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416B1 - 호스용 압착기 - Google Patents

호스용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416B1
KR101604416B1 KR1020150008223A KR20150008223A KR101604416B1 KR 101604416 B1 KR101604416 B1 KR 101604416B1 KR 1020150008223 A KR1020150008223 A KR 1020150008223A KR 20150008223 A KR20150008223 A KR 20150008223A KR 101604416 B1 KR101604416 B1 KR 10160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mpression
main body
blocks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억
Original Assignee
이주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억 filed Critical 이주억
Priority to KR102015000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호스용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1 본체블록과 마주보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본체블록으로 구비되는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대향면에 각각 원통형 캡이 원형으로 압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 중간블록, 하부블록을 포함하는 압착블록, 상기 압착 블록 중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이 원형을 이루도록 소정의 각도로 이동되면서 상기 중간블록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시키는 한 쌍의 조정블록을 마련하여 서로 대칭된 본체블록 각각 설치된 3개의 압착블록에 의해 작업대상물을 압착할 수 있고, 본체블록을 등분할로 분할된 3개의 압착블록을 동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6개의 압착블록으로도 작업대상물을 원형으로 압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호스용 압착기{Presser for Hose}
본 발명은 호스용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또는 호스 등에 원통형 캡을 방사상으로 압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호스용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용 압착기는 호스와 호스 또는 호스와 배관 등의 선단에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위에 각각 암수로 대응되는 원통형 캡을 끼운 상태에서 가압하여 긴밀히 압착되도록 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일실시예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원통형캡 압착기의 분리형 죔틀"(실용신안공고 제1993-0007711호)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캡 압착기의 분리형 죔틀은 대칭으로 분리된 지지체(12, 12a)의 내안쪽에 다수의 압착간(2, 2a, 2b, 2c, 2d)이 설치되며, 각각 요입부(3) 내의 스프링(4, 4a)으로 연결되고, 일단의 압착간(2a)은 정면에 요홈(5)과 돌기(6) 그리고 결합돌기(6a)를 형성하고 후면에 경사면(7)을 갖는 누름편(8)을 마련된다.
또한 타단의 압착간(2b) 역시 요홈(5a) 및 돌기(6b)와 경사면(7a), 누름편(8a)을 형성하며, 저면부가 요입된 만곡면을 유지하여 이와 대칭되는 압착간(2c) 및 (2d)과 결합된다.
이러한 내측면에 나사홈(9)을 통공하고 측면에 안내돌기(10)를 돌출하여 다단식 경사면(11)을 갖는 지지체(12, 12a)에 끼우고 상기 지지체(12, 12a)측면에 반원형홈(13, 13a)과 안내공(14)이 통공된 측판(15)이 체결된다.
이와 같은 호스용 압착기의 압착간은 하나의 지지체에 모두 4개가 설치되며, 이는 180°로 이루어진 지지체의 내측에서 균등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45°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1개의 지지체에 설치되는 4개의 압착간은 45°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며, 45°로 이루어진 압착간은 tan 45°를 유지하게 되어 동일한 거리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압착간을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tan 45°를 유지시켜야 하며, 원통형 캡을 압착하는 다수의 압착간은 모두 8개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6개의 압착간에 의해서는 원통형 캡의 압착 시 동일한 이동 거리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8개의 압착간이 아닌 6개의 압착간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압착간이 6개인 경우, 압착간은 60°를 유지하게 되며, 이는 각각의 압착간의 이동 거리가 달라지게 되고, 이는 원통형 캡을 원형으로 압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호스 압착기의 다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호스 압착기의 다이 구조는 방사상으로 다수개 분할된 다이블럭들을 유압 실린더로 가압하여 이들 다이블럭들이 모아지면서 이들 사이의 호스에 마련된 체결구가 압착되도록 한 다이로서, 각 다이블럭은 서로 대향하는 부분마다 연결핀이 구비되고 이들 연결핀은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다이블럭들이 서로 결속되고, 각 다이블럭의 사이 사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각 다이블럭이 호스가 들어갈 간격만큼 벌어지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36688호(2001년 6월 21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8-0052720호(2008년 6월 12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는 서로 대칭되는 지지체에 각각 4개의 압착간이 설치되며, 압착간은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모두 8개의 압착간이 설치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압착간은 필수적으로 8개가 설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8개의 압착간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압착간을 제작해야 되는 비용이 발생되고 있으며, 원통형 캡을 원형으로 압착하기 위하여 동일한 45°의 각도로 분할된 8개의 압착간 외에 다른 개수의 압착간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6개의 다이블록을 사용하여 원형 캡을 압착할 수 있는 호스용 압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브이블록에 각각 3개의 다이블록을 설치하여 이들 다이블록이 원형을 이루도록 왕복 이동될 수 있는 호스용 압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이블록의 내면에 각각 일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를 부가할 수 있는 호스용 압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다이스를 원형 캡의 크기(직경)에 따라 크기별로 교체할 수 있는 호스용 압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1 본체블록과 마주보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본체블록으로 구비되는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대향면에 각각 원통형 캡이 원형으로 압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 중간블록, 하부블록을 포함하는 압착블록, 상기 압착 블록 중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이 원형을 이루도록 소정의 각도로 이동되면서 상기 중간블록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시키는 한 쌍의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블록과 압착블록 사이에 소정의 두께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블록 및 압착블록의 위치 보정 및 마모를 방지하는 보정 플레이트, 상기 압착블록의 왕복 이동 시 상기 압착블록이 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소정 각도로 안내구멍이 다수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블록은 상기 본체블록의 중간 위치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블록, 상기 중간블록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 상기 중간블록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블록과 하부블록 각각에 상기 중간블록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블록을 따라 소정 각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블록은 원통형 캡이 방사상으로 압착되도록 일측에 원호면이 형성되며 타측에 고정구멍이 형성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블록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는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고정구멍과 상기 제2 블록의 끼움구멍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볼트, 상기 제2 블록의 측면에 상기 제1 볼트를 고정시키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블록은 상기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의 수평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수평면, 상기 수평면과 6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상기 상부블록 또는 하부블록이 상기 중간블록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 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제3 대향면과 동일한 각도인 39~44°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 상기 본체블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정블록이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상기 조정블록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조정블록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블록은 상기 본체블록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 상기 본체블록과 동일하게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하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블록을 동일한 60°의 등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블록, 중간블록 및 하부블록의 이동 거리가 각각 동일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일측에 상기 제2 본체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이동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끝단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에 의하면, 서로 대칭된 본체블록 각각 설치된 3개의 압착블록에 의해 작업대상물을 압착할 수 있고, 본체블록을 등분할로 분할된 3개의 압착블록을 동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6개의 압착블록으로도 작업대상물을 원형으로 압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에 의하면, 본체블록과 압착블록 사이에 고정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압착기, 본체블록, 압착블록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서로 다른 두께의 고정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압착하고자 하는 원형의 치수를 보정할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3개의 압착블록을 이용하여 원통형 캡을 원형의 형상으로 압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길이로 이동되는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을 조정블록에 의해 동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6개의 압착블록으로 원통형 캡을 압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호스 압착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본체블록 및 압착블록을 보인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압착블록을 보인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본체블록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본체블록에 압착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작동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가 원통형 캡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가 원통형 캡을 압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본체블록 및 압착블록을 보인 분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압착블록을 보인 분해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11)가 설치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1 본체블록(130)과 마주보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본체블록(140)으로 구비되는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대향면에 각각 원통형 캡이 원형으로 압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170), 중간블록(180), 하부블록(190)을 포함하는 압착블록, 상기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이 원형을 이루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상기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시키는 한 쌍의 조정블록(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본체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1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바퀴(112)가 설치될 수 있고,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구대(1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압착기의 작동 중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11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본체(110)에는 압착기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11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일측에 상기 제2 본체블록(140)을 수평 이동시키는 실린더(116), 상기 실린더(116)의 이동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실린더(116)의 끝단에 설치되는 스토퍼(1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에는 파이프(또는 배관), 호스(hose) 등의 끝단에 일정 길이 및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캡(미도시)을 압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되는 제1 본체블록(130)과 제1 본체블록(130)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는 제2 본체블록(140)으로 이루어진 본체블록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블록(130, 140)은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2개의 본체블록(130, 140) 중 제1 본체블록(130)은 본체(11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제2 본체블록(140)은 제1 본체블록(130)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블록(130)과 제2 본체블록(140)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대향된 면에 각각 압착블록이 설치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제1 대향면(131, 1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본체블록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본체블록에 압착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대향면(131, 141)은 다수의 압착블록이 설치될 수 있도록 120°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대향면(131, 141)은 3개의 압착블록이 설치될 수 있는데, 3개의 압착블록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120°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블록은 제1 본체블록(130)과 제2 본체블록(140)의 수직면(180°)을 3분할하게 되면, 60°의 등각으로 분할(등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블록은 제1 본체블록(130) 및 제2 본체블록(140) 각각에 3개의 압착블록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대향면(131, 141)을 120°의 각도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대향면(131, 141)의 끝단에는 제1 대향면(131, 141)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제2 대향면(132, 1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제2 대향면(132, 142)의 길이는 제1 대향면(131, 141)에 비하여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대향면(132, 142)의 끝단에는 제1 대향면(131, 141)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 대향면(133, 1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대향면(133, 143)은 각각 제2 대향면(132, 142)의 끝단에서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대략 39~44°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대향면(133, 143)에는 조정블록(2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조정블록(210)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3 대향면(133, 143)을 따라 이동되면서 다수의 압착블록 중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을 중간블록(180)의 이동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게 한다.
즉, 압착블록 중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60°의 등분할로 설치된 각도 때문에 중간블록(180)과 동일한 거리로 이동될 수 없게 되는데,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제3 대향면(133, 143) 및 조정블록(210)에 의해 중간블록(180)의 이동된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대향면(131, 141)과 제3 대향면(133, 143)에는 각각 다수의 볼트구멍(134, 144)이 형성될 수 있고, 양 측면에는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는 윤활구멍(135, 145)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윤활구멍(135, 145)에는 윤활유 또는 그리스 등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압착블록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압착블록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블록은 원통형 캡을 파이프 또는 호스 등의 외면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본체블록의 제1 대향면(131, 14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압착블록은 제1 대향면(131, 1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블록(170), 상부블록(170)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간블록(180), 중간블록(18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블록(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상부블록(170), 중간블록(180), 하부블록(190)으로 이루어진 압착블록은 제1 본체블록(130) 및 제2 본체블록(140)에 의해 서로 방사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중간블록(180)은 제1 대향면(131, 141)의 가장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은 제1 대향면(131, 14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이들 상부블록(170), 중간블록(180), 하부블록(190)은 60°의 등각으로 배열 설치되므로,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에 비하여 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압착블록은 상기 제1 대향면(131, 141)의 중간 위치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블록(180), 상기 중간블록(18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170), 상기 중간블록(18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블록(19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블록(170)은 원통형 캡(미도시)에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제1 블록(171)과 상기 제1 블록(171)을 이동시킴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블록(171)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블록(17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중간블록(180)은 원통형 캡(미도시)에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제1 블록(181)과 상기 제1 블록(181)을 이동시킴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블록(181)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블록(18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블록(190)은 원통형 캡(미도시)에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제1 블록(191)과 상기 제1 블록(191)을 이동시킴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블록(191)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블록(19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이들 제1 블록(171, 181, 191)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 블록(171, 181, 1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블록(171, 181, 191)의 내측 원호면은 원통형 캡을 압착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1 블록(171, 181, 191)의 형상 또는 형태는 다양한 형상 또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이들 제1 블록(171, 181, 191)의 외면에는 제1 볼트(201)가 체결구멍(미도시)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172, 182, 192)은 제1 블록(171, 181, 191)이 원통형 캡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의 원형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본체블록(130, 140)에 의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제2 블록(172, 182, 192)에는 제1 블록(171, 181, 191)의 제1 볼트(20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끼움구멍(183, 19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블록(170)의 제2 블록(172)에는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끼움구멍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끼움구멍(183, 193)에는 제1 볼트(201)가 끼워질 수 있으며, 제1 볼트(201)는 제2 블록(172, 182, 192)의 측면에 체결되는 제2 볼트(20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블록(172, 182, 192)에는 서로 대응되는 면에 각각 탄성체(203)가 설치될 수 있도록 탄성구멍(174, 184, 19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구멍(174, 184, 194)은 다른 인접한 제2 블록(172, 182, 192)과 탄력적으로 이동되도록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탄성구멍(174, 184, 194)에는 탄성체(203)가 탄력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03)는 상부블록(170), 중간블록(180) 하부블록(190)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설치되어 각각의 압착블록의 이동 시 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블록(172, 182, 192)의 양 측면에는 각각 제한된 거리를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돌기(175, 19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175, 195)는 가이드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안내구멍(23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볼트(201)의 일부는 제1 블록(171, 181, 191)의 체결구멍(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고, 제1 볼트(201)의 다른 일부분은 제2 블록(172, 182, 192)의 끼움구멍(183, 19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볼트(201)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데, 제1 볼트(201)의 일측에는 체결구멍(미도시)에 체결되도록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볼트(201)의 타측에는 제2 블록(172, 182, 192)의 끼움구멍(183, 193)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 볼트(20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볼트(201)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볼트(202)가 제2 블록(172, 182, 192)의 측면으로 체결되어 제1 볼트(201)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2 볼트(202)에 의해 제1 볼트(201)가 분리 또는 체결됨에 따라 제1 블록(171, 181, 191) 및 제2 블록(172, 182, 192)을 분리 또는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블록(172, 182, 192)의 양 측면에는 각각 안내돌기(175, 195)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에는 조정블록(210)이 결합되는데, 조정블록(210)은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을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되게 한다.
즉, 조정블록(210)은 중간블록(180)에 비하여 보다 짧은 거리로 이동되는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의 이동 거리를 중간블록(180)과 동일한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정블록(210)은 상기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의 수평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수평면(211), 상기 수평면(211)과 6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212), 상기 상부블록(170) 또는 하부블록(190)이 상기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제1 경사면(212)의 선단에서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39~44°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213), 상기 본체블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정블록(210)이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상기 조정블록(21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14), 상기 조정블록(210)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상기 결합돌기(214)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정블록(210)은 상부블록(170)의 상면 및 하부블록(190)의 하면에 각각 맞닿도록 수평면(211)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면(211)의 일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212)은 본체블록의 제2 대향면(132, 14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경사면(212)의 끝단에는 본체블록의 제3 대향면(133, 143)과 동일한 각도로 제2 경사면(213)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경사면(213)은 제3 대향면(133, 143)과 동일한 각도인 39~44°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면(213)의 각도는 수평면(211)과의 각도이다.
상기 제2 경사면(213)은 상부블록(170) 또는 하부블록(190)의 이동 거리를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정블록(210)의 제2 경사면(213)은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와 상부블록(170) 또는 하부블록(190)의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경사면(213)의 각도는 39~44°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42°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213)은 상부블록(170) 또는 하부블록(190)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더욱 이동시켜 줌에 따라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조정블록(210)은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본체블록에 각각 설치되므로, 이들 조정블록(210) 중 하나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214)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조정블록(210)에는 결합돌기(214)와 대응되는 결합홈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블록(2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안내구멍(2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돌기(2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돌기(216)는 안내구멍(231)을 따라 이동되면서 조정블록(210)을 소정의 각도 및 거리만큼 이동되게 한다.
상기 조정블록(210)과 상부블록(170) 또는 조정블록(210)과 하부블록(190)에는고정플레이트(220)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20)에는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하로 2개의 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에는 고정플레이트(220)의 구멍(221)에 대응되는 고정구멍(176, 19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블록의 양 측면에는 압착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230)에는 소정 위치에 다수의 안내구멍(2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구멍(231)에는 압착블록의 안내돌기(175, 195)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보정플레이트(250)는 본체블록(130, 140)의 대향면(131, 132, 133, 141, 142, 14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정플레이트(250)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져 본체블록(130, 140)의 대향면(131, 132, 133, 141, 142, 143)과 압착블록(1170, 180, 19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정플레이트(250)는 장기간 사용에 따라 본체블록(130, 140) 및 압착블록(170, 180, 19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보정플레이트(250)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블록 또는 압착블록의 마모에 따라 원통형 캡의 압착 시 그 압착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 다른 두께의 보정플레이트(250)를 사용하여 원통형 캡의 압착을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보정플레이트(250)는 본체블록과 압착블록 사이에 설치되므로 본체블록과 압착블록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압착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는 본체(110)의 내부에 모터(111)를 설치할 수 있으며, 모터(111)는 제2 본체블록(14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116)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10)에는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바퀴(112)를 설치할 수 있고, 필요한 공구 등을 안정되게 놓아둘 수 있는 공구대(113)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본체(110)에는 작업 도중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114)를 설치할 수 있고, 제2 본체블록(140)를 왕복 이동시키는 실린더(116)의 이동 거리를 제한시킬 수 있는 스토퍼(117)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는 본체블록(130, 140)을 설치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제1 본체블록(130)은 본체(11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제1 본체블록(130)의 마주보는 면에는 실린더(116)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제2 본체블록(14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블록(130)과 제2 본체블록(140)은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는데, 이들 본체블록(130, 140)에는 각각 3개의 압착블록을 설치할 수 있다. 3개의 압착블록은 본체블록(130, 140)에 의해 방사상으로 이동되면서 압착블록의 중심에 놓여진 원통형 캡을 방사상으로 압착하게 된다.
상기 제1 본체블록(130)과 제2 본체블록(140)에는 서로 대향되는 대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본체블록(130) 및 제2 본체블록(140)에는 각각 120°의 각도로 이루어진 제1 대향면(131, 14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대향면(131, 141)에는 각각 3개의 압착블록을 설치하게 되는데, 압착블록은 서로 동일하게 60°로 등분할 되어 설치된다. 즉, 제1 대향면(131, 141)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180°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3개의 압착블록은 180°를 이루도록 60°로 등분할 되며, 이렇게 등분할된 압착블록은 제1 대향면(131, 141)에 3개씩 설치된다.
또 제1 대향면(131, 141)의 끝단에는 대칭되는 방향으로 제2 대향면(132, 14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대향면(132, 142)은 비교적 짧은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대향면(132, 142)은 보정플레이트(250)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대향면(132, 142)의 끝단에는 제1 대향면(131, 141)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 대향면(133, 14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대향면(132, 142)은 제1 대향면(131, 141)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의 이동 시 중간블록(180)과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대향면(133, 143)에는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의 이동 시 중간블록(180)과 동일한 길이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조정블록(2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블록(210)은 제3 대향면(133, 143)을 따라 이동됨과 함께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안내구멍(23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은 제3 대향면(133, 143)과 조정블록(210)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본체블록(130, 140)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제1 대향면(131, 141) 내지 제3 대향면(133, 143)에는 각각 보정 플레이트(2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볼트구멍(134, 14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정 플레이트(250)는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7에 보정 플레이트(250)가 설치되어 있으나, 압착블록은 본체블록(130, 140)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압착블록은 제1 본체블록(130)과 제2 본체블록(140)에 각각 설치할 수 있으며, 압착블록은 제1 대향면(131, 141)의 중심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중간블록(180)을 설치할 수 있고, 중간블록(18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을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에는 각각 조정블록(21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본체블록(130, 140)의 양 측면에는 압착블록의 설치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본체블록(130, 140)의 양 측면에 설치하며, 이들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압착블록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압착블록 중에서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을 소정의 각도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30)에는 다수의 안내구멍(23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안내구멍(231)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구멍(231)은 제3 대향면(133, 14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블록(170), 중간블록(180) 및 하부블록(190)은 각각 제1 블록(171, 181, 191)과 제2 블록(172, 182, 19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블록(171, 181, 191)에는 제2 블록(172, 182, 19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멍(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블록(172, 182, 192)은 제1 블록(171, 181, 191)의 외면에 결합되며, 제2 블록(172, 182, 192)에는 체결구멍과 대응되는 끼움구멍(173, 183, 19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체결구멍 및 끼움구멍(173, 183, 193)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볼트(201)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볼트(201)의 일부는 제1 블록(171, 181, 191)의 체결구멍에 체결되며, 제1 볼트(201)의 다른 일부분은 제2 블록(172, 182, 192)의 끼움구멍(173, 183, 193)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제1 볼트(201)는 제2 볼트(202)에 의해 제2 블록(172, 182, 19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블록(172, 182, 192)의 측면에는 제2 볼트(202)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77, 187, 197)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 볼트(201)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는데, 제1 볼트(201)의 일부분은 제1 블록(171, 181, 191)의 체결구멍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볼트(201)의 다른 부분은 끼움구멍(183, 193)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 볼트(20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직경이 다른 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홈부는 체결구멍(177, 187, 197)에 체결되는 제2 볼트(202)에 의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블트(202)에는 각각의 압착블록과 마주보는 면에 탄성구멍(174, 184, 194)를 형성할 수 있고, 이들 탄성구멍(174, 184, 194)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203)를 끼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03)는 압착블록을 서로 밀어줌으로써 상부블록(170), 중간블록(180), 하부블록(190)이 서로 정 위치에 있도록 탄성을 가해주게 된다.
상기 조정블록(210)은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 각각에 설치되어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을 중간블록(180)과 동일한 거리(길이)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조정블록(210)은 상부블록(170)의 상면 또는 하부블록(190)의 하면에 맞닿는 수평면(211)을 형성할 수 있고, 수평면(211)의 일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제1 경사면(2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212)은 본체블록(130, 140)의 제2 대향면(132, 14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할수 있으며, 제1 경사면(212)의 끝단에는 제3 대향면(133, 143)과 동일한 각도로 제2 경사면(2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경사면(213)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블록(170) 또는 하부블록(190)을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또 조정블록(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돌기(214)와 결합홈부(215)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 결합돌기(214) 및 결합홈부(215)는 2개의 본체블록(130, 140)의 결합 시 정 위치에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블록(170)과 조정블록(210), 하부블록(190)과 조정블록(200)은 고정플레이트(220)에 의해 고정되며, 이들 블록에 고정플레이트(220)의 구멍(221)을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의 작동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가 원통형 캡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용 압착기가 원통형 캡을 압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체블록(130, 140) 및 압착블록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압착블록 사이에 파이프와 원통형 캡(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도록 2개의 본체블록(130, 140)이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체블록(130, 140) 사이에 파이프 및 원통형 캡 등의 작업대상물이 놓여진 상태에서 제2 본체블록(140)의 이동으로 작업대상물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9의 도면은 작업대상물을 향해 제2 본체블록(140)이 이동되면서 작업대상물을 압착하기 전 상태이며, 도 10은 압착블록의 의해 작업대상물이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설치된 모터(11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실린더(116)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실린더(116)는 스토퍼(117)에 의해 그 이동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컨트롤 박스(115)를 조작하여 파이프(또는 배관)와 호스 등에 원통형 캡을 압착되게 한다.
본체(110)에는 제1 본체블록(130)과 상기 제1 본체블록(13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2 본체블록(14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본체블록(140)은 실린더(116)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블록(130)은 본체(11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제2 본체블록(140)은 실린더(116)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 이동된다.
한편 제1 본체블록(130)에 설치된 압착블록은 제2 본체블록(140)이 이동됨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되는데, 이는 제2 본체블록(140)의 압착블록은 작업대상물을 제1 본체블록(130)의 압착블록을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블록(140)은 제1 본체블록(130)을 향해 이동되면서 작업대상물도 함께 이동되며, 이동되는 작업대상물은 제1 본체블록(130)과 제2 본체블록(14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즉, 작업대상물은 제2 본체블록(140)에 의해 이동되는데, 제1 본체블록(130) 및 제2 본체블록(140)은 작업대상물을 중앙으로 위치시켜 좌우 대칭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좌우 대칭된 상태에서 제2 본체블록(140)은 제1 본체블록(130)을 향해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1 본체블록(130) 및 제2 본체블록(14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압착블록은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갈이, 상기 본체블록(130, 140)에 설치된 중간블록(180)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며, 예시적으로 2개의 중간블록(180)은 각각 5㎜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작업대상물의 중심을 향해 이동되는데, 방사상으로 이동됨에 따라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보다 짧은 거리로 이동된다.
서로 대각으로 설치된 2개의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예시적으로 대략 7~8㎜를 이동하게 된다. 즉, 대각으로 설치된 2개의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중간블록(180)의 이동 거리보다 이동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데, 이때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 각각에 설치된 조정블록(210)에 의해 이동 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대각으로 설치된 2개의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은 조정블록(210)의 이동에 의해 중간블록(180)보다 짧게 이동된 거리만큼 더 이동된다.
즉, 조정블록(210)은 방사상의 대각으로 설치된 상부블록(170) 및 하부블록(190)을 더욱 이동시켜 줌으로써 중간블록(180)의 이동거리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체블록(130, 140)의 제3 대향면(133, 143)과 조정블록(210)의 제2 경사면(213)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것으로, 제3 대향면(133, 143)과 제2 경사면(213)을 따라 조정블록(210)은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안내구멍(23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던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동되는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의 안내돌기(175, 195)는 수직 방향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조정블록(210)의 안내돌기(216)는 안내돌기(175, 195)에 비하여 보다 수평 방향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본체블록(130, 140)의 제1 대향면(131, 141)을 따라 이동되므로, 이동 시 비교적 수직방향으로 치우쳐 이동된다. 이는 압착블록 중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각각 작업대상물 중심을 향해 이동되지 못하고 수직방향으로 치우쳐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이 수직방향으로 치우쳐 이동됨에 따라 작업대상물을 원형이 아닌 타원 형상으로 압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조정블록(210)이 비교적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상부블록(170)과 하부블록(190)은 작업대상물의 중심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원통형 캡을 원형으로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대상물의 원통형 캡은 압착블록에 의해 원형으로 압착되며, 이때 원통형 캡은 상부블록(170), 중간블록(180) 및 하부블록(190)에 의해 방사상으로 압착되어 파이프 또는 배관 등에 견고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착이 완료된 본체블록(130, 140) 중 제2 본체블록(140)은 초기 상태로 복귀되며, 이렇게 제1 본체블록(130) 및 제2 본체블록(140)이 떨어지게 됨에 따라 작업대상물은 본체블록(130, 140)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본체 130: 제1 본체블록
131, 141: 제1 대향면 132, 142: 제2 대향면
133, 143: 제3 대향면 134, 144: 볼트구멍
140: 제2 본체블록 141: 제1 대향면
170: 상부블록 171, 181, 191: 제1 블록
172, 182, 192: 제2 블록 174: 탄성구멍
175: 안내돌기 176: 고정구멍
180: 중간블록 183: 끼움구멍
184: 탄성구멍 190: 하부블록
193: 끼움구멍 194: 탄성구멍
195: 안내돌기 196: 고정구멍
201: 제1 볼트 202: 제2 볼트
203: 탄성체 210: 조정블록
211: 수평면 212: 제1 경사면
213: 제2 경사면 214: 결합돌기
215: 결합홈부 220: 고정플레이트
221: 구멍 230: 가이드 플레이트
231: 안내구멍 250: 보정 플레이트

Claims (7)

  1.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1 본체블록과 마주보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본체블록으로 구비되는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대향면에 각각 원통형 캡이 원형으로 압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 중간블록, 하부블록을 포함하는 압착블록,
    상기 압착 블록 중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이 원형을 이루도록 소정의 각도로 이동되면서 상기 중간블록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시키는 한 쌍의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압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과 압착블록 사이에 소정의 두께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블록 및 압착블록의 위치 보정 및 마모를 방지하는 보정 플레이트,
    상기 압착블록의 왕복 이동 시 상기 압착블록이 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소정 각도로 안내구멍이 다수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압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블록은 상기 본체블록의 중간 위치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블록, 상기 중간블록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 상기 중간블록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블록과 하부블록 각각에 상기 중간블록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블록을 따라 소정 각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압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블록은 원통형 캡이 방사상으로 압착되도록 일측에 원호면이 형성되며 타측에 고정구멍이 형성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블록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는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고정구멍과 상기 제2 블록의 끼움구멍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볼트,
    상기 제2 블록의 측면에 상기 제1 볼트를 고정시키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압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블록은 상기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의 수평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수평면,
    상기 수평면과 6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상기 상부블록 또는 하부블록이 상기 중간블록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 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제3 대향면과 동일한 각도인 39~44°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
    상기 본체블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정블록이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상기 조정블록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조정블록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압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블록은 상기 본체블록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블록, 상기 본체블록과 동일하게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하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블록을 동일한 60°의 등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블록, 중간블록 및 하부블록의 이동 거리가 각각 동일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압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일측에 상기 제2 본체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이동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끝단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압착기.
KR1020150008223A 2015-01-16 2015-01-16 호스용 압착기 KR10160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223A KR101604416B1 (ko) 2015-01-16 2015-01-16 호스용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223A KR101604416B1 (ko) 2015-01-16 2015-01-16 호스용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416B1 true KR101604416B1 (ko) 2016-03-18

Family

ID=5565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223A KR101604416B1 (ko) 2015-01-16 2015-01-16 호스용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000B1 (ko) * 2021-06-18 2021-09-24 하현철 수직 하향식 유압 압착기
KR102521631B1 (ko) 2022-09-15 2023-04-13 하현철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79Y1 (ko) 2002-03-06 2002-06-01 이주억 호스용 압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79Y1 (ko) 2002-03-06 2002-06-01 이주억 호스용 압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000B1 (ko) * 2021-06-18 2021-09-24 하현철 수직 하향식 유압 압착기
KR102521631B1 (ko) 2022-09-15 2023-04-13 하현철 수직 하향식 내면 연속 유압 압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7873A (en) Gripper apparatus
JP4975107B2 (ja) 運動制御装置
KR101867203B1 (ko) 자기적 자체 정렬식 제조용 고정구
US20130174395A1 (en) Pipe press-connecting apparatus
KR101604416B1 (ko) 호스용 압착기
CN105798207A (zh) 偏转补偿的冲压工具
JPH04228232A (ja) クリンピング装置
JPH08332531A (ja) 接合装置
US4033701A (en) Clamp -- self aligning
JP6843398B2 (ja) パイプ圧着連結装置
US20110258824A1 (en) Tool for making joints of clinch type
CA1320653C (en) Swagging tool
KR101732441B1 (ko) 타원형 호스 클램프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20120113824A (ko)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의 인서트구조
KR101883020B1 (ko) 경사진 고정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리벳 및 그의 방법
CN203756827U (zh) 一种压缩距离可调型弹簧组件
US10399009B2 (en) Filling shoe, a filling shoe arrangement having such a filling shoe, a filter medium assembly having such filling shoe arrangements,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filter medium with such a filling shoe
CA2945108A1 (en) Rotary bending devices
CN207615481U (zh) 一种可快速拆卸冲头的五金模具
CN217452894U (zh) 适用于射频同轴连接器的辅助结合设备
CN220880123U (zh) 一种蛇骨压耳装置
JP6817293B2 (ja) 浮動クランプリングアセンブリ
CN112547873A (zh) 工件折弯装置
KR102601458B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조인트
CN205763408U (zh) 用于冲压模具的斜楔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