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285A -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285A
KR20200045285A KR1020180126153A KR20180126153A KR20200045285A KR 20200045285 A KR20200045285 A KR 20200045285A KR 1020180126153 A KR1020180126153 A KR 1020180126153A KR 20180126153 A KR20180126153 A KR 20180126153A KR 20200045285 A KR20200045285 A KR 20200045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oupled
polyurethane
angl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142B1 (ko
Inventor
정용채
Original Assignee
(주) 디유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유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 디유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2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142B1/ko
Priority to PCT/KR2019/002720 priority patent/WO2020085587A1/ko
Publication of KR2020004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28Expanding the moulding material on continuous moving surfaces without restricting the upwards growth of the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반응성 혼합물을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도포하여 스트랜드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한 발포 시, 공급되는 발포액의 양 및 밀도에 따라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구성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스트랜드 발포체의 상부면이 평탄한 면이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스트랜드 발포체의 상부면에 블록한 형상의 곡면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폐발포체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 의한 블록 발포체의 성형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체(6)의 상부면이 크라운(Crown) 형상과 같이 볼록하게 상부로 솟아오른 곡면의 형상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볼록하게 상부로 솟아오른 곡면을 제거해야 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strand foams of polyurethane}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반응성 혼합물을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도포하여 스트랜드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한 발포 시, 공급되는 발포액의 양 및 밀도에 따라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구성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스트랜드 발포체의 상부면이 평탄한 면이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스트랜드 발포체의 상부면에 블록한 형상의 곡면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폐발포체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발포체(Polyurethane foam)는 활성 수산기(-OH)를 갖고 있는 알코올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혼합물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적정조건하에서 고온의 열을 발산시켜 합성한 [-NHCOO-]n의 구조를 가진 발포체로서, 건설자재용, 자동차 부품용, 생활용품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발포체(Polyurethane foam)는 성형방식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물질(1)이 발포주입기(mixing head)(2)를 통해 컨베이어벨트(3) 위를 연속적으로 흐르는 종이(4) 위에 발포액(5)을 토출하여 발포체(6)는 방식인 크라운-블록 공정(Conventional Crown-Block Process)과 예열된 주형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게 되며, 발포주입기를 통해 발포액이 주형으로 주입된 후 발포가 이루어는 주형 발포 공정(Molded foam Process) 등이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포체(6)를 절단하여 메트리스, 매트 또는 건축용 패널 등과 같은 블록 발포체의 용도로 사용 시에는 육면이 모두 매끄러운 평면 형태의 블록 형상이 되어야 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체(6)의 상부면이 크라운(Crown) 형상과 같이 볼록하게 상부로 솟아오른 곡면의 형상이 형성되므로 볼록하게 상부로 솟아오른 곡면을 제거해야 하는 부위가 많아지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 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장치(4)를 이용하여 발포 혼합물(5)을 회전하는 이송벨트(1) 상에 도포하고, 발포 영역(7)에서 발포시켜 발포제 블록(8)을 성형시, 복수개의 케이블(12)과 연결된 균형추(13)에 의해 복수개의 연결장치(10)에 장착된 복수개의 커버(11)을 이용하여 발포제 블록(8)의 상부면이 볼록하게 솟아 오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상기 장치의 경우에는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커버(11)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면이 크라운(Crown)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 발포체가 성형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은 혼합기(1)에서 유출구(15)를 통해 이동 공급 분리 박판(2)으로 공급되고, 상부 피드개구부(3)를 통해 축적 체임버(4) 내부로 프리 플로잉(free-flowing) 방법에 의해 하부 갭 개구부(5)을 통해 측면의 분리막(9)의 전면 벽을 따라 안내되는 상부 분리 박판(12)을 따라 흘러들어가 수평 방향 갭(8) 및 팽창 챔버(8)를 통과하여 발포 영역(14)에서 발포되는 발포체를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여 블록 발포체를 성형시키는 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상기 장치의 경우에는 복잡하게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가이드부를 구성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서(1) 내의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을 배출경로(2)를와 갭(gab)(7)를 통해 회전하는 어플리캐이션 플레이트(5) 상부의 기재 종이(3)에 도포하여 폴리우레탄 블록 발포체를 성형시키는 장치로서, 갭(gab)(7)의 길이 b에 대한 비율을 특정 수치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장치의 경우에는 갭(gab)(7)의 길이 b의 비율을 조정한다고 하더라도 혼합물의 특성에 따라 비율이 상이하여 그 조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조정을 한다고 하더라도 상부면이 크라운(Crown)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 발포체가 성형될 우려가 있었다.
미국등록특허공보 제4,120,626호(1978.10.17 등록) 수직 단면의 발포제 블록의 연속 생산을 위한 장치 미국등록특허공보 제7,968,023호(2011.06.28 등록) 폴리우레탄계 블럭 발포제의 생산을 위한 방법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069566호(2012.08.24 등록) 폴리우레탄 블록 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폴리우레탄 반응성 혼합물을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도포하여 스트랜드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한 발포 시, 공급되는 발포액의 양 및 밀도에 따라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구성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스트랜드 발포체의 상부면이 평탄한 면이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스트랜드 발포체의 상부면에 블록한 형상의 곡면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폐발포체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원료물질을 혼합하고, 발포액을 토출하기 위한 믹싱헤드(210)를 구비한 공급부(200)와, 상기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300)와, 상기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눌러 상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0)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0)는 상기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가이드부재(20)와; 상기 가이드부재(20)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30)와;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3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상기 각도조절부재(30)는 액추에이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장방향의 회전봉(32)과; 일측이 상기 회전봉(32)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링크(33)와; 일측이 상기 회동링크(33) 상에 결합되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조절볼트(34)와; 일측이 상기 조절볼트(34)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부재(20)가 고정되는 고정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조절볼트(34)는 상기 회동링크(33) 상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동링크(33)의 하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는 상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30)의 복수개의 조절볼트(34)에 결합되는 고정구(35)에 결합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인접되는 가이드부재(20)는 연결부재(2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동링크(33)의 회동 또는 상기 조절볼트(34)의 길이조절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30)의 고정구(35)에 결합되는 결합구(22)와; 상기 결합구(22)에 결합되고, 상기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누름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40)는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41)와; 상기 고정구(41) 상에 베어링을 통해 연결되고, 일측 끝단에 핸들(42)이 형성된 잭스크류 샤프트(43)와; 상기 잭스크류 샤프트(43) 상에 형성되는 잭스크류(44)와; 상기 잭스크류(44)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판(45)과; 상기 결합판(45)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30)가 결합되는 결합프로파일(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 의하면, 폴리우레탄 반응성 혼합물을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도포하여 스트랜드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한 발포 시, 공급되는 발포액의 양 및 밀도에 따라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구성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스트랜드 발포체의 상부면이 평탄한 면이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성형 발포체의 절단시 메트리스, 매트 또는 건축용 패널 등과 같은 블록 발포체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육면이 모두 매끄러운 평면 형태로 성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 의한 블록 발포체의 성형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체(6)의 상부면이 크라운(Crown) 형상과 같이 볼록하게 상부로 솟아오른 곡면의 형상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볼록하게 상부로 솟아오른 곡면을 제거해야 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면을 절단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종래의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가이드부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가이드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서 각도조절부재의 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6 내지 도 11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100)는 원료물질을 혼합하고, 발포액을 토출하기 위한 믹싱헤드(210)를 구비한 공급부(200)와,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300)와,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눌러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부(200), 이송부(300), 가이드부(10)는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110)은 수직바 및 수평바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틀을 이루도록 한다.
공급부(200)는 원료물질을 혼합하고, 믹싱헤드(210)를 통해 발포액이 토출되는 발포액 공급부(220)와,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231)에 권취된 이형지 공급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형지 공급부(230)는 발포액 공급부(220)의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이 상부에 토출되어 이송부(300)로 이송하는 제1이형지 공급부(240)와, 제1이형지 공급부(240)의 상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부(10)의 가이드부재(20)에 밀착되어 발포액의 상부를 누르도록 하는 제2이형지 공급부(250)와,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발포액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 이형지 공급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송부(300)는 제2이형지 공급부(250)의 상면에 발포된 발포액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31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100)에서 공급부(200)와 이송부(300)는 프레임(110) 상에서 다양하게 설치가능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부인 가이드부(1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발포액은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혼압액이고, 이 혼압액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굳어져 생성되는 것이 발포체인 것으로 발포액과 발포체를 혼용하여 사용되지만 동일한 구성이라는 것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은 알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부(10)는 공급부(200)의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눌러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시 발포액이 굳어져 생성된 발포체의 상부면에 블록한 형상의 곡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가이드부재(20)와, 가이드부재(20)와 연결되고, 가이드부재(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30)와,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각도조절부재(3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재(20)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발포액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누름판(23)과, 누름판(23)에 결합되고, 각도조절부재(30)의 고정구(35)에 결합되는 결합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가이드부재(2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인접되는 가이드부재(20)는 연결부재(21)에 의해 연결되어 각도조절부재(30)의 회동링크(33)와 각도조절부재(30)의 조절볼트(34)의 길이조절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1)는 경첩으로 구성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각도조절부재(30)는 가이드부재(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액추에이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장방향의 회전봉(32)과, 일측이 회전봉(32)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링크(33)와, 일측이 회동링크(33) 상에 결합되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조절볼트(34)와, 일측이 조절볼트(34)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가이드부재(20)가 고정되는 고정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액추에이터(31)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하이동부재(40)의 결합프로파일(46)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로파일(311)에 설치되고, 액추에이터(31)의 피스톤 로드의 끝단에 결합되는 드라이브링크(312)와 회전봉(32)이 결합되어 액추에이터(31)의 구동으로 회전봉(32)은 회전하게 된다.
회전봉(32)은 중심측 상에 액추에이터(31)가 결합되어 액추에이터(31)의 구동으로 회전봉(32)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봉(32)은 양끝단에 베어링이 구비된 고정구(36)에 고정되고, 고정구(36)는 상하이동부재(40)의 결합프로파일(46)에 고정되어 진다.
회동링크(33)는 일측이 회전봉(32)의 양측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다.
조절볼트(34)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341)와 몸체(341)의 양측에서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342)로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341)를 일측으로 회전하면 체결구(342)는 외측으로 이동하고, 몸체(341)를 타측으로 회전하면 체결구(342)는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절볼트(34)는 몸체(341)의 회전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가이드부재(20)의 누름판(23)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가이드부재(20)는 연결부재(2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341)의 회전으로 체결구(342)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하면 연결부재(21)를 중심으로 가이드부재(20)의 누름판(23)은 회전하게 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술한 복수개의 조절볼트(34)는 본 발명에서는 3개로 구성하여 회동링크(33)의 하단부, 중단부,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회동링크(33)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a)는 중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b)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고, 중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b)는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c)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각도조절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의 각도는 공급부(200)의 믹싱헤드(210)에서 토출되는 발포액의 양 및 밀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각도조절부재(30)링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a)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의 누름판(23)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5°의 각도를 갖고, 중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b)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의 누름판(23)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30°의 각도를 가지며,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c)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의 누름판(23)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이동부재(40)는 발포액의 밀도, 발포되는 양에 따라 가이드부재(20)와 각도조절부재(3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41)와, 고정구(41) 상에 베어링을 통해 연결되고, 일측 끝단에 핸들(42)이 형성된 잭스크류 샤프트(43)와, 잭스크류 샤프트(43) 상에 형성되는 잭스크류(44)와, 잭스크류(44)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판(45)과, 결합판(45)의 하부에 결합되고, 각도조절부재(30)의 고정구가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로파일(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결합프로파일(46)의 일측면에는 각도조절부재(30)의 조절볼트(34) 중에서 하단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의 누름판(23)이 연결부재(21)에 의해 연결되어 진다.
이와 같은 상하이동부재(40)는 핸들(42)을 일측으로 돌리면 잭스크류 샤프트(43)는 회전하고, 잭스크류 샤프트(43)의 회전으로 잭스크류(44)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결합판(45) 및 결합프로파일(46)은 상승하게 되어 가이드부재(20) 및 각도조절부재(40)는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 의하면, 폴리우레탄 반응성 혼합물을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도포하여 스트랜드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한 발포 시, 공급되는 발포액의 양 및 밀도에 따라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구성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스트랜드 발포체의 상부면이 평탄한 면이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성형 발포체의 절단시 메트리스, 매트 또는 건축용 패널 등과 같은 블록 발포체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육면이 모두 매끄러운 평면 형태로 성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에 의한 블록 발포체의 성형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체(6)의 상부면이 크라운(Crown) 형상과 같이 볼록하게 상부로 솟아오른 곡면의 형상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볼록하게 상부로 솟아오른 곡면을 제거해야 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가이드부 20 : 가이드부재
21 : 연결부재 22 : 결합구
23 : 누름판 30 : 각도조절부재
31 : 액추에이터 32 : 회전봉
33 : 회동링크 34 : 조절볼트
35 : 고정구 40 : 상하이동부재
41 : 고정구 42 : 핸들
43 : 잭스크류 샤프트 44 : 잭스크류
45 : 결합판 46 : 결합프로파일
100 :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200 : 공급부 210 : 믹싱헤드
300 : 이송부

Claims (6)

  1. 원료물질을 혼합하고, 발포액을 토출하기 위한 믹싱헤드(210)를 구비한 공급부(200)와, 상기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300)와, 상기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눌러 상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0)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0)는 상기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가이드부재(20)와;
    상기 가이드부재(20)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30)와;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3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30)는 액추에이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장방향의 회전봉(32)과;
    일측이 상기 회전봉(32)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링크(33)와;
    일측이 상기 회동링크(33) 상에 결합되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조절볼트(34)와;
    일측이 상기 조절볼트(34)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부재(20)가 고정되는 고정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조절볼트(34)는 상기 회동링크(33) 상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동링크(33)의 하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는 상부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4)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30)의 복수개의 조절볼트(34)에 결합되는 고정구(35)에 결합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인접되는 가이드부재(20)는 연결부재(2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동링크(33)의 회동 또는 상기 조절볼트(34)의 길이조절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30)의 고정구(35)에 결합되는 결합구(22)와;
    상기 결합구(22)에 결합되고, 상기 믹싱헤드(210)를 통해 토출되는 발포액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누름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40)는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41)와;
    상기 고정구(41) 상에 베어링을 통해 연결되고, 일측 끝단에 핸들(42)이 형성된 잭스크류 샤프트(43)와;
    상기 잭스크류 샤프트(43) 상에 형성되는 잭스크류(44)와;
    상기 잭스크류(44)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판(45)과;
    상기 결합판(45)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30)가 결합되는 결합프로파일(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KR1020180126153A 2018-10-22 2018-10-22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KR10217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53A KR102172142B1 (ko) 2018-10-22 2018-10-22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PCT/KR2019/002720 WO2020085587A1 (ko) 2018-10-22 2019-03-08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53A KR102172142B1 (ko) 2018-10-22 2018-10-22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285A true KR20200045285A (ko) 2020-05-04
KR102172142B1 KR102172142B1 (ko) 2020-10-30

Family

ID=7033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53A KR102172142B1 (ko) 2018-10-22 2018-10-22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2142B1 (ko)
WO (1) WO2020085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7323A1 (en) * 2022-04-08 2023-10-11 Evonik Operations GmbH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rameters for foam production
EP4257324A1 (en) * 2022-04-08 2023-10-11 Evonik Operations GmbH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parameters for foam production
CN117359855B (zh) * 2023-10-24 2024-04-16 苏州瀚铭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涂布均匀的聚氨酯泡棉涂布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0626A (en) 1976-07-17 1978-10-17 Maschinenfabrik Hennecke Gmbh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oam blocks of rectangular cross-section
EP0021564A1 (en) * 1979-05-31 1981-01-07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foam board
KR20040088817A (ko) * 2003-04-12 2004-10-20 이동식 발포 알루미늄 판재 성형장치
EP1508422A1 (en) * 2003-07-14 2005-02-23 Recticel Proces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blocks
KR20060108459A (ko) * 2005-04-13 2006-10-18 주식회사 한국카본 더블 와이스 스트랜드 매트가 포함된 폴리우레탄 폼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8528338A (ja) * 2005-02-04 2008-07-31 ヘンネケ・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ポリウレタンブロック・フォ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7968023B2 (en) 2006-10-31 2011-06-28 Hennecke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block fo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194B1 (ko) * 2007-07-31 2008-03-03 박용현 헤드레스트 우레탄 성형용 발포금형
KR101407486B1 (ko) * 2012-03-14 2014-06-16 (주)동성화인텍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장치
KR101199453B1 (ko) * 2012-06-07 2012-11-09 주식회사 제네웰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0626A (en) 1976-07-17 1978-10-17 Maschinenfabrik Hennecke Gmbh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oam blocks of rectangular cross-section
EP0021564A1 (en) * 1979-05-31 1981-01-07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foam board
KR20040088817A (ko) * 2003-04-12 2004-10-20 이동식 발포 알루미늄 판재 성형장치
EP1508422A1 (en) * 2003-07-14 2005-02-23 Recticel Proces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blocks
JP2008528338A (ja) * 2005-02-04 2008-07-31 ヘンネケ・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ポリウレタンブロック・フォ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5069566B2 (ja) 2005-02-04 2012-11-07 ヘンネケ・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ポリウレタンブロック・フォ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060108459A (ko) * 2005-04-13 2006-10-18 주식회사 한국카본 더블 와이스 스트랜드 매트가 포함된 폴리우레탄 폼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7968023B2 (en) 2006-10-31 2011-06-28 Hennecke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block fo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142B1 (ko) 2020-10-30
WO2020085587A1 (ko)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5285A (ko) 폴리우레탄의 스트랜드 발포체의 연속 제조장치
CN101111353B (zh) 用于三维泡沫产品的连续成型设备
EP1857248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chäumten Sandwich-Verbundelementen
US7794224B2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lastic composites
US8833297B2 (en) High-pressure device
KR101822094B1 (ko)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옹벽 블록 제조장치
US20120141673A1 (en) Sandwich composite elements
KR101112187B1 (ko) 인조석 내?외장 판재 제조 장치
CN112996640A (zh) 用于打印混凝土立体结构的打印头及其方法
JP2001526977A (ja) プロセス制御装置を備えた密閉式チャンバ押し出し装置及び方法
US5814255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iber-reinforced molded bodies from hydraulically setting materials
US383777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oamed resin-care web-faced laminates in continuous lengths
EP30563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concrete products
KR20150086413A (ko) 발포우레탄 샌드위치 패널 제조시설
CN108115824B (zh) 一种滑动式混凝土制品布料装置
US3776990A (en) Method of forming solid structures from a continuously supplied liquid
US9925701B2 (en) Sandwich composite elements
CN109228410B (zh) 纤维增强复合材料浸渍系统及其树脂纤维混合模具和应用
CN103231484A (zh) 夹芯pu建筑砌块生产线的发泡料浇注装置及工艺
CN215969361U (zh) 一种保温隔声板生产线
KR101167263B1 (ko) 도판 제조용 토출 다이 및 이를 이용하는 도판 제조장치
KR20090129878A (ko) 토출구 간극 조절수단을 갖는 압출 패널 제조장치와 방법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이중 압축 패널
JP3659531B2 (ja) 連続生産用硬質ウレタン注入方法
CN114261020A (zh) 一种l型烟道自动化成型系统及其使用方法
US20100201035A1 (en) Concrete Infusion 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