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840B1 -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840B1
KR102525840B1 KR1020220142007A KR20220142007A KR102525840B1 KR 102525840 B1 KR102525840 B1 KR 102525840B1 KR 1020220142007 A KR1020220142007 A KR 1020220142007A KR 20220142007 A KR20220142007 A KR 20220142007A KR 102525840 B1 KR102525840 B1 KR 102525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vertical
height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현
Original Assignee
조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현 filed Critical 조민현
Priority to KR102022014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09Shaping of pre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63Control arrangements
    • B28B17/0072Product control or insp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08Venting channels, e.g. to avoid vacuum during demoulding or allowing air to escape during feeding, pressing o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1Transformable moulds allowing the change of shape of an initial moulded preform by preform deformation or the change of its size by moulding on the pre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다수개의 쿠션부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부의 하단면에 높이조절판이 부착되고, 상기 높이조절판의 상면 중앙부에 공기수직타격부가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판의 하면의 가장자리에 4개의 수직설정높이봉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설정높이봉의 최하단면과 수직높이로 이격되어 승하강 하부판이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 하부판의 하면에 하부승하강장치가 부착되도록 이루어 진 제조장치가 설정지점에 마련되고; 상기 설정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록은 금속지지판의 상면에 놓여지고 이송되고; 이송된 상기 금속지지판은 승하강 하부판상면에 놓여지며, 감지센서에 의하여 상기 설정지점에서 멈추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의 최하단면과 금속지지판사이에는 수직이격간격높이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하부판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승하강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면, 상기 콘크리트 옹벽블록의 최상면은 상기 높이조절판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공기수직타격부가 작동하여, 상기 높이조절판을 수직하향으로 조절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록의 수직높이를 서서히 감소시켜서, 상기 수직설정높이봉이 금속지지판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에 부착된 통전부가 통전되어, 제어부에 의해 상기 승하강 하부판이 다시 원 위치로 하강되도록; 이루어 진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 옹벽블럭을 제조함에 있어서, 옹벽형틀에 몰탈을 투입하고, 투입시 몰탈을 옹벽형틀에 투입하여, 다양한 콘크리트 옹벽블럭을 제조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옹벽블록이 완전히 굳기 전에, 설정된 수직높이로 제조하여, 모든 콘크리트 옹벽블럭의 수직높이를 동일하게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for vertical predetermind hight of wall block}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로서,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몰탈을 투입 및 가압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럭의 수직높이를 설정된 수직높이로 정확하게 제조하는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옹벽(擁壁, Retaining block)은 경사진 면의 흙이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무너지지 않도록 만든 벽이다. 중력식옹벽, 캔틸레버식 옹벽, 뒷부벽식 옹벽, 앞부벽식 옹벽 및 L형 옹벽과 같은 종류가 있다.
옹벽의 설치는 콘크리트, 철근과 같은 건설자재를 사용하거나, 흔히 옹벽 블록이라 불리는 조립식 옹벽을 적층하거나,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옹벽 블록을 제조하는 방식은 통상 성형틀에 몰탈을 넣어서 옹벽 블록을 성형시킨 후, 성형틀을 수직으로 상승시켜 탈형 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몰탈을 제조하는 단계, 몰탈을 이동시켜 성형틀(성형 몰드)에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 성형틀을 양생하는 단계 등 다양한 단계를 거쳐, 다양한 형상의 콘크리트 옹벽 블록을 제조하고 있으나, 상기 콘크리트 옹벽 블록의 수직높이는 정확하지 못하고, 각각의 수직높이가 차이가 나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옹벽블록을 서로 맞대어 일정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면, 각각의 다른 수직높이의 옹벽블록으로 인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3255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옹벽블럭을 제조함에 있어서, 옹벽형틀에 몰탈을 투입하고, 투입시 몰탈을 옹벽형틀에 투입하여, 다양한 콘크리트 옹벽블럭을 제조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옹벽불록이 완전히 굳기 전에, 설정된 수직높이로 제조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럭의 수직높이를 동일하게 제조하는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다수개의 쿠션부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부의 하단면에 높이조절판이 부착되고, 상기 높이조절판의 상면 중앙부에 공기수직타격부가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판의 하면의 가장자리에 4개의 수직설정높이봉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설정높이봉의 최하단면과 수직높이로 이격되어 승하강 하부판이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 하부판의 하면에 하부승하강장치가 부착되도록 이루어 진 제조장치가 설정지점에 마련되고; 상기 설정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록은 금속지지판의 상면에 놓여지고 이송되고; 이송된 상기 금속지지판은 승하강 하부판상면에 놓여지며, 감지센서에 의하여 상기 설정지점에서 멈추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의 최하단면과 금속지지판사이에는 수직이격간격높이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하부판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승하강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면, 상기 콘크리트 옹벽블록의 최상면은 상기 높이조절판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공기수직타격부가 작동하여, 상기 높이조절판을 수직하향으로 조절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록의 수직높이를 서서히 감소시켜서, 상기 수직설정높이봉이 금속지지판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에 부착된 통전부가 통전되어, 제어부에 의해 상기 승하강 하부판이 다시 원 위치로 하강되도록; 이루어 진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블럭을 제조함에 있어서, 옹벽형틀에 몰탈을 투입하고, 투입시 몰탈을 옹벽형틀에 투입하여, 다양한 콘크리트 옹벽블럭을 제조한 후에, 상기 콘크리트 옹벽블록이 완전히 굳기 전에, 설정된 수직높이로 제조하여, 모든 콘크리트 옹벽블럭의 수직높이를 동일하도록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와 옹벽형틀에서 성형된 콘크리트 옹벽블럭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로 콘크리트 옹벽블럭이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의 승하강 하부판이 상승하여콘크리트 옹벽블럭이 높이조절판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의 공기수직타격부에 의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럭의 수직높이가 조절되며, 수직설정높이봉이 금속지지판에 접촉된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의 승하강 하부판이 하강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에 의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럭이 설정높이로 조절되고, 후방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의 금속지지판의 평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로 옹벽형틀에서 성형된 콘크리트 옹벽블럭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로 콘크리트 옹벽블럭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에서 설정수직높이로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에서 설정수직높이로 조절되고, 후방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의 공기수직타격부를 나타낸 사진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이 놓여진 금속지지판의 평면을 나타낸 사진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수평지지대(70)의 하단에 다수개의 쿠션부(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부(21)의 하단면에 높이조절판(20)이 부착되고,
상기 높이조절판(20)의 상면 중앙부에 공기수직타격부(10)가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판(20)의 하면의 가장자리에 4개의 수직설정높이봉(22)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의 최하단면과 수직높이로 이격되어 승하강 하부판(40)이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의 하면에 하부승하강장치(41)가 부착되도록 이루어 진 제조장치(200)가 설정지점에 마련되고;
상기 설정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은 금속지지판(30)의 상면에 놓여지고 이송되고;
이송된 상기 금속지지판(30)은 승하강 하부판(40)상면에 놓여지며, 감지센서 (60)에 의하여 상기 설정지점에서 멈추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의 최하단면과 금속지지판(30)사이에는 수직이격간격높이(23)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승하강장치(41)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면, 상기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의 최상면은 상기 높이조절판(2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공기수직타격부(10)가 작동하여, 상기 쿠션부(21)의 하단에 부착된 높이조절판(20)을 수직하향으로 조절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의 수직높이를 서서히 감소시켜서,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이 금속지지판(3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에 부착된 통전부(40)가 통전되어,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이 다시 원 위치로 하강되도록; 이루어 진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금속지지판(30)은 다수개의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해 제조되어, 상기 금속지지판(30)에 올려지는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에 공기가 통하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럭의 수직높이는 각각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십개 또는 수백개 이상의 콘크리트 옹벽블럭으로 옹벽을 쌓으면, 개개의 콘크리트 옹벽블럭의 수직높이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상기 옹벽은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안전사고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럭이 완전히 굳어지 기 전에, 상기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럭을 바로 본 발명의 제조장치로 이송하여, 옹벽블록의 수직높이를 한번 더 조절하여, 모든 옹벽블록의 수직높이를 동일하게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정된 수평지지대(70)의 하단에 다수개의 쿠션부(21)를 부착하고, 상기 쿠션부(21)의 하단면에 높이조절판(20)을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쿠션부(21)는 탄성고무이거나, 수직으로 형상이 변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력있는 재질이면 충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판(20)의 상면 중앙부에 공기수직타격부(1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공기수직타격부(10)는 공기를 주입하면, 수직방향으로 타격적인 힘이 발생되는 기능을 담당하며, 작동시에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공기수직타격부(10)는 단위시간당 설정된 타격횟수의 수직하향으로 타격 수직 힘을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쿠션부(21)도 동일하게 수직하향으로 줄어들며, 늘어나게 되며, 동시에 높이조절판(20)도 함께 수직으로 서서히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서, 상기 공기수직타격부(10)는 일반적인 공기해머방식이며, 단위시간당 설정된 타격횟수로 작동하게 되며, 수직으로 타격을 가하더라고, 상기 쿠션부(21)는 타격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면서, 상기 쿠션부(21)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단에 부착된 높이조절판(20)을 서서히 수직으로 하강시키며, 접촉된 콘크리트 옹벽형틀의 수직높이를 서서히 감소시키므로, 상기 콘크리트 옹벽형틀은 형상이 변화하거나, 부서지거나, 깨지지 않고, 수직높이가 서서히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대부분, 상기 콘크리트 옹벽형틀의 수직높이는 초기보다 5mm 내지 10mm 정도로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상기 높이조절판(20)의 하면의 가장자리에 4개의 수직설정높이봉(22)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의 최하단면과 수직높이로 이격되어 승하강 하부판(40)이 위치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의 하단에는 소정의 이격된 수직 간격으로 승하강 하부판(40)이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의 하면에 하부승하강장치(41)가 부착되어 있으며, 필요시에 제어부(50)에 의하여 상기 하부승하강장치(41)가 수직 상향으로 작동되면, 부착된 승하강 하부판(40)도 동시에 수직으로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에 의한 작동원리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순차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200)가 설정지점에 마련되어 있으며,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설정지점으로부터 전방에서 소정거리에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이 제조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15에 나타난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은 기본 형상이 제조되고 있으나, 제조 직 후에 완전히 굳어 지지 않으므로, 도 8 내지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장치로 이송되어 설정된 수직높이로 조절되며, 후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은 금속지지판(30)의 상면에 놓여지고 이송되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은 상기 금속지지판(30)위에 놓여지며, 이송되고 있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상면에 놓여지게 되며, 감지센서(60)에 의하여 상기 설정지점에서 멈추게 되며, 수직설정높이봉(22)의 최하단면과 금속지지판(30)사이에는 수직이격간격높이(23)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멈추게 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승하강장치(41)이 수직상향되도록 작동하여, 수직으로 승강되면,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은 수직으로 상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은 수직으로 올라가게 되고, 최상면은 상기 높이조절판(2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수직타격부(10)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쿠션부(21)는 수직하향으로 늘어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높이조절판(20)을 수직하향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높이조절판(20)의 하면과 접촉된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의 수직높이는 조금씩 감소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공기수직타격부(10)가 수직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다수번으로 수직방향 힘을 가하게 되더라도, 탄력적인 상기 쿠션부(21)에 의하여 가해진 수직힘이 완충하게 되며, 하단에 있는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어 깨지는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판(20)이 수직하향으로 서서히 내려가게 되면, 동시에 하면과 접촉된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의 수직높이도 조금씩 감소하게 되며, 결국은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이 금속지지판(30)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의 길이는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의 수직높이에 따라서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이 금속지지판(3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에 부착된 통전부(40)가 통전되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이 다시 원 위치로 하강되도록; 이루어 지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정된 수직높이로 조절된 콘크리트 옹벽블럭은 후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금속지지판(30)은 다수개의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과 하판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해 콘크리트 옹벽블럭이 제조된 직 후에, 상기 하판이 상판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판위치에 상기 금속지지판(30)이 이송되어 놓여지면, 콘크리트 옹벽블럭에 외부의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3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몰탈에 의하여 제조된 직 후에, 콘크리트 옹벽블럭의 형상이 쭈그러 지지 않고, 제조된 형상을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 도 8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지지판(30)의 양단 측면에는 지지홀(32)이 형성되어 있으면, 이는 도 8에 나타난 콘크리트 옹벽형틀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럭을 상기 지지홀(32)을 중심으로 지지하면서, 180°각도로 회전할 때에 고정지지가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공기수직타격부 20:높이조절판
21:쿠션부 22:수직설정높이봉
23:수직이격간격높이
30:금속지지판 31:관통홀
32:지지홀
40:승하강 하부판 41: 하부승하강장치
50:제어부 51:통전부
60:감지센서
70: 수평지지대
100:콘크리트 옹벽블록
200:제조장치

Claims (2)

  1. 수평지지대(70)의 하단에 다수개의 쿠션부(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부(21)의 하단면에 높이조절판(20)이 부착되고,
    상기 높이조절판(20)의 상면 중앙부에 공기수직타격부(10)가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판(20)의 하면의 가장자리에 4개의 수직설정높이봉(22)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의 최하단면과 수직높이로 이격되어 승하강 하부판(40)이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의 하면에 하부승하강장치(41)가 부착되도록 이루어 진 제조장치(200)가 설정지점에 마련되고;
    상기 설정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은 금속지지판(30)의 상면에 놓여지고 이송되고;
    이송된 상기 금속지지판(30)은 승하강 하부판(40)상면에 놓여지며, 감지센서 (60)에 의하여 상기 설정지점에서 멈추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의 최하단면과 금속지지판(30)사이에는 수직이격간격높이(23)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승하강장치(41)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면, 상기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의 최상면은 상기 높이조절판(2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공기수직타격부(10)가 작동하여, 상기 쿠션부(21)의 하단에 부착된 높이조절판(20)을 수직하향으로 조절하여,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의 수직높이를 서서히 감소시켜서,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이 금속지지판(3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수직설정높이봉(22)에 부착된 통전부(51)가 통전되어,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승하강 하부판(40)이 다시 원 위치로 하강되도록;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판(30)은 다수개의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옹벽형틀에 의해 제조되어, 상기 금속지지판(30)에 올려지는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에 공기가 통하도록;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KR1020220142007A 2022-10-31 2022-10-31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KR102525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007A KR102525840B1 (ko) 2022-10-31 2022-10-31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007A KR102525840B1 (ko) 2022-10-31 2022-10-31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840B1 true KR102525840B1 (ko) 2023-04-25

Family

ID=8610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007A KR102525840B1 (ko) 2022-10-31 2022-10-31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8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991B1 (ko) * 2000-03-28 2002-11-23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옹벽용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과 상기 장치 및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옹벽용 블럭
JP2004268275A (ja) * 2003-03-05 2004-09-30 Toyo Kogyo Kk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JP2011235623A (ja) * 2010-05-10 2011-11-24 Shigemitsu Fujii 建築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の成形用上型。
KR20160089259A (ko) * 2015-01-19 2016-07-27 조성홍 문양블록 및 문양 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양블록제조방법
KR102041892B1 (ko) * 2019-06-21 2019-11-07 김재근 조적 안정성과 상호 결합성이 증대된 보강토 옹벽블럭 및 그 옹벽블럭의 제조방법
KR102325583B1 (ko) 2021-05-25 2021-11-11 조민현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991B1 (ko) * 2000-03-28 2002-11-23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옹벽용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과 상기 장치 및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옹벽용 블럭
JP2004268275A (ja) * 2003-03-05 2004-09-30 Toyo Kogyo Kk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JP2011235623A (ja) * 2010-05-10 2011-11-24 Shigemitsu Fujii 建築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の成形用上型。
KR20160089259A (ko) * 2015-01-19 2016-07-27 조성홍 문양블록 및 문양 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양블록제조방법
KR102041892B1 (ko) * 2019-06-21 2019-11-07 김재근 조적 안정성과 상호 결합성이 증대된 보강토 옹벽블럭 및 그 옹벽블럭의 제조방법
KR102325583B1 (ko) 2021-05-25 2021-11-11 조민현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8767A (ko) 적층양생식 pc구조물 생산장치
KR102525840B1 (ko)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KR101956695B1 (ko)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CN110528391A (zh) 一种组合箱梁高低法安装方法
US7770866B2 (en) Device for the alignment of modular forms in concrete walls
KR101756466B1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JP2018154995A (ja) 傾斜面の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移動式型枠装置
KR102102593B1 (ko) 수직구 구조물의 수평터널 연결부 성형장치
CN105415487B (zh) 伸缩式模台、布模驱动装置、布模装置及预制件生产系统
KR102186470B1 (ko) 다웰바 스틸폼
CN204039902U (zh) 桥梁预制梁板底部支撑结构及调平装置
JP3427959B2 (ja) 無枠式鋳型造型機
KR102194848B1 (ko)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 제조방법
KR100928809B1 (ko)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
CN215618770U (zh) 振捣装置
US20150290836A1 (en) Block Machine and Method for Vertically Adjusting a Block Machine
US4824292A (en) Support for building structures
KR102477106B1 (ko) 거푸집 간격재 제거 장치 및 방법
US3310854A (en) Automatic height control means for block molding machines
CN114808746B (zh) 一种现浇箱梁顶板振捣整平一体化装置及其施工方法
CN218776836U (zh) 一种便于脱模的预制件成型装置
KR20080006185A (ko) 상부금형이 승강되는 사출장치
JP3341195B2 (ja) 底型枠取付装置
CN117266133A (zh) 一种用于导墙施工的定型铝模及其使用方法
KR20240082677A (ko) 파일 몰드의 볼트 체결 및 해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