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583B1 -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583B1
KR102325583B1 KR1020210066629A KR20210066629A KR102325583B1 KR 102325583 B1 KR102325583 B1 KR 102325583B1 KR 1020210066629 A KR1020210066629 A KR 1020210066629A KR 20210066629 A KR20210066629 A KR 20210066629A KR 102325583 B1 KR102325583 B1 KR 10232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mortar
wall frame
guide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현
Original Assignee
조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현 filed Critical 조민현
Priority to KR102021006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one ram per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7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by using a removable belt or conveyor transferring the moulding material to the moulding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95Treating the surface of the fed layer, e.g. removing material or equalization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블럭을 제조하는 모든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거으로서, 옹벽형틀 내 몰탈 투입 및 다짐, 회전, 배출 등과 함께, 몰탈 투입시 필요치 않은 몰탈 또한 자동으로 제거되도록 하여, 제조되는 옹벽블럭의 형상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Automatic retaining wall block manufacturing device with improved productivity}
본 발명은 옹벽형틀에 몰탈을 투입 및 가압하고, 투입된 몰탈의 주변정리와 더불어 옹벽블럭을 배출하는 전 작동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옹벽(擁壁, Retaining block)은 경사진 면의 흙이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무너지지 않도록 만든 벽이다. 중력식옹벽, 캔틸레버식 옹벽, 뒷부벽식 옹벽, 앞부벽식 옹벽 및 L형 옹벽과 같은 종류가 있다.
옹벽의 설치는 콘크리트, 철근과 같은 건설자재를 사용하거나, 흔히 옹벽 블록이라 불리는 조립식 옹벽을 적층하거나,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옹벽 블록을 제조하는 방식은 통상 성형틀에 몰탈을 넣어서 옹벽 블록을 성형시킨 후, 성형틀을 수직으로 상승시켜 탈형 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몰탈을 제조하는 단계, 몰탈을 이동시켜 성형틀(성형 몰드)에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 성형틀을 양생하는 단계 등 다양한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이러한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하기 위한 자동화장치의 개발이 미진하였다. 또한 현존하는 옹벽 블록 제조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경우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아 생산성 향상에는 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옹벽블럭을 제조하기 위해 형틀에 몰탈을 투입시, 원하는 형상의 옹벽블럭을 제조하고도 남게되는 잔여 몰탈들의 제거나 정리들은 별도의 작업자가 일일히 해야하는 또 다른 공정으로 진행을 해야했으며, 이러한 작업이 없는 시행되지 않는 경우, 옹벽블럭의 형틀이 원하는 형상과는 다르게 제조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22094호(2018.01.19.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블럭을 제조함에 있어서, 옹벽형틀에 몰탈을 투입하고, 투입시 몰탈을 확실하게 옹벽형틀에 투입하면서, 필요이상의 몰탈은 외부로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자동진행하여 작업자가 일일히 주변몰탈 제거작업을 하지 않아도 제조되는 옹벽블럭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몰탈이 투입된 이후에는 가압하여 다진 후 회전시켜 옹벽형틀에서 옹벽블럭을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등의 모든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기존보다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사전설정된 확실한 형상의 제조가 용이하고 손쉽도록 한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전설정형상의 옹벽블럭(10) 형성을 위한 몰탈홀(21)이 천공된 옹벽형틀(20);
상기 옹벽형틀(20)의 상부를 향해 전, 후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몰탈홀(21)에 몰탈(M)을 채우는 몰탈제공부(30);
상기 옹벽형틀(20)의 상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옹벽형틀(20)에 몰탈(M)이 채워지면 옹벽형틀(20)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몰탈가압부(40);
상기 몰탈제공부(30)의 하단에서 옹벽형틀(20) 상부를 향해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이 가압된 옹벽형틀(20)의 상면에 지지판(51)을 대응위치시키는 지지판 제공부(50);
상기 옹벽형틀(20)의 양측에서 지지판(51)과 옹벽형틀(20)을 180도 회전시킨 후, 옹벽형틀(20) 내에서 옹벽블럭(10)을 분리시키는 탈거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블럭 제조의 모든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블럭 제조시 투입되는 몰탈 중, 제조되는 옹벽블럭의 형상에 문제가 되는 부분에 투입된 잔여 몰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전설정된 확실한 형상의 옹벽블럭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몰탈제공부에 의해 몰탈이 옹벽형틀에 채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몰탈이 채워진 옹벽형틀에서, 몰탈제공부에 의해 사전설정높이로 몰탈이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몰탈가압부에 의해 몰탈이 가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지지판 제공부에 의해 지지판이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탈거부에 의해 지지판과 옹벽형틀이 회전되어 뒤집어진후, 옹벽블럭이 옹벽형틀에서 탈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배출부에 의해 배출되는 옹벽블럭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까지의 공정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는 옹벽형틀(20), 몰탈제공부(30), 몰탈가압부(40), 지지판 제공부(50), 탈거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옹벽형틀(20)은 사전설정형상의 옹벽블럭(10) 형성을 위한 몰탈홀(21)이 중앙에 천공된 형틀이다. 물론, 이러한 옹벽블럭(10)에 형성되는 몰탈홀(21)을 사용자의 실시예 및 사용자가 원하는 옹벽블럭(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몰탈홀(21)에는 제조되고자 하는 형상의 옹벽블럭(10)의 형태에 따라, 중앙이 관통되도록 하기 위해, 옹벽형틀(20)의 몰탈홀(21) 중앙에는 몰탈(M)이 채워지지 않는 막힘부(22)(후추 제조완료되면, 옹벽블럭(10)에서 몰탈(M)이 채워지지 않은 막힘부(22) 부분이 관통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이며, 물론, 제조되는 옹벽블럭(10)의 중앙에 홀이 2개가 형성되는 형태의 몰탈홀(21)이라면, 이러한 홀 2개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막힘부(22)가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옹벽형틀(20)은 몰탈(M)이 채워지는 몰탈홀(21) 외곽면 사방에는 하향절곡되는 하향면(23)을 형성하여, 상기 몰탈홀(21) 최외곽에 부어진 필요없는 몰탈(M)이 외부로 자연낙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와 함께, 상기 옹벽형틀(20)은 몰탈홀(21)에 몰탈(M)이 채워지는 순간부터, 옹벽형틀(20)이 탈거부(60)(더욱 자세히는 회전부(62))에 의해 회전되기 전까지, 몰탈홀(21) 내에 몰탈(M)이 제대로 채워질 수 있도록, 저면에 진동장치가 설치되어 진동에 의해 몰탈홀(21) 내에 몰탈(M)이 확실하고 꼼꼼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몰탈제공부(30)는 전술된 옹벽형틀(20)의 상부를 향해 전, 후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몰탈홀(21)에 몰탈(M)을 채우는 부분으로서, 옹벽형틀(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옹벽형틀(20)의 후단에서 전방을 향해 사전설정간격으로 전진하면서 몰탈홀(21)에 몰탈(M)이 완전히 채워지고, 상기 옹벽형틀(20) 상부에도 사전설정높이(H)까지 채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몰탈제공부(30)는 몰탈 켄베이어, 가이드판(32)을 포함한다.
상기 몰탈 컨베이어(31)는 옹벽형틀(20)의 상부를 향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별도의 몰탈저장부로부터 제공된 몰탈(M)을 옹벽형틀(20)에 투하시키는 컨베이어이다.
상기 가이드판(32)은 몰탈(M)이 투하되는 상기 몰탈 컨베이어(31) 전방 하측에 이격되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옹벽형틀(20)을 향해 사선으로 투하되는 몰탈(M)이 옹벽형틀(20)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옹벽형틀(20)로만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판재이다.
이러한 가이드판(32)은 몰탈홀(21)에 몰탈(M)을 채운 후 몰탈제공부(30)가 원상복귀하기 위해 후진할시, 옹벽형틀(20)의 상부에 사전설정높이(H)이상 채워진 몰탈(M)을 긁어제거하는 몰탈제거용으로도 사용되는데, 이를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 2차 가이드판(34)을 더 구비한다.
상기 2차 가이드판(34)은 전술된 가이드판(32)의 전면에 수직으로 승, 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몰탈제공부(30)가 원상복귀하면서 가이드판(32)으로 일부 몰탈(M)을 긁어제거할시, 상기 옹벽블럭(10)의 사전설정형상에 따라 몰탈홀(21) 중단에 막혀있는 막힘부(22) 부분에 대응하강되어, 막힘부(22) 상면의 몰탈(M)을 긁어 제거함으로서, 몰탈(M)이 채워지지 않는 막힘부(22) 부분의 몰탈제거공정을 별도로 시행하지 않도록 판재이다.
이러한 가이드판(32)과 2차 가이드판(34)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가이드판(32)은 몰탈 컨베이어(31) 양측에 양단이 연결고정되도록 'ㅗ' 자 형태의 판재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복수개의 승강실린더(33)가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2차 가이드판(34)은 가이드판(32) 전면에서, 가이드판(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ㅗ자 형태를 가지며 대응위치되되, 수직방향을 향해 장공의 연결공(35)이 천공되고, 상단은 승강실린더(33)와 연결되어, 승강실린더(33)에 의해 가이드판(32) 전면에서 상, 하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2차 가이드판(34)의 연결공(35) 전면에서, 연결공(35)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가이드판(32)과 고정설치되어, 상기 2차 가이드판(34)이 전면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승,하강되는 2차 가이드판(34)이 연결공(35) 길이만큼만 승, 하강되도록 위치를 단속하는 고정판(36)이 더 구비되어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2차 가이드판(34)은 옹벽형틀(20)에 형성되는 막힘부(22)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교체사용이 가능하다.
다시말해, 상기 2차 가이드판(34)이 1차 가이판의 전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몰탈제공부(30)가 옹벽형틀(20)의 상부 후방에서 전방으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몰탈 컨베이어(31)를 통해 몰탈(M)을 옹벽형틀(20)의 몰탈홀(21)에 투하한다. 이때, 몰탈홀(21)에 몰탈(M)이 제대로 투하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판(32)이 몰탈 컨베이어(31) 전면 배치되어 이를 단속하게 된다.
이렇게 몰탈홀(21)에 몰탈(M)이 충분히 채워지고 나면, 옹벽형틀(20) 상면의 몰탈(M)을 사전설정높이(H)까지만 남기고 긁어서 옹벽형틀(20) 외부로 떨어트려야하는데, 이는 몰탈제공부(30)가 원상복귀될시, 가이드판(32)에 의해 옹벽형틀(20) 상면의 몰탈(M) 일부가 밀려서 외부로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가이드판(32)에 의해 제거되는 몰탈(M)의 높이는 옹벽형틀(20) 상면에서 사전설정높이(H)까지는 몰탈(M)이 채워져 있도록 하는데, 이유는 추후 몰탈가압부(40)를 통해 몰탈(M)을 몰탈홀(21) 내부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대신, 이렇게 몰탈제공부(30)가 원상복귀되면서 가이드판(32)에 의해 몰탈(M)이 제거되는 도중, 전술된 몰탈홀(21) 중 몰탈(M)이 채워지 않아도 되는 막힘부(22) 상면에도 몰탈(M)이 투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해줘야 한다. 제거하지 않게 되면, 제조되는 옹벽블럭(10)에서 상, 하로 관통되어야 하는 부분(막힘부(22) 부분)이 제거하지 않은 잔여몰탈(M)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에, 몰탈 제공부가 막힘부(22) 부분을 지나갈시, 2차 가이드판(34)이 수직으로 하강하여 막힘부(22) 상면까지 대응위치되면서, 막힘부(22) 상면의 몰탈(M)을 긁어내주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몰탈가압부(40)는 전술된 옹벽형틀(20)의 상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옹벽형틀(20)에 몰탈(M)이 채워지면 옹벽형틀(20)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몰탈가압부(40)는 저면에 옹벽형틀(20)의 몰탈홀(21)에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대응판(41)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옹벽형틀(20)의 상부면을 가압시, 사전설정각도로 상기 대응판(41)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향해 반복 회전되면서 눌러지도록 한다. 이를 위행 몰탈가압부(40)에 회전모터가 설치될 수 있음이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회전가압시, 몰탈홀(21) 내부 빈공간에 몰탈(M)이 더욱 확실하고 꼼꼼히 채워질 수 있도록, 진동을 주는 진동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음이다.
상기 지지판 제공부(50)는 몰탈제공부(30)의 하단에서 옹벽형틀(20) 상부를 향해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이 가압된 옹벽형틀(20)의 상면에 지지판(51)을 대응위치시키는 부분이다.
이는 옹벽형틀(20)의 상부에 몰탈(M)을 채운 후, 이러한 옹벽형틀(20)을 180도 뒤집은 다음, 옹벽형틀(20)이 상기 지지판(51) 상부에 얹어지도록 한 후, 옹벽형틀(20)을 지지판(51)과 함께 옹벽형틀(20)에서 빼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기 지지판(51)을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탈거부(60)는 옹벽형틀(20)의 양측에서 지지판(51)과 옹벽형틀(20)을 180도 회전시킨 후, 옹벽형틀(20) 내에서 옹벽블럭(10)을 분리시키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탈거부(60)는 회전부(62), 분리부(61), 배출부(6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2)는 옹벽형틀(20)의 양측에서 지지판(51)을 고정하고 있는 분리부(61)와 옹벽형틀(20)을 180도 회전시켜, 상기 지지판(51)이 옹벽형틀(20)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분리부(61)는 옹벽블럭(10)의 양측에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옹벽블럭(10)이 회전되기 전, 상기 옹벽형틀(20)의 양측에서 지지판(51)을 몰탈가압부(40)를 향해 눌러 고정시키고, 회전부(62)의 회전이 완료되면 지지판(51)을 하강시켜 옹벽블럭(10)이 옹벽형틀(20)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며, 옹벽형틀(20)과 밀착되는 면에는 상호간의 확실한 접촉을 위한 접촉패드(64)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상기 배출부(63)는 옹벽형틀(20)의 하단에서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리부(61)를 통해 하강된 지지판(51)이 상면에 안착될 시, 상기 지지판(51)과 옹벽블럭(10)을 옹벽형틀(2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컨베이어이다.
또한, 이러한 탈거부(60)는 회전부(62)와 분리부(61) 사이에 보강부(65)를 더 구비하는데, 이러한 보강부(65)는 회전부(62)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직립고정설치된 봉부재인 보강봉(66)을 구비하여, 전술된 분리부(61)의 외주연에서 수평연장된 연장판(67)이 보강봉(66)에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분리부(61)가 좌, 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 하 수직방향으로만 작동될 수 있도록 분리부(61)의 승, 하강 작동을 보조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옹벽블럭 20: 옹벽형틀
21: 몰탈홀 22: 막힘부
23: 하향면 30: 몰탈제공부
31: 몰탈 컨베이어 32: 가이드판
33: 승강실린더 34: 2차 가이드판
35: 연결공 36: 고정판
40: 몰탈가압부 41: 대응판
50: 지지판 제공부 51: 지지판
60: 탈거부 61: 분리부
62: 회전부 63: 배출부
64: 접촉패드 65: 보강부
66: 보강봉 67: 연장판
M: 몰탈 H: 사전설정높이

Claims (8)

  1. 사전설정형상의 옹벽블럭(10) 형성을 위한 몰탈홀(21)이 천공된 옹벽형틀(20);
    상기 옹벽형틀(20)의 상부를 향해 전, 후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몰탈홀(21)에 몰탈(M)을 채우는 몰탈제공부(30);
    상기 옹벽형틀(20)의 상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옹벽형틀(20)에 몰탈(M)이 채워지면 옹벽형틀(20)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몰탈가압부(40);
    상기 몰탈제공부(30)의 하단에서 옹벽형틀(20) 상부를 향해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이 가압된 옹벽형틀(20)의 상면에 지지판(51)을 대응위치시키는 지지판 제공부(50);
    상기 옹벽형틀(20)의 양측에서 지지판(51)과 옹벽형틀(20)을 180도 회전시킨 후, 옹벽형틀(20) 내에서 옹벽블럭(10)을 분리시키는 탈거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몰탈제공부(30)는
    상기 옹벽형틀(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옹벽형틀(20)의 후단에서 전방을 향해 사전설정간격으로 전진하면서 몰탈홀(21)에 몰탈(M)이 완전히 채워지고, 상기 옹벽형틀(20) 상부에도 사전설정높이(H)까지 채워지도록 하되,
    상기 옹벽형틀(20)의 상부를 향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몰탈(M)을 옹벽형틀(20)에 투하시키는 몰탈 컨베이어(31);
    몰탈(M)이 투하되는 상기 몰탈 컨베이어(31) 전방 하측에 이격되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옹벽형틀(20)을 향해 사선으로 투하되는 몰탈(M)이 옹벽형틀(20)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옹벽형틀(20)로만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판(32);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판(32)은
    상기 몰탈홀(21)에 몰탈(M)을 채운 후 몰탈제공부(30)가 원상복귀하기 위해 후진할시, 옹벽형틀(20)의 상부에 사전설정높이(H)이상 채워진 몰탈(M)을 긁어제거하는 몰탈(M)제거용으로 사용되되,
    상기 가이드판(32)의 전면에 수직으로 승, 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몰탈제공부(30)가 원상복귀하면서 가이드판(32)으로 일부 몰탈(M)을 긁어제거할시, 상기 옹벽블럭(10)의 사전설정형상에 따라 몰탈홀(21) 중단에 막혀있는 막힘부(22) 부분에 대응하강되어, 막힘부(22) 상면의 몰탈(M)을 긁어 제거함으로서, 몰탈(M)이 채워지지 않는 막힘부(22) 부분의 몰탈제거공정을 별도로 시행하지 않도록 하는 2차 가이드판(3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32)은 몰탈 컨베이어(31) 양측에 양단이 연결고정되도록 'ㅗ' 자 형태의 판재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복수개의 승강실린더(33)가 설치되고,
    상기 2차 가이드판(34)은 가이드판(32) 전면에서, 가이드판(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ㅗ자 형태를 가지며 대응위치되되, 수직방향을 향해 장공의 연결공(35)이 천공되고, 상단은 승강실린더(33)와 연결되어, 승강실린더(33)에 의해 가이드판(32) 전면에서 상, 하로 슬라이딩 작동되되,
    상기 2차 가이드판(34)의 연결공(35) 전면에서, 연결공(35)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가이드판(32)과 고정설치되어, 상기 2차 가이드판(34)이 전면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승,하강되는 2차 가이드판(34)이 연결공(35) 길이만큼만 승, 하강되도록 위치를 단속하는 고정판(36);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이드판(34)은
    상기 옹벽형틀(20)에 형성되는 막힘부(22)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교체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60)는
    상기 옹벽형틀(20)의 양측에서 지지판(51)을 고정하고 있는 분리부(61)와 옹벽형틀(20)을 180도 회전시켜, 상기 지지판(51)이 옹벽형틀(20)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회전부(62);
    상기 옹벽블럭(10)의 양측에서 승, 하강 가능하게 회전부(62)에 설치되어, 상기 옹벽블럭(10)이 회전되기 전, 상기 옹벽형틀(20)의 양측에서 지지판(51)을 몰탈가압부(40)를 향해 눌러 고정시키고, 회전부(62)의 회전이 완료되면 지지판(51)을 하강시켜 옹벽블럭(10)이 옹벽형틀(20)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부(61);
    상기 옹벽형틀(20)의 하단에서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리부(61)를 통해 하강된 지지판(51)이 상면에 안착될 시, 상기 지지판(51)과 옹벽블럭(10)을 옹벽형틀(2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63);
    상기 회전부(62)와 분리부(61) 사이에서, 회전부(62)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직립고정설치된 보강봉(66)이며, 상기 분리부(61)의 외주연에서 수평연장된 연장판(67)이 보강봉(66)에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분리부(61)가 좌, 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 하 수직방향으로만 작동될 수 있도록 분리부(61)의 승, 하강 작동을 보조하는 보강부(6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탈가압부(40)는
    저면에 옹벽형틀(20)의 몰탈홀(21)에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대응판(41)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옹벽형틀(20)의 상부면을 가압시, 사전설정각도로 상기 대응판(41)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향해 반복 회전되면서 눌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형틀(20)은
    몰탈(M)이 채워지는 몰탈홀(21) 외곽면 사방에는 하향절곡되는 하향면(23)을 형성하여, 상기 몰탈홀(21) 최외곽에 부어진 몰탈(M)이 외부로 자연낙하될 수 있도록 하며,
    저면에 진동장치가 설치되어, 몰탈홀(21)에 몰탈(M)이 채워지는 순간부터, 옹벽형틀(20)이 탈거부(60)에 의해 회전되기 전까지, 몰탈홀(21) 내에 몰탈(M)이 꼼꼼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진동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10066629A 2021-05-25 2021-05-25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KR102325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29A KR102325583B1 (ko) 2021-05-25 2021-05-25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29A KR102325583B1 (ko) 2021-05-25 2021-05-25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583B1 true KR102325583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29A KR102325583B1 (ko) 2021-05-25 2021-05-25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5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86B1 (ko) * 2022-01-27 2022-07-15 블록킹(주) 고강도 경계석의 제조장치
CN115179410A (zh) * 2022-07-22 2022-10-14 郑州科技学院 一种静压免烧砖成型机构
KR102525840B1 (ko) 2022-10-31 2023-04-25 조민현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KR20230173807A (ko) 2022-06-20 2023-12-27 (주)엘엔드지 조립식 옹벽블럭 제조틀과 이를 이용한 옹벽블럭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156B1 (ko) * 2004-07-01 2006-10-12 김정웅 식생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115303B1 (ko) * 2010-03-15 2012-03-05 대원전기 주식회사 비회전 성형틀에 의한 전주 근가 성형방법
JP2016215375A (ja) * 2015-05-14 2016-12-22 百合子 藤井 ブロック製造方法及びブロック製造装置
KR101822094B1 (ko) 2017-08-24 2018-01-25 권혁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KR101910945B1 (ko) * 2016-08-17 2018-10-23 김한울 자연석 색상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156B1 (ko) * 2004-07-01 2006-10-12 김정웅 식생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115303B1 (ko) * 2010-03-15 2012-03-05 대원전기 주식회사 비회전 성형틀에 의한 전주 근가 성형방법
JP2016215375A (ja) * 2015-05-14 2016-12-22 百合子 藤井 ブロック製造方法及びブロック製造装置
KR101910945B1 (ko) * 2016-08-17 2018-10-23 김한울 자연석 색상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1822094B1 (ko) 2017-08-24 2018-01-25 권혁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86B1 (ko) * 2022-01-27 2022-07-15 블록킹(주) 고강도 경계석의 제조장치
KR20230173807A (ko) 2022-06-20 2023-12-27 (주)엘엔드지 조립식 옹벽블럭 제조틀과 이를 이용한 옹벽블럭 제조방법
CN115179410A (zh) * 2022-07-22 2022-10-14 郑州科技学院 一种静压免烧砖成型机构
KR102525840B1 (ko) 2022-10-31 2023-04-25 조민현 콘크리트 옹벽블럭 설정수직높이 자동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583B1 (ko)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CN105459247B (zh) 一种砌块制造方法及砌块制造装置
US5281125A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r manufacture of stones or blocks
CN114193609B (zh) 一种混凝土预制件成型装置
US20020109265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olded articles
EP3549737B1 (en) Method for recycling concrete mass in a slipform casting process, and casting machine
CN107263674B (zh) 一种乐高砖成型机
EP3597385A1 (en) Mould for concrete blocks with (large) level differences, such as kerbstones/blocks/lock stones with or without cavities/drain
US1268226A (en) Brick-press.
EP0318708A2 (en) Process and machine for producing blocks of pressed vibrated concrete
RU268688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тья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EP0262278B1 (fr) Machine pour la production de blocs à bâtir en terre stabilisée
US3669597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small concrete elements
RU2274713C2 (ru) Способ и наполнительная станция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полостей
FI63687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byggnadselement
EP0376353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casting concrete products
US2911701A (en) Block molding means
EP0099668B1 (en) A machine for producing blocks or elements
US1699218A (en) Automatic stripper machine
US2729871A (en) Hydraulic press
US2398267A (en) Apparatus for forming blocks of concrete or other hardening material
CN107214815A (zh) 一种建筑构造柱成型装置
KR200300551Y1 (ko) 주물 제조장치
CN86106833A (zh) 制造稳定土砌块的机器
KR100566236B1 (ko) 알씨(rc) 침목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