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520B1 -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 Google Patents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520B1
KR102530520B1 KR1020227045675A KR20227045675A KR102530520B1 KR 102530520 B1 KR102530520 B1 KR 102530520B1 KR 1020227045675 A KR1020227045675 A KR 1020227045675A KR 20227045675 A KR20227045675 A KR 20227045675A KR 102530520 B1 KR102530520 B1 KR 10253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utputting
audio
period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546A (ko
Inventor
알버트 릴리 하워드
캐서린 비. 비. 모리슨
크리스토퍼 피. 사리
헤더 이. 다니엘
케빈 엠. 린치
로널드 커유안 후앙
쉐리프 모하메드
텔포드 이. 포게티
매튜 더블유. 크로울리
이몬 에프. 길라비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07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법들이 제공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자와 연관된 물리적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의 만료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통신 채널 요청을 비상 응답 서비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적어도 비상 응답 서비스가 통신 채널 요청을 수락하는 것에 응답하여 오디오 메시지를 비상 응답 서비스로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FALL DETECTION - AUDIO LOOPING}
관련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8월 1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Fall Detection-Audio Looping"인 미국 정규 특허 출원 제16/529,550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2018년 11월 1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Fall Detection - Audio Looping"인 미국 가출원 제62/754,406호, 및 2019년 2월 22일자로 출원되고 또한 발명의 명칭이 "Fall Detection - Audio Looping"인 미국 가출원 제62/809,30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 출원들의 개시내용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 및 그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은 매우 보편화되고 유용해져서, 사람들은 하루 종일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일부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매우 유용해서 하루 종일 착용된다. 그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신체적 활동 및 생체 측정 통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인터넷 또는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고 또는 비상에 관여되는 경우, 이들은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무능력하게 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임의의 비상 프로토콜들을 활성화시킬 수 없거나 심지어 비상 서비스들과 통신하지 못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가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을 예시하는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2는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흐름을 예시하는 다른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다른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을 예시하는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7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8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의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을 예시하는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9는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의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을 예시하는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하기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설명을 목적으로, 구체적인 구성들 및 상세사항들은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재된다. 그러나, 실시예들이 구체적인 상세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또한 명백할 것이다. 추가로, 공지된 특징부들은 설명되는 실시예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되거나 단순화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상세사항들은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오디오 루핑하기 위한 기법들을 제공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는 사고(예를 들어, 낙상, 의료 사고(예컨대, 심장 마비 또는 뇌졸중), 자동차 사고 등)에 관여되었을 수 있고, 오디오 루프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사고 및/또는 사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비상 서비스(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911 교환원 또는 다른 적절한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사용자(예컨대, 착용자)가 넘어졌고(또는 다른 유형의 사고에 관여하였음) 넘어진 후 일정 시간 기간 내에 응답하지 않았을 때를 검출할 수 있는,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결을 확립하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는 오디오 메시지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시간량 동안, 또는 적어도 사용자가 응답했거나, 서비스가 통신 연결을 종료했거나, 또는 비상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일부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루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텍스트 형태의 하나 이상의 템플릿 메시지(예컨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문자열)로 구성될 수 있다. 템플릿 메시지들은 디바이스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관련 콘텐츠로 보완될 수 있는 빈 부분들(예컨대, 구성가능한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템플릿 메시지의 일례는 "이 ______의 소유자는 ______에 관여되었고, 응답하고 있지 않습니다. _________의 위치는 _________이고 _____________이며 추정된 반경은 ___________입니다." 이 예에서, 빈 칸들 각각은 구성가능한 부분(예컨대, 부분들 A, B, C, D, E, 및 F)에 대응한다. 예로서, A는 "디바이스 유형" 정보(예컨대, 워치, 태블릿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B는 "이벤트 유형" 정보(예컨대, 낙상, 심장 마비, 자동차 사고, 비상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C는 "디바이스 유형" 또는 "이벤트 유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D 및 E는 "위치" 정보(예컨대, 위도 및 경도, 가장 가까운 교차 도로들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F는 "추정된 오차 정도" 정보(예컨대, 5 미터, 10 미터, 25 미터, 한 블록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의 다양한 센서들은 위의 A 내지 F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검출(또는 메모리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단 데이터가 수집되면, 위의 예시적인 메시지는 "이 워치의 소유자는 낙상에 관여되었고 응답하고 있지 않습니다"가 될 수 있다. 이 워치의 위치는 위도 37.1234경도 -121.1234이며 추정된 반경은 25 미터입니다"(이 예에서 밑줄친 텍스트는 구성가능한 부분들에 어떤 텍스트가 추가되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메시지는 또한 메시지를 전송한 직후에 위치를 반복할 수 있다. 메시지는 루프의 끝을 트리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루프 상에서 재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텍스트 문자열은 텍스트로서 송신될 수 있거나, 텍스트-투-음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오디오로 변환될 수 있다. 후자의 예에서, 오디오 파일은 서비스 제공자에게(예컨대, 911 교환원에게)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스피커에 의해 재생될(그리고 루핑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고에 관여된 사용자 및/또는 인근의 누군가(예컨대, 비상 응답자들, 의사 등)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고, 잠재적으로 응답하거나 루프를 중지할 수 있다.
도 1은 디바이스(102)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100)을 예시한다. 디바이스(102)가 도 1에서 워치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네트워크 연결성을 갖는 임의의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가 흐름(100)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임의의 유형의 이벤트가 디바이스(102)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유형의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의 흐름(100)에서, 예시된 이벤트는 사용자가 넘어지고 비반응성 상태가 되는 이벤트이다. 블록(106)에서, 디바이스(102)는 비상 이벤트의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의 시간(T0)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의 비상 이벤트는 사용자(108)가 넘어지는 것에 대응한다.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낙상이 검출되자마자 UI 요소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UI 요소는, 사용자가 그들이 "괜찮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들이 비상 서비스(예컨대, 미국에서는 "911")에 전화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UI 요소들(예컨대, 가상 버튼들)이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괜찮아", "나는 넘어졌지만, 괜찮아", 또는 "나는 넘어지지 않았어". 일례에서, 사용자가 처음의 "나는 괜찮아" UI 요소를 선택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후속 질문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는 "나는 넘어졌지만, 괜찮아"(낙상 검출은 정확했지만 비상이 없음을 나타냄) 또는 "나는 넘어지지 않았어"(낙상 검출 알고리즘이 정확하지 않았음을 나타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결과들은 (예를 들어, 낙상 검출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낙상 검출 알고리즘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이들 옵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디바이스(102)는 흐름(100)을 종료할 수 있고, 비상 응답 서비스와의 통화를 확립하려고 시도하는 것으로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나는 괜찮아"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얼마나 오랫동안 비반응성인지를 검출하려고 시도하는 타이머는 일시정지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나는 괜찮아"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타이머(예컨대, 시계/타이머(110)를 사용함)는 도 1의 시간(T1)에서 시작될 수 있는데, 이는 디바이스(102)가 블록(106)에서 비상 이벤트의 발생을 결정한 후의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의 시간(T2)에서, 사용자는 여전히 누워있을 수 있다(예컨대, 여전히 비반응성임). 시간(T1)과 시간(T2) 사이에 일정 시간량이 경과한 경우, 디바이스(102)는 블록(116)에서 사용자가 비반응성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여전히 비반응성인 경우, 시간(T3)에서, 디바이스(102)는 블록(120)에서 비상 서비스들과의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바이스(102)는 (예컨대, "911"에 전화함으로써) 비상 서비스들과 연관된 전화(122)에 셀룰러(또는 다른 유형의) 통화를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911"을 다이얼링하는 대신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적절한 비상 서비스 번호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인에서, 비상 서비스들은 "112"를 다이얼링함으로써 액세스된다. 따라서, 비상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가 스페인에 있었다면, 디바이스(102)는 블록(120)에서 "112"를 다이얼링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102)는 또한 텍스트-투-오디오 변환에 대한 적절한 언어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적절한 언어로 오디오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인에서, 오디오는 스페인어로 생성될 것이다. 다수의 언어들이 있는 국가들에서, 디바이스(102)는 언어의 우선순위 목록을 참조할 수 있고, 목록에 따라 오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목록 상의 제1 언어로 오디오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그렇게 수행될 것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102)는 목록 상의 제2 언어를 사용하는 등일 것이다). 도 1의 시간(T4)에 대응하는 블록(124)에서, 흐름(100)은 디바이스(102)가 반복 오디오 메시지를 비상 서비스들의 디바이스(122)로 송신할 때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는 "위치 X에서 비상이 검출됨"이라고 말하는 오디오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X는 사용자(108)의 상대적 주소이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오디오 메시지는 위도 및 경도,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의학적 상태, 비상 또는 이벤트의 유형, 위치에 대한 오차 범위,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디바이스의 유형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흐름(200)을 예시한다. 흐름(200)에서, (예컨대, 도 1의 디바이스(102)와 유사한) 디바이스는 비상 서비스들에 대한 통화가 적절하다고 결정했을 수 있다(예컨대, 사용자는 잠재적인 비상 이벤트의 검출 후에 응답하고 있지 않음). 이러한 흐름에서, 블록(202)에서, 디바이스(102)는 비상 서비스들과의 연결을 확립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연결을 확립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번호(예컨대, 이 경우, "911")를 다이얼링하는 것 및/또는 전화가 울리는 동안 일시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가 응답되면, 연결은 확립된다. 블록(204)에서, 비상 서비스는 통화에 응답하였다. 이 경우, 오디오 녹음(예컨대, 텍스트 문자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오디오 파일)은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디오 녹음은 연결 즉시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몇 초 동안 기다리고/기다리거나 행해진 연결에 대해 교환원, 자동화 서비스 등이 응답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102)는 사람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무언가, 예컨대, "911 비상이 무엇인가요" 등을 말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오디오의 일례는 "이 스마트 워치의 소유자는 심하게 넘어졌고 그들의 워치에 응답하고 있지 않습니다. 비상 위치는 위도 37.1234, 경도 -121.1234이며, 추정된 반경은 25 미터입니다. 위치를 반복합니다, 위도 37.1234, 경도 -121.1234." 일부 경우들에서, 오디오는, 일부 이벤트가 오디오 루프를 종료할 때까지, 원하는 대로 3초, 5초 등마다 루핑(예컨대, 반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시도된 통화 연결이 확립되고 오디오 루핑이 시작되면, 오버레이가 디바이스(102)의 UI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들(202, 204)의 UI는 블록(206)에 디스플레이된 오버레이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오버레이는 사용자가 오디오 루핑을 종료하도록 하는 별도의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오버레이는 "녹음된 메시지 중지하기"라고 말하는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비상 이벤트 및 활성화된 연결(예컨대, 이 경우, 그것은 "낙상 검출됨" 및 "911 통화 활성")을 말하는 일부 텍스트를 또한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루프를 종료하는 하나의 방식은 오버레이와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블록(206)에서, 사용자는 "녹음된 메시지 중지하기" UI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버튼이 (예컨대,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활성화를 통해) 선택되는 경우, 오버레이는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블록(208)에서 오버레이 이전과 동일한 UI 요소들을 갖는 원래의 UI가 제시될 수 있고/있거나, 블록(210)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고 싶은지 묻고 2개의 UI 옵션(예컨대, 통화를 종료하지 않으려면 "아니오" 또는 통화를 종료하려면 "예")을 제공하는 이중 확인 UI가 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블록(202)의 UI는 연결을 확립하려고 시도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되고, 블록(204)의 UI는 일단 연결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되고, 블록(206)의 오버레이 UI는 오디오 루핑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되고, 블록(206)의 오버레이 UI는 "녹음된 메시지 중지하기" UI 요소의 선택 시에 제거되고, 블록(208)의 UI(블록(204)의 UI와 동일함)는 루핑이 종료된 후 디스플레이되고, 블록(210)의 UI는 사용자가 "전화 끊기" UI 요소(212)를 선택한 후에만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예에서, "예" 또는 "아니오" 옵션들은, 사용자가 이미 "전화 끊기" UI 요소(212)를 선택했지만 통화를 종료하기 위해 여전히 "예"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이중 확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비상 서비스와의 통화를 우발적으로 종료할 수 없다. 일부 경우들에서, 블록(214)은 블록(206)에 대한 대안적인 옵션이며, 여기서 텍스트의 레이아웃은 상이하고 통화 시간이 도시된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메시지들은, 비상과의 통화가 활성인 한 또는 사용자가 "녹음된 메시지 중지하기" UI 요소를 선택할 때까지 계속해서 루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상 서비스 응답자가 전화를 끊으면, 통화는 종료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작업흐름은 사용자가 비반응성을 유지하는 경우 통화를 재확립하기(또는 다른 통화를 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화가 종료되고, 비상 서비스 응답자가 다시 통화하는 경우, 디바이스(102)는 통화에 응답할 수 있고, 이미 생성된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메시지는 또한 사용자가 "녹음된 메시지 중지하기" UI 요소를 선택할 때까지 루핑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102)는 프로세스의 실패의 표시를 검출할 수 있으며(예컨대, 통화가 일찍 종료되었거나, 비상 서비스 응답자가 이해하지 못했거나, 사용자가 여전히 비반응성인 것 등), 이 경우, 프로세스는 초기 오디오/햅틱 피드백으로 다시 시작하여,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비상 서비스에 대한 통화가 곧 행해질 것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것이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메시지는 초기에 풀 볼륨에서 재생되고(예컨대, 제1 루프), 이어서 후속 루프들 동안 감소된 볼륨으로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의 스피커는 제1 루프 동안 풀 볼륨에서 그리고 이어서 그 후에 감소된 볼륨에서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비상 서비스 응답자에게 전송되는 오디오 메시지는 제1 루프 동안 풀 볼륨에서, 그리고 이어서 후속 루프들 동안 감소된 볼륨에서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2)의 사용자(또는 방관자, 비상 서비스 기술자 등) 및/또는 비상 서비스 응답자(또는 교환원)는 오디오 메시지의 볼륨이 너무 크지 않아도 여전히 개방된 전화 라인을 통해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후속 루프들 상의 감소된 볼륨은 또한 응답자 또는 교환원이 사건 현장의 배경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 수 있는지를 듣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루핑 시스템(300)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시스템(300)은 임의의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들(304)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3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2)는 스마트 워치,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들(304)은 셀룰러 네트워크, 케이블 네트워크들, 인터넷, 무선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사설 및/또는 공중 네트워크들과 같은 많은 상이한 유형들의 네트워크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302)는 (예를 들어,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을 이용하여) 오디오 루프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거나 달리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사용자 디바이스(302)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32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또는 프로세서(들))(32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322)는 적절하게는 하드웨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322)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펌웨어 구현예들은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컴퓨터 실행가능 또는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프로세서(들)(322) 상에 로딩가능하고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 뿐만 아니라 이들 프로그램들의 실행 동안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2)의 구성 및 유형에 따라, 메모리(320)는 휘발성(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비휘발성(예컨대, ROM(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2)는 또한 자기 저장소, 광 디스크들, 및/또는 테이프 저장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추가의 제거가능 저장소 및/또는 제거불가능 저장소(32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들 및 이들의 연관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및 다른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메모리(320)는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메모리, 예컨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휘발성 메모리가 RAM으로 지칭될 수 있지만, 일단 호스트 및/또는 전원으로부터 플러그해제되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유지하지 못할 임의의 휘발성 메모리가 적절할 것이다.
제거가능한 그리고 제거불가능한 메모리(320) 및 추가의 저장소(324) 모두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들이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제거가능 또는 제거불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 및 추가의 저장소(324) 둘 모두는 비일시적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들이다. 사용자 디바이스(302)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추가 유형의 컴퓨터 저장 매체는 PRAM(phase-change RAM), SRAM, DRAM, RAM,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c) 또는 다른 광학 저장소,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302)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의 상기한 것의 조합들이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데이터 신호, 예컨대, 반송파, 또는 다른 송신물 내에서 송신되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사용자 디바이스(302)는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02)가 데이터 저장소,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 사용자 터미널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연결부(들)(3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들은 케이블 네트워크들, 인터넷, 무선 네트워크들, 셀룰러 네트워크들, 위성 네트워크들, 다른 사설 및/또는 공중 네트워크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많은 상이한 유형들의 네트워크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2)는 또한 I/O 디바이스(들)(328), 예컨대 터치 입력 디바이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의 콘텐츠들을 더 상세히 참조하면, 메모리(320)는 운영 시스템(330)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부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또는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보기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델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33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또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전술된 특징부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텍스트 문자열 생성, 오디오 녹음 생성(예컨대, 텍스트 문자열 및 센서-검출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및 오디오 루핑을 구현함).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302)는 셀룰러 타워(334)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다른 경우들에서, 디바이스(302)는 선택적으로 컴패니언 디바이스(336)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디바이스(302)가 선택적으로 네트워크(304)를 통해 컴패니언 디바이스(336)와 통신하는 것을 예시하지만, 디바이스(302)는 대신에 컴패니언 디바이스(336)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336)와의 연결이 바람직하거나 요구될 때(예컨대, 디바이스(302)가 셀룰러 타워(334)에 연결하기 위한 셀룰러 무선통신장치를 갖지 않는 경우), 컴패니언 디바이스(336)는 디바이스(302)를 대신하여 셀룰러 타워(334)에 연결할 수 있고, 셀룰러 연결을 위한 프록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으로 돌아가면, 이 엔진(306)은 오디오 루핑의 구현의 다양한 단계들(예컨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계들 전부 또는 적어도 서브세트)을 담당할 수 있다. 일례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달리 사고 이벤트에 관여되는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이 그러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경우, 그것은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활동 없이 소정 시간(예컨대, 30초, 60초 등)이 경과하는 경우,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디바이스(302)에 그것이 비상 통화를 확립하려고 시도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경보하기 시작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오디오 및/또는 햅틱 경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디바이스(302)의 스피커들 및/또는 햅틱 생성 장비에 지시할 수 있다. 오디오 및/또는 햅틱 경보들은, 적어도 사용자가 경보에 응답하거나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낮은 레벨의 경보로부터 더 강한 레벨의 경보로 램프 업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작업흐름을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비상 서비스와의 연결을 확립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통화할 적절한 비상 서비스(예컨대, 미국에서 911, 스페인에서 112 등) 및/또는 사용할 적절한 언어를 결정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일단 적절한 언어가 결정되면,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텍스트 문자열을 결정된 언어의 오디오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통화할 적절한 번호 및 사용할 적절한 언어는 디바이스(103)가 연결되는 셀룰러 통신 사업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통신 사업자는 비상 서비스 번호 및 디바이스(302)가 위치되는 국가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식별된 국가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호출을 행하여, 그 국가에 대한 가장 인기있는 언어들의 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이 가장 인기있는 언어로 변환할 수 있는 경우, 텍스트는 그 가장 인기있는 언어의 오디오로 변환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언어가 선택되고 오디오가 생성될 때까지, 다음 언어로 갈 것이고, 등등일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디폴트 또는 대비책(예컨대, 적절한 언어가 결정될 수 없을 때) 옵션은, 디바이스(302)가 미국에 위치되지 않을 때에도, 영어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가장 인기있는 언어(예컨대, 인도에서는 힌디어)는 비상 통화를 행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언어가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영어로 디폴트될 수 있다. 각각의 국가에 대한 적절한 언어 및/또는 가장 인기있는 언어들의 목록들은 데이터 저장소(332)에 로컬로 저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오디오 메시지의 언어는 사용자가 위치되는 국가에 특정적일 수 있지만, 디바이스(302)의 UI 상의 텍스트의 언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언어로(예컨대, 영어 사용자의 경우 영어로)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오디오 메시지가 하나의 언어로 되어 있으면서 UI 텍스트는 다른 언어로 되어 있는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텍스트 문자열에 포함될 추가 정보(예컨대, 사용자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사용자의 건강 정보(예컨대, 심장 건강 정보, 혈압, 맥박 등)에 대해 통지받을 (예컨대, 발생한 특정 이벤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상 서비스에 관련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건강 정보는 또한 데이터 저장소(332)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텍스트 문자열은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그 건강 정보는 오디오로 변환되고 이어서 통화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옵션들(예컨대, 비상 서비스 수행자가 사용자일 수 있는 경우)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를 위해 '1'을 누르고 위치 정보를 반복하기 위해 '2'를 누르기"라고 말하는 텍스트 문자열(및, 따라서, 오디오 메시지)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은 톤을 통해 검출될 수 있고, 적절한 응답이 루프 내로 삽입될 수 있다(예컨대, 건강 정보를 추가함).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디바이스(302)의 사용자로 하여금 텍스트 문자열(및, 따라서, 오디오 메시지)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상 서비스 통화 수신자에게 옵션들을 제공하도록 텍스트 문자열을 구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메시지는, 사용자가 텍스트 문자열에 포함시키도록 구성한 무엇이든 말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는 텍스트 문자열이 "사용자의 위치를 얻으려면 '1'을 누르고, 메시지를 반복하려면 '2'를 누르고, 건강 정보를 위해서는 '3'을 누르기"라고 말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메시지로 하여금 말하게 하고 싶어하는 것에 기초하여, 다른 옵션들이 가능하다. 이러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비상 서비스 응답자(예컨대, 통화 수신자)는 제공된 옵션들에 대응하는 번호를 그들의 전화 상에서 선택할 수 있고,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적절한 정보로 응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응답자가 자신의 전화 상에서 버튼을 선택할 때,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그들이 선택한 버튼의 주파수(톤)를 해석하여 어느 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일단 문자열이 오디오로 변환되면) 적절한 오디오 응답을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새로운 텍스트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응답자들 응답을 해석하기 위해 이중-톤 다중 주파수(dual-tone multi frequency, DTMF)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옵션은 응답자가 옵션들의 메인 메뉴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일 것이다. 다른 옵션은 일단 응답자 요청이 응답되면 메인 오디오 루프로 복귀하는 것일 것이다. 다른 옵션은, 초기 오디오 루프가, 비상 이벤트가 있었음을 식별하고 메인 메뉴를 제공하여, 어떤 정보가 제공되는지에 대한 풀 제어를 응답자에게 제공하는 것일 것이다.
다른 예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응답자로부터 나오는 오디오가 있을 때를 검출할 수 있고, 그제서야 오디오 메시지 및/또는 오디오 루핑 메시지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에 의해 제공된 오디오 메시지는, 통화가 응답된 직후 오디오 메시지를 시작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응답자가 실제로 통화에 응답할 때까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응답자는 항상 오디오 메시지의 시작을 들을 것이고, 전체 메시지를 이해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응답자가 시작을 듣지 않는다면 그들은 메시지에 의해 혼동될 것이라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생을 제어하는 다른 이점은, 비상 서비스가 통화들에 응답하는 응답자를 갖지 않고 통화가 적절한 부서로 라우팅되어야 하는 시나리오를 피하는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통화가 보류되었거나 상이한 응답자에게 전달되고 있었음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통화 상에 사람이 있을 때까지, 또는 통화가 더 이상 보류 중이 아니거나 전달될 때까지, 기다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디바이스(302)의 마이크로폰에서 오디오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디오가 검출되는 경우,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사용자 또는 비상 의료 기술자가 통화 연결을 통해 응답자와 직접 대화할 수 있도록, 오디오 메시지의 삽입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통화 연결을 일반 통화로 전환시키고 디바이스(302) 근처의 사람이 응답자와 직접 대화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의 작업흐름은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들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오디오를 검출할 수 있지만, 오디오가 배경 잡음(예컨대, 교통, 텔레비전, 군중 잡음 등)이고/이거나 이해할 수 없다고(예컨대, 사용자는 그들이 낙상으로 인해 의식이 혼미하기 때문에 이해되지 않고 있음)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업흐름은 계속될 수 있다(예컨대, 오디오 루프를 삽입하고/하거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기법들을 수행하는 것을 계속함).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302)에서 검출되는 오디오가 사용자로부터 나오고 있다는 소정 정도의 신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신뢰도 수준이 임계치 초과일 때에만,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이 작업흐름(예를 들어, 루핑 오디오)을 종료할 것이다. 이러한 예들 모두에서, 통화는 반드시 종료되지는 않을 것이며, 단지 오디오 메시지 및/또는 오디오 루핑만 그러하다.
추가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은 오디오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것을 텍스트 메시지 내에 끼워 넣고,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비상 서비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상 서비스는, 디바이스(302)가 통화 동안 셀룰러 연결성을 잃더라도, 여전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302)가 셀룰러 통화들을 직접 행할 수 없고, 선택적인 컴패니언 디바이스(336)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들에서, 오디오 루핑, 오디오 삽입, 및 UI 요소들은 디바이스(302)에 의해 여전히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패니언 디바이스(336)는 단지 통화를 위한 호스트로서(예컨대, 연결을 위한 터널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컴패니언 디바이스(336)가 셀룰러 통화 또는 비상 서비스에 대한 다른 연결을 호스팅하는 데 필요한 때에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은 여전히 동일하게 동작할 것이다.
위의 기법들 모두가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디바이스(302)의 임의의 수의 다양한 모듈들, 엔진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상기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낙상 검출, 오디오 검출, 텍스트 문자열 생성, 오디오 메시지 생성, 위치 결정 등은 각각 또는 모두 상이한 모듈들 또는 엔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설명된 기법들은 모두 단일 모듈 또는 엔진(예컨대,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의 낙상과 연관된 서명과 매칭되거나 실질적으로 매칭되는 사용자의 임의의 물리적 모션은, 사용자가 넘어졌다고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동차 사고에 관여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모션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서명이 낙상 서명과 매칭되거나 실질적으로 매칭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작업흐름은 사용자가 실제로 서있는 위치로부터 넘어지지 않았더라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비상 상황들에서,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넘어지지 않았을 수 있을 때에도, 비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프로세스들(400, 500))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방법들(400, 500)(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들, 또는 이들의 변형들 및/또는 조합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행가능 명령어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하에서 수행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집합적으로 실행되는 코드(예컨대, 실행가능 명령어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코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이다. 방법들(400, 500)은 도 3의 오디오 루프 제어 엔진(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블록(402)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물리적 사고의 발생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넘어졌다고 결정될 수 있다. 블록(404)에서, 사용자가 프롬프트(예컨대, 스크린 상의 UI 요소, 오디오 프롬프트, 및/또는 햅틱 프롬프트)에 응답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프롬프트들은, 사용자가 응답하거나 또는 사용자 응답 없이 진행하기로 결정될 때까지,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블록(406)에서, 사고가 발생했고 사용자가 일정 시간량 내에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비상 응답 서비스와 통신 채널을 확립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일단 연결되면, 블록(408)에서 물리적 사고와 연관된 오디오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다. 블록(410)에서, 방법(400)은 사용자가 응답하거나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오디오 메시지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도 5는 블록(502)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결정될 수 있다. 블록(504)에서, 사용자가 프롬프트에 응답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블록(506)에서,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했고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비상 응답 서비스와의 통신 채널이 확립될 수 있다. 방법(500)은 블록(508)에서 종료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오디오 메시지가 비상 응답 서비스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의 형태를 취하거나, 그 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그것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된 디바이스(600)이며, 웨어러블 메커니즘의 형태를 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고 밴드에 의해 그것에 고정될 수 있다. 메커니즘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시간을 가리키는 것; 사용자의 생리학적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그러한 신호들에 기초하여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 상이한 기능들을 갖는 상이한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일 수 있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 청각적, 햅틱, 시각적 및/또는 다른 감각적 출력 - 이들의 일부 또는 모두는 서로 동기화될 수 있음 - 을 포함할 수 있는 경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도시하는 것; 디바이스의 동작들을 개시, 제어, 또는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디바이스의 표면 상의 터치의 위치 및/또는 디바이스 상에 가해지는 힘의 양을 결정하고,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입력으로서 사용하는 것;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음성 입력을 수용하는 것;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촉각적 입력을 수용하는 것 등.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모바일 전화,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휴대용 미디어 재생기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들은 랩톱/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터치 스크린, 입력 감응 패드 또는 표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700)의 예시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예컨대, 도 6의 디바이스(600)와 유사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700)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762)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761)을 포함한다. 명령어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디바이스(700)에 관해 설명된 동작들 또는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들은 디바이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제어 또는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디스플레이(702),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컴포넌트(763),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764), 하나 이상의 센서(765), 스피커(706), 마이크로폰(707), 및/또는 하나 이상의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766)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은 단일 유닛으로 결합될 수 있고/있거나, 디바이스의 하우징을 통해 공통 포트를 공유할 수 있다.
도 7의 프로세싱 유닛들(761)은 데이터 또는 명령어들을 프로세싱,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들(761)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조합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서"는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 다수의 프로세서들, 다수의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다른 적합하게 구성된 컴퓨팅 요소 또는 요소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다양한 밴드, 스트랩, 또는 다른 유지 메커니즘(총칭하여, "밴드들")을 수용할 수 있다. 이들 밴드는, 디바이스 내의 리세스 또는 다른 개구에 수용되고 그것에 잠금되는 러그(lug)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러그는 밴드의 일부일 수 있거나 밴드로부터 분리가능할(그리고/또는 그와 별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러그는 전자 디바이스의 리세스 내에 잠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밴드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메커니즘을 해제하여, 러그가 슬라이드하거나 다른 식으로 리세스 밖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세스는 밴드 내에 형성될 수 있고 러그는 디바이스에 부착 또는 그에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와 전자 디바이스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두 카테고리의 혼합 및 매칭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형태 및/또는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가 유사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러그 및/또는 러그를 포함하는 밴드와 해제가능하게 정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밴드 및 디바이스의 생태계(ecosystem)가 구상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다른 것과 호환가능하다. 하나의 추가적인 예로서, 단일 밴드가 디바이스들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밴드는 전기 배선들을 포함하여, 두 디바이스들이 서로에 신호들을 송신하고 이에 따라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시간을 기록 및 디스플레이하여, 본질적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손목 시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시간은 디바이스, 그의 설정, 및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간은 디바이스의 외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스택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 스택은, 디스플레이 위에 놓이는, 커버 유리와 같은, 커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유리가 꼭 유리로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그러한 것은 옵션이며; 그것은 사파이어,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화학 강화 유리(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경화 플라스틱(hardened plastic)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기술일 수 있다. 요소들 중에서도 특히, 디스플레이 스택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700)는 또한 커버 유리 상의 터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택 상에 또는 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소정 실시예들에서 자기-용량성이거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호-용량성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유사하게, 디바이스(700)는 커버 유리에 가해진 힘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힘 센서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량성 센서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스트레인 센서일 수 있다. 어느 실시예에서든, 힘 센서는 일반적으로 투명하고 투명 재료들로 제조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뷰를 방해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아래 또는 그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힘 센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다른 변형가능 재료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용량성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용량성 플레이트들이 외부 힘 하에서 서로 더 가깝게 이동함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가 측정될 수 있고, 외부 힘의 값은 정전용량 변화로부터 상관될 수 있다. 또한, 힘 센서 상의 다수의 점들로부터의, 또는 다수의 힘 센서들로부터의 상대적 정전용량 변화들을 비교함으로써, 힘이 가해지는 위치 또는 위치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힘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주변부 아래에서 연장되는 개스킷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개스킷은 실시예에 따라, 분할되거나 일체형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700)는 사용자에게 경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경보는 디바이스의 상태의 변화(그의 일 예는 전력이 떨어지는 것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과 같은) 디바이스에 의한 정보의 수신; 디바이스와 (메시지가 대기 중이거나 통신이 진행 중임을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제2 유형의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게임의 일부로서, 또는 캘린더 약속이 임박할 때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 또는 (예컨대,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지거나 셧 다운(shut down)할 때와 같은) 운영 체제의 동작 상태; 등에 응답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경보에 대한 트리거들의 수 및 유형은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경보는 청각적, 시각적, 햅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햅틱 액추에이터는 디바이스 내에 하우징될 수 있고, 햅틱 출력을 생성하도록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햅틱 액추에이터는 회전형(rotary) 또는 다른 유형일 수 있다). 스피커는 경보의 청각적 컴포넌트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술한 디스플레이는 시각적 경보 컴포넌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용 발광체(light),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시각적 출력 컴포넌트는 경보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경보의 청각적, 햅틱 및/또는 시각적 컴포넌트들은 사용자에게 전체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동기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그것들 사이에 원하는 동기화를 생성하도록 다른 컴포넌트들에 대해 지연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그것들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지각되도록 동기화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햅틱 출력이 오디오보다 지각되는 데 더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햅틱 출력은 청각적 출력보다 약간 이전에 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햅틱 출력(또는 그 일부분)은 청각적 출력보다 상당히 이전에 그러나 약하거나 심지어 서브리미널(subliminal) 레벨로 개시됨으로써, 청각적 출력을 수신하게 될 것을 착용자에게 미리 알려줄(prime) 수 있다.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700)는 유선 연결부를 통해 또는 무선으로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어서, 하나의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로 정보를 중계하는 것;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 다른 디바이스의 센서들, 출력들, 및/또는 입력들을 이용하는 것 등을 허용한다.
도 8은 제2 (예컨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802)가 그의 주머니 내에 있는 채로 샘플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700)를 착용한 사용자(800)를 도시한다.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들(700, 802) 사이에서 무선으로 송신됨으로써, 사용자(800)가 제1 전자 디바이스(700)에 의해 제2 디바이스(802)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보고, 그것과 상호작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800)는 실제로 제2 디바이스(802)와 직접 상호작용할 필요 없이 제1 전자 디바이스(700)를 통해 제2 디바이스의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들(700, 802)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공유하기 위해서 협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디바이스 중 하나는, 다른 디바이스가 갖고 있지 않은 센서,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능력들이 없는 전자 디바이스는 그것들을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요청할 수 있으며, 다른 디바이스는 요청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디바이스들은 둘 사이에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사용자에게 확장된 기능, 소프트웨어, 액세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700)가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없는 반면에, 제2 디바이스(802)는 그것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700)를 통해 전화를 걸고/걸거나 받을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는 실제로 전화를 걸거나 받기 위해 제2 디바이스(802)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700)는 근방의 판매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품을 판매, 구매, 또는 반납하는 것과 같은 거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들 및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는 두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고 둘 사이의 유선 통신 경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들은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에게 정보를 중계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예는 제2 디바이스가 액세스가능하지 않을 경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소정 생리학적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생체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혈중 산소 포화도 레벨들을 결정하기 위해 맥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또는 그 대신에, 사용자의 신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가 체지방률, 신체의 전기적 활동, 신체 임피던스 등을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또한 혈압, 자외선 노출 등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 내에 통합되거나 그와 연관된 센서들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특성들이 측정 및/또는 추정됨으로써, 상이한 건강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감지된 생체측정 정보는, 부분적으로, 전자 콘텐츠(electronic content) 및/또는 착신 경보들을 관리하기 위해 경보 관리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은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충전 베이스는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디바이스 내의 유도 수신기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와 베이스 사이의 유도성 필드를 변화시킴으로써, 둘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하나의 간단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것은 디바이스가 베이스 상에 배치될 때 베이스를 저전력 슬립(low-power sleep) 상태로부터 활성 충전 상태로 웨이크(wake)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무선 충전 시스템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면, 근거리 자기 공명(near field magnetic resonance) 및 무선 주파수).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또한 전극들을 통한 유선 충전을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지주부(stem)를 갖는 크라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회전식 입력(rotary input)을 포함할 수 있다. 크라운 및 지주부는 회전 입력을 제공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지주부 및/또는 크라운의 회전은 광학적, 전기적, 자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크라운 및 지주부는 또한 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유형의 입력을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들)은 또 다른 입력을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눌러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버튼은 돔 스위치, 로커 스위치, 전기 콘택트, 자기 스위치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튼은 방수성이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환경에 대해 밀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포함하거나 다른 식으로 통합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디바이스의 모션을 검출하고, 모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또는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상태, 출력, 또는 입력을 제공, 수정, 중단하거나, 또는 그것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모션은 디바이스를 침묵시키거나(silence),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경보를 확인응답하는(acknowledge)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모션 센서들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력계, GPS 센서, 거리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위치 및/또는 내비게이션 지원을 용이하게 하거나 가능하게 하기 위해 GPS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700)는 또한 스피커(706) 및/또는 마이크로폰(707)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706)는 드라이브 전자장치 또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커맨드 또는 입력에 응답하여 가청음 또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마이크로폰(707)은 또한 드라이브 전자장치 또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커맨드 또는 입력에 응답하여 가청음 또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스피커(706) 및 마이크로폰(707)은 케이스 내의 포트 또는 개구에 음향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음향 에너지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액체 및 다른 오염물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은 주변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는 디바이스가 자신의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소정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감지된 주변광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광이 감지되지 않거나 거의 감지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이들 및 다른 기능, 동작, 및 능력은 그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를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햅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인지가능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햅틱 액추에이터의 형태를 취하거나 그와 관련될 수 있다. 그러한 액추에이터들은 전자기 코일, 영구 자석 또는 다른 자기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은 코일이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 질량체에 로렌츠 힘을 가함으로써 햅틱 액추에이터의 질량체에서 모션을 유도할 수 있다. 코일을 통하는 전류의 방향은 질량체의 모션의 방향을 결정하는 반면, 자기장의 강도는 질량체의 속도 및 그에 따른 햅틱 출력의 크기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현되는 햅틱 액추에이터들은, 전자 디바이스의 매우 콤팩트한 폼 팩터를 고려해서, 결과적인 기계적 에너지를 최대화 또는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햅틱 액추에이터는 질량체가 휴지 상태에 있을 때 코일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질량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질량체는 프레임 내에 부착된 자석 어레이로서 구현되는 반대 극성들의 2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은 질량체에 추가 무게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더 강한 햅틱 출력이 생성될 수 있다. 샤프트가 질량체를 통해 연장되어, 질량체가 샤프트 상에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자석 어레이는 코일이 전류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 코일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방사상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장들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얻어지는 로렌츠 힘은 질량체가 제1 방향으로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게 한다. 코일을 통한 전류 흐름을 반전시키는 것은 로렌츠 힘을 반전시킨다. 그 결과, 중심 자석 어레이 상의 자기장 또는 힘이 또한 반전되고, 질량체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량체는, 코일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향에 따라, 샤프트를 따라서 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코일을 통해 교류를 전달하는 것은 중심 자석 어레이가 샤프트를 따라 앞뒤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중심 자석 어레이가 샤프트에 끌어당겨지는 것(이는 둘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중심 자석 어레이 및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는 텅스텐, 티타늄,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비-페라이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또한 질량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조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이 샤프트의 양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질량체가 스프링에 충돌함에 따라, 스프링은 압축되고 운동 에너지를 저장한다. 이러한 운동 에너지는 해제되어 샤프트를 따라 질량체를 복귀시킴으로써, 그것을 그의 초기 시작 위치로 또는 그 근방에 보낼 수 있다. 스프링(들)내의 운동 에너지는 코일과 협력하여, 그러한 방식으로 자석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생체측정 센서를 갖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900)를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900)는 웨어러블 사용자 디바이스(106)의 일례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들 및 광검출기(951 내지 954)의 어레이가 디바이스(900)의 후방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에서, 광원들(951 내지 953)은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예컨대, 손목) 내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LED) 요소들로 형성된다. 광검출기(954)는 다수의 광원들(951 내지 953) 사이에서 공유되고 신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광검출기는 수신 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포토다이오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광검출기(954)에 의해 생성된 신호는 착용자와 연관된 건강 메트릭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광원들(951 내지 953) 및 광검출기(954)는 광용적맥파측정(PPG) 센서를 형성한다. 제1 광원(951)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신체에서 혈액 관류를 검출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녹색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원(952)은 예를 들어, 신체의 수분 함량 또는 다른 속성들에서의 변화들을 검출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적외선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953) 광원은 감지 구성에 따라 유사한 유형 또는 상이한 유형의 LED 요소일 수 있다. 광학(예를 들어, PPG) 센서 또는 센서들은 제한없이, 심박수, 호흡률, 혈액 산소 레벨, 혈액량 추정치, 혈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헬스 메트릭들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광원들(951 내지 953) 중 하나 이상 및 광검출기(954)는 또한 베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의 광학 데이터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하나의 예를 도시하지만, 상이한 예들에서는 광원들 및/또는 광검출기들의 수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예는 하나 초과의 광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는 또한 도 9의 예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광원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900)는 디바이스(900)의 외부 표면들 상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된 다수의 전극들(931, 932, 933, 934)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디바이스(900)는 디바이스 몸체(910)의 후방 대향 표면 상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제1 전극(931) 및 제2 전극(932)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제1 전극(931) 및 제2 전극(932)은 디바이스(9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피부와 전기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전극(931) 및 제2 전극(932)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전기 측정치를 취하거나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도 9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900)는 디바이스 몸체(910)의 케이스의 주연부 상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제3 전극(933) 및 제4 전극(93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3 전극(933) 및 제4 전극(934)은 디바이스(900)를 착용하고 있거나 그와 상호작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들에 의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3 전극(933) 및 제4 전극(934)은 또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전기 측정치를 취하거나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전극(931), 제2 전극(932), 제3 전극(933), 및 제4 전극(934) 모두는 사용자의 신체의 다른 건강 메트릭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측정치 또는 일련의 측정치들을 취하는 데 사용된다. 전극들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는 건강 메트릭들은 심장 기능들(ECG, EKG), 수분 함량, 체지방 비율들, 갈바닉 피부 저항(galvanic skin resistance), 및 이들의 조합들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구성에서, 전자 디바이스(900)는 케이스(910) 내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광원(951 내지 1254)이 각각의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광원(951 내지 1253)은 발광 다이오드(LED)로서 구현된다. 본 예에서, 4개의 개구들, 3개의 광원들(951 내지 1253), 및 단일 검출기(954)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예들은 임의의 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광원들이 일부 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광원들은 동일한 광 파장 범위에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광원들은 상이한 광 파장 범위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2개의 광원들의 경우, 하나의 광원은 가시 파장 범위의 광을 송신할 수 있는 한편, 다른 광원은 적외선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4개의 광원들의 경우, 2개의 광원들이 가시 파장 범위의 광을 송신할 수 있는 한편 다른 2개의 광원들은 적외선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녹색과 연관된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한편, 다른 광원은 적외선 파장 범위의 광을 송신한다. 사용자의 생리학적 파라미터가 결정되어야 할 경우, 광원들은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광을 방출하고 광학 센서가 반사 광의 양을 감지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광원들을 온 및 오프하고 반사 광을 샘플링 또는 감지하기 위해 변조 패턴 또는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선형 액추에이터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다른 유형의 액추에이터들이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은 회전 액추에이터, 압전 액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선형 또는 비선형 액추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정 실시예들은 협력하여 작동하는 다수의 액추에이터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오디오 루핑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시스템들이 전술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일부 또는 모두는 상기의 적어도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아키텍처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많은 실시예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및 셀룰러 전화 통화들을 참조하여 전술되지만, 다양한 기법들은 다른 유형들의 디바이스들 및 다른 네트워크/연결 기술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을 목적으로, 구체적인 구성들 및 상세사항들은 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일부 예들이 구체적인 상세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또한 명백할 것이다. 추가로, 공지된 특징부들은 설명되는 예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때때로 생략되거나 단순화되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추가로, 일부 경우들에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임의의 것을 동작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컴퓨터들,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동작 환경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은 표준 운영 체제를 실행하는 데스크톱 또는 랩톱 컴퓨터들과 같은 다수의 범용 개인용 컴퓨터들은 물론,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다수의 네트워킹 및 메시징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는 셀룰러, 무선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또한 다양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들 그리고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같은 목적들을 위한 다른 공지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임의의 것을 실행하는 다수의 워크스테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또한, 더미 단말들, 씬 클라이언트들, 게이밍 시스템들 및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FTP(File Transfer Protocol), UpnP(Universal Plug and Play), NFS(Network File System),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및 AppleTalk과 같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친숙할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가상 사설 네트워크,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적외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웹 서버를 이용하는 실시예들에서, 웹 서버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버들, FTP 서버들, CGI(Common Gateway Interface) 서버들, 데이터 서버들, Java 서버들, 및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을 포함한, 다양한 서버 또는 미드-티어(mid-tier) 애플리케이션들 중 임의의 것을 실행할 수 있다. 서버(들)는 또한, 예컨대 Java®, C, C# 또는 C++, 또는, Perl, Python 또는 TCL과 같은, 임의의 스크립팅 언어는 물론, 이들의 조합들과 같은,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프로그램들 또는 스크립트들을 실행할 수 있다. 서버(들)는 또한 Oracle®, Microsoft®, Sybase®, 및 IBM®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것들을 제한 없이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 저장소들 및 다른 메모리 및 저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로컬인(및/또는 그에 존재하는) 또는 네트워크를 거쳐 컴퓨터들 중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원격에 있는 저장 매체 상에서와 같이, 다양한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들의 세트에서, 정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익숙한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torage-area network)(SAN)에 존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컴퓨터들, 서버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귀속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파일들이, 적절한 경우, 로컬로 그리고/또는 원격으로 저장될 수 있다. 시스템이 컴퓨터화된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그러한 디바이스는 버스를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요소들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CPU),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컨트롤러, 터치 스크린 또는 키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프린터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그러한 시스템은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read-only memory)과 같은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들은 물론, 제거가능 매체 디바이스들, 메모리 카드들, 플래시 카드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판독기,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뎀, 네트워크 카드(무선 또는 유선)), 적외선 통신 디바이스 등), 및 전술된 바와 같은 작업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판독기는, 원격, 로컬, 고정식, 및/또는 제거가능 저장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물론,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를 일시적으로 및/또는 보다 영구적으로 포함, 저장, 송신, 및 검색하기 위한 저장 매체와 연결될 수 있거나 이를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다양한 디바이스들은 또한 전형적으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 메모리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 다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모듈들, 서비스들, 또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것이다. 대안의 실시예들이 전술된 것으로부터 수많은 변형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커스터마이즈된 하드웨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특정의 요소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애플릿들과 같은, 포터블 소프트웨어(portable software)를 포함함) 또는 둘 다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 입력/출력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대한 연결이 이용될 수 있다.
코드 또는 코드의 일부를 포함하기 위한 저장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다른 광학 저장소,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시스템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 및/또는 송신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제거가능 및 제거불가능 매체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는, 당업계에서 공지되거나 사용되는 임의의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내용 및 교시내용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식들 및/또는 방법들을 인식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 양태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비상 통화를 행하고 수신자에게 귀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상 상황을 돕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특정한 및 적법한 소스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수집 및 사용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부 예시들에서, 이러한 수집된 데이터가 특정 사람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또는 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는 인구통계 데이터, 위치 기반 데이터, 온라인 식별자,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집 주소, 사용자의 건강 또는 피트니스 레벨에 관한 데이터 또는 기록(예컨대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치, 투약 정보, 운동 정보), 생년월일, 또는 임의의 다른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기술에서의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이 사용자들에게 이득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건강 정보, 물리적 위치 등)는 사용자가 의학적 치료가 필요할 때 및/또는 사용자가 위치되는 곳을 식별하도록 비상 서비스 응답자들 및 기술자들을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전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는 어떤 유형의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유형의 기술자들이 사용자의 위치로 보내질지를 식별하도록 비상 서비스들을 도울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개, 전달, 저장, 또는 다른 사용을 담당하는 그러한 엔티티들이 잘 확립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또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준수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한다. 특히, 그러한 엔티티들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행정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거나 능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구현하고 일관되게 적용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개인 데이터의 사용에 관한 그러한 정보는 눈에 잘 띄고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액세스가능해야 하며,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사용이 변화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사용자들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적법한 사용들을 위해서만 수집되어야 한다. 또한, 그러한 수집/공유는 사용자들의 동의 또는 적용가능한 법률에 특정된 다른 적법한 근거를 수신한 후에만 발생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하며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절차들을 고수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단계들을 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그러한 엔티티들은 널리 인정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에 대한 그들의 고수를 증명하기 위해 제3자들에 의해 그들 자신들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정책들 및 관례들은 수집되고 그리고/또는 액세스되는 특정 유형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해 적응되어야 하고, 상위 표준을 부과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관할구역 특정 고려사항들을 포함한, 적용가능한 법률들 및 표준들에 적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정 건강 데이터의 수집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는 연방법 및/또는 주의 법, 예컨대, 미국 건강 보험 양도 및 책임 법령(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에서의 건강 데이터는 다른 법령들 및 정책들의 대상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처리되어야 한다.
전술된 것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은 또한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시예들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예컨대 개인 건강 정보의 경우에, 본 기술은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위한 등록 중 또는 이후 임의의 시간에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전달 시의 참여의 "동의함" 또는 "동의하지 않음"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서비스 제공자들에 그들의 개인 건강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제공되는 건강 정보의 양을 제한하도록 선택하여, 그에 따라 건강 정보의 전부가 아닌 일부가 공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들은 임의의 건강 정보가 아닌 위치 정보가 공유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동의" 및 "동의하지 않음"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본 개시내용은 개인 정보의 액세스 또는 이용에 관한 통지들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액세스될 앱을 다운로드할 시에 통지받고, 이어서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앱에 의해 액세스되기 직전에 다시 상기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요소들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가 관리 및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의도이다.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추가로, 그리고 소정의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 비롯하여,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 비식별화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식별자들을 제거하는 것, 저장된 데이터의 양 또는 특이성(specificity)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어, 주소 레벨에서보다는 도시 레벨에서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어, 사용자들에 걸쳐 데이터를 집계하는 것), 그리고/또는 차등 프라이버시(differential privacy)와 같은 다른 방법들에 의해, 비식별화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커버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또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즉,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의 결여로 인해 동작불가능하게 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사용자의 디바이스 상에서만 다루어지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들에 이용가능한 다른 비-개인 정보와 같은 집계된 비-개인 정보 데이터 또는 최소량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사용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식별가능한 정보의 사용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정부 요건들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따라야 하는 것이 잘 이해된다. 특히, 개인적으로 식별가능한 정보 데이터는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성들을 최소화하도록 관리되고 처리되어야 하며, 인가된 사용의 성질은 사용자들에게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보다 광의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변형들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내에 있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의 구성들이 가능하지만, 그의 소정 예시된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어 있으며, 앞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을 개시된 특정 형태 또는 형태들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고, 반대로, 의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들, 대안의 구조들 및 등가물들을 커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것과 관련하여(특히 이하의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용어들 "한(a)" 및 "한(an)" 및 "그(the)" 그리고 유사한 지시어들(referents)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둘 다를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들 "포함하는(comprising)", "갖는(hav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함유하는(containing)"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방형 용어들(open-ended terms)(즉,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을 의미함)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연결된"은, 개재하는 무언가가 있는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그 내에 포함되거나, 그에 부착되거나, 또는 함께 결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값들의 범위들의 열거는,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단지 그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별개의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약기 방법(shorthand method)으로서 역할하도록 의도되며, 각각의 별개의 값은 마치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열거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방법들은,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달리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들, 또는 예시 표현(language)(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보다 명확히 하도록 의도되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의 범주에 대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의 어떠한 표현도 임의의 비-청구된 요소를 본 개시내용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문구 "X, Y, 또는 Z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논리합 표현(disjunctive language)은,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항목, 항 등이 X, Y, 또는 Z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예를 들어, X, Y, 및/또는 Z)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맥 내에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이와 같이, 그러한 논리합 표현은 일반적으로 소정 실시예들이 X 중 적어도 하나, Y 중 적어도 하나, 또는 Z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존재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암시해서는 안된다.
본 개시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자들에 공지된 최상의 모드를 포함한,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변형들이 전술한 설명을 읽을 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경우 그러한 변형들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하며 본 발명자들은 본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되도록 의도한다. 그에 따라, 본 개시내용은, 적용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열거된 주제의 모든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앞서 설명된 요소들의 모든 가능한 변형들에서의 그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달리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에 의해 포괄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간행물들, 특허 출원들, 및 특허들을 포함한, 모든 참고문헌들은 이로써 각각의 참고문헌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되는 것으로 지시되고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17)

  1.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스피커;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스피커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적어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물리적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1 기간의 만료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제2 기간 동안 실행할 카운트다운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햅틱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기간의 만료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비상 응답 서비스에 통신 채널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비상 응답 서비스와의 통신 채널이 확립된 후에,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물리적 이벤트의 검출과 연관된 오디오 메시지의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상기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는 것은 제1 볼륨 레벨에서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제1 루프를 출력하고 제2 볼륨 레벨에서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제2 루프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것은:
    제1 시간에 제1 세기 레벨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것; 및
    제2 시간에 상기 제1 세기 레벨보다 큰 제2 세기 레벨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오디오 경보를 램프 업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햅틱 경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2 기간의 시작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2 기간의 끝에서 종료하는 증가하는 세기 레벨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햅틱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경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채널 요청을 상기 비상 응답 서비스에 송신할 것임을 나타내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추가적인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 상에 저장된 상기 추가적인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적어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기간의 만료 전에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비상 응답 서비스로 상기 통신 채널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는 동일한 유형의 프롬프트인, 모바일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는 제1 프롬프트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는 제2 프롬프트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상기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는 것은 적어도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통신 채널을 종료할 때까지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상기 2개 이상의 루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물리적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기간의 만료 후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제2 기간 동안 실행할 카운트다운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 동안,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 동안, 햅틱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기간의 만료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비상 응답 서비스에 통신 채널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 응답 서비스와의 통신 채널이 확립된 후에,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물리적 이벤트의 검출과 연관된 오디오 메시지의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상기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제1 루프와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제2 루프 사이에서 볼륨 레벨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1 시간에 제1 세기 레벨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제2 시간에 상기 제1 세기 레벨보다 큰 제2 세기 레벨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햅틱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간의 시작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2 기간의 끝에서 종료하는 증가하는 세기 레벨로 상기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햅틱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경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상 응답 서비스로의 상기 통신 채널 요청의 송신이 발생할 것임을 나타내는, 컴퓨터 구현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는 상기 비상 응답 서비스에 대한 상기 통신 채널 요청의 취소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기간의 만료 전에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채널 요청을 상기 비상 응답 서비스로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상기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루프의 볼륨 레벨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상기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7.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물리적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했는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가 제1 기간의 만료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제2 기간 동안 실행할 카운트다운 타이머를 시작하는 동작;
    상기 제2 기간 동안,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경보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 기간 동안, 햅틱 경보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기간의 만료 전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롬프트에 응답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비상 응답 서비스에 통신 채널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비상 응답 서비스와의 통신 채널이 확립된 후에,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물리적 이벤트의 검출과 연관된 오디오 메시지의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상기 2개 이상의 루프를 출력하는 동작은 제1 볼륨 레벨에서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제1 루프를 출력하고 제2 볼륨 레벨에서 상기 오디오 메시지의 제2 루프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45675A 2018-11-01 2019-10-28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KR102530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54406P 2018-11-01 2018-11-01
US62/754,406 2018-11-01
US201962809303P 2019-02-22 2019-02-22
US62/809,303 2019-02-22
US16/529,550 2019-08-01
US16/529,550 US10878683B2 (en) 2018-11-01 2019-08-01 Fall detection-audio looping
PCT/US2019/058401 WO2020092269A1 (en) 2018-11-01 2019-10-28 Fall detection - audio looping
KR1020217024533A KR20210099195A (ko) 2018-11-01 2019-10-28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533A Division KR20210099195A (ko) 2018-11-01 2019-10-28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46A KR20230007546A (ko) 2023-01-12
KR102530520B1 true KR102530520B1 (ko) 2023-05-08

Family

ID=7045900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166A KR102287597B1 (ko) 2018-11-01 2019-10-28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KR1020227045675A KR102530520B1 (ko) 2018-11-01 2019-10-28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KR1020217024533A KR20210099195A (ko) 2018-11-01 2019-10-28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166A KR102287597B1 (ko) 2018-11-01 2019-10-28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533A KR20210099195A (ko) 2018-11-01 2019-10-28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78683B2 (ko)
EP (2) EP4181546A1 (ko)
JP (2) JP7077484B2 (ko)
KR (3) KR102287597B1 (ko)
CN (2) CN114944047B (ko)
AU (2) AU2019369240B2 (ko)
WO (1) WO2020092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0152B2 (en) * 2015-06-10 2023-06-06 Avery Piantedosi Alarm notification system
US11263891B2 (en) 2019-05-15 2022-03-01 Skydome Ab Enhanced emergency response
EP4044906A4 (en) 2019-10-15 2023-05-24 Imperative Care, Inc. MULTIVARIABLE ATTACK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10270050A1 (en) * 2020-02-27 2021-09-02 Mirza Faizan System to prevent injury from stair fall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9388B2 (ja) * 1996-09-26 1999-07-12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無線電話機
JP2000251177A (ja) * 1999-02-26 2000-09-14 Harada Ind Co Ltd 携帯用緊急通報装置
KR20040041729A (ko) * 2002-11-11 2004-05-20 주식회사 씨엔씨프로젝트 전동차의 비상자동시스템
JP2005303864A (ja) 2004-04-15 2005-10-2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JP4143581B2 (ja) * 2004-08-24 2008-09-03 Necフィールディング株式会社 災害対処システム、災害対処方法、災害対処装置、及び災害対処プログラム
JP2006277464A (ja) * 2005-03-30 2006-10-12 Yamaha Corp 緊急連絡装置、緊急事態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ならびに判定方法
US8718235B2 (en) * 2006-03-03 2014-05-06 Kyocera Corporatio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CN101051822A (zh) * 2007-03-23 2007-10-10 炬力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种自动控制和调节播放音量的方法
US9011352B2 (en) 2008-08-28 2015-04-21 Koninklijke Philips N.V. Fall detection and/or prevention systems
CN102204224B (zh) * 2008-10-27 2014-07-09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
KR101106491B1 (ko) * 2009-06-22 2012-01-20 김기성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US8369488B2 (en) * 2011-03-15 2013-02-05 At&T Mobility Ii Llc Triggering a 911 voice call from a non-voice message
JP2012199754A (ja) 2011-03-22 2012-10-1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無線通信装置
CA2773507C (en) 2011-04-04 2020-10-13 Mark Andrew Hanson Fall detection and reporting technology
ES2482591B1 (es) 2012-08-29 2015-05-29 Vodafone España, S.A.U. Detección de caídas
US9282436B2 (en) * 2012-10-17 2016-03-08 Cellco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device
CN102903207B (zh) * 2012-10-31 2014-12-17 陈志平 基于加速度检测的呼叫报警方法、系统及呼叫报警设备
JP2014230207A (ja) 2013-05-24 2014-12-08 一般社団法人Jmii 転倒時通報システム及び転倒時通報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US10687193B2 (en) * 2013-09-19 2020-06-16 Unaliwear, Inc. Assist device and system
US9390612B2 (en) * 2013-11-26 2016-07-12 Verizon Telematics, Inc. Using audio signals i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US9293023B2 (en) 2014-03-18 2016-03-22 Jack Ke Zhang Techniques for emergency detection and emergency alert messaging
US10043369B2 (en) * 2014-03-20 2018-08-07 Better Alert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medical emergency alerts
US9818282B2 (en) 2014-09-12 2017-11-14 Plantronics, Inc. Wearable sends message on fall when worn
JP6560512B2 (ja) * 2015-03-18 2019-08-14 セコム株式会社 異常検出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464002B2 (ja) * 2015-03-19 2019-02-06 セコム株式会社 転倒検知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9449495B1 (en) 2015-05-15 2016-09-20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Crash detection and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implementing emergency assistance
US9843916B2 (en) * 2015-05-22 2017-12-12 Nebulys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emergency contact routing
CN104966380B (zh) * 2015-06-12 2018-04-13 深圳开源创客坊科技有限公司 一种可监控人体意外摔倒的报警系统及方法
US10665079B2 (en) 2015-12-15 2020-05-26 Tracfone Wireless, Inc. Device, system, and process for automatic fall detection analysis
CN105448040A (zh) * 2015-12-23 2016-03-30 深圳市嘉兰图设计股份有限公司 具有预报警功能的跌倒报警系统
US10147296B2 (en) 2016-01-12 2018-12-04 Fallcall Solutions, Llc System for detecting falls and discriminating the severity of falls
US9717101B1 (en) * 2016-01-22 2017-07-25 Andrew D. Burnham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elderly individuals using mobile device
KR101803359B1 (ko) * 2016-02-12 2017-11-3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US20170318446A1 (en) * 2016-04-29 2017-11-02 Hangyul LEE Emergency reporting device and method
CN205680244U (zh) * 2016-06-23 2016-11-09 张天钰 一种老年人紧急求助装置
CN106293605A (zh) * 2016-08-12 2017-01-0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方法及装置
EP3288000A1 (en) * 2016-08-25 2018-02-28 Continyou As Fall warning for a user
WO2018227076A1 (en) * 2017-06-08 2018-12-13 Guardian Band, Inc. Wearable personal safet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07391062A (zh) * 2017-06-23 2017-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屏幕显示的方法、装置及其移动终端
JP6440801B2 (ja) * 2017-11-02 2018-12-19 みこらった株式会社 自動運転車及び自動運転車用プログラム
US10524737B2 (en) * 2018-05-08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dition detection in a virtual reality system or an augmented realit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369240B2 (en) 2021-06-24
US20200143654A1 (en) 2020-05-07
WO2020092269A1 (en) 2020-05-07
US10878683B2 (en) 2020-12-29
KR102287597B1 (ko) 2021-08-10
EP3850880B1 (en) 2023-02-08
AU2021209354A1 (en) 2021-08-26
CN114944047B (zh) 2024-05-03
JP7077484B2 (ja) 2022-05-30
JP7411009B2 (ja) 2024-01-10
KR20210099195A (ko) 2021-08-11
KR20210055784A (ko) 2021-05-17
CN114944047A (zh) 2022-08-26
AU2021209354B2 (en) 2023-03-16
EP3850880A1 (en) 2021-07-21
JP2021535691A (ja) 2021-12-16
JP2022119851A (ja) 2022-08-17
CN112956220B (zh) 2022-06-21
EP4181546A1 (en) 2023-05-17
AU2019369240A1 (en) 2021-05-20
KR20230007546A (ko) 2023-01-12
CN112956220A (zh)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520B1 (ko)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US11433290B2 (en) Sharing updat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US11605274B2 (en) Fall detection—audio looping
TWI621011B (zh) 用於可變觸覺輸出之處理器實施方法、運算器件實施方法、電腦程式產品及資訊處理裝置
US9794402B2 (en) Updating device behavior based on user behavior
WO2020227005A1 (en) Configuring context-based restrictions for a computing device
US9819617B2 (en) Dynamic rule-based notifications
US20160066124A1 (en) Alert manager
WO2015145401A1 (en) Simple video communication platform
US20150145674A1 (en) Caretaking Communication Bracelet
JP6605774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053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of a portable device to provide neural feedback treatment and any type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