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108B1 -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108B1
KR102521108B1 KR1020220089335A KR20220089335A KR102521108B1 KR 102521108 B1 KR102521108 B1 KR 102521108B1 KR 1020220089335 A KR1020220089335 A KR 1020220089335A KR 20220089335 A KR20220089335 A KR 20220089335A KR 102521108 B1 KR102521108 B1 KR 10252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weight
parts
form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선
Original Assignee
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선 filed Critical 신선
Priority to KR102022008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FORMING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MAT)는 사무용 책상, 사무용 의자, 가정용 책상, 가정용 의자, 자동차의 대쉬 보드 등 다양 곳에 깔아서, 해당 면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밀림이 방지되도록 대부분 재질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그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판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는 사무용 책상, 사무용 의자, 가정용 책상, 가정용 의자 등의 경우, 장시간 사용 시에 접촉부 위에 땀이 베어나고 온도가 상승하여 세균이 번식함으로써 악취가 나거나, 심지어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공공장소 등에서는 하나의 책상 또는 의자에 대하여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위험성이 있으며, 최근 코로나 19 바이러스(corona virus 19)와 같이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면서 전파력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어, 장시간 신체와 접촉하는 물건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균 특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한 물성을 가지는 매트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항균성을 가지면서도 논슬립(non-slip)과 같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한 물성을 가지는 매트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매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켄과 탄소수 5 이상 10 이하의 알켄의 공중합체; 항균제;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항균제는 적어도 산화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녹는점이 45 ℃ 이상 65 ℃ 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65 ℃ 이상 -45 ℃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55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항균제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은 2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항균제의 중량비는 100:3 내지 100: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중량비는 100:40 내지 100:6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항균제의 중량비는 100:4 내지 100:7.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은 마스터배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마스터배치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원료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압출하는 단계; 및 압출된 상기 원료를, 가열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롤러로 가열하며 가압하여,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원료는 14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로 압출되어 상기 롤러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80 ℃ 이상 100 ℃ 이하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의 제조 방법은 제조된 매트를 분쇄하고 용융하여 상기 원료로 재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매트 형성용 조성물은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논슬립과 같이 매트로 사용하기에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매트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매트의 제조 방법은 항균성 및 물성이 우수한 매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매트의 제조 방법은 폐기되는 매트를 재사용하여 친환경적인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트의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트의 항곰팡이 시험 결과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켄과 탄소수 5 이상 10 이하의 알켄의 공중합체; 항균제;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매트 형성용 조성물은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논슬립과 같이 매트로 사용하기에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매트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제1 알켄과 탄소수 5 이상 10 이하의 제2 알켄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알켄은 에텐, 프로펜 또는 부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알켄은 펜텐, 헥센, 헵텐, 옥텐, 또는 노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에텐과 1-옥텐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녹는점이 45 ℃ 이상 65 ℃ 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65 ℃ 이상 -45 ℃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합체의 녹는점과 유리전이온도는 DSC를 이용하여 측정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1.0 g/10min 이상 1.5 g/10min 이하, 밀도는 0.80 g/cm3 이상 0.95 g/cm3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용융지수는 ASTM D1238(190 ℃, 2.16 kg load)을 통해 측정된 것이고, 밀도는 ASTM D1505을 통해 측정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인장강도는 9 MPa 이상 10 MPa 이하이고, 신율은 900 % 이상 1,000 % 이하이다. 이때, 인장강도와 신율은 ASTM D638(500 ㎜/min)을 통해 측정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인열강도는 35 kN/m 이상 45 kN/m 이하이고, 굴곡 탄성률은 10 MPa 이상 20 MPa 이하이고, 경도는 65 이상 75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인열강도는 ASTM D624(Type C)을 통해 측정된 것이고, 굴곡 탄성률은 ASTM D790(Press sheet, 1% Secant)을 통해 측정된 것이고, 경도는 ASTM D2240(Shore A)을 통해 측정된 것이다.
전술한 물성을 가지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접힘에 있어서 크랙(crack) 손상이 없으며, 스크레치 방지 기능이 있고, 논슬립 물성을 가지는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이하다. 즉, 상기 공중합체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55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하, 57.5 중량부 이상 72.5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상 65 중량부 이하, 또는 55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매트의 크랙과 스크레치 방지성 및 논슬립 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항균제는 적어도 산화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매트의 항균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아연의 입자크기는 20 nm 이상 40 nm 이하일 수 있다. 입자크기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산화아연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은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항균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매트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의 입자크기는 평균 입자크기일 수 있고, 상기 산화아연의 입자크기는 SEM 등의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의 비표면적은 80 m2/g 이상 100 m2/g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항균제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또는 1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항균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매트는 우수한 항균성을 가질 수 있고, 크랙과 스크레치 방지성 및 논슬립과 같은 매트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제조되는 매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매트의 제조 가공성 및 매트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밀도가 0.90 내지 0.95 g/㎤이고, 용융지수(190 ℃ 2.16kg)가 0.5 내지 5.0 g/10분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은 2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27.5 중량부 이상 37.5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또는 3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매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매트의 제조 가공성 및 매트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항균제의 중량비는 100:3 내지 100:5, 100:3 내지 100:4.5, 100:3 내지 100:4, 100:3 내지 100:3.5일 수 있다.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항균제의 중량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상기 매트는 크랙과 스크레치 방지성 및 논슬립 물성을 보다 향상될 수 있고, 우수한 항균성을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중량비는 100:40 내지 100:65, 100:45 내지 100:60, 100:50 내지 100:55, 100:50 내지 100:65, 또는 100:55 내지 100:60일 수 있다.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중량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상기 매트는 크랙과 스크레치 방지성 및 논슬립 물성을 보다 향상될 수 있고, 제조되는 매트의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항균제의 중량비는 100:4 내지 100:7.5, 100:4.5 내지 100:7, 100:5 내지 100:6.5, 또는 100:5.5 내지 100:6일 수 있다.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항균제의 중량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제조되는 매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매트의 제조 가공성 및 매트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매트의 항균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은 마스터배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배치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매트 형성용 조성물의 가공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마스터배치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산화방지제와 UV 안정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매트의 안정성 및 장기 보관성, 장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0.3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하일 수 있고, 상기 UV 안정제의 함량은 0.3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매트의 안정성 및 장기 보관성, 장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원료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압출하는 단계; 및 압출된 상기 원료를, 가열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롤러로 가열하며 가압하여,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매트의 제조 방법은 항균성 및 물성이 우수한 매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매트의 제조 방법은 폐기되는 매트를 재사용하여 친환경적인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원료는 14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로 압출되어 상기 롤러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가 압출되는 온도는 150 ℃ 이상 170 ℃ 이하, 150 ℃ 이상 160 ℃ 이하, 또는 140 ℃ 이상 1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원료를 압출하는 온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매트의 표면 품질, 무늬 균일도 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압출된 원료는 상기 롤러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적어도 한쌍의 원통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가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롤러는 두쌍 이상의 원통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가 3쌍의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는 경우, 첫번째 한쌍의 롤러와 세번째 한쌍의 롤러는 가열되지 않는 롤러일 수 있고, 두번째 한쌍의 롤러가 가열 가능한 롤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80 ℃ 이상 100 ℃ 이하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를 가열하는 온도는 80 ℃ 이상 100 ℃ 이하, 85 ℃ 이상 90 ℃ 이하, 80 ℃ 이상 90 ℃ 이하, 또는 90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롤러가 가열되는 온도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매트의 제조 시에 매트 형성용 조성물이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조된 매트의 무늬균일도, 표면 평평도 등의 표면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의 제조 방법은 제조된 매트를 분쇄하고 용융하여 상기 원료로 재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폐기되는 매트를 수거하여 재사용 공정을 수행하여, 다시 원료로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기되는 매트를 수거하고 색상별로 분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세척이 완료된 매트를 3 mm 이상 10 mm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고, 압출 온도 140 ℃ 이상 160 ℃ 미만으로 압출하여 필렛 형태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매트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에텐과 1-옥텐의 공중합체를 준비하였다. 이때, 전술한 방법으로 측정한 상기 공중합체의 녹는점은 약 58 ℃, 유리전이온도는 약 -53 ℃, 용융지수는 약 1.1 g/10min, 밀도는 약 0.87 g/cm3, 인장강도는 약 9.5 MPa, 신율은 약 950 %, 인열강도는 약 40 kN/m, 굴곡 탄성률은 약 14 MPa, 경도(Shore A)는 약 71이다.
항균제로서 평균크기가 약 30 nm이고, 비표면적이 약 90 m2/g인 산화아연(암스텍 산업 주식회사, J30)을 준비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서일화성)를 준비하고, 마스터배치(MP9077 BROWN; 미래씨앤씨), 산화방지제(1010; 송원산업) 및 UV 안정제(UV94; 송원산업)를 준비하였다.
이후, 폴리올레핀계 수지, 산화아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마스터배치,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를 혼합하여,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은 60 중량부, 산화아연의 함량은 2 중량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은 35 중량부, 마스터배치의 함량은 2 중량부,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0.5 중량부, UV 안정제의 함량은 0.5 중량부이었다.
매트의 제조
제조된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150 ℃의 온도로 압출하여 압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압출물을 90 ℃의 온도로 가열된 한 쌍의 롤러로 공급하여 가열 및 가압하여, 최종적으로 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을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하기 표 1과 같이 제조 공정 조건을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매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매트 형성용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량부)
60 95 95 70
항균제
(중량부)
2 2 2 2
LDPE(중량부) 35 0 0 25
마스터배치(중량부) 2.0 2.0 2.0 2.0
산화안정제(중량부) 0.5 0.5 0.5 0.5
UV안정제(중량부) 0.5 0.5 0.5 0.5
제조 공정 압출온도
(℃)
150 180 170 160
롤러온도
(℃)
90 70 80 90
실험예
품질 테스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매트를 제조하였으며, 하기의 방법으로 무늬균일도와 표면 평평도를 평가하였다.
제조되는 매트에 원하는 무늬가 균일하게 형성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매트의 무늬균일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제조되는 매트의 표면이 평평한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매트의 표면 평평도를 평가하였다.
이후, 상기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무늬균일도 O X X X
표면평평도 O X X X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롤러로 가열 및 압착 시에 압출된 매트 형성용 조성물이 오버플로우되어 매트를 제조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제조된 매트에 무늬 가공에 이상이 있으며, 매트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제조된 매트는 균일한 무늬가 형성되어 있고, 매트의 표면이 평평한 것을 확인하였다.
항균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트에 대한 항균시험을 한국표준시험연구원을 통해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 시험 균주
- ATCC 6538 Staphylococcus aureus / 황색포도상구균
- ATCC 8739 Escherichia coli / 대장균
- ATCC 4352 Klebsiella pneumoniae / 폐렴균
※ 표준필름 : sterilized stomacher film
※ 접종균액의 양 : 0.4 mL
Figure 112022075603515-pat0000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트의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이다.
상기 표 3 및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트는 항균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항곰팡이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트에 대한 항곰팡이시험을 한국표준시험연구원을 통해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 시험균종 : ATCC 6205(Chaetomium globosum), ATCC 9642(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1797(Penicillium funiclosum), ATCC 15233(Aureobasidium pullulans), ATCC 9645(Trichoderma virens)
※ 대조편 : 표준면포
※ 배양기간 : 4 주
※ 시험편의 크기 (mm) : 50 x 50 x 10
※ 결과의 해석(등급)
0 = 자라지 않음.
1 = 10 % 미만 성장
2 = 10 ~ 30 % 미만 성장
3 = 30 ~ 60 % 미만 성장
4 = 60 % 이상 성장
Figure 112022075603515-pat0000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트의 항곰팡이 시험 결과이다.
상기 표 4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트는 항곰팡이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전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켄과 탄소수 5 이상 10 이하의 알켄의 공중합체;
    항균제;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55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항균제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항균제의 중량비는 100:3 내지 100:5인 매트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녹는점이 45 ℃ 이상 65 ℃ 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65 ℃ 이상 -45 ℃ 이하인 것인 매트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적어도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것인 매트 형성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은 2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인 것인 매트 형성용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중량비는 100:40 내지 100:65인 것인 매트 형성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항균제의 중량비는 100:4 내지 100:7.5인 것인 매트 형성용 조성물.
  10. 제1항에 따른 매트 형성용 조성물을 원료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압출하는 단계; 및
    압출된 상기 원료를, 가열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롤러로 가열하며 가압하여,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트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14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로 압출되어 상기 롤러로 공급되는 것인 매트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80 ℃ 이상 100 ℃ 이하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인 매트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제조된 매트를 분쇄하고 용융하여 상기 원료로 재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매트의 제조 방법.
KR1020220089335A 2022-07-20 2022-07-20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 KR102521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35A KR102521108B1 (ko) 2022-07-20 2022-07-20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35A KR102521108B1 (ko) 2022-07-20 2022-07-20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108B1 true KR102521108B1 (ko) 2023-04-11

Family

ID=8597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335A KR102521108B1 (ko) 2022-07-20 2022-07-20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1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2214A (ja) * 2010-06-14 2013-08-1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粘着性オレフィンブロックコポリマー組成物
KR101618254B1 (ko) * 2015-11-10 2016-05-04 진은주 자동차 실내정화기능을 갖는 쿠션코일매트
KR20170135352A (ko) * 2016-05-31 2017-12-08 진양화학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소재 단일화를 통해 재활용 가능한 차량용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2214A (ja) * 2010-06-14 2013-08-1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粘着性オレフィンブロックコポリマー組成物
KR101618254B1 (ko) * 2015-11-10 2016-05-04 진은주 자동차 실내정화기능을 갖는 쿠션코일매트
KR20170135352A (ko) * 2016-05-31 2017-12-08 진양화학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소재 단일화를 통해 재활용 가능한 차량용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17545A (ja) 洗濯可能で乾燥可能な弾性物品の作成方法
US20120252917A1 (en) Polymer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from the same
CN107075227B (zh) 具有良好阻燃性的高频可焊乙烯类聚合物组合物
JPWO2016013577A1 (ja) 伸縮フィルム
KR102006842B1 (ko) 바이오 소재를 사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US6441093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calender-molding and sheets prepared therefrom
KR102521108B1 (ko) 매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트의 제조 방법
EP2871212A1 (de) Harzvernetzung von Kautschuken
WO2016013486A1 (ja) 耐熱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耐熱コンベヤベルト
DE2626744A1 (de) Polymergemische, enthaltend einen polyester und ein aethylencopolymerisat
DE4114085C3 (de) PVC-freier Fußbodenbelag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190076454A (ko) 산화생분해성 항균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산화생분해성 항균 필름
KR101893118B1 (ko) 식품포장용 필름
DE602004012505T2 (de) Gummischlauchmaterial
JP5873225B1 (ja) 立体網状繊維集合体
JP5140911B2 (ja) 真空成型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組成物および積層体
JP3166279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700515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102170652B1 (ko) 내열수축 특성이 우수한 연질 고탄성 발포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4987B1 (ko)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101797944B1 (ko)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KR102420862B1 (ko) 정전기 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US20230044121A1 (en) Soft and non-sticky or greasy soft touch feel polymer composition
JP2000212340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JP3366461B2 (ja) 押出成形用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