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941B1 - 부시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부시 인슐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0941B1 KR102530941B1 KR1020180078945A KR20180078945A KR102530941B1 KR 102530941 B1 KR102530941 B1 KR 102530941B1 KR 1020180078945 A KR1020180078945 A KR 1020180078945A KR 20180078945 A KR20180078945 A KR 20180078945A KR 102530941 B1 KR102530941 B1 KR 102530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 case
- core part
- insert
- absor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3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sleeve of elastic material, e.g. having indentations or made of materials of different hard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부시 인슐레이터는, 쇽업소버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쇄하는 부시 인슐레이터로서,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코어부; 차체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케이스와 코어부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의 좌우방향 충격을 감쇄하는 제1흡수부; 및 상기 케이스와 코어부 사이에 설치되되 제1흡수부와 별도로 설치되고 차량의 전후방향 충격을 감쇄하는 제2흡수부;를 포함하고, 제1흡수부는 제2흡수부에 비해 높은 탄성과 동배율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흡수부는 제1흡수부에 비해 높은 감쇄율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시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에 연결되는 쇽업소버와 차체 사이를 매개하여 충격을 감쇄시키는 부시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휠과 차체 사이를 매개하여 충격을 감쇄시키는 서스펜션은 주로 부시를 매개로 휠과 차체를 연결시키게 된다.
그 한 예로서,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은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가 부시의 중심에 삽입되고, 차체에 고정된 케이스가 부시의 외측면에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부시는 차량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량을 고무 패킹을 통해 적절히 감쇄시킴으로써, 지면과 휠 사이에서 발생한 충격량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전후방향 또는 코니컬방향(전후-상하 대각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차량의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은 그 양상이 상이한바,방향에 따라 다른 감쇄 패턴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시 인슐레이터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이종 재질을 결합시키더라도 원주방향으로 동등한 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에방향에 따라 감쇄 패턴을 다르게 형성시키기 어려웠다.
따라서,방향에 따라 상이한 충격 감쇄 패턴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부시 인슐레이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량이 전달된느방향에 따라 다른 감쇄 패턴을 나타낼 수 있는 부시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는, 쇽업소버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쇄하는 부시 인슐레이터로서,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코어부; 차체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케이스와 코어부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의 좌우방향 충격을 감쇄하는 제1흡수부; 및 상기 케이스와 코어부 사이에 설치되되 제1흡수부와 별도로 설치되고 차량의 전후방향 충격을 감쇄하는 제2흡수부;를 포함하고, 제1흡수부는 제2흡수부에 비해 높은 탄성과 동배율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흡수부는 제1흡수부에 비해 높은 감쇄율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흡수부는, 코어부와 케이스 사이 공간에서 케이스를 기준으로 차량의 좌우방향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1러버와, 코어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1러버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제1내측인서트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1러버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외측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흡수부는, 코어부와 케이스 사이 공간에서 케이스를 기준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2러버와, 코어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2러버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제2내측인서트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2러버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외측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러버에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러버홈이 형성되고, 제2러버에는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2러버홈이 형성되며, 제1러버홈의 상단부는 코어부의 무게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2러버홈의 하단부는 코어부의 무게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내측인서트 및 제2내측인서트는 코어부에서 케이스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내측인서트는 상면이 사면으로 형성되어 코어부에서 케이스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내측인서트는 하면이 사면으로 형성되어 코어부에서 케이스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외측인서트는 제1러버의 외측면 및 상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1외측인서트에서 제1러버의 상면과 접하는 부위는 케이스에서 코어부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외측인서트는 제2러버의 외측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2외측인서트에서 제2러버의 하면과 접하는 부위는 케이스에서 코어부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러버와 제2러버는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의 하단은 코어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1러버의 하단은 케이스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에 삽입된 제1흡수부 및 제2흡수부를 덮는 캡부;를 더 포함하고, 캡부는 제1외측인서트의 상면 및 제2러버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제2러버의 상면은 캡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의 하단은 코어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외측인서트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케이스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시 인슐레이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의 전후/코니컬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쇄시킬 때 고감쇄 재질을 적용하여 여진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차량의 좌우/상하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쇄시킬 때 고탄성 저동배율 재질을 적용하여 강성을 확보하고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의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의 제1흡수부 및 제2흡수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의 제1흡수부 및 제2흡수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1흡수부와 제2흡수부가 파팅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의 제1흡수부 및 제2흡수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의 제1흡수부 및 제2흡수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1흡수부와 제2흡수부가 파팅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시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의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시점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시점 단면도이고, 도 4 및 5는 도 2 및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6은 제1흡수부와 제2흡수부가 파팅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코어부(100), 차체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케이스(400)와 코어부(100)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의 좌우방향 충격을 감쇄하는 제1흡수부(200) 및 케이스(400)와 코어부(100) 사이에 설치되되 제1흡수부(200)와 별도로 설치되고 차량의 전후방향 충격을 감쇄하는 제2흡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어부(100)의 재질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트럿 타입의 서스펜션에서 피스톤 로드가 삽입되는 일종의 부시 내철을 이루게 된다.
한편, 제1흡수부(200)는 제2흡수부(300)에 비해 높은 탄성과 동배율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흡수부(300)는 제1흡수부(200)에 비해 높은 감쇄율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구체적으로, 제1흡수부(200)에 적용되어 있는 탄성 재질과 제2흡수부(300)에 적용되어 있는 탄성 재질을 서로 다른 것을 적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흡수부(200)와 제2흡수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흡수부(200)는 코어부(100)와 케이스(400) 사이 공간에서 케이스(400)를 기준으로 차량의 좌우방향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1러버(210)와, 코어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1러버(210)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제1내측인서트(220)와, 케이스(4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1러버(2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외측인서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흡수부(300)는 코어부(100)와 케이스(400) 사이 공간에서 케이스(400)를 기준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2러버(310)와, 코어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2러버(310)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제2내측인서트(320)와, 케이스(4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2러버(3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외측인서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러버(210)와 제2러버(310)는 물성이 서로 상이한 고무 재질로서 제공되어, 제1흡수부(200)와 제2흡수부(300)의 탄성, 동배율 및 감쇄율이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차량의 좌우방향에 제1흡수부(200)를 설치하고, 차량의 전후방향에 제2흡수부(300)를 설치함으로써, 방향에 따라 충격량의 감쇄 패턴이 상이한 부시 인슐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흡수부(200)와 제2흡수부(300)는 그 형상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바, 제1흡수부(200)를 이루는 제1러버(210)에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러버홈(211)이 형성되고, 제2러버(310)에는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2러버홈(311)이 형성되며, 제1러버홈(211)의 상단부는 코어부(100)의 무게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2러버홈(311)의 하단부는 코어부(100)의 무게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러버(2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러버홈(211)의 상단부를 코어부(100)의 무게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의 좌우방향 고탄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코너링시 측하중에 대한 횡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일반 주행시에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저감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러버(310)에 형성되어 있는 제2러버홈(311)의 하단부를 코어부(100)의 무게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의 전후방향의 충격량 감쇄율을 증가시켜 여진감을 감소시키고, 코니컬 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 예를 들어 과속방지턱을 넘는 등의 주행 조건에서 초기 반응을 비교적 소프트하게 반응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충격량이 증가하면 하드하게 반응하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코어부(100)에 직접 설치되는 제1내측인서트(220) 및 제2내측인서트(320)는 코어부(100)에서 케이스(400) 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차량의 상하방향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내측인서트(220)에서 코어부(100)의 외주면에 설치된 일측면의 두께는 코어부(100)와 동일하지만, 타측면의 두께는 코어부(100)보다 얇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코어부(100)에서 케이스(400)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상면이 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내측인서트(320)에서 코어부(100)의 외주면에 설치된 일측면의 두께는 코어부(100)와 동일하지만, 타측면의 두께는 코어부(100)보다 얇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코어부(100)에서 케이스(400)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하면이 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외측인서트(230)는 제1러버(210)의 외측면 및 상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1외측인서트(230)에서 제1러버(210)의 상면과 접하는 부위는 케이스(400)에서 코어부(100) 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외측인서트(330)는 제2러버(310)의 외측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2외측인서트(330)에서 제2러버(310)의 하면과 접하는 부위는 케이스(400)에서 코어부(100) 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내측인서트(220), 제2내측인서트(320) 및 제1외측인서트(230) 제2외측인서트(330)의 형상에 따라 변화하는 물성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1러버(210)와 제2러버(310)는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러버(210)와 제2러버(310)의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금형사출 또는 이중사출을 통해 제1러버(210) 및 제2러버(310)를 성형할 때, 서로 분리되어 있는 캐비티에 제1러버(210) 및 제2러버(310)를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1러버(210)와 제2러버(310)가 분리되어 최종적인 부시에 삽입되어 있는 고무 부분이 여러 조각으로 구분되더라도, 실제 사용시에 물성의 저하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케이스(400)는 차체(미도시)에 고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부시 인슐레이터 구조가 압입되는 일종의 베이스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스(400)에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술한 제1흡수부(200), 제2흡수부(300) 및 코어부(100)가 압입되게 된다.
케이스(400)의 삽입구 하단은 삽입구의 중심 방향, 즉 코어부(100)가 있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1흡수부(200) 및 제2흡수부(300)가 압입되는 반대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제1흡수부(200) 및 제2흡수부(300)가 설치되는 위치를 한정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케이스(400)에는 소정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제1러버(210)의 하단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케이스(400)의 오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케이스(400)의 내측으로 제1러버(210)를 돌출 삽입시킴으로써, 제1러버(210)가 케이스(400)의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외측인서트(330)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33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돌기(331)는 케이스(40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들에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제2외측인서트(330)의 돌기(331)가 케이스(400)의 오목홈에 삽입됨으로써, 제2외측인서트(330) 및 이에 결합된 제2러버(310)가 측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400)에 삽입되어 있는 제1흡수부(200) 및 제2흡수부(300)를 덮는 캡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캡부(500)는 케이스(400)의 절곡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제1흡수부(200) 및 제2흡수부(300)의 일측은 케이스(40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캡부(500)에 의해 지지되어 제1흡수부(200) 및 제2흡수부(300)가 케이스(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캡부(500)의 하면은 제1흡수부(200) 중에 제1외측인서트(230)의 상면과, 제2흡수부(300) 중에 제2러버(310)의 상면에 각각 접하여 이들을 지지하게 된다.
캡부(500)에서 제2러버(310)와 접하는 하면 소정 영역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오목홈에 제2러버(310)가 돌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제2러버(310)를 캡부(500)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제2러버(310)가 케이스(400)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흡수부(200) 및 제2흡수부(300)의 형상이 변화함에 따라 물성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렇게 제1흡수부(200) 및 제2흡수부(300)의 형상을 변화시킨 다른 실시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제1내측인서트(220) 및 제2내측인서트(320)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의 상하방향 진동을 감쇄시키는 효과가 증가하고,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제1러버(210) 또는 제2러버(310)의 두께가 증가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외측인서트(230) 및 제2외측인서트(330)의 두께는 코니컬방향 특성을 결정하는 인자로서, 이들의 코니컬(대각선)방향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차량의 측면 롤강성 및 과속방지턱 등에서 발생하는 코니컬 하중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반대로 제1러버(210) 및 제2러버(310)의 두께가 감소하여 충격 입력시 하드하게 반응함으로써 승차감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측인서트(230)의 코니컬방향 두께를 점선과 같이 축소시키면, 그 공간만큼 제1러버(210)의 두께가 증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측인서트(320)의 길이를 점선과 같이 감소시키면 제2내측인서트(320)와 제2외측인서트(33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여 차량의 전후방향 여진감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제2러버(310)의 크기를 점선과 같이 감소시키면 제2러버(310)의 탄성을 증대시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외측인서트(230) 및 제2외측인서트(33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제1흡수부(200)와 제2흡수부(300) 사이에 파팅구조(600)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수부(200)와 제2흡수부(3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는 파팅구조(600)를 통해, 제1흡수부(200)와 제2흡수부(300) 사이의 갭을 삭제하여 제1흡수부(200)와 제2흡수부(300)가 일체로 거동하면서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파팅구조(600)는 제1외측인서트(230)와 제2외측인서트(330)가 연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별도로 마련된 부품을 삽입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1흡수부(200)의 형태를 직선화하여 제1흡수부(200)가 차량의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 거동에 미치는 역할을 최소화시키고, 제2흡수부(300)의 형태를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시켜 차량의 전후방향 특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코어부
200: 제1흡수부
300: 제2흡수부
400: 케이스
500: 캡부
200: 제1흡수부
300: 제2흡수부
400: 케이스
500: 캡부
Claims (13)
- 쇽업소버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쇄하는 부시 인슐레이터로서,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코어부;
차체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케이스와 코어부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의 좌우방향 충격을 감쇄하는 제1흡수부; 및
상기 케이스와 코어부 사이에 설치되되 제1흡수부와 별도로 설치되고 차량의 전후방향 충격을 감쇄하는 제2흡수부;를 포함하고,
제1흡수부는 제2흡수부에 비해 높은 탄성과 동배율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흡수부는 제1흡수부에 비해 높은 감쇄율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흡수부는, 코어부와 케이스 사이 공간에서 케이스를 기준으로 차량의 좌우방향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1러버와, 코어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1러버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제1내측인서트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1러버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외측인서트를 포함하며,
제2흡수부는, 코어부와 케이스 사이 공간에서 케이스를 기준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2러버와, 코어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2러버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제2내측인서트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2러버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외측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러버에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러버홈이 형성되고, 제2러버에는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2러버홈이 형성되며,
제1러버홈의 상단부는 코어부의 무게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2러버홈의 하단부는 코어부의 무게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내측인서트 및 제2내측인서트는 코어부에서 케이스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내측인서트는 상면이 사면으로 형성되어 코어부에서 케이스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내측인서트는 하면이 사면으로 형성되어 코어부에서 케이스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외측인서트는 제1러버의 외측면 및 상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1외측인서트에서 제1러버의 상면과 접하는 부위는 케이스에서 코어부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외측인서트는 제2러버의 외측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2외측인서트에서 제2러버의 하면과 접하는 부위는 케이스에서 코어부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러버와 제2러버는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하단은 코어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1러버의 하단은 케이스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에 삽입된 제1흡수부 및 제2흡수부를 덮는 캡부;를 더 포함하고,
캡부는 제1외측인서트의 상면 및 제2러버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제2러버의 상면은 캡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하단은 코어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외측인서트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케이스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인슐레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8945A KR102530941B1 (ko) | 2018-07-06 | 2018-07-06 | 부시 인슐레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8945A KR102530941B1 (ko) | 2018-07-06 | 2018-07-06 | 부시 인슐레이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5337A KR20200005337A (ko) | 2020-01-15 |
KR102530941B1 true KR102530941B1 (ko) | 2023-05-11 |
Family
ID=6915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8945A KR102530941B1 (ko) | 2018-07-06 | 2018-07-06 | 부시 인슐레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09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4852B1 (ko) | 2022-07-20 | 2024-08-14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해킹을 통한 부정출금 억제 방법 |
KR102683450B1 (ko) * | 2024-03-19 | 2024-07-10 | 평화산업주식회사 | 스토핑 구조를 갖는 인슐레이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8822A (ja) | 2002-03-22 | 2003-10-02 | Tokai Rubber Ind Ltd | サスペンションのアッパーマウント |
JP2008044452A (ja) | 2006-08-11 | 2008-02-28 | Toyo Tire & Rubber Co Ltd |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の製造方法 |
JP2010281412A (ja) * | 2009-06-05 | 2010-12-16 | Bridgestone Corp | ストラットマウント |
KR101528783B1 (ko) * | 2014-02-14 | 2015-06-15 |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 차량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
-
2018
- 2018-07-06 KR KR1020180078945A patent/KR1025309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8822A (ja) | 2002-03-22 | 2003-10-02 | Tokai Rubber Ind Ltd | サスペンションのアッパーマウント |
JP2008044452A (ja) | 2006-08-11 | 2008-02-28 | Toyo Tire & Rubber Co Ltd |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の製造方法 |
JP2010281412A (ja) * | 2009-06-05 | 2010-12-16 | Bridgestone Corp | ストラットマウント |
KR101528783B1 (ko) * | 2014-02-14 | 2015-06-15 |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 차량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5337A (ko) | 2020-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20195A (ko) | 서브프레임용 롤로드의 구조 | |
KR102530941B1 (ko) | 부시 인슐레이터 | |
KR102352569B1 (ko) | 티엠마운트 | |
US5655758A (en) | Bushing for vehicle suspension | |
CN210591270U (zh) | 具有非对称特性的车辆用衬套 | |
KR20150118668A (ko) | 트레일링암 부시 | |
KR20120045273A (ko) | 차량의 트레일링암부시 | |
CN211288576U (zh) | 双通道支柱结构及汽车 | |
JP3874385B2 (ja) | フロントフォーク | |
JP6793011B2 (ja)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 |
KR102487823B1 (ko) |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 |
KR102512791B1 (ko) | 스태빌라이저 바 부시 | |
KR100787398B1 (ko) | 쇽 업소버 | |
KR100448784B1 (ko) |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 |
JP7074640B2 (ja) | バウンドストッパ | |
KR19980029769A (ko) | 차량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쿠션러버 | |
CN219236696U (zh) | 一种前悬控制臂衬套 | |
KR102634403B1 (ko) |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장치 | |
KR101410449B1 (ko) | 유압식 스토퍼 장착형 쇽 업소버 | |
EP3495175B1 (en) | Coilover shock absorber | |
JP4356442B2 (ja) | 車輪独立懸架装置 | |
KR20080030748A (ko) |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 |
KR102497036B1 (ko) |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 | |
KR20070027977A (ko) |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바 | |
KR101337856B1 (ko) |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