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491B1 -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491B1
KR101106491B1 KR1020090055284A KR20090055284A KR101106491B1 KR 101106491 B1 KR101106491 B1 KR 101106491B1 KR 1020090055284 A KR1020090055284 A KR 1020090055284A KR 20090055284 A KR20090055284 A KR 20090055284A KR 101106491 B1 KR101106491 B1 KR 10110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rescue
internet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063A (ko
Inventor
하태민
황기열
김기덕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김기성
글로벌에이치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성, 글로벌에이치에스티(주) filed Critical 김기성
Priority to KR102009005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49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센싱부, 본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센싱부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본체부는 주소 및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본체부는 센싱 신호에 응답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 본체부는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한 송신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전원부는 외부 전원에 기초하여 생성한 동작 전원을 센싱부와 본체부에 공급한다. 주소는 본체부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정확한 위치와 위급 상황이 긴급 구조 센터와 미리 등록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통보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 통신 단말기, 긴급 구조 센터, 버튼 입력부

Description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Internet phone terminal with a function of emergency rescue request and emergency rescue request system including the internet phone terminal and emergency rescue request method using the internet phone terminal}
본 발명은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보안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보안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서,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가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보안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 수화기를 들고 설정된 시간 동안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로 두면, 긴급 구조 센터(관할 지구대나 경찰서 또는 소방서)에 해당 사용자의 위급 상황이 자동으로 신고된다. 이때, 공중 전화 교환망의 통신 사업자가 발신자 전화 번호에 대 응하는 사용자의 주소를 긴급 구조 센터에 전달해 줌으로써, 위급 상황이 신고된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주소가 긴급 구조 센터의 컴퓨터에 표시된다. 따라서 경찰관이나 소방관은 컴퓨터에 표시된 사용자의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주소지에 방문하여 사용자를 위급 상황으로부터 구조할 수 있다.
현재 이 보안 서비스는 편의점, 주유소, 귀금속 상점, 여성 운영 업소와 같은 SMB(small and medium business) 업체 위주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농아자나 청각장애인과 같이 정상적인 전화 통화가 불가능하거나, 노약자(어린이, 독거 노인)와 같이 정확한 정보 전달이 어려운 사용자에게 이 보안 서비스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전화기 주변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수화기를 잘못 건드리는 등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잘못된 신고가 긴급 구조 센터에 접수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잘못된 신고 접수로 인하여, 위급한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경찰관이나 소방관이 해당 사용자에게 방문하게 됨에 따라, 긴급 구조 센터의 업무가 과중되고, 이 때문에 실제로 위급 상황에 처한 다른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방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강도의 침입과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전화기의 수화기를 드는 행위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도 있고, 이러한 행위는 침입자를 더욱 자극하게 되어, 사용자는 침입자에 의해 오히려 더 큰 상해를 입을 수도 있다. 시간제 종업원이 고용된 업소의 경우, 종업원이 해당 업소가 보안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미처 알지 못하여 보안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 보안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자주 이사하여 주소가 자주 변경되거나 보안 서비스에 가입한 업소의 업종 변경으로 인하여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전화번호가 긴급 구조 센터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고, 변경된 주소가 통신 사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야 정상적인 보안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변경된 주소 및 전화번호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전화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보안 서비스를 위해 인터넷 전화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전화의 통신 사업자는 기본적으로 발신자 전화 번호의 주소를 착신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간혹 발신자 전화 번호를 착신자에게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이동이 자유로운 인터넷 전화기의 특성상, 인터넷 전화의 가입시 등록된 주소와 실제로 인터넷 전화기가 사용되는 곳의 주소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긴급 구조 센터에서는 인터넷 전화 발신자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해야 한다.
하지만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긴급 구조 센터가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도움을 줄 수 없다. 특히, 유동 IP 주소를 이용하는 사용자(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의 경우 긴급 구조 센터에서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 번호 이동을 통하여 공중 전화 교환망의 가입자에서 인터넷 전화 가입자 로 변경한 사용자는, 공중 전화 교환망 가입시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인터넷 전화번호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 지역(지역번호; 02)에서 공중 전화 교환망에 가입하고, 번호 이동으로 인터넷 전화에 가입한 후, 부산 지역(지역번호; 051)으로 이사한 경우, 서울 지역에서 사용하던 전화번호(02-XXX-XXXX)를 그대로 인터넷 전화번호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긴급 구조 센터에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긴급 버튼 입력 또는 특정 코드 번호 입력 등의 이벤트(event) 발생 시, 미리 저장된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를 음성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또는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출하여 신고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고,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신고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와 위급 상황을 긴급 구조 센터와 미리 등록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긴급 버튼 입력 또는 특정 코드 번호 입력 등의 이벤트 발생 시, 미리 저장된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를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또는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출하여 신고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고,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신고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와 위급 상황을 긴급 구조 센터와 미리 등록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긴급 버튼 입력 또는 특정 코드 번호 입력 등의 이벤트 발생 시, 미리 저장된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를 음 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또는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출하여 신고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고,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신고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와 위급 상황을 긴급 구조 센터와 미리 등록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센싱부, 본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센싱부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본체부는 주소 및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본체부는 센싱 신호에 응답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 본체부는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한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본체부는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1 수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한다. 전원부는 외부 전원에 기초하여 생성한 동작 전원을 센싱부와 본체부에 공급한다. 주소는 본체부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이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 인터넷 전화 단말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교환 서버, 및 인터넷 서버를 포함한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 주소 및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데이터 파일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및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통신한다. 교환 서버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간의 호를 연결한다. 인터넷 서버는 인터넷 통신망을 제공한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주소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이다.
상기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은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교환 서버에 의해,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간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송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의해, 송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은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교환 서버에 의해,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간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 적으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은, 긴급 버튼 입력 또는 특정 코드 번호 입력 등의 이벤트(event) 발생 시, 미리 저장된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를 음성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또는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출하여 신고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고,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신고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와 위급 상황을 긴급 구조 센터와 미리 등록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만이 도시되고, 각 구성 요소들 간의 송수신 신호들에 대한 도시가 생략된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는 센싱부(101), 본체부(102), 및 전원부(103)를 포함한다.
센싱부(101)는 버튼 입력부(201 또는 202)와 유선 통신한다. 버튼 입력부(201)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주변에,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02)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주변에,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101)는 버튼 입력부(203)와 무선 통신한다. 버튼 입력부(203)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01∼203 중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때 버튼 입력 신호(BTIN)를 센싱부(101)에 출력한다. 센싱부(101)는 버튼 입력부(201∼203 중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 신호(BTIN)에 응답하여, 센싱 신호(SEN)를 출력한다.
본체부(102)는 메모리(110), 사용자 인터페이스(interface)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및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 및 긴급 구조 센터(예를 들어, 관할 지구대나 경찰서 또는 소방서)의 전화번호(N1)를 저장한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또는 제조된 후 제품이 출고되기 전에, 제품 생산자는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N1)로서 제품 생산자의 콜 센터 전화번호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메모리(110)에 저장한 후 판매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제품 구입 초기에 제품의 사용 문의 등이 필요할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품 생산자의 콜 센터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제품 생산자의 콜 센터의 전화번호를 원하는 순위로 변경하고,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N1)로서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의 전화번호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또는 제조된 후 제품이 출고되기 전에, 제품 생산자가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N1)(예를 들어, 경찰서(112) 또는 소방서(119))를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N1)가 복수개(112, 119 등)인 경우, 제품 생산자가 그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에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N1)가 디폴트(default)로 저장된 상태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판매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를 구입한 후, 자신이 원하는 추가 의 전화번호들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로서 더 입력하여 메모리(11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폴트로 저장되어 있는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 번호(N1)가 복수개인 경우, 이 전화 번호들의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어떠한 전화번호도 저장되지 않은 상태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판매된 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될 전화번호들에 대한 호출 우선 순위(예를 들어, 우선 순위 1 = 관할 지구대(XXX-XXXX), 우선 순위 2 = 경찰서(112), 우선 순위 3 = 소방서(119), 우선 순위 4 = 옆집(OOO-OOOO), ....)를 결정하여, 그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들을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 메모리(110)는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P는 자연수)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긴급 호출 전화번호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 또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사람들의 집 전화번호 또는 휴대폰 전화번호일 수 있고, 또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이웃집 전화번호일 수 있다.
메모리(110)는 ARS(Audio Response System) 음성 데이터(ARSDATA)를 더 저장한다. ARS 음성 데이터(ARSDATA)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을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에 녹음할 수 있도록,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조작 순서를 안내하는 음성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표시부(121), 마이크(122), 오디오 신호 처리 부(123), 스피커(124), 미디어 프로세서(media processor)(125), 및 입력부(126)를 포함한다. 표시부(121)는 본체부(102)의 동작과 관련한 표시 정보(DISP)를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ADATA)로 변환하여 미디어 프로세서(125)에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23)는 미디어 프로세서(125)로부터 수신되는 디코딩 오디오 데이터(DADAT)에 기초하여,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124)에 출력한다.
미디어 프로세서(125)는 오디오 데이터(ADATA)를 인코딩하여,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1)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미디어 프로세서(125)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2)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오디오 데이터(DADAT)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123)에 출력한다.
미디어 프로세서(125)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ARS 음성 데이터(ARSDATA)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123)에 출력한다. 그 결과, 오디오 신호 처리부(123)가 ARS 음성 데이터(ARSDATA)에 기초하여,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을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에 녹음할 수 있도록,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조작 순서를 안내하는 음성을 스피커(124)에 출력한다. 미디어 프로세서(125)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표시 정보(DISP)를 표시부(121)에 출력한다.
또, 미디어 프로세서(125)는 제어부(130)로부터 녹음 제어 신호(RCTL)를 수신할 때, 녹음 제어 신호(RCTL)에 응답하여, 마이크(122)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ADATA)를 인코딩하여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을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26)로부터 수신되는 녹음 선택 신호(RSEL)에 응답하여, 녹음 제어 신호(RCTL)와 ARS(Audio Response System) 음성 데이터(ARSDATA)를 미디어 프로세서(125)에 출력한다.
입력부(126)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들(INS1∼INSH)(H는 자연수), 또는 코드 입력 신호(CINS1), 또는 녹음 선택 신호(RSEL)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센싱부(101)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SEN)에 응답하여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을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30)는 센싱 신호(SEN)가 수신되지 않을 때, 사용자에 의한 특정 코드 번호의 입력에 따라,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와 긴급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 도 3참고)간의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130)가 입력부(126)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CINS1)를 수신하거나, 또는 긴급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또는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가 발생한 코드 입력 신호(CINS2)를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할 때,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의 실행에 따라,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N1)에 기초한 호 연결 요청 신호(CALL1)와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을 통신부(140)에 출력한다. 이 경우, 통신부(140)는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생성한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전송한다. 그 결과,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 기(213)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1)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출력한다.
또, 메모리(110)에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가 저장된 경우, 제어부(130)는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의 실행에 따라,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에 각각 기초한 호 연결 요청 신호들(CN_CALL1∼CN_CALLP)(P는 자연수)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통신부(140)에 더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 신호들(INS1∼INSH) 중 하나에 응답하여 통화 상대방의 전화번호(N2)에 기초한 호 연결 요청 신호(CALL2)를 통신부(140)에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인터넷 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일반 전화기)와의 호 연결 시, 미디어 프로세서(125)로부터 수신되는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1)를 통신부(140)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2)를 미디어 프로세서(125)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30)는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입력부(126)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들(INS1∼INSH) 중 다른 하나에 응답하여,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N1)에 기초한 호 연결 요청 신호(CALL3)를 통신부(140)에 출력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30)는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의 실행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을 통신부(14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140)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생성한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 기(213)에 전송한다. 그 결과,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2)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26)의 특정 기능 버튼의 입력을 통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한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전송하는 것 이외에,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한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추가로 전송하게 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입력부(126) 및 제어부(130)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입력부(126)의 특정 기능 버튼을 입력하면, 입력부(126)는 전송 제어 신호(TCTL)를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전송 제어 신호(TCTL)에 응답하여 텍스트 전송 모드로 동작한다. 제어부(130)는 텍스트 전송 모드에서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의 실행에 따라, 또는 코드 입력 신호(CINS1 또는 CINS2)에 응답하여,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을 통신부(140)에 출력한다. 한편, 텍스트 전송 모드가 아닐 때, 제어부(130)는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의 실행에 따라, 또는 코드 입력 신호(CINS1 또는 CINS2)에 응답하여, 음성 데이터 파일(VDATA)만을 통신부(140)에 출력한다.
선택적으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제조 시, 디폴트로, 제어부(130)가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의 실행에 따라, 또는 코드 입력 신호(CINS1 또는 CINS2)에 응답하여, 음성 데이터 파일(VDATA)만을 통신부(140)에 출력하도록 구현 될 수 있다.
또,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제조 시, 디폴트로, 제어부(130)가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의 실행에 따라, 또는 코드 입력 신호(CINS1 또는 CINS2)에 응답하여,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을 통신부(140)에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130)를 텍스트 전송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특정 기능 버튼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통신부(140)는 패킷(packet) 생성부(141), 패킷 해석부(142), 및 IP(internet procotol) 송수신부(143)를 포함한다. 패킷 생성부(141)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CALL1∼CALL3, CN_CALL1∼CN_CALLP 중 하나)를 IP 송수신부(143)에 출력한다. 선택적으로, 패킷 생성부(141)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들(CALL1∼CALL3, CN_CALL1∼CN_CALLP)을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하나씩 순차적으로 IP 송수신부(143)에 출력할 수도 있다.
패킷 생성부(141)는 제어부(130)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CALL1)와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을 수신할 때,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생성한다.
패킷 생성부(141)는 제어부(130)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CN_CALL1∼CN_CALLP)와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을 수신할 때,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및/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생성한다.
패킷 생성부(141)는 제어부(130)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CALL1)와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을 수신할 때,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생성한다.
패킷 생성부(141)는 제어부(130)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CALL2)와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1)를 수신할 때,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1)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 패킷(TPK3)을 생성한다. 패킷 생성부(141)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TPK3 중 하나), 또는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및/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IP 송수신부(143)에 출력한다.
패킷 생성부(141)는 제어부(130)로부터 음성 메시지 또는 단문 메시지의 일괄 전송 요청을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SN_CALL)를 수신할 때, 호 연결 요청 신호(SN_CALL)를 IP 송수신부(143)에 출력한다. 이 경우, 메모리(110)에는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대신에 관리 및 동보(즉, 동시 보고) 서버(218)의 전화 번호(SN)가 저장된다.
패킷 해석부(142)는 IP 송수신부(143)로부터 수신 데이터 패킷(RPK1)을 수신할 때, 수신 데이터 패킷(RPK1)을 해석하여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2)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패킷 해석부(142)는 IP 송수신부(143)로부터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을 수신할 때,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을 해석하여 코드 입력 신호(CINS2)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IP 송수신부(143)는 패킷 생성부(141)로부터 수신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CALL1 또는 CALL3)에 응답하여,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 도 3참고)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와의 호 연결 시, IP 송수신부(143)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또는 TPK2)을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전송한다.
IP 송수신부(143)는 패킷 생성부(141)로부터 수신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CALL2)에 응답하여,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214 또는 216)를 통하여 교환기(215 또는 217)에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VP1∼VPK 중 하나, 또는 M1∼MJ 중 하나, 또는 P1∼PL 중 하나)(K, J, L은 자연수)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VP1∼VPK 중 하나, 또는 M1∼MJ 중 하나, 또는 P1∼PL 중 하나)와의 호 연결 시, IP 송수신부(143)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3)을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게이트웨이(214 또는 216), 또는 인터넷 전화기(VP1∼VPK 중 하나)(K는 자연수)에 전송한다.
IP 송수신부(143)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3)을 게이트웨이(214, 도 3 참고)에 전송한 경우, 게이트웨이(214)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3)을 이동 통신망(205)을 통하여 교환기(215)에 전송한다. 그 결과, 교환기(215)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3)을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M1∼MJ 중 하나)(즉,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 IP 송수신부(143)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3)을 게이트웨이(216)에 전송한 경우, 게이트웨이(216)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3)을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통신망(206)을 통하여 교환기(217)에 전송한다. 그 결과, 교환기(217)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3)을 해당 일반 전화기(P1∼PL 중 하나)(즉,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IP 송수신부(143)는 패킷 생성부(141)로부터 수신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CN_CALL1∼CN_CALLP 중 하나)에 응답하여,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에,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214 또는 216)를 통하여 교환기(215 또는 217)에,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의 통신 단말기(VP1∼VPK, M1∼MJ, P1∼PL 중 적어도 하나)(K, J, L은 자연수)에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 그 결과,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가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의 통신 단말기(VP1∼VPK 중 하나, 또는 M1∼MJ 중 하나, 또는 P1∼PL 중 하나)에 전송한다.
한편,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의 통신 단말기(VP1∼VPK 중 하나, 또는 M1∼MJ 중 하나, 또는 P1∼PL 중 하나) 중에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일반 전화기), IP 송수신부(143)는 음성 메시지 패킷(VMSG)을 게이트웨이(216)에 전송한다.
IP 송수신부(143)는 패킷 생성부(141)로부터 음성 메시지 또는 단문 메시지의 일괄 전송 요청을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SN_CALL)를 수신할 때, 호 연결 요청 신호(SN_CALL)를 관리 및 동보 서버(218, 도 3 참고)에 전송한다. 이 경우, 메모리(110)에는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대신에 관리 및 동보 서버(218)의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IP 송수신부(143)는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VP1∼VPK 중 하나, 또는 M1 ∼MJ 중 하나, 또는 P1∼PL 중 하나)로부터 수신 데이터 패킷(RPK1)을 수신하여 패킷 해석부(142)에 출력한다. 또, IP 송수신부(143)는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로부터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을 수신할 때,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을 패킷 해석부(142)에 출력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에 접속된 PC(personal computer)(219, 도 3참고)와 제어부(130)간의 통신을 제공한다. 전원부(103)는 외부 전원(VE)에 기초하여 동작 전원(VI)을 생성하고, 동작 전원(VI)을 센싱부(101)와 본체부(102)의 각 장치에 공급한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서는 전원부(103)와, 센싱부(101) 및 본체부(102)의 각 장치들간의 전원 공급을 위한 연결 상태에 대한 도시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2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만이 도시되고, 각 구성 요소들 간의 송수신 신호들에 대한 도시가 생략된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을 참고하여 상술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와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인터넷 전화 단말기들(100', 100)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들(100', 100)간의 차이점 중 하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본체부(102)가, 표시부(121), 마이크(122), 오디오 신호 처리부(123), 스피커(124), 및 입력부(126)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 들(100', 100)간의 차이점 중 다른 하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의 본체부(102)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에는 일반 전화기(220, 도 3 참고)가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일반 전화기(220)는 PSTN 통신망(206)을 통하여 통신하는 일반적인 유선 및/또는 무선 전화기를 의미한다. 일반 전화기(220)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일반 전화기(220)와 연결된 후, 일반 전화기(220)와 제어부(130)간의 통신을 제공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일반 전화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ADATA)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일반 전화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 입력 신호(CINS1)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일반 전화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INS1∼INSH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일반 전화기(220)로부터 수신되는 녹음 선택 신호(RSEL)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일반 전화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제어 신호(TCTL)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디코딩 오디오 데이터(DADAT)를 일반 전화기(220)에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녹음 선택 신호(RSEL)에 응답하여, ARS 음성 데이터(ARSDATA)를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출력하고, 녹음 제어 신호(RCTL)를 미디어 프로세서(125)에 출력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ARS 음성 데이터(ARSDATA)를 일반 전화기(220)에 출력한다.
미디어 프로세서(125)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ADATA)를 인코딩하여,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1)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미디어 프로세서(125)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IADAT2)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오디오 데이터(DADAT)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또, 미디어 프로세서(125)는 제어부(130)로부터 녹음 제어 신호(RCTL)를 수신할 때, 녹음 제어 신호(RCTL)에 응답하여,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ADATA)를 인코딩하여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을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은 버튼 입력부(201∼203 중 적어도 하나),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인터넷 서버(211), 교환 서버(212), 긴급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 게이트웨이(214), 교환기(215), 게이트웨이(216), 교환기(217), 관리 및 동보 서버(218), PC(219)를 포함한다. 또,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대신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를 포함할 경우, 일반 전화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에서 버튼 입력부들(201∼203)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추가의 버튼 입력부(미도시)가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인터넷 서버(211)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에 인터넷 통신망(204)을 제공한다. 교환 서버(212)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 간의 호를 연결한다. 또, 교환 서버(212)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호 연결 요청, 또는 인터넷 전화기(VP1∼VPK 중 하나)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인터넷 전화기(VP1∼VPK 중 하나) 간의 호를 연결한다.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의 호 연결 시,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통신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한다. 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2)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를 출력한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 또는 텍스트는, 예를 들어, "여기는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동 000번지 000편의점입니다. 도와주세요"와 같이 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14)는 인터넷 통신망(204)과 이동 통신망(205)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게이트웨이(214)는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M1∼MJ 중 하나)(J는 자연수)와의 호 연결 요청과 관련한 정보를 이동 통신망(205)을 통하여 교환기(215)에 전송한다. 게이트웨이(214)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이동통신 단말기(M1∼MJ 중 하나)간의 호 연결 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이동통신 단말기(M1∼MJ 중 하나)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교환기(215)는 이동 통신망(205)의 통신을 제어한다. 교환기(215)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이동통신 단말기(M1∼MJ 중 하나) 간의 호를 연결한다. 또, 교환기(215)는 인터넷 전화기(VP1∼VPK 중 하나)(K는 자연수) 또는 일반 전화기(P1∼PL 중 하나)(L은 자연수)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기(VP1∼VPK 중 하나) 또는 일반 전화기(P1∼PL 중 하나)와, 이동통신 단말기(M1∼MJ 중 하나) 간의 호를 연결한다.
게이트웨이(216)는 인터넷 통신망(204)과 PSTN 통신망(206)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게이트웨이(216)는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 수신되는 일반 전화기(P1∼PL 중 하나)와의 호 연결 요청과 관련한 정보를 PSTN 통신망(206)을 통하여 교환기(217)에 전송한다. 게이트웨이(216)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일반 전화기(P1∼PL 중 하나)간의 호 연결 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일반 전화기(P1∼PL 중 하나)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교환기(217)는 PSTN 통신망(206)의 통신을 제어한다. 교환기(217)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일반 전화기(P1∼PL 중 하나) 간의 호를 연결한다. 또, 교환기(217)는 인터넷 전화기(VP1∼VPK 중 하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M1∼MJ 중 하나)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기(VP1∼VPK 중 하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M1∼MJ 중 하나)와, 일반 전화기(P1∼PL 중 하나) 간의 호를 연결한다.
관리 및 동보 서버(218)는, 사용자 각각이 자신의 PC(219)를 통하여 관리 및 동보 서버(218)가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site)에 접속하여, 사용자 각각의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를 텍스트로 입력할 때, 상기 텍스트를 각 사용자별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로 각각 변환한다. 관리 및 동보 서버(218)는 각 사용자별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을 저장한다. 또, 관리 및 동보 서버(218)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동작에 필요한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을 저장한다.
PC(219)는 인터넷 통신망(204)에 연결되고,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에 접속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PC(219)에 접속될 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PC(219)를 통하여 관리 및 동보 서버(218)로부터 다운받은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과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EPGM)을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관리 및 동보 서버(218)에는 각 사용자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는 자신의 PC(219)를 통하여 관리 및 동보 서버(218)가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를 더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음성 메시지 또는 단문 메시지의 일괄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SN_CALL)를 관리 및 동보 서버(218)에 전송할 때, 관리 및 동보 서버(218)는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및 단문 메시지 패킷(SMSG)를 생성한다.
이 후, 관리 및 동보 서버(218)는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및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의 통신 단말기들에 일괄적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의 통신 단말기들은 인터넷 전화기(VP1∼VPK), 이동통신 단말기(M1∼MJ), 일반 전화기(P1∼P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에는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대신에 관리 및 동보 서버(218)의 전화 번호(SN)가 저장된다. 전화 번호(SN)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판매되기 전에 디폴트로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판매된 후, 사용자에 의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에 등록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전화 번호(SN)에 기초하여 생성한 호 연결 요청 신호(SN_CALL)를 관리 및 동보 서버(218)에 전송한다.
일반 전화기(220)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일반 전화기(220)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에 연결된 후,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220)를 조작하여, 긴급 구조 센터(예를 들어, 관할 지구대나 경찰서 또는 소방서)의 전화번호(N1)와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를 자신이 결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에 미리 등록해 둘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220)를 조작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을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에 녹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11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제어부(130)는 센싱부(101)로부터 센싱 신호(SEN)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버튼 입력 신호(BTIN)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01). 버튼 입력 신호(BTIN)가 수신될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단계 1102).
교환 서버(212)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 간의 호를 연결한다(단계 1103).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 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생성한다(단계 1104).
이 후,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전송한다(단계 1105). 그 결과,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1)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한다(단계 1106). 결국, 긴급 구조 센터, 즉, 관할 지구대나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에 긴급 상황이 자동으로 신고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제어부(130)는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07).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과정(1100)의 동작을 종료한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과정(1100)의 동작을 종료할 때, 교환 서버(212)에 호 해제 요청을 하고, 교환 서버(212)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 간의 호 연결을 해제한다.
한편,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 패 킷(VMSG) 및/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생성한다(단계 1108).
이 후,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에, 또는 게이트웨이(214 또는 216)를 통하여 교환기(215 또는 217)에,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VP1∼VPK, M1∼MJ, P1∼PL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단계 1109).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기(VP1, VP2)에 대응하는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 CN2)와, 이동통신 단말기(M1, M2)에 대응하는 긴급 호출 전화번호(CN3, CN4)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에 미리 등록된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긴급 호출 전화번호들(CN1∼CN4)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들 하나하나에 순차적으로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에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의 통신 단말기(즉, 인터넷 전화기(VP1))에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 후, 다시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2)의 통신 단말기(즉, 인터넷 전화기(VP2))에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 또,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게이트웨이(214)를 통하여 교환기(215)에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3)의 통신 단말기(즉, 이동통신 단말기(M1))에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 후, 음 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4)의 통신 단말기(즉, 이동통신 단말기(M2))에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요청에 따라,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의 통신 단말기(VP1∼VPK, M1∼MJ, P1∼PL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단계 1110).
그 결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와 관련된 사람들, 또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사람들이,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 또는 단문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단계들(1104∼1106)이 실행된 후, 단계들(1107∼1110)이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단계들(1104∼1106)이 실행되는 동안 단계들(1107∼1110)이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12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의 동작 과정(1200)은 상술한 동작 과정(1100)과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작 과정들(1200, 1100)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과정들(1200, 1100) 간의 차이점은 단계들(1104∼1106) 대신에 단계 들(1204∼1209)이 실행되는 것이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간의 호가 연결되면(단계 1203),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즉,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생성한다(단계 1204).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전송한다(단계 1205).
또,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즉,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생성한다(단계 1206).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전송한다(단계 1207).
그 결과,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1)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고(단계 1208), 송신 데이터 패킷(TPK2)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를 출력한다(단계 1209).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13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의 동작 과정(1300)은 상술한 동작 과정(1100)과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작 과정들(1300, 1100)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과정들(1300, 1100) 간의 차이점은 단계들(1104∼1106) 대신에 단계들(1304∼1313)이 실행되는 것이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간의 호가 연결되면(단계 1303),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제어부(130)는 텍스트 전송 모드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304). 사용자는 입력부(126)(또는 일반 전화기(220))를 조작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텍스트 전송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텍스트 전송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즉,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생성한다(단계 1305). 이 후,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전송한다(단계 1306). 그 결과,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1)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한다(단계 1307).
한편, 단계 1304에서, 텍스트 전송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즉,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생성한다(단계 1308).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전송한다(단계 1309).
또,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즉,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생성한다(단계 1310).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전송한다(단계 1311).
그 결과,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1)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고(단계 1312), 송신 데이터 패킷(TPK2)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를 출력한다(단계 1313).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1400)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사용자가 버튼 입력부(201∼203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 긴급 구조 센터에 직접 전화를 걸어 위험 상황을 신고하는 경우의 과정을 나타낸다.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의 동작 과정(1400)은 상술한 동작 과정(1100)과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작 과정들(1400, 1100)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과정들(1400, 1100) 간의 차이점은 단계들(1101∼1103) 대신에 단계 들(1401∼1404)이 실행되는 것이다.
교환 서버(212)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와의 호 연결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401). 호 연결 요청이 있을 때, 교환 서버(212)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 간의 호를 연결한다(단계 1402).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제어부(130)는 입력부(126)(또는 일반 전화기(220))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CINS1)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403).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된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생성한다(단계 1405).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CINS2)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404). 긴급 구조 센터의 직원이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에 설정된 코드 번호를 입력하면,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213)가 코드 입력 신호(CINS2)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을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에 전송한다.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이 수신될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단계 1405의 동작을 실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 정(1500)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사용자가 버튼 입력부(201∼203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 긴급 구조 센터에 직접 전화를 걸어 위험 상황을 신고하는 경우의 과정을 나타낸다.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의 동작 과정(1500)은 상술한 동작 과정(1400)과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작 과정들(1500, 1400)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과정들(1500, 1400) 간의 차이점은 단계들(1405∼1407) 대신에 단계들(1505∼1510)이 실행되는 것이다. 또, 단계들(1505∼1510)의 동작은 도 5를 참고하여 상술한 단계들(1204∼1209)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16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의 동작 과정(1600)은 상술한 동작 과정(1300)과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작 과정들(1600, 1300)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과정들(1600, 1300) 간의 차이점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일괄 전송 요청에 따라, 관리 및 동보 서버(218)가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생성하여,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관리 및 동보 서버(218)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 음성 메시지 또는 단문 메시지의 일괄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SN_CALL)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일괄 전송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614).
일괄 전송 요청이 있을 때, 관리 및 동보 서버(218)는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및/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를 생성한다(단계 1615).
이 후, 관리 및 동보 서버(218)는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에, 또는 게이트웨이(214 또는 216)를 통하여 교환기(215 또는 217)에,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및/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VP1∼VPK, M1∼MJ, P1∼PL 중 적어도 하나)에 일괄적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단계 1616).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는 관리 및 동보 서버(218)의 요청에 따라,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의 통신 단말기(VP1∼VPK, M1∼MJ, P1∼PL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단계 1617).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관리 및 동보 서버(218)에 일괄 전송 요청만 하면, 관리 및 동보 서버(218)가 미리 등록된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VP1∼VPK, M1∼MJ, P1∼PL 중 적어도 하나)에,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및/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17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제어부(130)는 센싱부(101)로부터 센싱 신호(SEN)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버튼 입력 신호(BTIN)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701). 버튼 입력 신호(BTIN)가 수신될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에, 또는 게이트웨이(214 또는 216)를 통하여 교환기(215 또는 217)에,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단계 1702).
여기에서,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는 긴급 구조 센터(예를 들어, 관할 지구대, 경찰서, 소방서 등)의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긴급 호출 전화번호(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 또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사람들의 집 전화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이웃집 전화번호 등)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에 전화번호를 등록할 때,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 간의 호를 연결한다(단계 1703).
이 후,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제어부(130)는 텍스트 전송 모 드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704). 텍스트 전송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즉,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생성한다(단계 1705).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에 전송한다(단계 1706). 그 결과,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1)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한다(단계 1707).
한편, 단계 1704에서, 텍스트 전송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VDATA)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즉,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생성한다(단계 1708).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1)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에 전송한다(단계 1709).
또,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미리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즉,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생성한다(단계 1710).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송신 데이터 패킷(TPK2)을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에 전송한다(단계 1711).
그 결과,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가 송신 데이터 패킷(TPK1)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고(단계 1712), 송신 데이터 패킷(TPK2)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를 출력한다(단계 1713).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제어부(130)는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최우선 순위의 전화번호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714).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과정(1700)의 동작을 종료한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가 과정(1700)의 동작을 종료할 때,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에 호 해제 요청을 하고,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 간의 호 연결을 해제한다.
한편,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음성 데이터 파일(VDATA)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TDATA)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 패 킷(VMSG) 및/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생성한다(단계 1715).
이 후,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인터넷 통신망(204)을 통하여 교환 서버(212)에, 또는 게이트웨이(214 또는 216)를 통하여 교환기(215 또는 217)에,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VP1∼VPK, M1∼MJ, P1∼PL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단계 1716).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요청에 따라, 음성 메시지 패킷(VMSG) 또는 단문 메시지 패킷(SMSG)을 긴급 호출 전화번호(CN1∼CNP)의 통신 단말기(VP1∼VPK, M1∼MJ, P1∼PL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단계 1717).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1800)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사용자가 버튼 입력부(201∼203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 긴급 구조 센터에 직접 전화를 걸어 위험 상황을 신고하는 경우의 과정을 나타낸다.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200)의 동작 과정(1800)은 상술한 동작 과정(1700)과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작 과정들(1800, 1700)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과정들(1800, 1700) 간의 차이점은 단계들(1701∼1703) 대신에 단계들(1801∼1804)이 실행되는 것이다.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로부터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와의 호 연결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801). 호 연결 요청이 있을 때, 교환 서버(212), 또는 교환기(215 또는 217)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 간의 호를 연결한다(단계 1802).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의 제어부(130)는 입력부(126)(또는 일반 전화기(220))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CINS1)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803).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된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텍스트 전송 모드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805).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CINS2)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804). 긴급 구조 센터의 직원, 또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와 관련된 사람이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에 설정된 코드 번호를 입력하면, 최우선 순위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213, VP1∼VPK, M1∼MJ, P1∼PL 중 하나)가 코드 입력 신호(CINS2)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을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에 전송한다. 수신 데이터 패킷(RPK2)이 수신될 때, 인터넷 전화 단말기(100 또는 100')는 단계 1805의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터넷 전화 단말기 101: 센싱부
102: 본체부 103: 전원부
110: 메모리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1: 표시부 122: 마이크
123: 오디오 신호 처리부 124: 스피커
125: 미디어 프로세서 126: 입력부
130: 제어부 140: 통신부
141: 패킷 생성부 142: 패킷 해석부
143: IP 송수신부 150: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
160: 전화기 인터페이스부 200: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201∼203: 버튼 입력부 211: 인터넷 서버
212: 교환 서버 213: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214, 216: 게이트웨이 215, 217: 교환기
218: 관리 및 동보 서버 219: PC
220: 일반 전화기

Claims (17)

  1.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주소 및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센싱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1 수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본체부; 및
    외부 전원에 기초하여 생성한 동작 전원을 상기 센싱부와 상기 본체부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소는 상기 본체부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이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상기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및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번호 입력에 따른 번호 입력 신호, 사용자의 코드 입력에 따른 코드 입력 신호, 사용자의 음성 녹음 선택에 따른 녹음 선택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제1 호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제2 호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 서버, 또는 이동 통신망을 제어하는 제1 교환기 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통신망을 제어하는 제2 교환기에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를 연결을 요청하고,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에 기초한 상기 제1 호 연결 요청 신호와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을 상기 통신부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번호 입력에 따른 상기 번호 입력 신호 또는 사용자의 코드 입력에 따른 상기 코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통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기초한 상기 제2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에 출력하고,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주소 및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 데이터 파일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을 상기 통신부에 더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생성한 제3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에 기초한 제3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에 더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3 호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 패킷 및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 패킷 및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교환 서버, 또는 이동 통신망을 제어하는 제1 교환기 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통신망을 제어하는 제2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는 추가의 인터넷 전화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PSTN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일반 전화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사용자의 코드 입력에 따라 제1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더 출력하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긴급 구조 센터 직원의 코드 입력에 따라 제2 코드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수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제3 호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번호 입력에 따른 상기 번호 입력 신호 또는 사용자의 코드 입력에 따른 상기 코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에 기초한 상기 제3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에 더 출력하고, 상기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또는 제2 코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을 상기 통신부에 출력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동작과 관련한 표시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표시부;
    사용자의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디코딩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에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디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표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미디어 프로세서; 및
    사용자의 번호 입력에 따른 상기 번호 입력 신호, 사용자의 코드 입력에 따른 상기 코드 입력 신호, 사용자의 음성 녹음 선택에 따른 상기 녹음 선택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프로세서는 녹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음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녹음 제어 신호를 상기 미디어 프로세서에 출력하고, 상기 미디어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의 PC(personal computer)와 상기 제어부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interface)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PC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 및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PC는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 및 동보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관리 및 동보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 및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상기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에 출력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호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2 호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 서버에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고,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IP(internet protocol) 송수신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IP 송수신부에 출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IP 송수신부에 출력하는 패킷 생성부; 및
    상기 IP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상기 제2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상기 제2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패킷 해석부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및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1 호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제2 호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 서버, 또는 이동 통신망을 제어하는 제1 교환기 또는 PSTN 통신망을 제어하는 제2 교환기에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를 연결을 요청하고,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제2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에 기초한 상기 제1 호 연결 요청 신호와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을 상기 통신부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번호 입력에 따른 상기 번호 입력 신호 또는 사용자의 코드 입력에 따른 상기 코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통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기초한 상기 제2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PSTN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일반 전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일반 전화기와 상기 제어부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전화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화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일반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미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프로세서에 출력하고, 상기 미디어 프로세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전화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일반 전화기에 전송하고, 상기 전화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일반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프로세서에 출력하고, 상기 미디어 프로세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인코딩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 출력하는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11.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 주소 및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데이터 파일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및 긴급 구조 센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간의 호를 연결하는 교환 서버; 및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인터넷 통신망 및 상기 교환 서버를 통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교환 서버에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주소는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이며,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상기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 번호의 통신 단말기;
    상기 인터넷 통신망과 이동 통신망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제1 게이트웨이(gateway);
    상기 이동 통신망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 교환기;
    상기 인터넷 통신망과 PSTN 통신망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제2 게이트웨이;
    상기 PSTN 통신망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2 교환기;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관리 및 동보 서버; 및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및 동보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PC(personal compu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및 동보 서버는, 사용자 각각이 상기 PC를 통하여 상기 관리 및 동보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site)에 접속하여, 사용자 각각의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를 텍스트로 입력할 때,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여 각 사용자별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과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 번호를 더 저장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 패킷 및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상기 교환 서버 또는 상기 제1 또는 제2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 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상기 PC에 접속될 때, 상기 PC를 통하여 상기 관리 및 동보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 및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는 추가의 인터넷 전화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PSTN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일반 전화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및 동보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를 더 저장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 및 단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일괄 전송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상기 교환 서버 또는 상기 제1 또는 제2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 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일괄 전송하고,
    상기 관리 및 동보 서버가 상기 음성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 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일괄 전송할 때,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상기 음성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생성하지 않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15.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교환 서버에 의해,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간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상기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가 존재할 때,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 및 텍스트 데이터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기초하여 음성 메시지 패킷 및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음성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단문 메시지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상기 교환 서버 또는 이동 통신망을 제어하는 제1 교환기 또는 PSTN 통신망을 제어하는 제2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호출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기는 추가의 인터넷 전화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PSTN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일반 전화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17.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서버에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교환 서버에 의해,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와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 간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송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음성 내용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와 구조 요청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부로부터 상기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드 번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3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3 송신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제4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4 송신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긴급 구조 센터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KR1020090055284A 2009-06-22 2009-06-22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KR101106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284A KR101106491B1 (ko) 2009-06-22 2009-06-22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284A KR101106491B1 (ko) 2009-06-22 2009-06-22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063A KR20100137063A (ko) 2010-12-30
KR101106491B1 true KR101106491B1 (ko) 2012-01-20

Family

ID=4351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284A KR101106491B1 (ko) 2009-06-22 2009-06-22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8683B2 (en) * 2018-11-01 2020-12-29 Apple Inc. Fall detection-audio looping
US11605274B2 (en) 2018-11-01 2023-03-14 Apple Inc. Fall detection—audio loop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1443A (ja) * 2006-03-15 2007-09-27 Oki Electric Ind Co Ltd Ip電話を用いた異常通知システム
KR100815268B1 (ko) * 2006-07-21 2008-03-20 주식회사 마이크로텍 무선 응급 구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1443A (ja) * 2006-03-15 2007-09-27 Oki Electric Ind Co Ltd Ip電話を用いた異常通知システム
KR100815268B1 (ko) * 2006-07-21 2008-03-20 주식회사 마이크로텍 무선 응급 구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063A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7659B2 (en) Intercom system
JP4446394B2 (ja) 携帯機器を用いた通信用外部装置へのコンタクト情報割り当て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20257615A1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ce and Video Calls Via the Internet
JP2004336267A (ja) 呼び出し応対装置、インターホン装置および電話装置
KR10136292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KR101793191B1 (ko) 알람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서비스 제공방법
JP2010517191A (ja) 移動通信網を用いた緊急電話の誤用・乱用防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40022536A (ko) 통화 단말과 다른 단말로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감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56809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긴급호출기 및긴급호출기를 이용한 긴급호출방법
KR101106491B1 (ko)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요청 방법
KR20050086980A (ko) 원격 기능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0120B1 (ko) 원격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원격 통화 방법
KR102470001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JPH10229455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を利用した緊急通知システム
JP2003152902A (ja) 活動情報通信端末、見守りサーバおよび遠隔見守りシステム
JP4244888B2 (ja) 携帯電話端末装置
KR100800693B1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252725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KR10216537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JP4490237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携帯無線端末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JP3874195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2017163341A (ja) 安否確認システム
JP6060129B2 (ja) 交換機
KR20050039213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상태알림서비스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