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806B1 - 통합형 어린이용 안전 좌석 - Google Patents

통합형 어린이용 안전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806B1
KR102525806B1 KR1020197012057A KR20197012057A KR102525806B1 KR 102525806 B1 KR102525806 B1 KR 102525806B1 KR 1020197012057 A KR1020197012057 A KR 1020197012057A KR 20197012057 A KR20197012057 A KR 20197012057A KR 102525806 B1 KR102525806 B1 KR 10252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vehicle
infant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557A (ko
Inventor
리즈베스 숀펠드
데이비드 숀펠드
Original Assignee
달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달리, 엘.엘.씨. filed Critical 달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6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4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 B60N2/0027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or of occupant's body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 B60N2/2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 B60N2/27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detecting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securing the child in the seat
    • B60N2/272Buckle lock sensors for child seat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7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means between the child seat and another entity, e.g. vehicle or portabl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6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belt tens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4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6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8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allowing the driver to see passenger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9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inside the vehicle, e.g. for viewing passengers or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97Blocking or enabling of input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41Instruments adapted for user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10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N2210/16Electromagnetic waves
    • B60N2210/22Optical; Photoelectric;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B60N2210/24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30/00Communication or electronic aspects
    • B60N2230/20Wireless data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pressure on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scenes of vehicle interior, e.g. for monitoring passengers or cargo
    • B60R2300/801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scenes of vehicle interior, e.g. for monitoring passengers or cargo for chil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10)은 이음새 없이 또한 영구적으로 벤치 좌석(14)에 통합되거나 별도의 유닛으로서 제공되고, 동일한 실내 장식용품은 차량 내의 다른 좌석의 설계와 일치하고 차량의 후방열, 중심부 또는 측면에서, 두 성인용 좌석 의 옆에서 또는 이들 사이에 조립되고, 또는 하나 이상이 차량에 결합되면 성인용 좌석을 대체한다. 어린이용 좌석은 오목한 형태로 침하되거나 차량 벤치(26)와 후방 등받이 좌석(24) 아래와 뒤에 있지 않고, 안전 하니스(22, 25)가 유아를 안전 좌석(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영구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통합형 좌석(10)은 부드럽게 경사져, 0세 내지 8세의 다른 나이의 어린이에 적합하게 다른 각도를 갖는 전향 또는 후향 상태를 가능하게 하고, 경사지거나 실내 장식용품과 팔걸이(23, 43)로부터 상승되는 라운딩된 돌출 가장자리 머리/발 받침대(88, 29, 28, 47, 57), 및 보호를 위한 패딩과 인서트를 가지고 있다. 인서트는 수동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팔걸이로서 좌석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안전 특징이 내부적으로 통합되어, 유아가 버클링 해제된 상태로 그리고/또는 돌보는 동승자 없이 차량 내부에 있게 되는 일을 방지하고, 저울(30), 디스플레이(50) 내의 걸쇠 센서(46, 32), 버클링 해제 버튼(59), 및 스크린(52) 내의 카메라(35)의 비디오 모니터의 몇몇 조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형 어린이용 안전 좌석
본 발명은 차량에 타서 이동하는 0 내지 8세 이상의 유아를 위한 통합형 차량 유아용 안전 좌석에 관한 것으로, 이 좌석은 자동차 좌석의 실내 장식용품의 일부분으로서 완전히 또한 이음새 없이 삽입되고, 분리되거나 다른 좌석과 통합되며, 상이한 위치와 경사에서 인간 공학적인 설계를 가지며, 오목한 형태의 좌석을 가지며, 경사질 수 있는 머리/발 받침대 및 전자적으로 상이한 위치로 상승되거나 그렇지 않는 팔걸이를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서로 밀접히 관련 있고 좌석에 통합되어 있고 계기판에 나타나 있고 제어되는 모든 안전 제어 특징을 갖는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10월 7일에 "통합형 어린이용 안전 좌석"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5/289,048에 관계되어 있고, 이 미국 특허 출원은 전체적으로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차량에 사용되는 유아용 안전 좌석에 대한 여러 설계가 과거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들 설계 중 어떤 것도, 영구적으로 차량 좌석의 일부분인 차량의 후방 좌석에서 출생시부터 6 내지 8세 이상의 나이까지의 유아를 위한 좌석으로서, 후향 및 전향 위치의 통합형 좌석을 가지며 외부의 부착물을 갖지 않으며 또한 모든 기구가 자동차 좌석의 내부 부품 내부에서 보이지 않는 좌석을 포함하지 않으며, 또한 유아가 최고의 보호를 받으면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해주고 또한 유아에 대한 버클링 해제 및 자동차 내에 남아 있는 유아의 부상을 방지하는 통합형 안전 특징, 및 운전자가 도로 상에서 전방으로 주의를 집중할 수 있게 해주고 또한 주위를 돌지 않고도 유아를 볼 수 있게 해주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다.
출원인은, 가장 가까운 참고 문헌은 시민(Simin)의 미국 특허 4,756,573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과는 다른데, 왜냐하면, 시민의 장치는 차량과 부분적으로 통합되어 있고, 유아 캐리어는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아기용 자동차 좌석과 유사하고, 운전자의 옆에 있는 자동차 전방 좌석의 플랫폼의 정상측 또는 위쪽에서 후방을 향하면서 외부에 배치되어, 후방 좌석에서 유아에서 돌보는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본 개시의 통합형 어린이용 안전 좌석(들)은, 특히, 더욱 견고한 구성, 실내 장식용품과의 완전한 동화 및 어린이용 안전 좌석이 다른 좌석 사이에서 또는 그 옆에 있는 통합된 또는 별도의 유닛으로 특히 적합하게 된 차량의 심미감을 얻을 수 있게 하면서 차량의 후방 좌석에 영구적으로 형성되는 유아용 좌석을 포함한다. 운전자가 유아를 더 확실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유아가 돌봄을 받지 않고 버클링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차량 내에 혼자 남아 있음으로해서 생기는 우발적인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안전 특징이 있다. 다른 유사한 특허는, 분리되는 부분을 가지거나 또는 기술과 특징 및 본 기술의 안전 요소 없이 제거 가능한 좌석이다. 어떤 경우에, 운전자의 뒤쪽으로 향하는 분리형 좌석의 어떤 기술은 분리형 좌석의 움직임을 피하기 위해 아기용 좌석을 자동차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추가적인 폴(pole), 및 분리형 자동차 좌석의 바닥을 위한 플랫폼을 갖는다. 이 특허의 기술은 이들 부속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자동차 자체의 일부분이고 그래서 그 좌석에 고정되는 아기는 훨씬 안정적이고 더 안전한 시스템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시민 기술과의 다른 차이점은, 그것은 단지 6 내지 8세의 유아에 대해서만 후방 좌석에 포함되는 좌석을 갖는다는 것이다. 우리의 기술은 출생시부터의 유아를 위한 내장된 통합형 유아용 좌석을 구현하며, 이 좌석은 유아의 상이한 성장 단계에 대한 2개의 위치, 좌석 및 머리/발 받침대의 개별적인 경사, 상승하는 팔걸이, 및 자동차의 제작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일부분으로서 설치되어 밀접히 서로 관련되어 기능하는 전자적, 디지털 또는 다른 안전 특징으로 유아의 모든 안전을 보장해주면서 상승되는 인서트를 갖는다.
본 설계는 유아의 상이한 성장 단계에 맞는 분리형 좌석을 구매할 필요를 없게 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좌석은, 가족을 만들기 시작하고 있거나 어린이를 갖고 있고 자동차에 타서 이동하는 중에 유아의 모든 성장 단계에서 유아에게 최고의 안전과 편안함을 제공할 필요성을 느끼는 소비자에게 이상적이다. 그것은 자동차 내에 있는 어린이의 요구와 안전에 기여하도록 설계된다.
설계는 또한 모든 유아의 안전을 보장해주면서 더 작은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통합형 유아용 안전 좌석은 큰 밴이나 SUV에 이상적이다. 이 기술은 현재와 미래의 요구의 비젼을 갖는 진보된 기술적 및 신규한 개량으로 시장에 나온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자석의 안전 제어 특징에 관한 다른 기술의 차이는, 모든 제어부가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고 좌석의 내부 부품이다라는 것이다. 안전 제어 특징은 모두 함께 계기판의 스크린 상에 나타나고 차량 내 유아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가능한 상황을 커버한다. 유아가 통합형 안전 자동차 좌석으로부터 풀어질 가능성을 계기판의 디스플레이에 있는 원격 제어부로 주시하여, 차에서 내리기 전에 제어의 안전 절차를 따르고 유아를 자동차 내에 홀로 남겨두지 않음으로써 과정을 용이하게 해준다.
가장 근접한 주제를 설명하는 다른 특허는 문제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많은 다소 복잡한 안전 제어 특징을 제공한다. 이들 특허 중 어떤 것에도, 모든 제어 시스템을 함께 통합하고 자동차에 내부적으로 포함시킨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암시되어 있지 않다.
가장 중요하게도, 유아는, 특히 브레이크의 갑작스런 사용시 또는 충돌 또는 사고시에 더 불안정하고 흔들거리며 또한 불안전한 자동차의 실제 좌석에 버클링할 필요가 있는 좌석에 버클링되는 대신에, 자동차 좌석의 일부분으로서 유아의 요구 사항에 맞게 설계되어 있고 확실하게 버클링되는 좌석에 직접 착석될 때 유아는 더 안전하게 이동할 것이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주시하는 모든 안전 특징에 의해 향상된 기술의 인간 공학적인 설계에 의해, 차량에 존재하는 유아(들)가 완전히 안전하고 모니터링되며 또한 보호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 중의 하나는, 설치되는 차량의 인테리어 장식 및 실내 장식용품과 이음새 없이 어울리는 인간 공학적인 설계를 갖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 좌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형 자동차 좌석 유닛을 위한, 가끔 사용하기 어려운 신뢰적이지 않은 좌석 벨트, 랫치, 테더(tether), 또는 다른 스트랩인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신에, 유아용 좌석을 차량 좌석의 구조에 통합하여 더 안전한 유아용 자동차 좌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위치, 즉 후향 위치와 전향 위치를 가지며 모두 전자적으로 제어되면서 상승되고 인간 공학적인 개념 내에서 오목한 형태의 좌석을 갖는 벤치 및 등받이, 머리/발 받침대, 및 팔걸이에 대해 여러 경사도의 위치를 갖는 통합형 유아용 좌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에 대한 부상 위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공장에서 설치되는(또는 다른 고품질 통합의) 모니티링 특징을 포함하는 통합형 유아용 좌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특징은 최대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커버하는 시스템과 연결된 일련의 제어부를 고려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과를 유지하면서, 제조 및 관리하기가 저렴한 그러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명세서의 다음 부분에서 알 수 있을 것이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에 대한 한정 없이 충분히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목적 및 다른 관련된 목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충분히 이해하는 바와 같이, 부품의 구성 및 조합의 상세로 이루어진다.
도 1은 통합형 안전 자동차 좌석에서 전향 위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서 후향 위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있는 안전 특징을 보여주는 차량 계기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계기판에 있는 모든 안전 제어 요소를 나타낸다.
도 5는 패딩 및 상승용 인서트와 같은 통합형 유아용 안전 좌석의 추가적인 요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상승된 좌석 경사를 갖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상방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캐노피가 있는 상태에서 신생 유아가 좌석에 있을 때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상후방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전자적으로 기울어지거나 그렇지 않는 통합형 유아용 자동차 좌석의 벤치와 등받이 및 머리/발 받침대의 상이한 경사가 나타나 있는 오목한 형태의 좌석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좌석 및 등받이의 측면에 있고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서 전자적으로 또는 비전자적으로 아래쪽에서 상이한 높이로 상승되는 팔걸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라운딩되어 있고 돌출 가장자리 보호를 갖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머리/발 받침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장치의 일 버젼의 머리 받침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장치 및 사용 방법은 가끔 장치, 본 발명, 자동차 좌석, 안전 좌석,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 어린이용 통합형 안전 자동차 좌석, 본 기술,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로 불릴 것이다. 이들 용어는 문맥에 따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부터 의도는 명백해진다. 남성은 가끔 여성 및 중성을 말하는 것일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상황에 따라 공정하고 합리적인 해석에서 볼 때 적절하다면, 복수는 단수를 포함할 수 있고 단수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면(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나타나 있음)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청구된 그리고 문맥상의 요소 중에서도, 등받이(12), 좌석(14), 좌석 벨트(16), 좌석 벨트(18), 도어(20), 하니스(22), 걸쇠(46), 하니스(25), 걸쇠(32), 하니스 조절기(66), 팔걸이(23), 팔걸이(43), 등받이(24), 좌석(26), 머리/발 받침대(28), 머리/발 받침대(29), 머리/발 받침대(47), 머리/발 받침대(57), 신생아 머리 받침대(88), 버튼(31), 버튼(41), 버튼(39), 버튼(8), 버튼(7), 버튼(17), 버튼(39), 버튼(37), 팔걸이 버튼(9), 팔걸이 버튼(11), 저울(30), 머리 받침대의 등받이(34), 카메라(35), 벤치(36), 머리 받침대(38), 등받이(40), 카메라(42), 좌석(42), 무릎 벨트(27), 힌지(33), 캐노피(67), 신생아용 머리 받침대(87), 인서트(74), 인서트(76), 패딩(78), 패딩(74), 스크린(52), 후방 보기 어린이 거울(50),디스플레이(49), 자동차내 유아 버튼(51), 좌석내 유아 사인(sign)(53), 좌석내 유아 사인(55), 버클링 해제 버튼(59), 알람 및 알림(51, 53, 55), 수동 키이 장치(61)를 포함한다.
통합형 유아 좌석에 유아를 착석시키기 위한 2개의 위치가 있다:
유아 위치 1: 유아가 0 내지 2세의 작은 유아이거나 AAP(American Association of Pediatrics)에 의해 규정된 의무 중량 보다 낮고 최대 2세 및 4세일 때, 유아는 운전자의 반대 방향 또는 후방으로 향하면서, 유아의 머리가 좌석의 하측 영역 및 벤치의 하측 부분에 있고 머리는 머리/발 받침대(29)에 있는 상태로 착석된다. 본 기술의 오목한 형태의 좌석의 경우, 등받이(24)의 제 1 부분은 성장하는 어린의 신체에 맞도록 아래쪽으로 경사질 수 있고, 그의 다리를 뻗을 공간이 있게 된다.
유아 위치 1: 유아의 머리는 머리/발 받침대(29)에 있거나 또는 신생아 머리 받침대(88)에 있다.
유아 위치 2: 유아가 2세 보다 많은 또는 AAP에 의해 규정된 의무 중량 보다 크고 4, 6, 8 세 이상이고 더 큰 어린이인 경우, 유아는 운자의 방향 또는 전방으로 향하면서 머리는 좌석의 상측 영역 또는 머리 받침대(28, 47, 또는 57)에 있는 상태로 착석된다.
유아 위치 2: 유아의 머리는 머리/발 받침대(28, 47 또는 57, 88)에 있고 신생아인 경우에는 받침대(88)에 있다.
도 1은 전방향으로 향하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좌석이 승객 차량의 후방 좌석 영역에 어떻게 위치될 수 있는지의 일 예를 나타내고, 그 유아 안전 좌석은 다른 좌석과 완전히 동화된 실내 장식용품 또는 다른 좌석 사이에 또는 그 옆에 있는 별도의 유닛이다. 많은 차량에서 처럼, 후방 좌석은 차량의 폭에 걸쳐 있는 등받이(12)와 좌석(14)을 포함한다. 도어(20)가 문맥을 위해 나타나 있다. 유아용 통합형 안전 자동차 좌석이 좌석의 좌측 1/3 부분 및 우측 1/3 부분에 의해 경계져 등받이(12)와 좌석(14)의 중앙 1/3 부분에 위치된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6개월까지의 신생아 자리가 있고, 유아가 점진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도 1, 2, 및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내 장식용품의 일부분인 패딩과 인서트에 의해 좌석이 유아의 크기에 맞게 될 수 있다. 어린이용 안전 좌석은 또한 중앙 1/3 부분, 좌측 1/3 부분 및 우측 1/3 부분에 위치하거나 그 부분들 사이에 별도의 유닛으로서 위치하도록 될 수 있다. 동일한 기술과 직접 통합되는 나이가 더 많은 유아를 위한 좌석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좌석은 차량 구매시 주문되는 업그레이드이다.
후방 벤치의 좌측 1/3 부분과 우측 1/3 부분은 어른이 편하게 앉을 수 있게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또는 다른 통합형 유아용 자동차 좌석을 위해 또는 나이가 더 많은 유아를 위한 통합형 안전 자동차 좌석을 위해 처리될 수 있고, 이는 업그레이드로서 주문될 수 있다. 우측 1/3 부분을 위한 좌석 벨트(16)가 제공된다. 운전자 측에 있는 좌측 후방 좌석 위치를 위한 좌석 벨트(18)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점은, 어린이용 좌석이 성인용 좌석의 좌측 1/3 부분과 우측 1/3 부분 사이에서 실내 장식용품 및 구조물에 통합된다는 것이다. 어런이용 좌석의 좌석(26)은 주변 좌석(14) 아래에 만들어지고, 등받이(24)는 등받이(12) 안으로 끼워져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여러 명의 어린이들이 동시에 수송될 수 있도록 또는 차량 소유자가 우측 위치, 중앙 위치 또는 좌측 위치 중 어느 위치에서도 또는 심지어 여러 명의 어린이를 위한 차량의 제 3 열에도 어린이를 두는 것을 선호한다면, 후방 자동차 좌석을 가로질러 하나, 둘 또는 3개의 어린이용 안전 좌석이 있을 수 있다.
유아가 태어나면, 그 유아는 후방을 향하면서 좌삭의 기부에서 위치 1에 놓이게 되고, 머리 받침대(88)에서 그 유아의 상체는 약간 경사지고(30도) 또한 대응하는 하니스 및 무릎 벨트가 착용된다. 위치 1(도 6)에서 유아가 신생아(도 7)로부터 아장아장 걷는 아기(0세 내지 2세)까지 자라고 그런 다음에 4세의 어린이까지 됨에 따라, 그 유아는 머리 받침대(29)를 사용하게 된다. 위치 1의 좌석은 표준적인 권고 위치를 갖는 반쯤 드러 누워 있는 경사(30도, 40도 또는 45도)를 갖는다. 오목한 형태의 좌석의 경우, 등받이(24)의 하측 부분은 후향 위치에서 2 내지 4세의 어린이가 그의 발을 뻗을 수 있도록 완전히 경사진다. 나이 먹어 성장함에 따라, 좌석은 위치 2로 변경되고, 이 위치에서 어린이는 반쯤 드러 누운 경사(30도, 45도 및 60도)로 좌석(26)에 놓이고, 그의 등은 등받이(24)에 있게 된다. 어린이의 머리는 4, 6, 8 세 또는 이상의 경우 머리 받침대(28, 47, 57)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머리/발 받침대(88)(신생아-위치 1) 및 머리/발부 받침대(29) 위치 1 그리고 머리/발 받침대(28, 47 57)(위치 2)는 사용되지 않을 때 안쪽으로 실내 장식용품 안으로 이음새 없이 삽입되고, 패딩으로 덮히게 된다. 머리/발부 받침대(29)는 사용되지 않을 때 90도로 아래쪽에 있게 된다. 위치 1에 있는 신생아(0 내지 6개월)용 하니스, 6개월 내지 2세를 위한 하니스 및 2세 내지 4세를 위한 하니스 및 위치 2에 있는 2세 내지 4세를 위한 하니스, 4세 내지 6세를 위한 하니스 및 6세 내지 8세를 위한 하니스가 사용되지 않을 때 인서트와 패딩 아래에 이음새 없이 유지된다. 모든 하니스는 참조 번호 "22" 및 "25"로 나타나 있고, 걸쇠(46, 32)와 조절기(66)를 갖는다.
경사도를 갖는 후방 및 전방 위치(1, 2)를 제공하여 동일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이 어린이의 나이와 크기에 맞게 될 수 있고, 어린이는 하니스, 무릎 벨트, 따라서 경사지는 지정된 머리/발 받침대 및 상승되는 팔걸이와, 실내 장식용품으로부터 상승되는 인서트로 고정되고, 이들 모두는 통합되어 있고 안전 제어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좌석 및 머리/발 받침대의 상이한 경사도는 편안함과 유아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일련의 각도를 준다. 인서트와 패딩은 좌석을 만드는 설계의 일부분으로서 제공된다. 이것들은 팔걸이와 동일한 기술로 수동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대략 5 또는 10 인치 높이로 상승되고, 실내 장식용품의 일부분이다.
유아가 0세 내지 2세 또는 의무 중량 보다 작을 때(유아 위치 1), 그 유아는 운전자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유아 자동차 좌석의 하측 말단부에 배치될 것이다(유아 위치 1).
기울어진 머리/발 받침대는 자동 버튼(39) 및 팔걸이(23)에 배치되어 있는 버튼(37)과 함께 움직이는 좌석의 하측 부분의 적어도 1/3 부분과 함께 앞으로 움직여 3개의 더 높은 위치에서 위쪽으로 상승할 것이다(작은 유아에 대해서는 30도, 2세 유아에 대해서는 40도 및 4세 유아에 대해서는 45도). 이는 의무적인 규제에 따른 것이다. 어린이의 목과 머리를 아늑하게 잡는 머리/발 받침대는 라운딩되어 있고, 돌출 가장자리는 약 10 인치이고, 어린이의 목과 두개골을 보호하기 위해 부드러은 재료를 가지고 있다. 아기의 상체는 좌석 및 머리/발 받침대의 경사로 상승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을 따라 어린이의 양측에는 팔걸이인 측면 융기부가 있는데, 이 융기부는 유아의 몸을 보호해 주는 장벽 또는 분리 벽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높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 설계의 이들 팔걸이 또는 분리 측벽의 높이는 변할 수 있고, 대략 5 인치, 10 인치 및 15 인치로 상승될 수 있다. 좌석(26)과 등받이(24) 모두에 있는 팔걸이(37, 43)는 전자적으로 또는 비전자적으로 아래에서 이들 3개의 상이한 위치로 상승되지 않는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을 따라 좌석 벨트와 버클링 하니스가 있다. 어떤 것은 좌석의 양 말단부(3 점 하니스)에서 시작하고, 어떤 것은 측면(무릎 벨트)에서 시작한다. 이들 시스템의 하니스는 위치에 따라 유아를 향하여 각 걸쇠에 연결되는 카메라를 가지고 있다. 3 점 하니스는 각 위치의 말단로부터 분기되어 있다(유아 위치 1: 하니스(22), 걸쇠(46), (유아 위치 2: 하니스(25), 걸쇠(32)). 위치 1에 있는 신생아 및 위치 2에 있는 더 나이 많은 어린이를 위한 추가적인 하니스가 있고, 모두에 동일한 번호가 사용된다. 유아의 위치에 따라 그것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때, 대안적인 것은 인서트 및 패딩으로 덮히게 된다. 어린이에 대한 더 작은 장벽을 제공하는 인서트는 수동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팔걸이로서 좌석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무릎 벨트(27)가 유아 위치 1 및 2의 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운전자의 반대편에 있는 유아 위치 1은, 자동차 충돌 또는 사고의 경우에 0세 내지 2세의 또는 의무 중량 미만의 유아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법규를 준수하여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설계되어 있다. 어린이는 4세까지는 후향 위치에 있을 것이 권고된다. 이는 본 기술에서 행해질 수 있다. 오목한 형태의 좌석의 경우, 등받이 좌석(24)의 하측 부분이 경사 버튼(41)으로 완전히 기울어지면, 2세 내지 4세의 어린이는 다리를 뻗을 수 있다.
2개의 안전 하니스(22)(위치 1) 및 하니스(25)(위치 2)는 유아가 어느 한 위치에 앉아 있을 때 통합형 안전 좌석에 있는 유아를 양 말단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추가로, 상이한 크기와 나이의 어린이를 위한 동일한 종류의 다른 하니스가 있으며, 이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참조된다. 하니스는 계기판에 나타나는 위치에 앉아 있을 때 유아의 얼굴과 몸을 보기 위해 카메라를 가지고 있다(모든 카메라에 대해 참조 번호 "35"가 지정되어 있음). 이는 충돌시 부상을 피하고 또한 유아가 운전 동안에 차량에 대해 원치 않게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어린이를 적절히 착석하도록 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걸쇠(46)(위치 1) 및 걸쇠(32)(위치 2)는 하니스(22)(위치 1) 및 하니스(25)(위치 2) 규제 시스템에 쉽게 또한 효과적으로 출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다른 걸쇠가 추가적인 하니스에 존재한다.
전자적 안전 요소, 디지털 안전 요소 또는 다른 안전 요소의 일부분으로서, 자동차가 움직이고 있을 때 유아의 버클이 해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또한 유아가 차량에 혼자 방치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저울(30)이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있는 안전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좌석에 내부적으로 공급되어 있다. 미리 정해진 중량이 저울(30)에 의해 검출되면(이 저울은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을 따라 있는 센서를 가짐), 모니터링 시스템은 경계 태세에 있고 이들 위험을 피하기 위해 추가 신호를 기다린다. 저울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중량은 유아의 중량에 그 유아가 가질 수 있는 물품의 중량을 합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수 파운드 보다 크다. 조절시, 인간 부상을 촉발하고 그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것 보다, 더 가벼운 측에서 오류가 생기게 하고 유아가 차량 내에 부적절하게 방치되어 있다는 거짓 알림을 감수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카메라(모든 카메라에 대해 참조 번호 "35"가 지정되어 있음)는 팔걸이 상에 또는 그 근처에 또는 좌석의 양 말단부의 머리 받침대의 표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래서 후방으로 향하거나 전방으로 향할 때 어린이의 얼굴을 볼 수 있다. 카메라(35)는 유아가 향하는 두 방향 중 어떤 방향이라도 커버할 수 있도록 걸쇠(46)와 걸쇠(32) 및 다른 추가적인 걸쇠에 통합될 수 있다. 카메라의 화상은 운전자가 볼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차량 계기판의 스크린 상에 나타나게 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시트의 등받이(24) 및 좌석(26)에 있는 상이한 경사 특징을 제공한다. 이들 번호는 보통의 자동차 좌석(24)에 앉아 있는 사람의 등을 위한 영역(등받이라고도 함), 및 보통의 자동차 좌석에 앉아 있을 때 사람의 하체를 위한 영역(벤치라고도 함)을 말하는 것이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좌석에서, 24 및 26은 유아의 위치(위치 1 또는 위치 2)에 따라 대안적으로 등 위치 및 하체 위치로의 역할을 한다.
버튼(37)은 팔걸이(2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될 것이고, 26의 경사를 제어할 것이다(26은 보통의 자동차 좌석에서 사람이 앉아 있는 영역 또는 벤치임). 등받이(24)의 경우, 버튼(41)은 팔걸이(4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될 것이고, 등받이(24)의 하측 부분의 경사를 제어할 것이며, 또한 버튼(31)은 팔걸이(4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될 것이고, 24의 상단부의 경사를 제어할 것이다(24는 보통의 자동차 좌석의 사람의 등 영역임). 이렇게 해서 벤치는 하나의 경사 버튼을 가지며, 등받이는 2개의 경사 버튼을 갖는다. 이 버튼(31)은, 위치 2에 앉아 있을 때 성장한 유아의 상체를 위한 더 많은 각도를 제공하기 위해 좌석의 상측 부분에 추가의 경사 위치를 줄 것이다. 버튼(41)은 위치 1에 앉아 있는 2세 또는 4세의 어린이의 발을 위한 낮은 경사도를 제공할 것이다. 버튼(37)(좌석(26)), 및 버튼(41, 31)(좌석(24))은 팔걸이의 중간 말단부와 상측 말단부에 있고(유아의 옆에 있는 한 팔걸이 또는 양 팔걸이에서), 이는 전자적으로 또는 다른 기술적인 방법으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경사를 제어한다. 도 1의 예에서, 버튼(37)은 후방 벤치(26) 좌석의 전방 가장자리에 있지만, 원거리를 포함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한 어떤 지점에도 위치될 수 있다. 버튼(31, 41, 37)은 로커 스위치일 수 있다(많은 동력식 윈도우에 사용되는 종류와 유사함). 모든 이들 버튼은 예컨대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기움 가능한 의자 또는 매트리스에 있는 것과 같은 경사 기구를 기존의 기술로 움직이기 위해 힌지(33)와 같은 무이음새 내부 힌지를 가질 것이고, 이 힌지는 보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모든 경사 제어 버튼에 대응하는 내부 힌지 또는 장치가 있을 것이며, 이 힌지 또는 장치는, 버튼이 수동이든, 전자식이든 디지털 방식 또는 다른 방식이든 어떤 기술로도 눌려지거나 조작되면 그에 따라 움직일 것이다. 버튼에 반응하는 내부 경사 기구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모든 부분에서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많은 상이한 각도를 제공하여, 위치 1에 있는 유아가 0개월에서 6개월로, 6개월에서 2세로, 2세에서 4세로 그리고 위치 2에서는 2세에서 4세로, 4세에서 6세로, 그리고 6세에서 8세로 성장함에 따라, 위치 1 및 위치 2에 있는 유아의 모든 요구 사항에 대한 적응성 및 편안함을 제공할 것이다(도 8). 이들 좌석 경사는 머리/발 받침대 경사 및 팔걸이 상승과 함께 원격 제어로도 조절될 수 있다. 머리/발 받침대(보통의 자동차 좌석의 하측 위치인 벤치(26)에서 유아의 머리가 위치 1에 있을 때 머리/발 받침대(29))의 경사를 제어하기 위해, 머리/발 받침대는 버튼(39)을 가질 것이다. 이 머리/발 받침대(29)는 상이한 각도(30, 40, 45도) 또는 (35, 45, 50)와 같은 상이한 정도로 움직여, 사용되지 않을 때를 위한 하향 90도를 포함하여, 머리에 더 많은 편안함을 제공한다. 이는 신생 아기의 머리 받침대(88)를 위한 머리/발 받침대 제어 버튼이기도 하다.
3개의 머리/발 받침대(28, 47, 57)의 경사를 위해, 벤치(24)에서 유아의 머리가 위치 2에 있을 때(이는 배치의 위치 1 또는 2에 따라 성장하는 유아의 머리 또는 발을 위한 상이한 수용부로서 역할함), 버튼(8)이 머리/발 받침대(28)에 대한 경사를 제어할 것이다. 버튼(17)은 머리/발 받침대(47)의 경사를 제어할 것이다. 버튼(7)은 머리/발 받침대(57)의 경사를 제어할 것이다. 이는 경사 특징을 위해 할당된 머리/발 받침대 및 버튼의 수에 있어 변할 수 있다. 등받이 좌석(26)의 말단부에서 머리/발 받침대(57)는 더 많은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좌석의 상측 부분과 동일한 경사를 가질 것이다(예컨대, 30, 45, 또는 60도, 또는 (25, 40, 55)와 같은 다른 각도). 내부 머리-발 받침대(28, 47, 88)는 실내 장식용품 안으로 삽입되고 버튼(8, 17) 및 머리 받침대용 버튼(88)으로 상승되거나 또는 사용시에는 외측으로, 그리고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내측으로 수동으로 또는 이들 버튼으로 전자적으로 당기고 밀리게 된다. 버튼으로 제어되는 등받이 또는 벤치의 경사는, 유아 위치 1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30, 40 또는 45도의 기울어진 벤치 위치를 제공할 것이고, 유아 위치 2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40, 60 또는 80도의 기울어진 등받이 위치를 제공할 것이다.
머리/발 받침대의 경사는 유아 위치 1에 대한 35, 45 또는 50도의 표준적인 지시 경사 위치 및 유아 위치 2에 대해서는 동일한 경사를 제공한다. 이들 대안적인 경사는 유아의 해부학적 신체 구조에 맞게 조절된다. 이렇게 해서, 머리 받침대(29)는 발 받침대(28, 47, 57) 및 그의 경사와 함께 0 내지 4세의 유아를 수용한다. 머리 받침대(88)는 신생아를 위해 예비된다.
동시에, 머리 받침대(28, 47, 57)는 발 받침대(29) 및 그의 경사와 함께 0 내지 4세, 4 내지 6세 및 6 내지 8세의 유아를 수용한다. 이들 머리-발 받침대는 벤치 또는 등받이와는 다른 자체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경사 기구는 보이는 버튼, 노브knob), 힌지, 전자 기기 또는 디지털 기기 또는 다른 기술을 가질 수 있고, 시판되고 있는 경사 매트리스, 항공기 좌석, 마사지 의자 등과 같이 완전히 이음새가 없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는 전방 좌석에서 제어하기 위해 운전자 또는 돌보는 사람의 수중에 있는 별도의 제어 장치일 수 있다. 팔걸이를 포함하여, 좌석, 등받이 및 머리/발 받침대의 이들 모든 경사 특징은 원격 제어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후방으로 향하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좌석의 일 예이다(유아 위치 1). 많은 경우, 특히, 더 작은 어린이 및 유아에 대해서는, 후방으로 향하는 좌석이 더 안전하고 의무적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있어 유사하게, 동일한 좌석은 이음새가 없고 버튼으로 자동적으로 상방 위치로 상승된다. 벤치(26)용 버튼(37) 및 등받이(24)용 버튼(41, 31)이 팔걸이(23, 43)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이는 신생아를 위한 머리/발 받침대(29, 28, 47, 57, 88)를 포함한다. 버튼(39, 7)을 움직여, 머리/발 받침대(29, 57)는 좌석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다른 각도로 상승된다. 신생아를 위한 내부 머리-발 받침대(29, 47, 88)는 실내 장식용품 안에 삽입되고 버튼(39, 17) 및 88을 위한 버튼으로 상승된다. 측면 보호가 양측의 팔걸이(23, 43)에 의해 제공된다. 양 말단부에는 버클링 하니스 시스템(22, 25)이 있고, 또한 양측에는 모두를 위한 무릎 벨트(27)가 있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는 모든 세트의 3 점 하니스를 위한 무릎 벨트가 있다. 다른 크기와 나이의 어린이를 위한 동일한 종류의 추가적인 하니스 및 무릎 벨트가 있을 수 있다. 위치 1은 자동차 충돌의 경우에 0 내지 2세의 또는 정부 규제로 정해진 의무 중량 미만의 유아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법규를 준수하여 운전자의 반대편에 있다. 오목한 형태의 좌석의 경우, 후향 위치에서, 2 내지 4세의 어린이에 대해 등받이(24)의 하측 부분이 버튼(41)으로 완전히 경사져, 발을 뻗을 수 있다. 유아가 (대략) 8세까지의 신생아이므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모든 부품 및 버튼은 함께 그리고/또는 대안적으로 작동하여, 차량에 타서 이동하는 유아에 대한 요건에 맞게 조절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서, 좌석을 경사지게 하는 버튼은 머리/발 받침대를 경사지게 하는 버튼과 다를 수 있다. 그 이유는, 유아의 절대적인 안전과 편안함, 적절한 위치 설정, 및 요건(예컨대, 잠자기, 병 음료 마시기, 또는 유아의 상체를 반쯤 드러 누운 상태로 유지시키기, 법규 준수)을 따르기 위한 많은 추가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어린이가 통합형 안전 좌석에 놓여 있는 이 인간 공학적인 기술은 당업계에서 신규한 개념이다.
머리/발 받침대(29, 57)를 언급하는 경우, 말단부에 있는 머리/발 받침대는 좌석의 벤치 및 등받이의 연장부이고 그 좌석을 더 길게 해주는데, 이는 그들 받침대는 유아 위치 1 및 2 모두에 있는 유아에 맞는 추가적인 공간으로서 역할하는 돌출 구조임을 의미한다. 이들 두 머리/발 받침대 각각은 길이가 대략 10 인치인데, 이는 유아의 머리와 목 또는 따라서 발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머리/발 받침대는 라운딩된 형상 및 부드러운 텍스쳐 내면을 가지며, 돌출 보호부는 대략 7 인치 이상이다.
유아 위치 1에서 전방 충격시, 어린이는 균일하게 벤치(26) 안으로 가압되어 충돌의 부상이 감소된다. 장치의 다른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벤치(26)가 주변 벤치(36)의 표면 보다 약간 아래에 있으면, 어느 정도의 측면 충격 보호가 또한 가능하다. 등받이(24)와 벤치(26)의 형상은 약간 오목하여, 추가적인 측면 충격 보호를 위해 어린이 신체의 윤곽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좌석(26)과 등받이(24)에 통합되어 있는 패딩이 충격에 대한 생존 가능성 성능을 더 향상시켜 준다. 안전 좌석의 상방 위치와 경사 위치(즉, 전향 상태와 후향 상태) 사이의 천이에 대한 경사를 제공하기 위해 등받이(24)와 좌석(26)의 형상은 팔걸이에 또는 멀리 위치하는 모든 자동 버튼(37, 41, 31)으로 조절될 수 있다. 추가로, 머리/발 받침대는 다른 경사도를 독립적으로 제공한다. 상승하는 팔걸이는 측면 충격에 대한 보호를 주고, 실내 장식용품으로 부터 상승하는 인서트는 어린이의 신체를 제자리에 유지시켜 준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어린이의 양측에 있는 유아 위치 1에 대한 팔걸이(23), 및 유아의 양측에 있는 유아 위치 2에 대한 팔걸이(43)를 갖는다. 이들 팔걸이 모두는 통합형 좌석을 따른 측면 보호를 위해 위치 1 및 2에서 함께 활성화된다. 특히 측면 충격시, 팔걸이(23, 43)의 높이는 (대략) 5, 10 및 15 인치의 높이로 상승되고, 유아를 안전 좌석의 측면 한계 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보호와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다. 좌석 및 등받이의 양측에 있는 팔걸이는 아래에서 전자적으로 상이한 높이까지 상승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도 9). 팔걸이는 각 측에서 병을 잡기 위한 오리피스를 가질 수 있다. 자동차의 바닥에 수직인,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하단부에 있는 수직 방향 공간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디퍼(dipper) 또는 담요 및 다른 작은 물품을 위한 개방된 또는 폐쇄된 격실을 가질 수 있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서, 등받이(24)와 좌석(26)은 좌석(36)에 이음새 없이 통합되어 있어, 윤곽, 실내 장식용품 및 텍스쳐가 서로 일치한다. 재료는 가죽이나 직물일 수 있고, 자동차의 다른 좌석의 설계를 따르며, 완전히 통합되어 있다. 이리하여, 구조를 자동차와 함께 강화시켜, 안전 좌석은 심미감과 안전 모두를 위해 좌석(36)의 구조와 단일화되어 있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그들 사이에 있는 또는 그 옆에 있는 다른 좌석과는 별개의 것일 수 있다. 이는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인데, 종래 기술에서는, 부착점에 연결되는 좌석 벨트 또는 다른 이용 가능한 스트랩 및 의무적인 랫치 또는 샤시 또는 기부 및 정상부용 밧줄로 외부의 또는 독립적인 분리된 유아용 자동차 좌석을 후방 좌석 상에 묶게 된다.
통합형 안전 자동차 좌석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모든 다른 적응 가능한 부분에 대해, 다양한 나이의 성장하는 어린이의 크기에 맞추기 위해, 3점 하니스(22) 및 3점 하니스(25)가 어떤 종류의 사고에서도 어린이를 위한 추가적인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무릎 벨트(27)로 보강된다. 이 예에서, 3점 하니스(22)와 하니스(25)가 나타나 있다. 동일한 종류의 다른 하니스(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짐)가 고려될 수 있다. 어린이 유지 시스템 및 방법의 다른 묶기 시스템 또는 이용 가능한 종류가 법규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35)가 또한 선택적으로 제공되고, 유아가 안전 좌석에 고정되는 등받이(24)를 향하게 된다. 카메라(35)는 대안적으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말단부에서 머리/발 받침대(29, 57)에 위치되거나 또는 좌석에 있는 어린이를 촬영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전향 좌석에서, 카메라(35)는 어린이를 향하여 머리/발 받침대의 정상부에 있을 수 있다. 다른 각도들을 보여주는 또는 전향 또는 후향 좌석 상태를 직접 보여주기 위한 여러 개의 카메라(35)가 있을 수 있다. 관련된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각도를 보여 줄 수 있고 또는 카메라의 다른 관점에서 순환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카메라는 후향 상태에 있는 어린이를 촬영하기 위해 앞쪽으로 향하는 후방 벤치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앞쪽으로 향하는 어린이의 얼굴을 보여 주기위해 어린이 죄석 또는 뒤로 향하는 전방 좌석의 등받이에 있을 수 있다. 카메라는 양 단부에 있는 걸쇠(46, 32) 또는 버클과 같은 체결 기구에 통합되어, 그에 묶여 있는 유아의 확대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버클이 걸려 있음을 눈으로 확인시켜 줄 수 있다. 카메라는 좌석의 모든 상태에서 또는 어떤 나이와 크기의 유아에 대해서도 어린이와 좌석의 모든 양태를 보여줄 수 있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안전 특징에 관한 도 3에서, 이는 모두 함께 계기판에 나타날 것이며, 계기판의 일 예의 사시도가 특히 후방 보기 거울(48), 디스플레이(50), 스크린(52), 라디오(54), 조향 휠(56), 스피커(58) 및 앞 유리(60)를 포함하도록 나타나 있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모든 안전 특징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운전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제어부 및 도구와 결합되어 있다. 이들 모두는 운전자가 유아의 최고의 안전을 포함하는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하도록 계기판에 편리하게 나타나 있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안전 시스템은,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고 순차적으로 점진적으로 함께 작동하는 일련의 검출기에 기반한다. 이리하여, 운전자 및/또는 돌보는 사람은 유아의 안전에 국한된 모든 가능한 상태에서 필요시에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계기판에 나타나 있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안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스크린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 보기 거울(50)
스크린, 걸쇠 또는 다른 주변 영역에 있는 카메라(52)
전자적인, 디지털식의, 자동적인 또는 다른 내부 신호의 디스플레이(49)
저울(30)로 검출되는 유아의 중량 - 좌석 내 유아(51)
버클링 시스템 - 하니스 및 걸쇠 버클링됨(53)
운전자를 위해 수동으로 디스플이에 있는 버클링 해제 버튼. 버클링 해제(59)
경보 및 알림: 규칙적이고 간헐적인 소리 및 빛(51, 53, 55)
수동 제어부: 자동차내에 남아 있는 유아 버튼 - 자동차 내 유아(55)
계기판에 연결되어 있는 수동 키이 장치 - 자동차 내 유아(61).
운전자가 유아를 확인하기 위해 주위를 돌 필요 없이 안전 좌석 내의 어린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추가적인 특징인 후방 보기 거울(50)은 카메라의 스크린의 아래에서 계기판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대시 교육 오락 프로그램 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일부분인 스크린(52)은 모든 카메라로 얻어진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메라로 찍힌 이미지는 선택적으로 전방 좌석에서 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합형 안전 자동차 좌석을 갖는 차량에 한명 이상의 유아가 있는 경우, 카메라 1, 카메라 2 및 카메라 3를 판독할 것이다. 운전자가 안전하게 백업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백업 카메라가 차량 뒤의 영역을 보여주는 방식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52)는 필요에 따라 내부 카메라를 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린이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때는, 디스플레이(52)는 라디오 또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다른 통상적인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스프린은 언급된 모든 이들 기능을 한번에 보여주기 위해 분할될 수 있다.
내부에 또는 통합형 유아용 좌석을 따라 위치되는 저울(30)은 프로세서에 데이타를 제공하여, 좌석(26 또는 24)에 어린이가 있는지 또는 좌석(26 또는 24)이 비어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컨대, 옷을 입고 있는 유아는 중량이 약 3 kg 이상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서와 저울(30)의 조합은, 약 2 kg 이상이 저울(30)에서 검출되면, 좌석이 점유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이리하여, 더 가벼운 담요 또는 어떤 다른 물품이 좌석(26)에 있는 경우에 점유 판단을 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어린이 안전 위험에 대한 불행히도 빈번한 기여 인자는, 유아를 버클링되지 않은 상태로 두는 것에 관한 것인데, 이는 차량에 배치되는 별도의 유닛인 시판 중인 기존의 자동차 좌석에 있는 분리된 좌석 그 자체 및 유아를 잡는 버클링 시스템 모두의 체결 시스템으로 고정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유아가 자동차 좌석에 대해 버클링 해제되어 있는 경우, 차량이 갑자기 정지하거나 속도를 내거나 차량 충돌시 및 사고시에 유아는 부상을 입었다.
종종 유아는 오랫 동안 자동차 내에 홀로 있으면서 과도한 열과 추위에 노출되면 죽을 수 있다. 이러한 비극을 피하기 위한 효과적인 보조 수단이 유아가 있을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모든 차량에 포함될 수 있다. 유아가 버클링 해제된 상태로 있는 경우 및 유아가 차량 안에 남아 있는 경우 모두는, 자동차를 타고 이동함으로써 작은 유아가 관여하는 많은 수의 활동이 있는 일상에서 매우 흔한 것이며, 운전자는 자동차에 접근하거나 자동차에서 나갈 때 또는 심지어 운전 중에 휴대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주의가 많이 산란하게 된다. 어린 또는 말을 못하는 유아에 특히 적합하게 된 본 설계는 바람직하게, 유아가 버클링 해제되어 있고 또한 차량에 남아 있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노출 또는 다른 부상을 피하기 위해 계기판에 나타나 있는 내부 통합형 안전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자동 안전 조치를 포함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는, 어린이를 하니스(25, 22) 및 다른 것으로 자동차에 단단히 묶는 내재적인 안전에 추가로, 걸쇠의 체결이 버클링됨(53)의 사인으로 제어부에 등록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전자 보호 장치가 시스템에 포함될 것이다.
본 기술은 지동차 자체의 일부분인 유아용 좌석에 내부적으로 연결되는 특징으로서 계기판에 나타나 있는 버클링 안전 특징 및 모든 다른 안전 특징을 나타내고, 그 유아용 좌석은 차량 제조시에 내장되고, 분리된 유아용 자동차 좌석에 임의의 기술적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외부 특징 또는 장치로서 적합하게 되거나 포함되는 다른 가공품을 갖는 분리된 자동차 좌석이 아니다.
유아가 차량 내부에 남아 있는 경우를 커버하기 위해, 통합형 안전 좌석 또는 차량 내부의 다른 곳, 다른 좌석 및 스탠딩 또는 누군가의 무릎에 있고 그리고 나서 잊혀진다면, 계기판에서의 제어로 자동차내 유아(55)로 나타내질 것이다. 유아 보호 시스템은 차량을 작동하는 중에 운전자의 주의를 흐트리지 않는 특징 및 기능을 포함한다.
버클링됨(53)의 사인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하니스(22)의 일부분인 걸쇠(46), 및 하니스(25)의 일부분인 걸쇠(32)는, 걸쇠(46)와 걸쇠(32) 등이 닫혀 있어 어린이가 좌석에 묶여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열려 있거나 닫혀 있는 걸쇠에 대해 센서가 데이타를 프로세서에 보낼 수 있다. 이는 조명되거나 그렇지 않는 빛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버클링됨(53)으로 나타날 것이고, 저울에 응답하는 이전의 버튼 좌석내 유아(51)가 유아가 실제로 앉아 있고 버클링의 행위가 취해질 필요가 없는 것을 결정한다면 간헐적인 빛을 가질 것이다.
자동차가 작동되어 주행 중이면, 프로세서는 유아가 동승된 차량 내에서 버클링된 상태로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센서는 엔진 제어 시스템, 속도계, 변속기 또는 다른 자동차 데이타 소스에 부착되어, 정지되어 있거나 엔진이 꺼져 있는 경우 자동차에 동승자가 있는지를 합리적인 확실도로 결정하고 또한 유아가 동행을 받고 있는지 또는 홀로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자동차내 유아(55)).
걸쇠(46, 32)에 있거나,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 내의 임의의 곳에 또는 차량 내부의 다른 곳에 있는 카메라(35)는 시스템에서 유아가 자동차 내에 원치 않게 남아 있는 상황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걸쇠에 연결되어 있거나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 내의 다른 곳 또는 차량의 다른 부분에 있는 모든 카메라(35)는 프로세서와 함께 유아의 움직임, 열, 얼굴 확인 또는 다른 감지 가능한 정보를 검출하여, 어린이가 좌석(24 또는 26)을 점유하고 있다는 합리적인 확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센서는 스크린(52)에 나타내질 것이다.
개별적인 저울(30), 카메라(35) 또는 걸쇠(32, 46) 센서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유아가 통합형 유아용 안전 좌석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차량이 움직이고 있고 그래서 필연적으로 유아에 대한 동승자(운전자 또는 돌보는 사람)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차량의 정보와 함께 사용되어, 유아는 그에 대한 동승자가 없는 위험에 있고 또한 갑작스런 정지, 충돌 또는 사고시에 다른 위험에 처해질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알림이 발생되어, 유아가 있어야 하는 유아용 좌석 또는 차량 내부의 다른 영역을 검사하여 정말 위험스런 상황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결정해야 한다고 운전자 또는 돌보는 사람에게 암시해 준다.
알림은 유아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누군가에게 신호를 주는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스피커(58) 및 라디오(54)에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소리 알림 또는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시스템은 톤(tone), 부저, 소음 또는 "자동차 좌석을 확인하라" 또는 "유아가 위험에 처할 수 있음"의 사전 녹음된 진술 또는 자장가와 같은 멜로디를 스피커를 통해 방송할 수 있다.
알림은 자동차에 있는 라이트 또는 헤드라이트로서 나타날 수 있고, 특정한 버튼 또는 신호로 디스플레이(49)에서 간헐적인 빛을 깜빡이거나, 경적을 울리거나 문자를 보내거나 또는 자동차가 (전자 키이로) 원격으로 잠궈질 수 있는 능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또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수단 및 종류의 알림과 조합되는 다른 통지 수단일 수 있다.
도 4는 설계의 계기판에 나타나는 안전 특징의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가능한 프로그램된 행위 또는 계시판 디스플레이에 있는, 순차적으로 함께 작동하는 모든 안전 요소를 포함하는 기술 중의 하나이다.
운전자 또는 돌보는 사람은 유아를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놓는다. 운전자 또는 돌보는 사람은 그때 그 유아를 버클링해야 한다(무릎 벨트(27)가 보충되는 3점 하니스(22, 25) 및 기타). 운전자는 운전석에 앉고 자동차의 시동을 건다. 동시에, 운전자는 자동차내 유아(55) 버튼을 손으로 누른다. 이렇게 손으로 제어되는 버튼(55)의 빛이 조명된다. 좌석(26 및/또는 24)에 유아가 있다는 것을 저울(30)이 결정하면, 좌석내 유아(51)의 신호의 빛이 조명된다. 좌석내 유아(51)의 특징은 스크린(52)에 있는 카메라와 관련하여 활성화될 수 있고, 센서로 얻어진 이미지에 반응한다. 좌석내 유아(51)의 빛이 조명되면, 버클링됨(53)의 사인에 지시를 내부적으로 전달하여, 간헐적으로 조명되게 된다. 운전자 또는 돌보는 사람이 버클링 시스템을 체결했기 때문에, 버클링됨(53)의 제 2 사인의 빛이 조명된다. 운전자 또는 돌보는 사람이 유아를 버클링하지 않은 경우에는, 버클링됨(53)의 사인이 간헐적인 빛을 가질 것이며, 이때, 자장가, 음성, 알람 등과 같은 알림 소리가 동반된다. 유아가 버클링되어 있으면, 버클링된(53)의 사인이 조명된다. 자장가 또는 다른 소리는 비활성화된다. 좌석내 유아(51)의 사인은 빛이 켜진 상태로 유지된다. 차량이 꺼지면, 버클링됨(53)의 사인이 간헐적으로 조명된다. 유아에 대한 버클링을 해제하라고 상기시켜 주기 위해 자장가 또는 다른 소리가 활성화된다. 좌석내 유아(51)의 사인이 조명된다. 자동차내 유아는 여전히 눌려 빛이 나고 있다. 유아에 대한 버클링이 해제될 때, 이는 디스플레이에 있는 버클링 해제 버튼(59)을 손으로 눌러 전자적으로 행해질 수 있고, 그 버튼은 디스플레이에 있는 또는 좌석의 버클링 시스템에 직접 있는 버튼을 누르는 행위와 관련된 내부 기구에 의해 전자적으로 걸쇠(46, 32)를 열게 될 것이다. 어느 방식으로든 버클링을 해제하면, 버클링됨(53)의 사인은 간헐적이지 않고 조명되지 않는다. 좌석내 유아(51)의 사인이 빛나게 된다. 자동차내 유아(55)의 사인은 여전히 눌린 상태로 있어 빛나게 된다. 좌석내 유아(51) 및 자동차내 유아(55)을 상기시켜 주기 위해 자장가 등의 소리가 활성화된다. 유아가 돌보는 사람에 의해 좌석에서 제거되면, 좌석내 유아(51)의 사인은 조명되지 않는다. 자동차내 유아(55)의 버튼은 눌린 상태로 유지되어 빛나게 된다. 차량 밖으로 유아를 꺼내라는 것을 상기시켜 주기 위해 자장가 등의 소리가 활성화된다. 운전자가 그의 좌석을 막 떠나려고 할 때, 그리고 그 운전자가 유아를 좌석에서 제거하려는 사람인 경우, 일단 유아에 대한 버클링이 전자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해제되면, 유아가 자동 내에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기 위해 자장가 또는 다른 소리가 활성화된다. 좌석내 유아(51)는 조명되지 않는다. 자동차내 유아(55)는 알람 소리와 함께 간헐적으로 나타난다. 운전자는 그의 자동차 키이에서 원격 제어부를 가질 것이며, 자동차내 유아(55)를 누루면, 자장가 등의 소리가 비활성화되어 차량을 잠글 수 있다.
도 5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포함될 수 있는 몇몇 선택적인 요소를 나타내는데, 이는 벤치(62), 하니스(64), 조절기(66), 등받이(68), 좌석(70), 좌석(72), 인서트(74), 인서트(76), 패딩(78), 등받이(80), 좌석(82), 신생아용 머리 받침대(88), 머리/발 받침대(29), 머리/발 받침대(28), 좌석용 경사 제어 버튼(37), 등받이용 경사 제어 버튼(41), 머리/발 받침대(29)용 경사 제어 버튼(39), 머리/발 받침대(28)용 경사 제어 버튼(31), 힌지(33), 하니스(22), 걸쇠(46), 하니스(25), 걸쇠(32), 무릎 벨트(27)를 포함한다.
힌지(모든 힌지에 대해 참조 번호 "33"이 지정되어 있음)는 측면에서 어린이용 좌석을 양분하여 좌석의 경사 또는 기울기를 조절한다. 힌지는 이음새가 없고내부에 있고 또한 보이지 않는다. 경사는 부드럽고 해부학적이다. 머리 받침대(29)와 함께 좌석(26)의 하단부를 경사지게 들어 올리면, 좌석은 후방으로 향하게 된다(유아 위치 1). 전방으로 향하는 유아 위치(2)를 위해, 머리 받침대(29)를 하강시키면 그 머리 받침대(29)는 본질적으로 기능적으로 발 받침대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머리 받침대는, 경사 버튼을 통해 아래로 구부려지면, 사용되지 않을 때 수직 아래로 90도 구부려지고, 보이지 않으며 공간을 차지 않는다. 머리 받침대(57)에서 끝나는 등받이(24)는 전향 위치로서 기울어지도록 내부 힌지를 가질 수 있고, 머리 받침대(28, 47, 57)는 어린이의 크기에 따라 대안적인 머리 받침대로서 역할한다. 머리/발 받침대(29)가 유아 위치 1에서 사용될 때, 유아의 머리와 목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여,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편안하게 앉기에 충분히 기다란 연장을 주며, 유아의 다리와 발은 등받이(24)의 하측 영역까지 편안하게 뻗을 수 있고 따라서 발 받침대로서 머리/발 받침대(28)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오목한 형태의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경우, 후향 위치에서 등받이(24)의 하측 부분은 2 내지 4세의 어린이가 발을 뻗을 수 있도록 버튼(41)으로 충분히 경사지며, 이는 어린이가 기관에서 권고하는 바와 같이 더 긴 시간 동안 충돌시 부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해준다.
다양한 위치에 있는 조절기(66)는 성장하는 유아를 수용하기 위해 하니스(64)의 정상 지점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이때, 어린이를 좌석(70)에서 재위치시키는 경향이 있는 인서트(74 또는 76)가 상승된다. 어린이에게 완벽하게 맞는 다른 하니스가 제공되어, 표준에 의해 권고되는 바와 같이 어린이의 어깨를 이 어깨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묶을 수 있다.
좌석(70)이 벤치(62)와 좌석(72)의 형태로 통합되어 있는 경우, 좌석(26)과 등받이(24)는 주변 표면의 표면 아래에 있을 수 있다. 패딩이나 인서트가 없다면, 이는 아직 통상적인 성인용 좌석에 고정될 준비가 안 된 더 큰 유아에 맞게 치수 결정될 수 있다.
인서트(74)는 좌석(70)과 등받이(68)에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서트는 인서트(74) 내부에 있는 인서트(76)와 함께 사용되어, 아직 더 작은 유아를 위한 안전 좌석 내부의 크기를 더 줄일 수 있다. 인서트(74, 76)는 성장하는 유아를 수용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그래서 안전 좌석은 유아가 통상적으로 자동차 및 경량 트럭에 있는 보통의 성인용 하니스 및 좌석 벨트를 사용할 수 있을 때를 통해 수년의 유아 성장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인서트(74)는 등받이(68)와 좌석(70)에 각각 안착되는 등받이(80)와 좌석(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간을 채워 일반적으로 약 2세 미만의 더 작은 유아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패딩(78)을 인서트(74) 주위에 공급할 수 있다. 머리/발 받침대는 전향 상태를 위한 단부 또는 후향 상태를 위한 단부에서 인서트(74) 안에 통합될 수 있다. 머리/발 받침대는 사용되지 않을 때 통합형 좌석의 실내 장식용품이 표면 안으로 삽입되고 패딩으로 덮히게 된다.
인서트(76)는 자동차 좌석 벤치(62)와 좌석(72)의 등받이(68)와 좌석(70) 내부에 포개진다. 선택적으로, 인서트(76)는 중간 인서트(74) 없이 좌석(70)과 등받이(68) 상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등받이(86) 및 좌석(88)은 패딩(84)으로 둘러싸여, 어린이를 보호하고 완충시켜 준다. 6개월, 6개월 내지 1세, 1세 내지 2세, 2세 내지 4세, 4세 내지 6세, 6세 내지 8세, 및 8세 이상의 어린이를 위한 패딩 세트가 있고, 모든 패딩은 서로에 포함된다. 인서트는 수동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팔걸이로서 좌석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팔걸이(23, 43)는 좌석의 주변부를 둘러싸 모든 방향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고, 팔걸이는 어린이를 보호해주는 높이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패딩(78) 및 패딩(84)이 인서트 사이에 배치되어, 사고의 경우에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든 쿠션, 패딩 및 보호기는 실내 장식용품과 동일한 직물 또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 실내 장식용품에 속하고 분리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그것들은 가죽, 또는 직물 또는 다른 재료일 수 있고, 다자인의 라인을 따르면서 항상 자동차 좌석의 나머지 처럼 보인다.
도 6은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상방 배면도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0 내지 2세이거나 의무 중량 미만인 유아의 머리 또한 2 내지 4세인 유아의 머리는 운전자의 반대편으로 향하게 된다(위치 1). 유아의 머리는 머리/발 받침대(29)에 놓이게 된다. 벤치(26), 등받이(24), 머리/발 받침대(57), 머리/발 받침대(47), 머리/발 받침대(28), 팔걸이(23), 팔걸이(43), 하니스(22), 걸쇠(46), 하니스(25), 걸쇠(32), 무릎 받침대(27), 및 버튼(39)이 있다.
도 7은 (대략) 0 내지 6개월의 신생 유아에 대한 상방 배면도를 나타낸다. 신생 유아는 유아 위치 1에서 좌석(26)에 놓인다. 유아의 머리는 좌석(26), 머리/발 받침대(88) 또는 머리/발 받침대(29)에 있을 수 있다. 좌석(26)의 말단부 영역을 덮는 캐노피(67)가 있고, 이는 팔걸이(23)의 측면에 부착된다. 캐노피의 정상부는 머리/발 받침대(29)의 기부에 부착된다. 캐노피에 의해, 신생 유아는 소음과 빛으로부터 보호를 받으면서 편안하게 잠잘 수 있다. 캐노피는 실내 장식용품의 나머지와 동일한 직물로 만들어지고, 아코디언 형태로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캐노피는 투명하여 이를 통해 아기를 볼 수 있다. 캐노피는 분리될 수 있다. 신생아의 상체를 위한 경사각은 30도이다. 신생 유아를 수용하는 공간을 보호하고 감소시키는 신생 유아용 패딩 및 인서트(74, 76), 팔걸이(43), 하니스(22, 25), 걸쇠(46, 32), 무릎 벨트(27)가 있다. 인서트는 팔걸이와 동일한 기술로 수동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좌석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도 8은, 머리-발 받침대(29)로 끝나 있는 벤치(26)를 나타내고, 1, 2, 3에 대해 (40, 35, 30)의 상향 각도에 대한 상이한 경사각(1, 2, 3, 4, 5) 및 45도 90도의 하향 각도에 대한 안착 위치(4, 5)의 예가 나타나 있다. 머리/발 받침대(57)로 끝나는 좌석(24)이 나타나 있고, 각도(45, 40, 60, 80)(하향 정도)에 대한 상이한 경사각(1, 2, 3, 4)이 나타나 있다. 이들 각도는 경사의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것들은 유아 위치 1 및 2 모두에서 버튼으로 움직여, 착석될 어린이의 가장 좋은 위치의 요건에 맞게 조절된다. 버튼은 좌석으로부터 직접 또는 원격 제어로 전자적으로 상승된다.
도 9는 버튼(9, 11)으로 팔걸이(23, 43)가 대략 12 인치의 높이로 끝나는 각 팔걸이 상의 3개의 상이한 위치까지 상승하는 높이를 나타낸다. 이는 특히 측면 충돌시 성장하는 어린이의 모든 얼굴에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을 따라 어린이를 보호해 줄 것이다. 좌석에 있는 버튼 또는 원격 제어부는 팔걸이를 전자적으로 상승시킨다. 팔걸이는 또한 수동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도 10은 신생아용 머리/발 받침대(28, 29, 47, 88)에도 적용되는 머리-발 받침대(57)를 나타내고, 이는 둥근 형상 및 대략 7 내지 10 인치의 돌출 가장자리를 가지며, 이 가장자리는 부드러운 인테리어 텍스쳐를 가지며, 그 돌출 가장자리는, 어린이가 모든 나이 및 크기로 성장할 때 어린이의 머리와 두개골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줄 것이다.
도 11은 유아 위치 1 및 2 모두에서 머리/발 받침대(28, 29, 47, 57, 88)의 돌출 가장자리의 상세를 나타내며, 이 돌출 가장자리는 충돌 및 사고시의 갑작스런 움직임으로부터 어린이의 머리를 보호해 줄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의 중요한 버젼은 공정하게 일반적으로, 차량 내의 벤치 좌석에 내장되는 유아용 좌석 또는 별도의 유닛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우측 부분에 있는 벤치 좌석은 보통의 성인에 맞는 크기로 된 제 1 좌석 및 제 1 등받이를 갖는다. 제 1 좌석 및 제 1 등받이는 성인을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좌측 부분에 있는 벤치 좌석은 제 2 좌석 및 제 2 등받이를 갖는다. 제 2 좌석 및 제 2 등받이는 성인을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벤치 좌석의 중앙(중심 좌석) 부분은 제 3 좌석 및 제 3 등받이를 갖는다. 제 3 좌석 및 제 3 등받이는 성인용 좌석에는 너무 작은 유아를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제 3 좌석은 제 1 좌석과 제 2 좌석 사이에서 또한 이들 좌석 아래에서 벤치 좌석과 영구적으로 통합된다. 제 3 등받이는 제 1 좌석과 제 2 좌석 사이에서 또한 이들 좌석 뒤에서 벤치 좌석과 영구적으로 통합된다. 벤치는, 일치하고 제 3 좌석을 제 1 좌석 및 제 2 좌석과 부드럽게 통합시키는 제 1 실내 장식용품을 가지고 있다. 벤치는, 일치하고 제 3 등받이를 제 1 등받이 및 제 2 등받이와 부드럽게 통합시키는 제 2 실내 장식용품을 가지고 있다. 좌석과 벤치 모두는 버튼으로 후향 위치 및 전향 위치로 또한 다양한 정도로 기울어지고 또한 머리/발 받침대 또한 버튼으로 기울어진다. 팔걸이는 아래쪽에서 전자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머리/발 받침대는 라운딩되어 있고 돌출 가장자리를 갖는다. 좌석의 말단부에 있는 머리/발 받침대는 버튼으로 벤치 및 등받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경사진다. 좌석의 내부 머리-발 받침대는 실내 장식용품 안에 삽입되고 버튼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상승된다. 모든 경사와 상승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신생 아기를 보호해주는 캐노피가 팔걸이와 머리/발 받침대에 부착되어 있다. 완충 작용을 하고 공간을 한정하는 인서트와 패딩이 있다. 인서트는 수동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팔걸이로서 좌석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카메라가 제 3 등받이 쪽으로 향하고 있어, 거기에 앉아 있는 유아(들)를 보여준다. 오목한 형태의 통합형 안전 자동차 좌석의 경우에, 후향 위치에서 등받이(24)의 하측 부분은 완전히 경사져 2 내지 4세의 어린이가 발을 뻗을 수 있다. 스크린이 전방을 향하는 차량 운전자에 보이게 위치되어 있다. 스크린은 카메라(들)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보여준다. 제 3 좌석은 내부 저울을 포함한다. 걸쇠를 갖는 하니스가 제공되어 있어, 제 3 좌석의 점유자를 고정시킨다. 걸쇠는 이 걸쇠가 닫혀 있는지를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속도계, 변속기 또는 엔진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이 작동 중인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가 센서에 연결된다. 차량이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프로세서가 판단하고 저울이 미리 선택된 임계 중량을 프로세서에 알려주고 또한 걸쇠 센서가 닫힘을 알려주면, 알림이 발생된다. 디스플레이가 전방을 향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보일 수 있게 위치된다. 디스플레이는 저울, 걸쇠 및 작동 중인 차량 그리고 유아가 자동차 내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리마인더의 신호를 나타내고, 버클링 해제 전자 원격 버튼은 자동차 좌석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특징이다. 선택적으로, 어린이가 성장함에 따라 어린이에 맞는 제 3 등받이와 제 3 좌석의 가용 크기를 줄이기 위해 제 3 등받이와 제 3 좌석 내부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인서트와 패딩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알림은 개별적인 빛, 디스플레이, 소리, 차량 시스템의 비활성화 또는 무선 메시지이거나 이것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버젼은 차량 내의 벤치 좌석에 내장되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 또는 다른 좌석 사이에 있거나 그 옆에 있는 별도의 유닛으로서 공정하게 설명될 수 있다. 우측 부분에 있는 벤치 좌석은 제 1 좌석과 제 1 등받이를 갖는다. 제 1 좌석 및 제 1 등받이는 성인을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좌측 부분에 있는 벤치 좌석은 제 2 좌석 및 제 2 등받이를 갖는다. 제 2 좌석 및 제 2 등받이는 성인을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벤치 좌석의 중앙 부분은 제 3 좌석 및 제 3 등받이를 갖는다. 제 3 좌석 및 제 3 등받이는 성인용 좌석에는 너무 작은 유아를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제 3 좌석은 제 1 좌석과 제 2 좌석 사이에서 또한 이들 좌석 아래에서 벤치 좌석과 영구적으로 통합된다. 제 3 듣받이는 제 1 좌석과 제 2 좌석 사이에서 또한 이들 좌석 뒤에서 벤치 좌석과 영구적으로 통합된다. 벤치는, 일치하고 제 3 좌석을 제 1 좌석 및 제 2 좌석과 부드럽게 통합시키는 제 1 실내 장식용품을 가지고 있다. 벤치는, 일치하고 제 3 등받이를 제 1 등받이 및 제 2 등받이와 부드럽게 통합시키는 제 2 실내 장식용품을 가지고 있다. 모든 위치의 좌석은 다른 나이와 크기에 대해 다른 위치와 각도에서 제어 버튼으로 벤치 및 등받이의 하측 및 상측 부분 모두에서 경사를 갖는다. 통합형 안전 좌석의 각 말단부에 있는 머리/발 받침대는 좌석의 연장부이고, 그래서 제어 버튼으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는 유아를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한다. 내부 발/머리 받침대는 실내 장식용품으로부터 상승된다. 팔걸이는 전자적으로 아래쪽에서 상승된다. 인서트는 수동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실내 장식용품으로부터 상승된다. 모든 경사와 상승 및 들어 올림 특징을 위한 원격 제어부가 있다. 머리/발 받침대는 라운딩되어 있고 돌출 가장자리를 갖는다. 신생 유아를 위한 캐노피가 있다. 오목한 형태의 좌석의 경우, 후향 위치에서, 등받이의 하측 부분은 2 내지 4세의 어린이를 위해 완전히 경사져 발을 뻗을 수 있도록 완전히 경사진다. 카메라가 제 3 등받이 쪽으로 향하고 있고, 다른 세트의 카메라가 하니스의 걸쇠 및/또는 그외 다른 곳에 있다. 스크린이 전방을 향하는 차량 운전자에 보이게 위치되어 있다. 내부 사인 및 수동 사인을 갖는 디스플레이가 전방을 향하는 운전자에 보이게 위치되어 있다. 스크린은 카메라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보여준다. 제 3 좌석은 차량의 일부분인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내부 부품으로서 저울을 벤치와 등받이에서 포함한다. 걸쇠를 갖는 하니스는 제 3 좌석의 점유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걸쇠는 이 걸쇠가 닫혀 있는지를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속도계, 변속기 또는 엔진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이 작동 중인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가 센서에 연결된다. 차량이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프로세서가 판단하고 저울이 미리 선택된 임계 중량을 프로세서에 알려주고 또한 걸쇠 센서가 닫힘을 알려주면, 알림이 발생된다. 프로세서는 유아가 안전 좌석에 연결되어 자동차 안에 있으면 지시를 준다. 프로세서는 유아가 안전 좌석에 연결되어 안전 좌석에 있으면 지시를 준다. 프로세스는 유아가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되어 버클링되어 있으면 지시를 준다. 프로세서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되어 있는 빛, 소리 및 알람을 활성화시킨다. 프로세서는 원격으로 걸쇠를 버클링 해제시키고,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내부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내부적으로 형성한다. 프로세서는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 내의 유아용 키이 장치에 설치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운전자를 향하는 그리고 운전자의 반대편으로 향하는 적응 가능한 위치를 가지며, 벤치와 등받이 및 역시 상이한 각도로 독립적으로 경사지고 말단부 있는 머리/발 받침대, 좌석을 따라 있고 상승하는 팔걸이로서, 내부적으로 실내 장식용품으로부터 상승되는 머리/발 받침대, 및 상승하는 인서트가 경사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더 작은 유아에 맞도록 제 3 등받이와 제 3 좌석의 가용 크기를 줄이기 위해 제 3 등받이와 제 3 좌석 내부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인서트와 패딩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알림은 개별적인 디스플레이의 빛 또는 간헐적인 빛, 소리, 차량 시스템의 비활성화 또는 내부적으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되는 무선 메시지이거나 이것들의 조합이다. 인서트는 수동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팔걸이로서 좌석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3 좌석 및 등받이에는, 제 3 좌석을 전향 위치에서 후향 위치로 전환시키는 기계적인 각도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머리/발 받침대는 독립적인 경사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팔걸이는 좌석과 등받이 모두에서 전자적으로 아래쪽에서 상승된다.
본 발명의 개념으로 구현되는 장치의 다른 버젼이 차량 내의 벤치 좌석에 내장되는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으로서 또는 좌석들 사이에 있는 별도의 유닛으로서 공정하게 설명될 수 있다. 벤치 좌석의 일부분은 내장형의 조립된 좌석과 등받이를 갖는다.
좌석과 등받이는, 성인용 좌석에는 너무 작은, 신생아에서부터 아장아장 걷는 아기 또는 8세 미만의 유아를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좌석은 벤치의 좌석 표면 아래에서 벤치 좌석과 영구적으로 통합된다. 등받이는 벤치의 등받이 표면 뒤에서 벤치 좌석과 영구적으로 통합된다. 벤치는, 일치하고 좌석을 벤치와 부드럽게 통합시키는 제 1 실내 장식용품을 가지고 있다. 벤치는, 일치하여 등받이를 벤치의 등받이 표면과 부드럽게 통합시키는 제 2 실내 장식용품을 가지고 있다. 오목한 형태의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의 경우, 등받이의 하측 부분은 후향 위치에서 2 내지 4세의 어린이가 그의 발을 뻗을 수 있도록 완전히 경사진다. 카메라가 등받이 쪽을 향한다. 다른 카메라가 걸쇠 및 통합형 좌석 및 차량의 다른 곳에 있다. 스크린이 전방을 향하는 차량 운전자에 보이게 위치되어 있다. 스크린은 카메라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보여준다. 디스플레이가 전방을 향하는 차량 운전자에 보이게 위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자적인 그리고 수동적인 제어 신호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는 전방을 향하는 차량 운전자에 보이게 위치되며, 모든 안전 특징이 디스플레이에 나타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내부 저울을 포함한다. 걸쇠를 갖는 하니스가 제공되어 있어, 좌석의 점유자를 고정시키고, 그 하니스는 내부적으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된다. 걸쇠는 이 걸쇠가 닫혀 있는지를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속도계, 변속기 또는 엔진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이 작동 중인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가 센서에 연결된다. 차량이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프로세서가 판단하고 저울이 미리 선택된 임계 중량을 프로세서에 알려주고 또한 걸쇠 센서가 닫힘을 알려주면, 알림이 발생된다. 유아가 좌석에 있고 유아가 버클링되어 있다는 전자적인 사인이 디스플레이에 나타나게 되고, 이는 내부적으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된다. 자동차내 유아의 수동 사인이 디스플레이에 나타나고, 이는 내부적으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된다. 버클링 해제하기 위한 전자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나타나 있고, 이는 내부적으로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된다. 키이 장치에 있는 자동차내 유아의 전자 제어부는 내부적으로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된다. 빛, 간헐적인 빛, 자장가 같은 소리 및 다른 소리 또는 음성 및 알림이, 차량내 유아의 상태, 취해지는 조치, 및 제어 사인에 따라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고, 이는 내부적으로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더 작은 유아에 맞도록 등받이와 좌석의 가용 크기를 줄이기 위해 등받이와 좌석 내부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인서트와 패딩이 제공된다. 인서트는 수동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팔걸이로서 좌석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알림은 개별적인 빛, 디스플레이, 소리, 차량 시스템의 비활성화 또는 무선 메시지이거나 이것들의 조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벤치 좌석은 하나 이상의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좌석과 등받이에는, 상이한 경사각으로 좌석을 전향 위치에서 후향 위치로 전환시키는 기계적인 각도 조절 장치가 제공되고, 머리/발 받침대의 라운딩된 돌출 가장자리 역시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고, 팔걸이는 벤치 및 등받이에서 상이한 높이로 상승되며, 말단부의 머리/발 받침대는 독립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벤치 및 등받이를 따라 있는 머리/발 받침대는 실내 장식용품으로부터 상승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모든 사항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단지 실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과 같은 본 발명은 안전도 및 자동차 충돌시의 생존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이 목표를 만족하고, 고급스런 대형 차량 및 더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차량에 있는 바람직한 표준적인 장비인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실내 장식용품과 통합된 설계의 개선된 심미감은 차량의 외양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 점유자를 차량에 확실하게 연결하여 안전을 증가시키는 강도를 준다.
종래 기술에서는, 자동차로 이동하는 어린이는 모든 형상과 형태의 분리형 자동차 좌석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후향 위치에 있는 유아가 성장하기 시작함에 따라 통상적인 자동차 좌석에 적절히 맞지 않는 유아는 적절히 착석되지 않고 그의 발을 뻗는 것이 방해된다.
아장아장 걷는 아기 또는 작은 어린이는, 사고시 두개골과 목에 대한 부상의 위험이 있고 또한 사망의 위험이 크다는 것을 지시 받기 전에 전향 위치에서 분리형 자동차 좌석에 앉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들 모든 요인을 고려하고 어린 탑승자를 자연적이고 안전한 보호된 방식으로 유지시킨다. 어린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하면서 어린 탑승자의 요구 사항을 확인하도록 최적으로 설계된 포괄적인 좌석에서 자동차 내의 어린이를 보호해주는 더 좋은 방법이 현재 논의되고 있다.
통합형 유아용 안전 자동차 좌석은 본 발명이고, 특유의 개념과 기술에 조합되는 모든 기술 발전을 보류하고 기존의 모든 대안을 능가하는 제품 개량이다. 소비자, 자동차 제조업체 및 기관은 더욱 까다롭다.
전세계의 연구에 의하면, 자동차 충돌 또는 사고시 부상과 사망을 피하기 위해 2세의 의무 나이에 대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세까지는 어린이를 가능한 오랫동안 후향 위치의 좌석에 두는 것이 필수적이다. 유아가 1세에 더 까워짐에 따라, 후향 위치는 힘들게 된다. 유아가 다리를 뻗기 위해 이용 가능한 공간은 제한된다. 본 설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설계는 보충적인 별도의 요소를 갖는 분리형 자동차 좌석 유닛의 복잡하고 위험하고 안전치 못한 사용을 또한 피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에 차량내의 벤치에 내장되거나 또는 차량 내의 다른 좌석들 사이에 또는 그 옆에 있는 별도의 유닛인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으로서,
    상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은,
    탑승자를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는 좌석(26) 및 등받이(24)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은, 제어 버튼으로 상이한 나이와 크기의 탑승자를 위해 상이한 각도로 후향 위치와 전향 위치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며,
    머리 받침대(57) 및 발 받침대(29)가 상기 후향 위치와 전향 위치에 제공되어 있고,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의 각 단부에서 돌출 보호부를 가지며 라운딩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의 연장부이며,
    아래쪽에서 상승되는 팔걸이가 상기 좌석(26) 및 등받이(24) 둘 모두에서 측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은 오목한 형태이고, 후향 위치에서 등받이(24)의 하측 부분은 탑승자가 그의 발을 뻗을 수 있도록 경사 가능하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캐노피(67)가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위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에 탑승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걸쇠(32, 46)를 갖는 하니스(22, 25)가 후향 위치와 전향 위치에서 제공되어 있고,
    제 1 카메라(35)가 제공되어 있고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의 등받이 쪽으로 향해 있으며,
    제 2 카메라(25)가 상기 걸쇠(32, 46)에 제공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49)가 제공되어 있고,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운전자에게 보이도록 위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수동 사인(sign)을 가지며 또한 사용시에 제 1 카메라(35) 및/또는 제 2 카메라(25)의 이미지가 보일 수 있게 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은 내부 저울(30)을 포함하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는 프로세서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탑승자가 상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에서 버클링(buckling)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며,
    상기 프로세서는 알림(51, 53, 55)을 켜기 위해 전자 키이 장치(61)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석(26)과 등받이(24)에는, 통합형 차량 안전 좌석에 있는 탑승자가 운전자를 향할 수 있고 또한 운전자와 반대로 향할 수 있도록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을 상기 전향 위치와 후향 위치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각도 조절 기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좌석(26), 등받이(24), 머리 받침대(57) 및 발 받침대(29)는 상이한 각도로 독립적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팔걸이(37, 43) 및 인서트(74, 76)가 제공되어 있고 아래쪽에서 상승되는,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은 차량에 위치 가능한 벤치(36)에 내장되며, 벤치(36)는 등받이(12)와 좌석(14)을 포함하고,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은 상기 벤치의 중심부, 좌측 부분 및/또는 우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는,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벤치(36)는,
    제 1 좌석(14)과 제 1 등받이(12)를 갖는 우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좌석(14)과 제 1 등받이(12)는 성인을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고,
    상기 벤치(36)는 제 2 좌석(14)과 제 2 등받이(12)를 갖는 좌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좌석(14)과 제 2 등받이(12)는 성인을 지지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고,
    상기 벤치(36)의 중앙 부분은 좌석(26)과 등받이(24)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26)은 상기 제 1 좌석(14)과 제 2 좌석(14) 사이에서 또한 이들 좌석 아래에서 상기 벤치(36)와 영구적으로 통합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24)는 제 1 등받이(12)와 제 2 등받이(12) 사이에서 또한 이들 등받이 뒤에서 상기 벤치(36)와 영구적으로 통합되어 있고,
    상기 벤치(36)는, 일치하고 좌석(26)을 제 1 좌석(14) 및 제 2 좌석(14)과 이음새 없이 통합시키는 제 1 실내 장식용품을 가지며,
    상기 벤치(36)는, 일치하고 등받이(24)를 제 1 등받이(12) 및 제 2 등받이(1)와 이음새 없이 통합시키는 제 2 실내 장식용품을 갖는,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서트(74. 76)와 패딩(78)은, 상기 등받이(24)와 좌석(26)의 가용 크기를 줄이기 위해 등받이(24)와 좌석(26) 내부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내부적으로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에 연결되는 개별적인 빛, 디스플레이(49)내의 간헐적인 빛, 소리, 차량 시스템의 비활성화 또는 무선 메시지이거나 이것들의 조합인,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32, 46)는 이 걸쇠(32, 46)가 닫혀 있는지를 판단하는 걸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걸쇠 센서에 연결되어 있고, 속도계, 변속기 또는 엔진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이 작동 중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상기 프로세서가 판단하고 또한 상기 저울이 미리 선택된 임계 중량을 상기 프로세서에 알려주고 또한 걸쇠 센서가 닫힘을 알려주면, 알림이 발생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내 탑승자의 상태, 취해지는 조치, 및 제어 사인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빛, 간헐적인 빛, 소리, 자장가, 음성 및/또는 알림(51, 53, 55)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며, 이는 내부적으로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에 연결되어 있는,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개별적인 빛, 디스플레이, 소리, 차량 시스템의 비활성화 또는 무선 메시지이거나 이것들의 조합인,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하나 이상의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을 포함하는, 통합형 안전 차량 좌석.
  9. 삭제
KR1020197012057A 2016-10-07 2016-12-18 통합형 어린이용 안전 좌석 KR102525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89,048 US9796303B1 (en) 2016-10-07 2016-10-07 Integrated child safety seat
US15/289,048 2016-10-07
PCT/US2016/067411 WO2018067190A1 (en) 2016-10-07 2016-12-18 Integrated child safety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557A KR20190068557A (ko) 2019-06-18
KR102525806B1 true KR102525806B1 (ko) 2023-04-26

Family

ID=6008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057A KR102525806B1 (ko) 2016-10-07 2016-12-18 통합형 어린이용 안전 좌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796303B1 (ko)
EP (1) EP3523158A4 (ko)
JP (2) JP7119254B2 (ko)
KR (1) KR102525806B1 (ko)
CN (1) CN109789819B (ko)
CA (1) CA3039022A1 (ko)
MX (1) MX2019003789A (ko)
WO (1) WO2018067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72579A1 (en) * 2016-06-23 2017-12-28 Tammy Hall Williamson Sensory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9796303B1 (en) * 2016-10-07 2017-10-24 Lizbeth Schonfeld Integrated child safety seat
US10259345B2 (en) 2016-10-07 2019-04-16 Dali, Llc Integrated safety seat
USD885280S1 (en) 2017-03-30 2020-05-26 Zoox, Inc. Vehicle headrest
US10875435B1 (en) * 2017-03-30 2020-12-29 Zoox, Inc. Headrest with passenger flaps
DE102017219088B4 (de) * 2017-10-25 2021-06-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sitz mit integriertem Kindersitz
US20190160979A1 (en) * 2017-11-27 2019-05-30 Ze'ev Yuval MARESKY Convertible passenger seat for a vehicle
JP7073880B2 (ja) * 2018-04-19 2022-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進路決定装置
US10752170B1 (en) * 2018-04-20 2020-08-25 Michael Hubert Device and method to warn vehicle driver or others of occupant left in a vehicle
WO2020061188A1 (en) 2018-09-18 2020-03-26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Seat belt apparatus and buckle
WO2020091887A1 (en) * 2018-10-29 2020-05-07 Safran Cabin Inc. Aircraft bench seat assembly
US10696194B1 (en) * 2018-12-04 2020-06-30 Katalin Juhasz Vehicle seat with fold down child seat
US11403931B2 (en) * 2018-12-18 2022-08-02 Fenglou Mao Vehicle occupancy reminder system
EP3733446B1 (en) * 2019-05-02 2022-07-20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Child safety seat with a motorized harness belt tensioner
US10773683B1 (en) * 2019-08-12 2020-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ccupant seatbelt status
US11180052B2 (en) 2020-01-07 2021-11-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configurable soft robotics-based vehicle interior for infant boarding
US11613359B2 (en) 2020-01-15 2023-03-28 B/E Aerospace, Inc. Bench-back aircraft seat for aircraft passenger compartment suites
US10857971B1 (en) 2020-03-09 2020-12-08 Lemuel Alexander Davis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d managing a child seatbelt
US20210331607A1 (en) * 2020-04-27 2021-10-28 Cheryl Yoder Child Seat Safety System
CN111791829A (zh) * 2020-07-17 2020-10-20 厦门理工学院 一种适用于儿童安全座椅的安全警报系统和方法
US11107340B1 (en) * 2020-07-28 2021-08-31 Joseph John Cozzolino Automobile child alert warning system
CN112895994B (zh) * 2021-03-15 2022-04-19 宜宾职业技术学院 一种可升降高度的安全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972A (ja) 1999-04-21 2000-10-31 Riiman Kk チャイルドシートの安全ベルト
DE102005062324A1 (de) 2005-12-24 2007-07-05 Audi Ag Bodengruppe für Personenkraftwagen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4481A (en) * 1948-11-02 1952-02-05 Byrdie Glatstein Infant's convertible seat and bed
US2966201A (en) * 1959-04-10 1960-12-27 Louis W Strahler Automobile seat and cradle
US4540216A (en) * 1983-07-21 1985-09-10 Hassel Sr Karl D Convertible seat for vehicles
US4596420A (en) * 1984-07-19 1986-06-24 Rohit Vaidya Built-in vehicle child's seat assembly
US4756573A (en) 1986-09-10 1988-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eat with built-in infant and toddler seat provisions
US4900087A (en) * 1988-01-25 1990-02-13 Crisp Nadine Z Automobile seat with built in child seat
SE8802350L (sv) * 1988-06-22 1989-12-23 Akta Barnsaekerhet Ab Bilstol med inbyggd bilbarnstol
CA1294206C (en) * 1988-08-04 1992-01-14 Norman Law Child's collapsible car seat
US4913498A (en) * 1989-08-28 1990-04-03 Joseph Forlivio Child restraint seat
US5026118A (en) * 1990-06-07 1991-06-25 Vander Stel Louis M Built-in infant's seat for vehicles
FR2665399A1 (fr) * 1990-08-01 1992-02-07 Renault Dispositif de siege pour passager enfant, integre au composant d'un siege principal de vehicule automobile.
SE466903B (sv) * 1990-08-23 1992-04-27 Volvo Ab Breddningsbart, ihopfaellbart fordonssaete foer barn
US5224756A (en) * 1991-05-14 1993-07-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Integrated child seat for vehicle
MX9202240A (es) * 1991-05-14 1993-01-01 Matthew E Dukatz Asiento integrado para niño, a utilizar en un vehiculo.
US5260684A (en) * 1991-05-14 1993-11-09 Northpoint Manufacturing & Marketing, Inc. Warning system for a child's restraining seat for use in a passenger vehicle
JP3082295B2 (ja) * 1991-05-27 2000-08-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座 席
JP2973579B2 (ja) * 1991-05-27 1999-11-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座 席
FR2676975B1 (fr) * 1991-05-28 1993-11-26 Renault Regie Nale Usines Dispositif de siege pour passager enfant, integre au composant d'un siege principal de vehicule automobile.
US5205308A (en) * 1991-09-03 1993-04-27 Kendall Gloria B Protection apparatus for infants
JPH05162574A (ja) * 1991-12-13 1993-06-29 Toyota Motor Corp 子供用シー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US5282667A (en) * 1991-12-20 1994-02-01 Hoover Universal, Inc. Vehicle seat assembly with integral child seat
DE4213218A1 (de) * 1992-04-22 1993-10-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Rücksitzbank mit wenigstens einem hoch- und niederschwenkbar gelagerten Schwenkteil
ES2150446T3 (es) * 1992-05-13 2000-12-01 Daimler Chrysler Corp Modulo de asiento para niño integrado.
JP3211980B2 (ja) * 1992-06-29 2001-09-25 スズキ株式会社 子供用シート付き自動車用シート
US5332284A (en) * 1992-08-05 1994-07-26 Hoover Universal, Inc. Passenger car seat assembly with integral child seat
US5282668A (en) * 1992-10-13 1994-02-01 Lear Seating Corporation Child restraint seat including pivotal headrest assembly
JPH06135274A (ja) * 1992-10-28 1994-05-17 Suzuki Motor Corp 子供用シート付自動車用リヤシート
US5280995A (en) * 1992-11-13 1994-01-25 Hoover Universal, Inc. Vehicle seat assembly with rotating seat pack panel and integral child seat
US5364169A (en) * 1992-11-25 1994-11-15 General Safety Corporation Linear safety belt retractor
JPH06183291A (ja) * 1992-12-17 1994-07-05 Toyota Motor Corp 子供用シート一体式車両用シート
US5385384A (en) * 1993-08-06 1995-01-31 Douglas & Lomason Co Child safety seat
US5498062A (en) * 1993-10-18 1996-03-12 Douglas & Lomason Company Child restraint seat
JP2666716B2 (ja) * 1993-12-27 1997-10-22 池田物産株式会社 組込み式チャイルドシート
US5332292A (en) 1994-01-10 1994-07-26 Price Pamela A Portable protective cushion arrangement for a toddler's car seat
US5524962A (en) * 1994-03-23 1996-06-11 Ford Motor Company Tilt forward seat base for integrated infant seat
JP2809103B2 (ja) * 1994-05-25 1998-10-08 池田物産株式会社 組込み式チャイルドシート
US5568959A (en) * 1995-03-28 1996-10-29 Hoover Universal, Inc. Vehicle seat with integrated booster seat and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US5601334A (en) * 1995-07-14 1997-02-11 Hoover Universal, Inc. Integrated child seat with detachable booster seat
US5788326A (en) * 1995-07-19 1998-08-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al seat for vehicle
SE507430C2 (sv) * 1996-02-15 1998-05-25 Volvo Ab Barnstolarrangemang
JPH1076874A (ja) * 1996-09-06 1998-03-24 Tokai Rika Co Ltd 子供用座席付の車両用座席
JP2000177451A (ja) 1998-12-17 2000-06-27 Tokai Rika Co Ltd 子供用シート
JP2000289503A (ja) 1999-04-05 2000-10-17 Nagata Industries Co Ltd 車輌用シートの幼児用転換構造
JP2001130298A (ja) * 1999-07-15 2001-05-15 Zaza International:Kk 車両用シート
JP2003025911A (ja) * 2001-07-11 2003-01-29 Denso Corp 車載用映像表示装置
US6773123B1 (en) * 2002-05-23 2004-08-10 Pamela R. Hatchett Baby seat mirror
US6918631B2 (en) 2003-02-06 2005-07-19 Esther A. L. Verbovszky Child's car seat cushion
EP1613501A1 (en) * 2003-04-14 2006-01-11 Nissan Technical Centre Europe Ltd Vehicle seat assembly
US20050151844A1 (en) 2004-01-12 2005-07-14 Chiao Mamie W. Portable baby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s
US7261381B2 (en) * 2004-09-15 2007-08-28 Chih-Yi Tsai Seat with multiple retaining frames
US7284792B1 (en) 2005-01-28 2007-10-23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Cushion system for multi-use child safety seat
US20060267386A1 (en) 2005-05-31 2006-11-30 Said Nakhla Juvenile transport product and method
US7311357B2 (en) 2005-08-25 2007-12-25 Gold Bug, Inc. Infant surround support
GB2439521A (en) * 2006-06-29 2008-01-02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seat with integrated child restraint module
US8063788B1 (en) * 2006-08-17 2011-11-22 James Morningstar Unattended child alert system and method
EP1908626A1 (de) * 2006-10-06 2008-04-09 Lufthansa Technik AG Flugzeugsitz
US7658431B2 (en) * 2007-08-24 2010-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wable child seat for automotive vehicles
US9266535B2 (en) 2007-12-14 2016-02-23 Cars-N-Kid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if a child safety seat is in a moving vehicle
US20100133883A1 (en) 2008-01-29 2010-06-03 Georgia Bell Walker Infant and Toddler Car Seat with integral cooling system / humidifier
TWM355181U (en) 2008-09-30 2009-04-21 Link Treasure Ltd Infant safety seat with an adjustable accommodating space
US8182034B2 (en) 2009-01-14 2012-05-22 Glance Patrick M Foldaway child booster seat
US9403437B1 (en) * 2009-07-16 2016-08-02 Scott D. McDonald Driver reminder systems
CN201566585U (zh) 2009-12-11 2010-09-01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安全座椅基座的安全带迫紧显示机构
ES1072994Y (es) * 2010-07-26 2011-02-28 Perena Juan Manuel Rodrigo Asiento de vehiculo convertible en asiento para ninos.
US20130033373A1 (en) * 2011-08-03 2013-02-07 Sherine Elizabeth Thomas Child car seat safety system and method
US8870282B2 (en) 2011-10-04 2014-10-28 Michael Tew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ergonomic car seat and handle
US9189943B1 (en) 2012-09-24 2015-11-17 Amy Rambadt Child safety seat alarm
US9565402B2 (en) 2012-10-30 2017-02-07 Baby-Tech Innovations, Inc. Video camera device and method to monitor a child in a vehicle
WO2015076764A1 (en) * 2013-11-19 2015-05-28 Balci Vedat Child safety seat forward or backward facing integrated in car seat
CN104149663A (zh) 2014-07-22 2014-11-19 杨晓柏 多功能儿童安全座椅
US9457716B2 (en) 2015-01-14 2016-10-04 Amber Westmoreland Child car seat safety system
CN104709125B (zh) * 2015-01-22 2017-01-04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带有侧防护和提升座垫的集成式儿童汽车座椅
US9796303B1 (en) * 2016-10-07 2017-10-24 Lizbeth Schonfeld Integrated child safety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972A (ja) 1999-04-21 2000-10-31 Riiman Kk チャイルドシートの安全ベルト
DE102005062324A1 (de) 2005-12-24 2007-07-05 Audi Ag Bodengruppe für Personenkraft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89819A (zh) 2019-05-21
EP3523158A1 (en) 2019-08-14
JP2022126746A (ja) 2022-08-30
MX2019003789A (es) 2019-06-24
KR20190068557A (ko) 2019-06-18
EP3523158A4 (en) 2020-04-15
US20180099587A1 (en) 2018-04-12
CA3039022A1 (en) 2018-04-12
JP7119254B2 (ja) 2022-08-17
US9796303B1 (en) 2017-10-24
JP2019529240A (ja) 2019-10-17
US10052979B2 (en) 2018-08-21
CN109789819B (zh) 2022-05-31
WO2018067190A1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806B1 (ko) 통합형 어린이용 안전 좌석
US10259345B2 (en) Integrated safety seat
JP3288002B2 (ja)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US6739661B1 (en) Pivotable reclining child safety car seat
US6827400B2 (en) Sleeping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US6216298B1 (en) Travel pillow
US8967717B2 (en) Portable child restraining seat
US5551750A (en) Headrest booster seat
JP2000296734A (ja)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US6793287B2 (en) Booster seat head rest
US20130088063A1 (en) Child Neck Support Apparatus for Seats
US20150130149A1 (en) Child restraining seat
CN106608206A (zh) 机动车用儿童座椅
US3515431A (en) Vehicle seat for children
US20070108813A1 (en) Vehicular seat assembly
US20060082205A1 (en) Sleeping Aid
GB2588782A (en) A harness
WO2001005618A1 (fr) Siege de vehicule
JPH11189128A (ja)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に用いられる安全ベルト
JPH0641876Y2 (ja) 子供用拘束装置
KR200242721Y1 (ko) 자동차의유아용안락의자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JP2001180345A (ja) 学童用シート
KR200315821Y1 (ko) 유아용 침대형 카시트
JPH04311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