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501B1 -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501B1
KR102523501B1 KR1020200173623A KR20200173623A KR102523501B1 KR 102523501 B1 KR102523501 B1 KR 102523501B1 KR 1020200173623 A KR1020200173623 A KR 1020200173623A KR 20200173623 A KR20200173623 A KR 20200173623A KR 102523501 B1 KR102523501 B1 KR 102523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ginseng extract
extract
present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404A (ko
Inventor
문유진
전영진
곽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0017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5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6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또는 인삼박을 물을 용매로 하여 110~180℃ 및 2기압 이상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성다당체 고함유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대비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인삼 추출물 내에 함유되는 산성다당체의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로부터 산성다당체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여과 또는 침전 과정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 농축 및 건조 등의 간단한 공정을 통해 분말 등의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Ginseng Extract Containing Acidic Polysaccharide With High Concentration}
본 발명은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중의 하나로 달면서 쓴맛이 있고, 따뜻한 기운을 가지고 있으며, 원기를 보하고 비장을 보호하며, 폐를 튼튼하게 해주는 등 본초학적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인삼은 가공방법에 따라 인삼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수삼, 홍삼, 백삼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수삼은 밭에서 수확한 생 인삼으로 75%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유통과정에서 부패하거나 손상이 일어나기 쉬워 장기보관이 어렵다.
홍삼은 수삼을 정선하여 망상조직인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겨갈색의 인삼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인삼 조직 중의 전분입자가 호화되고 조직이 견고하며 각종 효소들이 불활성화 되어 품질이 안정하게 된다. 홍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홍삼 추출 잔여물은 홍삼을 물 또는 알코올로 추출하여 홍삼 엑기스 성분이 추출되고 남은 잔사로서 홍삼을 수회 반복 추출해도 진세노사이드, 산성다당체 등의 유효성분이 2-40% 정도 잔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효성분이 다량 잔류되어 있는 홍삼 추출 잔여물은 그 활용 범위가 제한적이며, 현재는 사료 및 퇴비조성물의 첨가제로 단순히 사용되거나 폐기 처리되는 실정으로 홍삼 추출 잔여물에 대한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산성다당체는 다당류에 갈락트론산(galacturon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또는 만뉴론산(mannuronic acid)이 결합된 형태로서 분자량이 보통 15,000 이상이다. 또한, 산성다당체는 암세포분비 독소에 대하여 길항작용, 체지방 분해억제 및 암환자 체중감소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산성다당체를 인삼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홍삼에서 산성다당체를 분리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는 홍삼박을 고온의 물로 추출한 후 백 필터 형태의 프리필터 및 정밀여과를 거쳐 전처리한 다음, 한외여과하여 회수한 잔류액을 건조시켜 홍삼 다당체를 수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복잡한 여과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수율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홍삼박으로부터 우수한 효율로 산성다당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를 계속하던 중에, 고온 및 고압의 조건 하에서 추출을 수행하는 경우 진세노사이드 대비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45134호(2009.05.07.)
본 발명은 인삼 또는 인삼박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대비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삼 또는 인삼박을 물을 용매로 하여 110~180℃ 및 2기압 이상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성다당체 고함유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대비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인삼 추출물 내에 함유되는 산성다당체의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로부터 산성다당체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여과 또는 침전 과정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 농축 및 건조 등의 간단한 공정을 통해 분말 등의 원하는 형태로 가공한 후 바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인삼박과 같은 통상의 추출공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에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부산물 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인 산성다당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박적인 제조공정의 효율이 증대되는 점에서 이점이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추출시 온도 및 압력 조건에 따라 수득되는 홍삼 추출물에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및 산성다당체의 함량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인삼(Ginseng)'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인삼산업법 상의 여러가지 명칭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하게 가공된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수삼, 미삼, 흑삼, 산삼, 장뇌삼, 산양삼, 백삼, 태극삼, 호정화 인삼, 효소 처리된 미삼, 발효 인삼, 홍삼 및 발효 홍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삼은 원형을 유지한 생인삼을 말하고, 미삼은 인삼의 가는 뿌리를 말한다.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 과정에서 갈변 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흑삼은 홍삼을 더 여러 번 찌고 건조하여 흑색으로 변화한 인삼을 말한다. 산삼은 자생 인삼을 말하며, 장뇌삼은 심어서 기른 산삼을 말한다. 산양삼은 산간의 삼림 하에서 인위적으로 종자나 묘삼을 파종 이식하여 재배한 인삼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삼 또는 인삼박을 물을 용매로 하여 110~180℃ 및 2기압 이상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성다당체 고함유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인삼으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추출물은 인삼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인삼 또는 이의 건조물의 분말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물을 인삼으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인삼박은 인삼에 물을 가하여 추출한 후 추출물을 제거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추출은 예를 들어 60~90℃, 또는 60~70℃, 또는 70~80℃, 또는 80~90℃에서 6~12시간, 또는 6~9시간, 또는 9~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통상의 인삼 추출 잔여물인 인삼박을 활용하여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삼박이 제조되는 공정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삼 또는 인삼박에 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은 110~18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150℃, 더 바람직하게는 115~140℃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인삼 추출물 내에 진세노사이드 대비 산성다당체가 높은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인삼박에 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은 2기압 이상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8기압, 더 바람직하게는 2~5기압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기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인삼 추출물 내에 진세노사이드 대비 산성다당체가 높은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인삼박에 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은 0.5~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또는 0.5~6시간 동안, 또는 0.5~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추출은 1~7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2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는 통상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150 메쉬 체, 또는 70~130 메쉬 체, 또는 80~120 메쉬 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여과액을 40~80brix, 또는 20~40brix, 또는 40~60brix, 또는 60~80brix 범위로 농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분말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 조건은 통상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70℃에서, 6~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삼박에 물을 가하고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을 단순 여과한 후 농축 및 건조시킴으로써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삼 추출물로부터 고농도의 집약된 산성다당체를 수득하기 위해서 정밀여과, 한외여과 등의 복잡한 여과 공정이나, 알코올을 이용한 침전 공정 등을 반드시 거쳐야하는 종래기술에 비해서, 제조 공정상 시간 및 비용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삼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대비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므로, 이로부터 산성다당체를 분리하기 위해 별도의 여과 또는 침전 단계를 반드시 수행하지 않아도 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인삼 추출물에 알코올을 가하여 침전된 산성다당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삼 추출물은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산성다당체를 0.2~3 ㎎/g, 또는 0.4~2.2 ㎎/g, 또는 0.6~2 ㎎/g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에 함유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일정 수준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삼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s 3종은 7.5 ㎍/㎖ 이하, 또는 3~7 ㎍/㎖, 또는 3.5~6.5 ㎍/㎖ 포함할 수 있고,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s, Re, Rf, Rg2s, Rc, Rb2, Rd, Rg3r 11종은 35 ㎍/㎖ 이하, 또는 15~32 ㎍/㎖, 또는 15~30 ㎍/㎖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삼 추출물이 분말형인 경우 평균입경이 0.3~0.9㎜, 또는 0.3~0.5㎜, 또는 0.5~0.7㎜, 또는 0.7~0.9㎜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성다당체 고함유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건강기능식품,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껌류, 요쿠르트류 또는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정제, 캅셀제, 환제, 과립제, 분말제, 액제, 편상, 페이스트, 시럽제, 겔, 젤리, 바, 필름,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담체 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로서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및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조성물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600kg에 정제수 4200kg을 가하여 86℃에서 8시간 7회 추출 후 추출물을 제거하여 홍삼박을 수득하였다.
홍삼박 100kg에 정제수 700kg을 가하고 130℃ 및 3기압에서 2시간 동안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100메쉬 체에 여과한 후 여과액을 650㎜Hg, 55℃ 조건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하여 홍삼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홍삼 450kg에 정제수 3150kg을 가하여 86℃에서 12시간 4회 추출 후 추출물을 제거하여 홍삼박을 수득하였다.
홍삼박 100kg에 정제수 700kg을 가하고 120℃ 및 2기압에서 2시간 동안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100메쉬 체에 여과한 후 여과액을 685㎜Hg, 52℃ 조건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액을 분무건조 방법으로 건조하여 홍삼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상기 실시예 1에서 홍삼박을 이용한 추출 조건(온도 및 압력)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홍삼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분말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 3종 및 11종의 함량 및 산성다당체의 함량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추출조건 온도(℃) 130 120 110 100 90 80
압력(기압) 3 2 1.5 1 1 1
분석결과 산성다당체(㎎/g) 1.09 0.69 0.11 0 0 0
진세노사이드(㎍/㎖) 3종 6 6.24 8.22 7.03 5.86 4.92
11종 19 29.83 37 33.73 26.85 22.91
상기 결과로부터, 홍삼박의 추출 조건이 110℃ 초과 및 1.5기압 초과인 경우,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감소되면서 산성다당체 함량이 크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120℃, 2기압)의 경우 홍삼 추출물 내 산성다당체의 함량이 0.69 ㎎/g으로, 비교예 1(110℃, 1.5 기압)의 0.11 ㎎/g에 비해 6배 이상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130℃, 3기압)의 경우에는 산성다당체의 함량이 1.09 ㎎/g으로 비교예 1의 0.11 ㎎/g에 비해 거의 10배 가까이 증가되었다. 반면, 비교예 2 내지 4 (80~100℃, 1 기압)의 경우 산성다당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고온 및 고압을 적용하기 위해 공정상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등의 측면을 고려하면, 115~140℃ 및 2~5기압 조건에서 추출하는 경우 가장 최적의 효율로서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예 - 건강식품의 제조
1-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1-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1-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1-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1-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1-6.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1-7.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1-8.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홍삼 분말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1)

  1. 인삼박을 물을 용매로 하여 110~180℃ 및 2기압 이상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성다당체 고함유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산성다당체를 0.2~3 ㎎/g 포함하고,
    상기 인삼 추출물 내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s, Re, Rf, Rg2s, Rc, Rb2, Rd, Rg3r의 총합이 15~32 ㎍/㎖인 것인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2~5기압에서 수행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115~140℃에서 수행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삼박은 인삼에 물을 가하여 60~90℃에서 6~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물을 제거하여 수득된 것인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분말형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한외여과를 수행하지 않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 내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s의 총합이 3~7 ㎍/㎖인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인삼 추출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 내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s의 총합이 3~7 ㎍/㎖인 인삼 추출물.
  11. 삭제
KR1020200173623A 2020-12-11 2020-12-11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52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23A KR102523501B1 (ko) 2020-12-11 2020-12-11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23A KR102523501B1 (ko) 2020-12-11 2020-12-11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04A KR20220083404A (ko) 2022-06-20
KR102523501B1 true KR102523501B1 (ko) 2023-04-20

Family

ID=8224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623A KR102523501B1 (ko) 2020-12-11 2020-12-11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195A (ko) 2022-10-19 2024-04-29 주식회사 지에스생명공학 고려 인삼에서 유래하는 면역 증강, 피로 회복 및 혈행 개선 효과가 있는 인삼 사포닌 및 항암, 면역 증강, 조혈 촉진 및 방사선 방어 효과가 있는 인삼 다당체가 함께 지표 성분으로 추출 및 정제되어 수득한 인삼 추출물인 파낙세나 진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989B1 (ko) 2007-10-31 2011-03-07 내추럴초이스 (주) 홍삼박을 이용한 홍삼 다당체의 생산방법
KR101429272B1 (ko) * 2012-06-15 2014-09-24 (주)바이오벤 인삼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은영 외 7명. 고온고압 처리가 홍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Vol. 29, No. 3, pp. 438- 447
장은주 외 3인. 홍삼박으로부터 산성다당체의 최적 추출 조건 분석. 생약학회지. 2007, Vol. 38, No. 1, pp. 56-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04A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297B1 (ko)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알지3, 알지5 및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80014B1 (ko) 고순도 수용성 키토산 올리고당,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320631B1 (ko)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한국산 오디 유래의 다당류 및 이를 함유하는 약리적 조성물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4793B1 (ko) 쇼가올 함량이 증가된 생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KR102523501B1 (ko) 산성다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911736B1 (ko) 코디세핀-단백질 분해 효소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KR20140133016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71961B1 (ko)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1776179B1 (ko) 진세노사이드 20(s)-알지3 또는 진세노사이드 20(r)-알지3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56771A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2403241B1 (ko)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된 인삼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70107936A (ko) 다량의 총엽록소 성분 및 퀘르세틴 함량을 갖는 비증숙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말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KR101496155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5 또는 진세노사이드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52763B1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204912B1 (ko)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128009A (ko) 아로니아 및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방법
KR20170107733A (ko) 다량의 총엽록소 성분 및 퀘르세틴 함량을 갖는 증숙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말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KR101520388B1 (ko)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알에스3, 알에스4 및 알에스5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00782B1 (ko) 진세노사이드 20(s)-알지3 또는 진세노사이드 20(r)-알지3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35706B1 (ko) 사포닌 강화 홍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2575880B1 (ko)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진된 혼합균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8075B1 (ko) 수수 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4501B1 (ko) 동충하초로 고상발효된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