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02B1 - 절삭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절삭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02B1
KR102525402B1 KR1020180083336A KR20180083336A KR102525402B1 KR 102525402 B1 KR102525402 B1 KR 102525402B1 KR 1020180083336 A KR1020180083336 A KR 1020180083336A KR 20180083336 A KR20180083336 A KR 20180083336A KR 102525402 B1 KR102525402 B1 KR 10252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cutting
face
base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457A (ko
Inventor
고지로 니시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6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one vertical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23Q3/154Station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2Feeding working-spi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64Using an endmill, i.e. a shaft milling cutter, to generate profile of a crankshaft or cam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과제] 균일하고 평탄한 단부면을 가지고,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는 절삭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절삭 장치(100)는, 대(4A)와 대(4A)의 표면에 면하는 판(4B)을 포함하고, 필름형의 편광자를 포함하는 적층체(3)를, 자력에 의해서 대(4A)와 판(4B)의 사이에 고정하는 마그넷 클램프(4)와, 적층체(3)의 단부면(3A, 3B, 3C, 3D)을 절삭하는 절삭 공구(6)와, 대(4A) 및 절삭 공구(6) 중 적어도 한쪽을 단부면(3A, 3B, 3C, 3D)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절삭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절삭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 텔레비전 또는 스마트폰 등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이다. 최근, 소형이며 얇은 액정 표시 장치의 수요에 동반하여 치수 정밀도가 높고 얇은 편광판이 요구된다. 그러나,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는 얇고 파손되기 쉽다. 이러한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종래의 편광판의 제조에서는, 편광자의 한면 또는 양면에 하나 이상의 광학 필름(예컨대,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제1 적층체를 제작한다. 이어서, 제1 적층체의 절단 가공 또는 펀칭 가공에 의해 원하는 형상을 갖는 제2 적층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한 번의 절단 가공 또는 펀칭 가공만으로는 제2 적층체의 치수를 높은 정밀도로 조정하기가 어렵다. 제2 적층체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2 적층체의 단부를 절삭 또는 연마해야만 한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및 2에는, 복수의 제2 적층체를 겹쳐 제3 적층체를 형성하고, 제3 적층체를 클램프에 의해서 역학적·기계적(mechanical)으로 고정하면서 제3 적층체의 각 단부면을 회전날로 절삭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절삭 방법에서는, 제3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적층체의 단부면을 일괄적으로 절삭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35941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582367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체(제3 적층체)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경우, 단부면이 균일하게 절삭되기 어렵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판의 단부면에 경계선(줄기 형상 흔적)이 형성되거나 편광판의 치수가 변동되거나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균일하고 평탄한 단부면을 가지고,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는 절삭 장치 및 이 절삭 장치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삭 장치는, 대(臺)와 대의 표면에 면하는 판(板)을 포함하고, 필름형의 편광자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자력(磁力)에 의해서 대와 판의 사이에 고정하는 마그넷 클램프와, 적층체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절삭 공구와, 대 및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삭 장치에 있어서는, 적층체는, 제1 단부면과 제1 단부면에 인접하는 제2 단부면을 갖는 사각기둥이라도 좋고, 이동 장치는, 대및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제1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장치와, 대 및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제2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장치를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삭 장치에서는, 절삭 공구가 엔드밀(endmill)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대 및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대와 판의 사이에 고정된 적층체의 단부면을 절삭 공구로 절삭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1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대 및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제1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대와 판의 사이에 고정된 적층체의 제1 단부면을 절삭 공구로 절삭하는 공정과, 제2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대 및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제2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대와 판의 사이에 고정된 적층체의 제2 단부면을 절삭 공구로 절삭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절삭 공구가 엔드밀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균일하고 평탄한 단부면을 가지고,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는 절삭 장치 및 이 절삭 장치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 도시되는 절삭 장치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되는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체의 제1 단부면을 절삭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도 2의 (b)는 도 1에 도시되는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체의 제2 단부면을 절삭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되는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체의 제3 단부면을 절삭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도 3의 (b)는 도 1에 도시되는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체의 제4 단부면을 절삭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장치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장치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종래의 역학적·기계적인 클램프를 갖춘 절삭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되는 절삭 장치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등한 구성 요소에는 동등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나타내는 X, Y 및 Z는 상호 직교하는 3개의 좌표축을 의미한다. 각 좌표축이 나타내는 방향은 도면 전체에서 공통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필름형의 편광자를 포함하는 적층체(제3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3 적층체의 단부면을 절삭 장치에 갖춰진 절삭 공구로 절삭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하에 자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3 적층체는 복수의 제2 적층체로 형성되고, 제2 적층체는 제1 적층체로 형성된다.
제1 적층체는, 필름형의 편광자와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름을 중첩시키며 또한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편광자 및 광학 필름 각각은 장척의 띠 형상이라도 좋다. 광학 필름이란, 편광판을 구성하는 필름형의 부재(편광자 자체를 제외한다.)를 의미한다. 광학 필름은 층 또는 광학층이라고 바꿔 말하여도 좋다. 광학 필름은 예컨대 보호 필름 및 이형 필름이라도 좋다. 제1 적층체는, 예컨대, 편광자, 제1 보호 필름, 제2 보호 필름, 제3 보호 필름, 이형 필름 및 점착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편광자의 한쪽의 표면에는 제1 보호 필름이 겹쳐 있어도 좋고, 편광자의 다른 쪽의 표면에는 제2 보호 필름이 겹쳐 있어도 좋다. 즉, 편광자의 양 표면에 보호 필름이 밀착되어도 좋다. 제3 보호 필름은 제1 보호 필름에 겹쳐 있어도 좋다. 즉, 제1 보호 필름은 편광자와 제3 보호 필름의 사이에 위치하여도 좋다. 이형 필름은 점착층을 통해 제2 보호 필름에 겹쳐 있어도 좋다. 환언하면, 점착층은 제2 보호 필름과 이형 필름의 사이에 위치하여도 좋고, 제2 보호 필름은 편광자와 점착층의 사이에 위치하여도 좋다.
제1 적층체를 가공하여 소정의 치수 및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 적층체를 형성한다. 예컨대, 제1 적층체를 날붙이로 절단함으로써 제2 적층체를 제작하여도 좋다. 제1 적층체의 펀칭 가공에 의해 제2 적층체를 제작하여도 좋다. 제1 적층체를 레이저로 절단함으로써 제2 적층체를 제작하여도 좋다. 레이저는 예컨대 CO2 레이저 또는 엑시머 레이저라도 좋다. 가공 단계에서는, 예컨대 상술한 날붙이를 이용한 절단, 펀칭 가공 및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을 조합하여 제2 적층체를 제작하여도 좋다.
도 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제2 적층체(2)를 겹침으로써 제3 적층체(3)를 형성한다. 제3 적층체(3)를 구성하는 제2 적층체(2)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의 (a)에 도시되는 제2 적층체(2)는 장방형(얇은 직방체)이다. 단, 제2 적층체(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의 (a)에 도시되는 제3 적층체(3)는 직방체(사각기둥)이다. 단, 제3 적층체(3)의 형상은 사각기둥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적층체(3)는, 제1 단부면(3A)과, 제1 단부면(3A)에 인접하는 제2 단부면(3B)과, 제2 단부면(3B)에 인접하는 제3 단부면(3C)과, 제3 단부면(3C) 및 제1 단부면에 인접하는 제4 단부면(3D)을 갖는다.
절삭 공구는 일반적인 절삭 공구라도 좋다. 절삭 공구는, 예컨대 그라인더(grinder), 류터(leutor) 및 밀링 커터(milling cutte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공구라도 좋다. 복수 종류의 절삭 공구를 병용하여도 좋다. 이하에서는 절삭 공구로서 밀링 커터의 일종인 엔드밀(endmill)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장치(100)는 마그넷 클램프(4)와 엔드밀(6)과 이동 장치(8)를 구비한다.
마그넷 클램프(4)는 대(4A)와 판(4B)을 갖는다. 판(4B)은 대(4A)의 평탄한 표면에 면하고 있다. 마그넷 클램프(4)는 제3 적층체(3)를 자력에 의해서 대(4A)와 판(4B)의 사이에 고정한다. 대(4A) 및 판(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을 갖는다. 예컨대, 대(4A)가 갖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제3 적층체(3)를 대(4A)와 판(4B)의 사이에 고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판(4B)에 있어서 대(4A)의 자석에 면하는 부분은 금속 또는 자석이라도 좋다. 판(4B)이 갖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제3 적층체(3)를 대(4A)와 판(4B)의 사이에 고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대(4A)에 있어서 판(4B)의 자석에 면하는 부분은 금속 또는 자석이라도 좋다. 대(4A) 및 판(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갖는 자석은 전자석이라도 좋고, 영구자석이라도 좋다.
도 1의 (a)에 도시되는 대(4A)의 평탄한 표면은 장방형이지만, 대(4A)의 표면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되는 판(4B)은 얇은 직방체이지만, 판(4B)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Z축 방향)에서 본 경우, 판(4B) 전체가 제3 적층체(3)와 겹치고, 제3 적층체(3)가 판(4B)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대(4A)와 판(4B)의 사이에서 비어져 나와 있다. 즉, 제3 적층체(3)에 접하는 판(4B)의 표면은 판(4B)에 접하는 제3 적층체(3)의 표면보다도 좁으며, 또한 판(4B)의 표면 전체는 제3 적층체(3) 표면의 외주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3 적층체(3)의 모든 단부면(제1 단부면(3A), 제2 단부면(3B), 제3 단부면(3C) 및 제4 단부면(3D))은 제3 적층체(3)와 판(4B)이 겹치는 영역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엔드밀(6)의 측면(6A)은, 대(4A)와 판(4B)의 사이에서 비어져 나온 제3 적층체(3)의 각 단부면(3A, 3B, 3C, 3D)에 밀어 부쳐진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Z축 방향)에서 본 경우, 대(4A) 전체가 제3 적층체(3)와 겹치고, 제3 적층체(3)가 대(4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대(4A)와 판(4B)의 사이에서 비어져 나와 있다. 즉, 제3 적층체(3)에 접하는 대(4A)의 표면은 대(4A)에 접하는 제3 적층체(3)의 표면보다도 좁으며, 또한 대(4A)의 표면 전체는 제3 적층체(3) 표면의 외주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3 적층체(3)의 모든 단부면(제1 단부면(3A), 제2 단부면(3B), 제3 단부면(3C) 및 제4 단부면(3D))은, 제3 적층체(3)와 대(4A)가 겹치는 영역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단, 제3 적층체(3)에 접하는 대(4A)의 표면이 대(4A)에 접하는 제3 적층체(3)의 표면보다도 넓어도 좋고, 제3 적층체(3)의 표면 전체가 대(4A) 표면의 외주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동 장치(8)는 제1 이동 장치(8A)와 제2 이동 장치(8B)와 제어부(8C)를 포함한다. 제1 이동 장치(8A)는 예컨대 제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장치라도 좋다. 제2 이동 장치(8B)는 예컨대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장치라도 좋다. 제1 가이드 레일은 제2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가이드 레일은 제2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1 이동 장치(8A)는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제3 적층체(3)는 직방체이고, 제3 단부면(3C)은 제1 단부면(3A)에 평행하다. 따라서, 제1 이동 장치(8A)는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제3 단부면(3C)을 따라서 이동시킨다고 말할 수 있다. 제1 이동 장치(8A)가 엔드밀(6)을 구동하는 기구(제어부(8C)의 출력 기기)는, 예컨대, 3상 모터, 직류 모터, 교류 모터, 스테핑 모터, 서보 모터, 공기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라도 좋다.
제2 이동 장치(8B)는 대(4A)를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제3 적층체(3)는 직방체이고, 제2 단부면(3B)은 제4 단부면(3D)에 평행하다. 따라서, 제2 이동 장치(8B)는 대(4A)를 제3 적층체(3)의 제4 단부면(3D)을 따라서 이동시킨다고 말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판(4B) 및 제3 적층체(3)는 자력에 의해서 대(4A)의 표면 상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대(4A), 판(4B) 및 제3 적층체(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고정되면서, 판(4B) 및 제3 적층체(3)는 대(4A)와 함께 이동한다. 제2 이동 장치(8B)가 대(4A)를 구동하는 기구(제어부(8C)의 출력 기기)는, 예컨대, 3상 모터, 직류 모터, 교류 모터, 스테핑 모터, 서보 모터, 공기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라도 좋다.
상술한 대로 제3 적층체(3)는 직방체이기 때문에, 제1 단부면(3A)은 제1 단부면(3A)에 인접하는 제2 단부면(3B)에 대하여 수직이다. 따라서, 제1 단부면(3A)을 따르는 방향은 제2 단부면(3B)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환언하면, 제1 이동 장치(8A)에 의해서 엔드밀(6)이 이동하는 방향은 제2 이동 장치(8B)에 의해서 대(4A)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이다.
제어부(8C)는, 시퀀스 제어에 의해, 제1 이동 장치(8A)를 조작하여, 임의의 시점에 있어서의 엔드밀(6)의 위치 및 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한다. 또한, 제어부(8C)는, 시퀀스 제어에 의해, 제2 이동 장치(8B)를 조작하여, 임의의 시점에 있어서의 대(4A)의 위치 및 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한다. 따라서, 제어부(8C)는,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에 수직인 평면(XY면) 내에 있어서, 엔드밀(6) 및 대(4A) 각각의 위치, 속도 및 이동 경로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어부(8C)는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전체 단부면을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C)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라도 좋다. 즉, 엔드밀(6) 및 대(4A)에 관한 임의의 제어 내용을 미리 프로그램으로서 제어부(8C)의 입력 기기(컴퓨터)에 입력하고, 프로그램을 축차 실행함으로써 시퀀스 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엔드밀(6)은 절삭 가공용 밀링 커터의 일종이다. 엔드밀(6)은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Z축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한다. 엔드밀(6)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축에 대략 평행한 측면(6A)에 위치하는 날이 제3 적층체(3)의 각 단부면을 절삭한다. 제3 적층체(3)의 각 단부면을 엔드밀(6)로 절삭함으로써, 제3 적층체(3)의 단부면이 균일하고 또한 평활하게 마무리되어, 제3 적층체(3)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적층체(2)(즉 편광판)의 형상 및 치수가 균일하고 또한 높은 정밀도로 조정된다. 제3 적층체(3)의 모든 단부면을 엔드밀(6)로 절삭하는 일련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도 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4A)와 판(4B)의 사이에 제3 적층체(3)를 고정하며 또한 대(4A)의 위치를 제2 이동 장치(8B)에 의해서 고정한다. 즉, 대(4A), 판(4B) 및 제3 적층체(3) 각각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엔드밀(6)의 측면(6A)을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에 평행하게 맞대면서, 회전하는 엔드밀(6)을 제1 단부면(3A)의 한쪽의 단부에서 다른 쪽의 단부까지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 전체가 엔드밀(6)에 의해서 절삭된다. 이상과 같이,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을 절삭하는 경우, 엔드밀(6)의 이동 방향은 제1 단부면(3A)을 따르는 방향(d6)이고, 엔드밀(6)의 이동 거리는 방향(d6)에 있어서의 제1 단부면(3A) 전체의 폭과 거의 같다.
제1 단부면(3A) 전체를 절삭한 후, 엔드밀(6)의 측면(6A)이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의 한쪽의 단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향하도록 엔드밀(6)의 위치를 제1 이동 장치(8A)에 의해서 고정한다.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4A)를 제2 단부면(3B)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제2 단부면(3B)의 다른 쪽의 단부를 엔드밀(6)에 도달시킨다. 그 결과,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 전체가 엔드밀(6)에 의해서 절삭된다. 이상과 같이,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을 절삭하는 경우, 대(4A), 판(4B) 및 제3 적층체(3) 각각의 이동 방향은 제2 단부면(3B)을 따르는 방향(d4)이고, 대(4A), 판(4B) 및 제3 적층체(3) 각각의 이동 거리는 방향(d4)에 있어서의 제2 단부면(3B) 전체의 폭과 거의 같다.
제2 단부면(3B) 전체를 절삭한 후, 엔드밀(6)의 측면(6A)이 제3 적층체(3)의 제3 단부면(3C)의 한쪽의 단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향하도록 대(4A)의 위치를 제2 이동 장치(8B)에 의해서 고정한다. 즉, 대(4A), 판(4B) 및 제3 적층체(3) 각각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엔드밀(6)의 측면(6A)을 제3 적층체(3)의 제3 단부면(3C)에 평행하게 맞대면서, 회전하는 엔드밀(6)을 제3 단부면(3C)의 한쪽의 단부에서 다른 쪽의 단부까지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제3 적층체(3)의 제3 단부면(3C) 전체가 엔드밀(6)에 의해서 절삭된다. 이상과 같이, 제3 적층체(3)의 제3 단부면(3C)을 절삭하는 경우, 엔드밀(6)의 이동 방향은 제3 단부면(3C)을 따르는 방향(-d6)이고, 엔드밀(6)의 이동 거리는 방향(-d6)에 있어서의 제3 단부면(3C) 전체의 폭과 거의 같다.
제3 단부면(3C) 전체를 절삭한 후, 엔드밀(6)의 측면(6A)이 제3 적층체(3)의 제4 단부면(3D)의 한쪽의 단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향하도록 엔드밀(6)의 위치를 제1 이동 장치(8A)에 의해서 고정한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4A)를 제2 단부면(3B)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제4 단부면(3D)의 다른 쪽의 단부를 엔드밀(6)에 도달시킨다. 그 결과, 제3 적층체(3)의 제4 단부면(3D) 전체가 엔드밀(6)에 의해서 절삭된다. 이상과 같이, 제3 적층체(3)의 제4 단부면(3D)을 절삭하는 경우, 대(4A), 판(4B) 및 제3 적층체(3) 각각의 이동 방향은 제4 단부면(3D)을 따르는 방향(-d4)이고, 대(4A), 판(4B) 및 제3 적층체(3) 각각의 이동 거리는 방향(-d4)에 있어서의 제4 단부면(3D) 전체의 폭과 거의 같다.
이상의 일련의 단계를 거쳐 제3 적층체(3)의 모든 단부면의 절삭이 완료된다. 모든 단부면이 절삭된 제3 적층체(3)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적층체(2) 각각은 편광판 그 자체에 상당한다. 편광판의 적층 구조는, 제2 적층체(2)의 제작에 이용한 제1 적층체의 적층 구조와 동일하고, 제2 적층체(2)의 적층 구조와 동일하다. 즉, 편광판은 제1 보호 필름, 제2 보호 필름, 제3 보호 필름, 이형 필름 및 점착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편광자의 한쪽의 표면에는 제1 보호 필름이 겹쳐 있어도 좋고, 편광자의 다른 쪽의 표면에는 제2 보호 필름이 겹쳐 있어도 좋다. 제3 보호 필름은 제1 보호 필름에 겹쳐 있어도 좋다. 이형 필름은 점착층을 통해 제2 보호 필름에 겹쳐 있어도 좋다.
자력을 갖지 않는 클램프(비자기적 클램프)를 이용하여 제3 적층체(3)를 역학적·기계적으로 고정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되는 절삭 장치(200)는 마그넷 클램프(4) 대신에 비자기적 클램프(50)를 구비한다. 절삭 장치(200)에 구비되는 이동 장치(8)는, 제1 이동 장치(8A)와 제2 이동 장치(8B)와 제어부(8C)를 포함한다. 제1 이동 장치(8A)는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또한, 제2 이동 장치(8B)는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제1 이동 장치(8A)는 엔드밀(6)과 함께 제2 이동 장치(8B)도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을 따라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또는 제2 이동 장치(8B)는 엔드밀(6)과 함께 제1 이동 장치(8A)도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을 따라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비자기적 클램프(50)는, 마주보는 판형의 제1 홀더(50A) 및 제2 홀더(50B)와, 제1 홀더(50A)에 수직으로 접합된 제1 축부(50C)와, 제2 홀더(50B)에 수직으로 접합된 제2 축부(50D)를 구비한다. 제3 적층체(3)는 제1 홀더(50A) 및 제2 홀더(50B)에 의해 협지되어 고정된다. 제3 적층체(3)를 제1 홀더(50A) 및 제2 홀더(50B)에 의해 체결하기 위해서는 제1 축부(50C) 및 제2 축부(50D)가 구조상 필수이다.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4개의 단부면(3A, 3B, 3C 및 3D)을 따라서 순차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이동 장치(8A) 및 제2 이동 장치(8B)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엔드밀(6)과 함께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컨대, 엔드밀(6)과 함께 제2 이동 장치(8B)가 제1 이동 장치(8A)에 의해서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는 엔드밀(6)과 함께 제1 이동 장치(8A)가 제2 이동 장치(8B)에 의해서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제1 이동 장치(8A) 및 제2 이동 장치(8B) 모두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에 수직인 면내(XY 면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축부(50C)와 접촉해 버린다. 환언하면, 비자기적 클램프(50)(제1 축부(50C))는 이동 장치(8)와 물리적으로 간섭하여, 이동 장치(8) 및 엔드밀(6)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한다. 그 결과,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4개의 단부면(3A, 3B, 3C 및 3D)을 따라서 순차 이동시킬 수 없다.
복수의 엔드밀과 그 이동 장치를 제3 적층체(3)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비자기적 클램프(50)(제1 축부(50C))와 이동 장치의 물리적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적층체(3)의 전체 단부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영역마다 하나의 엔드밀을 배치하면 된다. 그러나, 제3 적층체(3)의 단부면을 복수의 엔드밀로 절삭하는 경우, 단부면이 균일하게 절삭되기 어렵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판의 단부면에 경계선(줄기 형상 흔적)이 형성되기 쉽고, 편광판의 형상 및 치수가 불균일하게 되기 쉽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적층체(3)를 자력에 의해서 대(4A)와 판(4B)의 사이에 고정하기 때문에, 클램프의 기구상, 제1 축부(50C) 및 제2 축부(50D) 모두 필요하지 않다. 즉, 마그넷 클램프(4)는 제1 축부(50C) 및 제2 축부(50D) 모두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마그넷 클램프(4)는, 제1 이동 장치(8A) 및 제2 이동 장치(8B)의 어느 것과도 물리적으로 간섭하지 않아, 하나의 엔드밀(6)이 제3 적층체(3)의 모든 단부면(3A, 3B, 3C 및 3D)을 따라서 순차 이동할 수 있다. 즉, 마그넷 클램프(4)가 이동 장치(8)에 간섭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엔드밀을 병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3 적층체(3)의 모든 단부면을 하나의 엔드밀(6)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경계선 없이 절삭할 수 있다. 그 결과, 제3 적층체(3)의 전체 단부면이 균일하며 또한 평활하게 마무리되어, 제3 적층체(3)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적층체(2)(즉 편광판)의 형상 및 치수가 균일하고 또한 높은 정밀도로 조정된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되는 절삭 장치(200)에 있어서, 제3 적층체(3)가 고정된 비자기적 클램프(5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경우, 비자기적 클램프(50)와 이동 장치(8)의 물리적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즉, 비자기적 클램프(50) 전체를 제1 축부(50C) 및 제2 축부(50D)에 평행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3 적층체(3)의 임의의 단부면을 엔드밀(6)의 측면(6A)에 평행하게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적층체(3)를 회전시켜, 엔드밀(6)을 향하는 제3 적층체(3)의 단부면을 전환함으로써, 각 단부면을 하나의 엔드밀(6)로 순차 절삭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자기적 클램프(50)가 회전하면 제3 적층체(3)가 변형되기 쉽다. 예컨대, 비자기적 클램프(50)의 회전에 의해 제3 적층체(3)의 단부면이 평탄하지 않게 된다. 예컨대, 단부면이 곡면으로 되거나 요철형으로 되거나 한다. 또는, 비자기적 클램프(50)의 회전에 의해 제3 적층체(3)의 단부면이 엔드밀(6)의 측면(6A)에 대하여 기우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변형된 제3 적층체(3)의 단부면은 균일하게 절삭되기 어려워, 제3 적층체(3)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적층체(2)(즉 편광판)의 형상 및 치수가 불균일하게 되기 쉽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넷 클램프(4)가 이동 장치(8)와 물리적으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마그넷 클램프(4) 및 제3 적층체(3)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제3 적층체(3)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3 적층체(3)의 평탄한 단부면을 균일하게 절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편광판의 형상 및 치수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편광자는, 연신, 염색 및 가교 등의 공정에 의해서 제작된 필름형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PVA 필름)라도 좋다. 편광자의 상세한 것은 다음과 같다.
예컨대, 우선 PVA 필름을 일축 방향 또는 이축 방향으로 연신한다. 일축 방향으로 연신된 편광자의 이색비는 높은 경향이 있다. 연신에 이어서, 염색액을 이용하여 PVA 필름을 요오드, 이색성 색소(폴리요오드) 또는 유기 염료에 의해 염색한다. 염색액은 붕산, 황산아연 또는 염화아연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염색 전에 PVA 필름을 수세하여도 좋다. 수세에 의해 PVA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오물 및 블로킹방지제가 제거된다. 또한 수세에 의해 PVA 필름이 팽윤되는 결과, 염색의 얼룩(불균일한 염색)이 억제되기 쉽다. 염색 후의 PVA 필름을 가교를 위해서 가교제 용액(예컨대,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한다. 가교제에 의한 처리 후, PVA 필름을 수세하고, 이어서 건조한다.
이상의 수순을 거쳐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또는 아세트산비닐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라도 좋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하는 다른 단량체는, 에틸렌 외에,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또는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라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알데히드류로 변성되어 있어도 좋다.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컨대,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폴리비닐부티랄이라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 또는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의 폴리엔계 배향 필름이라도 좋다. 연신 전에 염색을 행하여도 좋고, 염색액 중에서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연신된 편광자의 길이는 예컨대 연신 전의 길이의 3∼7배라도 좋다.
편광자의 두께는 예컨대 1 ㎛ 이상 50 ㎛ 이하라도 좋다. 편광판의 세로 폭 및 가로 폭은 예컨대 30 mm 이상 600 mm 이하라도 좋다. 편광판의 두께(제2 적층체(2)의 두께)는 예컨대 10 ㎛ 이상 1200 ㎛ 이하라도 좋다.
제1 보호 필름 및 제2 보호 필름은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면 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라도 좋다. 제1 보호 필름 및 제2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COP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혹은 공중합체라도 좋다. 제1 보호 필름의 조성은 제2 보호 필름의 조성과 완전히 같아도 좋다. 제1 보호 필름의 조성은 제2 보호 필름의 조성과 다르더라도 좋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라도 좋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라도 좋다.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컨대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라도 좋다.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는, 예컨대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예컨대 랜덤 공중합체)라도 좋다.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쇄상 올레핀은 예컨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라도 좋다.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는, 상기한 중합체를 불포화 카르복실산 혹은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라프트 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소화물이라도 좋다. 환상 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는, 예컨대, 노르보르넨 또는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르넨계 수지라도 좋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예컨대,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라도 좋다. 이들의 공중합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이외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예컨대,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과의 중축합체라도 좋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라도 좋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는,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이라도 좋다. 다가 알코올은 예컨대 디올이라도 좋다. 다가 알코올은,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또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라도 좋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라도 좋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보네이트기를 통해 중합 단위(모노머)가 결합된 중합체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수식된 폴리머 골격을 갖는 변성 폴리카보네이트라도 좋고,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라도 좋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예컨대, MS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라도 좋다.
제1 보호 필름 또는 제2 보호 필름은, 윤활제, 가소제, 분산제,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적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제1 보호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5 ㎛ 이상 90 ㎛ 이하라도 좋다. 제2 보호 필름의 두께도 예컨대 5 ㎛ 이상 90 ㎛ 이하라도 좋다.
제1 보호 필름 또는 제2 보호 필름은, 위상차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이 광학 기능을 갖는 필름이라도 좋다.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연신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치가 부여된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은 접착층을 통해 편광자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보호 필름도 접착층을 통해 편광자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층은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계 접착제를 포함하여도 좋고,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됨으로써 경화하는 수지이다. 활성 에너지선은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또는 X선이라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라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1종의 수지라도 좋고, 복수 종류의 수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또는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시작하게 하기 위한 양이온 중합개시제 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옥세탄환을 갖는 화합물)이라도 좋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라도 좋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비닐계 화합물이라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필요에 따라서 양이온 중합촉진제, 이온트랩제, 산화방지제, 연쇄이동제, 점착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또는 용제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점착층은, 예컨대, 아크릴계 감압형 접착제, 고무계 감압형 접착제, 실리콘계 감압형 접착제 또는 우레탄계 감압형 접착제 등의 감압형 접착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점착층의 두께는 예컨대 2 ㎛ 이상 500 ㎛ 이하라도 좋다.
제3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제1 보호 필름 또는 제2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열거된 상기한 수지와 같아도 좋다. 제3 보호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5 ㎛ 이상 200 ㎛ 이하라도 좋다.
이형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제1 보호 필름 또는 제2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열거된 상기한 수지와 같아도 좋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5 ㎛ 이상 200 ㎛ 이하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동 장치는, 엔드밀만을 적층체의 모든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절삭 장치(100A)에 구비되는 이동 장치(8)는 엔드밀(6)만을 이동시키더라도 좋고, 마그넷 클램프(4)(대(4A))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1 이동 장치(8A)는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 및 제3 단부면(3C)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제2 이동 장치(8B)는 엔드밀(6)을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 및 제4 단부면(3D)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제1 이동 장치(8A)는 엔드밀(6)과 함께 제2 이동 장치(8B)도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 및 제3 단부면(3C)을 따라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또는, 제2 이동 장치(8B)가 엔드밀(6)과 함께 제1 이동 장치(8A)도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 및 제4 단부면(3D)을 따라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이동 장치는 대(마그넷 클램프)만을 적층체의 모든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삭 장치(100B)에 구비되는 이동 장치(8)는, 대(4A)(마그넷 클램프(4))만을 이동시키더라도 좋고, 엔드밀(6)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1 이동 장치(8A)는 대(4A)를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 및 제3 단부면(3C)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제2 이동 장치(8B)는 대(4A)를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 및 제4 단부면(3D)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제1 이동 장치(8A)는 대(4A)와 함께 제2 이동 장치(8B)도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 및 제3 단부면(3C)을 따라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또는, 제2 이동 장치(8B)가 대(4A)와 함께 제1 이동 장치(8A)도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 및 제4 단부면(3D)을 따라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이동 장치(8)는, 제1 이동 장치(8A) 및 제2 이동 장치(8B)에 더하여 추가로 다른 이동 장치를 포함하여도 좋다. 예컨대, 이동 장치(8)는, 대(4A) 및 엔드밀(6) 중 적어도 한쪽을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3 이동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좋다. 하나의 이동 장치(8)가 대(4A)(마그넷 클램프(4))를 둘러싸고 있어도 좋다. 환언하면, 엔드밀(6) 또는 대(4A)의 이동 경로는 대(4A)를 둘러싸는 닫힌 고리라도 좋다.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은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과 수직이 아니라도 좋다. 제3 적층체(3)의 제1 단부면(3A)은 제3 적층체(3)의 제3 단부면(3C)과 평행이 아니라도 좋다. 제3 적층체(3)의 제2 단부면(3B)은 제3 적층체(3)의 제4 단부면(3D)과 평행이 아니라도 좋다.
제3 적층체(3)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적층체(3)는 사각기둥 이외의 다각기둥이라도 좋다. 즉,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Z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XY면 방향)에 있어서의 제3 적층체(3)의 형상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이라도 좋다. 제3 적층체(3)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이라도 좋다. 즉, 제3 적층체(3) 적층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3 적층체(3)의 형상은 원 또는 타원이라도 좋다. 절결부가 형성된 복수의 제2 적층체를 중첩시킴으로써 제3 적층체(3)를 형성하여도 좋다. 제2 적층체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의 형상은, 예컨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라도 좋고, 반원 또는 반타원이라도 좋다.
대(4A)의 평탄한 표면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4A)의 표면 형상은,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3 적층체(3)의 형상과 서로 닮아도 좋다. 예컨대 대(4A)의 표면 형상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이라도 좋다. 판(4B)의 형상은 직방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4A)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판(4B)의 형상은,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3 적층체(3)의 형상과 서로 닮아도 좋다. 예컨대 판(4B)의 형상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이라도 좋다.
엔드밀(6) 또는 대(4A)는 제3 적층체(3)의 각 단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여도 좋다. 엔드밀(6) 또는 대(4A)는 제3 적층체(3)의 각 단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엔드밀(6) 또는 대(4A)를 제3 적층체(3) 중 어느 단부면에 대하여 평행이 아닌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3 적층체(3) 중 어느 단부면에 절결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판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판의 형상이란, 편광판의 수광면의 형상이라고 바꿔 말하여도 좋다. 편광판의 형상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이라도 좋다. 편광판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편광판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의 형상은, 예컨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라도 좋고, 반원 또는 반타원이라도 좋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판의 형상은 제3 적층체(3)를 구성하는 개개의 제2 적층체(2)의 형상과 다르더라도 좋다. 즉, 편광판의 형상은, 제3 적층체(3)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3 적층체(3)의 형상과 다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적층체의 단부면을 절삭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적층체의 단부면을 절삭하여도 좋다.
편광판이 구비하는 광학 필름(편광자에 겹치는 광학 필름)의 매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판이 구비하는 광학 필름의 매수가 1장이라도 좋다. 예컨대, 편광판은 제1 보호 필름 및 제2 보호 필름 중 어느 한쪽의 보호 필름을 갖추지 않아도 좋다.
이형 필름이 점착층을 통해 편광판의 양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편광판이 구비하는 광학 필름은, 반사형 편광 필름, 방현 기능을 갖춘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을 갖춘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광학보상층, 하드코트층, 터치센서층, 대전방지층 또는 방오층이라도 좋다. 모따기된 코너부가 이들 광학 필름 중 어느 것에 속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은, 예컨대, 액정 셀 또는 유기 EL 디바이스 등에 접착되어, 액정 텔레비전, 유기 EL 텔레비전 또는 스마트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 등)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으로서 적용된다.
2: 제2 적층체, 3: 제3 적층체, 3A: 제3 적층체의 제1 단부면, 3B: 제3 적층체의 제2 단부면, 3C: 제3 적층체의 제3 단부면, 3D: 제3 적층체의 제4 단부면, 100, 100A, 100B: 절삭 장치, 200: 비자기적 클램프를 갖춘 절삭 장치, 4: 마그넷 클램프, 4A: 대, 4B: 판, 6: 엔드밀(절삭 공구), 6A: 엔드밀의 측면, 8: 이동 장치, 8A: 제1 이동 장치, 8B: 제2 이동 장치, 8C: 제어부, 50: 비자기적 클램프, 50A: 제1 홀더, 50B: 제2 홀더, 50C: 제1 축부, 50D: 제2 축부.

Claims (6)

  1. 대와 상기 대의 표면에 면하는 판을 포함하고, 필름형의 편광자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자력에 의해서 상기 대와 상기 판의 사이에 고정하는 마그넷 클램프와,
    상기 적층체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절삭 공구와,
    상기 대 및 상기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절삭 장치로서,
    상기 적층체는, 제1 단부면과 상기 제1 단부면에 인접하는 제2 단부면을 갖는 사각기둥이고,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대 및 상기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1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장치와,
    상기 대 및 상기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2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 클램프는 축부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절삭 장치는 하나의 절삭 공구가 적층체의 모든 단부면을 따라서 순차 이동하는 것인, 절삭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가 엔드밀인 절삭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기재한 절삭 장치를 이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 및 상기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1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대와 상기 판의 사이에 고정된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1 단부면을 상기 절삭 공구로 절삭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 및 상기 절삭 공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2 단부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대와 상기 판의 사이에 고정된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단부면을 상기 절삭 공구로 절삭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가 엔드밀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180083336A 2017-07-20 2018-07-18 절삭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525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0873A JP6612294B2 (ja) 2017-07-20 2017-07-20 切削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JP-P-2017-140873 201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457A KR20190010457A (ko) 2019-01-30
KR102525402B1 true KR102525402B1 (ko) 2023-04-24

Family

ID=6518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336A KR102525402B1 (ko) 2017-07-20 2018-07-18 절삭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12294B2 (ko)
KR (1) KR102525402B1 (ko)
CN (1) CN109277613B (ko)
TW (1) TWI7850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8091B2 (ja) * 2019-02-14 2023-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257809B2 (ja) * 2019-02-20 2023-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切削加工された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7257810B2 (ja) * 2019-02-20 2023-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切削加工された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0181184A (ja) * 2019-03-14 2020-11-0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7335125B2 (ja) * 2019-10-15 2023-08-2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7335126B2 (ja) * 2019-10-15 2023-08-2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6997844B2 (ja) * 2019-11-14 2022-01-18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を加工する方法、加工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加工装置
KR20220156554A (ko) * 2020-03-25 2022-11-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관통구멍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관통구멍 형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2482A (ja) 2005-03-28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脆性材料加工用治具
JP2013200376A (ja) * 2012-03-23 2013-10-03 Sumitomo Chemical Co Ltd 端面加工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614218B1 (ko) * 2014-11-17 2016-04-21 김윤기 비자성체 가공용 마그네틱 연장지그, 이를 이용한 비자성체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CN106853589A (zh) 2017-01-20 2017-06-16 武汉凡谷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快换电磁夹具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3677B2 (ja) 1976-05-18 1983-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記憶消去装置
JPH11285924A (ja) * 1998-04-03 1999-10-19 Akazawa Kikai Kk 金型用加工システム
JP4359413B2 (ja) 2002-01-30 2009-11-04 住友化学株式会社 鏡面加工方法、面取り加工方法および鏡面加工装置、並びに積層フィルムの周縁仕上げ方法
JP2004148419A (ja) * 2002-10-29 2004-05-27 Nitto Denko Corp 積層シートの切削加工方法及び積層シート及び光学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5224935A (ja) * 2004-01-15 2005-08-25 Nitto Denko Corp 積層シートの切削加工方法及び切削加工装置、積層シート、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
US20050158136A1 (en) * 2004-01-15 2005-07-21 Nitto Denko Corporation Cutting method and cutting apparatus for layered sheet, layered sheet, optical element and image display
US20080266661A1 (en) * 2005-03-30 2008-10-30 Dai Nippon Printing Co., Ltd Polarizing Plate
CN1850403A (zh) * 2005-04-23 2006-10-25 胡心宇 倒角装置
JP5286818B2 (ja) * 2008-02-21 2013-09-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587218B (zh) * 2008-05-19 2010-12-08 达信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膜夹具
JP2013092766A (ja) * 2011-10-07 2013-05-1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CN202527982U (zh) * 2012-03-30 2012-11-14 无锡市雪通焊接机械有限公司 一种磁力吸盘铣边机
JP6437230B2 (ja) * 2013-09-04 2018-12-12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端面加工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6191904A (ja) * 2015-03-30 2016-11-1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KR102415944B1 (ko) * 2015-06-23 202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 유닛 및 기판 처리 장치
JP6630123B2 (ja) * 2015-11-12 2020-01-15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6899721B2 (ja) * 2016-07-22 2021-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6777316B2 (ja) * 2017-03-31 2020-10-28 株式会社Bbs金明 切削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2482A (ja) 2005-03-28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脆性材料加工用治具
JP2013200376A (ja) * 2012-03-23 2013-10-03 Sumitomo Chemical Co Ltd 端面加工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614218B1 (ko) * 2014-11-17 2016-04-21 김윤기 비자성체 가공용 마그네틱 연장지그, 이를 이용한 비자성체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CN106853589A (zh) 2017-01-20 2017-06-16 武汉凡谷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快换电磁夹具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85072B (zh) 2022-12-01
TW201908036A (zh) 2019-03-01
CN109277613A (zh) 2019-01-29
KR20190010457A (ko) 2019-01-30
JP2019018308A (ja) 2019-02-07
JP6612294B2 (ja) 2019-11-27
CN109277613B (zh)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402B1 (ko) 절삭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6861140B2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TWI778101B (zh) 偏光板的製造方法
TWI633346B (zh) 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CN111660352B (zh) 切削加工膜的制造方法
JP2023178287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WO2021029172A1 (ja) 偏光板
JP2024009307A (ja) 偏光子
TWI806817B (zh) 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WO2020095579A1 (ja) 偏光板
JP6968854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TWI710443B (zh) 切割墊、切割設備以及光學膜的切割方法
JP2020170175A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