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253B1 -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253B1
KR102526253B1 KR1020210173026A KR20210173026A KR102526253B1 KR 102526253 B1 KR102526253 B1 KR 102526253B1 KR 1020210173026 A KR1020210173026 A KR 1020210173026A KR 20210173026 A KR20210173026 A KR 20210173026A KR 102526253 B1 KR102526253 B1 KR 10252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uel
differential pressure
flow rate
flow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배영호
박찬호
최영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07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mass or volum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6Measuring or estimat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28Determining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flow, the fuel tank fill level or a valv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65Tanks, e.g. multipl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7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Mix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84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s; Details on pumps, rails or the arrangement of 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는, 이중 연료 엔진(DFE)에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함하는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오일 유량계(10),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제1 오일 유량계(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오일 유량계(20),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30),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차압 조절 배관(40),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 조절 밸브(50), 그리고 차압 센서(30) 및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되어 차압 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오일 제어부(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MEASUREMENT UNIT OF FUEL OIL FLOW FOR DUAL FUEL ENGINE, FUEL OIL SUPPLY SYSTEM INCLUDING THE SAME UNIT, AND VESSEL INCLUDING THE SAME SYSTEM}
본 발명은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럿 오일과 같은 제2 오일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이중 연료 엔진의 안전한 가동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가스와 오일을 함께 사용하는 이중 연료 엔진(Duel fuel engine)의 경우 통상적으로 LNG 가스와 메인 오일을 사용한다. 이 때, 가스가 부족하거나 가스 동작에 위험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연료 공급 시스템은 오일 버닝을 위한 오일로서 선박용 경유(Marine Gas Oil, MGO)를 사용한다.
이중 연료 엔진에 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경우 메인 오일 및 파일럿 오일을 포함하는 연료 오일(Fuel Oil, FO)의 소비량은 극소량이다. 그러나, 최근의 환경 규제와 연료 절감 정책에 발맞추어 작지만 파일럿 오일의 소모량까지 최소화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중 연료 엔진, 예컨대 ME-GI 엔진의 경우, 메인 오일과 파일럿 오일이 통합되어 사용되므로, 연료 공급 시스템의 오일 연료 모드(FUEL MODE)에 맞춰진 유량계(Flow meter)는 정확도가 떨어져 파일럿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기 어렵거나 측정이 불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 연료 모드와 오일 연료 모드 각각에 맞춰 2개의 유량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스의 누수 등의 문제로 가스 연료 모드에서 오일 연료 모드로 즉시 전환하는 가스 트립(Gas trip) 시, 연료 공급 시스템의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이중 연료 엔진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가스와 오일의 혼합 연료 모드일 경우에는 파일럿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기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1968호(선박용 연료공급 모니터링 장치, 2015.11.26. 공고)
본 발명에서는 파일럿 오일과 같은 제2 오일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이중 연료 엔진의 안전한 가동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는, 이중 연료 엔진(DFE)에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함하는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오일 유량계(10);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오일 유량계(2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3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차압 조절 배관(40); 상기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 조절 밸브(50); 그리고 상기 차압 센서(30) 및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되어 상기 차압 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오일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오일 제어부(6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 그리고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오일의 유량 및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계측하는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상기 제1 오일로 구동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가스로 구동하는 가스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차단되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은, 이중 연료 엔진(DFE)에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함하는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배관(OSL);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오일 유량계(10),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오일 유량계(2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3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차압 조절 배관(40), 상기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 조절 밸브(50), 그리고 상기 차압 센서(30) 및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되어 상기 차압 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오일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제2 오일 제어부(6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 그리고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오일의 유량 및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계측하는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상기 제1 오일로 구동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가스로 구동하는 가스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차단되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일을 저장하는 제1 오일 저장 탱크(TK1), 상기 제2 오일을 저장하는 제2 오일 저장 탱크(TK2), 상기 제2 오일 저장 탱크(TK2)와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오일 연결 배관(PL), 상기 제2 오일 연결 배관(PL)과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하며 비상 사태 발생 시 상기 제2 오일을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공급하는 비상 배관(EL), 그리고 상기 비상 배관(EL)에 설치되는 비상 펌프(EP)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펌프(EP)를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상기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 상기 제1 오일과 상기 제2 오일을 서로 교환하여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통해 공급하는 연료 교환 밸브(EV),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공급되고 남은 상기 연료 오일이 순환되는 오일 순환 배관(CL), 상기 오일 순환 배관(CL)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오일을 순환시키는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과 상기 오일 순환 배관(CL)에 함께 연결되는 혼합 탱크(MT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S); 연료 오일 및 연료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선체(S)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이중 연료 엔진(DFE);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함하는 상기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배관(OSL),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오일 유량계(10),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오일 유량계(2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3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차압 조절 배관(40), 상기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 조절 밸브(50), 그리고 상기 차압 센서(30) 및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되어 상기 차압 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오일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제2 오일 제어부(6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 그리고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오일의 유량 및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계측하는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상기 제1 오일로 구동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가스로 구동하는 가스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차단되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일을 저장하는 제1 오일 저장 탱크(TK1), 상기 제2 오일을 저장하는 제2 오일 저장 탱크(TK2), 상기 제2 오일 저장 탱크(TK2)와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오일 연결 배관(PL), 상기 제2 오일 연결 배관(PL)과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하며 비상 사태 발생 시 상기 제2 오일을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공급하는 비상 배관(EL), 그리고 상기 비상 배관(EL)에 설치되는 비상 펌프(EP)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펌프(EP)를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상기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 상기 제1 오일과 상기 제2 오일을 서로 교환하여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통해 공급하는 연료 교환 밸브(EV),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공급되고 남은 상기 연료 오일이 순환되는 오일 순환 배관(CL), 상기 오일 순환 배관(CL)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오일을 순환시키는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과 상기 오일 순환 배관(CL)에 함께 연결되는 혼합 탱크(MT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연료 엔진에 메인 오일과 파일럿 오일을 동시에 공급 가능한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에서, 파일럿 오일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이중 연료 엔진의 안전한 가동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구체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구체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구체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S), 이중 연료 엔진(DFE, Duel Fuel Engine), 연료 가스 공급 시스템(Fuel Gas Supply System, FGSS), 그리고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uel Oil Supply System, FOSS)을 포함한다.
선체(S)는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 석유 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등의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액화 가스 운반 선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 운반 선체, 액화 가스를 연료 가스로 추진하는 액화 가스 연료 추진 선체 등 다양한 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연료 엔진(DFE)은 연료 오일 및 연료 가스를 이용하여 선체(S)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중 연료 엔진(DFE)은 ME-GI(MAN Electronic Gas-Injection Engine) 엔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E-GI 엔진은 액화 천연 가스를 고온 및 고압으로 분사하여 연소시킬 수 있다.
연료 가스 공급 시스템(FGSS)은 연료 가스를 이중 연료 엔진(DFE)에 공급할 수 있다. 연료 가스 공급 시스템(FGSS)은 연료 가스 공급 배관(SL), 가압 펌프(도시하지 않음), 열교환기/히터(도시하지 않음), 연료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 연료 가스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배관(도시하지 않음)은 가스 저장 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이중 연료 엔진(DFE)을 연결하며, 액화 상태의 연료 가스를 이송할 수 있다. 가압 펌프(도시하지 않음)는 공급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며 연료 가스를 가압하여 이중 연료 엔진(DFE)에서 요구하는 소정 압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히터(도시하지 않음)는 공급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며 가압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한 연료 가스를 가열하여 연료 가스를 이중 연료 엔진(DFE)에서 요구하는 소정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은 연료 오일을 이중 연료 엔진(DFE)에 공급할 수 있다. 연료 오일은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일과 제2 오일은 서로 다른 점도를 가진 유종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오일은 제2 오일보다 점도가 높은 오일이고, 제2 오일은 제1 오일보다 점도가 낮은 오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오일은 중유(Heavy fuel oil, HFO), 저유황 연료유(Low Sulfur Fuel Oil, LSFO)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제2 오일은 파일럿 오일로 사용될 수 있는 선박용 경유(Marine Gas Oil, MGO)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제1 오일은 메인 오일이고, 제2 오일은 파일럿 오일로 활용될 수 있는 오일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은 연료 오일 저장 탱크(TK), 오일 공급 배관(OSL),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 제1 오일 연결 배관(ML), 제2 오일 연결 배관(PL), 연료 교환 밸브(EV),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 오일 순환 배관(CL),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 혼합 탱크(MTK), 비상 배관(EL), 그리고 비상 펌프(EP)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오일 저장 탱크(TK)는 제1 오일을 저장하는 제1 오일 저장 탱크(TK1), 그리고 제2 오일을 저장하는 제2 오일 저장 탱크(TK2)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공급 배관(OSL)은 이중 연료 엔진(DFE)에 연료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는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이중 연료 엔진(DFE)에 연료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는 이중 연료 엔진(DFE)에서 소모한 양만큼의 연료 오일을 보충할 수 있다.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의 양단에는 압력 조절 배관(PCL)이 연결되며, 압력 조절 배관(PCL)에는 압력 조절 밸브(PV)가 설치될 수 있다. 이중 연료 엔진(DFE)에서 요구하는 양을 초과하는 연료 오일은 압력 조절 밸브(PV)를 개방하여 순환되도록 한다. 예컨대, 압력 조절 밸브(PV)는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에 의해 오일 공급 배관(OSL)의 압력이 4.5 bar를 초과하는 경우에 압력 조절 밸브(PV)를 개방함으로써, 오일 공급 배관(OSL)의 압력을 4.5 bar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혼합 탱크(MTK) 전단까지의 오일 공급 배관(OSL)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압력 조절 배관(PCL)의 일부는 방열 배관(H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력 조절 배관(PCL)을 통해 재순환되는 연료 오일은 계속적으로 재순환되는 경우,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력 조절 배관(PCL)의 일부에 방열 배관(HL)을 설치함으로써, 재순환되는 연료 오일을 방열시켜 연료 오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1 오일 연결 배관(ML)은 제1 오일 저장 탱크(TK1)와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오일 연결 배관(PL)은 제2 오일 저장 탱크(TK2)와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료 교환 밸브(EV)는 제1 오일 연결 배관(ML) 및 제2 오일 연결 배관(PL)과 함께 연결되며 제1 오일과 제2 오일을 서로 교환(change over)하여 오일 공급 배관(OSL)을 통해 공급할 수 있으며,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서서히 전환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연료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제1 오일 유량계(10), 제2 오일 유량계(20), 차압 센서(30), 차압 조절 배관(40), 차압 조절 밸브(50), 제2 오일 제어부(60), 그리고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일 유량계(10)는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어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오일 유량계(10)는 오일 연료 모드에 맞는 유량과 압력 강하(Pressure drop)를 설정하여 제1 오일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오일 유량계(10)가 제1 오일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허용 가능한 압력 강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 대략 0.2 bar일 수 있다.
제2 오일 유량계(20)는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오일 유량계(20)는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제1 오일 유량계(10)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오일 유량계(20)는 제2 오일의 유량을 50 내지 100 L/H로 설정하며, 허용 가능한 압력 강하는 50 내지 100 L/H의 유량에서 대략 0.2 bar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오일 유량계(10)와 제2 오일 유량계(20)를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이중 연료 엔진(DFE)을 제1 오일로 구동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는 제2 오일 유량계(20)의 차압에 의해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일 유량계(10)와 제2 오일 유량계(20)를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이중 연료 엔진(DFE)을 가스로 구동하는 가스 연료 모드에서, 가스 누수 등의 이유로 오일 연료 모드로 급격히 전환하는 순간, 압력 강하가 갑자기 증가되어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압 센서(30), 차압 조절 배관(40), 차압 조절 밸브(50), 제2 오일 제어부(60), 그리고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설치함으로써, 제2 오일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이중 연료 엔진(DFE)의 안전한 가동을 확보할 수 있다.
차압 센서(Differential Pressure Sensor, DPS)(30)는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할 수 있다.
차압 조절 배관(40)은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오일 공급 배관(OS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차압 조절 밸브(50)는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오일 제어부(60)는 차압 센서(30) 및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오일 제어부(60)는 차압 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차압은 대략 0.4 bar일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연료 엔진(DFE)을 제1 오일로 구동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 제2 오일 유량계(20)의 차압이 설정 차압보다 증가하는 경우, 제2 오일 제어부(60)를 이용하여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함으로써, 오일 연료 공급 시스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연료 엔진(DFE)의 안전한 가동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오일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연료 엔진(DFE)을 가스로 구동하는 가스 연료 모드에서, 가스 누수 등의 이유로 오일 연료 모드로 급격히 전환하는 순간, 압력 강하가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 제2 오일 제어부(60)를 이용하여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함으로써,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연료 엔진(DFE)의 안전한 가동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오일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제2 오일 제어부(60), 제2 오일 유량계(20), 그리고 제1 오일 유량계(10)에 연결되어 제2 오일의 유량 및 제1 오일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 오일 연료 모드에서,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가스 연료 모드에서,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연료와 오일 연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혼합 모드에서, 가스 연료의 소모량이 많을 경우에는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차압 조절 밸브(50)가 개방되면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차압 조절 밸브(50)가 차단되면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한편, 오일 순환 배관(CL)은 이중 연료 엔진(DFE)에 공급되고 남은 연료 오일이 순환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는 오일 순환 배관(CL)에 설치되며 연료 오일을 순환시킬 수 있다.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와 혼합 탱크(MTK) 사이의 오일 순환 배관(CL)에는 온도 조절부(HE), 필터(F), 그리고 점도 조절부(VC)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HE)는 이중 연료 엔진(DFE)에서 요구하는 점도를 맞추기 위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HE)는 제1 오일이 중유인 경우에는 제1 오일을 가열하며, 제1 오일이 저유황 연료유인 경우에는 저유황 연료유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필터(F)는 연료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연료 오일을 청정하게 만들 수 있다. 점도 조절부(VC)는 연료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를 온도 조절부(HE)로 피드백하여 연료 오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비상 배관(EL)은 제2 오일 연결 배관(PL)과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비상 배관(EL)은 오일 공급 배관(OSL) 중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의 전단과 연결될 수 있다.
비상 펌프(EP)는 비상 배관(EL)에 설치되며, 비상 사태 발생 시 제2 오일을 오일 공급 배관(OSL)에 공급하여 이중 연료 엔진(DFE)의 구동을 도모할 수 있다.
비상 펌프(EP)는 비상 상태가 발생하여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에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비상 전력으로 구동되는 펌프 또는 공기로 구동되는 공기 구동 펌프(Air Driven Pump, ADP)일 수 있다.
이러한 비상 펌프(EP)를 이용하여 이중 연료 엔진(DFE)을 구동하는 경우에도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제2 오일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비상 펌프(EP)를 이용하여 이중 연료 엔진(DFE)을 구동하는 경우에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는 정지하고 있으므로, 이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의 압력 손실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에 비상 공급 배관(ESL)을 연결하고, 비상 사태 발생 시 비상 공급 배관(ESL)에 설치된 비상 공급 밸브(ESV)를 개방하여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혼합 탱크(MTK)는 오일 공급 배관(OSL)과 오일 순환 배관(CL)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혼합 탱크(MTK)는 이중 연료 엔진(DFE)에서 사용되는 남은 연료 오일이 임시로 저장되어 순환되는 설비로서, 연료 오일의 온도 변화 및 압력 변화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오일 순환 배관(CL) 중 혼합 탱크(MTK)와 제1 오일 저장 탱크(TK1)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압력 방출 밸브(PRV)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 방출 밸브(PRV)는 오작동이나 갑작스러운 압력 상승으로 인해 이중 연료 엔진(DFE)에 좋지 않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다.
혼합 탱크(MTK)에는 벤팅 밸브(VV)가 설치될 수 있다. 벤팅 밸브(VV)를 개방하여 혼합 탱크(MTK)에서 발생하는 유증기(Oil mist)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오일 유량계와 제2 오일 유량계를 서로 직렬로 연결하였으나, 제1 오일 유량계와 제2 오일 유량계를 서로 병렬로 연결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구체적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S), 이중 연료 엔진(DFE), 연료 가스 공급 시스템(FGSS), 그리고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을 포함한다.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은 연료 오일 저장 탱크(TK), 오일 공급 배관(OSL),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 제1 오일 연결 배관(ML), 제2 오일 연결 배관(PL), 연료 교환 밸브(EV),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 오일 순환 배관(CL),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 혼합 탱크(MTK), 비상 배관(EL), 그리고 비상 펌프(EP)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제1 오일 유량계(10), 제2 오일 제어 배관(21), 제2 오일 유량계(20), 제1 오일 제어 밸브(15), 제2 오일 제어 밸브(25), 압력 센서(55), 차압 조절 배관(40), 차압 조절 밸브(50), 제2 오일 제어부(60), 그리고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일 유량계(10)는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어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오일 제어 배관(21)은 오일 공급 배관(OSL)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오일 유량계(20)는 제2 오일 제어 배관(21)에 설치되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오일 제어 밸브(15)는 오일 공급 배관(OSL) 상에 제1 오일 유량계(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1 오일 유량계(10)로 유입되는 연료 오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오일 제어 밸브(25)는 제2 오일 제어 배관(21) 상에 제2 오일 유량계(20)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2 오일 유량계(20)로 유입되는 연료 오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오일 제어 밸브(15)와 제2 오일 제어 밸브(25)는 하나의 몸체로 제조할 수 있으며, 3-웨이 밸브(3-way valve)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일 제어 밸브(15)와 제2 오일 제어 밸브(25)는 서로 개방 및 차단 동작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적 신호의 차이로 제1 오일 제어 밸브(15)와 제2 오일 제어 밸브(25)가 동시에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오일 제어부(60)는 제1 오일 유량계(10), 제2 오일 유량계(20), 제1 오일 제어 밸브(15), 그리고 제2 오일 제어 밸브(25)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오일 제어부(60)는 제2 오일 유량계(20)에 의해 측정된 제2 오일의 유량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유량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의 변화가 심하지 않도록 제1 오일 제어 밸브(15)를 개방하면서, 제2 오일 제어 밸브(25)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유량은 50 내지 100 L/H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일 유량계(10)로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오일 제어부(60)는 제2 오일 유량계(20)에 의해 측정된 제2 오일의 유량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유량 이하인 경우 제2 오일 제어 밸브(25)를 개방하면서, 제1 오일 제어 밸브(15)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오일 유량계(20)로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오일 제어 밸브(25)의 차단 및 개방 동작, 그리고 제1 오일 제어 밸브(15)의 개방 및 차단 동작은, 특정 유량의 셋팅 포인트에서 밸브의 제어가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시간 지연(time delay)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오일 제어 밸브(25) 및 제1 오일 제어 밸브(15)가 소정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여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제2 오일 제어부(60), 제2 오일 유량계(20), 그리고 제1 오일 유량계(10)에 연결되어 제2 오일의 유량 및 제1 오일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오일 제어 밸브(15)의 차단과 개방 동작 시 제2 오일 제어 밸브(25)의 개방과 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는 회색 구간(grey zone)에서는 제1 오일 유량계(10)와 제2 오일 유량계(20)의 유량을 합산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고, 제1 오일 제어 밸브(15)와 제2 오일 제어 밸브(25)의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 오일 유량계(10)와 제2 오일 유량계(20)에 의해 제1 오일의 유량과 제2 오일이 유량을 계측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오일 유량계(10)와 제2 오일 유량계(20)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오일 연료 모드에서,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연료 모드에서,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혼합 모드에서, 가스 연료의 소모량이 많을 경우에는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오일 연료 모드에서 가스 연료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연료 오일의 양이 서서히 감소하면서 연료 가스의 양이 서서히 증가하므로, 제2 오일 제어부(60)를 이용하여 제2 오일 유량계(20), 제1 오일 제어 밸브(15), 그리고 제2 오일 제어 밸브(25)를 제어하여 제2 오일의 유량 및 제1 오일의 유량을 계측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연료 모드에서 오일 연료 모드로 즉시 전환하는 가스 트립(Gas trip) 시에는 제2 오일 유량계(20)로 유입되는 연료 오일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도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력 센서(55), 차압 조절 배관(40), 그리고 차압 조절 밸브(50)를 설치함으로써,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이중 연료 엔진(DFE)의 안전한 가동을 확보할 수 있다.
압력 센서(55)는 제2 오일 제어 배관(21)에 설치되며, 제2 오일 유량계(20)의 후단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오일 유량계(20)의 전단의 오일 공급 배관(OSL)은 압력 조절 밸브(PV)에 의해 일정한 압력, 예컨대, 4.5 bar을 유지하므로, 압력 센서(55)에 의해 측정된 제2 오일 유량계(20)의 후단의 압력이 소정 압력, 예컨대 4.1 bar 이하로 하락하는 것은 제2 오일 유량계(20)의 유량이 증가하여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압력 센서(55)를 이용하여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할 수 있다.
차압 조절 배관(40)은 제1 오일 제어 밸브(15)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차압 조절 밸브(50)는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오일 제어부(60)는 압력 센서(55) 및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오일 제어부(60)는 압력 센서(55)에 의해 측정된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함으로써, 제2 오일 유량계(20)로 유입되던 연료 오일을 제1 오일 유량계(10)로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의 압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일 제어부(60)는 제2 오일 유량계(20)에 의해 측정된 제2 오일의 유량이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유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오일 제어 밸브(25)를 차단하고, 제1 오일 제어 밸브(15)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은 하락하여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 이하가 되므로, 차압 조절 밸브(50)는 차단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오일 유량계 20: 제2 오일 유량계
30: 차압 센서 40: 차압 조절 배관
50: 차압 조절 밸브 60: 제2 오일 제어부
70: 연료 소모량 계측부

Claims (16)

  1. 이중 연료 엔진(DFE)에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함하는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오일 유량계(10);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오일 유량계(2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3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차압 조절 배관(40);
    상기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 조절 밸브(50); 그리고
    상기 차압 센서(30) 및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되어 상기 차압 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오일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일 제어부(6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 그리고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오일의 유량 및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계측하는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더 포함하는,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상기 제1 오일로 구동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가스로 구동하는 가스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는,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차단되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는,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5. 이중 연료 엔진(DFE)에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함하는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배관(OSL);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오일 유량계(10),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오일 유량계(2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3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차압 조절 배관(40),
    상기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 조절 밸브(50), 그리고
    상기 차압 센서(30) 및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되어 상기 차압 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오일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제2 오일 제어부(6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 그리고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오일의 유량 및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계측하는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더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상기 제1 오일로 구동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가스로 구동하는 가스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차단되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을 저장하는 제1 오일 저장 탱크(TK1),
    상기 제2 오일을 저장하는 제2 오일 저장 탱크(TK2),
    상기 제2 오일 저장 탱크(TK2)와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오일 연결 배관(PL),
    상기 제2 오일 연결 배관(PL)과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하며 비상 사태 발생 시 상기 제2 오일을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공급하는 비상 배관(EL), 그리고
    상기 비상 배관(EL)에 설치되는 비상 펌프(EP)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펌프(EP)를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상기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
    상기 제1 오일과 상기 제2 오일을 서로 교환하여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통해 공급하는 연료 교환 밸브(EV),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공급되고 남은 상기 연료 오일이 순환되는 오일 순환 배관(CL),
    상기 오일 순환 배관(CL)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오일을 순환시키는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과 상기 오일 순환 배관(CL)에 함께 연결되는 혼합 탱크(MTK)를 더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11. 선체(S);
    연료 오일 및 연료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선체(S)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이중 연료 엔진(DFE);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함하는 상기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배관(OSL),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FOSS);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오일 유량계(10),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오일 유량계(2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3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차압 조절 배관(40),
    상기 차압 조절 배관(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양단의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 조절 밸브(50), 그리고
    상기 차압 센서(30) 및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에 연결되어 상기 차압 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의 설정 차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오일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선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제2 오일 제어부(60),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 그리고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오일의 유량 및 상기 제1 오일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계측하는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를 더 포함하는,
    선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상기 제1 오일로 구동하는 오일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을 가스로 구동하는 가스 연료 모드에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는,
    선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소모량 계측부(70)는,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오일 유량계(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고,
    상기 차압 조절 밸브(50)가 차단되면 상기 제2 오일 유량계(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오일의 소모량을 계측하는,
    선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을 저장하는 제1 오일 저장 탱크(TK1),
    상기 제2 오일을 저장하는 제2 오일 저장 탱크(TK2),
    상기 제2 오일 저장 탱크(TK2)와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오일 연결 배관(PL),
    상기 제2 오일 연결 배관(PL)과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서로 연결하며 비상 사태 발생 시 상기 제2 오일을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공급하는 비상 배관(EL), 그리고
    상기 비상 배관(EL)에 설치되는 비상 펌프(EP)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펌프(EP)를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MU)는 상기 제2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선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에 설치되며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상기 연료 오일을 공급하는 연료 오일 공급 펌프(P1),
    상기 제1 오일과 상기 제2 오일을 서로 교환하여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을 통해 공급하는 연료 교환 밸브(EV),
    상기 이중 연료 엔진(DFE)에 공급되고 남은 상기 연료 오일이 순환되는 오일 순환 배관(CL),
    상기 오일 순환 배관(CL)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오일을 순환시키는 연료 오일 순환 펌프(P2),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 배관(OSL)과 상기 오일 순환 배관(CL)에 함께 연결되는 혼합 탱크(MTK)를 더 포함하는,
    선박.
KR1020210173026A 2021-12-06 2021-12-06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2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026A KR102526253B1 (ko) 2021-12-06 2021-12-06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026A KR102526253B1 (ko) 2021-12-06 2021-12-06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253B1 true KR102526253B1 (ko) 2023-04-28

Family

ID=8614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026A KR102526253B1 (ko) 2021-12-06 2021-12-06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253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807A (ja) * 2000-04-18 2002-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の蒸気制御装置
JP3434514B2 (ja) * 1993-03-23 2003-08-11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KR100802788B1 (ko) * 2006-07-18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지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시뮬레이터
JP2009156233A (ja) * 2007-12-27 2009-07-1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スターリングエンジン発電装置
KR101277952B1 (ko) * 2013-03-06 2013-06-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20140124951A (ko) * 2013-04-16 2014-10-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연료엔진의 가스연료 압력 제어 방법
KR20150081957A (ko) * 2014-01-07 2015-07-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유 변경 완료 시간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1571968B1 (ko) 2014-03-31 2015-11-26 석종학 선박용 연료공급 모니터링 장치
JP2017516183A (ja) * 2014-03-11 2017-06-15 エム ケー エス インスト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Mks Instruments,Incorporated 質量流量制御装置の流量をリアルタイムで監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05508B1 (ko) * 2016-11-21 2017-1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0444A (ko) * 2016-03-22 2018-09-1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용 보일러, 그리고 연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102098A (ko) * 2019-02-21 2020-08-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514B2 (ja) * 1993-03-23 2003-08-11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JP2002004807A (ja) * 2000-04-18 2002-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の蒸気制御装置
KR100802788B1 (ko) * 2006-07-18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지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시뮬레이터
JP2009156233A (ja) * 2007-12-27 2009-07-1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スターリングエンジン発電装置
KR101277952B1 (ko) * 2013-03-06 2013-06-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20140124951A (ko) * 2013-04-16 2014-10-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연료엔진의 가스연료 압력 제어 방법
KR20150081957A (ko) * 2014-01-07 2015-07-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유 변경 완료 시간 계산 장치 및 방법
JP2017516183A (ja) * 2014-03-11 2017-06-15 エム ケー エス インスト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Mks Instruments,Incorporated 質量流量制御装置の流量をリアルタイムで監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71968B1 (ko) 2014-03-31 2015-11-26 석종학 선박용 연료공급 모니터링 장치
KR20180100444A (ko) * 2016-03-22 2018-09-1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용 보일러, 그리고 연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805508B1 (ko) * 2016-11-21 2017-1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2098A (ko) * 2019-02-21 2020-08-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560B2 (en) Dual fuel supply system for a direct-injection system of a diesel engine with on-board mixing
JP7181196B2 (ja) 船舶用燃料油の転換システム及び転換方法
US9789972B2 (en) Fuel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WO2017104633A1 (ja) 船舶
CN112512917B (zh) 用于向船舶供应燃料的系统和方法
CN107735613A (zh) 多容器流体储存和输送系统
BR112012030198B1 (pt) equipamento e método de reabastecimento para reabastecer um sistema de tanque de aeronave
JP6019741B2 (ja) 弁装置、液化ガス燃料の貯蔵システム、車両、及び液化ガス燃料の貯蔵方法
KR102662430B1 (ko) 선박의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487581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2526253B1 (ko)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05508B1 (ko) 선박용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573651B1 (ko)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18520B1 (ko) 선박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CN111065576B (zh) 船舶以及液化石油气温度/压力管理方法
KR102418127B1 (ko)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805509B1 (ko) 선박용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JP4581243B2 (ja) 低温タンク設備
KR20220035565A (ko) 선박의 저유황 연료유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632392B1 (ko) 선박용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2953A (ko) 요소저장탱크의 농도구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석션 파이프 어셈블리
EP3279544A1 (en) Regasification unit
JP2014141930A (ja) 液化ガス燃料の供給システム、車両、及び車両の始動方法
US20240125432A1 (en) Pressure buildup system of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KR20160098618A (ko) 엔진의 연료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