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781B1 -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781B1
KR102530781B1 KR1020210115137A KR20210115137A KR102530781B1 KR 102530781 B1 KR102530781 B1 KR 102530781B1 KR 1020210115137 A KR1020210115137 A KR 1020210115137A KR 20210115137 A KR20210115137 A KR 20210115137A KR 102530781 B1 KR102530781 B1 KR 102530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unit
aggregate
heat
asphal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367A (ko
Inventor
위성환
위좌욱
김태형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위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성환 filed Critical 위성환
Priority to KR102021011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781B1/ko
Priority to PCT/KR2021/012014 priority patent/WO2023033215A1/ko
Publication of KR2023003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13Plant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operation or the construction of the mixing apparatus; Mixing apparatus
    • E01C19/104Mixing by means of movable members in a non-rotating mixing enclosure, e.g. stirr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59Controlling the operations; Devices solely for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E01C19/1063Controlling the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59Controlling the operations; Devices solely for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E01C19/1068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차량에 장착되고, 골재와 아스팔트를 가열 및 혼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한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이동하는 차량 내에서 골재와 아스팔트를 가열 및 혼합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품질이 확보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고, 생산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즉시 도로작업을 위하여 토출할 수 있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한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Mobile-typ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sphalt concret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차량에 장착되고, 골재와 아스팔트를 가열 및 혼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한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 생산 시설의 개발은 주로 30~160톤 규모의 중,대형급의 정치식 생산 플랜트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보다 작은 20~30톤 규모의 소형급 장비는 생산 플랜트 모듈이 여러 대의 트레일러에 탑재되어 이동식으로 운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플랜트 모듈을 운반한 후, 일정한 위치에 고립한 후 정치된 상태로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고, 생산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운송 차량에 적재하여 보수현장까지 이송하고 있다. 이러한 사유로 긴급한 도로 보수용의 10톤급 미만의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장비는, 소형화에 대한 기술적 난이도로 인해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KR 10-1353046 B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이동하는 차량 내에서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 및 가열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품질이 확보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고, 생산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보수 작업이 요구되는 도로 현장에 즉시 토출할 수 있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한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골재를 적재하는 호퍼부; 상기 골재를 예열하고 혼합하는 핫빈부; 상기 핫빈부에 열을 공급하는 핫빈부 버너; 상기 핫빈부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골재를 드럼부로 이송하는 골재 이송부; 상기 핫빈부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골재와 외부에서 투입된 아스팔트를 회전에 의해 혼합하고 가열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는 드럼부; 및, 상기 드럼부에 열을 공급하는 드럼부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부는, 드럼부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드럼부 내부로 다시 이동시키기 위해 가열공기를 배출하는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 상기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에서 배출된 열을 포함하고 있는 가열공기를 다시 드럼부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 및, 드럼부 내부 열을 핫빈부에 이동시키기 위해 가열공기를 배출하는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핫빈부는, 상기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를 상기 핫빈부로 투입하기 위한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 및, 상기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를 통해 상기 핫빈부 내부로 투입된 가열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열과, 상기 핫빈부 버너의 열을 핫빈부 내부에 전달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열 최종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와 상기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는, 상기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를 상기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덕트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와 상기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는, 상기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를 상기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덕트로 연결된다.
상기 핫빈부는, 내부에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골재를 혼합시키는 혼합 스크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핫빈부는, 상기 드럼부로의 용이한 골재 이송을 위하여 상기 핫빈부를 틸팅 시키는 핫빈 틸팅 실린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골재 이송부는, 상기 핫빈부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후 배출된 골재를 드럼부로 이송하는 상승 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골재 이송부는, 상기 핫빈부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후 배출된 골재를 상기 상승 이송부의 하부로 집약시키는 집약 이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럼부는, 상기 핫빈부에서 상기 드럼부로의 골재 이송시 또는, 상기 드럼부에서 완성된 아스팔트 혼합물의 외부 배출시, 상기 드럼부를 틸팅 시키는 드럼 틸팅 실린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는, 상기 열 최종 배출구로 열전달을 완료한 공기가 최종 배출되기 직전에, 그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집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덕트를 통하여 열을 상기 드럼부 내부에 순환시키기 위한 드럼 순환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는, 상기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를 통해 상기 핫빈부 내부로 투입된 가열공기에 함유된 열 및 상기 핫빈부 버너의 열을 핫빈부 내부로 전달을 완료한 공기를 상기 열 최종 배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핫빈 배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가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핫빈부 버너 및 드럼부 버너를 작동시키는 단계; (b) 호퍼부에 적재된 골재를 핫빈부 내부로 투입시키는 단계; (c) 상기 핫빈부 내부의 스크류를 작동시켜 상기 골재에 대한 예열을 수행하는 단계; (d)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e) 상기 골재가 기 설정된 온도까지 예열된 경우, 상기 골재를 드럼부 내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f) 상기 골재가 드럼부 버너의 가열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가 된 경우, 상기 드럼부 내부로 아스팔트를 투입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아스팔트와 상기 골재의 혼합 및 가열이 기 설정된 수준으로 된 경우,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을 드럼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e)는, (e1) 상기 핫빈부 내부의 골재를 배출시키는 단계; (e2) 상승 스크류를 작동시켜 상기 골재를 상기 드럼부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e1)과 단계(e2) 사이에, (e11) 배출된 골재를 상승 스크류의 하부로 집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부로의 골재 이송시, 상기 핫빈부를 틸팅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빈부에서 상기 드럼부로의 골재 이송시 또는, 상기 드럼부에서 완성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외부 배출시, 상기 드럼부를 틸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부 버너에 의한 드럼부 내부 열을 상기 드럼부 내부에 순환시키기 위한 드럼 순환팬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핫빈부 내부로 투입된 열 및 상기 핫빈부 버너의 열을 핫빈부 내부에 전달한 공기를 최종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핫빈 배기팬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이동하는 차량 내에서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 및 가열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품질이 확보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고, 생산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즉시 도로작업을 위하여 토출할 수 있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한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에서 열 순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의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 중에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를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제조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보수 작업이 요구되는 도로 현장에 즉시 토출하여 도로 포장을 수행해나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은 사람이 운전할 수도 있고 또는 자율주행 차량일 수도 있다.
'아스팔트 혼합물'은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 또는 '아스콘'이라 칭하기도 하며, 모래, 자갈 등의 골재를 아스팔트로 결합시킨 혼합물을 의미한다.
호퍼부(1100)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골재를 적재한다. 호퍼부(1100) 하부에 핫빈부(1200)가 설치되는데, 호퍼부(1100) 하단의 개폐부를 개방함으로써 호퍼부에 적재된 골재를 핫빈부(1200)로 낙하 투입시킬 수 있다. 호퍼부(1100) 하단의 개폐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도 1에서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호퍼부 개폐용 실린더(111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호퍼부 개폐용 실린더(1111)에 일렬로 연결된 링크에는 수직한 2개의 면으로 구성된 다수의 개폐면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개폐면이 'ㄴㄴㄴㄴㄴㄴㄴ'와 같은 형태로 위치할 경우 그 위의 호퍼부(1100)의 골재는 하부의 핫빈부(1200)로 떨어지지 못하며, 각 'ㄴ'형태의 개폐면이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45도 정도 회전한다면 골재가 하부의 핫빈부(1200)로 떨어지게 되는 구조이다.
핫빈부(1200)는 상기 골재를 예열하고 혼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핫빈부(1200)에 가해지는 열은 핫빈부 버너(1210)와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1201)를 통해 드럼부(1400) 내부에 공급된다. 핫빈부(1200)에서의 골재의 혼합은, 핫빈부(1200) 내부에 구비되고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혼합 스크류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핫빈부(1200)는, 드럼부(1400)로의 용이한 골재 이송을 위하여 핫빈부(1400)를 일정 각도로 기울임, 즉, 틸팅시키는 핫빈 틸팅 실린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핫빈 틸팅 실린더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핫빈(1200)의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골재 이송부(1300)는 핫빈부(1200)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골재를 드럼부(1400)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골재 이송부(1300)는 골재를 드럼부로 상승시켜 이송하기 위하여 상승 이송부(1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승 이송부(1310)로는 스크류 또는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골재 이송부(1300)는 핫빈부(1200)에서 배출된 골재를 상승 이송부(1310)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상승 이송하기 위하여, 골재를 우선 상승 이송부(1310)의 하부로 집약시키는 집약 이송부(1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집약 이송부(1320)로서도 역시 스크류 또는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드럼부(1400)는 핫빈부(1200)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골재와, 외부에서 드럼부(1400) 내부로 투입된 아스팔트를 가열하고 혼합하여 가열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한다. 혼합은 드럼부(140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며, 가열은 드럼부(1400) 하부에 구비된 드럼부 버너(1410)에 의해 수행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드럼부 외측의 드럼부 케이스에 의하여 드럼부가 보이지 않으나, 도 3의 단면도에 드럼부(1400)의 형태가 잘 나타나 있다.
드럼부(1400) 역시, 핫빈부(1200)에서 드럼부(1400)로의 골재 이송시 또는, 드럼부(1400)에서 완성된 아스팔트 혼합물의 외부 배출시, 기울임, 즉 틸팅될 수 있다. 그러한 틸팅은 드럼 틸팅 실린더(140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드럼 틸팅 실린더(1402) 역시 유압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서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의 열 순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에서 열 순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드럼부(1400)는, 드럼부 버너(1410)에서 생성된 복사열에 의해 드럼부 외부를 가열하고 이때 생성되는 가열공기를 드럼부 내부로 다시 이동시키기 위해 배출하는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1403)와,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1403)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를 다시 드럼부 버너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1404)를 구비한다.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1403)와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1404)는, 제1 덕트(1510)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덕트(1510)는,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1403)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를 다시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1404)로 이동시켜 드럼부(1400)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1404)로 들어온 가열공기는 드럼부(1400) 내부를 순환한 후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1405)로 배출된다.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1405)와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1201)는 제2 덕트(1520)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덕트(1520)에 의해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1405)로 배출된 가열공기는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1201)를 통하여 핫빈부(1200) 내부로 들어간다. 이로써 핫빈부(1200) 내부에는,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1201)를 통해 투입된 가열공기의 열과, 핫빈부 버너(1210)로부터 올라온 열이 합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합해진 열을 함유한 가열공기는, 핫빈부(1200)의 열 최종 배출구(1202)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열 최종 배출구(1202)로 가열공기가 최종 배출되기 직전에 집진기(미도시)가 배치되어 있어, 그 가열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원활한 열의 순환을 위하여 드럼부(1400)는, 제1 덕트(1510)를 통하여 가열공기에 함유된 열을 드럼부(1400) 내부에 순환시키기 위한 드럼 순환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핫빈부(1200)는,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1201)를 통해 핫빈부(1200) 내부로 투입된 가열공기에 함유된 열 및 핫빈부(1200)에 유입된 핫빈부 버너(1210)의 열을 열 최종 배출구(1202)로 배출시키기 위한 핫빈 배기팬구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한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의 열 순환 구조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드럼부 버너(1410)에서 생성된 열을 대기 중으로 직접 방출하지 않고 가열공기를 통해 폐열을 드럼부(1400)와 핫빈부(1200)에 전달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드럼부(1400)와 핫빈부(1200) 내부에는 많은 먼지, 즉 분진이 존재하는데, 이것이 그대로 배출될 경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는 팬의 바람을 이용하여 열을 순환시키며, 이에 따라 상당량의 분진은 이러한 순환에 합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집진기에 의해 걸러진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의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핫빈부 버너(1210) 및 드럼부 버너(1410)를 작동시킨다(S501). 호퍼부(1100)에 적재된 골재를 핫빈부(1200) 내부로 투입시킨다(S502). 핫빈부(1200)는, 핫빈부 버너(1210)에 의한 열과,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1201)를 통해 핫빈부(1200) 내부로 투입된 가열공기의 열로 골재를 가열하고 핫빈부(1210) 내부의 스크류 작동에 따른 골재의 교반에 의하여 골고루 예열을 수행한다(S503).
향후 아스팔트와 골재의 혼합을 위하여 드럼부를 회전 구동하고(S504), 핫빈부(1200)의 골재가 기 설정된 온도까지 예열된 경우, 골재를 드럼부(1400) 내부로 이송시킨다. 드럼부(1400)로의 골재 이송시, 용이한 이송을 위해 핫빈부(1200)를 틸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골재 이송 과정은, 핫빈부(1200) 내부의 골재를 배출시키고(S505), 배출된 골재를 스크류 또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상승 이송부(1310)의 하부로 집약시킨 후(S506), 스크류 또는 컨베이어를 작동시켜 골재를 드럼부(1400)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S507).
드럼부(1400) 내부에서 골재가 드럼부 버너(1410)의 가열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가 된 경우, 드럼부(1400) 내부로 아스팔트를 투입시킨다(S508). 이후 아스팔트와 골재의 혼합 및 가열이 기 설정된 수준에 도달 된 경우(S509),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을 드럼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한다(S510). 이와 같이 배출에 의하여 즉시 도로 포장을 수행해 나갈 수 있다.
아스팔트와 골재의 혼합 및 가열이 기 설정된 수준으로 되었다 함은 여러가지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거나, 또는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등이다.
드럼부(1400) 역시 틸팅이 가능하다. 즉, 핫빈부(1200)에서 드럼부(1400)로의 골재 이송시 또는, 드럼부(1400)에서 완성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외부 배출시 등에 드럼부(1400)를 틸팅시켜 용이한 이송 또는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명시하지 않았으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열 순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드럼부 버너(14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드럼부(1400)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해 드럼 순환팬을 가동시키고, 핫빈부(1200) 내부로 투입된 가열공기에 함유된 열 및 핫빈부 버너(1210)로부터의 열을 핫빈부(1200) 내부로 전달한 공기를 최종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핫빈 배기팬을 가동시킨다. 이러한 각 팬은,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1000)의 구동 초기부터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드럼부(1400) 또는 핫빈부(120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000: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1100: 호퍼부
1111: 호퍼부 개폐용 실린더
1112: 호퍼부 개폐용 링크
1200: 핫빈부
1201: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
1202: 열 최종 배출구
1210: 핫빈 버너부
1300: 골재 이송부
1310: 상승 이송부
1320: 집약 이송부
1400: 드럼부
1401: 골재 투입구
1402: 드럼 틸팅 실린더
1403: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
1404: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
1405: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
1410: 드럼 버너부
1510, 1520: 열순환 덕트(duct)

Claims (17)

  1. 차량에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로서,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골재를 적재하는 호퍼부;
    상기 골재를 예열하고 혼합하는 핫빈부;
    상기 핫빈부에 열을 공급하는 핫빈부 버너
    상기 핫빈부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골재를 드럼부로 이송하는 골재 이송부;
    상기 핫빈부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골재와 외부에서 투입된 아스팔트를 회전에 의해 혼합하고 가열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는 드럼부; 및,
    상기 드럼부에 열을 공급하는 드럼부 버너
    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부는,
    드럼부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드럼부 내부로 다시 이동시키기 위해 가열공기를 배출하는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
    상기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에서 배출된 열을 포함하고 있는 가열공기를 다시 드럼부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 및,
    드럼부 내부 열을 핫빈부에 이동시키기 위해 가열공기를 배출하는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
    를 구비하고,
    상기 핫빈부는,
    상기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를 상기 핫빈부로 투입하기 위한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 및,
    상기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를 통해 상기 핫빈부 내부로 투입된 가열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열과, 상기 핫빈부 버너의 열을 핫빈부 내부에 전달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열 최종 배출구
    를 구비하며,
    상기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와 상기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는,
    상기 드럼부 버너 열 배출구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를 상기 드럼부 버너 열 투입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덕트
    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와 상기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는,
    상기 드럼부 내부 열 배출구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를 상기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덕트
    로 연결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핫빈부는,
    내부에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골재를 혼합시키는 혼합 스크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핫빈부는,
    상기 드럼부로의 용이한 골재 이송을 위하여 상기 핫빈부를 틸팅 시키는 핫빈 틸팅 실린더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재 이송부는,
    상기 핫빈부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후 배출된 골재를 드럼부로 이송하는 상승 이송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골재 이송부는,
    상기 핫빈부에서 예열되고 혼합된 후 배출된 골재를 상기 상승 이송부의 하부로 집약시키는 집약 이송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상기 핫빈부에서 상기 드럼부로의 골재 이송시 또는, 상기 드럼부에서 완성된 아스팔트 혼합물의 외부 배출시, 상기 드럼부를 틸팅시키는 드럼 틸팅 실린더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최종 배출구로 열전달을 완료한 공기가 최종 배출되기 직전에, 그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집진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를 통하여 열을 상기 드럼부 내부에 순환시키기 위한 드럼 순환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 내부 열 투입구를 통해 상기 핫빈부 내부로 투입된 가열공기에 함유된 열 및 상기 핫빈부 버너의 열을 핫빈부 내부로 전달을 완료한 공기를 상기 열 최종 배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핫빈 배기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11. 청구항 1의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가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핫빈부 버너 및 드럼부 버너를 작동시키는 단계;
    (b) 호퍼부에 적재된 골재를 핫빈부 내부로 투입시키는 단계;
    (c) 상기 핫빈부 내부의 스크류를 작동시켜 상기 골재에 대한 예열을 수행하는 단계;
    (d)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e) 상기 골재가 기 설정된 온도까지 예열된 경우, 상기 골재를 드럼부 내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f) 상기 골재가 드럼부 버너의 가열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가 된 경우, 상기 드럼부 내부로 아스팔트를 투입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아스팔트와 상기 골재의 혼합 및 가열이 기 설정된 수준으로 된 경우,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을 드럼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e1) 상기 핫빈부 내부의 골재를 배출시키는 단계;
    (e2) 상승 스크류를 작동시켜 상기 골재를 상기 드럼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계(e1)과 단계(e2) 사이에,
    (e11) 배출된 골재를 상승 스크류의 하부로 집약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로의 골재 이송시, 상기 핫빈부를 틸팅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핫빈부에서 상기 드럼부로의 골재 이송시 또는, 상기 드럼부에서 완성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외부 배출시, 상기 드럼부를 틸팅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드럼부 버너에 의한 드럼부 내부 열을 상기 드럼부 내부에 순환시키기 위한 드럼 순환팬을 가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핫빈부 내부로 투입된 열 및 상기 핫빈부 버너의 열을 핫빈부 내부에 전달한 공기를 최종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핫빈 배기팬을 가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방법.
KR1020210115137A 2021-08-30 2021-08-30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3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37A KR102530781B1 (ko) 2021-08-30 2021-08-30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CT/KR2021/012014 WO2023033215A1 (ko) 2021-08-30 2021-09-06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37A KR102530781B1 (ko) 2021-08-30 2021-08-30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367A KR20230032367A (ko) 2023-03-07
KR102530781B1 true KR102530781B1 (ko) 2023-05-11

Family

ID=8541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137A KR102530781B1 (ko) 2021-08-30 2021-08-30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0781B1 (ko)
WO (1) WO202303321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515A (ja) * 2000-10-23 2002-05-09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
KR101640517B1 (ko) * 2015-12-03 2016-07-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아스팔트 혼합물 믹싱 플랜트 및 이를 이용한 준고온/준저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 방법
KR101681264B1 (ko) * 2015-08-05 2016-11-30 위성환 골재 예열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50B1 (ko) * 2013-03-18 2013-09-30 (주)대능 아스콘 제조장치
KR101353046B1 (ko) 2013-05-30 2014-01-20 (주)희정건설 아스콘 제조장치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971865B1 (ko) * 2017-02-21 2019-04-24 황익현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515A (ja) * 2000-10-23 2002-05-09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
KR101681264B1 (ko) * 2015-08-05 2016-11-30 위성환 골재 예열기
KR101640517B1 (ko) * 2015-12-03 2016-07-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아스팔트 혼합물 믹싱 플랜트 및 이를 이용한 준고온/준저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215A1 (ko) 2023-03-09
KR20230032367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4868B2 (ja) 重金属汚染現場土壌処理設備
CN108867249B (zh) 一种多功能连续式沥青混合料生产设备及其生产方法
CN102873269B (zh) 树脂凝心砂废砂再生生产线
WO2014063252A1 (en) Pothole repair product an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phalt patch
EP2370637A1 (en) A pla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hot-mix asphalt
US4136964A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mixing and conveying particulate material
KR200488241Y1 (ko) 도로 보수용 아스팔트 혼합물 직접 가열 혼합믹서
KR102530781B1 (ko)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457180A (zh) 一种中间加料式骨料烘干滚筒
CN105970773B (zh) 再生沥青拌合站及其拌合锅
JP2013513743A (ja) 中低温化アスファルト混合物を製造するためのプラント
JP2001090018A (ja) アスファルト廃材の移動式再生装置
CN206308593U (zh) 一种沥青搅拌设备
CN211113076U (zh) 一种沥青路面修复车
KR20120042453A (ko) 신재 아스콘과 재생 아스콘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순환 아스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2322013B (zh) 用于沥青路面就地热再生复拌机上的拌合装置
KR101755636B1 (ko) 현장 아스콘 재생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 그리고, 현장 재생 아스콘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CN2736416Y (zh) 沥青冷再生搅拌设备
CN110541344A (zh) 一种沥青路面修复车
CN104179109A (zh) 一种生产沥青混合料和ra树脂沥青混合料的设备
CN105113366A (zh) 沥青混合料拌合车
CN206070302U (zh) 再生沥青拌合站及其拌合锅
CN106677012A (zh) 一种智能保温型沥青混凝土拌合站
JP5666688B2 (ja) 骨材加熱装置及び骨材加熱方法
CN209891024U (zh) 沥青混合料就地冷再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