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631B1 -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 Google Patents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631B1
KR102521631B1 KR1020220116592A KR20220116592A KR102521631B1 KR 102521631 B1 KR102521631 B1 KR 102521631B1 KR 1020220116592 A KR1020220116592 A KR 1020220116592A KR 20220116592 A KR20220116592 A KR 20220116592A KR 102521631 B1 KR102521631 B1 KR 10252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mounting
mounting portion
dies
di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철
Original Assignee
하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현철 filed Critical 하현철
Priority to KR102022011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631B1/ko
Priority to PCT/KR2023/009813 priority patent/WO20240583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9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 B30B15/0035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using an adju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 drive means and the press s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52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fluid drive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파이프나 로프 등의 대상물의 외면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유압 압착기가 눌러주는 복수 개의 다이스에 형성되는 각각의 압착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압착의 진행에 따른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태에서 압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압착대상물이 삽입되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다이스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착대상물의 외면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압착하도록 하는 압착헤드부를 구비하는 유압 압착기에 있어서;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N이 5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일 때 N개의 변을 가지는 정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이스 장착부와,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두 개의 변이 만나는 꼭지점이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과;
정단면이 동일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일변에 밀착하는 제1 슬라이드면과, 상기 제1 슬라이드면의 양 끝단에서 각각 다이스 장착부의 중심 방향 또는 중심 방향의 연장선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끝단에서 만나는 두 개의 제2 슬라이드면과, 상기 제1 슬라이드면과 제2 슬라이드면이 만나는 두 모서리 중 하나를 제1 슬라이드면이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변 길이 40~70%가 되고 단면이 다이스 장착부의 내각과 동일한 각을 이루도록 모따기 되어 이루어지는 승하강 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지는 N개의 다이스와;
상기 제1 슬라이드면과 승하강 가이드면이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내각 모서리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탄성복원수단과;
하부에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승하강 가이드면에 밀착하여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승하강 가이드면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가압 밀착면을 구비하는 가압블록을 구비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Hydraulic Press of Continuous Internal Face with Vertical Top-Down}
본 발명은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종 파이프나 로프 등의 대상물의 외면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유압 압착기가 눌러주는 복수 개의 다이스에 형성되는 각각의 압착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압착의 진행에 따른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태에서 압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나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거나 반대로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진 연결구를 통하여 억지끼움 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연결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별도의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또 연결작업에서도 상당한 불편함을 가지게 된다.
이에 각종 호스나 파이프 또는 로프의 외면을 가압하여 압착하도록 하여 외경을 축소하여 다른 것의 내경면에 삽입하여 연결하거나 이음부위를 압착하여 견고하게 연결하는 용도 등으로 수동 또는 유압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압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 유압 압착기는 원형와 사각 그리고 기타 다각형의 파이프 형상에 적용되는 것으로 원형관의 경우 복수 개 보통 8개의 압착을 위한 다이스가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원형관을 삽입하면 유압에 의하여 각각의 다이스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형관이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최종적으로 가압된 상태에서는 인접한 다이스와의 간격은 0에 가깝게 즉 밀착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상태에서 외경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경우 정확한 지점에서 멈추도록 유압 액추에이터의 행정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이 힘들며, 인접한 다이스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에서 멈추면 그 사이 지점은 압착대상물의 외경이 덜 압착되어 미세하게 돌출되어 조립작업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최종적으로 가압되는 치수가 결정되는 경우에는 다른 규격의 것을 적용하여 최종 압착되는 정도가 다를 경우에 이에 알맞는 다이스로 교체하여 사용해야만 하며, 이러한 추가적인 교체작업과 교체 후 정확하게 압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장비를 세부 조절하는 과정에 시간이 소요되며 추가적인 다이스에 의한 장치 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602122-0000호 (2016년03월0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604416-0000호 (2016년03월11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2305000-0000호 (2021년09월15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복수 개의 다이스가 압착대상물의 외면을 가압하여 압착하도록 내면이 수축하도록 할 때 최종 수축된 상태가 아닌 수축 전 또는 수축 중에도 인접한 다이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가 아닌 연속된 밀착 상태 될수 있도록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이스의 이동에 의하여 내면이 수축되는 정도를 유압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으로 로드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고 이동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착대상물이 삽입되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다이스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착대상물의 외면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압착하도록 하는 압착헤드부를 구비하는 유압 압착기에 있어서;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N이 5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일 때 N개의 변을 가지는 정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이스 장착부와,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두 개의 변이 만나는 꼭지점이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과;
정단면이 동일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일변에 밀착하는 제1 슬라이드면과, 상기 제1 슬라이드면의 양 끝단에서 각각 다이스 장착부의 중심 방향 또는 중심 방향의 연장선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끝단에서 만나는 두 개의 제2 슬라이드면과, 상기 제1 슬라이드면과 제2 슬라이드면이 만나는 두 모서리 중 하나를 제1 슬라이드면이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변 길이 40~70%가 되고 단면이 다이스 장착부의 내각과 동일한 각을 이루도록 모따기 되어 이루어지는 승하강 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지는 N개의 다이스와;
상기 제1 슬라이드면과 승하강 가이드면이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내각 모서리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탄성복원수단과;
하부에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승하강 가이드면에 밀착하여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승하강 가이드면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가압 밀착면을 구비하는 가압블록을 구비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블록에 의하여 가압되는 다이스의 승하강 가이드면과 인접한 다이스에는 제1 슬라이드면과 제2 슬라이드면과 만나는 모서리가 가압블록과 접촉되지 않도록 모따기 처리되는 모따기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일측은 압착헤드부에 고정되고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일변과 평행한 스프링 삽입장홈을 구비하여 리턴스프링이 내장되는 스프링블록과, 상기 스프링 삽입장홈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삽입장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다이스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스가 이동할 때 고정핀이 리턴스프링을 가압하여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상기 다이스 장착부의 변에 함몰 형성되는 장홈과, 상기 다이스의 장홈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장홈에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의 로드 또는 가압블록 중 하나에는 외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걸림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가이드홀에 나사결합하여 승하강하며 상기 돌출 걸림부가 하강할 때 밀착하여 승하강폭을 제한하는 승하강 제한블록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2개 이상이 상기 다이 장착부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도록 장착되어 서로 다른 다이스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외부 프레임의 가이드홀과 인접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을 관통하는 원형 단면의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의 양측에 결합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에 밀착되는 너트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착대상물의 외면을 가압하여 압착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다이스가 가각 서로 밀착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를 가지며 유압 액추에이터의 압력에 의하여 외부 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면 중 하나를 따라 다이스가 이동하면서 다이스로 이루어진 내측이 연속된 내면을 가진 상태로 수축되도록 하여 정밀한 압착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이스의 이동에 의하여 내면이 수축하는 정도를 유압 액추에이터의 이동 거리가 승하강 제한블록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승하강 제한블록의 위치를 변경하어 이동 거리를 조절하면 다이스의 교체없이 다양한 크기의 압착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으며 압착하는 정도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착 헤드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압착 헤드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착 헤드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압착대상물이 삽입되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다이스(12)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착대상물의 외면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압착하도록 하는 압착헤드부(1)를 구비하는 유압 압착기에 있어서;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N이 5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일 때 N개의 변을 가지는 정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이스 장착부(111)와,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두 개의 변이 만나는 꼭지점이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112)을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11)과;
정단면이 동일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일변에 밀착하는 제1 슬라이드면(121)과, 상기 제1 슬라이드면(121)의 양 끝단에서 각각 다이스 장착부(111)의 중심 방향 또는 중심 방향의 연장선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끝단에서 만나는 두 개의 제2 슬라이드면(122)과, 상기 제1 슬라이드면(121)과 제2 슬라이드면(122)이 만나는 두 모서리 중 하나를 제1 슬라이드면(121)이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변 길이 40~70%가 되고 단면이 다이스 장착부(111)의 내각과 동일한 각을 이루도록 모따기 되어 이루어지는 승하강 가이드면(123)으로 이루어지는 N개의 다이스(12)와;
상기 제1 슬라이드면(121)과 승하강 가이드면(123)이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내각 모서리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탄성복원수단(13)과;
하부에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로드(141)와, 상기 로드(141)의 하단에 가이드홀(112)을 관통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승하강 가이드면(123)에 밀착하여 로드(141)의 움직임에 따라 승하강 가이드면(123)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가압 밀착면(142)을 구비하는 가압블록(143)을 구비하는 유압 액추에이터(14)를 포함하여 구성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유압 압착기는 복수 개의 다이스(12)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과 압착작업을 할 때 중심방향으로 모이면서 압착작업을 하는 점에서는 종래 다양한 기술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나 본원은 압착작업이 시작하기 전부터 각각의 다이스(12) 사이가 서로 밀착하여 이격된 공간이 없이 연속된 내면을 가지는 것에 가장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원의 구성에 의하여 유압 액추에이터(14)에 의하여 가압블록(143)이 하강하면 가압밀착면(142)과 밀착하는 승하강 가이드면(123)이 하강하면서 서로 미끄러지게 되고 다이스(12)는 제1 슬라이드면(121)과 다이스 장착부(111)의 내측 일면이 밀착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각각의 제2 슬라이드면(122)에 의하여 밀착된 다른 다이스(12)가 모두 각각의 밀착하는 다이스 장착부(111)의 내측 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다이스(12) 들에 의하여 형성된 중앙의 홀은 수축하게 되어 피가압물의 외면을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원의 다이스 장착부(111)의 형상과 다이스(12)의 수는 5개 이상인 N개로 구성되며 이것은 정다각형의 내각이 90인 정사각형에서는 승하강 가이드면(123)에 의한 다이스(12)의 하강을 바랄 수 없기에 내각이 108도인 정오각형부터 본원의 개념에 의한 구현이 가능하며 원형파이프를 가공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면의 수는 적어도 8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황에 따라 10, 12 등 다양한 정다각형과 다이스의 수를 결정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호 미끄러지면서 밀착하는 면에는 미끄럼이 용이하고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마찰패드(15)를 장착함이 바람직하여 다이스 장착부(111)의 내면에 장착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며, 상황에 따라 제1 슬라이드면과 제2 슬라이드면(122)과 승하강 가이드면(123)에도 장착이 가능하며 또한 가압블록(143)의 승하강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홀(112)에 원통형의 마찰패드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 모든 다이스(12)가 수축에 따른 움직임이 일정하지만 그 중 하나의 다이스(12a)는 이동경로가 가압블록(143)을 향하도록 이루어져 수축되는 거리가 길 경우에는 가압블록(143)의 운동 경로와 겹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원은 상기 가압블록(143)에 의하여 가압되는 다이스(12)의 승하강 가이드면(123)과 인접한 다이스(12a)에는 제1 슬라이드면(121)과 제2 슬라이드면(122)과 만나는 모서리가 가압블록(143)과 접촉되지 않도록 모따기 처리되는 모따기면(124)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즉 모따기면(124)에 의하여 상호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본원의 구성은 유압 액추에이터(14)에 의하여 수축하는 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크기의 압착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며, 압착하는 정도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장치나 다이스(12)를 교체하던 종래와 달리 하나의 장치에서 제어부(2)에 의한 설정을 달리하면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복원수단(13)은 일측은 압착헤드부(1)에 고정되고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일변과 평행한 스프링 삽입장홈(131)을 구비하여 리턴스프링(132)이 내장되는 스프링블록(133)과, 상기 스프링 삽입장홈(131)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삽입장홈(131)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다이스(1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134)으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스(12)가 이동할 때 고정핀(134)이 리턴스프링(132)을 가압하여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에서 스프링블록(133)은 압착헤드부(1)는 외부 프레임(11)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다이스(12)를 외부 프레임(11)에 장착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다이스(1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될 수 있는 별도의 중공이 형성되는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하며, 가압블록(143)이 하강하면 리턴스프링(132)이 가압되고 상승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다이스(12)가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이러한 탄성복원수단(13)은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 있는 두 개의 다이스(12)에 각각 형성하도록 하면 다른 다이스(12)도 동일한 운동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탄성복원수단(13)은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변에 함몰 형성되는 장홈(135)과, 상기 다이스(12)의 장홈(135)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36)와, 상기 장홈(132)에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13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이스(12)에 가이드돌기(136)를 일체로 또는 나사결합 등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가압블록(143)이 하강할 때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37)이 수축하도록 하여 압착과정이 끝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다이스(12)가 복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압착 헤드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14)의 로드(141) 또는 가압블록(143) 중 하나에는 외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걸림부(144)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11)의 가이드홀(112)에 나사결합하여 승하강하며 상기 돌출 걸림부(144)가 하강할 때 밀착하여 승하강폭을 제한하는 승하강 제한블록(145)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압착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유압이 작용하여도 압착에서 변형되는 정도가 서로 다르게 되며 특히 강철과 비철금속의 경우 그 차이가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에 따라 유압을 조절해야함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압력의 조절이 미리 설정된 수치에 의하여 압력을 조절해야함이 바람직하지만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 정확한 압력을 결정하는데 많은 오차를 반복 수행한 후 결정되게 된다.
이에 본원은 가압블록(143)이 최종적으로 하강하는 위치를 승하강 제한블록(145)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승하강 제한블록(145)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 간편하게 최종 압착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14)는 2개 이상이 상기 다이 장착부(111)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도록 장착되어 서로 다른 다이스(12)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다이스(12)는 직접 가압을 받는 다이스(12)가 이동하면서 인접한 다이스(12)를 밀어 이동시키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체 다이스(12)가 이동하도록 하는 기본 실시 예를 개선한 것이다.
즉 다이스(12)의 수가 많아질수록 다른 다이스(12)와 밀며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마찰력과 충돌에 의하여 점차로 힘이 감소하고, 인접한 다이스(12)와 밀착하고 있더라도 미세한 유격은 점차 다이스(12)의 이동거리가 미세하게 짧아지게 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인 것이다.
이에 힘의 원활한 전달을 위하여 다이스(12)의 수가 짝수일 경우에는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여 다이스(12)의 이동과 가압력이 원활하도록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4개의 유압 액추에이터(14)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론적으로는 그 외의 홀수나 3의 배수일 경우 경우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으로 3 ~ M개를 배치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이스(12)의 수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므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14)의 수는 1~4개의 범위가 바람직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압착 헤드부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가이드홀(112)과 인접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을 관통하는 원형 단면의 보강바(113)와, 상기 보강바(113)의 양측에 결합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11)에 밀착되는 너트(11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 예는 유압 액추에이터(14)에 의한 압력은 다이스(12)에 전달되어 다이스(12)가 이동하게 되는데 힘의 방향은 다이스(12)의 이동방향과 다이 장착부(111)의 중심에서 법선 방향의 사이로 작용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다이 장착부(111)는 전체적으로 법선방향의 힘 즉 확장되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 가이드홀(112)이 형성되는 부분은 작용하는 힘에 취약하여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보강바(113)에 의하여 양측 너트(114)가 가압력을 적용하도록 하여 외부 프레임(11)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 프레임(11)은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다이스(12)의 장착과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된 상태로 제작한 후 조립되어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의 조립은 본원의 보강바(113)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1 : 압착헤드부
11 : 외부 프레임
111 : 다이스 장착부 112 : 가이드홀
113 : 보강바 114 : 너트
12 : 다이스
121 : 제1 슬라이드면 122 : 제2 슬라이드면
123 : 승하강 가이드면 124 : 모따기면
13 : 탄성복원수단
131 : 스프링 삽입장홀 132 : 리턴스프링
133 : 스프링블록 134 : 고정핀
135 : 장홈 136 : 가이드돌기
137 : 압축코일스프링
14 : 유압 액추에이터
141 : 로드 142 : 가압밀착편
143 : 가압블록 144 : 돌출걸림부
145 : 승하강 제한블록
15 : 마찰패드
2 : 제어부
3 : 전원부
4 : 모터

Claims (7)

  1. 압착대상물이 삽입되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다이스(12)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착대상물의 외면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압착하도록 하는 압착헤드부(1)를 구비하는 유압 압착기에 있어서;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N이 5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일 때 N개의 변을 가지는 정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이스 장착부(111)와,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두 개의 변이 만나는 꼭지점이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112)을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11)과;
    정단면이 동일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일변에 밀착하는 제1 슬라이드면(121)과, 상기 제1 슬라이드면(121)의 양 끝단에서 각각 다이스 장착부(111)의 중심 방향 또는 중심 방향의 연장선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끝단에서 만나는 두 개의 제2 슬라이드면(122)과, 상기 제1 슬라이드면(121)과 제2 슬라이드면(122)이 만나는 두 모서리 중 하나를 제1 슬라이드면(121)이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변 길이 40~70%가 되고 단면이 다이스 장착부(111)의 내각과 동일한 각을 이루도록 모따기 되어 이루어지는 승하강 가이드면(123)으로 이루어지는 N개의 다이스(12)와;
    상기 제1 슬라이드면(121)과 승하강 가이드면(123)이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내각 모서리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탄성복원수단(13)과;
    하부에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로드(141)와, 상기 로드(141)의 하단에 가이드홀(112)을 관통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승하강 가이드면(123)에 밀착하여 로드(141)의 움직임에 따라 승하강 가이드면(123)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가압 밀착면(142)을 구비하는 가압블록(143)을 구비하는 유압 액추에이터(1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143)에 의하여 가압되는 다이스(12)의 승하강 가이드면(123)과 인접한 다이스(12a)에는 제1 슬라이드면(121)과 제2 슬라이드면(122)과 만나는 모서리가 가압블록(143)과 접촉되지 않도록 모따기 처리되는 모따기면(12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수단(13)은 일측은 압착헤드부(1)에 고정되고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일변과 평행한 스프링 삽입장홈(131)을 구비하여 리턴스프링(132)이 내장되는 스프링블록(133)과, 상기 스프링 삽입장홈(131)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삽입장홈(131)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다이스(1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134)으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스(12)가 이동할 때 고정핀(134)이 리턴스프링(132)을 가압하여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수단(13)은 상기 다이스 장착부(111)의 변에 함몰 형성되는 장홈(135)과, 상기 다이스(12)의 장홈(135)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36)와, 상기 장홈(135)에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13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14)의 로드(141) 또는 가압블록(143) 중 하나에는 외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걸림부(144)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11)의 가이드홀(112)에 나사결합하여 승하강하며 상기 돌출 걸림부(144)가 하강할 때 밀착하여 승하강폭을 제한하는 승하강 제한블록(145)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14)는 2개 이상이 상기 다이 장착부(111)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도록 장착되어 서로 다른 다이스(12)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가이드홀(112)과 인접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을 관통하는 원형 단면의 보강바(113)와, 상기 보강바(113)의 양측에 결합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11)에 밀착되는 너트(11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KR1020220116592A 2022-09-15 2022-09-15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KR10252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592A KR102521631B1 (ko) 2022-09-15 2022-09-15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PCT/KR2023/009813 WO2024058385A1 (ko) 2022-09-15 2023-07-11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592A KR102521631B1 (ko) 2022-09-15 2022-09-15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631B1 true KR102521631B1 (ko) 2023-04-13

Family

ID=8597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592A KR102521631B1 (ko) 2022-09-15 2022-09-15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1631B1 (ko)
WO (1) WO20240583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85A1 (ko) * 2022-09-15 2024-03-21 하현철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61145U (zh) * 2012-09-14 2013-04-10 苏州通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多边形无级压接模具
KR101602122B1 (ko) 2012-09-28 2016-03-0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셔터 프레스 압축기
KR101604416B1 (ko) 2015-01-16 2016-03-18 이주억 호스용 압착기
CN210723635U (zh) * 2019-11-12 2020-06-09 安徽益佳通电池有限公司 一种轨道式多边形电缆压接装置
CN213959309U (zh) * 2020-12-31 2021-08-13 天津市力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线端子压接的模具
KR102305000B1 (ko) 2021-06-18 2021-09-24 하현철 수직 하향식 유압 압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988Y1 (ko) * 2006-08-18 2006-10-31 박병옥 압착식 금속관 접속공구
EP3012923B1 (de) * 2014-10-20 2017-11-29 Wezag GmbH Werkzeugfabrik Presszange
KR102521631B1 (ko) * 2022-09-15 2023-04-13 하현철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61145U (zh) * 2012-09-14 2013-04-10 苏州通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多边形无级压接模具
KR101602122B1 (ko) 2012-09-28 2016-03-0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셔터 프레스 압축기
KR101604416B1 (ko) 2015-01-16 2016-03-18 이주억 호스용 압착기
CN210723635U (zh) * 2019-11-12 2020-06-09 安徽益佳通电池有限公司 一种轨道式多边形电缆压接装置
CN213959309U (zh) * 2020-12-31 2021-08-13 天津市力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线端子压接的模具
KR102305000B1 (ko) 2021-06-18 2021-09-24 하현철 수직 하향식 유압 압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85A1 (ko) * 2022-09-15 2024-03-21 하현철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385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631B1 (ko)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WO2013047649A1 (ja) 段差付き角パイプの製造方法
DE69823639T2 (de) Sensorri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276765A (en) Pressing device for a hose coupler
CA2334881C (en) Slotted crimping die for use in a crimping machine
CA2405098A1 (en) Method and tool for producing a press joint connection
CN1082856C (zh) 用于在成形薄板构件之间形成接头的工具
JP5024212B2 (ja) 曲げ加工装置
KR102457983B1 (ko) 힌지구조와 보정구조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
US3981067A (en) Method of splicing and products thereof
AT507808B1 (de) Biegepresse mit einem antriebsbalken und elastisch gekuppelten biegebalken
EP154944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auerhaften verbinden von einander überlappenden, plattenförmigen bauteilen
EP3580059B1 (en) Tool set having deflection compensation
CN1216701C (zh) 用于弯边压床的成型模具的模具夹紧装置
CN113529980B (zh) 一种连接稳定的预制墙体
JP3863146B2 (ja) カッティングブレードの溝加工装置
JPS6023892B2 (ja) 厚肉鋼管製造方法
US20130055778A1 (en) Method for forming, by means of a hydroforming process, a tubular element as well as a device suitable for carrying out such a method, and a tubular element
KR100913357B1 (ko) 케이블 볼트 제조장치
CN117526040A (zh) 端子压接装置
CN218695135U (zh) 一种激光焊接夹具
JP3649368B2 (ja) 圧粉体の成形方法
KR102191863B1 (ko) 하부금형 클램핑수단을 구비한 절곡기
US20220402014A1 (en) Bending Die Assembly with Split Die and Method for Using
CN116371979B (zh) 一种冲压模具及其冲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