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482B1 -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482B1
KR102529482B1 KR1020180079413A KR20180079413A KR102529482B1 KR 102529482 B1 KR102529482 B1 KR 102529482B1 KR 1020180079413 A KR1020180079413 A KR 1020180079413A KR 20180079413 A KR20180079413 A KR 20180079413A KR 102529482 B1 KR102529482 B1 KR 10252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bar
strut
vehicle
bar
ba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872A (ko
Inventor
김근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4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는 자동차용 스트럿바에 있어서, 휠하우징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스트럿바 상기 제 1 스트럿바에 대향하여 휠하우징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스트럿바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STRUT BAR ASSEMBLY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럿바에 가해지는 전후방향의 하중을 감소시키고 엔진룸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게 되는 구조로 현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의 주행에 대한 진동 등을 차단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통상 쇽업소버에 의해 진동력을 완화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한 쇽업소버는 그 실린더의 하단부가 차축에 힌지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피스톤로드의 상단부 및 스프링이 결합된 리테이너가 차체에 결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을 형성하는 프론트바디의 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쇽업소버 하우징 커버에는 스트럿바를 연결하여 차체 강성을 보강한다. 스트럿바는 차량운행 중 코너링을 할 때 차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속주행 시에는 차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엔진룸이 넓은 대형 승용차의 경우 코너링 시 차체의 비틀림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얼라인먼트 변화량을 극소화하여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공진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많이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스트럿바는 휠하우징 좌우를 강체 연결바를 통해 엔진 상단으로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였으나, 엔진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엔진룸 정비시 작업자들이 스트럿바를 탈거 후 정비를 진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이는 조립성, 작업성 및 정비 공정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출원 제 20-0194588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강성을 보강하면서 이동 가능한 스트럿바 구조를 채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성, 작업성 및 정비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용 스트럿바에 있어서 휠하우징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스트럿바; 상기 제 1 스트럿바에 대향하여 휠하우징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스트럿바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는 양단에 힌지 구멍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는 커넥팅 바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는 양측 휠하우징 사이에서 커넥팅 바에 일자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는 일측에 측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는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는 스트럿바가 이동되는 가이드 홀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은 세장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는 휠하우징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고정하는 고정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는 제 1 및 제 2 스트럿바가 커넥팅 바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이동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는 스트럿바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는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정비시에는 스트럿바를 이동시켜 조립성, 작업성 및 정비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다른 일부 확대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커넥팅 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장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다른 일부 확대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100)는 일측 휠하우징(10)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스트럿바(110), 상기 제 1 스트럿바(110)에 대향하여 타측 휠하우징(10)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스트럿바(120)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는 커넥팅 바(130)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는 양단에 힌지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는 양측 휠하우징(10) 사이에서 커넥팅 바(13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100)는 휠하우징(10)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고정하는 고정 힌지(140) 및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가 커넥팅 바(130)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이동 힌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팅 바(130)의 중앙부에는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를 고정하는 고정구(도 5: 160)가 구비되어 커넥팅 바(130)가 일자 형상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커넥팅 바의 사시도이다.
도 4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커넥팅 바(130)는 일측에 측벽(1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134)에 의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한 수직 단면이 ㄴ자 형상이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가 이동되는 가이드 홀(13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홀(132)은 세장형 형상이며 커넥팅 바(130)가 차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시에 스트럿바(110, 120)의 일단이 가이드 홀(132)에 결합되어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100)는 일측 휠하우징(10)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스트럿바(110), 상기 제 1 스트럿바(110)에 대향하여 타측 휠하우징(10)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스트럿바(120)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는 커넥팅 바(130)에 대해 상호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는 양측 휠하우징(10) 사이에서 커넥팅 바(130)에 일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는 양측 휠하우징(10) 사이에서 엔진 상단에 위치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있어 차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차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바(130)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즉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 위치에서 차량의 전방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가 휠하우징(10)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힌지(14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커넥팅 바(130)에 천공되어 있는 가이드 홀(132)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이동 힌지(1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가 상기 커넥팅 바(130)에 천공되어 있는 가이드 홀(13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홀(132)을 따라 좌우측으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
엔진룸 정비후에 상기 커넥팅 바(130)를 원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면 휠하우징(10)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힌지(140)를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의 이동 힌지(150)가 상기 커넥팅 바(130)에 천공되어 있는 가이드 홀(13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커넥팅 바(130)의 일측에는 측벽(134)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가 측벽(134)에 의해 일자 형상을 이루며 고정된다.
또한 커넥팅 바(130)의 중앙부에는 제 1 및 제 2 스트럿바(110, 120)를 고정하는 고정구(160)가 구비되어 커넥팅 바(130)가 차량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는 스트럿바를 탈거함이 없이 엔진룸을 정비하게 되어 조립성, 작업성 및 정비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110: 제 1 스트럿바
120: 제 2 스트럿바 112: 톱니부
130: 커넥팅 바 132: 가이드 홀
134: 측벽 140: 고정 힌지
150: 이동 힌지 160: 고정구

Claims (12)

  1. 자동차용 스트럿바에 있어서,
    휠하우징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스트럿바;
    상기 제 1 스트럿바에 대향하여 휠하우징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스트럿바;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는 양단에 힌지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는 커넥팅 바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바는 양측 휠하우징 사이에서 커넥팅 바에 일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는 일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는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ㄴ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는 스트럿바가 이동되는 가이드 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세장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는 휠하우징의 스트럿바 장착 구멍에 고정하는 고정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는 제 1 및 제 2 스트럿바가 커넥팅 바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이동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11. 삭제
  12. 제 1 항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80079413A 2018-07-09 2018-07-09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KR10252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413A KR102529482B1 (ko) 2018-07-09 2018-07-09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413A KR102529482B1 (ko) 2018-07-09 2018-07-09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72A KR20200005872A (ko) 2020-01-17
KR102529482B1 true KR102529482B1 (ko) 2023-05-08

Family

ID=6937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413A KR102529482B1 (ko) 2018-07-09 2018-07-09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4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3278U (ko) * 1986-12-10 1988-06-16
KR200194588Y1 (ko) 1999-12-30 2000-09-01 송진헌 차량용 스트럿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72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765B2 (ja) マルチリンクリア懸架装置
US6595310B2 (en) Swing arm type suspension for vehicles
JP3809583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KR100980877B1 (ko) 현가장치용 트레일링 암 어셈블리
KR102529482B1 (ko)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KR100737028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로어 암 마운팅 구조
CN105216884A (zh) 一种滑块导向型驾驶室后悬置装置
KR100911406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JP200909629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取付構造
KR102552083B1 (ko) 차량의 로워암과 너클의 마찰 저감 결합 구조물
KR100401590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CN221137498U (zh) 一种可变刚度横向稳定杆结构
CN220743158U (zh) 一种装载机后车架及装载机
CN215552385U (zh) 全地形车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KR102598415B1 (ko) 자동차용 롤 마운트
KR100844653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텐션암
JP4557636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WO2014167729A1 (ja) サスペンションのサブフレーム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00339224B1 (ko)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KR100266076B1 (ko) 트레일링 암형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부시(A suspension bush using in a trailing arm type)
JP4258446B2 (ja) 車輪支持構造
KR101261951B1 (ko)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KR100500296B1 (ko) 듀얼링크 타입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