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598B1 - 조립식 파티션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598B1
KR102531598B1 KR1020210021192A KR20210021192A KR102531598B1 KR 102531598 B1 KR102531598 B1 KR 102531598B1 KR 1020210021192 A KR1020210021192 A KR 1020210021192A KR 20210021192 A KR20210021192 A KR 20210021192A KR 102531598 B1 KR102531598 B1 KR 10253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pillar
partition plate
side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624A (ko
Inventor
이달재
Original Assignee
이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달재 filed Critical 이달재
Priority to KR102021002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5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0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손쉽게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워지며, 구획판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기둥부;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구획판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기둥부; 상기 제1기둥부와 제2기둥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이 각각 상기 제1기둥부와 제2기둥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구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기둥부 또는 상기 제2기둥부는, 상하로 세워지는 기둥 형태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동일한 위치에 상부고정홈 및 하부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홈과 하부고정홈에는 막대 형태의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일측 상단 및 하단과 타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가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파티션{Assemble type partition}
본 발명은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손쉽게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은 개방된 실내공간을 특정공간으로 구획하거나, 또는 책상 등의 주변에 설치하여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파티션은 그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53758호(조립식 칸막이)에서와 같이 전방과 후방에 패널 삽입 홈을 구비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 끝단에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의 결합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표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요입 홈을 구비한 복수개의 수평 프레임; 및 상기 패널 삽입 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용접 등이 필요없이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조립 구조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구조를 조립한 다음 이후에 패널을 조립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 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수평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많은 부품이 필요하므로,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3758호
(조립식 칸막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구획판의 양측이 간단히 끼움방식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시킨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은,
수직으로 세워지며, 구획판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기둥부;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구획판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기둥부;
상기 제1기둥부와 제2기둥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이 각각 상기 제1기둥부와 제2기둥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구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기둥부 또는 상기 제2기둥부는,
상하로 세워지는 기둥 형태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동일한 위치에 상부고정홈 및 하부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홈과 하부고정홈에는 막대 형태의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일측 상단 및 하단과 타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가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가짐과 아울러, 현장에서 설치할 때에도 간단히 조립이 가능하므로 인건비 등의 설치비용이 매우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외관 형태를 보인 도.
도2는 도1의 분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기둥과 구획판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외관 형태를 보인 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3은 기둥과 구획판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기둥부(100,200)가 세워지면서 위치하고, 상기 기둥부(100,200)의 사이에서 공간을 구획시키는 구획판(300)이 위치하여 그 양측이 기둥부(100,200)에 끼움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기둥부(100,200)는 목재,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되어 사각 또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기둥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구획판(300)도 마찬가지로 목재, 합성수지재로 된 판재로 되어 있게 되며, 사각판의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2는 이러한 조립식 파티션의 분해구조를 보인 도로서, 상기 제1기둥부(100)는 사각기둥 형태로 된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서로 간격을 두고 하부고정부(140)와 상부고정부(160)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부(110)는 상하방향으로 긴 기둥형태로서, 상단에는 상부볼트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도 마찬가지로 하부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게 되며, 또한,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제2지지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상부고정홈(112)과 하부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고정홈(112)은 막대 형태의 상부걸림구(131)가 상측으로부터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측부위 및 상기 제2지지부(112)를 마주보는 측면부위가 상부걸림구(131)의 높이만큼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도2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하부고정홈도 마찬가지로 하부걸림구(132)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측부위 및 상기 제2지지부(112)를 마주보는 측면부위가 하부걸림구(132)의 높이만큼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120)는 상기 제1지지부(110)와 동일한 구조와 형태를 가지는데,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볼트공(121)과 하부볼트공, 그리고, 제1지지부(110)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고정홈(122)과 하부고정홈(123)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걸림구(131)와 하부걸림구(132)는 횡방향으로 긴 막대 형태로서, 그 양측이 각각 상부고정홈(112,122)과 하부고정홈(123)에 삽입되어 끼워지게 된다.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하측에는 하부고정부(140)가 볼트(150)로 체결되는데, 상기 하부고정부(140)는 사각의 판 형태로서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하부볼트공과 대응되는 부위에서 볼트공(141,14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50)가 상기 볼트공(141,142)의 하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하부볼트공에 체결된다.
따라서, 하부고정부(140)의 상측으로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기둥 형태로 세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볼트공(141)과 볼트공(142)은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서로 이격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하부고정부(14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고정부(140)에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를 결합시키기 전에 상기 하부걸림구(132)를 먼저 제1지지부(100)와 제2지지부(120)의 하부고정홈(123)에 끼운 다음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걸림구(132)는 그 양측에 상기 하부고정홈(132)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하단에서 걸림턱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상단으로는 상부고정부(160)가 체결되는데, 이러한 상부고정부(160)도 마찬가지로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상부볼트공(111,121)과 대응되는 부위에서 볼트공(161,16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70)가 상기 볼트공(161,162)의 상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상부볼트공(111,121)에 각각 체결된다.
상기 상부걸림구(131)와 하부걸림구(132)와 동일한 형태로 되어, 그 양측이 상기 상부고정홈(112,122)에 각각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제2기둥부(200)도 제1기둥부(100)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만 도면부호를 '200'대로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하여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기 구획판(300)은 사각의 판재로 형성되고, 하단 양측부위에는 상기 하부걸림구(132,232)에 끼워져 걸리기 위해서 하측이 개방된 하부걸림홈(330,34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단 양측부위에도 상기 상부걸림구(131,231)이 끼워져서 걸리기 위한 상부걸림홈(310,3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획판(300)의 양측부위가 상기 제1지지부(110,210)와 제2지지부(120,220)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부(110,210)와 제2지지부(120,220)의 간격은 구획판(300)의 두께 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획판(300)의 양측에서 상하방항으로 길게 부직포 등의 끼움재(350,36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구획판(300)의 양측부위의 두께를 끼움재(350,360)가 보강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110,210)와 제2지지부(120,220) 사에에서 구획판(300)이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기둥부(100)와 제2기둥부(200)의 타측으로 구획판(300)이 연속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홈(112,122,212,222)과 하부고정홈(123,223)은 간격을 두고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판(300)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부걸림홈(310,320) 및 하부걸림홈(330,340)까지의 거리는 한 쌍의 상부고정홈(112,122,212,222)과 하부고정홈(123,223)의 1/2간격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기둥부(100)와 제2기둥부(200)의 제1지지부(110,210)와 제2지지부(120,220)를 서로 마주보도록 한 다음 하부걸림구(132,232)를 하부고정홈(123,223)에 끼우고, 하부고정부(140,240)를 제1지지부(110,210)와 제2지지부(120,230)의 하측으로부터 볼트공(150,250)에 의해 체결하게 된다.
이때 하부고정부(140,240)는 받침대 역할을 하도록 제1지지부(110,210)와 제2지지부(120,220)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렇게 하부고정부(140,240)가 결합되면, 상기 구획판(3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하부걸림홈(330,340)이 각각 하부걸림구(132,232)에 걸리도록 제1지지부(110,210)와 제2지지부(120,220) 사이에 끼워서 하측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도3에서와 같이 상부걸림구(131,231)를 상부걸림홈(310,320)에 삽입시키면서 그 양측을 상부고정홈(112,122,212,222)에 끼운 다음 상부고정부(160,260)를 제1지지부(110,210)와 제2지지부(120,220)의 상단에 볼트(170,270)에 의해 체결하게 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다른 조립 방법으로는 제1기둥부(100)의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에 상측에서 먼저 하부고정부(140)를 하부걸림구(132)와 함께 체결한 다음 이를 뒤집게 되면, 자연스럽게 하부고정부(140)가 바닥에 위치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되며, 이후 구획판(300)의 하부걸림홈(330)을 하부걸림구(132)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물론 제2기둥부(200)도 마찬가지로 하부고정부(240)와 하부걸림구(232)를 먼저 조립하여 거꾸로 뒤집은 다음 구획판(300)의 하부걸림홈(340)을 하부걸림구(232)에 끼워서 고정시키면 된다.
이후의 상부고정부(160,260)와 상부걸림구(131), 그리고 구획판(300)의 상측부위의 조립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아울러, 도3에서와 같이 하나의 구획판(300)의 일측이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위치하여 상부걸림구(131-1)에 의해 걸려서 고정되면, 그 측부위가 상기 간격의 중간위치보다 안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반대편으로는 이웃하는 또다른 구획판이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부걸림구(131-2)에 걸려서 고정된다.
구획판(300)의 하측과 타측 부위의 고정구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므로, 제1기둥부(100) 또는 제2기둥부(200)의 측방향으로 연속하여 구획판(300)을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는 하부고정부(140,2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평평하지 않은 바닥에 구획판(300)이 안정적으로 수직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높낮이 조절 구조로서, 하부고정부(140,24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높이조절공(143,24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공(143,243)에는 너트 형태의 금속재 인서트가 삽입됨으로써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공(143,243)의 상측으로부터 높이조절볼트(144,244)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되고, 높이조절볼트(144,244)의 나사체결 깊이에 따라 하측부위가 하부고정부(140,24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길이만큼 하부고정부(140,240)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즉, 높이조절볼트(144,244)의 좌우방향 회전에 의해 하부고정부(140,240)의 하측으로 높이조절볼트(144,244)의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하부고정부(140,240)와 구획판(300)이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200 : 기둥부
110,120,210,220 : 지지부
111,121,211,221 : 상부볼트공
112,122,212,222 : 상부고정홈
131,231 : 상부걸림구
132,232 : 하부걸림구
140,240 : 하부고정부
141,142,241,242 : 볼트공
150,250 : 볼트
160,270 : 상부고정부
170,270 : 볼트
300 : 구획판
310,320,330,340 : 걸림홈
350,360 : 끼움재

Claims (3)

  1. 수직으로 세워지며, 구획판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기둥부;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구획판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기둥부;
    상기 제1기둥부와 제2기둥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이 각각 상기 제1기둥부와 제2기둥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구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기둥부 또는 상기 제2기둥부는,
    상하로 세워지는 기둥 형태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동일한 위치에 상부고정홈 및 하부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홈과 하부고정홈에는 막대 형태의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일측 상단 및 하단과 타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가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는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끼움재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KR1020210021192A 2021-02-17 2021-02-17 조립식 파티션 KR10253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92A KR102531598B1 (ko) 2021-02-17 2021-02-17 조립식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92A KR102531598B1 (ko) 2021-02-17 2021-02-17 조립식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24A KR20220117624A (ko) 2022-08-24
KR102531598B1 true KR102531598B1 (ko) 2023-05-10

Family

ID=8311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192A KR102531598B1 (ko) 2021-02-17 2021-02-17 조립식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5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07Y1 (ko) * 2011-07-01 2011-09-20 성철규 이동식 칸막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072B1 (ko) * 2009-09-21 2012-04-19 우성안전 주식회사 마감재를 갖는 가드펜스
KR20170025277A (ko) * 2015-08-28 2017-03-08 남유민 안전펜스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07Y1 (ko) * 2011-07-01 2011-09-20 성철규 이동식 칸막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24A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102531598B1 (ko) 조립식 파티션
KR20090053114A (ko) 조립식 가구용 지주 및 그 지주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JPH0870940A (ja) 組立式書架
KR102251075B1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US4447096A (en) Cabinet assembly system
KR200383212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주 및 조립식 가구
JP2004180952A (ja) 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式カウンター装置
US11066846B1 (en) Fence system
KR20130007263U (ko) 반조립 수납장
JP2003174957A (ja) 陳列棚等のフレーム構造
JPS6326490Y2 (ko)
JP3021988B2 (ja) 安全柵
JP2631169B2 (ja) 板状建材の施工法
KR200349015Y1 (ko) 드레스실용 선반
KR20210015285A (ko) 시스템 선반
KR200402300Y1 (ko) 조립식 칸막이의 지주 체결구조
EP3351715A1 (de) Tür- oder fensterzarge zur montage eines tür- oder fensterrahmens an einer mauer
KR100574785B1 (ko) 개량된 조립식 칸막이
JPH0612139Y2 (ja) 組合せ塀
JPS5920506Y2 (ja) コンクリ−ト建築工事用梁の受装置
KR20060117399A (ko) 샤시류 제품의 조립구조
JP2654141B2 (ja) クローゼット用立体枠の構造
KR200196181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 패널의 결합구조
JPH0810607Y2 (ja) 柱と壁パネル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