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855B1 -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855B1
KR102524855B1 KR1020210111477A KR20210111477A KR102524855B1 KR 102524855 B1 KR102524855 B1 KR 102524855B1 KR 1020210111477 A KR1020210111477 A KR 1020210111477A KR 20210111477 A KR20210111477 A KR 20210111477A KR 102524855 B1 KR102524855 B1 KR 102524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ug
lifting lug
railway vehic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9228A (ko
Inventor
김주리
손종균
최영진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8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 전두부의 리프팅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무게 저감을 통해 취급을 간편하게 하며, 마모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로서, 상면에는 철도차량 전두부에 형성된 러그 결합부에 삽입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일측으로는요홈이 형성되는 삽입부와; 하단 양측면에 상기 삽입부의 일단 양측면과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리프팅용 걸쇠와 결합되는 고리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는 리프팅 핸들과; 상기 삽입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과, 상기 핀의 외경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 동작과 고정 해제 동작을 하는 걸이와, 상기 핀의 일단면에 체결되어 걸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잠금걸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LIFTING LUG FOR RAILROAD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 전두부의 리프팅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무게 저감을 통해 취급을 간편하게 하며, 마모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railway vehicles)은 선로인 레일 위를 운행하도록 제조된 것으로서, 차량의 종류가 달라도 그 기본구조는 차륜부(車輪部)·차대부(車臺部)·차체부(車體部) 및 부속장치로 모두 같게 되어 있다.
이러한 철도차량의 종류로는 기관차(증기·전기·디젤기관차)와 기관차로 견인·추진되는 객차(客車, passenger car, coach)와 화차(貨車, freight car) 및 동력장치를 갖춘 여객차(전차·디젤동차·터빈동차 등)와, 도로에 주행궤도를 설치하여 운행하는 트램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철도차량은 고장 등으로 운전할 수 없는 비상 상황 발생에 의하여 견인 또는 추진과 같은 구원(wrecking)이나, 철도차량의 차체와 대차를 조립하거나 또는 차체와 대차를 분리하여 점검하고자 할 경우,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한예로써,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리프팅 장치는 별도의 지그(17)를 차체(11a)의 바닥 양 측면에 좌우 한쌍씩 용접에 의해 장착하고, 이 지그(17)에 수직프레임(18) 및 수평프레임(19)을 차체(11a)의 바깥쪽으로 설치한 후, 프레임(18,19) 들의 상단에 가설된 와이어(20)를 로우트(21)에 설치된 후크(22)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리프팅 장치는, 차체(11a)의 바닥에 지그(17)를 일일이 용접하고 수평 및 수직프레임(18,19)들을 가설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차량(11)의 조립작업이나 점검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다시 지그(17)와 프레임(18, 19)들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리프팅 장치를 설치하거나 해체 작업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리프팅 및 비상구원시 전두부 리프팅 구조를 갖는 트램과 같은 철도차량이 없었으나, 전두부에 리프팅 러그의 삽입을 위한 리프팅 러그 삽입부를 형성한 트램을 개발함으로써, 상기 리프팅 러그 삽입부에 적합한 리프팅 러그를 개발하게 되었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5095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램의 전두부 리프팅 시 차체를 지지하고 하중에 버티도록 함과 동시에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이루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로서, 상면에는 철도차량 전두부에 형성된 러그 결합부에 삽입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일측으로는요홈이 형성되는 삽입부와; 하단 양측면에 상기 삽입부의 일단 양측면과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리프팅용 걸쇠와 결합되는 고리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는 리프팅 핸들과; 상기 삽입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과, 상기 핀의 외경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 동작과 고정 해제 동작을 하는 걸이와, 상기 핀의 일단면에 체결되어 걸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잠금걸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철도차량 전두부의 중량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중량을 줄이도록 삽입부의 상면에 불필요한 두께 부분의 제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 양측면으로는 제1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후단면으로는 제2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선단부의 상면은 두께가 얇으면서 두꺼워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선단부의 밑면은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면에 볼록한 아치 형태의 아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핸들은 삽입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있어서, 상기 핀은 일단 외주면에 체결을 위한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면 내측으로는 체결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체결을 위한 볼트와, 걸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프팅 러그를 구비하는 철도차량을 더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램 차량 전두부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구원작업이 쉬운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마모 또는 손상시 교체가 쉽고 유지보수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리발 구조로 인해 일반 비상 구원 차량(120kN 이상 제한)이용시, 응력을 분산시켜 구조적 안정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을 리프팅 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러그와 철도차량 전두부에 구비된 러그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전두부에 구비된 러그 결합부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러그가 러그 결합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걸이가 러그 고정핀에 걸려지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걸이가 러그 고정핀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러그가 러그 결합부에 삽입된 정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러그가 러그 결합부에 삽입된 측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B-B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러그를 이용하여 철도차량 전두부를 리프팅 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200)는, 삽입부(210)와 리프팅 핸들(220) 및 잠금걸이(2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10)는 오리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철도차량 전두부(300)에 형성된 러그 결합부(310)에 삽입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21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211)의 일측으로는 취급을 쉽게 하기 위해 요홈(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10)는 러그 결합부(310)에 삽입시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선단부의 상면은 두께가 얇으면서 두꺼워지게 경사면(sl)이 형성되고, 선단부의 밑면은 불필요한 두께 부분의 제거로 형성됨과 동시에 러그 결합부(310)에 삽입후 소정 거리 이상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co)이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러그(200)의 삽입부(210)는 리프팅 시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상면을 볼록한 아치 형태의 아치(ac)부로 형성함으로써, 위쪽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응력을 분산시켜 구조적 안정을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돌기(211)는 철도차량 전두부(300)에 형성된 러그 결합부(310)의 결합홈(311)에 삽입되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리프팅 시 전두부(300)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지지 포인트 중 하나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상기 요홈(212)은 철도차량 전두부(300)의 중량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중량을 줄이도록 삽입부(210)의 상면에 불필요한 두께 부분의 제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210)는 중간 부분 양측면으로 상기 잠금걸이(230)를 결합하기 위해 암나사(미도시)를 구비하는 제1 체결구멍(213)이 형성되고, 후단면으로는 상기 리프팅 핸들(220)을 결합하기 위해 암나사(미도시)를 구비하는 제2 체결구멍(2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삽입부(210)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200)의 무게 저감을 실현하여 작업자가 취급을 쉽게 하고, 운반과 이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핸들(220)은 하단 양측면에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221)이 형성되고, 리프팅 러그(200)의 운반이나 전두부(300)의 결합홈(311)에 삽입 시, 리프팅용 걸쇠(320)와 결합되어 운반과 삽입 동작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 핸들(220)에 형성된 결합구멍(221)으로는 볼트(222)를 관통시켜 리프팅 핸들(2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 핸들(220)은 고리 형태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후크와 슬링만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철도차량의 리프팅 시 후크에 중량물의 인양이나 하역작업(荷役作業)에 사용되는 매다는 기구인 스프레더(spreader)(미도시)를 추가하지 않고 후크와 슬링만으로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핸들(220)은 상기 삽입부(210)에 형성된 제2 체결구멍(214)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구멍(223a)을 갖는 도넛 형태의 브래킷(223)과, 상기 브래킷(223)을 관통하여 삽입부(210)의 제2 체결구멍(214)과 체결되는 볼트(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리프팅 핸들(220)과 삽입부(210)의 결합은, 상기 삽입부(210)에 형성된 제2 체결구멍(214)에, 브래킷(223)의 중앙부를 관통시킨 볼트(224)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23)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멍(223a)과 리프팅 핸들(220)에 형성된 결합구멍(221)을 일치시킨 후, 볼트(222)를 관통시켜 리프팅 핸들(220)을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 핸들(220)은 삽입부(2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마모 또는 손상시 쉽게 교체 가능하게 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걸이(230)는 상기 삽입부(2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231)과, 상기 핀(231)의 외경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 동작과 고정 해제 동작을 하는 걸이(232)와, 상기 핀(231)의 일단면에 체결되어 걸이(2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구(2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핀(231)은 일단 외주면에 소정의 길이로 상기 삽입부(210)의 제1 체결구멍(213)과 체결을 위한 수나사(231a)가 형성되고, 타단면 내측으로는 상기 체결구(233)와 체결을 위한 암나사(231b)가 형성된다.
또, 상기 체결구(233)는 상기 핀(231)의 암나사(231b)와 체결을 위한 볼트(233a)와, 상기 핀(231)과 볼트(233a)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력을 높이고 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걸이(2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233b)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잠금걸이(230)는 상기 삽입부(210)에 결합과 분리를 쉽게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단품의 마모나 손상시 수리, 교체 등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이(232)를 다양한 크기와 타입으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작업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 전두부(300)의 버퍼 빔(buffer beam)(미도시) 양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러그(200)와의 결합을 위한 러그 결합부(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러그 결합부(310)는 내부 일측에 본 발명에 따른 지지돌기(211)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311)이 구비되고, 외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232)가 걸려질 수 있는 러그 고정핀(312)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리프팅 러그(200)를 구비하는 철도차량(미도시)을 더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도차량(미도시)을 조립하거나 혹은 차량기지 내에서 철도차량의 점검시에 차체와 대차를 분리하거나, 레일의 훼손이나 철도차량의 고장 발생시 비상복구를 위해 철도차량을 들어올리고자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200)를 철도차량 전두부(300)의 러그 결합부(310)에 삽입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리발 형상의 삽입부(210)를 5°∼10° 정도 경사를 이루도록 기울여 철도차량 전두부(300)의 러그 결합부(310)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부(210)의 지지돌기(211)가 걸리지 않고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5°∼10° 정도 경사를 이루도록 기울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돌기(211)는 러그 결합부(310)의 결합홈(311)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리프팅 시 전두부(30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러그(200)의 삽입부(210)를 러그 결합부(310)에 삽입 후, 러그 결합부(310)의 외부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러그 고정핀(312)과, 본 발명에 따른 걸이(232)가 일직선이 될 때까지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걸이(232)를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러그 고정핀(312)에 걸어 고정한다.
이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미도시)과 철도차량 전두부(300)를 이어줄 리프팅용 걸쇠(320)를 리프팅 핸들(220)에 체결한다.
그리고,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철도차량 전두부(300)를 리프팅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철도차량 전두부의 리프팅 시 전두부를 쉽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유지보수 작업도 간단하고 저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200 :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210 : 삽입부
211 : 지지 돌기주 212 : 요홈
213 : 제1 체결구멍 214 : 제2 체결구멍
sl : 경사면 co : 걸림턱
ac : 아치부 220 : 리프팅 핸들
221 : 결합구멍 222 : 볼트
223 : 브래킷 223a : 체결구멍
224 : 볼트 230 : 잠금걸이
231 : 핀 231a : 수나사
231b : 암나사 232 : 걸이
233 : 체결구 233a : 볼트
233b : 와셔 300 : 전두부
310 : 러그 결합부 311 : 결합홈
312 : 러그 고정핀

Claims (9)

  1.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로서,
    상면에는 철도차량 전두부에 형성된 러그 결합부에 삽입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일측으로는 요홈이 형성되는 삽입부와;
    하단 양측면에 상기 삽입부의 일단 양측면과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리프팅용 걸쇠와 결합되는 고리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는 리프팅 핸들과;
    상기 삽입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과, 상기 핀의 외경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 동작과 고정 해제 동작을 하는 걸이와, 상기 핀의 일단면에 체결되어 걸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잠금걸이;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철도차량 전두부의 중량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중량을 줄이도록 삽입부의 상면에 불필요한 두께 부분의 제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 양측면으로는 제1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후단면으로는 제2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선단부의 상면은 두께가 얇으면서 두꺼워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선단부의 밑면은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면에 볼록한 아치 형태의 아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핸들은 삽입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일단 외주면에 체결을 위한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면 내측으로는 체결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체결을 위한 볼트와, 걸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9. 제1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프팅 러그를 구비하는 철도차량.
KR1020210111477A 2021-08-24 2021-08-24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KR10252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77A KR102524855B1 (ko) 2021-08-24 2021-08-24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77A KR102524855B1 (ko) 2021-08-24 2021-08-24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228A KR20230029228A (ko) 2023-03-03
KR102524855B1 true KR102524855B1 (ko) 2023-04-21

Family

ID=8551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77A KR102524855B1 (ko) 2021-08-24 2021-08-24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8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781A (ja) 2000-11-21 2002-05-28 Naniwa Tekko Kk 揺動連結具
JP2007126255A (ja) 2005-11-04 2007-05-24 Nippon Clamp Kk 吊り具
KR100836285B1 (ko) 2006-12-13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크구조
JP2016013896A (ja) 2014-07-02 2016-01-28 イーグルクランプ株式会社 穴吊り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488B1 (ko) 2003-11-26 2005-12-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경량전철 차량의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781A (ja) 2000-11-21 2002-05-28 Naniwa Tekko Kk 揺動連結具
JP2007126255A (ja) 2005-11-04 2007-05-24 Nippon Clamp Kk 吊り具
KR100836285B1 (ko) 2006-12-13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크구조
JP2016013896A (ja) 2014-07-02 2016-01-28 イーグルクランプ株式会社 穴吊り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228A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1060B2 (en) Air brake hose support bracket
US8920083B2 (en) Rail and truck tower transport system
EA024012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интермодально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оезда
CN207711733U (zh) 一种集装箱运输公铁两用车
US9366361B2 (en) Air hose hanger for a rail way vehicle
CN102295012A (zh) 一种钩舌及包括该钩舌的铁道车辆
CN109664903B (zh) 铁路多功能平车
CN104169156A (zh) 具有可翻开的车厢侧壁的货运车厢
WO2017092541A1 (zh) 公铁联运车用承载连接装置
KR102524855B1 (ko) 철도차량용 리프팅 러그
CN103448744B (zh) 铁道货车车体与转向架吊运连接装置
CN201694200U (zh) 一种钩舌及包括该钩舌的铁道车辆
CN201999007U (zh) 铁路车辆用固定车钩
JP7110949B2 (ja) 鉄道車両の車体吊り上げ方法
CN112896217B (zh) 一种轨道平车起吊装置
JP2020521665A (ja) 溶接されたロングレールを運搬するための装置
RU153119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боковой рамы с колесной парой в тележке грузового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CA2809081C (en) Assembly for extendable rail-supported vehicle coupler
US9114815B2 (en) Assembly for extendable rail-supported vehicle coupler
CN203450135U (zh) 铁道货车车体与转向架吊运连接装置
RU2746418C1 (ru) Надрессорная балка тележ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CN216105612U (zh) 一种轨道平车起吊装置
JP2007203917A (ja) 鉄道車両用の台車分離防止装置
CN218988555U (zh) 一种煤矿单轨吊用固定车箱式矿车
JP4685413B2 (ja) 鉄道用搬送台車の車輪受部材への故障車輪の搭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