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094B1 -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2094B1 KR101822094B1 KR1020170107062A KR20170107062A KR101822094B1 KR 101822094 B1 KR101822094 B1 KR 101822094B1 KR 1020170107062 A KR1020170107062 A KR 1020170107062A KR 20170107062 A KR20170107062 A KR 20170107062A KR 101822094 B1 KR101822094 B1 KR 1018220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xing
- mixture
- outlet
- mixing device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ad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5/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Industrial outlines or plant installations
- B28B15/007—Plant with two or more identical shaping or moul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61—Storage container pl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6—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옹벽 블록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는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 투입단계에서부터 양생 단계까지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옹벽 블록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바, 옹벽 블록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시공을 위한 조립식 옹벽 블록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옹벽(擁壁, Retaining block)은 경사진 면의 흙이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무너지지 않도록 만든 벽이다. 중력식 옹벽, 캔틸레버식 옹벽, 뒷부벽식 옹벽, 앞부벽식 옹벽 및 L형 옹벽과 같은 종류가 있다. 옹벽의 설치는 콘크리트, 철근과 같은 건설자재를 사용하거나, 흔히 옹벽 블록이라 불리는 조립식 옹벽을 적층하거나,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옹벽 블록을 제조하는 방식은 통상 성형틀에 몰탈을 넣어서 옹벽 블록을 성형시킨 후, 성형틀을 수직으로 상승시켜 탈형 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몰탈을 제조하는 단계, 몰탈을 이동시켜 성형틀(성형 몰드)에 몰탈을 공급하는 단계, 성형틀을 양생하는 단계 등 다양한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이러한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하기 위한 자동화장치의 개발이 미진하였다. 또한 현존하는 옹벽 블록 제조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경우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아 생산성 향상에는 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 투입단계에서부터 양생 단계까지 자동으로 진행하여 옹벽 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옹벽 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설치되어 박스형의 골격을 이루는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의 일측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조원료들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1차 믹싱되고, 믹싱된 혼합물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배출구로 배출되는 제1 믹싱장치; 고정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제1 믹싱장치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믹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2차 믹싱되고, 믹싱된 혼합물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배출구로 배출되되 제2 배출구에는 제2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차단부재가 설치되는 제2 믹싱장치;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후방 이동장치와, 전후방 이동장치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제2 믹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3차 믹싱되고 믹싱된 혼합물을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3 믹싱부와, 제3 믹싱부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어 제3 배출구의 측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제3 배출구 측 단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형의 제2 차단부재와, 제3 배출구의 하부에 제2 차단부재의 두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간격을 두어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급장치; 고정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간격을 두어 복수개 설치되는 것으로, 성형몰드가 상부에 거치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통부(하광상협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의 양 측부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와,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몸통부를 위아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및 혼합물이 채워진 성형몰드를 양생실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이동프레임과 전후방 이동장치를 통해 고정프레임을 따라 성형장치의 각 성형몰드의 상부로 이동하여 혼합물을 성형몰드의 내부로 토출시키며, 제2 차단부재가 이동부에 의해 제3 배출구와 토출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간격으로 삽입 또는 이탈함으로써 각 성형몰드의 크기에 따라 혼합물의 토출량이 제어되는 옹벽 블록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믹싱장치는 제조원료들이 투입되는 제1 호퍼부와, 제1 호퍼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조원료를 1차적으로 믹싱하는 제1 믹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믹싱장치는 제1 믹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이 투입되는 제2 호퍼부와, 제2 호퍼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혼합물을 2차적으로 믹싱하는 제2 믹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장치는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전방 및 후방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지지부재와, 몸통부의 상부면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표면에는 복수의 골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몸통부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의 전방 및 후방측 하부에는 다리부가 형성되어 수직지지부재에 상기 다리부가 삽입됨으로써 몸통부가 지지판에 지지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는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 투입단계에서부터 양생 단계까지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옹벽 블록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바, 옹벽 블록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는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들을 3차에 걸쳐 믹싱을 하고, 특히 성형몰드에 제조원료들이 투입되기 직전에 3차 믹싱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균일한 옹벽 블록을 제조할 수 있으며,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조원료들이 열화되거나 고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공급장치는 고정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뿐더러, 전후방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한 바, 고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성형몰드들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제조원료 혼합물들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장치는 배출구와 토출부를 간격을 두어 결합하고 상기 간격에 차단부재가 평행 삽입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조원료 혼합물들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성형장치의 몸통부가 높이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급장치의 토출부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성형몰드를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바, 제조원료 혼합물들이 성형몰드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원료들의 이탈이 크게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제1 믹싱장치 및 제2 믹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제1 믹싱장치 및 제2 믹싱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제1 믹싱장치 및 제2 믹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제1 믹싱장치 및 제2 믹싱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옹벽 블록 제조장치(100)는 고정프레임(10), 제1 믹싱장치(110), 제2 믹싱장치(120), 공급장치(130), 성형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옹벽 블록 제조장치(100)는 이동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10a)과 복수의 수평 프레임(10b)이 짜여져 박스형의 골격을 이룬다(철골 구조). 고정프레임(10)은 지면에 설치된다. 고정프레임(10)은 옹벽 블록 제조를 위한 주된 작업 공간을 이룬다.
제1 믹싱장치(110)는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들이 최초 투입되는 곳이자, 제조원료들을 1차적으로 믹싱한다. 여기에서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들은 골재(여러 종류의 잔골재를 포함), 시멘트, 혼화제, 물 등을 의미한다. 제1 믹싱장치(110)는 고정프레임(10)의 일측 상부 공간에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제1 믹싱장치(110)가 고정프레임(10)을 기준으로 우측 상부 공간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제1 믹싱장치(110)가 허공에 떠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고정프레임(10)의 우측 상부 공간에는 제1 믹싱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고정프레임과 유사하게 박스형태의 철골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믹싱장치(110)에서 1차적으로 믹싱된 제조원료들은 하부로 배출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믹싱된 제조원료들을 "혼합물"로 통칭한다. 제1 믹싱장치(110)의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1 믹싱장치(110)에 제조원료들이 투입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제1 믹싱장치(110)의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복수의 원료 공급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원료 공급라인은 각 원료를 내부에 수용하는 챔버 또는 공간과 연결된다. 예컨대 원료 공급라인은 시멘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챔버, 혼화제를 내부에 수용하는 챔버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라인은 골재들이 모여있는 공간에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원료 공급라인은 컨베이어 벨트 등의 통상의 이송수단을 갖추고 있어, 원료 공급라인을 통해 제조원료들이 제1 믹싱장치(110)의 상부로 이동하고 제1 믹싱장치(110)로 투입될 수 있다.
제2 믹싱장치(120)는 제1 믹싱장치(110)에서 배출된 혼합물들을 2차적으로 믹싱한다. 제2 믹싱장치(120)는 고정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다. 이 때, 제2 믹싱장치(120)는 제1 믹싱장치(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2 믹싱장치(120)는 고정프레임(10)의 우측 상부에 별도의 구조물(미표기)을 마련하고, 상기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믹싱장치(120)에서 2차적으로 믹싱된 혼합물들은 하부로 배출된다. 제2 믹싱장치(120)의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공급장치(130)는 제2 믹싱장치(120)에서 배출된 혼합물들을 3차적으로 믹싱하고, 성형몰드로 토출시킨다. 공급장치(130)는 이동프레임(131)을 포함한다. 이동프레임(131)은 고정프레임(10)의 상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 프레임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 수평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동프레임(131)에는 공급장치(130)의 다른 세부 구성요소들이 연결된다. 따라서 공급장치(130)는 이동프레임(131)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의 상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31)의 이동 방식은 특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레일을 형성하고, 이동프레임(131)이 하부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형성한다. 그리고 모터장치, 유압장치 등과 같은 외부 구동원에 의해 바퀴를 레일을 따라 굴림으로써 이동프레임(131)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급장치(130)의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100)에서는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들을 3차에 걸쳐 믹싱한다. 1차 믹싱은 제1 믹싱장치(110)에서, 2차 믹싱은 제2 믹싱장치(120)에서, 3차 믹싱은 공급장치(130)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믹싱을 복수회에 걸쳐 시행하는 이유는 옹벽 블록 제조원료들을 시간을 두어 지속적으로 강제 믹싱함으로써 제조원료들이 보다 균일하게 믹싱될 수 있도록 하고, 제조원료들이 열화되거나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공급장치(130)에서의 3차 믹싱은 후술하겠지만 성형몰드(20,30)에 토출되기 직전에 믹싱되는 것이다. 따라서 옹벽 블록을 성형하기 직전까지 믹싱을 수행하게 되는 바, 옹벽 블록을 이루는 제조원료들이 보다 균일하게 믹싱될 수 있는 바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성형장치(140)는 고정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 간격을 두어 복수 개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고정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어 6개의 성형장치(140)가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성형장치(140)는 고정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됨을 전제로 하여 이보다 많거나 적은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성형장치(140)들은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성형장치(140)의 상부에는 성형몰드(20,30)가 거치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성형몰드(20,30)는 옹벽 블록의 형태를 잡아주는 성형틀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공급장치(130)에서 토출되는 혼합물들이 성형몰드(20,30)의 내부에 채워지고, 상기 성형틀의 형태에 따라 옹벽 블록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성형몰드(20,3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성형몰드(20,30)는 생산하고자 하는 옹벽 블록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 너비, 높이 등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등간격으로 설치된 성형장치(140)들은 근접한 것들끼리 한 군을 이루어 하나의 성형몰드(20,30)를 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좌측에 설치된 한 쌍(2 유닛)의 성형장치(140)가 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성형몰드(20)를 거치시키고 있는 반면, 왼쪽에서 3번째에 설치된 성형장치(140) 1 유닛이 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성형몰드(30)를 거치시키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3 유닛의 성형장치(140)가 하나의 성형몰드를 거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2 이상의 성형장치(140)가 하나의 성형몰드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보조프레임(147)이 요구된다. 보조프레임(147)은 2 이상의 성형장치(140)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보조프레임(147)의 상부는 성형몰드를 거치시킬 수 있다. 성형장치(140)의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성형장치(140)에서 내부에 혼합물들이 채워진 성형몰드(20,30)는 양생실(미도시)로 이동되며, 이 때 이동장치(미도시)가 이용된다. 이동장치는 이동대차와 같은 통상적인 이동수단일 수도 있고, 성형장치(140)로부터 양생실까지 형성되는 이동 컨베이어 시스템 등일 수도 있다.
양생실에서는 습융양생, 증기양생, 전기양생 등의 통상적 방법을 통해 옹벽 블록을 양생하고, 이어 성형몰드로부터 탈형시킴으로써 옹벽 블록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이동장치나 양생실은 공지의 장치,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100)에서 제1 믹싱장치(110) 및 제2 믹싱장치(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100)에서 제1 믹싱장치(110) 및 제2 믹싱장치(12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믹싱장치(110)는 제1 호퍼부(111), 제1 믹싱부(112), 제1 배출구(114)를 포함한다.
제1 호퍼부(111)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는 바스켓 형으로 형성된다. 제1 호퍼부(111)의 상부로는 옹벽 블록들의 제조원료들(골재, 시멘트, 혼화제 등)이 투입된다. 제1 호퍼부(111)의 전면에는 작업문(115)이 설치된다. 작업문(115)은 필요에 따라 개방될 수 있도록 제1 호퍼부(111)의 전면에 결합된다. 작업문(115)이 설치되는 제1 호퍼부(111)의 대응 표면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문(115)을 개방하면 제1 호퍼부(111)의 내부를 볼 수 있다. 작업문(115)은 제1 호퍼부(111)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작업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제1 호퍼부(111)의 측부에는 물공급관(116)이 연통되어 설치된다. 물공급관(116)은 물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어서, 물탱크로부터 물을 제1 호퍼부(111)의 내부로 공급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공급관(116)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믹싱부(112)는 제1 호퍼부(111)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1 호퍼부(111)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제1 믹싱부(112)의 상부 및 하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호퍼부(111)에 투입된 제조원료들(1)은 자연스럽게 제1 믹싱부(112)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믹싱부(112)는 타원형의 몸체를 갖는 외함(미표기)과, 상기 외함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믹싱스크류(113)를 포함한다. 외함의 외표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홈(112a)들은 제1 호퍼부(111)의 내부로 제조원료들이 투입될 때, 외부로 흘러내리는 일부 제조원료들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믹싱부(112)의 외함 측부에는 제1 구동장치(117)가 설치된다. 제1 구동장치(117)는 제1 믹싱스크류(113)를 구동시킨다. 즉, 제1 구동장치(117)는 통상의 모터 장치들로 구성되고, 제1 구동장치(117)의 회전축이 외함을 관통하여 제1 믹싱스크류(113)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 구동장치(117)의 구동에 따라 제1 믹싱스크류(113)가 회전하면서 제조원료들을 1차적으로 믹싱할 수 있다. 제1 믹싱스크류(113)는 원주를 따라 스파이럴 형태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제조원료들(1)을 믹싱한다. 나아가 제1 믹싱스크류(113)는 혼합물(2)을 아래로 밀어주는 역할도 한다(이하에서 설명할 제2 믹싱스크류 및 제3 믹싱스크류도 마찬가지임). 믹싱된 제조원료들(1), 즉 혼합물(2)은 아래로 이동한다. 이 때, 혼합물(2)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함의 바닥면이 제1 배출구(114)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4)는 제1 믹싱부(112)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1 배출구(114)의 상부 및 하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믹싱부(112)를 거친 혼합물(2)들이 제1 매출구(114)를 따라 그대로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믹싱장치(120)는 제2 호퍼부(121), 제2 믹싱부(122), 제2 배출구(124)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처럼, 제2 믹싱장치(120)는 고정프레임(10, 도 1 참고)의 우측 상부에 마련되는 별도의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즉, 상기 구조물 내부 공간에 제2 호퍼부(121), 제2 믹싱부(122), 제2 배출구(124)가 수용된다. 이 때, 제2 배출구(124)는 상기 구조물의 하방으로 일부분 노출될 수 있다.
제2 호퍼부(121)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는 바스켓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호퍼부(121)에는 제1 믹싱장치(110)의 제1 배출구(114)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2)이 투입된다. 이 때, 제2 호퍼부(121)의 내부 표면의 상부를 따라 복수의 고압수 분사장치(126)가 형성된다. 고압수 분사장치(126)는 고압수를 제2 호퍼부(121)의 내부 표면을 따라 분사시킨다. 고압수 분사장치(126)는 제2 호퍼부(121)의 내부를 세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믹싱장치(110)의 제1 호퍼부(111)는 작업문(115)을 통해 작업자가 내부를 세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믹싱장치(110)의 하부와 제2 믹싱장치(120)의 상부는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제2 믹싱장치(120)의 내부 표면을 작업자가 세정하기는 상대적으로 어렵다. 고압수 분사장치(126)가 제2 호퍼부(121)에 형성되는 이유다. 고압수 분사장치(126)는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전단에는 하방으로 노즐이 형성된 물 분사 노즐이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고압수를 분사한다.
제2 믹싱부(122)는 제2 호퍼부(121)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2 호퍼부(121)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제2 믹싱부(122)의 상부 및 하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호퍼부(121)에 투입된 혼합물(2)은 자연스럽게 제2 믹싱부(122)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믹싱부(122)는 타원형의 몸체를 갖는 외함(미표기)과, 상기 외함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믹싱스크류(123)를 포함한다. 제2 믹싱부(122)의 외함 측부에는 제2 구동장치(127)가 설치된다. 제2 구동장치(127)는 제2 믹싱스크류(123)를 구동시킨다. 제2 구동장치(127)는 통상의 모터 장치들로 구성되고, 제2 구동장치(127)의 회전축이 외함을 관통하여 제2 믹싱스크류(123)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 구동장치(127)의 구동에 따라 제2 믹싱스크류(123)가 회전하면서 제조원료들을 2차적으로 믹싱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믹싱스크류(123)는 제1 믹싱스크류(117)보다 스파이럴 형태의 블레이드가 보다 촘촘히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믹싱스크류(123)의 블레이드가 이루는 스파이럴 방향은 제1 믹싱스크류(117)와는 반대될 수 있다. 혼합물(2)들을 다양한 방향으로 믹싱시키기 위함이다. 2차적으로 믹싱된 혼합물(2)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한다. 이 때, 혼합물(2)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함의 바닥면이 제2 배출구(124)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124)는 제2 믹싱부(122)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2 배출구(124)의 상부 및 하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이 때, 제2 배출구(124)의 하부 개방 부분에는 제1 차단부재(125)가 결합된다. 제1 차단부재(125)는 제2 배출구(124)의 하부 개방 부분과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부재로써,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125a)이 존재하고 회전축(125a)의 양단은 제2 배출구(124)의 하부 개방 부 측벽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차단부재(125)는 회전축(125a)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차단부재(125)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제1 차단부재(125)는 제2 배출구(124)의 하부 개방 부분을 폐쇄하거나 개방시킨다. 관련하여, 도 3의 우측 하부에는 제1 차단부재(125)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A는 제1 차단부재(125)가 제2 배출구(124)의 하부 개방 부분을 폐쇄한 모습을 도시한다. B는 제1 차단부재(125)가 회전축(125a)을 축으로 세로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배출구(124)의 하부 개방 부분을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다. 이와 같은 제1 차단부재(125)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2 배출구(124)의 하부 개방 부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바, 혼합물(2)이 하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배출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2 믹싱장치(120)를 거친 혼합물(2)은 공급장치(130)로 투입된다. 그러나 공급장치(130)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급장치(130)가 항상 제2 믹싱장치(120)의 하부에 위치하지는 않는다. 제1 믹싱장치(110)의 제1 배출구(114)에서는 별도의 차단부재가 없는 반면(제2 믹싱장치(120)는 항상 제1 믹싱장치(110)의 하부에 위치함), 제2 믹싱장치(120)의 제2 배출구(124)에서는 제1 차단부재(125)가 존재하는 이유다. 공급장치(130)가 제2 믹싱장치(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혼합물(2)의 배출을 차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100)에서 공급장치(1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급장치(130)는 이동프레임(131), 전후방 이동장치(132), 제3 호퍼부(133), 제3 믹싱부(134), 제3 배출구(136), 토출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31)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프레임(131)은 고정프레임(10)의 상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프레임의 형태를 갖는다. 이동프레임(131)을 제외한 공급장치(13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이동프레임(13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공급장치(130)는 이동프레임(131)을 통해 고정프레임(10)의 상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후방 이동장치(132)는 이동프레임(131)의 상부를 따라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이동프레임(131)의 상부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전후방 이동장치(132)는 상기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복수의 바퀴들이 설치된 플레이트(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사각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음)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바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모터장치, 유압장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제3 호퍼부(133)가 결합된다. 이 때 이동프레임(131)은 사각 프레임 형태를 가지는 바, 제3 호퍼부(133)는 이동프레임(131)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3 호퍼부(133)는 이동프레임(131)을 따라 고정프레임(10)의 상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전후방 이동장치(132)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의 상부를 따라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3 호퍼부(133)는 고정프레임(10)의 상부 중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호퍼부(133)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는 바스켓 형태로 형성된다. 제3 호퍼부(133)는 이동프레임(131) 및 전후방 이동장치(132)에 의해 제2 믹싱장치(120)의 제2 배출구(124)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2 배출구(124)에 형성된 제1 차단부재(125, 도 3 참고)가 회전함으로써 제2 배출구(124)의 하부 개방 부분을 개방시킨다. 제2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2)은 제3 호퍼부(133)로 투입된다.
제3 믹싱부(134)는 제3 호퍼부(133)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3 호퍼부(133)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제3 믹싱부(134)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3 호퍼부(133)에 투입된 혼합물(2)은 자연스럽게 제3 믹싱부(134)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믹싱부(134)는 역사다리꼴 형의 몸체를 갖는 외함(미표기)과, 상기 외함 내부에 설치되는 제3 믹싱스크류(미도시)를 포함한다. 제3 믹싱부(134)의 외함 측부에는 제3 구동장치(135)가 설치된다. 제3 구동장치(135)는 제3 믹싱스크류를 구동시킨다. 제3 구동장치(135)는 통상의 모터 장치들로 구성되고, 제3 구동장치(135)의 회전축이 외함을 관통하여 제3 믹싱스크류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3 구동장치(135)의 구동에 따라 제3 믹싱스크류가 회전하면서 혼합물(2)을 3차적으로 믹싱할 수 있다. 제3 믹싱스크류는 제2 믹싱스크류(123, 도 3 참고)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3 배출구(136)는 제3 믹싱부(134)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3 배출구(136)는 제3 믹싱부(134)의 외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예컨대 원기둥형). 제3 배출구(136)는 제3 믹싱부(134)의 외함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출구(136)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는 제3 믹싱부(134)의 내부와 연통된다. 제3 믹싱부(134)의 하부는 제3 배출구(136)와 연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폐쇄되어 있다. 3차적으로 믹싱된 혼합물(2)은 제3 배출구(13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토출부(137)는 제3 배출구(136)의 하부에 간격을 두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간격은 후술할 제2 차단부재(138)의 두께 크기보다 조금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토출부(137)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3 배출구(136)의 하단 테두리와, 토출부(137)의 상단 테두리가 통상의 링크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토출부(137)는 제3 배출구(136)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2)을 하방으로 토출시킨다.
공급장치(130)는 이동부(139)와 제2 차단부재(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39)는 제3 믹싱부(134)의 외함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3 믹싱부(134)의 외함 하부 일측에 제3 배출구(136)가 마련되고, 제3 배출구(136)를 제외한 하부에는 이동부(139)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139)는 제3 믹싱부(134)의 하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이동부(139)는 제3 믹싱부(134)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일(미도시)과, 상기 레일을 따라 제3 배출구(136)의 측부에서 수평 가능하게 이동 되는 이동부재(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단부재(138)는 이동부(139)의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 구체적으로는 제3 배출구(136)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차단부재(138)는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차단부재(138)의 두께는 상술한 제3 배출구(136)와 토출부(137)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동부(139)의 이동에 따라 제2 차단부재(138)는 제3 배출구(136)와 토출부(137)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의 하부에는 이동부(139)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좌측 도면은 이동부(139)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바, 제2 차단부재(138)가 상기 간격으로부터 이탈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우측 도면은 이동부(139)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바, 제2 차단부재(138)가 상기 간격으로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제2 차단부재(138)는 제3 배출구(136)의 하방을 폐쇄시킨다. 이를 위해 제2 차단부재(138)가 상기 간격에 삽입되었을 때 제3 배출구(136)의 하단과 접하도록 제2 차단부재(138)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동부(139) 및 제2 차단부재(138)의 동작에 의하여 제3 믹싱부(134) 내의 혼합물(2)들이 제3 배출구(136)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단부재(138)가 제3 배출구(136)의 하단을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에는 혼합물(2)들이 배출되지 못할 것이고, 제3 배출구(136)의 하단을 일부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혼합물(2)들이 배출될 수 있을 것이고, 제3 배출구(136)의 하단을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혼합물(2)들이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옹벽 블록 제조장치(100)에서 성형장치(1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성형장치(140)는 지지판(141), 수직지지부재(142), 몸통부(143), 높이조절부(144), 가이드판(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 성형장치(140)는 고정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 간격을 두어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성형장치(140)는 전후방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지면에 설치된다. 성형장치(140)의 상부에는 성형몰드가 거치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판(141)은 지면에 놓여져 수직지지부재(142), 몸통부(143), 높이조절부(144), 가이드판(145)을 지지한다. 지지판(141)의 하부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다리부재(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재(142)는 지지판(141)의 전방 및 후방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있어서, 수직지지부재(142)는 내부에 탄성부재(예컨대 스프링)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사각 기둥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143)는 전후방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몸통부(143)의 전방 및 후방측 하부에는 다리부(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가 수직지지부재(142)에 삽입됨으로써 몸통부(143)가 지지판(141)에 지지될 수 있다. 몸통부(143)는 전체적으로 하광상협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부면의 양 측부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면 상부에는 가이드판(145)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145)은 몸통부(143)의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145)은 토출부(137, 도 4 참고)로부터 토출된 혼합물(2) 중에서 성형몰드 내부로 투입되지 못하고 바닥을 향해 낙하하는 혼합물(2), 또는 성형몰드로부터 튀거나 넘치는 혼합물(2)이 성형장치(140)의 높이조절부(144)에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판(145)은 몸통부(143)의 양측 상단에서부터 지면과 근접한 정도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가이드판(145)의 표면에는 복수의 골이 형성되어 혼합물(2)들을 보다 용이하게 하방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몸통부(143)의 상부에는 몰드거치프레임(146)이 결합될 수 있다. 몰드거치프레임(146)은 성형몰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성형몰드의 하부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성형몰드의 하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몰드거치프레임(146)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몰드거치프레임(146)이 성형몰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성형몰드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바, 근접한 2 이상의 성형장치(140)가 하나의 성형몰드(20,30)를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복수의 성형장치(14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프레임(147)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고).
높이조절부(144)는 지지판(141)의 상부 및 몸통부(143)의 하부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높이조절부(144)가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142) 사이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144)는 몸통부(143)를 위로 들어올리거나, 위로 들어올려진 몸통부(143)를 다시 하방으로 내릴 수 있다. 높이조절부(144)는 로드를 높이방향으로 신장운동시킴으로써 몸통부(143)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부(144)는 통상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압장치의 기술 원리 및 세부 기술적 사항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높이조절부(144)를 통해 몸통부(143)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몸통부(143)의 높이(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함)를 조절할 수 있다. 성형몰드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며, 공급장치(130)의 토출부(137)로부터 혼합물(2)이 토출되어 성형몰드로 투입 될 때, 토출부(137)와 성형몰드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 토출부(137)와 성형몰드의 거리가 긴 경우에는 혼합물(2)들이 성형몰드에 온전히 투입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는 높이조절부(144)를 통해 성형몰드의 크기에 대응하여 몸통부(143)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성형몰드에 혼합물(2)을 안정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통부(143)의 하부에는 진동판(미도시)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진동판은 몸통부(143)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성형몰드 내부의 혼합물(2)들을 다져주는 기능과 함께 발생되는 기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기가 진동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기의 예로는 통상의 바이브레이터(편심축 방식, 유압 피스톤 방식, 고속 고주파 방식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구성요소의 설치형태 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우선 제1 믹싱장치(110)에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들이 투입되고, 제1 믹싱장치(110) 내에서 1차적으로 믹싱되어 혼합물(2)이 형성된다. 제1 믹싱장치(110) 내의 혼합물(2)은 제1 믹싱장치(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믹싱장치(120)로 투입된다. 제2 믹싱장치(120) 내에서 혼합물(2)은 2차적으로 믹싱된다. 제2 믹싱장치(120)의 제2 배출구(124)에는 제1 차단부재(125)가 설치되어, 혼합물(2)의 배출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2 믹싱장치(120)내에서 혼합물(2)이 2차 믹싱되는 동안 공급장치(130)는 제2 믹싱장치(12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급장치(130)는 고정프레임(10)의 상부를 따라 수평 이동 할 수 있다. 공급장치(130)가 제2 믹싱장치(120)의 하부로 이동하기 전에는, 제1 차단부재(125)에 의해 제2 믹싱장치(120) 내의 혼합물(2)의 배출이 차단될 수 있다. 공급장치(130)가 제2 믹싱장치(120)의 하부로 이동하면, 제2 믹싱장치(120)로부터 혼합물(2)이 배출되어 공급장치(130)로 투입된다. 공급장치(130) 내부에서 혼합물(2)은 3차적으로 믹싱된다.
한편, 고정프레임(10)이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복수의 성형장치(140)들이 지면에 설치되어 있다. 성형장치(140)의 상부에는 성형몰드가 배치되며(거치 또는 결합), 성형장치(14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 공급장치(130)가 성형장치(140)의 상부로 이동하여야 한다. 공급장치(130)는 이동프레임(131)을 통해 수평프레임(10)을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전후방 이동장치(132)를 통해 수평프레임(10)을 따라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공급장치(130)는 수평프레임(10)의 모든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바, 고정프레임(10)이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성형장치(14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급장치(130)가 성형장치(140)의 상부로 이동하면, 공급장치(130)의 제3 배출구(136)가 제2 차단부재(138)에 의해 하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있는 혼합물(2)이 성형장치(140) 상부에 마련되는 성형몰드로 투입된다. 이 때, 성형몰드의 크기에 따라 높이조절부(144)에 의해 몸통부(143)가 승하강 함으로써, 성형몰드가 공급장치(130)의 토출부(137)에 근접할 수 있다. 성형몰드 내부에 혼합물(2)이 모두 채워지면, 성형몰드는 이동장치에 의해 양생실로 이동하여 양생됨으로써 옹벽 블록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는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 투입단계에서부터 양생 단계까지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옹벽 블록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바, 옹벽 블록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는 옹벽 블록의 제조원료들을 3차에 걸쳐 믹싱을 하고, 특히 성형몰드에 제조원료들이 투입되기 직전에 3차 믹싱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균일한 옹벽 블록을 제조할 수 있으며,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조원료들이 열화되거나 고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옹벽 블록 제조장치에서 공급장치는 고정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뿐더러, 전후방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한 바, 고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성형몰드들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제조원료 혼합물들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장치는 배출구와 토출부를 간격을 두어 결합하고 상기 간격에 차단부재가 평행 삽입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조원료 혼합물들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성형장치의 몸통부가 높이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급장치의 토출부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성형몰드를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바, 제조원료 혼합물들이 성형몰드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원료들의 이탈이 크게 줄어든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옹벽 블록 제조장치
10: 고정프레임
110: 제1 믹싱장치
120: 제2 믹싱장치
130: 공급장치
140: 성형장치
10: 고정프레임
110: 제1 믹싱장치
120: 제2 믹싱장치
130: 공급장치
140: 성형장치
Claims (3)
- 지면에 설치되어 박스형의 골격을 이루는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의 일측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조원료들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1차 믹싱되고, 믹싱된 혼합물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배출구로 배출되는 제1 믹싱장치;
고정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제1 믹싱장치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믹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2차 믹싱되고, 믹싱된 혼합물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배출구로 배출되되 제2 배출구에는 제2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차단부재가 설치되는 제2 믹싱장치;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후방 이동장치와, 전후방 이동장치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제2 믹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3차 믹싱되고 믹싱된 혼합물을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제3 믹싱부와, 제3 믹싱부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어 제3 배출구의 측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제3 배출구 측 단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형의 제2 차단부재와, 제3 배출구의 하부에 제2 차단부재의 두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간격을 두어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급장치;
고정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간격을 두어 복수개 설치되는 것으로, 성형몰드가 상부에 거치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통부(하광상협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의 양 측부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와,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몸통부를 위아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및
혼합물이 채워진 성형몰드를 양생실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이동프레임과 전후방 이동장치를 통해 고정프레임을 따라 성형장치의 각 성형몰드의 상부로 이동하여 혼합물을 성형몰드의 내부로 토출시키며, 제2 차단부재가 이동부에 의해 제3 배출구와 토출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간격으로 삽입 또는 이탈함으로써 각 성형몰드의 크기에 따라 혼합물의 토출량이 제어되는 옹벽 블록 제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믹싱장치는 제조원료들이 투입되는 제1 호퍼부와, 제1 호퍼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조원료를 1차적으로 믹싱하는 제1 믹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믹싱장치는 제1 믹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이 투입되는 제2 호퍼부와, 제2 호퍼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혼합물을 2차적으로 믹싱하는 제2 믹싱부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 제조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는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전방 및 후방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지지부재와, 몸통부의 상부면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표면에는 복수의 골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몸통부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의 전방 및 후방측 하부에는 다리부가 형성되어 수직지지부재에 상기 다리부가 삽입됨으로써 몸통부가 지지판에 지지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옹벽 블록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7062A KR101822094B1 (ko) | 2017-08-24 | 2017-08-24 |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7062A KR101822094B1 (ko) | 2017-08-24 | 2017-08-24 |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2094B1 true KR101822094B1 (ko) | 2018-01-25 |
Family
ID=6109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7062A KR101822094B1 (ko) | 2017-08-24 | 2017-08-24 |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2094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068B1 (ko) * | 2020-01-31 | 2021-01-26 | 디아이특수장비 주식회사 | 아스팔트 믹스기 |
CN112726341A (zh) * | 2020-12-30 | 2021-04-30 |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 一种高速公路台背泡沫轻质土回填路基施工装置 |
KR102325583B1 (ko) | 2021-05-25 | 2021-11-11 | 조민현 |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
KR102403403B1 (ko) | 2021-11-29 | 2022-05-30 | 주식회사 정우콘크리트 | 자연석 질감 구현을 위한 표면 절단과 표면 연마 및 표면 가공용 스플릿 블록 제조장치 |
KR102457800B1 (ko) * | 2022-07-11 | 2022-10-21 | 문명규 | 드라이아이스블록 크기조절 성형장치 |
KR102492630B1 (ko) | 2022-07-27 | 2023-01-27 | 김윤회 | 옹벽블록 적재를 위한 블록 반전장치 |
CN118081941A (zh) * | 2024-04-29 | 2024-05-28 | 内蒙古工业大学 | 一种建筑砌块的多阶段碳化制备装置及制备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9556B1 (ko) * | 2010-02-11 | 2010-09-02 | (주)포크리트 | 바닥재 연속혼합 믹서기 |
-
2017
- 2017-08-24 KR KR1020170107062A patent/KR1018220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9556B1 (ko) * | 2010-02-11 | 2010-09-02 | (주)포크리트 | 바닥재 연속혼합 믹서기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068B1 (ko) * | 2020-01-31 | 2021-01-26 | 디아이특수장비 주식회사 | 아스팔트 믹스기 |
CN112726341A (zh) * | 2020-12-30 | 2021-04-30 |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 一种高速公路台背泡沫轻质土回填路基施工装置 |
KR102325583B1 (ko) | 2021-05-25 | 2021-11-11 | 조민현 | 생산성 향상된 옹벽블럭 자동 제조장치 |
KR102403403B1 (ko) | 2021-11-29 | 2022-05-30 | 주식회사 정우콘크리트 | 자연석 질감 구현을 위한 표면 절단과 표면 연마 및 표면 가공용 스플릿 블록 제조장치 |
KR102457800B1 (ko) * | 2022-07-11 | 2022-10-21 | 문명규 | 드라이아이스블록 크기조절 성형장치 |
KR102492630B1 (ko) | 2022-07-27 | 2023-01-27 | 김윤회 | 옹벽블록 적재를 위한 블록 반전장치 |
CN118081941A (zh) * | 2024-04-29 | 2024-05-28 | 内蒙古工业大学 | 一种建筑砌块的多阶段碳化制备装置及制备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2094B1 (ko) |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 |
US3679340A (en) | Apparatus for forming building blocks | |
KR101987427B1 (ko) | 진동장치를 이용한 콘슬라트 제조시스템 | |
CN113414872B (zh) | 一种生产预应力混凝土波形板桩的模具 | |
CN114193609B (zh) | 一种混凝土预制件成型装置 | |
CN112045821A (zh) | 一种预制件生产设备及生产工艺 | |
US2193847A (en) | Method of producing molded concrete products and apparatus therefor | |
CN107097335B (zh) | 预制件灌装流水线 | |
RU2670817C9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тья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 |
CN110883928A (zh) | 一种预制板的成型装置 | |
KR20200045285A (ko) |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 |
RU2516038C2 (ru) | Машина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изделий из армированного ил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ого бетона | |
RU2686886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тья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 |
US2007008208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concrete mix | |
CN110877395A (zh) | 一种混凝土构件震实装置 | |
CN103702810B (zh) | 砌块成型机和用于竖向调节砌块成型机的方法 | |
US2706322A (en) | Method of making concrete blocks | |
US20150147428A1 (en) | Agitator grid with adjustable restrictor elements for concrete block machine | |
US2231064A (en) | Machine for molding cementitious block | |
KR101633749B1 (ko) | 인조석 성형장치 | |
CN211440439U (zh) | 一种使用简易原材料的多孔砖制坯装置 | |
CN110524706B (zh) | 混凝土预制构件布料系统及方法 | |
RU2704399C2 (ru) | Способ отливки сборных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CN117863336B (zh) | 一种混凝土自动浇注装置 | |
CN219688549U (zh) | 一种振动式给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