장형 차축 부재는 상기 세장형 차축 부재가 수하물 카트형 보조 휠링 작동을 위해 상기 상부 보조 바퀴 프레임 부재 상의 상기 다른 부착 리셉터클, 및 대안적으로 상기 스위블 캐스터 보조 바퀴와 함께 쇼핑 카트형 작동을 위해 상기 가로 상호 연결 부재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에 임시로 부착되도록 반복적으로 분리 가능하고 재부착 가능한, 접이식 바이크 조합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차축 부재는 연장 가능하여서, 상기 분리 가능한 보조 차축 부재 상의 상기 회전 가능한 보조 바퀴는 연장된 배향 동안 더욱 이격되고, 접힌 배향에서 상기 바이크의 보조 휠링을 위해 더욱 큰 안정성을 갖는, 접이식 바이크 조합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신속 해제 체결 하드웨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른 부착 리셉터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은 상기 다른 부착 리셉터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 리셉터클에 그리고 이들로부터 상기 분리 가능한 세장형 차축 부재의 용이하고 신속한 부착 및 신속한 분리를 위하여 상기 체결 하드웨어를 수용 및 방출하는, 접이식 바이크 조합체.
  19. 접이식 자전거(foldable bicycle)의 후방 부분에 부착되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으로서,
    a. 프레임 부재;
    b. 접이식 자전거 폭보다 더 긴 길이의 세장형 차축;
    c. 상기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보조 바퀴;
    d.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 연결되는 지지 구조물;
    e.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며, 자전거 뒷바퀴에 대해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전방향성 보조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차축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향성 보조 바퀴에 대해 2개의 상이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세장형 차축이 가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보조 바퀴 및 상기 전방향성 보조 바퀴는 상기 전방향성 보조 바퀴가 중심선에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서, 상기 자전거 뒷바퀴가 뒤집힐 때, 상기 보조 바퀴 및 상기 전방향성 보조 바퀴는 쇼핑 모드 구성으로 접힌 바이크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닿게 되며, 상기 세장형 차축이 측방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세장형 차축은 탑승 구성에서 상기 자전거의 슬립스트림(slipstream)에 있도록 상기 가로 위치로부터 90°에 위치되어서, 상기 세장형 차축 및 상기 보조 바퀴는 상기 슬립스트림으로부터 돌출되는 긴 차축을 탑승할 때 위험한 상태를 유발하게 되는 페달링을 방해하지 않는,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차축은 선회 동작에 의해 가로 및 측방향 위치로 재위치 가능하고, 상기 세장형 차축은 유지 부재에 의해 각각의 가로 및 측방향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멀티 모드 보조 바퀴 시스템.
KR1020197034302A 2017-04-21 2018-04-23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 KR102531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88244P 2017-04-21 2017-04-21
US62/488,244 2017-04-21
US201762514821P 2017-06-03 2017-06-03
US62/514,821 2017-06-03
PCT/US2018/028922 WO2018195547A1 (en) 2017-04-21 2018-04-23 System for rolling a folded bi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216A KR20190141216A (ko) 2019-12-23
KR102531973B1 true KR102531973B1 (ko) 2023-05-11

Family

ID=6385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302A KR102531973B1 (ko) 2017-04-21 2018-04-23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67527B2 (ko)
EP (1) EP3612438A4 (ko)
JP (1) JP7077340B2 (ko)
KR (1) KR102531973B1 (ko)
CN (1) CN110785343B (ko)
PH (1) PH12019502612A1 (ko)
WO (1) WO2018195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8348B (en) * 2016-01-27 2021-04-21 Ford Global Tech Llc Foldable bicy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US10850784B1 (en) * 2019-12-27 2020-12-01 David A. Hamilton Multi-adjustment bicycle rack for storage area
CN113911255B (zh) * 2021-10-30 2023-10-24 赫星(厦门)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自行车助力装置
GB2613028A (en) * 2021-11-23 2023-05-24 Oxfo Ltd A folding bicy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270B1 (en) 2005-08-25 2008-03-11 Scholz N Hanz Rear carrier rack for a folding bicycle
JP2014208531A (ja) 2014-06-04 2014-11-06 悦雄 越川 折り畳み自転車の駐輪兼移動用補助輪
WO2016147024A1 (en) 2015-03-14 2016-09-22 Muzzammil Mohamed Rizwan Front wheel-drive recumbent bicycle with fully self-contained fold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6993A (en) * 1965-06-01 1967-05-02 Dorothea M Weitzner Motorized traveling case scooter to convey passenger
JPH1086824A (ja) * 1996-09-13 1998-04-07 Aprica Kassai Inc 荷物運搬車
JP2003026066A (ja) 2001-07-16 2003-01-29 Toru Yoshida 折畳み自転車
JP3503897B1 (ja) 2002-10-15 2004-03-08 合資会社オフィス ケー 折り畳み自転車用補助輪及び該補助輪付折り畳み自転車
KR200324500Y1 (ko) * 2003-02-14 2003-08-25 김진우 자전거 보조바퀴 접이 지지대
TWM319688U (en) 2007-05-03 2007-10-01 Jiun-De Chen Travelling case with capability of being pushed forward
CA2628447A1 (en) * 2008-04-24 2009-10-24 Peter Johann Kielland Wheeled dolly that unfolds into a personal vehicle
GB2468521A (en) * 2009-03-12 2010-09-15 Brian Andrew Higgins Device for transporting foldable bicycles
CN101870319B (zh) * 2009-04-27 2012-05-09 詹富生 X型购物伴侣自行车
US20100283228A1 (en) 2009-05-05 2010-11-11 Soma Cycle, Inc. Caster for Stroller-Cycle
KR20110024933A (ko) * 2009-09-03 2011-03-09 김종민 접이식 자전거 운반장치
TW201210880A (en) * 2010-09-07 2012-03-16 Joshua Hon A trolley-like folding bicycle
EP2431267B1 (en) * 2010-09-16 2013-03-20 Joshua Hon Trolley-like folding bicycle
HU4497U (en) 2011-07-22 2015-01-28 Gábor Gerencsér Foldable bicycle
JP3172778U (ja) * 2011-08-01 2012-01-12 悦雄 越川 移動軽快な折り畳み自転車
JP3173651U (ja) 2011-11-14 2012-02-16 健次 白井 折り畳み自転車
SE536750C2 (sv) * 2012-06-26 2014-07-15 Pedalxplorer Ab Bär- och förpackningsstruktur för transportering av cykel och förfarande för förpackning av en cykel
DE202012105068U1 (de) * 2012-12-27 2013-02-08 I-Shyong Lu Bidirektional schiebbares Faltrad
WO2014117126A1 (en) * 2013-01-28 2014-07-31 William Ho Bracing mechanisms for foldable bicylces
JP3182853U (ja) 2013-02-01 2013-04-11 株式会社サカモトテクノ 縦折型折畳自転車用フレーム及び縦折型折畳自転車
US8882124B2 (en) * 2013-03-28 2014-11-11 Fook Fah Yap Foldable bicycle
WO2015026291A1 (en) 2013-08-23 2015-02-26 Cyclecycle Enterprise Llp Roller fitting for a bicycle
TWI541161B (zh) * 2014-11-25 2016-07-11 Folding two-wheelers
CN105480355A (zh) * 2016-02-03 2016-04-13 成都世纪千乘科技有限公司 折叠状态能稳定占立和能滚动的便于携带式自行车
CN106184557B (zh) * 2016-08-22 2018-11-20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伸缩把型快捷折叠式自行车
CN106741446A (zh) * 2016-11-21 2017-05-31 天津飞踏自行车有限公司 一种三折便携自行车
CN108995754A (zh) * 2017-06-06 2018-12-14 乐酷马能源科技(杭州)有限公司 折叠自行车
CN109552520A (zh) * 2017-09-25 2019-04-02 天津市科慧工贸有限公司 一种可方便提拉的智能自行车车架
US20190300099A1 (en) * 2018-03-29 2019-10-03 Tom S. THOMAS Bicycle rear article carrier convertable to a single-wheeled trailer
CN109250023B (zh) * 2018-09-29 2023-08-22 天津飞踏自行车有限公司 三折车便携支撑行走结构
DE102019004828A1 (de) * 2019-07-10 2021-01-14 Johannes Binder Fahrradanhänger mit Gepäckträgerfunktion
CN111891280A (zh) * 2020-07-29 2020-11-06 佛山市铭特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车架及其折叠方法
CN111924035B (zh) * 2020-08-21 2021-11-05 太仓世纪桥工商事务所 一种用于儿童滑车的滑轮折叠支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270B1 (en) 2005-08-25 2008-03-11 Scholz N Hanz Rear carrier rack for a folding bicycle
JP2014208531A (ja) 2014-06-04 2014-11-06 悦雄 越川 折り畳み自転車の駐輪兼移動用補助輪
WO2016147024A1 (en) 2015-03-14 2016-09-22 Muzzammil Mohamed Rizwan Front wheel-drive recumbent bicycle with fully self-contained folding mechanis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2778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85343A (zh) 2020-02-11
EP3612438A1 (en) 2020-02-26
JP2020517507A (ja) 2020-06-18
US20200198721A1 (en) 2020-06-25
KR20190141216A (ko) 2019-12-23
CN110785343B (zh) 2023-06-13
PH12019502612A1 (en) 2020-06-08
WO2018195547A1 (en) 2018-10-25
JP7077340B2 (ja) 2022-05-30
US11267527B2 (en) 2022-03-08
EP3612438A4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973B1 (ko) 접힌 바이크를 롤링시키기 위한 시스템
JP3523873B2 (ja) 乗用および手荷物搬送用ハンドカート
EP2783966B1 (en) Foldable vehicle
EP1438222B1 (en) Trolley
EP3024715B1 (en) Folding scooter
US7232143B1 (en) Folding bicycle assembly
US8631892B2 (en) Load and/or transport cart
ES2396145T3 (es) Vehículo autopropulsado con modos de funcionamiento selecccionables
US8091908B2 (en) Bicycle trailer hitch
US6168174B1 (en) Golf bag push cart
US6991243B2 (en) Platform scooter for larger children and handicapped persons
US9963160B2 (en) Combined scooter and handcart
EP1565371B1 (en) Means of personal transport
WO1999039960A1 (en) Hiker-biker utility trail cart
WO2006137256A1 (ja) 手押し運搬車
US5647601A (en) Collapsible infant stroller adapter
WO2006031128A1 (en) Scooter
US20140239616A1 (en) Sports Cart
EP2032411A2 (en) Device for pulling bicycle or tricycle
GB2442541A (en) Auxiliary support for attachment to the rear of a stroller
GB2468521A (en) Device for transporting foldable bicycles
CA2813753A1 (en) Motorized golf cart adapter with center drive wheel and outboard stabilizer wh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