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681B1 - 랩 머신 - Google Patents

랩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681B1
KR102527681B1 KR1020180001632A KR20180001632A KR102527681B1 KR 102527681 B1 KR102527681 B1 KR 102527681B1 KR 1020180001632 A KR1020180001632 A KR 1020180001632A KR 20180001632 A KR20180001632 A KR 20180001632A KR 102527681 B1 KR102527681 B1 KR 10252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
stretch
bale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982A (ko
Inventor
히로시 후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Publication of KR20190038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25Regulating or controlling density or shape of the bale
    • A01F15/0833Regulating or controlling density or shape of the bale for round ba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6Wrapping device incorporating 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과제] 필름 롤의 필름이 없어져 버린 것을 검지할 수 있는 랩 머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높이가 다르게 50센치폭의 필름 롤(7)을 배치하고, 서로 오버랩하도록 필름(71)을 조출하며, 스트레치부(6)를 구성하는 제1 스트레치 롤러(61)와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사이를 통과하여 스트레치시켜, 롤 베일(9)에 감도록 할 때, 이 제1 스트레치 롤러(61)와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사이에 필름(71)에 접촉하는 검지 센서(72)를 마련하도록 한다. 이 검지 센서(72)는, 오버랩하고 있지 않은 필름의 부분인 상하에 마련되고, 이것에 의해서, 일방의 필름 롤(7)의 필름(71)이 없어진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랩 머신{lap machine}
본 발명은, 롤 베일(roll bale)의 외주에 필름을 감도록 한 랩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롤이 없어진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 랩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베일에 필름을 감는 경우, 랩 머신이 사용된다.
이 랩 머신은, 롤 베일을 재치한 상태에서 세로축 방향 및 가로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턴 테이블과, 그 턴 테이블 상에서 회전하는 롤 베일에 필름을 조출(繰出)하는 필름 유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필름이 통과되는 한 쌍의 스트레치 롤러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필름을 조출 방향으로 스트레치시키면서 롤 베일에 필름을 감도록 한 것이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이러한 필름을 롤 베일에 감고 있는 도중에 필름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에서는 필름 끊김 검지 기구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이 필름 끊김 검지 기구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부를 구성하는 스트레치 롤러(101, 102)의 회전축에 금속편(103)을 장착함과 아울러, 이것에 인접하여 금속편(103)을 검지하는 검지 센서(104)를 장착하고, 필름 롤(7)의 필름(71)이 없어지는 것에 기초하는 스트레치 롤러(101, 102)의 비회전 상태를 검지하고, 필름(71)이 없어진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5-226515호 공보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필름이 없어진 것을 검지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예를 들면, 50센치폭의 필름 롤을 높이가 다르게 배치하고, 각각의 필름을 오버랩시킨 상태로 조출하는 경우, 어느 일방의 필름이 없어진 경우라도, 남아 있는 쪽의 필름 롤로부터 필름이 조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트레치 롤러가 계속 회전해 버려, 일방의 필름이 없어진 것을 검지할 수 없다.
또, 폭이 큰 1개의 필름 롤을 이용하여 필름을 감는 경우라도, 필름이 부분적으로 찢어져 있으면, 스트레치 롤러가 계속 회전하기 때문에, 필름의 이상(異常)을 검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필름이 없어진 경우나 부분적으로 파손하고 있는 경우라도, 이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롤 베일(roll bale)을 재치하는 베일 지지대와, 상기 베일 지지대에 재치된 롤 베일에 감겨지는 복수개의 필름 롤을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필름 유지부와, 상기 필름 유지부로부터 조출된 필름을 조출 방향으로 스트레치시키는 스트레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일 지지대 혹은 상기 필름 유지부를 회전시켜 롤 베일에 필름을 감도록 한 랩 머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필름 롤로부터 조출된 각각의 필름의 오버랩하고 있지 않는 위치에, 각 필름 롤의 필름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조출된 후의 필름의 유무를 검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2개의 필름 롤로부터 필름을 조출하는 경우에, 일방의 필름 롤의 필름이 없어진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1개의 필름 롤을 이용하여 필름을 감는 경우에서도, 검지 센서가 존재하고 있는 부분에서 찢어져 있는 것 등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지 센서를 복수개의 필름 롤로부터 조출된 각각의 필름의 오버랩하고 있지 않는 위치에 마련하면, 한 쌍의 필름 롤러로부터 필름을 조출하고 있는 경우에, 일방의 필름이 없어진 것 등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러한 발명에서, 상기 검지 센서를, 스트레치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스트레치 롤러의 사이에 마련하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에 마련하면, 한 쌍의 스트레치 롤러의 사이에서는 필름이 흔들리지 않아, 확실히 필름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검지 센서가, 필름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롤러의 회전을 검지하도록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롤 베일을 재치하는 베일 지지대와, 상기 베일 지지대에 재치된 롤 베일에 감겨지는 필름을 감은 필름 롤을 유지하는 필름 유지부와, 상기 필름 유지부로부터 조출된 필름을 조출 방향으로 스트레치시키는 스트레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일 지지대 혹은 필름 유지부를 회전시켜 롤 베일에 필름을 감도록 한 랩 머신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유지부로부터 조출된 필름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를 마련하도록 했으므로, 2개의 필름 롤로부터 필름을 조출하는 경우에, 일방의 필름 롤의 필름이 없어진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1개의 필름 롤을 이용하여 필름을 감는 경우에서도, 검지 센서가 존재하고 있는 부분이 찢어져 있는 것 등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랩 머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서의 필름 유닛에 75cm폭의 필름 롤을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서의 필름 유닛에 50cm폭의 필름 롤을 높이가 다르게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서의 필름 유지부의 상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서의 필름 유지부의 회전 유지부나 하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서의 필름 유지부를 하부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서의 스트레치부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서의 검지 센서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서의 검지 센서와 필름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서의 베일 지지대를 경사시켜 롤 베일을 방출할 때 의 상태도이다.
도 11은 종래예에서의 검지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랩 머신(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베일(9)을 재치하는 턴 테이블(2)과, 이 턴 테이블(2)에 재치된 롤 베일(9)에 감는 필름(71)을 유지하는 필름 유지부(4)와, 그 필름 유지부(4)로부터 필름(71)을 스트레치시켜 조출하도록 한 스트레치부(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특징적으로, 이 스트레치부(6)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스트레치 롤러(61),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사이에, 필름(71)에 접촉하여 필름(71)의 존재의 유무를 직접 검지하는 검지 센서(72)를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의 랩 머신(1)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롤 베일(9)을 재치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턴 테이블(2)은, 베일 지지대(23) 상에 지지되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일정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롤러(21)와, 그 롤러(21)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지는 벨트(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21)를 그 수평인 축심(軸芯)을 따라서 회전시킴으로써,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롤 베일(9)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턴 테이블(2)의 하부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이용하여 연직축을 중심으로 턴 테이블(2)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턴 테이블(2)의 측부에는, 필름 유닛(3)이 마련된다. 이 필름 유닛(3)은, 이 턴 테이블(2)에 재치된 롤 베일(9)에 대해서, 얇은 필름(71)을 조출 방향으로 스트레치시키면서 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체의 프레임으로부터 기립(起立)하는 지주(支柱)(31) 상에 마련된다.
이 필름 유닛(3)은, 복수개의 필름 롤(7)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유지하는 필름 유지부(4)와, 그 필름 유지부(4)에서 유지된 필름 롤(7)의 필름(71)을 스트레치시키면서 조출하는 스트레치부(6)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필름 유지부(4)는,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31)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플레이트 모양의 회전 유지부(40)와, 그 회전 유지부(40)의 원주(圓周) 상에 마련된 복수개의 평행한 삽입간(揷入桿)(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삽입간(5)에 필름 롤(7)을 삽입시켜 유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삽입간(5)은, 도 5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모양의 회전 유지부(40)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절입(
Figure 112018001585248-pat00001
)된 홈부(41)의 내부에 마련된 힌지(41a)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그 힌지(41a)를 중심으로 경동(傾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삽입간(5)을 경동시킴으로써, 상단으로부터 필름 롤(7)을 삽입시키고, 한편, 필름 롤(7)을 삽입한 삽입간(5)을 되돌리는 경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단측을 회전 유지부(40)와 평행하게 마련된 플레이트 모양의 상부 프레임(45)의 홈부(46)에 넣고, 그 상태에서 훅(hook)(48)을 매개로 하여 걸리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 훅(48)은, 스프링(48b)을 매개로 하여 항상 삽입간(5)을 걸리게 하는 힘을 부여하고 있으며, 그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부여함으로써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 삽입간(5)을 경도(傾倒)시키는 경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 삽입간(5)을 경도시키면, 필름 롤(7)이 랩 머신(1)의 본체에 접촉하거나, 트랙터에 접촉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이 삽입간(5)은, 랩 머신(1)의 가장 외측의 위치(도 1에서의 지면(紙面) 바로 앞측)에 필름 롤(7)이 위치한 경우에만, 고정부인 훅(48) 등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훅(48)을 해제하는 경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31)의 중심측에 장착된 원판(圓板)(47a)에 훅(48)의 클로(claw)(48a)를 퇴피(退避)시키는 퇴피부(47)를 마련해 두고, 필름 롤(7)이 랩 머신(1)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경우에만, 지점(支点)을 매개로 하여 훅(48)을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훅(48)이 회동했을 때에 클로(48a)가 퇴피부(47)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훅(48)의 회동이 허용된다. 한편, 그것 이외의 위치에서는, 훅(48)의 클로(48a)가 원판의 외주에 맞닿기 때문에, 회동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필름 롤(7)이 외측에 위치한 경우에만 훅(48)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필름 롤(7)이 가장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삽입간(5)을 경도시키는 경우, 훅(48)의 해제와 함께,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간(5)의 하측에 마련된 스토퍼편(片)(49)도 해제시켜 삽입간(5)을 경도시키게 한다. 이 스토퍼편(49)은, 회전 유지부(40)의 하부에서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하부로 경동시키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그 선단 부분을 삽입간(5)에 맞닿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편(49)의 선단이 삽입간(5)의 하부 부분에 맞닿아, 삽입간(5)의 경도가 방지된다. 한편, 그 삽입간(5)을 경도시키는 경우는, 그 스토퍼편(49)을 하부로 경도시킴으로써, 삽입간(5)을 경도시키게 된다.  
이 삽입간(5)을 지지하는 회전 유지부(40)는, 지주(31)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필름 롤(7)을 유지시키도록 한 것으로, 특정의 위치에서 그 지주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상태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 유지부(40)를 고정시키는 경우는, 도 5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유지부(40)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프레임(42)으로부터 핀(43)을 윗방향으로 삽입함과 아울러, 그 선단 부분을 회전 유지부(40)의 하부에 마련된 오목부(44)에 감합(嵌合)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회전 유지부(40)의 회전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것에 의해, 필름 롤(7)의 위치가 고정되고, 안정되게 필름(71)을 스트레치부(6)에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들 삽입간(5)에는, 예를 들면, 75cm폭, 50cm폭 등과 같은 필름폭이 다른 필름 롤(7)을 유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부(51)이 마련되어 있고, 여기에 핀을 넣음으로써 축심 유지부(53)의 높이를 바꾸어 필름 롤(7)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5cm폭의 필름 롤(7)을 장착하는 경우는, 최하부의 구멍부(51)에 핀(52)을 끼워넣어 필름 롤(7)을 유지시키고, 그 필름 롤(7)의 상단부에 압압부(54)에서 압압시켜 들뜸을 방지한다. 한편, 50cm폭의 필름 롤(7)을 장착하는 경우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2번째의 구멍부(51)에 핀(52)을 끼워넣어 필름 롤(7)을 장착하던지, 혹은, 최하부의 구멍부(51)과 2번째의 구멍부(51)에 핀(52)을 끼워넣어 인접하는 필름 롤(7)을 높이가 다르게 장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높이가 다르게 필름 롤(7)을 장착하면, 서로 오버랩시킨 상태로 2개의 필름 롤(7)로부터 필름(71)이 조출되어 폭넓게 롤 베일(9)에 필름(71)을 감을 수 있게 된다. 또, 어느 일방의 필름 롤(7)이 없어진 경우는, 회전 유지부(40)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접하는 높이가 다른 필름 롤(7)을 이용하여 필름(71)을 조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스트레치부(6)는, 필름 롤(7)로부터 조출된 필름(71)을 조출 방향으로 150%~180% 스트레치시켜 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7의 원리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비가 다른 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각각의 스트레치 롤러(61, 62)의 회전수를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스트레치를 행하는 경우, 출구측(롤 베일(9)측)에 마련된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회전보다 필름 롤(7)측에 마련된 제1 스트레치 롤러(61)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71)을 스트레치시키면서 조출하여 롤 베일(9)에 감을 수 있게 된다. 이 스트레치부(6)의 제1 스트레치 롤러(61)는, 스프링(63)을 매개로 하여 필름 롤(7)의 외주를 압압(押壓)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필름 롤(7)의 관성에 의한 자유 회전을 억제하여, 쓸데없이 필름(71)이 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출된 필름(71)은, 턴 테이블(2) 상에서 회전하는 롤 베일(9)에 감겨지고, 그 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일 지지대(23)를 유압 실린더(24)에 의해 후방으로 경도(傾倒)시켜 절단 유지부(8)에 의해 절단된다. 이 절단 유지부(8)는, 베일 지지대(23)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베일 지지대(23)를 경도시킴으로써, 필름(71)을 아래로부터 묶은 상태에서 유지하여 커터에 의해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필름(71)을 절단한 상태에서, 롤 베일(9)을 후방으로 방출시킨다. 이 때, 절단 유지부(8)에서는, 다음의 롤 베일(9)로의 필름(71)의 감음을 위해서, 필름(71)의 단부가 유지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 아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필름(71)이 없어진 것을 직접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검지 센서(72)가 마련된다.
이 검지 센서(7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높이가 다르게 마련된 필름 롤(7)로부터 조출된 각각의 필름(71) 중, 오버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필름(71)의 유무를 직접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필름(71)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73)와, 그 접촉 롤러(73)에 박아 넣은 금속의 회전을 검지하는 센서(7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검지 센서(72)를 마련하는 경우, 필름 롤(7)로부터 제1 스트레치 롤러(61)의 사이, 제1 스트레치 롤러(61)와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사이, 제2 스트레치 롤러(62)와 롤 베일의 사이 등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필름 롤(7)로부터 제1 스트레치 롤러(61)의 사이에 마련하는 경우, 검지 센서(72)를 장착할 간극이 없기 때문에, 도 9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롤(7)의 지름이 변하는 것에 의해서 정확하게 필름(71)의 유무를 검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제2 스트레치 롤러(62)와 롤 베일의 사이에 마련하는 경우, 도 9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베일의 회전에 의해서 필름(71)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기 때문에, 접촉 롤러(73)를 항상 필름(71)에 접촉시켜 두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트레치 롤러(61)와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사이에 검지 센서(72)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스트레치 롤러(61)와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간극 내에 검지 센서(72)를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필름(71)이 항상 정위치에 펼쳐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확실히 필름(71)에 접촉하여 필름(71)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여기에서는, 검지 센서(72)로서, 필름(71)에 접촉하는 접촉 롤러(73)의 회전을 검지하는 것을 이용하여 구성했지만, 광학 센서나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랩 머신(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롤 베일(9)에 필름(71)을 감는 경우, 그 필름(71)의 감김 대상이 되는 롤 베일(9)을 턴 테이블(2) 상에 재치함과 아울러, 필름 유지부(4)에 복수개의 필름 롤(7)을 삽입하여 유지시킨다.  
이 필름 롤(7)을 유지시키는 경우, 삽입간(5)을 가장 외측에 위치시키도록 회전 유지부(40)를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고정부의 핀(43)을 삽입하여 회전 상태를 고정한다. 그러면, 그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5)측에 마련된 훅(48)의 클로(48a)가 퇴피부(47)로 퇴피 가능한 상태가 되고, 훅(48)에 의한 삽입간(5)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것과 함께, 하부 프레임(42)측에 마련된 스토퍼편(49)을 하부로 넘어뜨리고, 이것에 의해서 삽입간(5)을 차체의 측부로 경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그 삽입간(5)에 위로부터 필름 롤(7)을 삽입시키도록 한다. 이 때, 75cm폭의 필름 롤(7)을 삽입시키는 경우는, 삽입간(5)의 최하부에 마련된 구멍부(51)에 핀(52)을 끼워넣어 축심 유지부(53)에 의해 필름 롤(7)을 유지시키고, 한편, 50cm폭의 필름 롤(7)을 삽입하는 경우는, 삽입간(5)의 최하부 혹은 아래로부터 두번째의 구멍부(51)에 핀(52)을 끼워넣어 축심 유지부(53)에 의해 필름 롤(7)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필름 롤(7)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삽입간(5)을 기립시키고, 상부 프레임(45)의 홈부(46)에 수용하여 훅(48)에 의해 걸리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필름 롤(7)을 유지시킨 후, 회전 유지부(40)의 하부의 핀(43)을 빼내어 회전 유지부(40)를 회전시키고, 미장전(未裝塡)의 삽입간(5)이 가장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시 하측의 핀(43)을 삽입하여 회전 유지부(40)를 고정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하여 훅(48)이나 스토퍼편(49)을 해제함과 아울러, 삽입간(5)의 구멍부(51)를 선택하여 핀(52)을 옆으로부터 삽입하고, 축심 유지부(53)에 의해 필름 롤(7)을 유지시킨다. 이 때, 75cm폭의 필름 롤(7)을 유지시키는 경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간(5)의 최하부에 마련된 구멍부(51)에 핀(52)을 끼워넣어 축심 유지부(53)에 의해 필름 롤(7)을 유지시키고, 한편, 50cm폭의 필름 롤(7)을 유지시키는 경우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금 전의 필름 롤(7)과 높이가 다른 위치에 핀(52)을 끼워넣어 축심 유지부(53)에 의해 필름 롤(7)을 유지시킨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순차적으로 회전 유지부(40)를 회전시키면서 필름 롤(7)을 유지시켜 간다. 그리고, 필름 롤(7)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필름 롤(7)의 상단부를 압압부(54)에 의해 압압시켜 들뜸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필름 롤(7)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스트레치부(6)의 제1 스트레치 롤러(61)를 스프링(63)을 이용하여 내측의 필름 롤(7)에 압압시키고, 그 상태에서 필름을 제1 스트레치 롤러(61)나 제2 스트레치 롤러(62)를 매개로 하여 절단 유지부(8)까지 필름(71)을 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절단 유지부(8)에서 필름(71)의 단부를 유지시켜 두도록 한다. 이 때, 각 필름 롤(7)로부터 조출된 필름(71)은, 제1 스트레치 롤러(61)와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사이에 마련된 상하의 접촉 롤러(73)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이것에 의해서, 각각의 필름 롤(7)로부터 조출된 필름(71)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71)이나 롤 베일(9)을 셋팅한 상태에서, 턴 테이블(2)에 의해서 롤 베일(9)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턴 테이블(2)의 절단 유지부(8)에 유지된 필름(71)이 턴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해서 롤 베일(9)의 외주에 감겨져 간다. 이 때, 롤 베일(9)은 수평축 및 연직축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 회전에 의해서 롤 베일(9)의 전체에 필름(71)을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 횟수 필름(71)을 감아 턴 테이블(2)을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킨 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일 지지대(23)를 후방을 향해서 경사시키고, 롤 베일(9)을 후방으로 방출시킨다. 이 때, 베일 지지대(23)를 경사시키면, 턴 테이블(2)에 마련된 절단 유지부(8)에 의해서 필름(71)의 단부가 유지되고, 그 후, 롤 베일(9)측의 필름(71)이 절단된다. 이것에 의해 롤 베일(9)의 방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롤 베일(9)의 재치나 필름(71)의 감음을 행하도록 하지만, 이 필름(71)의 감김 도중에 필름(71)이 없어진 경우, 필름 롤(7)로부터의 필름(71)의 조출이 없어져, 상하 어느 하나, 혹은, 양쪽 모두의 검지 센서(72)의 접촉 롤러(74)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대응하는 측의 필름 롤(7)이 없어진 것을 검지할 수 있어, 경보음 등을 매개로 하여 필름 롤(7)의 교환을 재촉할 수 있다.
이 필름 롤(7)을 교환할 때, 회전 유지부(40)의 하부의 핀(43)을 뽑아 회전 유지부(40)를 어느 일방으로 회전시키고, 신규의 필름 롤(7)을 제1 스트레치 롤러(61)에 가장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다시 하부의 핀(43)을 삽입하여 회전 상태를 고정한다. 그리고, 그 필름 롤(7)로부터 필름(71)을 조출하여 스트레치부(6)에 필름(71)을 통과시키고, 절단 유지부(8)에서 그 필름(71)의 단부를 유지시킨다. 이 때, 50cm폭의 필름 롤(7)을 높이가 다르게 이용하고 있는 경우는, 남아 있는 쪽의 필름 롤(7)을 그대로 이용하고, 이것에 인접하는 필름 롤(7)로부터 필름(71)을 조출하여 오버랩시키도록 스트레치부(6)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절단 유지부(8)에 그들 필름(71)의 단부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턴 테이블(2)을 회전시켜 롤 베일(9)에 필름(71)을 감아 가고, 베일 지지대(23)를 경동시켜 롤 베일(9)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롤 베일(9)을 재치하는 베일 지지대(23)와, 당해 베일 지지대(23)에 재치된 롤 베일(9)에 감겨지는 필름(71)을 감은 필름 롤(7)을 유지하는 필름 유지부(4)와, 상기 필름 유지부(4)로부터 조출된 필름(71)을 조출 방향으로 스트레치시키는 스트레치부(6)를 구비하며, 상기 베일 지지대(23)를 회전시켜 롤 베일(9)에 필름(71)을 감도록 한 랩 머신(1)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유지부(4)로부터 조출된 필름(71)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72)를 마련하도록 했으므로, 2개의 필름 롤(7)로부터 필름(71)을 조출하는 경우에, 일방의 필름 롤(7)의 필름(71)이 없어진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1개의 필름 롤(7)을 이용하여 필름(71)을 감는 경우에서도, 검지 센서(72)가 존재하는 부분의 찢어짐 등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검지 센서(72)를, 스트레치부(6)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스트레치 롤러(61)와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사이에 마련하도록 했으므로, 필름(71)이 흔들리지 않아, 확실히 필름(71)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필름 유지부(4)를, 서로 오버랩시키도록 복수의 필름 롤(7)을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또, 상기 검지 센서(72)를, 필름 롤(7)로부터 조출된 필름(71)이 오버랩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각각 마련하도록 했으므로, 한 쌍의 필름 롤(7)로부터 필름(71)을 조출하고 있는 경우에, 일방의 필름(71)이 없어진 것 등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베일 지지대(23)를 회전시켜 필름(71)을 감도록 했지만, 필름 유지부(4)를 롤 베일(9)의 주위를 회전시켜 필름(71)을 롤 베일(9)에 감도록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트레치 롤러(61)와 제2 스트레치 롤러(62)의 사이에 검지 센서(72)를 마련하도록 했지만, 필름 롤(7)에 감겨져 있는 필름(71)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해도 괜찮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광학 센서에 의해서 필름(71)과 심(芯)의 색(色) 차이에 근거하는 반사율의 상위(相違)를 검지하여 「필름 없음」을 판단하도록 해도 괜찮다. 혹은, 제2 스트레치 롤러(62)와 롤 베일의 사이에서의 필름(71)의 유무를 광학 센서 등을 이용하여 검지하도록 해도 괜찮다.
1 - 랩 머신 2 - 턴 테이블
21 - 롤러 22 - 벨트
23 - 베일 지지대 24 - 유압 실린더
3 - 필름 유닛 31 - 지주
4 - 필름 유지부 40 - 회전 유지부
41 - 홈부 41a - 힌지
42 - 하부 프레임 43 - 핀
44 - 오목부 45 - 상부 프레임
46 - 홈 47 - 퇴피부
48 - 훅 48a - 클로
48b - 스프링 49 - 스토퍼편
5 - 삽입간 51 - 구멍부
52 - 핀 53 - 축심 유지부
54 - 압압부 6 - 스트레치부
61 - 제1 스트레치 롤러 62 - 제2 스트레치 롤러
63 - 스프링 7 - 필름 롤
71 - 필름 72 - 검지 센서
73 - 접촉 롤러 74 - 센서
8 - 절단 유지부 9 - 롤 베일

Claims (3)

  1. 롤 베일(roll bale)을 재치하는 베일 지지대와,
    상기 베일 지지대에 재치된 롤 베일에 감겨지는 복수개의 필름 롤을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필름 유지부와,
    상기 필름 유지부로부터 조출된 필름을 조출 방향으로 스트레치시키는 스트레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일 지지대 혹은 상기 필름 유지부를 회전시켜 롤 베일에 필름을 감도록 한 랩 머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필름 롤로부터 조출된 각각의 필름의 오버랩하고 있지 않는 위치에, 각 필름 롤의 필름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머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지 센서가, 스트레치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스트레치 롤러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인 랩 머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지 센서가, 필름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롤러의 회전을 검지하는 것인 랩 머신.
KR1020180001632A 2017-10-02 2018-01-05 랩 머신 KR102527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3072A JP6990892B2 (ja) 2017-10-02 2017-10-02 ラップマシーン
JPJP-P-2017-193072 2017-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982A KR20190038982A (ko) 2019-04-10
KR102527681B1 true KR102527681B1 (ko) 2023-05-03

Family

ID=6487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632A KR102527681B1 (ko) 2017-10-02 2018-01-05 랩 머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90892B2 (ko)
KR (1) KR102527681B1 (ko)
CN (1) CN20834458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27B1 (ko) 2020-06-08 2021-04-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 사용자용 챗봇을 위한 언어 모델 기반 다빈도 질환의 증상 인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9864A1 (en) * 2001-11-09 2003-05-15 Lely Enterprises, A.G., A Swiss Limited Liability Company Device for wrapping bodies, in particular bales of harvested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729Y2 (ko) * 1974-11-06 1980-03-27
JPH08566B2 (ja) * 1990-12-11 1996-01-10 株式会社タカキタ 伸縮性材料のフィルムウエブによる被巻装体の包装方法及び伸縮性材料のフィルムウエブを用いる包装装置における予備延伸装置
JP2695554B2 (ja) * 1991-12-24 1997-12-24 宇部興産株式会社 牧草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H10129609A (ja) * 1996-10-31 1998-05-19 Oji Seitai Kaisha Ltd ストレッチ包装方法と装置
JP6288848B2 (ja) * 2014-06-02 2018-03-07 株式会社タカキタ ラップマシ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9864A1 (en) * 2001-11-09 2003-05-15 Lely Enterprises, A.G., A Swiss Limited Liability Company Device for wrapping bodies, in particular bales of harvested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0892B2 (ja) 2022-01-12
CN208344584U (zh) 2019-01-08
KR20190038982A (ko) 2019-04-10
JP2019062831A (ja)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223B2 (en) Medium storing and advancing apparatus
KR102527681B1 (ko) 랩 머신
US3743205A (en) Self-centering reel support
KR102497409B1 (ko) 랩 머신
JP2542616B2 (ja) 巻き取つた帯状材料のコイルを保管し、該材料の加工機械に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497410B1 (ko) 기립 가능하게 롤 베일을 방출하는 랩 머신
JP5136959B2 (ja) 巻芯ボールロック装置
CN213679282U (zh) 一种电缆卷盘机
US20120012255A1 (en) Tape Placement Apparatus And Tape Printer Provided Therewith
CN210682828U (zh) 多功能柔性带收卷轴
US6101691A (en) Large fabric roll letoff
CN113628813A (zh) 一种裹线装置
JP2008247550A (ja) 糸巻取装置
FR2817836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tiquettes autocollantes pour poste de pose et poste de pose apte a etre muni d'un tel dispositif
JP2015226507A (ja) ラップマシンのフィルム保持装置
CN218893278U (zh) 一种薄膜切割装置
JP2020147360A (ja) 巻回体と薬剤包装装置との組み合わせ、巻回体、芯体
CN214455822U (zh) 一种高分子纤维收卷装置
KR19980017920U (ko) 코일 내경용 고무 슬리브의 자동 인입.출장치
CN215478792U (zh) 一种钢丝绳快速放绳装置
CN220096929U (zh) 一种标签滚筒
KR102635782B1 (ko) 차량용 가변형 네트
JP2520619B2 (ja) ゴム引き材料の自動巻取り装置
CN211971244U (zh) 一种卷筒纸开卷传送装置
JPH08268686A (ja) ウイ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