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455B1 -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455B1
KR102524455B1 KR1020177037007A KR20177037007A KR102524455B1 KR 102524455 B1 KR102524455 B1 KR 102524455B1 KR 1020177037007 A KR1020177037007 A KR 1020177037007A KR 20177037007 A KR20177037007 A KR 20177037007A KR 102524455 B1 KR102524455 B1 KR 10252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mold
spectacle lens
resi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120A (ko
Inventor
아츠시 나가오
히로아키 와타나베
신고 오노
히로시 우에노
Original Assignee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1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D11/0096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38Fee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2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individual droplets, e.g. from je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29D11/00442Curing the len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28Consisting of two mould halves joined by an annular gas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803/00 - B29K2807/00, as mould material
    • B29K2909/08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면 형상이 양호한 정밀도로 얻어지고, 렌즈형 가공에 의해 낭비되는 부분이 적고, 렌즈형 가공의 수고가 적은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은, 렌즈 재료(열경화성 수지 재료)를 충전하는 렌즈 형틀(42)과, 경화 가능한 유동성 수지를 토출하는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3차원 프린터(18))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렌즈 형틀(42)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유동성 수지를 토출하여 형성한다. 상기 렌즈 형틀(42)은, 후면(21a)이 안경 렌즈(50)의 전면을 규정하는 전측 렌즈 형틀(21)과, 전면(24a)이 안경 렌즈(50)의 후면을 규정하는 후측 렌즈 형틀(24)과, 내면이 안경 렌즈(50)의 측주를 규정하는 측주 렌즈 형틀(33)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적어도 상기 측주 렌즈 형틀(33)의 내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본 발명은,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경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제조 장치에서는, 외형이 원형인 세미 피니시 렌즈(둥근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이나 안구측의 면을 NC(Numerical Control, 수치 제어) 가공함으로써, 구면 도수(S 도수)를 비롯한 처방값에 적합한 안경 렌즈가 제조된다. 제조된 안경 렌즈의 외형은, 안경점 등에 있어서, 안경테에 장착하기 위해, 둥근 렌즈보다 작은 물방울형 등의 렌즈형(lens shape)으로 가공된다.
안경테에 안경 렌즈를 넣어 안경을 제조하는 경우, 안경테의 렌즈를 끼우는 부분(림)의 형상이 다양하며, 또한 광학적 기능의 발휘를 위해 안경 렌즈의 광학 중심과 착용자의 동공 위치(아이 포인트)가 일치하거나 혹은 프리즘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아이 포인트가 안경 렌즈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는 바, 아이 포인트는 착용자에 따라서 다양한 점에서, 림 형상과 아이 포인트의 정보를 얻어 둥근 렌즈를 렌즈형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안경 렌즈의 제조 장치에서는, 처방값에 적합한 안경 렌즈가, 세미 피니시 렌즈의 가공에 의해, 그 재고가 적은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안경 렌즈는 둥근 렌즈로서 제조되기 때문에, 안경테에 넣기 위한 외형의 렌즈형 가공에 손이 많이 가고, 렌즈형 가공 시에 둥근 렌즈로부터 깎이는 부분이 낭비된다.
따라서, 하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광학 구조용의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외형이 렌즈형이며 물체측의 면 형상이나 안구측의 면 형상이 처방값에 적합한 안경 렌즈를, 자외선(UV)에 의해 경화되는 잉크의 액적의 퇴적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10-175149호 공보 일본 공표특허 특표2014-50293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프린터에 의해 제조되는 안경 렌즈는, 잉크 액적의 퇴적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현상(現狀) 요구되는 성능을 가지는 렌즈형의 안경 렌즈가 되지는 않는다.
즉, UV로 경화하는 현실적인 비용의 잉크에 있어서, 안경 렌즈로서 충분한 투명성이나 투과율 등(광학적 성능), 혹은 강도나 경도나 내구성 등(물리적 성능)을 경화 후에 가지는 것이 거의 없다. 또한, 현상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그다지 미세하지 않아, 경화 후의 물체측의 면이나 안구측의 면 등이 까칠까칠하므로, 이들 면 등에 연마를 실시하지 않으면 안경 렌즈로서 이용할 수 없는 바, 경화 후에 있어서 각종 성능을 보지(保持)하면서의 충분한 가공에 견딜 잉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 형상이 양호한 정밀도로 얻어지고, 렌즈형 가공에 의해 낭비되는 부분이 적어, 렌즈형 가공의 수고가 적은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렌즈 재료를 충전하는 렌즈 형틀과, 경화 가능한 유동성 수지를 토출하는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렌즈 형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유동성 수지를 토출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 형틀은, 후면이 안경 렌즈의 전면을 규정하는 전측 렌즈 형틀과, 전면이 안경 렌즈의 후면을 규정하는 후측 렌즈 형틀과, 내면이 안경 렌즈의 측주(側周)를 규정하는 측주 렌즈 형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적어도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윤곽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윤곽 형상 데이터 취득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윤곽 형상 데이터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윤곽 형상 데이터는, 발주자측 컴퓨터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윤곽 형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형상에 대하여, 안경 렌즈가 되는 부분 대신에 보지하기 위한 핸들링부의 형상을 부가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를 넣는 안경테의 테두리 형상을 나타내는 테두리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테두리 형상 데이터 취득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테두리 형상 데이터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형상 데이터는, 발주자측 컴퓨터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 형틀 및 상기 후측 렌즈 형틀 중 적어도 일방은, 유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재료는, 열경화성 수지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3차원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수지 토출 디스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는, 자외선 경화 수지이고, 상기 경화 수단은, 자외선 조사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는, 열경화 수지이고, 상기 경화 수단은, 가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는, 토출 후에 있어서의 성분의 변화에 의해 경화되는 자연 경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면 형상이 양호한 정밀도로 얻어지고, 렌즈형 가공에 의해 낭비되는 부분이 적어, 렌즈형 가공의 수고가 적은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형태와 관련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측주 렌즈 형틀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렌즈 형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의 전면도이다.
도 5는 윤곽 형상 데이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안경 렌즈의 테두리 형상으로서 (a) 약연(藥硯) 형상, (b) 홈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의 동작예와 관련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측주 렌즈 형틀의 변경예와 관련된 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형태와 관련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디스펜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점성 수지 토출 수단 내지 렌즈 형틀의 종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형태의 예가, 적절히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형태]
≪구성 등≫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와 관련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은, 렌즈형 형상, 혹은 둥근 렌즈보다 렌즈형 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제의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경 렌즈 메이커(수주자측)에 설치되는 서버 컴퓨터(서버)(2)와, 서버(2)와 인터넷 등을 개재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각각 발주자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말 컴퓨터(단말)(4, 4‥)를 가지고 있다. 서버(2)와 각 단말(4)의 사이에서는, 처방 데이터(6) 등이 송수신 된다. 각 단말(4)은, 발주자측 컴퓨터이다.
또한, 단말(4)은, 1대여도 된다. 또한, 단말(4)이 생략되어도 되고, 단말(4)의 대수에 관계없이 서버(2)에 대하여 발주자측으로부터 팩시밀리 등에 의해 얻은 처방 데이터(6) 등이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단말(4)이 생략된 경우, 서버(2) 등이 단말(4)의 기능을 담당한다.
서버(2)는, 처방 데이터(6)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 수단(10)과,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통신 수단(12) 및 접속 수단(13)과, 이들을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제어 수단(14)을 가지고 있다.
서버(2)에는,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와,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으로서의 3차원 프린터(18)와, 렌즈 경화 장치(19)와, 다듬질 절삭 장치(20)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서버(2)와 일체가 되어도 되고, 이들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일체가 되어도 된다. 또한,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 3차원 프린터(18), 렌즈 경화 장치(19) 및 다듬질 절삭 장치(2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 설치되도록 하는 등, 서버(2)를 포함한 이들 장치의 개수의 비율이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서버(2)가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와 접속되고,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가 3차원 프린터(18)와 접속되며, 3차원 프린터(18)가 렌즈 경화 장치(19)와 접속되고, 렌즈 경화 장치(19)가 다듬질 절삭 장치(20)와 접속되도록 하는 등, 서버(2)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른 접속 형태가 되어도 된다.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는, 각종의 전측 렌즈 형틀(21)이 저장되는 전측 렌즈 형틀 스토커(22)와, 각종의 후측 렌즈 형틀(24)이 저장되는 후측 렌즈 형틀 스토커(26)와,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에 의거하여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을 선정하여 전측 렌즈 형틀 스토커(22)나 후측 렌즈 형틀 스토커(26)로부터 취출하는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수단(28)과, 접속 수단(29)과,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30)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31)을 가지고 있다.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수단(28)은, 예를 들면 로봇 핸드이다. 또한,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은, 모두 유리제이지만, 다른 재질의 것이 이용되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질의 것이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물체에 가까운 측이 앞이며, 안구에 가까운 측이 뒤인 것으로 하고 있다.
3차원 프린터(18)는, UV로 경화하는 액체 수지를 UV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의거하는 형상의 측주 렌즈 형틀(33)(도 2)을 형성하는 것이다. 3차원 프린터(18)는, 액체 정량 토출 수단(34)과, 예를 들면 UV 발광 LED인 경화 수단으로서의 UV 조사 수단(35)과, 접속 수단(36)과, 각종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37)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38)을 가지고 있다. 액체 정량 토출 수단(34)에서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의거하여 정량된 액체 수지가 UV 조사 수단(35)에 의해 UV가 조사되면서 토출되고, 경화된 액체 수지의 퇴적물이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따른 형상이 되어 측주 렌즈 형틀(33)이 된다.
또한, 3차원 프린터(18)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액체를 토출하는 것 등을 이용해도 되고, 요컨대 액체 정량 토출 수단(34)에 의해 각종의 형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체(잉크)가 순차 정량으로 토출되어 퇴적됨과 함께 경화 수단(UV 조사 수단(35)이나 가열 수단)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어도 된다. 경화 수단에 의한 액체의 경화는, 토출 시여도 되고, 퇴적 시(부착 시)여도 되며, 토출(퇴적) 시에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여도 된다. 경화 수단은, 3차원 프린터(18)(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와는 다른 장치에 배치되어도 되고, 별개의 독립된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3차원 프린터(18)는, 적층 조형을 행하는 것(적층 조형 수단)이면, 액체를 적층하여 경화시키는 것 이외의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테이블 상에 층 형상으로 빈틈없이 깐 금속 분말(고체)에 대하여 형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레이저를 조사하여 조사 부분만을 (예를 들면 수십 미크론 정도의 두께로) 용융 응고시키고, 또한 그 위에 금속 분말을 층 형상으로 빈틈없이 깔아 마찬가지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적절히 이들을 (예를 들면 수천회) 반복함으로써 금속의 구조물(측주 렌즈 형틀(33))을 얻는 3차원 금속 적층 조형 장치여도 된다. 또한, 3차원 프린터(18)는, 액체를 적층하여 경화시키는 것과 3차원 금속 적층 조형 장치를 조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게다가, 액체 수지는, 점성이 높은 수지 등이어도 되고, 요컨대 유동성이 있는 수지인 유동성 수지가 이용되면 된다.
또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는, 3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되고, 후자의 경우, 종횡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종횡으로 수직인 두께에 대해서는 일정 두께 등 미리 정해진 분포를 가지는 것이 되어도 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렌즈를 통상 착용 시와 같이 세운 경우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이 X축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이 Y축 방향으로 되어 있고,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렌즈의 두께 방향)이 Z축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X축 방향에 있어서, 렌즈의 전방을 향해 서서 우측 방향이 정의 방향이 되고, 착용자에게 있어서 우측 방향은 X축의 부의 방향이 된다. 또한, Y축 방향에 있어서, 렌즈의 전방을 향해 서서 상측 방향이 정의 방향이 되고(착용자에게 있어서도 동일), Z축 방향에 있어서, 후측 방향이 정의 방향으로 되어 있다. 각종 축이나 그 정방향의 취하는 방법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에 의해 취출된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3차원 프린터(18)로 측주 렌즈 형틀(33)이 형성되고,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이 측주 렌즈 형틀(33)에 접촉한 렌즈 형틀(42)(도 3)이 형성된다.
또한, 렌즈 형틀(42)에 있어서의 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 및 측주 렌즈 형틀(33) 중 적어도 2개를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나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접착제 등의 렌즈 형틀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도 되고, 그 렌즈 형틀 고정 수단은,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나 3차원 프린터(18)에 설치되거나 혹은 독립하여 설치된 렌즈 형틀 고정 수단 부착 장치에 의해 렌즈 형틀(42)에 부착되어도 되고, 수동으로 부착되어도 된다. 또한, 측주 렌즈 형틀(33)이 점성이나 접착성을 가지도록 (경화 후 점성이나 접착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되어, 전측 렌즈 형틀(21)이나 후측 렌즈 형틀(24)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해도 되며,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 중 적어도 일방이 점성이나 접착성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
렌즈 경화 장치(19)는, 렌즈 형틀(42)에 있어서의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 및 측주 렌즈 형틀(33)에 둘러싸인 부분에 렌즈 재료로서의 열경화성 수지 재료를 충전하는 렌즈 재료 충전 수단으로서의 수지 재료 충전 수단(43)과, 열경화성 수지 재료가 충전된 렌즈 형틀(42)에 대하여, 수지 재료의 종류 등에 따른 소정의 양태(온도·시간 등)로 열을 가해 열경화성 수지 재료를 경화시키는 렌즈 경화 수단(44)과, 열경화성 수지 재료가 렌즈 형틀(42) 내에서 경화됨으로써 형성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도 4)를 렌즈 형틀(42)로부터 떼어내는 이형 수단(46)과, 접속 수단(47)과, 각종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48)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49)을 가지고 있다. 렌즈 경화 수단(44)은 예를 들면 히터를 구비한 챔버이며, 이형 수단(46)은 예를 들면 로봇 핸드이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 재료 대신에 예를 들면 UV 경화 수지 재료와 같은 다른 렌즈 재료를 이용해도 되고, 열경화성 수지 대신에 예를 들면 UV 경화 수지와 같은 다른 플라스틱을 이용해도 된다.
다듬질 절삭 장치(20)는, 렌즈형의 안경 렌즈(50)(도 4 참조)의 윤곽 형상 데이터(51)(도 5)나, 렌즈형의 안경 렌즈의 측주면인 테두리 형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테두리 종류 데이터(52) 등의 각종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53)과,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절삭하는 절삭 수단(54)과, 접속 수단(56)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58)을 가지고 있다. 절삭 수단(54)은, 예를 들면 NC 제어되는 숫돌 및 척이며,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외형이 윤곽 형상 데이터(51)에 의거하는 형상이 되도록 절삭하여, 안경 렌즈(50)가 되도록 한다.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는, 안경 렌즈(50)가 되는 부분과, 그 부분에 부가된 막대 형상의 핸들링부(45a)를 가진다.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는, 핸들링부(45a)를 쥠으로써, 안경 렌즈(50)가 되는 부분에 접촉하지 않고 안경 렌즈(50)가 되는 부분 대신에 보지(保持)할 수 있고, 핸들링부(45a)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제작 후의 공정에 있어서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취급용으로서 설치된다.
각 단말(4)은, 처방 데이터(6)를 비롯한 각종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 수단(60)과,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통신 수단(62) 및 접속 수단(63)과, 이들을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제어 수단(64)을 가지고 있다.
각 단말(4)에는, 처방 데이터(6)나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66), 및 윤곽 형상 데이터(51)(특히 좌우를 구별하는 경우 착용자가 볼 때 좌측의 윤곽 형상 데이터(51L), 우측의 윤곽 형상 데이터(51R)로 하고 이하 동일)를 입력하는 윤곽 형상 입력 수단(68)이, 서버(2)에 대한 3차원 프린터(18) 등과 같이, 각각 접속 수단(69, 70)을 개재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입력 수단(66)은,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혹은 키보드, 터치패널,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나 처방 데이터(6)의 입력을 그 조작에 의해 접수하고, 접속 수단(69)을 통하여 단말(4)에 송신한다.
처방 데이터(6)는, 예를 들면 S 도수, 난시 도수(C 도수), 난시축, 가입도(addition), 프리즘, 테두리 두께, 컬러, 동공간 거리이다. 또한, 처방 데이터(6)는 좌우 개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절히 좌우 공통의 것 또는 단일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는, 안경 렌즈(50)의 테두리의 단면이 Λ자 형상(삼각 형상)으로 돌출된 약연 형상(T)(도 6의 (a))을 가지는 것이면 그 돌출 높이나 정점의 전면 주연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T-1, T-2 등으로 하고, 단면이 U자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홈 형상(K)(도 6의 (b))을 가지는 것이면 그 깊이나 최심부(最深部)의 전면 주연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K-1, K-2 등으로 하고, 단면이 평평(평평 세공)하면 H-1, H-2 등으로 한다. 예를 들면,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는, T-1이면, 0.7밀리미터(mm)의 돌출 높이를 가지고, 전면 주연으로부터 1.0mm의 수평 거리를 가지는 위치에 정점을 가지는 약연 형상을 나타내고,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는, K-1이면, 0.6mm의 깊이를 가지며, 전면 주연으로부터 1.0mm의 수평 거리를 가지는 위치에 최심부를 가지는 소정 폭의 홈의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는, 테두리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약연 형상 등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해도 되고, 이 경우,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의 약연 형상에 대해 D-1, D-2 등으로 해도 되며, 삼각 형상의 약연을 T-a-1로서 사다리꼴 형상의 약연 형상을 T-b-1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는, 좌우 개별 취득되어도 된다.
윤곽 형상 입력 수단(68)은, 안경 렌즈(50)의 렌즈형의 윤곽을 나타내는 윤곽 형상 데이터(51)의 입력을 접수한다.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윤곽 형상 입력 수단(68)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접속 수단(70)을 통하여 단말(4)에 송신된다. 윤곽 형상 입력 수단(68)은, 예를 들면, 안경테(F)와 관련된 좌우의 림 내주 형상을 프로브의 주사에 의해 윤곽 형상 데이터(51)로서 데이터화하는 안경테 트레이서이다. 안경 렌즈(50)는, 안경테(F)의 림에 장착하기 위해, 림 형상(림 내주 형상)에 대응하는 렌즈형으로 형성된다.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안경테(F)의 림 내주 형상에 관한, 소정의 원점에 대한 소정 수의 좌표 취득점(예를 들면 100점)의 XY 좌표값의 집합이다. 인접하는 좌표 취득점은, 원점 혹은 그 밖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각도가 되도록 선택된다. 또한, 윤곽 형상 데이터(51)에는, 아이 포인트(E)(XY 평면 상에 투영한 착용 시의 동공 위치, 안경 렌즈(50)의 광학 중심(C)에 합치시킴)의 좌표값이 포함된다.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약연 형상의 정점이나 홈 형상의 최심부나 평평 세공부의 윤곽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취득되지만, 안경 렌즈(50)의 전면(혹은 후면)의 윤곽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취득되어도 된다. 안경 렌즈(50)의 렌즈형(안경테(F) 장착 시의 외형)은, 윤곽 형상 데이터(51)로 나타나는 윤곽 형상과,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로 나타나는 테두리 형상(측주 단면 형상)에 의해 나타난다. 림 리스(투 포인트)와 같이 고리 형상의 림이 없는 안경테(F)나, 반무테와 같이 안경 렌즈(50) 장착 전에 있어서 고리 형상의 림이 없는 안경테(F)의 경우,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원하는 안경 렌즈(50)의 렌즈형을 나타내는 더미의 림(혹은 더미의 렌즈형 렌즈)을 안경테 트레이서에 주사시킴으로써 얻어도 된다. 또한, 고리 형상의 림의 유무에 관계없이,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입력 수단(66)이나, 도면에 기재된 형상을 판독하는 스캐너로부터 입력되어도 되고, 기존의 것을 선택함으로써 입력되어도 된다.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림 내주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얻어도 된다. 즉,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안경테(F)의 림 형상에 완전히 합치하지 않아도 된다.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도, 마찬가지로 안경테(F)의 림 형상에 완전히 합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좌표 취득점은, 인접하는 것이 각각 등거리 혹은 동일한 형상 길이가 되도록 선택되어도 된다. 또한,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좌우 개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방만이 취득되고, 그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방의 윤곽 형상 데이터(51)가 Y축에 대칭인 형상으로서 연산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Z축 좌표값도 포함하는 3차원의 좌표값의 집합이 되어도 된다. 게다가 또한, 윤곽 형상 입력 수단(68)으로 테두리 종류 데이터(52)가 검지되도록 해도 되고, 테두리 종류 데이터(52) 대신에, 혹은 이것과 함께, 안경테 트레이서로 테두리에 대응하는 안경테(F)의 림 형상(약연에 대응하는 홈이나 홈에 대응하는 돌기 등의 형상)을 데이터화하여 당해 테두리 형상 데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윤곽 형상 데이터(51)와 테두리 종류 데이터(52)(혹은 테두리 형상 데이터)를 공통화하여, 안경 렌즈(50)의 렌즈형을 나타내는 렌즈형 데이터로 해도 된다.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를 생략하고, 이미 결정된 단면 형상의 테두리로 다듬질하도록 해도 된다. 게다가, 아이 포인트(E)는, 윤곽 형상 데이터(51)가 아닌, 처방 데이터(6) 등으로서 취급되어도 된다. 또한, 아이 포인트(E)가 좌표 취득점 등의 원점인 것으로서 처리되어도 된다. 윤곽 형상 데이터(51) 등과 관련된 연산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단말(4)에 있어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안경테 트레이서가(메이커에 있어서) 서버(2)에 접속되고, 안경테(F)가 서버(2)측(메이커)으로 보내져 안경테 트레이서에 세팅되어, 윤곽 형상 데이터(51)가 서버(2)에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동작 등≫
도 7은,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의 동작예와 관련된 플로우 차트이다. 각 장치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그 제어 수단의 동작이, 적절히 그 장치의 동작으로서 설명된다. 예를 들면, 서버(2)의 제어 수단(14)의 동작이, 서버(2)의 동작으로서 적절히 설명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처리의 단계가 적절히 S라고 기재된다. 단계는, 적절히 동등한 처리를 행하는 다른 1 이상의 단계로 변경되어도 되고, 적절히 순서가 교체되어도 된다.
안경점을 비롯한 발주자측에 배치된 단말(4)은, 입력 수단(66)으로부터 처방 데이터(6)나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를 수신한다(S1). 예를 들면, 처방 데이터(6)로서 S 도수 -3.00 및 테두리 두께 5.0mm가 입력되고,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로서 T-1이 입력된다.
또한, 윤곽 형상 입력 수단(68)에 안경테(F) 등이 세팅되어 윤곽 형상 데이터(51)가 취득되고, 단말(4)은 윤곽 형상 데이터(51)를 수신한다(S2). 예를 들면, 윤곽 형상 데이터(51R)로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단말(4)은, 처방 데이터(6), 윤곽 형상 데이터(51), 및 테두리 종류 데이터(52)의 세트를, 다른 세트와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를 부여한 후에 기억한다. 그리고, 단말(4)은, 발주 승인의 입력을 받으면, 이들 데이터나 식별 기호를, 서버(2)에 송신한다(S3). 윤곽 형상 데이터(51)를 취득하는 단말(4) 및 윤곽 형상 입력 수단(68) 및 서버(2)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윤곽 형상 데이터 취득 수단을 구성하고,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를 취득하는 단말(4) 및 입력 수단(66) 및 서버(2) 중 적어도 어느 것은 테두리 형상 데이터 취득 수단을 구성한다.
서버(2)는, 처방 데이터(6), 윤곽 형상 데이터(51), 및 테두리 종류 데이터(52)의 세트를 수신하면, 식별 기호마다 기억한다(S4).
그리고, 서버(2)는, 처방 데이터(6)로부터,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를 연산하고,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로 송신한다(S5). 예를 들면, S 도수 -3.00에 의해, 안경 렌즈(50)의 굴절률이 1.60인 것을 전제로 하여, 후면(21a)(도 3)의 곡률 반경이 200.00mm인 전측 렌즈 형틀(21)과, 전면(24a)(도 3)의 곡률 반경이 100.00mm인 후측 렌즈 형틀(24)이 선정되는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은, 안경 렌즈(50)의 전면을 규정하고, 후측 렌즈 형틀(24)의 전면(24a)은, 안경 렌즈(50)의 후면을 규정한다. 서버(2)는, S 도수마다,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의 곡률 반경과 후측 렌즈 형틀(24)의 전면(24a)의 곡률 반경의 세트(전후 렌즈 형틀의 종류)를 데이터 베이스로서 기억하고 있으며, 처방 데이터(6)의 S 도수에 의거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액세스하여,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를 얻는다. 또한,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의 연산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에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처방 데이터(6)는 안경 렌즈(50)의 재료에 관한 재질 데이터를 포함해도 되고, 서버(2)는, 그 재질 데이터로 나타나는 재료에 의해 안경 렌즈(50)를 제작한 경우의 굴절률을 가미하여,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를 얻어도 된다. 재질 데이터는, 굴절률이나 투과율 등의 재료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되어도 된다. 또한, 재질 데이터는, 처방 데이터(6)(S 도수 등)로부터 연산되어도 된다.
또한, 서버(2)는, 처방 데이터(6), 윤곽 형상 데이터(51), 및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로부터,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를 연산하고, 3차원 프린터(18)에 송신한다(S6). 또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의 연산의 일부 또는 전부는, 3차원 프린터(18)에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서버(2)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의 베이스 형상 데이터로서, 도 5와 같은 윤곽 형상 데이터(51)에 대응하는 내면을 가지고, 이 내면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직경 방향 외방으로 오프셋된 외면을 가지며, 처방 데이터(6)의 테두리 두께에 대응한 두께를 가지는 링 형상 데이터를 연산한다. 당해 베이스 형상 데이터에는, 아이 포인트(E)도 포함된다. 또한, 서버(2)는, 처방 데이터(6)의 테두리 두께 대신에, S 도수 혹은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가 나타내는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의 곡률 반경과 후측 렌즈 형틀(24)의 전면(24a)의 곡률 반경을 참조하여,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의 베이스 형상 데이터의 두께(분포)를 산출해도 되고, S 도수 등과 테두리 두께의 쌍방을 참조하여 한층 정확한 두께(분포)의 데이터를 연산해도 된다.
또한, 서버(2)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의 핸들링부 형상 데이터로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둔 X축을 따른 2개의 띠 형상 부분의 미리 연산해 둔 결과를 참조함과 함께, 두께에 대해 베이스 형상 데이터와 동일하게 연산한다. 그리고, 서버(2)는, 핸들링부 형상 데이터를 베이스 형상 데이터의 소정 위치에 접속하도록 부가한다.
또한, 서버(2)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의 베이스 형상 데이터의 내면에 대해, 테두리 종류 데이터(52)가 나타내는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는 면 형상으로 바꾼다. 테두리 종류 데이터(52)가 T-1이면, 그 약연 형상에 맞는 오목부를 연산한다. 즉, 서버(2)는, 원래의 내면의 데이터를, 전면 주연으로부터 1.0mm의 수평 거리를 가지는 위치에 0.7mm의 최심부를 가지는 약연 홈의 형상 데이터를 가미한 것으로 변경한다.
또한, 서버(2)는, 윤곽 형상 데이터(51)와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를, 다듬질 절삭 장치(53)에 송신한다(S7). 또한, 서버(2)에서 행해지는 연산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단말(4)을 비롯한 다른 장치에서 행해져도 된다.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를 수신한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는, 이것을 기억하여 참조하고,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수단(28)에 의해,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에 의해 나타나는 종류의 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을 전측 렌즈 형틀 스토커(22), 후측 렌즈 형틀 스토커(26)로부터 선정하여,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반송 수단에 의해 3차원 프린터(18)에 반송한다(S8). 상기 예시의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이면, 후면(21a)의 곡률 반경이 200.00mm인 전측 렌즈 형틀(21)과, 전면(24a)의 곡률 반경이 100.00mm인 후측 렌즈 형틀(24)이 선정된다.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를 수신함과 함께, 이것에 대응하는 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을 수취한 3차원 프린터(18)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의거하여,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과 후측 렌즈 형틀(24)의 전면(24a) 중 적어도 일방에, 측주 렌즈 형틀(33)을 형성한다(S9). 3차원 프린터(18)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의 아이 포인트(E)와 전측 렌즈 형틀(21)(후측 렌즈 형틀(24))의 광학 중심(C)이 일치하는 배치에 있어서, 측주 렌즈 형틀(33)을 형성한다.
3차원 프린터(18)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를 순차 참조하고, 액체 정량 토출 수단(34)에 있어서의 주사와 액체 수지의 토출량을 제어함과 함께, UV 조사 수단(35)에 의한 액체 수지에 대한 UV의 조사를 제어하여, 경화한 측주 렌즈 형틀(33)을 형성한다. UV로 경화하는 액체 수지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아크릴레이트계 UV 경화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에폭시계 UV 경화 수지) 중 적어도 일방이 이용된다. 전자는, UV 조사를 정지시키면 즉시 경화 반응이 정지되지만, 경화 전후에 있어서의 체적 변화가 비교적 커, 경화 전의 체적에 비해 경화 후의 체적이 비교적 크게 수축된다. 후자는, UV 조사 정지 후에 있어서도 경화 반응이 계속되지만, 경화 전후에 있어서의 체적 변화가 비교적 작아, 경화 전의 체적에 비해 경화 후의 체적은 그다지 수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수 종류의 UV 경화 수지는, 렌즈 형틀로서 요구되는 정밀도나 경화 속도(효율) 등에 따른 것을 선출하여 사용하거나, 정밀도나 효율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한다.
3차원 프린터(18)는, 측주 렌즈 형틀(33)의 형성 후, 이것을 개재하여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이 합쳐진 상태가 되도록 이들을 배치하여 렌즈 형틀(42)을 조립하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반송 수단에 의해 렌즈 경화 장치(19)로 반송한다. 또한, 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 및 측주 렌즈 형틀(33)의 결합, 즉 렌즈 형틀(42)의 조립은, 렌즈 경화 장치(19)에 있어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3차원 프린터(18) 혹은 다른 3차원 프린터는, 전후 렌즈 형틀 선정 데이터(27)나 처방 데이터(6) 등에 의거하여 전측 렌즈 형틀(21)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해도 되고, 마찬가지로 후측 렌즈 형틀(24)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해도 되며, 쌍방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측 렌즈 형틀(21)의 기체가 준비되고, 그 기체의 후면에 대하여, S 도수에 맞는 후면(21a)을 가지는 UV 경화 수지제의 부가 부분이 형성되어도 되며, 후측 렌즈 형틀(24)의 기체가 준비되고, 그 기체의 전면에 대하여, S 도수에 맞는 전면(24a)을 가지는 부가 부분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UV 경화 수지제의 부가 부분을 포함하는 면은, 연마 수단 등에 의해 다듬질 가공되어도 된다. 혹은, 유리제 등의 측주 렌즈 형틀(33)이, 그 스토커로부터 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측주 렌즈 형틀(33)의 기체에 있어서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3차원 프린터(18)로 UV 경화 수지를 퇴적함으로써, 측주 렌즈 형틀(33)이 형성되어도 된다. 측주 렌즈 형틀(33)의 기체의 내면은 예를 들면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전체를 포함 가능한 형상이며, 그 내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따른 내면을 가지는 UV 경화 수지가 부가되어도 된다. 측주 렌즈 형틀(33)의 기체는, 1종류여도 되고, 복수 종류 존재해도 되며, 후자의 경우에,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 등에 의거하여 기체 스토커로부터 선정되도록 해도 된다. 측주 렌즈 형틀(33)의 기체는, 유리제여도 되고, 타원형이어도 된다.
렌즈 경화 장치(19)는, 렌즈 형틀(42)을 수취하면, 열경화성 수지 재료를 렌즈 형틀(42)에 흘려 넣어 경화시켜, 열경화성 수지제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제작한다(S10).
즉, 우선 렌즈 경화 장치(19)의 수지 재료 충전 수단(43)이, 렌즈 형틀(42)(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 및 측주 렌즈 형틀(33)로 둘러싸인 부분)에, 열경화성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다. 수지 재료 충전 수단(43)은, 수지 재료를, 렌즈 형틀(42)의 충전구(J)(도 3)로부터 충전한다.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도 4)가 핸들링부(45a)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렌즈 형틀(42)의 내부로 통하는 충전구(J)가 형성된다. 수지 재료 충전 수단(43)은, 센서에 의해 렌즈 형틀(42)로부터 수지 재료가 넘치는 것을 파악하여 충전을 끝내도 되고, 자신 혹은 서버(2) 등의 다른 장치로 충전량을 연산해 두고, 그 충전량에 도달하면 충전을 끝내도 된다. 또한, 렌즈 경화 장치(19)는, 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 및 측주 렌즈 형틀(33) 중 적어도 어느 것이 떨어진 상태에서 렌즈 형틀(42)을 수취하고, 그 상태에서 수지 재료를 충전한 후, 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 및 측주 렌즈 형틀(33)을 모두 조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렌즈 경화 장치(19)는, 후면(21a)에 측주 렌즈 형틀(33)이 결합된 전측 렌즈 형틀(21)과, 후측 렌즈 형틀(24)을 개별로 수취하고, 전측 렌즈 형틀(21)과 측주 렌즈 형틀(33)로 둘러싸인 부분에 수지 재료를 흘려 넣은 후, 측주 렌즈 형틀(33)에 후측 렌즈 형틀(24)을 씌워도 된다. 이와 같이 수지 재료의 충전 후에 렌즈 형틀(42)의 조립을 완성시킴으로써, 측주에 충전구(J)가 노출되어 있지 않아도 렌즈 형틀(42) 내에 수지를 충전할 수 있다. 게다가, 렌즈 경화 장치(19)는, 처방 데이터(6)(재질 데이터)를 서버(2)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수지 재료 충전 수단(43)이 안경 렌즈(50)와 관련된 재질 데이터로 나타나는 재질의 수지 재료를 선택하여 충전하도록 해도 된다.
종래의 둥근 렌즈는, 둥근 전측 렌즈 형틀(21)과 후측 렌즈 형틀(24)의 사이 전체에 수지 재료를 충전하여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이고, 따라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의 사용량은 대폭으로 저감된다. 또한, 수지 재료는, 3차원 프린터(18)에서 사용 가능할 필요는 없고, 저비용의 것부터 고성능의 것(경화 후에 고굴절률을 나타내는 것 등)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어, 안경 렌즈(50)로서 충분한 성능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렌즈 경화 수단(44)이 수지 재료가 들어간 렌즈 형틀(42)을 가열하고, 수지 재료를 경화시켜 열경화성 수지제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형성한다. 수지 재료의 렌즈 형틀(42) 내에서의 경화에 있어서, 전측 렌즈 형틀(21)과 후측 렌즈 형틀(24)은, 유리제의 것 등, 후면(21a)이나 전면(24a)에 대해 충분히 평활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광학적으로 중요한 안경 렌즈(50)의 전면이나 후면은, 안경 렌즈로서 충분한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이형 수단(46)이, 렌즈 형틀(42)로부터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취출한다. 예를 들면, 이형 수단(46)은, 로봇 핸드에 의해, 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 및 측주 렌즈 형틀(33)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분리하여,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취출한다. 혹은, 이형 수단(46)은,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가 들어 있는 렌즈 형틀(42)을 세정용 등의 액조(液槽)에 투입하고, 액조(액중) 내에 있어서 액의 작용에 의해 렌즈 형틀(42)로부터 떨어진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취출한다.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중의 안경 렌즈(50)가 되는 부분의 전면은,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을 따라 곡률 반경이 200.00mm인 것으로서 형성되고, 안경 렌즈(50)가 되는 부분의 후면은, 후측 렌즈 형틀(24)의 전면(24a)을 따라 곡률 반경이 100.00mm인 것으로서 형성된다. 전측 렌즈 형틀(21)이나 후측 렌즈 형틀(24)은 회수되어, 적절히 세정된 후, 각각의 스토커(전측 렌즈 형틀 스토커(22), 후측 렌즈 형틀 스토커(26))에 되돌려진다.
그리고, 렌즈 경화 장치(19)는, 취출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반송 수단에 의해 다듬질 절삭 장치(20)에 반송한다. 렌즈 경화 장치(19)의 반송 수단은,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핸들링부(45a)를 쥠으로써, 안경 렌즈(50)가 되는 부분에 접촉하지 않고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취급할 수 있다.
다듬질 절삭 장치(20)는, S7에서 서버(2)로부터 송신된 윤곽 형상 데이터(51) 및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를 수신하면 이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으며, 이들 데이터에 대응한(이들 데이터와 관련된 식별 기호와 동일한 식별 기호를 가짐)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수취하면, 이들 데이터에 의거하여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절삭하여, 안경 렌즈(50)를 다듬질한다(S11).
즉, 다듬질 절삭 장치(20)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소프트 터치 척으로 고정하고, 절삭 수단(54)에 의해 핸들링부(45a)를 잘라내, 처방 데이터(6)(S 도수 등)나 윤곽 형상 데이터(51)(아이 포인트(E)를 포함함), 테두리 종류 데이터(52)에 따른 안경 렌즈(50)를 제작한다. 다듬질 절삭 장치(20)는, 절삭 수단(54)의 숫돌로서 테두리 종류 데이터(52)와 관련된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는 숫돌면을 가지는 것을 선택하고, 잘라내는 라인이 윤곽 형상 데이터(51)에 합치된 것이 되도록 절삭 수단(54)의 숫돌이 이동된다. 또한, 다듬질 절삭 장치(20)는, 숫돌면의 형상으로 테두리를 형성하지 않고, 미리 연산한 테두리 형상 데이터에 의거한 3차원 NC 제어 절삭에 의해 테두리를 형성해도 되고, 윤곽 형상 데이터(51)보다 크게 컷트를 하거나 혹은 거칠게 깎음을 한 후 테두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다듬질 절삭 장치(20)는, 안경 렌즈(50)의 핸들링부(45a) 접속부 이외의 테두리를 절삭하거나 혹은 연마해도 된다.
다듬질 절삭 장치(20)는, 핸들링부(45a)의 잘라냄만으로 절삭이 완료되므로, 절삭 시간이 짧게 끝나, 효율이 양호하다. 또한, 수지이며 낭비되는 부분은, 핸들링부(45a)뿐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2)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로서 윤곽 형상 데이터(51)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최소의 타원통면을 내면에 가지는 것을 연산하고, 3차원 프린터(18)는 타원 링 형상의 측주 렌즈 형틀(33)을 형성하며, 렌즈 경화 장치(19)는 측주가 타원형인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경화하고, 다듬질 절삭 장치(20)는 윤곽 형상 데이터(51) 및 테두리 종류 데이터(52)에 따라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절삭하여 안경 렌즈(50)를 제조해도 된다. 이 경우도,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로부터 안경 렌즈(50)를 제외한 부분이 핸들링부(45a)가 되어 취급하기 쉽고, 수지 재료의 사용량이 저감되며, 둥근 렌즈를 절삭하는 경우에 비해 절삭의 효율이 양호하다. 또한, 측주 렌즈 형틀(33)이 타원형이 되므로, 연산량이 비교적 적어도 된다. 또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통일되고, 또한 핸들링부(45a)가 측주 전체에 걸친 것이 되어, 다듬질 절삭 장치(20)로의 반송을 비롯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제작 후의 공정에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는 소정 종류만 준비되는 것으로 하여, 서버(2)는 윤곽 형상 데이터(51)와 관련된 형상의 전체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의 종류의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가 윤곽 형상 데이터(51)(및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로 나타나는 안경 렌즈(50)의 측주에 일치하는 내면 형상을 나타내도록 생성되도록 하고, 안경 렌즈(50)가 윤곽 형상 또는 렌즈형으로 경화되도록 하여, 다듬질 절삭의 대부분 혹은 전부를 생략하도록 해도 되고, 다듬질 절삭 장치(20)가 발주자측에 설치되어도 되고 생략되어도 된다.
혹은, 다듬질 절삭 장치(20) 등에 의한 안경 렌즈(50)의 제조 후에, 또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제조 후(다듬질 절삭 전)에, 안경 렌즈(50)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전면 및 후면 및 측주면(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1종 이상의 막이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무기 산화물 등의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적층한 광학다층막(반사 방지막 등)이나, 하드 코트막, 방수막, 혹은 오염 방지막, 편광막, 차광막 또는 이들 조합이 형성되어도 된다. 렌즈 경화 장치(19)에 의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제작 후의 공정(다듬질 절삭 장치(20)와의 사이)에 있어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동일 개소에 대하여 동일한 막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다듬질 절삭 장치(20) 등에 의한 안경 렌즈(50)의 제작 후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제작 후(다듬질 절삭 전)에 있어서, 안경 렌즈(50)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에 대하여 착색이 실시되어도 된다. 안경 렌즈(50)의 착색이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착색은, 안료에 의한 착색이나, 염료에 의한 염색, 렌즈 재료에 대한 착색, 착색 막의 부가, 혹은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안경 렌즈(50)는, 적절히 검품을 거쳐, 발주측의 장소 혹은 발주측이 지정하는 장소에 송부된다. 이들 장소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서버(2)에 있어서 단말(4)로부터 수신하여 기억시켜 두어도 된다. 또한, 안경 렌즈(50)에 대한 결제 정보도, 마찬가지로 수신하여 기억해 두고, 적절히 이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측 서버 컴퓨터 등에 액세스하여, 안경 렌즈(50)의 결제를 행해도 된다.
발주측 등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안경테(F)에 안경 렌즈(50)를 넣어, 안경을 완성시킨다.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은, 이러한 동작을 식별 기호마다 적절히 반복한다. 또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은, 소정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나 안경 렌즈(50)의 재고를 확보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식별 기호나 윤곽 형상 데이터(51) 등을 얻지 않고 이들을 제조해도 되고, 이 경우에 있어서, 렌즈 형틀(42)의 일부나 전부를, 적절히 세정한 후에 재이용해도 된다.
≪작용 효과 등≫
이상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은, 렌즈 형틀(42)에 렌즈 재료(열경화성 수지 재료)를 충전하는 수지 재료 충전 수단(43)(렌즈 재료 충전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렌즈 형틀(42) 중 적어도 일부가, 3차원 프린터(18)에 의해 형성된다.
즉,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은, 렌즈 재료를 충전하는 렌즈 형틀(42)과, 경화 가능한 액체 수지를 토출하는 3차원 프린터(18)를 구비하고 있으며, 3차원 프린터(18)는, 렌즈 형틀(42) 중 적어도 일부를, 액체 수지를 토출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안경 렌즈(50)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형틀(42)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직접 3차원 프린터(18)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3차원 프린터(18)에서 사용 가능한 렌즈 재료를 이용한다고 하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광학적 성능이나 물리적 성능이 보다 양호한 상태로 형성된다. 현상, 3차원 프린터(18)에 있어서 현실적 비용으로 사용 가능한 렌즈 재료로 형성된 임의 형상의 안경 렌즈에서는, 충분한(현상의 일반적 안경 렌즈와 동등 이상의) 광학적 성능이나 물리적 성능을 구비시킬 수 없다. 이에 비하여,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에서는, 3차원 프린터(18)가 렌즈 형틀(42)의 형성에 이용되고, 적절히 3차원 프린터(18)에 의해 형성된 렌즈 형틀(42)에 의해 규정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부분에 다듬질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임의 형상의 안경 렌즈(50)가, 충분한 광학적 성능이나 물리적 성능을 구비하는 상태로 제작된다.
또한, 렌즈 형틀(42)은, 후면(21a)이 안경 렌즈(50)의 전면을 규정하는 전측 렌즈 형틀(21)과, 전면(24a)이 안경 렌즈(50)의 후면을 규정하는 후측 렌즈 형틀(24)과, 내면이 안경 렌즈(50)의 측주를 규정하는 측주 렌즈 형틀(33)을 가지고 있으며, 3차원 프린터(18)는, 측주 렌즈 형틀(33)을 형성한다. 따라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가 안경 렌즈(50)에 가까운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원하는 렌즈형(윤곽 형상, 혹은 윤곽 형상 및 테두리 형상의 조합)을 가지는 안경 렌즈(50)가 직접 제작되거나 하는 것이 되어, 렌즈 재료의 사용량이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가공량이 감소한다.
또한, 안경 렌즈(50)의 윤곽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 형상 데이터(51)를 취득하는 윤곽 형상 입력 수단(68)(혹은 서버(2)의 통신 수단(12)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3차원 프린터(18)는, 측주 렌즈 형틀(33)의 내면을, 윤곽 형상 데이터(51)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안경 렌즈(50)의 외형이 안경테(F)의 림 형상 등에 따른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렌즈 재료의 사용량이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가공량이 저감된다.
또한, 윤곽 형상 데이터(51)는, 발주자측 컴퓨터인 단말(4)로부터 송신된다. 따라서, 발주자로부터 안경테(F) 그것을 수령하지 않고, 림 형상 등에 따른 형상의 안경 렌즈(50)가 제작된다.
또한, 3차원 프린터(18)는, 측주 렌즈 형틀(33)의 내면을, 윤곽 형상 데이터(51)가 나타내는 형상에 대하여, 안경 렌즈가 되는 부분 대신에 보지하기 위한 핸들링부(45a)의 형상을 부가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에 있어서 안경 렌즈(50)가 되는 윤곽 형상 데이터(51) 내부 부분 이외의 부분인 핸들링부(45a)가 형성되고,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제작 후의 공정에 있어서 핸들링부(45a)를 보지함으로써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가 취급하기 쉬워지고, 안경 렌즈(50)가 되는 부분이 보호된다. 특히, 핸들링부(45a)의 형상이 일정 혹은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면,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제작 후의 공정에 있어서의 지그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형상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종류 수가 적어도 되고, 혹은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다양한 형상으로 대응 가능하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복잡화되지 않는다. 또한, 전측 렌즈 형틀(21)이나 후측 렌즈 형틀(24)의 측주에 도달하는 핸들링부(45a)가 형성됨으로써, 렌즈 재료를 렌즈 형틀(42) 내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J)가 설치된다.
게다가 또한, 안경 렌즈(50)를 넣는 안경테(F)의 테두리 형상을 나타내는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를 취득하는 입력 수단(66)(혹은 서버(2)의 통신 수단(12)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3차원 프린터(18)는, 측주 렌즈 형틀(33)의 내면(핸들링부(45a) 접속부 이외의 부분)을, 테두리 종류 데이터(52)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안경 렌즈(50)(다듬질 전 안경 렌즈(45))가, 약연 형상이나 홈 형상 등의 테두리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렌즈 형틀(42)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테두리 종류 데이터(52)는, 발주자측 컴퓨터인 단말(4)로부터 송신된다. 따라서, 발주자로부터 안경테(F) 그것을 수령하지 않고, 원하는 테두리 종류에 따른 테두리 형상을 가지는 안경 렌즈(50)가 제작된다.
또한,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은, 유리제이다. 따라서, 측주와 비교해 광학적으로 중요한 안경 렌즈(50)의 전면 및 후면이, 충분히 평활하게 형성된다. 또한,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이 반복 사용 가능하며,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에 있어서, 렌즈 재료가 열경화성 수지 재료이기 때문에, 광학적 성능이나 물리적 성능이 우수해 취급이 쉽고, 또한 렌즈 형틀(42)에 흘려 넣기 쉽고 렌즈 형틀(42) 내에서 경화시키기 쉬운 등 제조 관리가 용이한 열경화성 수지제의 안경 렌즈(50)가 제조된다.
또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에 있어서, 3차원 프린터(18)는 액체 수지를 경화시키는 UV 조사 수단(35)을 가지고 있으며, 액체 수지는 UV 경화 수지이고, UV 조사 수단(35)에 의해 UV 경화 수지를 경화시키기 때문에, 렌즈 형틀(42)(의 일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렌즈 경화 장치(19)가 렌즈 재료를 렌즈 형틀(42)에 넣어 가열에 의해 경화시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제작하는 경우, 렌즈 형틀(42)을 가열하지 않고 경화 가능하게 할 수 있어, 렌즈 형틀(42)이 가열된 경우에 상정되는, 렌즈 재료 충전중에 경화가 개시되어버리는 등의 악영향이 방지된다.
또한, 액체 수지가 열경화 수지로서 가열에 의한 경화(경화 수단은 가열 수단임)에 의해 렌즈 형틀(42)이 제작되고, 또한 렌즈 경화 장치(19)가 렌즈 재료를 렌즈 형틀(42)에 넣어 가열에 의해 경화시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제작하는(렌즈 경화 수단도 가열 수단임) 경우여도, 렌즈 형틀(42)의 경화 온도보다 렌즈 재료의 경화 온도가 높으면, 렌즈 형틀(42)은, 상기 서술의 악영향을 회피한 상태에서, 제작에 의해 예열되는 것이 되어, 렌즈 형틀(42)을 이용한 렌즈 재료의 경화의 효율이 양호해진다.
또한, 액체 수지는, 토출 후에 있어서의 성분의 변화에 의해 경화되는 자연 경화 수지여도 된다. 예를 들면, 자연 경화 수지는, 토출 후에 있어서 공기 중의 성분(수분이나 산소 등)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순간 접착제나 코킹제 등의 수지여도 되고, 토출 후에 있어서 용매(수분이나 탄화 수소 등) 등의 일부의 성분이 자연적으로 이탈(증발 등)하여 용질 등의 잔여 부분이 경화되는 건조 경화형의 수지여도 된다. 이 경우, UV 조사 수단(35)이나 가열 수단이 생략 가능하며, 구성이 보다 심플해진다.
혹은, 액체 수지는, 토출 후에 있어서 특정 성분(물이나 경화용 수지 등)을 도입하여 그 특정 성분을 혼합시키거나 혹은 부착시킴으로써 경화되는 혼합 경화형의 수지여도 된다. 이 경우, 경화 수단은, 특정 성분을 도입하는(혼합시키거나 혹은 부착시키는) 경화용 성분 도입 수단이다.
액체 수지(유동성 수지)의 경화는, 표면만 경화되고, 내부가 경화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제 2 형태]
≪구성 등≫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 형태와 관련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은, 제 1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과, 변경예도 포함하여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단, 제 2 형태에서는,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3차원 프린터 대신에, 수지 토출 디스펜서(디스펜서)가 이용된다. 이하, 제 2 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 1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수단이나 부분 등에 대해서는, 제 1 형태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적절히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3차원 프린터는, 유동성 수지를 퇴적 가능한 것인 것에 비해, 디스펜서는, 유동성 수지를 퇴적시키지 않고 토출하는 것이다.
도 9는 제 2 형태와 관련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디스펜서(118)의 블록도이며, 도 10은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에 대하여 점성 수지(V)가 토출되는 경우의 렌즈 형틀(42) 내지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의 종단면 모식도이다.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으로서의 디스펜서(118)는, UV로 경화되는 점성이 높은 유동성 수지인 점성 수지(V)를 UV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의거하는 형상의 측주 렌즈 형틀(33)을 형성하는 것이다. 디스펜서(118)는,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과, UV 조사 수단(35)과, 접속 수단(36)과,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37)과, 전측 렌즈 형틀(21)에 대하여 후측 렌즈 형틀(24)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139)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38)을 가지고 있다.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은,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로부터 수취한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 또는 후측 렌즈 형틀(24)의 전면(24a)에 대하여,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의거하여 측주 렌즈 형틀(33)의 형상을 따라 점성 수지(V)를 토출한다.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은, 점성 수지(V) 상에 점성 수지(V)를 얹지 않아, 점성 수지(V)를 퇴적시키지 않는다.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은, 점성 수지(V)를,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있어서의 가장 큰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상태로 토출한다. 점성 수지(V)는,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에 의해 토출 가능하며, 또한 토출 후의 형상 변화가 중력 이외의 외력이 없는 경우에 거의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점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에 있어서의 토출량(토출 속도)의 제어나 이동 속도의 제어에 의해,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은,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의 두께(높이)에 (어느 정도) 따르도록 점성 수지(V)를 토출해도 된다. 또한, 점성 수지(V)로서, 제 1 형태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코킹제를 비롯한 코킹제 등의 점성이 있는 자연 경화 수지가 이용되어도 된다.
그 후, 디스펜서(118)는,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를 참조한 고정 수단(139)에 의해, 전측 렌즈 형틀(21)에 대하여 후측 렌즈 형틀(24)을,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가 나타내는 측주 렌즈 형틀(33)의 두께에 입각한 소정의 거리를 가지는 상태로 고정한다. 고정 수단(139)으로서는, 전측 렌즈 형틀(21)에 대한 후측 렌즈 형틀(24)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 조정 수단(암과 승강대의 조합이나 로봇 암 등)과, 전측 렌즈 형틀(21) 내지 후측 렌즈 형틀(24)에 걸쳐 부착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개스킷이나 도 10의 (b)에 도시된 중합 테이프(P) 등)의 조합이 예시된다. 또한, 지지 수단은, 부착 이외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어도 되고, 전측 렌즈 형틀(21) 또는 후측 렌즈 형틀(24) 중 어느 일방을 지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고정 수단(139)은, 전측 렌즈 형틀(21)과 후측 렌즈 형틀(24)의 간격을 파악하는 센서(비접촉 센서나 카메라 혹은 이들의 조합 등)를 구비하도록 하고, 그 간격 파악 센서(에 의해 파악한 전측 렌즈 형틀(21)과 후측 렌즈 형틀(24)의 현상의 간격)에 의해 소정 거리에 있어서의 고정을 실행해도 된다.
그리고, UV 조사 수단(35)은,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따른 형상으로 배치된 점성 수지(V)나, 그 점성 수지(V)를 사이에 둔 상태로 소정의 거리로 고정된 전측 렌즈 형틀(21) 내지 후측 렌즈 형틀(24)에 대하여, UV를 조사하여, 점성 수지(V)를 경화시켜 측주 렌즈 형틀(33)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측 렌즈 형틀(21), 후측 렌즈 형틀(24), 측주 렌즈 형틀(33)이 조합된 렌즈 형틀(42)의 형성을 완료한다. 디스펜서(118)는, 이와 같이 형성된 렌즈 형틀(42)을, 렌즈 경화 장치(19)로 반송한다.
또한, 점성 수지(V)의 점도는, 경화 전에 있어서도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 또는 후측 렌즈 형틀(24)의 전면(24a) 상에서 형상을 보지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만mPa·s(밀리파스칼초) 이상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만mPa·s 이상이 된다. 단, 점성 수지(V)의 점도는, 토출 가능한 것이 전제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토출의 용이성과 전술의 형상 보지 용이성과의 균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점성 수지(V)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어도 되고, 열 및 UV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는, 두께 이외의 2차원의 것으로 되어도 되고, 2차원의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부속하여, 혹은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와는 별도로, 처방 데이터(6)로부터 얻어지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혹은 안경 렌즈(50)의 두께에 따른 전측 렌즈 형틀(21)과 후측 렌즈 형틀(24)의 거리의 데이터인 거리 데이터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거리 데이터는, 예정되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혹은 안경 렌즈(50)의 중심 두께에 따른, 전측 렌즈 형틀(21)의 중심과 후측 렌즈 형틀(24)의 중심의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것이어도 되고, 예정되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혹은 안경 렌즈(50)의 가장자리(테두리) 두께에 따른, 점성 수지(V)(측주 렌즈 형틀(23)) 내측에 있어서의 거리와 관련된 것이어도 되며, 예정되는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 혹은 안경 렌즈(50)의 두께를 확보했을 때에 발생하는 전측 렌즈 형틀(21)의 테두리와 후측 렌즈 형틀(24)의 테두리의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것이어도 되고, 이들 조합이어도 된다. 거리 데이터는, 서버(2)에서 연산된 것을 수신해도 되고, 디스펜서(118)에 있어서 산출해도 된다.
혹은,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가 전측 렌즈 형틀(21) 및 후측 렌즈 형틀(24)에 추가해 소정 거리마다 준비된 지지 수단(받침대에 배치된 전측 렌즈 형틀(21)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둔 상태에서 후측 렌즈 형틀(24)을 지지하는 돌기와 다리를 가지는 링 형상의 지지체 등)을 선정하거나 또는 임의의 거리로 조절 가능한 지지 수단을 소정 거리로 조절하여 디스펜서(118)에 보내도록 하고, 디스펜서(118)는 수취한 지지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 거리에서 전측 렌즈 형틀(21)이나 후측 렌즈 형틀(24)을 지지하도록 해도 되며, 이 때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는 2차원의 것이 되어도 된다.
게다가 또한, 전측 렌즈 형틀(21)이나 후측 렌즈 형틀(24)은, 점성 수지(V)의 경화 후(측주 렌즈 형틀(33)의 형성 후)에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점성 수지(V)의 경화 후, 렌즈 경화 장치(19)로 반송하기 전이나 렌즈 경화 장치(19)로 반송된 후에 있어서, 고정 수단(139)에 의한 고정은 해제되어도 되고, 즉 지지 수단은 제거되어도 된다.
≪동작 등≫
제 2 형태와 관련된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의 동작예는, 디스펜서(118)의 동작을 제외하고, 제 1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의 동작예와 동일하다. 제 1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과 동일한 동작 등(주로 도 7의 S9 이외)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이 생략된다.
도 10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118)에는, 전후 렌즈 형틀 선정 장치(16)의 선정(S8)과 관련된 전측 렌즈 형틀(21)이, 후면(21a)을 위로 한 상태에서 도입되고, 후면(21a)의 상방에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의 노즐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어 수단(38)에 의해,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의 노즐이, 점성 수지(V)를 토출하면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의거하여 전측 렌즈 형틀(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은, 전측 렌즈 형틀(21)의 후면(21a)에 대하여, 점성 수지(V)를,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따른 형상으로 배치해 간다(S9, 단, 3차원 프린터(18) 대신에 디스펜서(118)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면,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은, 도 2에 있어서의 측주 렌즈 형틀(33)의 형상에 입각한 형상으로, 점성 수지(V)를 배치해 간다.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와 관련된 형상의 전체에 걸쳐 점성 수지(V)가 배치되면, 도 10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118)는, 고정 수단(139)(로봇 암과 중합 테이프(P))에 의해, 전면(24a)을 아래로 한 상태의 후측 렌즈 형틀(24)을, 전측 렌즈 형틀(21)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가지는 상태로 고정한다. 점성 수지 토출 수단(134)은, 점성 수지(V)를,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점성 수지(V)는, 전체적으로, 후측 렌즈 형틀(24)의 전면(24a)에 접촉한다. 또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있어서의 두께를 초과한 높이로 배치된 점성 수지(V)의 부분은, 소정 거리에서 고정된 후측 렌즈 형틀(24)에 의해 눌려 찌부러져 변형되는 바, 그 변형(특히 내방으로의 변형)이 고려된(내방으로의 변형분 확대됨)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를 서버(2)가 생성하도록 해도 되고, 서버(2)가 변형을 고려하지 않고 생성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를, 디스펜서(118)가 변형을 고려한 것으로 변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점성 수지(V)와 관련된 내방으로의 예상 변형분에 대하여 여유를 가지고 확대된 측주 렌즈 형틀 형상 데이터(32)에 따라 점성 수지(V)를 배치해, 다듬질 절삭 장치(20)로 여유분을 절삭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디스펜서(118)는, 도 10의 (b)의 상태에 있어서의 점성 수지(V)에 대하여 UV 조사 수단(35)을 작동시켜, 점성 수지(V) 전체에 대하여(한번에 또는 복수회에 걸쳐 혹은 각 부분으로 나누어) UV를 조사하여, 점성 수지(V)를 경화시켜, 측주 렌즈 형틀(33)의 형성을 완료하고, 동시에, 전측 렌즈 형틀(21),후측 렌즈 형틀(24), 측주 렌즈 형틀(33)의 조합인 렌즈 형틀(42)의 형성을 완료한다. 예를 들면, 디스펜서(118)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렌즈 형틀(42)을 형성한다.
디스펜서(118)는, 형성한 렌즈 형틀(42)을 렌즈 경화 장치(19)에 보내고, 렌즈 경화 장치(19)는, 경화 전의 렌즈 재료를 렌즈 형틀(42)에 충전하고, 렌즈 경화 수단(44)에 의해 렌즈 재료를 경화시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형성한다(S10, 도 4). 이형 수단(45)은, 렌즈 형틀(42)로부터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를 취출할 때, 중합 테이프(P)을 제거한다.
≪작용 효과 등≫
제 2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은, 렌즈 형틀(42)에 렌즈 재료를 충전하는 수지 재료 충전 수단(43)을 가지고 있으며, 렌즈 형틀(42) 중 적어도 일부가, 디스펜서(118)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 2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은, 렌즈 재료를 충전하는 렌즈 형틀(42)과, 경화 가능한 점성 수지(V)를 토출하는 디스펜서(118)를 구비하고 있으며, 디스펜서(118)는, 렌즈 형틀(42) 중 적어도 일부를, 점성 수지(V)를 토출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제 1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안경 렌즈(50)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형틀(42)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학적 성능이나 물리적 성능이 양호하고 또한 둥근 렌즈로부터의 절삭에 비해 낭비가 적은 상태로 형성된다. 제 2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에서는, 경화 가능한 점성 수지(V)를 토출하는 디스펜서(118)가 렌즈 형틀(42)의 형성에 이용되고, 적절히 디스펜서(118)에 의해 형성한 렌즈 형틀(42)에서 규정된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부분에 다듬질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충분한 광학적 성능이나 물리적 성능을 구비하는 임의 형상의 안경 렌즈(50)가, 낭비가 적은 효율적인 상태로 제작된다.
또한, 제 2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은, 제 1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1)에 비해, 액체 수지를 퇴적(적층)시켜 렌즈 형틀(42)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3차원 프린터(18)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정밀도가 비교적 낮아지지만, 하층의 경화 공정이나 그 하층에 액체 수지를 담는 적층 공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제조 시간이 비교적 짧다. 여기서 정밀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전측 렌즈 형틀(21)에 대하여 후측 렌즈 형틀(24)을 소정의 거리로 상대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139)이 설치되는 것 등에 의해, 광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높이 방향(Z축 방향)의 형상의 정밀도는 담보 가능하지만, 후측 렌즈 형틀(24)의 압압 등에 의해 점성 수지(V)의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것 등에 의해,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의 정밀도가 비교적 낮아지는 것이다. 또한, 제 2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교적 낮은 정밀도는, 다듬질 절삭에 의해 커버하는 것이 가능한다.
또한, 특히 커브가 심한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경우, 전측 렌즈 형틀(21)이나 후측 렌즈 형틀(24)에 있어서의 측주 렌즈 형틀(33)을 만들려고 하는 부분에 고저차가 있는 것이 되지만, 일반적으로 제 1 형태의 3차원 프린터(18)에서는 노즐이 기본적으로 평행 이동하기 때문에 큰 고저차의 제어가 비교적 어렵고, 제어나 제조에 비교적 손이 많이 가는 바, 제 2 형태의 디스펜서(118)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지의 퇴적을 위한 평행 이동의 제약이 없어, 필요량의 액체 수지를 일주(一周) 토출하면 되므로, 고저차가 있는 경우여도 제어나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제 2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렌즈 형틀(42)은, 후면(21a)이 안경 렌즈(50)의 전면을 규정하는 전측 렌즈 형틀(21)과, 전면(24a)이 안경 렌즈(50)의 후면을 규정하는 후측 렌즈 형틀(24)과, 내면이 안경 렌즈(50)의 측주를 규정하는 측주 렌즈 형틀(33)을 가지고 있으며, 디스펜서(118)는, 측주 렌즈 형틀(33)을 형성한다. 따라서, 렌즈 재료의 사용량이나 다듬질 전 안경 렌즈(45)의 가공량이 보다 감소한다. 또한, 렌즈 형틀(42)에 있어서의, 광학적으로 보다 중요하며 후가공이 보다 힘든 안경 렌즈(50)의 전후면을 규정하는 전측 렌즈 형틀(21)이나 후측 렌즈 형틀(24)은 정밀도를 보다 중시하여 디스펜서(118)로 형성하지 않고, 전면이나 후면에 비해 광학적으로는 중요하지는 않고 후가공이 보다 행하기 쉬운 테두리를 규정하는 측주 렌즈 형틀(33)은 형상 가변성을 보다 중시하여 디스펜서(118)로 형성한다고 하는 적재 적소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형태의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전측 렌즈 형틀(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측 렌즈 형틀(24)을 소정의 거리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139)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펜서(118)로부터 토출된 점성 수지(V)에 있어서의 전측 렌즈 형틀(21) 상에서의 높이가 본래의 높이(측주 렌즈 형틀(33)로서 가져야 할 높이)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었다고 해도, 고정 수단(139)에 의한 후측 렌즈 형틀(24)의 배치 시에 점성 수지(V)를 본래의 높이에 맞출 수 있어, 원하는 광학 성능을 발휘시키기 위해 중요한 안경 렌즈(50)의 두께가 확실히 적절한 것이 되는 안경 렌즈(50)용의 렌즈 형틀(42)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1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2 서버 컴퓨터(서버)
4 단말 컴퓨터(단말)
18 3차원 프린터(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
21 전측 렌즈 형틀
21a (안경 렌즈의 전면을 규정하는 전측 렌즈 형틀의) 후면
24 후측 렌즈 형틀
24a (안경 렌즈의 후면을 규정하는 후측 렌즈 형틀의) 전면
33 측주 렌즈 형틀
35 UV 조사 수단(경화 수단)
42 렌즈 형틀
43 수지 재료 충전 수단(렌즈 재료 충전 수단)
45 다듬질 전 안경 렌즈
45a 핸들링부
50 안경 렌즈
51 윤곽 형상 데이터
52 테두리 종류 데이터
66 입력 수단
68 윤곽 형상 입력 수단
118 수지 토출 디스펜서(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
F 안경테
V 점성 수지(유동성 수지, 액체 수지)

Claims (15)

  1. 렌즈 재료를 충전하는 렌즈 형틀과,
    경화 가능한 유동성 수지를 토출하는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렌즈 형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유동성 수지를 토출하여 형성하고,
    상기 렌즈 형틀은, 후면이 안경 렌즈의 전면을 규정하는 전측 렌즈 형틀과, 전면이 안경 렌즈의 후면을 규정하는 후측 렌즈 형틀과, 내면이 안경 렌즈의 측주를 규정하는 측주 렌즈 형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적어도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안경 렌즈의 윤곽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윤곽 형상 데이터 취득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윤곽 형상 데이터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형상 데이터는, 발주자측 컴퓨터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윤곽 형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형상에 대하여, 안경 렌즈가 되는 부분 대신에 보지하기 위한 핸들링부의 형상을 부가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윤곽 형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형상에 대하여, 안경 렌즈가 되는 부분 대신에 보지하기 위한 핸들링부의 형상을 부가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를 넣는 안경테의 테두리 형상을 나타내는 테두리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테두리 형상 데이터 취득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상기 측주 렌즈 형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테두리 형상 데이터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형상 데이터는, 발주자측 컴퓨터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 형틀 및 상기 후측 렌즈 형틀 중 적어도 일방은, 유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재료는, 열경화성 수지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3차원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 토출 수단은, 수지 토출 디스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는, 자외선 경화 수지이고,
    상기 경화 수단은, 자외선 조사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동성 수지는, 열경화 수지이고,
    상기 경화 수단은, 가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수지는, 토출 후에 있어서의 성분의 변화에 의해 경화되는 자연 경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7037007A 2015-06-22 2016-06-21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KR102524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4973 2015-06-22
JPJP-P-2015-124973 2015-06-22
PCT/JP2016/068405 WO2016208584A1 (ja) 2015-06-22 2016-06-21 眼鏡レンズ製造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120A KR20180019120A (ko) 2018-02-23
KR102524455B1 true KR102524455B1 (ko) 2023-04-24

Family

ID=5758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007A KR102524455B1 (ko) 2015-06-22 2016-06-21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2138B2 (ko)
EP (1) EP3296798B1 (ko)
JP (1) JP6697657B2 (ko)
KR (1) KR102524455B1 (ko)
CN (1) CN107735720B (ko)
WO (1) WO2016208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2663A4 (en) * 2015-07-24 2019-03-06 Tokai Optical Co., Ltd. SYSTEM FOR MANUFACTURING GLASSES OF EYEWEAR
EP3567417A1 (en) 2018-05-09 2019-11-13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to be mounted in a frame, ophthalmic lens, frame and eyeglasses equipment
KR20210014581A (ko) * 2019-07-30 2021-02-09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염색 시스템
CN113927835B (zh) * 2021-10-22 2023-06-30 江苏汇鼎光学眼镜有限公司 树脂眼镜镜片生产过程中的树脂填充辅助装置
WO2023079041A1 (en) * 2021-11-05 2023-05-11 Meta Materials Inc. Lightguid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1133A1 (en) * 2000-01-18 2003-09-25 Ncrx Optical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ic lens manufacture
US20050179148A1 (en) * 2002-03-19 2005-08-18 Jean-Marc Tridon Method for obtaining an optical lens and joint and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JP2013198988A (ja) * 2012-03-23 2013-10-03 Hoya Corp 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US20150115486A1 (en) * 2013-10-31 2015-04-30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of making a spectacle le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3446A (en) * 1985-09-20 1987-09-15 Techna Vision, Inc. Gasket for molding plastic lenses
IT1191569B (it) * 1986-02-28 1988-03-23 Nuova Sil Spa Stampo per la produzione mediante colata di lenti organiche
JP3705504B2 (ja) * 1995-10-24 2005-10-12 株式会社アサヒオプティカル 眼鏡用樹脂レンズの注型成形用モールド
JP3829435B2 (ja) 1996-10-14 2006-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4228845B2 (ja) 2003-09-03 2009-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マイクロレンズ、光学膜、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および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JP2010155926A (ja) * 2008-12-26 2010-07-15 Jsr Corp 光硬化性液状樹脂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光造形法による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
EP2474404B1 (en) 2011-01-06 2014-12-03 LUXeXcel Holding B.V. Print head, upgrade kit for a conventional inkjet printer, printer and method for printing optical structures
JP2013213936A (ja) * 2012-04-02 2013-10-17 Hoya Corp 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6207187B2 (ja) * 2013-03-19 2017-10-04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5094942A (ja) * 2013-11-13 2015-05-18 有限会社レベルコ サングラスまたは眼鏡フレー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1133A1 (en) * 2000-01-18 2003-09-25 Ncrx Optical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ic lens manufacture
US20050179148A1 (en) * 2002-03-19 2005-08-18 Jean-Marc Tridon Method for obtaining an optical lens and joint and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JP2013198988A (ja) * 2012-03-23 2013-10-03 Hoya Corp 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US20150115486A1 (en) * 2013-10-31 2015-04-30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of making a spectacle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6798A4 (en) 2019-01-16
JPWO2016208584A1 (ja) 2018-04-05
WO2016208584A1 (ja) 2016-12-29
CN107735720B (zh) 2019-09-13
JP6697657B2 (ja) 2020-05-27
US20180133989A1 (en) 2018-05-17
US11072138B2 (en) 2021-07-27
EP3296798A1 (en) 2018-03-21
KR20180019120A (ko) 2018-02-23
CN107735720A (zh) 2018-02-23
EP3296798B1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455B1 (ko)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KR102503006B1 (ko)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ES2826800T3 (es) Lente de gafas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US1028173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JP6470269B2 (ja) 眼鏡レンズの製造プロセス及びシステム
KR102200862B1 (ko) 적어도 하나의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73624B1 (ko) 안과용 렌즈 상에 기술적인 영구 마크를 생성하는 마킹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
WO2003098181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evaluer des lentilles de lunettes ou un moule pour mouler de telles lentilles, et procede et systeme pour fabriquer des lentilles de lunettes
KR102555599B1 (ko) 광학적 요소
CN101842190A (zh) 一种镜片封阻方法和相关装置
JP6817624B2 (ja) 眼鏡レンズ製造システム
EP2418073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for providing an optical display
JP6693671B2 (ja) レンズ成形型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眼鏡レンズ
Bennett Looking at labs: An overview of spectacle lens manufacture
CN111819070A (zh) 用于生产半成品眼镜镜片的方法以及半成品眼镜镜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