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987B1 -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 Google Patents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987B1
KR102294987B1 KR1020200037360A KR20200037360A KR102294987B1 KR 102294987 B1 KR102294987 B1 KR 102294987B1 KR 1020200037360 A KR1020200037360 A KR 1020200037360A KR 20200037360 A KR20200037360 A KR 20200037360A KR 102294987 B1 KR102294987 B1 KR 10229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tabilizer
nonwoven fabric
weight
formula
function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철
정긍식
임희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01G2009/1453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containing textile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이 개시된다. 개시된 부직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부터 제조된 부직포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는 모두 분자량이 1,000 이상이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Figure 112020032202588-pat00015
Figure 112020032202588-pat00016
Figure 112020032202588-pat00017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Y는 질소 또는 산소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내지 20인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2는 탄소수 1 내지 11인 알킬기이다.

Description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Non-woven fabric having enhanced weatherproof and laminate thereof, and article including the laminate}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이 개시된다.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제조된 부직포는 외부로 노출된 표면적이 넓어, 자외선과 같은 강한 외부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라디칼 등으로부터 수지가 열화되어, 장시간의 사용에 취약한 단점을 지닌다.
통상적인 고분자 제품은 이러한 열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제와 같은 기능성 첨가제를 부직포에 첨가하여 내구성 및 내후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51485호는 전선 및 케이블용으로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힌더드 아민형 광안정제를 부직포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부직포는 필라멘트 형상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기 때문에, 표면적이 매우 넓어 통상의 광안정제 및 기능성 첨가제의 사용만으로는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고, 더욱이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농업 분야의 방초용 시트 및 비닐하우스용 커튼 등에서는 부직포가 다양한 농약과 접촉하게 되어 그 열화속도가 더욱 빨라져,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51485호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부직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부터 제조된 부직포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는 모두 분자량이 1,000 이상인 부직포를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1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2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Y는 질소 또는 산소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내지 20인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2는 탄소수 1 내지 11인 알킬기이다.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의 함량비는 중량기준으로 1:0.2 내지 2:0.2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의 총 함량은 1중량% 내지 2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단위면적당 중량이 20 내지 200g/m2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용융방사 스펀본드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2층 이상의 층 구성을 갖는 부직포 적층체로서, 그 중 적어도 1층이 상기 부직포인 부직포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물품은 농업용 자재일 수 있다.
상기 농업용 자재는 보온용 커튼 또는 방초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부터 제조된 것으로서,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도 열화속도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농가에서 보온용 커튼 또는 방초시트와 같은 농업용 자재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자외선과 같은 강한 외부 자극에 노출되더라도 열화 및 취화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될 경우에도, 통상의 부직포 대비 최초 형상으로부터 변화되지 않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더욱이 농약 등에 대한 우수한 내화학 약품성을 발현하여 찢어짐 및 바스러짐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주성분인 올레핀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포로 제작된 후의 가공성 및 강도 등의 물성을 고려할 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최종 성형성 및 장기적인 안정성을 고려할 때, 사용되는 수지의 MI(Meltflow Index, g/10분, 230℃)는 10 내지 100일 수 있다. MI가 10 미만일 경우에는 높은 점도로 인하여 성형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부직포로 형성되었을 때의 균일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MI가 100초과일 경우에는 필라멘트의 형태로 방사될 때 필라멘트가 자주 끊어지고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4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5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6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Y는 질소 또는 산소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내지 20인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2는 탄소수 1 내지 11인 알킬기이다.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는 전술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에 내후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는 장시간 사용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올리고머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는 이들을 포함하는 부직포가 장시간 사용될 경우에도 상기 부직포 표면으로의 상기 각 광안정제의 이동이 최소화되도록 모두 분자량이 1,0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수명을 본 발명의 목표 수준까지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광안정제들을 특별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의 함량비는 중량기준으로 1:0.2 내지 2:0.2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안정제의 함량이 상기 제1 광안정제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부직포가 황 등의 화학물질에 취약해져서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 광안정제의 함량이 상기 제1 광안정제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부직포의 높은 수명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가 수지와 함께 투입되어 용융 및 압출될 때 압출기내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부직포 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3 광안정제의 함량이 상기 제1 광안정제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부직포가 황 등의 화학물질에 취약해져서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3 광안정제의 함량이 상기 제1 광안정제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부직포의 높은 수명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가 수지와 함께 투입되어 용융 및 압출될 때 압출기내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부직포 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부직포는 필라멘트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매우 넓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통상적인 필름 및 사출 형태의 제품에 비해 다량의 광안정제 사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에서 상기 제1 광안정제, 제2 광안정제 및 제3 광안정제의 총 함량은 1중량% 내지 2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에서 상기 제1 광안정제, 제2 광안정제 및 제3 광안정제의 총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부직포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산화방지제는 상기 부직포의 내후성 또는 열화 억제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각 산화방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용융상태의 수지와 잘 혼합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옥타데실 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octadecyl 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스(2,4-디-터트-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it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의 총함량은 상기 부직포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3 내지 0.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의 총함량이 상기 부직포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3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너무 적은 양으로 인해 첨가 효과가 떨어지며, 0.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고유의 황변 현상 등 변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단위면적당 중량이 20 내지 200g/m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가 용융방사 스펀본드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부직포는 단섬유 카딩 스펀레이스, 습식 방사 스펀본드 등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용융방사 스펀본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전술한 폴리올레핀 수지, 마스터배치 형태로 준비된 광안정제들 및 산화방지제를 단축 내지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및 혼련하여 필라멘트의 형태로 토출시킨다.
토출 직후, 필라멘트는 고속의 공기에 의해 연신이 이루어져 다공성 벨트에 안착되며, 이때 벨트 하부에서는 필라멘트의 안착을 돕기 위해 공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한다.
이후, 잘 분산된 필라멘트들은 웹의 강도 및 형상 유지를 위해 열압착 공정을 거쳐 스펀본드의 형상으로 제조된다.
이렇게 형성된 스펀본드는 친수성 부여가 필요할 경우, 열압착 직후 수계 에멀젼으로부터 제조되는 계면활성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는 적어도 2층 이상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로서, 그 중 적어도 1층이 상술한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상술한 부직포 중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양 표층(surface layer) 중 한면에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물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물품은 상술한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은 농업용 자재일 수 있다.
상기 농업용 자재는 보온용 커튼 또는 방초시트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6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분자량 ≥ 1,000) 1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분자량 ≥ 1,000) 0.2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분자량 ≥ 1,000) 0.2중량%를 혼합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독일 Reifenhauser사의 스펀본드 제조 설비에 투입하여 평량 100g/m2의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형상 유지 및 강도 향상을 위해 성형하는 엠보스 패턴의 면적은 19%로 조절하였다.
<BASF사의 Chimassorb 2020>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7
<BASF사의 Chimassorb 119>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8
<BASF사의 Tinuvin NOR 371>
Figure 112020032202588-pat00009
실시예 2: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5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5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7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3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7.5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0.5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1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1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5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0.5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7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3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7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1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1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100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0.0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0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0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2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0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0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8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1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1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0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1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1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 대신에 Adeka사의 LA-82 0.7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 대신에 Adeka사의 LA-81 0.3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deka사의 LA-82>
Figure 112020032202588-pat00010
<Adeka사의 LA-81>
Figure 112020032202588-pat00011
비교예 6: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75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0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05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2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8.75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0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2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05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6.3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0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2.5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0.2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부직포의 제조
주 수지로서 PP 수지(LG화학, H7700) 96.3중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2020) 1.0중량%,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BASF사의 Chimassorb 119) 0.2중량%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BASF사의 Tinuvin NOR 371) 2.5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스펀본드 부직포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9에서 제조된 각각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UV 가속 평가: Q-LAB사의 QUV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폭로 시험 후, 초기 인장강도와 시험 종료후의 인장강도를 비교하였다. 자외선 폭로 조건은 0.89W/m2(340nm), 60℃, 1000시간으로 설정하였다. 강도 유지율은 (UV 1000시간 조사 후의 강도)/(초기 강도)로 정의하였다.
(2) 인장강도: 인장강신도기(Instron)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KSK 0520법에 따라 시험편의 폭 2.5cm, 간격 10cm, 인장속도 500mm/min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수행하여 최대 인장 하중을 구하였다.
초기강도
(kgf)
UV 1000시간
조사후 강도 (kgf)
강도유지율
(%)
특이사항
실시예1 8.847 4.291 48.5 -
실시예2 8.495 4.264 50.2 -
실시예3 8.899 4.530 50.9 -
실시예4 8.693 4.607 53 -
실시예5 9.058 4.475 49.4 -
실시예 6 8.567 4.463 52.1 -
비교예1 8.740 측정불가 0 UV조사후, 형상 유지 불가
비교예2 8.229 0.667 8.1 -
비교예3 8.329 1.483 17.8 -
비교예4 9.107 3.707 40.7 -
비교예5 8.732 1.965 22.5 -
비교예6 8.835 3.250 36.8 -
비교예7 9.021 3.455 38.3 -
비교예8 8.978 방사 불가 - 수지 압력 상승으로 생산 불가
비교예9 9.011 방사 불가 - 수지 압력 상승으로 생산 불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6에서 제조된 부직포는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부직포에 비해 UV 1000시간 조사후 강도 및 강도유지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6의 결과를 보면, UV를 1000시간 연속적으로 조사한 뒤에도 초기 강도 대비 약 50%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에서 보듯이 광안정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부직포가 모두 바스러져 강도 측정이 불가하였으며, 비교예 2에서 보듯이 제1 광안정제만을 사용하고 제2 광안정제 및 제3 광안정제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강도유지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4에서는 제2 광안정제 및 제3 광안정제는 사용하였으나 제1 광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 경우에는 광안정제들간의 시너지 효과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40% 수준의 강도유지율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5에서는 제2 광안정제 및 제3 광안정제를 분자량 1000이하의 것으로 변경하였는데, 이 경우에도 실시예 1~6 대비 강도유지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6에서는 제2 광안정제를 제1 광안정제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결과, 광안정제들간의 시너지 효과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40% 미만의 강도유지율을 나타나었다.
비교예 7에서는 제3 광안정제를 제1 광안정제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결과, 광안정제들간의 시너지 효과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40% 미만의 강도유지율을 나타나었다.
비교예 8에서는 제2 광안정제를 제1 광안정제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한 결과, 수지 압력이 크게 증가하여 부직포를 생산할 수 없었다.
비교예 9에서는 제3 광안정제를 제1 광안정제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한 결과, 수지 압력이 크게 증가하여 부직포를 생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부터 제조된 부직포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1 광안정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2 광안정제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갖는 제3 광안정제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는 모두 분자량이 1,000 이상이고,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의 함량비가 중량기준으로 1:0.2 내지 2:0.2 내지 2인 부직포: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Figure 112021034094715-pat00012
    Figure 112021034094715-pat00013
    Figure 112021034094715-pat00014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Y는 질소 또는 산소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내지 20인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2는 탄소수 1 내지 11인 알킬기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안정제, 상기 제2 광안정제 및 상기 제3 광안정제의 총 함량이 1중량% 내지 2중량%인 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중량이 20 내지 200g/m2인 부직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용융방사 스펀본드 형태로 제조된 것인 부직포.
  7. 적어도 2층 이상의 층 구성을 갖는 부직포 적층체로서, 그 중 적어도 1층이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인 부직포 적층체.
  8. 제7항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농업용 자재인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자재는 보온용 커튼 또는 방초시트인 물품.
KR1020200037360A 2020-03-27 2020-03-27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10229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60A KR102294987B1 (ko) 2020-03-27 2020-03-27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60A KR102294987B1 (ko) 2020-03-27 2020-03-27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987B1 true KR102294987B1 (ko) 2021-08-30

Family

ID=7750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360A KR102294987B1 (ko) 2020-03-27 2020-03-27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9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457A (ja) * 2002-10-22 2004-05-20 Ciba Specialty Chem Holding Inc 温室中でのバイオマス生産を増進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170051485A (ko) 2015-03-05 2017-05-11 가부시키가이샤 엔유씨 가교성 수지 조성물 및 전선·케이블
US10118998B2 (en) * 2007-11-06 2018-11-06 Dsm Ip Assets B.V. Process for producing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KR20190121595A (ko) * 2018-04-18 2019-10-2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멀칭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457A (ja) * 2002-10-22 2004-05-20 Ciba Specialty Chem Holding Inc 温室中でのバイオマス生産を増進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10118998B2 (en) * 2007-11-06 2018-11-06 Dsm Ip Assets B.V. Process for producing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KR20170051485A (ko) 2015-03-05 2017-05-11 가부시키가이샤 엔유씨 가교성 수지 조성물 및 전선·케이블
KR20190121595A (ko) * 2018-04-18 2019-10-2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멀칭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842B1 (ko)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연신성 부직포
KR100608402B1 (ko) 세탁가능하고 건조가능한 탄성 제품의 제조방법
US5281378A (en) Process of making high thermal bonding fiber
KR100694747B1 (ko) 내열성이 개선된 탄성 물품의 제조 방법
EP3097228B1 (en) Artificial turf filament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077890A (en) Stabilizer formulation for thermoplastic polymers
US20120121877A1 (en) Flame retarded polyolefin composition
KR102294987B1 (ko) 내후성이 강화된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101456310B1 (ko)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8924A (ko) 자외선 차단 및 내광 안정화 특성이 부여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315719B1 (ko) 개선된난연성및비부식성을가지는폴리올레핀섬유용조성물
US4487870A (en) UV Stabilizer system and UV stabilized polyolefins
US7235596B2 (en) Flame-resistant fiber and fiber molding using the same
KR101972101B1 (ko) 난연성 해도형 극세섬유
KR101942300B1 (ko) 친환경 난연 폴리에틸렌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4171676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7163247A (ja) 土壌被覆材
KR101833495B1 (ko)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19485B1 (ko) 부직포 적층체 및 물품
KR102251754B1 (ko)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EP1633811B1 (en) Olefin polymers with stabilisers and polyolefin fibres produced therefrom
US20060128849A1 (en) Olefin polymers with stabilisers and polyolefin fibres produced therefrom
KR101992446B1 (ko) 촉감이 우수한 난연성 해도형 극세섬유
JPH06327361A (ja) 土壌被覆材
WO2018021284A1 (ja) 不織布用の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