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111B1 - 고분자 수지 필름과 이것을 구비하는 통기막, 통음막, 음향 저항체, 통기막 부재, 통음막 부재, 음향 저항체 부재 및 음향 기기, 그리고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수지 필름과 이것을 구비하는 통기막, 통음막, 음향 저항체, 통기막 부재, 통음막 부재, 음향 저항체 부재 및 음향 기기, 그리고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111B1
KR102527111B1 KR1020177031402A KR20177031402A KR102527111B1 KR 102527111 B1 KR102527111 B1 KR 102527111B1 KR 1020177031402 A KR1020177031402 A KR 1020177031402A KR 20177031402 A KR20177031402 A KR 20177031402A KR 102527111 B1 KR102527111 B1 KR 10252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permeable membrane
sound
main surfac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638A (ko
Inventor
나오유키 마츠오
사토루 후루야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02Devices for damping, suppressing, obstructing or conducting sound in acous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3/00Cones, diaphragms, or the like, for emitting or receiving sound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고분자 수지 필름은,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관통 구멍은, 수지 필름의 기질 구조를 관통하고 있다. 필름의 양쪽 주면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은, 당해 관통 구멍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필름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이르기까지 변화되지 않거나, 또는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을 향해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한쪽 주면에 있어서, 개구의 직경이 3㎛ 이상 80㎛ 이하이고, 개구에 의한 당해 주면의 기공률의 변동이 10% 이하이고, 개구의 밀도(개수/㎠)의 변동이 1000개/㎠ 이하이다. 본 개시의 고분자 수지 필름은,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고분자막이며, 통기성의 변동이 종래의 막보다 작다.

Description

고분자 수지 필름과 이것을 구비하는 통기막, 통음막, 음향 저항체, 통기막 부재, 통음막 부재, 음향 저항체 부재 및 음향 기기, 그리고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필름과, 당해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통기막, 통음막, 음향 저항체, 통기막 부재, 통음막 부재, 음향 저항체 부재 및 음향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고분자막은, 통기막 및 통음막이라고 하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된다. 두께 방향으로 또한 투수성(물 투과성)은 갖지 않는 고분자막은, 방수성이 아울러 요구되는 용도, 예를 들어 방수 통기막 및/또는 방수 통음막에 사용할 수 있다. 전자의 고분자막으로서, 예를 들어 부직포가 대표적이다. 부직포는, 장섬유 또는 단섬유를 직조하지 않고 얽은 막이다. 부직포에서는, 무작위로 얽힌 섬유간의 공극을 찾아 가듯이 공기가 그 두께 방향으로 유통한다.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다른 고분자막으로서, 연신에 의해 발생한 무수한 세공의 분산 구조를 갖는 연신 다공질막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연신 다공질막으로 이루어지는 방수 통기막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8557호 공보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고분자막에서는, 당해 통기성의 변동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자 기기에 수용되어 사용되는 고분자막에서는, 이러한 사용 시에 막의 사이즈를 작게 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당해 막이 관여하는 특성의 향상, 그리고 전자 기기의 품질 및 생산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통기성의 변동이 작은 것이 특히 요망된다. 무작위로 얽힌 섬유간의 공극을 찾아 감으로써 공기가 유통하는 부직포에서는, 그 구조상, 통기성의 변동은 크다. 연신에 의해 발생한 무수한 세공의 분산 구조를 갖는 연신 다공질막에서는 부직포에 비해 통기성의 변동이 저감되지만, 더한층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고분자막이며, 통기성의 변동이 종래의 막보다 작은 고분자막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막은,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고분자 수지 필름이다.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수지 필름의 기질 구조를 관통하고 있다. 상기 필름의 양쪽 주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은, 당해 관통 구멍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상기 필름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이르기까지 변화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을 향해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한쪽 주면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직경이 3㎛ 이상 80㎛ 이하이고, 상기 개구에 의한 당해 주면의 기공률의 변동이 10% 이하이고, 및 상기 개구의 밀도(개수/㎠)의 표준 편차가 1000개/㎠ 이하이다.
본 발명의 통기막은, 상기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기막 부재는, 상기 본 발명의 통기막과, 상기 통기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음막은, 상기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음막 부재는, 상기 본 발명의 통음막과, 상기 통음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는, 상기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 부재는, 상기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와, 상기 음향 저항체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음향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를 구비하고, 이어폰, 이어폰 유닛, 헤드폰, 헤드폰 유닛, 헤드셋, 헤드셋 유닛, 수화기, 보청기,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원 필름에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고분자막이며, 통기성의 변동이 종래의 막보다 작은 고분자 수지 필름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이 갖는 관통 구멍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이 갖는 관통 구멍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분자 필름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기막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통기막 부재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를 구비하는 음향 기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 평가한, 본 발명의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한쪽 주면의 기공률과 두께 방향의 통기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서 행한 수지 필름의 통기성 변동률의 측정에 있어서, 샘플의 측정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실시예에서 수지 필름의 삽입 손실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모의 하우징 및 당해 하우징 내의 스피커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b는 실시예에서 수지 필름의 삽입 손실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한 시료와, 당해 시료를 모의 하우징에 배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서 평가한, 수지 필름(두께 25㎛)의 삽입 손실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서 평가한, 수지 필름(두께 12㎛)의 삽입 손실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제1 태양은,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고분자 수지 필름이며: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수지 필름의 기질 구조를 관통하고 있고; 상기 필름의 양쪽 주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당해 관통 구멍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상기 필름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이르기까지 변화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을 향해 증가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한쪽 주면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직경이 3㎛ 이상 80㎛ 이하, 상기 개구에 의한 당해 주면의 기공률의 변동이 10% 이하, 및 상기 개구의 밀도(개수/㎠)의 표준 편차가 1000개/㎠ 이하인;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2 태양은, 제1 태양에 부가하여, 상기 개구가, 상기 양쪽 주면에 서로 간격을 두면서 독립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3 태양은, 제1 또는 제2 태양에 부가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 필름의 기질 구조가 비다공질인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4 태양은,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태양에 부가하여,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JIS L1096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한 프레지어수로 나타내어, 1㎤/(㎠·초) 이상 150㎤/(㎠·초) 이하인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5 태양은,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태양에 부가하여, 두께 방향의 통기도의 변동률이 8% 이하인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6 태양은,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태양에 부가하여,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5㏈ 이하인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7 태양은,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태양에 부가하여, 상기 한쪽 주면에 있어서의 기공률이 0.5 내지 50%인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8 태양은,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태양에 부가하여, 상기 양쪽 주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개구가, 상기 각 주면 상에 상정한 격자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9 태양은, 제1 내지 제8 중 어느 태양에 부가하여, 발액 처리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0 태양은,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태양의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통기막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1 태양은, 제10 태양의 통기막과, 상기 통기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통기막 부재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2 태양은,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태양의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통음막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3 태양은, 제12 태양의 통음막과, 상기 통음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통음막 부재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4 태양은,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태양의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5 태양은, 제14 태양의 음향 저항체와, 상기 음향 저항체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6 태양은, 제14 태양의 음향 저항체를 구비하고, 이어폰, 이어폰 유닛, 헤드폰, 헤드폰 유닛, 헤드셋, 헤드셋 유닛, 수화기, 보청기,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인 음향 기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7 태양은,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태양의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원 필름에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고분자 수지 필름]
도 1, 도 2에,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고분자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필름(1)은, 그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12)을 갖는다. 관통 구멍(12)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은, 수지 필름(1)의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에 이르기까지 거의 일정하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수지 필름의 양쪽 주면(2, 3)에,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13a, 13b))가 서로 간격을 두면서 독립되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2)은, 수지 필름(1)의 기질 구조를 관통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관통 구멍(12)은, 수지 필름(1)의 기질과는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수지 필름(1)은, 그 두께 방향으로 통기 가능한 경로를 관통 구멍(12) 이외에 갖지 않는 비다공질의 필름이며, 전형적으로는, 관통 구멍(12)을 제외하고 무공의(중실의) 필름이다. 즉, 도 1, 도 2에 나타낸 수지 필름(1)의 기질 구조는 비다공질이며, 관통 구멍(12)은 이 비다공질 구조를 관통하고 있다. 수지 필름(1)의 한쪽 주면(2)에 있어서, 관통 구멍(12)의 직경은 3㎛ 이상 80㎛ 이하이다.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에 기초하는 한쪽 주면(2)의 기공률에 대해, 그 변동은 10% 이하이다. 한쪽 주면(2)에 있어서, 개구(13a)의 밀도(개수/㎤)의 표준 편차는 1000개/㎠ 이하이다.
관통 구멍(12)은, 그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수지 필름(1)의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증가하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도 3을 참조). 이러한 관통 구멍(12)은, 당해 관통 구멍(1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단면이 변화되는, 수지 필름(1)의 두께 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관통 구멍이다. 이때,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고, 다른 쪽 주면(3)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b)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커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수지 필름(1)의 한쪽 주면(2)에 있어서, 관통 구멍(12)의 직경은 3㎛ 이상 80㎛ 이하이고, 기공률의 변동은 10% 이하이고, 개구(13a)의 밀도의 표준 편차는 1000개/㎠ 이하이다. 또한, 이때, 상기 단면의 면적은,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연속적으로 증가해도 되고, 단계적으로 증가해도(즉, 당해 면적이 일정한 영역이 존재해도) 된다.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단면의 면적은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증가율은 거의 일정, 또는 일정하다.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단면의 면적이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또한 그 증가율이 거의 일정, 또는 일정한 관통 구멍(12)을 갖는 수지 필름(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필름(1)의 구조는, 종래의 고분자막과는 완전히 상이하다. 예를 들어, 부직포에서는, 무작위로 얽힌 섬유간의 공극을 찾아 가듯이 공기가 그 두께 방향으로 유통한다. 연신 다공질막에서는, 막 전체에 걸쳐 3차원적으로 분산되고, 서로 연속된 상태에 있는 무수한 세공이 통기 경로로 되어 있다. 한편, 수지 필름(1)은 상술한 구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고분자막이며, 통기성의 변동이 종래의 막보다 작은 고분자막이 된다.
또한, 이러한 수지 필름(1)에서는, 관통 구멍(12)이 수지 필름(1)의 기질 구조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관통 구멍(12)의 형상(단면 형상, 단면의 면적의 변화의 상태 등을 포함함), 관통 구멍(12)의 직경(개구(13a, 13b)의 직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밀도 등을, 더욱 고정밀도로, 균일성 높게 컨트롤할 수 있다. 이것은,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통기성의 변동이 작아지는 데 기여하고, 수지 필름(1)의 용도에 따른 당해 필름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의 높이,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의 특성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종래의 고분자막에서는, 그 구조상, 이와 같이 고정밀도로, 균일성이 높은 컨트롤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수지 필름(1)과 같은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의 높이가 얻어지지 않는다.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의 높이라 함은, 예를 들어 통기막에 대해 통기성의 제어의 자유도의 높이, 통음막에 대해 통음성의 제어의 자유도의 높이, 방수 통기막에 대해 방수성 및 통기성의 제어의 자유도의 높이, 방수 통음막에 대해 방수성 및 통음성의 제어의 자유도의 높이, 음향 저항체에 대해 당해 저항체를 투과하는 소리의 특성 제어의 자유도의 높이가다. 더욱 구체적인 예는, 높은 통기성의 달성, 높은 통음성의 달성, 방수성 및 통기성의 더욱 높은 레벨에서의 양립, 방수성 및 통음성의 더욱 높은 레벨에서의 양립, 방진성 및 저항체를 투과하는 소리의 특성의 제어성의 향상이다.
관통 구멍(12)에 대해, 「상기 단면의 면적이 거의 일정함(상기 단면의 면적이 변화되지 않음)」에는, 당해 면적이 엄밀하게 일정할 것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필름(1)의 제조 방법상 피할 수 없는 정도의 면적의 변동은 허용된다.
수지 필름(1)에서는,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이 3㎛ 이상 80㎛ 이하이다. 이 범위에서, 동등한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종래의 막에 비해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통기성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이 범위에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이 향상된다. 수지 필름(1)의 특성이라 함은, 예를 들어 상술한 통기성, 통음성(예를 들어, 수지 필름(1)에 의한 음압의 삽입 손실), 방수성, 방진성 및 투과하는 소리의 특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이들 모든 특성이 동시에 향상된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수지 필름(1)이 사용되는 용도에 있어서, 이들 모든 특성 또는 이들 모든 특성의 향상이 요구된다고는 할 수 없다.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이 80㎛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의 방진성이 저하된다.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은, 10㎛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상 3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당해 직경의 바람직한 범위는, 수지 필름(1)의 용도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예를 들어, 방수 통기막 또는 방수 통음막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그 방수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당해 직경의 상한이 15㎛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일 수 있다. 방수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수지 필름(1)의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의 하한은 10㎛ 이상, 나아가 20㎛ 이상이어도 된다.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은, 한쪽 주면(2)의 평균 구멍 직경과는 개념이 상이하다. 수지 필름(1)에서는, 한쪽 주면(2)에 존재하는 모든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 혹은 수지 필름(1)의 유효 부분(당해 필름의 용도로서 사용 가능한 부분)에 있어서의 한쪽 주면(2)에 존재하는 모든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관통 구멍(12)의 상기 단면의 형상 및 개구(1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원 또는 타원이다. 이때, 이들 형상은 엄밀한 원 또는 타원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서 피할 수 없는 다소의 형상의 흐트러짐은 허용된다. 또한, 이들 형상이 원 또는 타원이고, 또한 상기 단면의 면적이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거의 일정, 또는 일정한 증가율로 증가할 경우, 관통 구멍(12)의 형상은, 원뿔 혹은 타원뿔, 또는 이들의 일부가 된다.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관통 구멍(12)을 구비하는 수지 필름(1)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 구멍(12)에 대해, 개구(13)의 형상을 원으로 간주하였을 때의 당해 원의 직경, 바꾸어 말하면, 개구(13)의 단면적(개구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을 개구(13)의 직경이라고 한다. 수지 필름(1)의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은, 당해 주면(2)에 존재하는 모든 개구(13a)에서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수지 필름(1)의 유효 부분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이라고 간주할 수 있을 정도(예를 들어, 표준 편차가 평균값의 10% 이하)로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와 같이 개구(13a)의 직경이 일치된 수지 필름(1)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지 필름(1)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는, 주면(2) 및/또는 주면(3) 상에 있어서의 개구(13)의 주위에 「버어」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개구(13)의 직경 등, 개구(13)에 기초하는 수지 필름(1)의 각 특징을 판단할 때에는, 버어는 고려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개구(13)에 의해서만 판단한다.
수지 필름(1)에서는, 개구(13a)에 기초하는 한쪽 주면(2)의 기공률의 변동이 10% 이하이다. 이 범위에서, 종래의 막에 비해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통기성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이 범위에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이 향상된다. 수지 필름(1)의 주면의 기공률은, 주면의 면적에 대한 당해 주면에 존재하는 모든 관통 구멍(12)의 개구(13)의 면적의 합계의 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당해 기공률의 변동은, 8% 이하, 나아가 5% 이하로 될 수 있다.
수지 필름(1)에서는,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밀도의 표준 편차가 1000개/㎠ 이하이다. 이 범위에서, 종래의 막에 비해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통기성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이 범위에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이 향상된다.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당해 밀도의 표준 편차는, 500개/㎠ 이하, 200개/㎠ 이하, 나아가 100개/㎠ 이하일 수 있다.
수지 필름(1)에 있어서,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이들 개구(13a)의 직경, 기공률의 변동 및 개구(13a)의 밀도의 표준 편차가 정해져 있는 것은, 당해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직경이, 다른 쪽 주면(3)에 있어서의 개구(13b)의 직경과 동등 또는 그 이하인 것에 기초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개구(13a)에 의해, 수지 필름(1)의 통기성 및 통기성의 변동이 강하게 영향을 받는 것에 기초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는, 수지 필름(1)의 양쪽 주면(2, 3)에 서로 간격을 두면서 독립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1,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서로 다른 관통 구멍(12)의 개구(13)는 수지 필름(1)의 주면(2, 3) 상에서 중복되어 있지 않다. 적어도 수지 필름(1)의 유효 부분에 있어서, 이러한 개구(13)의 형성이 달성되어 있는 경우, 관통 구멍(12)의 형상, 관통 구멍(12)의 직경(개구(13a, 13b)의 직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밀도 등을, 더욱 고정밀도로, 균일성 높게 컨트롤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개구(13)는 각 주면(2, 3) 상에 상정한 격자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정한 격자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교적 용이하게 관통 구멍(12) 및 개구(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3)의 배치에서는, 개구(13)간의 간격(피치)의 변동이 적어, 더욱 통기성의 변동이 작은 수지 필름(1)이 된다.
상정하는 격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방 격자, 육각 격자, 정방 격자, 직사각형 격자, 마름모형 격자이다. 각각, 격자의 그물눈의 형상이 평행사변형, 육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면심 직사각형)이 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수지 필름에서는, 각 주면(2, 3) 상에 상정한 정방 격자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12)의 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주면(2, 3) 상의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방향에 대해(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 복수의 개구(13)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에서는, 수지 필름(1)의 주면(2) 및/또는 주면(3)에 있어서, 서로 다른 관통 구멍(12)의 개구(13)가 서로 중복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개구(13)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12)간의 간격을 좁힌 경우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중복은, 예를 들어 인접하는 관통 구멍(12)의 단부끼리의 중복이다.
수지 필름(1)은, JIS L1096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한 프레지어수(이하, 단순히 「프레지어수」)로 나타내어, 1㎤/(㎠·초) 이상 150㎤/(㎠·초) 이하의 통기도를 그 두께 방향의 통기도로서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지 필름(1)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더욱 높아지고, 구체적인 일례로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 필름(1)에서는, 두께 방향의 통기도(프레지어수에 의해 표현되는 통기도)의 변동률이 8%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7% 이하, 나아가 6% 이하일 수 있다. 두께 방향의 통기도의 변동률이 이들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수지 필름(1)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더욱 높아지고, 구체적인 일례로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통기도의 변동률은,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임의의 5점에서 측정한 프레지어 통기도의 평균값 Av에 대한 표준 편차 σ의 비 σ/Av에 의해 부여된다.
수지 필름(1)에서는,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은, 예를 들어 0.5 내지 50%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이다.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이 이들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수지 필름(1)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보다 높아지고, 구체적인 일례로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 필름(1)에서는,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의 밀도는, 예를 들어 1×103(개/㎠) 이상이고, 더욱 구체적인 예는 1×104(개/㎠) 이상 5×105(개/㎠)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2×104(개/㎠) 이상 4×105(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104(개/㎠) 이상 3×105(개/㎠) 이하이다.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의 밀도가 이들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수지 필름(1)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더욱 높아지고, 구체적인 일례로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관통 구멍(12)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증가하는 형상을 관통 구멍(12)이 갖는 경우,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직경 Ra와, 다른 쪽 주면(3)에 있어서의 개구(13b)의 직경 Rb의 비는, 비 Rb/Ra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을 초과하고 4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을 초과하고 3 이하이다. 비 Rb/Ra가 이들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수지 필름(1)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더욱 높아지고, 구체적인 일례로서, 수지 필름(1)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방법의 관계상(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조 방법으로 수지 필름(1)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집광성의 한계상), 관통 구멍(12)의 직경을 수지 필름(1)의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작게 할 수 없을 때, 비 Rb/Ra를 1보다 크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13a)의 직경 Ra에 의해 수지 필름(1)의 방수성을 담보할 수도 있다.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간격의 변동은, 예를 들어 5% 이하이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4% 이하, 나아가 3% 이하로 할 수 있다.
수지 필름(1)의 기공률, 기공률의 변동, 개구의 밀도 및 개구의 밀도의 변동은, 이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먼저, 광학 현미경 등의 확대 관찰 수단에 의해, 수지 필름(1)의 표면(주면의 특징을 평가하는 경우는, 당해 주면)을 촬영한다. 다음으로, 촬영한 표면(주면)의 화상 중에 존재하는 임의의 10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의 직경을 평가한다. 개구(13)의 직경의 평가에는, 화상 해석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평가한 개구(13)의 직경의 평균값 Av 및 표준 편차 σ를 구한다. 이 비 σ/Av가, 개구(13)의 직경의 변동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화상에 있어서, 인접하는(가장 인접하는) 관통 구멍(12)간의 간격(피치)을, 서로 다른 2 방향에 대해(예를 들어, 필름의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 각각 10개소 평가한다. 평가에는, 화상 해석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평가한 간격의 평균값 Av 및 표준 편차 σ를, 각각의 방향에 대해 구한다. 이 비 σ/Av가,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간의 간격의 변동이 된다.
수지 필름(1)의 기공률은, 식[(개구(13)의 직경의 평균값 Av로부터 구한 당해 개구의 평균 면적)/{(한 방향의 간격의 평균값)×(다른 방향의 간격의 평균값)}]×100(%)에 의해 구해진다.
이러한 기공률의 평가를, 평가 대상인 표면(주면)의 임의의 5점에 있어서 반복하고, 그 평균값 Av 및 표준 편차 σ의 비 σ/Av로부터 기공률의 변동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개구의 밀도는, 기공률을 평가할 때에 사용한 화상(5회분)으로부터 그 평균값 Av로서 구할 수 있다. 개구의 밀도의 변동은, 당해 평균값 Av와, 이 5회분의 화상으로부터 구한 개구의 밀도의 표준 편차 σ로부터, 비 σ/Av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관통 구멍(12)은 수지 필름(1)의 주면(2, 3)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통 구멍(12)이 연장되는 방향은, 수지 필름(1)의 주면(2, 3)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져 있어도 되고,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12)과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12)이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이 연장되는 방향은,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의 주면 및 단면에 대해 SEM에 의한 관찰을 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수지 필름(1)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이상 50㎛ 이하이고, 8㎛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에서,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의 취급성이 특히 높아지고, 또한 그 생산성도 특히 높아진다.
수지 필름(1)의 겉보기 비중은, 당해 필름(1)의 강도 및 취급성, 및 통음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음성의 관점에서, 0.1 내지 1.5g/㎤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1.4g/㎤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1)은,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지 필름(1)은,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 2dB 이하, 나아가 1㏈ 이하일 수 있다. 종래의 고분자막에서는, 고음역에 있어서의 이러한 낮은 음압 손실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수지 필름(1)은,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7㎑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7㎑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 2dB 이하, 나아가 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1)은,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10㎑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10㎑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일 수 있다.
수지 필름(1)의 유효 면적이라 함은, 수지 필름(1)이 그 용도에 있어서 사용될 때, 당해 용도에 필요한 기능이 요구되는 부분(유효 부분)의 면적이다.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을 통음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실제로 소리가 수지 필름(1)에 입력되고, 당해 필름을 통해 당해 필름으로부터 소리가 출력되는 부분의 면적이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수지 필름(1)을 배치하기 위해 수지 필름(1)의 주연부에 배치, 형성된 지지체나 접착부 등의 면적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유효 면적은, 전형적으로는, 수지 필름(1)을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개구부의 면적, 혹은 수지 필름(1)의 주연부에 지지체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지지체의 개구부의 면적일 수 있다.
수지 필름(1)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 필름인 원 필름에 관통 구멍(12)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이다. 수지 필름(1)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술폰, 폴리부타디엔,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우레탄, ABS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실리콘 러버에 의해 구성된다.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수지 필름(1)을 형성하는 경우, 레이저에 의한 천공성의 관점에서, 수지 필름(1)을 구성하는 재료는, PET, 폴리프로필렌, PTFE, 폴리이미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실리콘 러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수지 필름(1)의 기질 구조는 비다공질 구조이다. 수지 필름(1)의 기질 구조는 비다공질 구조 이외여도 되고, 예를 들어 다공질 구조, 독립된 기포를 갖는 구조 등을 기질 구조로서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질 구조를 구축하는 세공(예를 들어, 다공질 구조일 때), 혹은 기포(예를 들어, 기포를 갖는 구조일 때) 이외에, 관통 구멍(12)을 수지 필름(1)이 갖게 된다.
수지 필름(1)은,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요망되는 특성이 저해되지 않는 한, 층간에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필름(1)의 용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 특성에 따라서, 임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때, 그 통기성에 구애되는 일 없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통기성의 변동이 작은 것을 이용할 수 있는 용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용도는, 예를 들어 통기막, 통음막, 방수 통기막, 방수 통음막 및 음향 저항체이다.
통기막으로서의 용도에서는, 수지 필름(1)의 통기성의 변동이 작은 것에 기초하는, 양호한 통기성이 기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통기성 외에도 또한 방수성을 갖는 방수 통기막으로서의 용도에서는, 더욱 양호한 방수성이 기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통기막으로서의 용도에서는,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은 5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방수 통기막으로서의 용도에서는,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은 3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통음막으로서의 용도에서는, 수지 필름(1)의 통기성의 변동이 작은 것에 기초하는, 양호한 통음성이 기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음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통음성 외에도 또한 방수성을 갖는 방수 통음막으로서의 용도에서는, 더욱 양호한 방수성이 기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통음막으로서의 용도에서는,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은 5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방수 통음막으로서의 용도에서는,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은 3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음향 저항체로서의 용도에서는, 수지 필름(1)의 통기성의 변동이 작은 것에 기초하는, 당해 저항체를 투과하는 소리에 대해 양호한 특성이 기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저항체를 투과하는 소리의 특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수지 필름(1)을 사용할 때에는, 2종 이상의 수지 필름(1)을 조합해도 되고, 수지 필름(1)과 다른 부재를 조합해도 된다.
수지 필름(1)에는, 착색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필름(1)을 구성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착색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수지 필름(1)의 색은,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백색이다. 이러한 수지 필름(1)이 사용된 경우, 그 용도 및 배치 방법에 따라서는 수지 필름(1)이 눈에 띄는 경우가 있다. 눈에 띄는 막은 유저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바늘 등에 의한 찌름에 의해 수지 필름(1)으로서의 기능이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 수지 필름(1)에 착색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을 배치하는 부분의 색과 동색 또는 근사한 색을 갖는 수지 필름(1)으로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유저의 주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1)을 배치하는 부분 또는 배치하는 물품의 디자인상, 착색된 수지 필름(1)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고, 착색 처리에 의해, 이러한 디자인의 요구에 응할 수 있다.
착색 처리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을 염색 처리하거나, 수지 필름(1)에 착색제를 포함시키거나 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착색 처리는, 예를 들어 파장 380㎚ 이상 500㎚ 이하의 파장 영역에 포함되는 광이 흡수되도록 실시해도 된다. 즉, 수지 필름(1)은 파장 380㎚ 이상 500㎚ 이하의 파장 영역에 포함되는 광을 흡수하는 착색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이 파장 380㎚ 이상 500㎚ 이하의 파장 영역에 포함되는 광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는 착색제를 포함하거나, 혹은 파장 380㎚ 이상 500㎚ 이하의 파장 영역에 포함되는 광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는 염료에 의해 염색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 필름(1)을 청색, 회색, 갈색, 분홍색, 녹색, 황색 등으로 착색할 수 있다. 수지 필름(1)은, 흑색, 회색, 갈색 또는 분홍색으로 착색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수지 필름(1)을 얻는 경우, 착색 처리된 원 필름에 관통 구멍(12)을 형성함으로써 착색 처리된 수지 필름(1)을 얻어도 되고, 원 필름에 관통 구멍(12)을 형성한 후에 착색 처리를 실시하여, 착색 처리된 수지 필름(1)을 얻어도 된다.
수지 필름(1)이 흑색 또는 회색으로 착색 처리되어 있는 경우, 그 착색의 정도가, 이하에 나타내는 백색도 W로 나타내어 15.0 내지 7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도 W는, 수지 필름(1)의 주면의 명도 L, 색상 a 및 채도 b를, JIS L1015의 규정(헌터법)에 준거하여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측정한 이들 값으로부터 식 W=100-sqr[(100-L)2+(a2+b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백색도 W의 값이 작을수록, 수지 필름(1)의 색이 흑색이 된다.
수지 필름(1)은 발액 처리(발수 및/또는 발유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수지 필름(1)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발액층(4)이 형성된다(일례로서 도 4를 참조). 발액층(4)은, 수지 필름(1)의 한쪽 주면 상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쪽 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층(4)은, 관통 구멍(12)의 내부(내주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수지 필름(1)의 관통 구멍(12)에 대해, 그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증가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의 직경을 갖는 한쪽 주면(2)에 발액층(4)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관통 구멍(12)의 내부 및 주면(3)을 포함하는 전체면에 발액층(4)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층(4)은, 통상 개구(13(13a, 13b))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다.
발액층(4)은, 발수성을 갖는 층이며, 발유성을 아울러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액층(4)은, 예를 들어 발수제 또는 소수성의 발유제를 희석제로 희석하여 조제한 처리액을, 수지 필름(1) 상에 얇게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발수제 및 소수성의 발유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불소 화합물이다.
발액층(4)에 의해 방수성(발액성)이 부여된 수지 필름(1)의 방수성은, 예를 들어 JIS L1092의 내수도 시험 B법(고수압법)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한 내수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내수압은, 예를 들어 2㎪ 이상이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5㎪ 이상, 나아가 10㎪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발액 처리 및 발액층(4)에 관하여, 및 내수압 및 그 구체적인 수치에 대해서는, 수지 필름(1)의 각 용도, 예를 들어 통기막, 통음막 및 음향 저항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수지 필름(1)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통기막 및 통기막 부재]
본 발명의 통기막은, 수지 필름(1)을 구비한다. 당해 통기막은, 수지 필름(1)의 통기막으로서의 사용(의 결과)이기도 하다.
통기막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의 물품의 하우징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당해 개구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기체(전형적으로는, 공기)를 투과시키는 막이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조정 등에 사용된다.
방수성을 더 갖는 통기막, 즉 방수 통기막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의 물품의 하우징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당해 개구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기체(전형적으로는, 공기)를 투과시키는 막이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조정 등에 사용된다.
통기막은, 수지 필름(1)을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수지 필름(1)의 각 특징 및 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방수성을 더 갖기 위해, 통기막은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통기막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발액층(4)이 형성된다. 발액층(4)은, 통기막의 한쪽 주면 상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쪽 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층(4)은, 수지 필름(1)의 관통 구멍(12)의 내부(내주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수지 필름(1)의 관통 구멍(12)에 대해, 그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증가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의 직경을 갖는 한쪽 주면(2) 측의 통기막의 주면에 발액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수지 필름(1)의 관통 구멍(12)의 내부 및 다른 쪽 주면(3) 측의 통기막의 주면을 포함하는 전체면에 발액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 처리된 통기막은, 예를 들어 방수 통기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통기막은, 2층 이상의 수지 필름(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통기막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막은, 필요에 따라서, 수지 필름(1) 및 발액층(4) 이외의 임의의 부재 및/또는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부재는, 예를 들어 통기성 지지층이다. 통기성 지지층은,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의 적어도 한쪽 주면에 배치된다. 통기성 지지층의 배치에 의해, 통기막으로서의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취급성도 향상된다. 통기성 지지층은, 수지 필름(1)의 양쪽 주면(2, 3)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성 지지층은, 수지 필름(1)에 비해,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높은 층이다. 통기성 지지층에는, 예를 들어 직포, 부직포, 네트, 메쉬를 사용할 수 있다. 통기성 지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아라미드 수지이다. 통기성 지지층이 배치되는 수지 필름(1)의 주면에는, 발액층(4)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성 지지층의 형상은, 수지 필름(1)의 형상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의 주연부에만 배치되는 형상을 갖는(구체적으로, 수지 필름(1)이 원형인 경우에는, 그 주연부에만 배치되는 링형의) 통기성 지지층일 수 있다. 통기성 지지층은, 예를 들어 수지 필름(1)과의 열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배치된다.
통기성 지지층과 상이한 상기 임의의 부재의 예는, 지지체이다. 지지체는, 예를 들어 통기막의 적어도 한쪽 주면,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수지 필름(1)의 적어도 한쪽 주면에 배치된다. 지지체의 배치에 의해, 통기막으로서의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취급성도 향상된다. 지지체는, 통기막의 양쪽 주면,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수지 필름(1)의 양쪽 주면(2, 3)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체는 통기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이 경우, 수지 필름(1)의 통기성이 확보되는 구조, 예를 들어 개구부를 갖고 있다. 지지체는, 예를 들어 통기막의 주연부(수지 필름(1)의 주연부)에만 배치되는 형상을 갖는다. 지지체는, 예를 들어 통기막(수지 필름(1))과의 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양면 테이프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배치된다.
지지체를 구성하는 재료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및 이들의 복합 재료이다.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PET,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또는 이들의 복합재이다. 금속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과 같은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이다.
지지체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500㎛이고, 25 내지 200㎛가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 여유로서의 기능에 착안하면, 링 폭(프레임 폭: 외형과 내경의 차)은 0.5 내지 2㎜ 정도가 적당하다. 지지체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발포체를 사용해도 된다.
지지체가 배치된 통기막은, 통기막과, 당해 통기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통기막 부재로서 취급 및 유통시킬 수 있다. 통기막 부재의 일례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통기막 부재(45)는,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이 원형인 통기막(46)과, 통기막(46)의 주연부에 접합된 링형의 시트인 지지체(47)를 구비한다. 통기막(46)에 지지체(47)가 접합된 형태에 의해, 통기막(46)이 보강됨과 함께, 그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체(47)가, 통기막(46)을(통기막 부재(45)를)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할 때의 설치 여유로 되기 때문에, 통기막(46)의 (통기막 부재(45)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진다.
지지체(47)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이 직사각형인 통기막(46)의 주연부에 접합된, 프레임형의 시트인 지지체(47)여도 된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47)의 형상을 통기막(46)의 주연부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지지체(47)의 배치에 의한 통기막(46)의 특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시트형의 지지체(47)가 통기막(46)의 취급성 및 하우징에의 배치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통기막 부재(45)는, 2층 이상의 통기막(46) 및/또는 2층 이상의 지지체(47)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통기막 및 통기막 부재에는, 상술한 착색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1), 통기성 지지층 및 지지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착색 처리될 수 있다.
통기막 및 통기막 부재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통기 부재, 방수 통기 부재, 전자 기기, 케이스, 통기 구조, 방수 통기 구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부재, 기기 및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수지 필름(1)을 구비하는 통기막 또는 통기막 부재를 구비하는 한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막 및 통기막 부재 이외의 구성으로서, 공지의 부재, 기기 및 구조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통기막 및 통기막 부재를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할 때에는, 당해 통기막이 구비하는 수지 필름(1)의 주면(2) 측이 하우징에 면하도록 배치해도 되고, 주면(3) 측이 하우징에 면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통기막 및 통기막 부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음막]
본 발명의 통음막은, 수지 필름(1)을 구비한다. 당해 통음막은, 수지 필름(1)의 통음막으로서의 사용(의 결과)이기도 하다.
통음막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의 물품의 하우징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당해 개구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한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통음막은, 전자 기기 등의 물품이 스피커 등의 발음부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의 수음부와 같은 음향부를 갖고 있고, 당해 음향부에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개구부가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개구부(통음구)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당해 개구부로부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전자 기기의 외부와 음향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막이다.
방수성을 더 갖는 통음막, 즉 방수 통음막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의 물품의 하우징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당해 개구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한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통음막은, 전자 기기 등의 물품이 스피커 등의 발음부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의 수음부와 같은 음향부를 갖고 있고, 당해 음향부에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개구부가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개구부(통음구)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당해 개구부로부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전자 기기의 외부와 음향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막이다.
통음막은, 수지 필름(1)을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수지 필름(1)의 각 특징 및 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방수성을 더 갖기 위해, 통음막은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취할 수 있는 발액층(4)이 형성되는 상태는, 통기막이 통음막인 것을 제외하고, 발액 처리된 통기막과 마찬가지이다. 발액 처리된 통음막은, 예를 들어 방수 통음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통음성에 관하여 통음막에서는,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통음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은 점에서,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 2dB 이하, 나아가 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7㎑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7㎑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 2dB 이하, 나아가 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10㎑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10㎑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일 수 있다.
통음막의 통음성은 그 유효 면적이 클수록 향상되지만, 본 발명의 통음막은, 유효 면적이 4.9㎟로 매우 작은 조건에 있어서도, 이러한 양호한 통음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 유리한 특징은, 예를 들어 통음막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또는 박형화 등의 디자인 및 설계의 자유도의 높이에 기여한다.
통음막은, 2층 이상의 수지 필름(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통음막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통음막은, 필요에 따라서, 수지 필름(1) 및 발액층(4) 이외의 임의의 부재 및/또는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부재는, 예를 들어 상술한 통기성 지지층 및/또는 지지체이다. 통기성 지지층 및 지지체의 구체적인 구성, 및 통음막에의 배치의 상태는, 통기막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 및 배치의 상태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지지체가 배치된 통음막은, 통음막과, 당해 통음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통음막 부재로서 취급 및 유통시킬 수 있다. 통음막 부재의 구성의 예는, 통기막(46)이 통음막인 것을 제외하고, 통기막 부재의 구성의 예, 예를 들어 도 5, 도 6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또한, 통음막 부재에서는, 통기막 부재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지지체(47)에 기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음막 부재는, 2층 이상의 통음막 및/또는 2층 이상의 지지체(47)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통음막 및 통음막 부재에는, 상술한 착색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1), 통기성 지지층 및 지지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착색 처리될 수 있다.
통음막 및 통음막 부재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통음 부재, 방수 통음 부재, 전자 기기, 케이스, 통음 구조, 방수 통음 구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부재, 기기 및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수지 필름(1)을 구비하는 통음막 또는 통음막 부재를 구비하는 한, 한정되지 않는다. 통음막 및 통음막 부재 이외의 구성으로서, 공지의 부재, 기기 및 구조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통음막 및 통음막 부재를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할 때에는, 당해 통음막이 구비하는 수지 필름(1)의 주면(2) 측이 하우징에 면하도록 배치해도 되고, 주면(3) 측이 하우징에 면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통음막 및 통음막 부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음향 저항체]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는, 수지 필름(1)을 구비한다. 당해 음향 저항체는, 수지 필름(1)의 음향 저항체로서의 사용(의 결과)이기도 하다.
음향 저항체는, 음향 기기에 배치되고, 음향 기기로부터 출력되거나, 및/또는 음향 기기에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향 기기는, 소리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는 음향자를 구비한, 소리와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와, 변환부가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음향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연통하는 기체의 경로가 하우징 내에 존재하고, 음향자는 이 경로에 배치된다. 그리고, 음향 저항체는, 이 기체의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음향자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에서는, 이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이 본 발명의 수지 필름(1)이다.
음향 저항체를 더욱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를 구비하는 음향 기기의 일례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음향 기기는, 이어폰의 편측(우측 또는 좌측)을 구성하는 이어폰 유닛(51)이다.
이어폰 유닛(51)은,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자인 진동판(71)을 구비한 변환부(52)와, 프론트 하우징(53a) 및 리어 하우징(53b)을 구비한다. 변환부(52)는, 유닛(51)의 하우징(53)으로서 일체화된 프론트 하우징(53a) 및 리어 하우징(53b)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변환부(52)는, 진동판(71), 마그넷(72) 및 프레임(73)을 구비하고, 이들은 일체화되어 있다. 진동판(71)은 원형의 필름이며, 도시되어 있는 면(표면)과는 반대측의 면(이면)에 원통형의 코일이 설치되어 있다. 마그넷(72)은 원판형이며, 변환부(52)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진동판(71)의 이면에 설치된 코일의 개구부 및 링형의 프레임(73)의 개구부에 위치한다. 진동판(71)은, 그 주연부가 프레임(73)에 접합되어 있고, 주연부를 제외한 부분(주부)은 코일의 움직임에 맞추어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변환부(71)에 전기 신호(소리의 정보를 갖는 전기적인 신호; 소리 신호)가 공급되면, 당해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가 코일에 흘러, 당해 전류와 마그넷(72)의 전자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소리 신호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진동이 진동판(71)에 발생하고, 이 진동이 소리로서 진동판(71)으로부터 출력된다. 즉, 변환부(52)는 소리의 정보를 갖는 전기 신호와 소리를 변환하는 변환기(트랜스듀서)이다. 변환부(52)에의 전기 신호는, 유닛(51)의 리어 하우징(53b)측에 접속된 케이블(54)로부터, 진동판(71)의 이면의 코일 링에 공급된다. 케이블(54)과 코일의 전기적인 접속은, 도시를 생략한다.
유닛(51)의 하우징(53(53a, 53b))은, 개구(개구부)를 갖는다. 개구부의 일종은, 프론트 하우징(53a)에 설치된 통음구(55)이다. 진동판(71)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진동판(71)의 표면으로부터 통음구(55)를 통해 유닛(51)의 외부에 전달된다. 개구부의 다른 일종은, 리어 하우징(53b)에 형성된 개구부(56)이다. 리어 하우징(53b)에는, 2개의 개구(56a, 56b)가 설치되어 있다.
유닛(51)의 하우징(53) 내에는, 개구(56a, 56b)에 연통하는 기체(일반적인 사용 환경하라면, 공기)의 경로(57)가 존재한다. 경로(57)는, 각 개구부(56a, 56b)로부터 프레임(73)에 형성된 개구(74)를 통해 진동판(71)의 이면에 이른다. 바꾸어 말하면, 음향자인 진동판(71)은 경로(57)의 말단(개구(56a, 56b)와는 반대측의 말단)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직선적으로 경로(57)를 나타내고 있지만, 경로(57)가 기체의 경로인 이상, 하우징(53) 내에 있어서 개구(56a, 56b)로부터 기체가 연통하고 있는 부분은 경로(57)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유닛(51)에서는, 음향 저항체(58)가, 경로(57)에 있어서의 개구(56a, 56b)와 진동판(7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레임(73)의 각 개구(74)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의 일부인 형상을 갖는 음향 저항체(58)가, 각각의 개구(74)를 폐색하도록 프레임(73)에 접합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유닛(51)에서는, 경로(57)는 반드시 음향 저항체(58)를 통과한다. 바꾸어 말하면, 유닛(51)에 있어서 음향 저항체(58)는 경로(57)의 단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음향 저항체(58)는,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1)으로 구성된다.
음향자로부터 개구부(56)에 연통하는 통기 경로(57)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음향자인 진동판(71)의 움직임(진동)의 저해가 억제된다. 특히 이어폰 유닛(51)에서는, 하우징(53) 내부의 용적, 특히 진동판(71)에 대해 통음구(55)와는 반대측(이면측; 리어 하우징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용적이 작기 때문에, 이 효과는 현저하다. 그리고, 경로(57)에, 당해 경로(57)를 유통하는 기체의 흐름의 저항체가 되는 음향 저항체(58)를 배치함으로써, 음향 기기인 이어폰 유닛(51) 및 당해 유닛(51)을 구비하는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특성, 예를 들어 이어폰 유닛(51) 및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질이 향상된다. 음질의 향상의 더욱 구체적인 예는, 변환부(52)에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대해 더욱 충실한 소리의 출력, 불필요한 공명의 저감, 출력되는 소리에 대해 주파수 특성의 플랫화 또는 특정 주파수 영역의 강조 혹은 감쇠, 및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의 실현 등이다. 도 7에 나타낸 예는 이어폰 유닛이지만, 소리를 출력하는 다른 음향 기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특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리를 입력하는 음향 기기,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에 있어서도, 대응하는 특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수지 필름(1)을 포함하는 음향 저항체(58)는, 스펀지 등의 다공질체, 부직포, 메쉬 등의 직포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음향 저항체에 비해 변동(특성 및/또는 구조의 변동, 예를 들어 통기성의 변동)이 작다. 변동에는, 하나의 음향 저항체에 있어서의 면 내의 변동, 음향 기기에 배치된 2 또는 그 이상의 음향 저항체간의 변동(의도적으로 각 음향 저항체간에 있어서 통기성 등의 특성 및/또는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는 경우를 제외함), 및 이어폰과 같이 2개의 유닛(좌측 이어폰 유닛 및 우측 이어폰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각 유닛이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간의 변동이 모두 포함된다. 이 작은 변동에 의해, 예를 들어 이하의 효과가 달성된다.
경로(57)를 설치하는 것, 및 경로(57)에 음향 저항체(58)를 배치하는 것에 의한 상술한 효과,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향 기기의 특성의 향상을, 더욱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특성의 조정 및 특성의 향상을 위한 음향 기기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하나의 음향 저항체에 있어서의 면 내 변동의 작음, 및 음향 기기에 배치된 2 이상의 음향 저항체간의 변동의 작음은, 예를 들어 음향 기기 특성, 예를 들어 음압 특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음향 기기의 제조 시에, 가능한 한 변동이 작은 음향 저항체를 선별하는 공정, 혹은 음향 저항체에 어느 정도의 크기의 변동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이 전제 중에서 가능한 한 변동을 작게 하기 위해 종래 실시되고 있던, 음향 저항체의 형상의 조정, 음향 기기에 있어서의 음향 저항체의 배치 상태의 조정, 음향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에의 음향 저항체의 접합 상태의 조정, 제조 후에 있어서의 음향 기기의 면밀한 특성 검사와 같은 공정을 간략화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이것은, 음향 기기의 제조 수율의 향상 및 제조 비용의 저감으로 이어진다. 이어폰 등, 2 이상의 유닛을 조합하는 음향 기기에서는, 각 유닛이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간의 변동이 작음으로써, 예를 들어 각 유닛간의 출력 특성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어폰의 제조 시에, 좌측 및 우측의 유닛으로서 출력 특성이 근사 또는 동일한 유닛을 선별하여, 조합하는 공정을 간략화 또는 생략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또한, 종래는 출력 특성의 변동이 있기 때문에 이어폰 유닛 단체에서의 유통을 할 수 없는 것이 당업자의 상식이었지만, 유닛간의 출력 특성의 변동이 작아지면, 제조 부품 혹은 교환 부품으로서 유닛 단체에서의 유통을 시야에 들어오게 하는 것도 가능해져, 그 의의는 매우 크다.
이와는 별도로, 수지 필름(1)을 포함하는 음향 저항체(58)에는 방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방진성이 부여된 음향 저항체(8)는, 음향 기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상술한 기능 이외에, 또한 방진 부재로서의 기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음향 저항체(58)의 경로(57)에의 배치에 의해, 예를 들어 음향 기기의 하우징(53) 내에 개구부(56)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방진 기능을 갖는 음향 기기로 할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의 방진성의 정도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의 직경, 특히 개구(13a)의 직경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는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방수성이 부여된 음향 저항체(58)는, 음향 기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상술한 기능 이외에, 또한 방수 부재로서의 기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음향 저항체(58)의 경로(57)에의 배치에 의해, 예를 들어 음향 기기의 하우징(53) 내에 개구부(56)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방수 기능을 갖는 음향 기기로 할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의 방수성의 정도는, 예를 들어 발액층의 구성 및 수지 필름(1)의 관통 구멍(12)의 직경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발액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발액층(4)의 상태는, 통기막이 음향 저항체인 것을 제외하고, 발액 처리된 통기막과 마찬가지이다.
음향 저항체(58)에는, 방진성과 방수성의 양쪽을 부여할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는, 그 재질에 따라서는, 종래의 음향 저항체보다 경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다공질체가 음향 저항체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우레탄 수지는 대기 중의 습도에 의한 가수 분해성을 가져, 경년 안정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에 비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구성되는 수지 필름(1)을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58)는, 훨씬 양호한 경년 안정성을 나타낸다.
음향 기기에서는, 스피커의 일종과 같이 음향자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기기를 제외하고, 하우징 내에 수용된 음향자와 기기의 외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하우징에 통음구가 설치된다. 도 7에 나타낸 이어폰 유닛(51)에서는, 프론트 하우징(53a)에 통음구(55)가 설치되어 있다. 음향 저항체(58)는, 음향자와 통음구 사이의 소리의 전달 경로가 되는 기체의 경로에 배치할 수 있다.
수지 필름(1)에 대해, 관통 구멍(12)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증가하는 경우, 이러한 수지 필름(1)을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58)의 사용에 의해, 경로(57)에 있어서의 기체의 흐름의 저항을 보다 폭넓게, 혹은 그러한 구조를 갖지 않는 음향 저항체를 사용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영역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음향 저항체(58)에 의한 음향 기기의 특성 제어의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다. 이 자유도의 높이는, 음향 기기의 특성 및 설계의 자유도의 높이에 기여한다.
통음성에 관하여 음향 저항체(58)에서는, 수지 필름(1)에 있어서의 통음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높은 점에서,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 2dB 이하, 나아가 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7㎑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7㎑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 2dB 이하, 나아가 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10㎑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이 5㏈ 이하일 수 있고, 수지 필름(1)의 구성에 따라서는, 주파수 10㎑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3㏈ 이하일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의 통음성은 그 유효 면적이 클수록 향상되지만, 본 발명의 음향 저항체(58)는 유효 면적이 4.9㎟로 매우 작은 조건에 있어서도, 이러한 양호한 통음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 유리한 특징은, 예를 들어 음향 저항체(58)를 구비하는 음향 기기의 소형화 및/또는 박형화 등의 디자인 및 설계의 자유도의 높이에 기여한다. 음향 저항체의 유효 면적이라 함은,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음향 저항체가 배치되었을 때, 실제로 소리가 음향 저항체에 입력되고, 음향 저항체를 통해 당해 저항체로 소리가 출력되는 부분(유효 부분)의 면적을 말하며, 예를 들어 음향 저항체를 배치하기 위해 당해 저항체의 주연부에 배치, 형성된 지지체나 접착부 등의 면적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유효 면적은, 전형적으로는, 당해 저항체가 배치된 개구부의 면적, 혹은 음향 저항체의 주연부에 지지체가 배치된 경우, 당해 지지체의 개구부의 면적일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는, 2층 이상의 수지 필름(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음향 저항체(58)는, 필요에 따라서 수지 필름(1) 및 발액층(4) 이외의 임의의 부재 및/또는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부재는, 예를 들어 상술한 통기성 지지층 및/또는 지지체이다. 통기성 지지층 및 지지체의 구체적인 구성, 및 음향 저항체에의 배치의 상태는, 통기막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 및 배치의 상태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지지체가 배치된 음향 저항체는, 음향 저항체와, 당해 음향 저항체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 부재로서 취급 및 유통시킬 수 있다. 음향 저항체 부재의 구성의 예는, 통기막(46)이 음향 저항체인 것을 제외하고, 통기막 부재의 구성의 예, 예를 들어 도 5, 도 6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또한, 음향 저항체 부재에서는, 통기막 부재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지지체(47)에 기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음향 저항체 부재는, 2층 이상의 음향 저항체 및/또는 2층 이상의 지지체(47)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음향 저항체(58) 및 음향 저항체 부재에는, 상술한 착색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1), 통기성 지지층 및 지지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착색 처리될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음향 저항체 부재를 포함함. 이하, 동일함)는, 음향 기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로 통함과 함께 음향자가 배치되어 있는 기체의 경로(57)에 있어서의, 당해 개구부 및 음향자 사이에 배치된다. 「개구부 및 음향자 사이에 배치된다」라 함은, 개구부에의 배치, 더 구체적으로는,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하우징에 접합한 상태에서의 배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하우징의 내벽에 접합해도 되고, 외벽에 접합해도 된다.
경로(57)가 연통하는 개구부는, 통음구여도 되고, 통음구 이외의 개구부여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이어폰 유닛(51)에서는, 통음구(55)와는 상이한 개구부(56)에, 음향 저항체(58)가 배치된 경로(57)가 연통하고 있다. 음향 기기에서는, 예를 들어 음향 기기의 하우징에 2 이상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2 이상의 개구부는, 음향자와 하우징의 외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통음구를 포함하고 있고, 적어도 통음구와는 상이한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는 경로(57)에 음향 저항체(58)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통음구에 연통하는 경로(57)와, 통음구 이외의 개구에 연통하는 경로(57)의 양쪽에 음향 저항체(58)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음향 기기에 배치되는 음향 저항체(58)는 2 이상이어도 되고, 하나의 경로(57)에 배치되는 음향 저항체(58)가 2 이상이어도 된다.
음향자로부터의 경로(57)는 2 이상의 개구부에 연통하고 있어도 되고, 이때 당해 2 이상의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가 통음구여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음향자로부터의 경로(57)는 통음구와, 통음구 이외의 개구부에 연통하고 있어도 된다.
경로(57)의 설계, 경로(57)에 있어서의 음향 저항체(58)를 배치하는 위치 및 수, 및 음향 저항체(58)의 특성(관통 구멍의 개구의 직경, 통기도 등)은, 요구되는 음향 기기의 특성에 따라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는, 예를 들어 당해 저항체(58)가 배치되어 있는 경로(57)를 폐색하도록 배치된다. 음향 저항체(58)는, 경로(57)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음향 저항체(58)가 방진성을 갖는 경우, 그 배치의 상태에 따라서는, 방진성을 갖는 음향 기기가 얻어진다. 배치의 상태는, 예를 들어 경로(57)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덮는 것과 같은 배치이다. 음향 저항체(58)가 방수성을 갖는 경우, 그 배치의 상태에 따라서는, 방수성을 갖는 음향 기기가 얻어진다. 배치의 상태는, 예를 들어 경로(57)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덮는 것과 같은 배치이다.
경로(57)에의 음향 저항체(58)의 배치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나타낸 이어폰 유닛(1)에서는, 경로(57)를 구성하는 개구(74)가 설치된 프레임(73)에, 당해 개구(74)를 폐색하도록 음향 저항체(58)가 접합되어 있다. 음향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에 음향 저항체(58)를 접합함으로써 경로(57)에 당해 저항체(58)를 배치하는 경우,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부착, 열 용착, 고주파 용착, 초음파 용착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부착에서는, 당해 양면 테이프를 음향 저항체의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음향 저항체(58)를 더욱 확실하고 또한 정확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음향 저항체(58)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음향 저항체(58)의 형상은, 예를 들어 디스크형, 원통형, 링형 및 이들 형상의 일부(예를 들어, 링의 일부, 초승달형, 반달형 등)이다. 음향 저항체(58)를 배치하는 경로(57)의 형상, 혹은 경로(57)의 단면의 형상에 따라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음향자는, 소리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음향자는, 예를 들어 진동판(진동 필름, 진동막, 다이어프램)이다.
경로(57)에 있어서 음향자가 배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향자가 경로(57)의 말단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변환부(트랜스듀서)는, 음향자를 구비하고, 소리와 전기 신호를 변환한다. 음향 기기가 이어폰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는 기기인 경우, 변환부에서는, 입력된 전기 신호(소리 신호)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음향 기기가 마이크로폰 등과 같이 소리를 입력하는 기기인 경우, 변환부에서는, 입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소리 신호)를 출력한다. 변환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음향자를 포함하여, 공지의 변환부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하우징 내에의 변환부의 수용 방법 및 수용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은, 예를 들어 금속, 수지, 유리 및 이들의 복합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에 설치하는 개구부(통음구를 포함함)의 위치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음향 기기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어폰, 헤드폰, 마이크로폰, 헤드셋, 수화기, 보청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이다. 음향 기기는, 소음계 등의 음향 평가 기기일 수 있다. 음향 기기는, 2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음향 기기의 각 유닛일 수 있다. 당해 유닛은, 예를 들어 이어폰 유닛, 헤드폰 유닛, 마이크로폰 유닛, 헤드셋을 구성하는 각 유닛이다.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수지 필름(1)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의 제조 방법에서는,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원 필름에 복수의 관통 구멍(12)을 형성하여 수지 필름(1)을 형성한다. 레이저를 조사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한 복수의 관통 구멍(12)을 갖는 수지 필름은, 그대로 수지 필름(1)으로서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발액층(4)을 형성하는 공정, 착색 처리 공정, 또는 통기성 지지층 및/또는 지지체를 적층하는 공정을 거쳐, 수지 필름(1) 또는 수지 필름(1)을 구비하는 통음막 등의 부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1)이 갖는 관통 구멍(12)의 개구(13)의 직경 및 그 변동, 관통 구멍(12)이 연장되는 방향, 관통 구멍(12)의 단면의 형상 및 단면의 형상의 변화, 수지 필름(1)의 주면에 있어서의 개구(13)의 배치, 기공률, 및 개구(13)의 밀도 등과 같은 특징의 제어가 용이하다.
원 필름은, 수지 필름(1)으로서 사용하는 영역에 있어서, 그 두께 방향으로 통기 가능한 경로를 갖지 않는 비다공질의 고분자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원 필름은, 무공의 필름이어도 된다. 원 필름이 비다공질의 수지 필름임으로써, 비다공질의 기질 구조를 갖는 수지 필름(1)을 형성할 수 있다.
원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얻고자 하는 수지 필름(1)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관통 구멍(12)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에서는, 통상, 필름의 두께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 필름의 두께로서, 얻고자 하는 수지 필름(1)의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원 필름에는, 예를 들어 집광 펄스 레이저를 조사한다. 집광 펄스 레이저에는, 공지의 레이저 및 광학계를 사용할 수 있다. 레이저는, 예를 들어 UV 펄스 레이저이며, 그 파장의 예는 355㎚, 349㎚, 또는 266㎚(Nd:YAG, Nd:YLF 또는 YVO4를 매질로 하는 고체 레이저의 고차 고조파), 351㎚, 248㎚, 222㎚, 193㎚ 혹은 157㎚(엑시머 레이저)이다. 원 필름에 관통 구멍(12)을 형성할 수 있는 한, UV 이외의 파장 영역의 레이저를 사용해도 된다. 레이저의 펄스 폭도 관통 구멍(12)을 형성할 수 있는 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펄스 폭이 펨토초 또는 피코초 오더인 펄스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펄스 레이저에서는, 다광자 흡수 과정에 기초하는 어블레이션에 의해 관통 구멍(12)이 형성된다. 레이저 빔의 공간 강도 분포는, 중심 강도가 높은 가우스 분포여도 되고, 또한 균일한 분포를 갖는 톱 햇 분포여도 된다.
광학계는, 예를 들어 갈바노 스캐너 및 Fθ 렌즈(집광 렌즈)를 포함한다. Fθ 렌즈는, 텔레센트리시티가 5도 이내이도록 선택 및 광학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계는, 폴리곤 미러 스캐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스캐너를 포함하는 광학계에 의해, 원 필름에 있어서의 목표 위치에 관통 구멍(12)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에는, 원 필름의 분해물이 광학계 및/또는 당해 필름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어시스트 가스를 가공부 또는 그 근방에 분사하거나, 혹은 가공부 또는 그 근방을 흡기하는 등의 대책을 실시해도 된다. 어시스트 가스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공기, 산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사와 흡인을 조합해도 된다.
레이저의 조사에 의한 관통 구멍(12)의 형성의 관점에서는, 원 필름의 두께는 5㎛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원 필름의 두께가 이 범위에 있으면, 레이저의 조사에 의한 관통 구멍(12)의 형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원 필름에의 레이저의 조사는,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원 필름을 고정하여, 또는 이동시키면서 실시해도 되고, 띠형의 원 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실시해도 된다. 롤에 권회된 띠형의 원 필름을 당해 롤로부터 조출하고, 조출한 띠형의 원 필름을 이동시키면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레이저 조사 후의 필름을 롤에 권회해도 된다. 즉, 롤 투 롤에 의해, 띠형의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해도 된다.
원 필름에의 레이저의 조사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발생한 원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의 분해 잔사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관점에서, 중공 상태에 있는 원 필름에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실시해도 된다. 이때, 원 필름의 배면측(레이저를 조사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측)에, 분해물을 효율적으로 회수 및 제거하기 위한 흡인 기구가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에는, 원 필름의 레이저 조사 부분에 소정의 장력이 인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주름이나 늘어짐이 원 필름에 발생하는 것에 의한 레이저 조사 시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소정의 장력의 인가는, 예를 들어 원 필름의 양단부를 집어 보유 지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관통 구멍(12)을 형성한 후, 필요에 따라서, 당해 필름에의 부착물, 예를 들어 원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의 분해 잔사물의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하여, 필름을 세정해도 된다. 세정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중에의 침지, 샤워 및/또는 초음파를 병용한 웨트 세정, 혹은 플라스마, UV 오존, 초음파, 브러시, 점착 테이프 등에 의한 드라이 세정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웨트 세정을 선택한 경우, 필요에 따라서 건조 공정을 더 실시해도 된다.
원 필름에 상술한 착색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착색 처리된 수지 필름(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공정 이외의 임의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그 용도인 부재의 제조 방법, 예를 들어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원 필름에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통기막의 제조 방법, 통기막 부재의 제조 방법, 통음막의 제조 방법, 통음막 부재의 제조 방법, 음향 저항체의 제조 방법, 혹은 음향 저항체 부재의 제조 방법이기도 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수지 필름의 기공률과 두께 방향의 통기도의 관계의 평가)
PET로 이루어지는 무공의 원 필름(도레이 제조, 루미러, 두께 12㎛ 또는 25㎛)에, 갈바노 스캐너에 의한 주사 및 Fθ 렌즈(초점 거리 100㎜)에 의한 집광을 사용하여 펄스 레이저(파장 355㎚, 펄스 폭 20나노초, 출력 7.6W, 반복 주파수 40㎑)를 조사하여 관통 구멍(12)을 형성하여, 수지 필름(1)을 얻었다.
실시예 1에서는,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필름의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 관통 구멍(12) 및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필름의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형상을 갖는 관통 구멍(12)을 형성하였지만, 그때, 원 필름의 두께 및 갈바노 스캐너에 입사하는 레이저의 빔 직경을 제어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직경 및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다른 쪽 주면(3)에 있어서의 개구(13b)의 직경을,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필름의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형상을 갖는 관통 구멍(2)의 경우,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직경과 주면(3)에 있어서의 개구(13b)의 직경이 동일하다. 또한, 갈바노 스캐너의 스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인접하는 관통 구멍(12)간의 간격(구멍의 중심간의 간격)을, 필름의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실시예 1에서는, MD 방향의 간격과 TD 방향의 간격이 동일한 경우, 관통 구멍(12)의 개구(13)는, 필름의 주면 상에 상정된 정방 격자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MD 방향의 간격과 TD 방향의 간격이 상이한 경우, 관통 구멍(12)의 개구(13)는, 필름의 주면 상에 상정된 직사각형 격자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한 수지 필름(1)에 대해, 각 주면(2, 3)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의 직경,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 및 두께 방향의 통기도를 평가하였다. 개구(13)의 직경 및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하였다.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통기도]
수지 필름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JIS L1096에 규정되어 있는 통기성 측정법의 B법(걸리법)에 의해 구한 걸리수를, 프레지어수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통기도에 대해, 걸리수 G와 프레지어수 F의 환산식은,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7107173832-pct00001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1 및 도 8에 나타낸다. 프레지어수의 단위는, ㎤/(㎠·초)이다.
Figure 112017107173832-pct00002
표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과 수지 필름(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원 필름의 두께(형성된 수지 필름의 두께) 및 개구(13a)의 직경에 상관없이, 거의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실시예 2: 통기성 변동률의 평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수지 필름(단,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a)의 직경이 8㎛, 다른 쪽 주면(3)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b)의 직경이 21㎛,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이 0.5%,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밀도가 1×104개/㎠, 원 필름 및 제작한 수지 필름의 두께가 25㎛)에 대해, 그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통기성의 변동을, 통기도의 변동률(통기성 변동률)에 의해 평가하였다. 통기성 변동률은, 이하와 같이 구하였다. 먼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얻어진 수지 필름으로부터 샘플(201)을 잘라내고, 잘라낸 당해 샘플의 주면에 있어서의 직교하는 2개의 방향으로 각각 3점, 샘플(201) 전체에서 5점의 측정 포인트(202)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측정 포인트(202)에 있어서의 샘플(20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를, JIS L1096B의 규정에 준거하여 걸리수로서 측정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프레지어수로 변환하였다. 이것을 하나의 수지 필름에 대해, 당해 필름으로부터 개별로 잘라낸 6개의 샘플(201)에 대해 실시하고, 측정한 총 30점(5점×6)의 통기도(프레지어수)의 평균값 Av 및 표준 편차 σ를 구하고, 평균값 Av에 대한 표준 편차 σ의 비 σ/Av로 표현되는 통기성 변동률을 구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작한 수지 필름의 통기성 변동률은, 4.55%였다.
(실시예 3: 통음성의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샘플 No.2, 5, 12, 13, 14의 수지 필름(모두 두께 25㎛)에 대해, 및 샘플 No.1, 4, 8, 9, 16의 수지 필름(모두 두께 12㎛)에 대해, 그 통음성(음압 손실)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통음성(음압 손실)]
먼저,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의 하우징을 본뜬 모의 하우징(91)(폴리스티렌제, 외형 60㎜×50㎜×28㎜)을 준비하였다. 모의 하우징(91)에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하우징의 외부로 전달하는 개구부가 되는 스피커 설치 구멍(92)(직경이 2.5㎜인 원형)과, 스피커 케이블의 도통 구멍(93)이 각각 1개소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개구부가 없다. 다음으로, 직경이 5㎜의 원형인 통음 구멍이 형성된 우레탄 스펀지제의 충전재(94)에 스피커(95)(스타 세이미쯔 제조, SCG-16A)를 매립하여, 하우징(91)의 내부에 수용하였다. 스피커(95)의 스피커 케이블(96)은 도통 구멍(93)으로부터 하우징(91)의 외부로 도출하고, 그 후, 도통 구멍(93)은 퍼티로 막았다.
다음으로, 폴리에틸렌계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양면 테이프(97)(닛토덴코 제조, No.57120B, 두께 0.2㎜), PET 필름(98)(두께 0.1㎜) 및 PET로 이루어지는 양면 테이프(99)(닛토덴코 제조, No.5603, 두께 0.03㎜)를 준비하고, 각각, 내경 2.5㎜ 및 외경 5.8㎜의 링형으로 펀칭 가공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각 샘플 No.의 수지 필름(1)을 직경 5.8㎜의 원형으로 펀칭하였다. 다음으로, 내경 2.5㎜의 링형의 양면 테이프(97), 원형의 수지 필름(1), 내경 2.5㎜의 링형의 양면 테이프(99) 및 내경 2.5㎜의 링형의 PET 필름(98)을 이 순서로, 외형을 맞추어 적층하고, 음향 특성 평가용 시료(수지 필름(1)의 유효 면적이 4.9㎟)를 제작하였다(도 10b를 참조).
다음으로, 제작한 시료를, 당해 시료가 구비하는 폴리에틸렌계 발포체의 양면 테이프(97)를 사용하여, 모의 하우징(91)의 외측에, 개구부(92)를 수지 필름(1)이 완전히 덮도록 설치하였다. 그때, 수지 필름(1)과 양면 테이프(97)의 사이, 및 양면 테이프(97)와 모의 하우징(91)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스피커 케이블(96)과 마이크(Knowles Acoustic 제조, Spm0405Hd4H-W8)를 음향 평가 장치(B&K 제조, Multi-analyzer System 3560-B-030)에 접속하고, 모의 하우징(91)의 개구부(92)로부터 21㎜ 이격된 위치에 마이크를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평가 방식으로서 SSR 분석(시험 신호 20㎐ 내지 10㎑, sweep)을 선택, 실행하고, 수지 필름(1)의 음향 특성(THD, 음압 손실)을 평가하였다. 음압 손실은, 음향 평가 장치로부터 스피커(95)에 입력한 신호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자동적으로 구해진다. 이와는 별도로, 수지 필름(1)을 배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하여 블랭크의 음압 손실을 구해 두고, 수지 필름(1)을 배치하였을 때의 음압 손실로부터 블랭크의 음압 손실을 뺀 것을, 당해 필름의 특성인 음압 손실(삽입 손실)로 하였다. 삽입 손실이 작을수록, 수지 필름(1)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특성이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평가 결과를 도 11, 도 12에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필름(1)의 두께가 25㎛일 때, 주파수 5㎑에 있어서 삽입 손실 20㏈ 이하가 달성되었다. 또한, 프레지어수가 1㎤/(㎠·초) 이상인 샘플 2, 12, 5 및 14에서는, 주파수 5㎑에 있어서 삽입 손실 10㏈ 이하가 달성되었다. 그리고, 프레지어수가 4㎤/(㎠·초) 이상인 샘플 12, 5 및 14에서는, 주파수 5㎑에 있어서 삽입 손실 5㏈ 이하가 달성되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필름(1)의 두께가 12㎛일 때, 모든 샘플에 있어서 주파수 5㎑ 및 7㎑에 있어서의 삽입 손실 5㏈ 이하가 달성되었다. 또한, 프레지어수가 10㎤/(㎠·초) 이상인 샘플 4, 9, 16 및 8에서는, 주파수 5㎑ 및 7㎑에 있어서 삽입 손실 1㏈ 이하가 달성되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로서, 시판되고 있는 부직포(아사히 가세이 제조, 스매쉬 Y15250)를 준비하였다. 이 부직포는, 스펀본드법에 의해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이며, 그 겉보기 밀도는 0.44g/㎤였다.
이 부직포에 대해,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통기성 변동률을 구하였다. 각 측정 포인트(202)의 위치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1의 부직포의 통기성 변동률은, 18.0%였다.
(실시예 4: 내수압의 평가)
원 필름의 두께를 25㎛로 하고, Fθ 렌즈의 초점 거리를 16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관통 구멍(12)이 형성된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에서는,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필름의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 관통 구멍(12)을 형성하였지만, 그때, 갈바노 스캐너에 입사하는 레이저의 빔 직경을 제어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직경 및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다른 쪽 주면(3)에 있어서의 개구(13b)의 직경을, 이하의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또한, 갈바노 스캐너의 스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인접하는 관통 구멍(12)간의 간격(구멍의 중심간의 간격)을 필름의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 이하의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다음으로, 형성한 수지 필름을 발액 처리액 중에 5초 침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건조시키고, 당해 필름의 표면 및 관통 구멍(12)의 내주면에 발액층을 형성하여, 발액 처리된 수지 필름(1)을 얻었다. 발액 처리액으로서, 발액제(신에쓰 가가꾸 제조, X-70-043)를 농도 1.0중량%로 되도록 희석제(신에쓰 가가꾸 제조, FS 시너)로 희석하여 조제한 액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한 수지 필름(1)에 대해, 각 주면(2, 3)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의 직경,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 및 두께 방향의 통기도(프레지어수)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또한, 통기성 변동률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평가함과 함께,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 a의 밀도의 표준 편차를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한 수지 필름(1)의 내수압을 이하와 같이 각각 평가하였다.
[내수압]
통음성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계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양면 테이프(97)(닛토덴코 제조, No.57120B, 두께 0.2㎜), PET 필름(98)(두께 0.1㎜) 및 PET로 이루어지는 양면 테이프(99)(닛토덴코 제조, No.5603, 두께 0.03㎜)를 준비하고, 각각 내경 2.5㎜ 및 외경 5.8㎜의 링형으로 펀칭 가공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각 샘플 No.의 수지 필름(1)을 직경 5.8㎜의 원형으로 펀칭하였다. 다음으로, 내경 2.5㎜의 링형의 양면 테이프(97), 원형의 수지 필름(1), 내경 2.5㎜의 링형의 양면 테이프(99) 및 내경 2.5㎜의 링형의 PET 필름(98)을 이 순서로, 외형을 맞추어 적층하여, 내수압 평가용 시료(수지 필름(1)의 유효 면적이 4.9㎟)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제작한 시료를, 직경 2.0㎜의 개구를 중심으로 갖는 고정 지그에, 시료의 중심과 개구의 중심을 맞추어 부착한 후, 이것을 내수도 시험 장치에 조립 장착하여, JIS L1092의 내수도 시험 B법(고수압법)의 규정에 준거하여, 각 수지 필름(1)의 내수압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정리한다.
Figure 112017107173832-pct00003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직경이 15㎛ 이하인 경우에 6㎪ 이상, 14㎛ 이하인 경우에 9㎪ 이상의 양호한 방수성이 달성되었다. 또한, 실시예 3에서 제작한 샘플 No.18-21 중 어느 수지 필름에 있어서도,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밀도의 표준 편차는 100개/㎠ 이하이고, 통기성 변동률은 8% 이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4에서 제작한 수지 필름에 있어서도,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과 수지 필름(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개구(13a)의 직경에 상관없이, 거의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이와는 별도로, 발액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No.21과 동일한 개구의 직경, 개구의 간격, 주면(2)의 기공률 및 프레지어수를 갖는 수지 필름(1)을 제작하고, 제작한 당해 필름의 내수압을 평가한 바 2㎪이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직경이 18㎛이고, 개구의 간격이 MD 및 TD 모두 70㎛인 수지 필름(1)(발액 처리를 실시)을 형성하고, 형성한 수지 필름의 내수압을 평가한 바 2㎪이었다.
(실시예 5)
원 필름의 두께를 12㎛로 하고, 펄스 레이저의 출력을 1.9W, 반복 주파수를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관통 구멍(12)이 형성된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에서는,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필름의 한쪽 주면(2)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3)을 향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 관통 구멍(12)을 형성하였지만, 그때, 원 필름과 Fθ 렌즈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및 갈바노 스캐너에 입사하는 레이저의 빔 직경을 제어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직경 및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다른 쪽 주면(3)에 있어서의 개구(13b)의 직경을, 이하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또한, 갈바노 스캐너의 스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인접하는 관통 구멍(12)간의 간격(구멍의 중심간의 간격)을, 필름의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 이하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이와 같이 형성한 수지 필름(1)에 대해, 각 주면(2, 3)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의 개구(13)의 직경,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밀도 및 두께 방향의 통기도(프레지어수)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또한, 통기성 변동률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통음성을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평가함과 함께,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의 밀도의 표준 편차를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하였다.
Figure 112017107173832-pct00004
샘플 No.22-24 중 어느 수지 필름에 있어서도, 한쪽 주면(2)에 있어서의 개구(13a)의 밀도의 표준 편차는 100개/㎠ 이하, 통기성 변동률은 7% 이하인 동시에, 유효 면적 4.9㎟일 때의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삽입 손실)은 5㏈ 이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5에서 제작한 수지 필름에 있어서도, 주면(2)에 있어서의 기공률과 수지 필름(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개구(13a)의 직경에 상관없이, 거의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본 발명은, 그 의도 및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설명적인 것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닌 첨부한 클레임에 의해 나타나 있고, 클레임과 균등의 의미 및 범위에 있는 모든 변경은 그것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필름은, 통기막, 통음막 및 음향 저항체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고분자 수지 필름이며,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수지 필름의 기질 구조를 관통하고 있고,
    상기 필름의 양쪽 주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당해 관통 구멍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상기 필름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이르기까지 변화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을 향해 증가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한쪽 주면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의한 당해 주면의 기공률의 변동이 10% 이하, 및 상기 개구의 밀도의 표준 편차가 1000개/㎠ 이하이고,
    상기 고분자 수지 필름은, 하기 (a) 및/또는 (b)를 만족하고,
    (a): 상기 한쪽 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직경이 13㎛ 이상 80㎛ 이하이고,
    (b): 상기 한쪽 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직경이 3㎛ 이상 80㎛ 이하이고, 또한 상기 양쪽 주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개구는, 각각의 상기 주면 상에 상정한 격자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공률의 변동은, 상기 기공률의 평균값 Av에 대한 상기 기공률의 표준 편차 σ의 비 σ/Av에 의해 정해지고, 상기 기공률은 식[(개구의 직경의 평균값 Av로부터 구한 당해 개구의 평균 면적)/{(한 방향의 간격의 평균값)×(다른 방향의 간격의 평균값)}]×100(%)에 의해 구해지는, 고분자 수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상기 양쪽 주면에 서로 간격을 두면서 독립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필름의 기질 구조가 비다공질인, 고분자 수지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JIS L1096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한 프레지어수로 나타내어, 1㎤/(㎠·초) 이상 150㎤/(㎠·초) 이하인, 고분자 수지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통기도의 변동률이 8% 이하이고,
    상기 통기도의 변동률은, 상기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임의의 5점에서 측정한 프레지어 통기도의 평균값 Av에 대한 표준 편차 σ의 비 σ/Av에 의해 부여되는, 고분자 수지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유효 면적이 4.9㎟일 때, 주파수 5㎑에 있어서의 음압 손실이 5㏈ 이하인, 고분자 수지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주면에 있어서의 기공률이 0.5 내지 50%인, 고분자 수지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에 있어서, 상기 양쪽 주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개구가, 상기 각 주면 상에 상정한 격자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발액 처리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통기막.
  11. 제10항에 기재된 통기막과, 상기 통기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통기막 부재.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통음막.
  13. 제12항에 기재된 통음막과, 상기 통음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통음막 부재.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분자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
  15. 제14항에 기재된 음향 저항체와, 상기 음향 저항체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 부재.
  16. 제14항에 기재된 음향 저항체를 구비하고,
    이어폰, 이어폰 유닛, 헤드폰, 헤드폰 유닛, 헤드셋, 헤드셋 유닛, 수화기, 보청기,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인, 음향 기기.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원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원 필름에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77031402A 2015-04-30 2016-04-26 고분자 수지 필름과 이것을 구비하는 통기막, 통음막, 음향 저항체, 통기막 부재, 통음막 부재, 음향 저항체 부재 및 음향 기기, 그리고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527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3095 2015-04-30
JPJP-P-2015-093095 2015-04-30
PCT/JP2016/002208 WO2016174871A1 (ja) 2015-04-30 2016-04-26 高分子樹脂フィルムとこれを備える通気膜、通音膜、音響抵抗体、通気膜部材、通音膜部材、音響抵抗体部材および音響機器ならびに高分子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38A KR20180002638A (ko) 2018-01-08
KR102527111B1 true KR102527111B1 (ko) 2023-05-02

Family

ID=5719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402A KR102527111B1 (ko) 2015-04-30 2016-04-26 고분자 수지 필름과 이것을 구비하는 통기막, 통음막, 음향 저항체, 통기막 부재, 통음막 부재, 음향 저항체 부재 및 음향 기기, 그리고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79598B2 (ko)
EP (1) EP3290466B1 (ko)
JP (1) JP6676457B2 (ko)
KR (1) KR102527111B1 (ko)
CN (1) CN107849280B (ko)
TW (1) TWI682948B (ko)
WO (1) WO2016174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8059A (zh) * 2017-08-02 2017-11-03 苏州孝义家精密金属有限公司 一种超薄防水透声复合模组
KR102028872B1 (ko) * 2017-11-09 2019-10-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수 통음 부재와 이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2019207488A (ja) * 2018-05-28 2019-1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超音波触覚ディスプレイ
JP7352925B2 (ja) * 2018-12-03 2023-09-29 国立研究開発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圧力変動吸収構造体
JP7449647B2 (ja) * 2019-01-30 2024-03-1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粒子充填シートの製造方法
CN110278513A (zh) * 2019-05-23 2019-09-24 深圳市伊声声学科技有限公司 防水透气膜及其制造方法以及微型扬声器
US11119532B2 (en) * 2019-06-28 2021-09-1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implement microphones in thin form factor electronic devices
US10741160B1 (en) * 2019-09-25 2020-08-11 W. L. Gore & Associates, Inc. Acoustically resistive supported membrane assemblies
US11575982B2 (en) * 2020-01-23 2023-02-07 Oakwood Metal Fabricating Co. Audio speaker cover for enhanced audio performance
US11702528B2 (en) 2020-07-03 2023-07-18 Nitto Denko Corporation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gas-permeable membrane, and gas-permeable memb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8066A (ja) 2011-10-28 2013-06-06 Nitto Denko Corp 通気性シート、吸着ユニットへの作業対象物の吸着方法、および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15065639A (ja) * 2013-08-30 2015-04-09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膜と、それを備える防水通音部材、電子機器、電子機器用ケースおよび防水通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6279A (en) * 1992-12-14 1994-02-15 W. L. Gore & Associates, Inc. Gas permeable coated porous membranes
US6512834B1 (en) * 1999-07-07 2003-01-2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Acoustic protective cover assembly
JP2002029169A (ja) 2000-05-09 2002-01-29 Ricoh Co Ltd 感熱孔版印刷用マスタ
JP2003318557A (ja) 2002-04-25 2003-11-0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US6932187B2 (en) * 2003-10-14 2005-08-2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Protective acoustic cover assembly
WO2005070611A1 (ja) 2004-01-23 2005-08-0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微細孔が形成された延伸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アブレーション加工方法
CN100564469C (zh) * 2004-06-14 2009-12-02 琳得科株式会社 粘合片材
JP4663402B2 (ja) 2005-05-23 2011-04-06 アジア原紙株式会社 多孔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23183A (ja) 2005-07-19 2007-02-01 Toyota Motor Corp 多孔質膜、多孔質膜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電解質膜、及び燃料電池
CN101795858A (zh) * 2007-07-18 2010-08-04 日东电工株式会社 防水透声膜、防水透声膜的制造方法及使用其的电器
JP2009262216A (ja) 2008-04-28 2009-11-12 Toyota Motor Corp 透明基材のレーザ加工方法および電解質膜の製造方法
KR20120052226A (ko) 2009-06-11 2012-05-2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통기막 및 그것을 사용한 통기 구조
JP2011233580A (ja) * 2010-04-23 2011-11-1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気筐体
KR20170120211A (ko) * 2010-06-16 2017-10-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수 통기 필터 및 그의 용도
WO2012117476A1 (ja) * 2011-03-03 2012-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膜および電気製品
JP6474977B2 (ja) * 2013-08-30 2019-02-27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気膜とそれを備える防水通気部材および防水通気構造ならびに防水通音膜
JP2016158222A (ja) 2015-02-26 2016-09-01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構造と、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ケース
KR102459797B1 (ko) 2015-02-27 2022-10-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음향 저항체와, 그것을 구비하는 음향 저항체 부재 및 음향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8066A (ja) 2011-10-28 2013-06-06 Nitto Denko Corp 通気性シート、吸着ユニットへの作業対象物の吸着方法、および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15065639A (ja) * 2013-08-30 2015-04-09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膜と、それを備える防水通音部材、電子機器、電子機器用ケースおよび防水通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4871A1 (ja) 2016-11-03
TWI682948B (zh) 2020-01-21
KR20180002638A (ko) 2018-01-08
JP6676457B2 (ja) 2020-04-08
TW201710329A (zh) 2017-03-16
CN107849280A (zh) 2018-03-27
EP3290466A1 (en) 2018-03-07
US10679598B2 (en) 2020-06-09
CN107849280B (zh) 2021-07-23
EP3290466B1 (en) 2024-06-05
EP3290466A4 (en) 2019-02-06
US20180315409A1 (en) 2018-11-01
JP2016213829A (ja)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111B1 (ko) 고분자 수지 필름과 이것을 구비하는 통기막, 통음막, 음향 저항체, 통기막 부재, 통음막 부재, 음향 저항체 부재 및 음향 기기, 그리고 고분자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JP6567158B2 (ja) 防水部材及び電子機器
CN107251572B (zh) 音响声阻、具备该音响声阻的音响声阻构件及音响设备
CN109716784B (zh) 防水透声盖部、防水透声盖部构件和声学装置
EP2914015B1 (e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film,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er provided with same, electronic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case, and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tructure
KR20160052593A (ko) 방수 통기막과 그것을 구비하는 방수 통기 부재 및 방수 통기 구조, 그리고 방수 통음막
KR20170123312A (ko) 방수 통음 구조와,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용 케이스
KR102297943B1 (ko) 방수 부재 및 전자 기기
US11310931B2 (en) Waterproof membrane, waterproof member includ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JP2019166509A (ja) 防水通気フィルタ及び防水通気部材
JP2002016371A (ja) 耐塵・耐水膜及びその取付構造と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