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201B1 -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 Google Patents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201B1
KR102523201B1 KR1020210063034A KR20210063034A KR102523201B1 KR 102523201 B1 KR102523201 B1 KR 102523201B1 KR 1020210063034 A KR1020210063034 A KR 1020210063034A KR 20210063034 A KR20210063034 A KR 20210063034A KR 102523201 B1 KR102523201 B1 KR 10252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plate
electric
actuator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162A (ko
Inventor
배동권
배진용
Original Assignee
윤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현 filed Critical 윤영현
Priority to KR1020210063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2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3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ccentrically mounted wheels
    • A61G5/06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ccentrically mounted wheels with three or more wheels mounted on a rotary cross member, e.g. spiders or spoked wheels with small wheels at the end of the spo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10Stair climbing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 있어서, 주 바퀴(11); 상기 주 바퀴(11)와 연결된 동력전달 기어(13); 상기 주 바퀴(12)의 축과 연결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의 이동을 시키는 제1,2 액츄에이터(32,34); 상기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며,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하나의 형상으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Electric Wheel using Variable Track Wheel}
본 발명은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할 수 있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평지에서는 일반적인 바퀴를 이용하며, 계단 또는 단차(單差)가 있는 곳에서는 궤도바퀴를 이용하도록 가변 궤도형 전동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로 인하여 노약자가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장애인 및 노약자의 이동수단에서는 전동휠체어가 매우 중요한 다리가 되고 있다. 하지만, 전동휠(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등)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단지 5 cm의 단차(單差)에서도 이동하기가 어려우며, 계단을 만나는 경우 이동에 있어서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조사원에 따르며, 전동휠의 이용자 중에서 35.5%가 단차(單差)로 인한 사고경험이 있으며, 사고유형에서 단차(單差)에 걸림으로 인한 전복사고가 41.2%로 가장 높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도로 옆에 위치한 인도에서는 불법주차, 불법광고판 및 불법으로 물건적체 등의 이유로 전동휠을 이용하는 장애인과 노약자들이 전동휠을 이용하고 주행하는 것에 있어서 매우 어렵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0652호, 공개일 2017. 02. 01.(이하 [특허문헌1]이라함)에서는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메인프레임, 한 쌍의 바퀴, 보조프레임, 바퀴와 체인으로 연동되는 클러스터 유닛 및 바퀴를 지면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를 공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6729호, 공고일 2020. 12. 31.(이하 [특허문헌2]라함)에서는 계단식 전동휠체어를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문헌2]에서는 바퀴 구동장치, 계단식 전동휠체어 조작장치, 구동기어, 제1,2 피동기어, 바퀴와 클러치로 분리 결합되는 기어, 경사 주행 시에는 바퀴와 기어를 연결하는 클러치가 분리되게 하고, 궤도형 바퀴와 기어를 연결하는 클러치가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전동휠체어를 공개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2]에서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하고 있으나, 궤도바퀴의 동작이 효율적이고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0652호,공개일 2017.02.01.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6729호,공고일 2020.12.31.
본 발명은 단순하게 궤도바퀴(12)와 주 바퀴(11)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며, 가변 궤도바퀴(12)를 상승시키며,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붙어짐을 통하여 가변 궤도바퀴(12)를 하강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궤도바퀴(12)와 주 바퀴(11)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가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이며, 이를 위하여 복수의 보조바퀴(21 내지 28)를 가지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을 제안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은, 주 바퀴(11); 상기 주 바퀴(11)와 연결된 동력전달 기어(13); 상기 주 바퀴(12)의 축과 연결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 및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의 이동을 시키는 제1,2 액츄에이터(32,34);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며,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하나의 형상으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은, 주 바퀴(11); 상기 주 바퀴(11)와 연결된 동력전달 기어(13); 상기 주 바퀴(12)의 축과 연결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 및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의 이동을 시키는 제1,2 액츄에이터(32,34);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며; 상기 궤도바퀴를 상승시키고, 상기 주 바퀴(11)가 상기 궤도바퀴(12)보다 아래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에서 하나의 형상으로 모아지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의 제1,2 보조바퀴(21,22)와 제3,4 보조바퀴(23,24)는 같은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액츄에이터(32,34)가 수축 동작하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는 동력전달 기어(13)와 접속하지 않으며 상기 주 바퀴(11)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액츄에이터(32,34)가 확장 동작하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는 동력전달 기어(13)와 접속하며, 상기 주 바퀴(11) 및 상기 궤도바퀴(12)가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의 제1,2 보조바퀴(21,22)는 제3,4 보조바퀴(23,24) 보다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휠에서는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상기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하나의 형상으로 모아지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의 제1,2 보조바퀴(21,22)와 제3,4 보조바퀴(23,24)는 같은 위치에 정렬하게 됨을 통하여 계단 또는 단차(單差)에서 상기 전동휠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은, 첫째,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하여 간단하게 궤도바퀴(12)와 주 바퀴(11)의 변경이 가능하며, 둘째,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침을 통하여 용이하게 궤도바퀴(12)의 상하 동작이 일어나며, 셋째, 계단 또는 단차(單差)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매우 상승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개념도이다.
도 2는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평지 이동시 개념도이다.
도 3은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개념도이다.
도 4는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시작품 사진이다.
도 5는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평지 이동시 시작품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은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 사람이 타고 계단 이동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개념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에서 사람은 등받이(62)가 있는 의자(63)에 앉아서 제어부(61)를 통하여 전체 휠체어를 제어한다. 무엇보다 평지(100)가 아닌 계단(101)을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휠체어의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서로 하나로 만남을 통해서 제1 내지 제4 보조바퀴(21 내지 24)가 주 바퀴(11)보다 아래로 배치시키게 됨을 통하여 궤도바퀴(12)를 통해서 전동휠이 이동하며 상기 궤도바퀴(12)는 전동휠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동력전달 기어(13)와 접속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동에는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부(33,35)가 최대로 확장되고, 전동휠이 계단 또는 단차(單差)를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평지 이동시 개념도를 나타낸다. 상기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간단하게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엇보다 가변 궤도바퀴(12)를 상승시키고, 주 바퀴(11)가 궤도바퀴(12)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무엇보다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는 형상을 하는 것은 기존의 다른 발명에서 전혀 공개하지 않는 매우 독창적인 형상으로서 궤도바퀴의 제1,2 보조바퀴(21,22)는 제3,4 보조바퀴(23,24) 보다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개념도를 나타낸다. 상기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서는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간단하게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하나의 형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엇보다 가변 궤도바퀴(12)를 하강시키고, 궤도바퀴(12)가 주 바퀴(11)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무엇보다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에서 하나의 형상으로 모이지는 것은 기존의 다른 발명에서 전혀 공개하지 않는 매우 독창적인 형상으로서 궤도바퀴의 제1,2 보조바퀴(21,22)와 제3,4 보조바퀴(23,24)는 같은 위치에 정렬하게 됨을 통하여 계단 또는 단차(單差)에서 전동휠의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시작품 사진이다. 상기 도 4에서는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간단하게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하나의 형상으로 변경되며, 가변 궤도바퀴(12)를 하강시키고, 궤도바퀴(12)가 주 바퀴(11)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의 평지 이동시 시작품 사진이다. 상기 도 5에서는 평지 이동시 간단하게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며, 가변 궤도바퀴(12)를 상승시키고, 주 바퀴(11)가 궤도바퀴(12)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제안된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 사람이 타고 계단 이동시 사진이다. 계단 이동시 궤도바퀴(12)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 있어서, 주 바퀴(11); 상기 주 바퀴(11)와 연결된 동력전달 기어(13); 상기 주 바퀴(12)의 축과 연결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의 이동을 시키는 제1,2 액츄에이터(32,34); 상기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며,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하나의 형상으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을 제안하며, 전동휠이 계단 또는 단차(單差)를 이동시 매우 상승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11 : 주 바퀴
12 : 궤도바퀴
13 : 동력전달 기어
21 : 제1 보조바퀴
22 : 제2 보조바퀴
23 : 제3 보조바퀴
24 : 제4 보조바퀴
25 : 제5 보조바퀴
26 : 제6 보조바퀴
27 : 제7 보조바퀴
28 : 제8 보조바퀴
30 : 제1 모터
31 : 제2 모터
32 : 제1 액츄에이터
33 : 제1 액츄에이터 확장부
34 : 제2 액츄에이터
35 : 제2 액츄에이터 확장부
41 : 제1 고정부
42 : 제2 고정부
43 : 제1 지지판
44 : 제2 지지판
61 : 제어부
62 : 등받침
63 : 의자
100 : 평지
101 : 계단

Claims (7)

  1.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 있어서,
    주 바퀴(11);
    상기 주 바퀴(11)와 연결된 동력전달 기어(13);
    상기 주 바퀴(11)의 축과 연결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 및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의 이동을 시키는 제1,2 액츄에이터(32,34);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며,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하나의 형상으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2.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에 있어서,
    주 바퀴(11);
    상기 주 바퀴(11)와 연결된 동력전달 기어(13);
    상기 주 바퀴(11)의 축과 연결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 및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의 이동을 시키는 제1,2 액츄에이터(32,34);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며;
    상기 궤도바퀴를 상승시키고, 상기 주 바퀴(11)가 상기 궤도바퀴(12)보다 아래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에서 하나의 형상으로 모아지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의 제1,2 보조바퀴(21,22)와 제3,4 보조바퀴(23,24)는 같은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액츄에이터(32,34)가 수축 동작하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는 동력전달 기어(13)와 접속하지 않으며 상기 주 바퀴(11)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5.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액츄에이터(32,34)가 확장 동작하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는 동력전달 기어(13)와 접속하며, 상기 주 바퀴(11) 및 상기 궤도바퀴(12)가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6.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휠에서는 평지 이동시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수축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나비 모양으로 날개를 펼쳐지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의 제1,2 보조바퀴(21,22)는 제3,4 보조바퀴(23,24) 보다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7.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휠에서는 계단 또는 단차(單差) 이동시 상기 제1,2 액츄에이터(32,34)의 확장 동작을 통해서 제1 지지판(43) 및 제2 지지판(44)이 하나의 형상으로 모아지는 경우, 상기 궤도바퀴(12)의 제1,2 보조바퀴(21,22)와 제3,4 보조바퀴(23,24)는 같은 위치에 정렬하게 됨을 통하여 계단 또는 단차(單差)에서 상기 전동휠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KR1020210063034A 2021-05-14 2021-05-14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KR10252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034A KR102523201B1 (ko) 2021-05-14 2021-05-14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034A KR102523201B1 (ko) 2021-05-14 2021-05-14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162A KR20220155162A (ko) 2022-11-22
KR102523201B1 true KR102523201B1 (ko) 2023-04-18

Family

ID=8423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034A KR102523201B1 (ko) 2021-05-14 2021-05-14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2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62B1 (ko) 2010-07-09 2012-10-11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계단을 오르는 전동 운반체
KR102196729B1 (ko) 2018-06-20 2020-12-31 박정일 계단식 전동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79852C (zh) * 2001-10-03 2010-01-13 伽利略机动设备有限公司 车辆的可变牵引系统
KR20050112017A (ko) * 2004-05-24 2005-11-29 김현학 전동휠체어
KR20170010652A (ko) 2015-07-20 2017-02-0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
KR20200072578A (ko) * 2018-11-29 2020-06-23 배동권 전동 모빌리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62B1 (ko) 2010-07-09 2012-10-11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계단을 오르는 전동 운반체
KR102196729B1 (ko) 2018-06-20 2020-12-31 박정일 계단식 전동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162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81295U (zh) 侧向爬楼梯电动轮椅
KR100992110B1 (ko) 휠체어
CN101797202A (zh) 履带式平地楼梯两用代步车
JP2010099459A (ja) 昇段装置
KR101215285B1 (ko)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JP2010505489A (ja) 階段および障害物用車椅子
JP2018020758A (ja) キャタピラー式移動装置
CN106821624B (zh) 一种爬楼梯轮椅
KR20190066280A (ko)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CN102327164A (zh) 可自行上下楼的椅车
KR102523201B1 (ko) 가변 궤도바퀴를 이용한 전동휠
JP2562792B2 (ja) 段差昇降式電動車椅子
CN2555821Y (zh) 自平衡式电动轮椅
KR20030088947A (ko) 계단 주행 로보트 및 그 주행방법
CN104800011A (zh) 一种新型多功能轮椅及其使用方法
DE202009008144U1 (de) Transportmittel, insbesondere für körperbehinderte Menschen
CN104005524A (zh) 一种可调式阶梯
KR102196729B1 (ko) 계단식 전동휠체어
PL231212B1 (pl) Układ wspomagający poruszanie po stromych powierzchniach
CN202154808U (zh) 可自行上下楼的椅车
TWI720909B (zh) 升降位移輪椅
KR100311907B1 (ko) 계단을 오를 수 있는 휠체어
CN201154717Y (zh) 轮椅或小车攀登用辅助装置
JPH021269A (ja) 階段昇降方法および階段昇降車
CN113397847B (zh) 一种辅助轮椅越障装置及越障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