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754B1 -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 Google Patents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754B1
KR102251754B1 KR1020190174092A KR20190174092A KR102251754B1 KR 102251754 B1 KR102251754 B1 KR 102251754B1 KR 1020190174092 A KR1020190174092 A KR 1020190174092A KR 20190174092 A KR20190174092 A KR 20190174092A KR 102251754 B1 KR102251754 B1 KR 10225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mechanical strength
weight
polypropylene homopolymer
improved mecha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도경
박서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754B1/ko
Priority to EP20907670.2A priority patent/EP4083288A4/en
Priority to JP2022532155A priority patent/JP7429779B2/ja
Priority to PCT/KR2020/019122 priority patent/WO2021133110A1/ko
Priority to CN202080084695.XA priority patent/CN114787437A/zh
Priority to US17/788,040 priority patent/US2023003994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성 우수하고, 소프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저중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Non-woven fabric with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성 우수하고, 소프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저중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직포는 1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 와이퍼 등의 청소용품, 마스크 등의 의료용품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는 다른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실제로 각 분야의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 제품의 용도에 적합한 성질이나 구조가 되도록 제조될 필요가 있다.
기저귀는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국의 인구 증가에 수반하여 사용량이 증대되어, 거대한 시장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일회용인 종이 기저귀의 사용량 증대에 수반하는 CO2 배출량의 증가가 심각한 환경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CO2 배출량을 삭감하는 점에서 식물 유래 원료의 검토가 행해지고 있지만, 품질, 비용, 생산성의 면에서 실현되고 있지 않다. 한편, 부직포나 포장의 경량화에 의한 CO2 배출 삭감의 검토가 종이 기저귀 제조사에서 검토되고 있지만, 충분하지는 않다.
한편, 1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 사용되는 부직포의 경우,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 용이한 공급성과 제품 생산에 적합한 가공성을 가질 뿐 아니라 적합한 물리적 특성과 촉감 및 깨끗한 위생적 특성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직포의 경우 피부 접촉 용도로 바람직하지 않게 만드는 점착성 및 불편한 감촉,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화를 위해서도 필요한 100 gsm 이하의 저중량화로 갈수록 부직포 웹의 형태가 매우 불안해지기 때문에 제품화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머의 방사성이 좋지 않고, 소프트성이 저하되며, 저중량화와 우수한 인장강도를 동시에 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방사성 우수하고, 소프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저중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발현하는 부직포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40277호(공고일: 2002.06.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사성 우수하고, 소프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저중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homopolymer)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섬유를 통해 형성되고,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하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한다.
(1) b/a ≤ 0.3
(2) (a1/2+b)1/2 ≤ 3.6
이때, 상기 a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지수(g/10min)이고, 상기 b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다분산지수(Mw/Mn,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1) b/a ≤ 0.23
(2) (a1/2+b)1/2 ≤ 3.33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용융지수가 13 ~ 70 g/10mi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다분산지수가 3.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하기 조건 (3)을 더 만족할 수 있다.
(3)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 ≤ 4
또한,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가 0.19 kgf/5㎝/gs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가 0.05 ~ 2.0 kgf/5㎝/gs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는 촉감개선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촉감개선제를 0.1 ~ 25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감개선재는 슬립제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C4 ~ C12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C4 ~ C12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용융지수가 550 g/10min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 및 프로필렌 단량체를 1 : 0.8 ~ 0.95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평량이 8 ~ 50 g/㎡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부직포;를 포함하여 형성된 위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는 방사성 우수하고, 소프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저중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homopolymer)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섬유를 통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가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머의 용융지수가 낮을 경우 고분자체인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높은 점성에 따라 방사성이 현격히 저하될 수 있고, 용융지수가 높을 경우 고분자 체인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의 다분산지수가 높을 경우 섬유의 단절이 발생하거나, 제조된 부직포의 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음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는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한다.
조건 (1)로써 b/a ≤ 0.3이고, 바람직하게는 b/a ≤ 0.23 일 수 있으며, 조건 (2)로써 (a1/2+b)1/2 ≤ 3.6이고, 바람직하게는 (a1/2+b)1/2 ≤ 3.33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조건 (1)에서 b/a가 0.3을 초과하면 방사성, 소프트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조건 (2)에서 (a1/2+b)1/2가 3.6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특징을 갖는 다양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지이글러-나타(Zeigler-Natta) 촉매나 메탈로센 (Metallocene)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될 수 있다. 메탈로센 촉매로 제작된 중합체의 경우 지이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한 경우보다 다분산 지수가 낮은 경향이 있다. 다분산 지수가 낮은 경우 원료가 방사 균일성이 높아 고속방사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는 지이글러-나타 촉매나 메탈로센 촉매로 한정한 것은 아니며, 상기 조건 (1), 조건 (2) 및 후술하는 물성을 만족하도록 하는 촉매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상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하도록 용융지수가 13 ~ 70g/10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융지수가 15 ~ 60g/10min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지수가 13 g/10min 미만이면 고분자체인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높은 점성에 따라 방사성이 현격히 저하될 수 있고, 용융지수가 70 g/10min을 초과하면 고분자 체인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융지수는 ASTM D1238-13(또는 ISO 1133)에 의거하여 하중 2160g 및 온도 230
Figure 112019133577707-pat00001
의 조건에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140℃ ~ 200℃의 용융 온도를, 바람직하게는 145℃ ~ 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165℃의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상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하도록 다분산지수가 3.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다분산지수가 3.2를 초과하면 섬유의 단절이 발생하거나, 제조된 부직포의 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음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는 촉감개선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촉감개선제는 부직포의 소프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부직포의 소프트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슬립제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C4 ~ C12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방사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우수한 소프트성 및 저중량을 달성하는 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촉감개선제로 슬립제를 사용하는 경우, 수지와 용융 블렌딩될 때 상기 슬립제는 냉각 동안 또는 가공 후에 점차 표면으로 스며나오거나 또는 이동하고, 따라서 균일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얇은 코팅을 형성함으로써 영구 윤활 효과에 따른 섬유나 부직포 표면의 미끄러운 느낌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슬립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슬립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루카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촉감개선제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C4 ~ C12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C4 ~ C12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용융지수가 550g/10min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융지수가 550g/10min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 및 프로필렌 단량체를 1 : 0.8 ~ 0.95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85 ~ 0.9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촉감개선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5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5 ~ 20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촉감개선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으로 소프트성을 개선할 수 없고, 상기 촉감개선제가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가 주원료로 적용된 스펀본드 부직포 제작공정에서, 수지의 용융압출공정 이후 섬유를 드래그(drag)시키는 공기의 속도를 향상시켜 섬유 내 결정배향도를 높여 섬유자체의 기계적 강도 물성을 증가시켰을 때 섬유가 적층포집되는 스핀벨트방향으로의 섬유의 이동속도가 빨라짐에 따른 적층된 부직포 내 기계진행방향(MD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의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부직포형태로 적층된 섬유의 배향방향이 MD방향이 많아지게되면 MD방향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되지만 CD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의 수비율이 줄어들어 CD방향 물성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는 하기 조건 (3)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 (3)으로써,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 ≤ 4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 ≤ 3.8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가 4를 초과하면 방사성이 저하되고, 위생재 가공 공정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가 0.19 kgf/5㎝/gsm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가 0.2 kgf/5㎝/gsm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는 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가 0.05 kgf/5㎝/gsm ~ 2.0 kgf/5㎝/gs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가 0.1 ~ 2.0 kgf/5㎝/gs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평량이 8 ~ 50 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량이 10 ~ 30 g/㎡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평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방사성 우수하고, 소프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저중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homopolymer)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섬유를 통해 형성되는 부직포는 스펀본드 공정을 통해서 제조할 수 있다. 스펀본드 공정을 통해서 제작된 부직포의 기계적 강도는 스펀본드 용융압출, 냉각, 연신 공정에 의해서 제어되는 섬유원사 자체의 기계적 강도와 섬유원사가 웹화(web forming)과 열압착(Calendering) 공정에 의한 발생하는 기계적 강도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된다. 웹화 및 열압착 공정은 준비된 스펀본드 설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부직포 물성을 변경하는 가장 용이한 방법은 스펀본드 부직포용 수지의 물성을 변경시키거나 웹화 이전단계인 용융압출, 냉각, 연신 공정에서 변화를 주는 것이다. 하지만 부직포용 수지 물성의 변경 없이 용융압출, 냉각, 연식 공정의 변화로 섬유원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섬유의 결정화도를 증가시키고 이러한 결정화된 고분자들의 배향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스펀본드 공정에서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는 용융압출방사 초기에 대부분 결정된다. 따라서 결정배양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섬유를 간접 드레그(drag)시키는 공기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 섬유의 방사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하지만 방사속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설비마다 한계가 있으며, 방사되는 섬유의 물성이 균일하지 않으면 일부의 섬유가 쉽게 끊어져서 발생하는 사절 등의 결점이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부직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펀본드 공정용 고분자 수지의 균일성 및 고속방사에서의 방사안정성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물성을 만족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통해 부직포를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부직포를 포함하여 형성된 위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는 방사성 우수하고, 소프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저중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스펀본드 제조설비(독일 Reifenhauser사)를 이용하여 용융지수가 15g/10min 및 다분산지수가 1.7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연속 방사한 후, 온도 158℃, 압력 70dN/cm의 조건으로 켈린더링 공정을 수행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부직포의 평량은 13g/㎡이었다.
<실시예 2 ~ 11 및 비교예 1 ~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지수, 다분산지수 및 촉감개선제 포함여부 등을 변경하여 표 1 내지 표 3과 같은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부직포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하여, 인장강신도기(Instron)을 통해 KSK 0520에 의거하여 시험 편 폭 5㎝, 간격 10㎝의 시험 편을 인장속도 500㎜/min의 조건으로 인장하여 MD 방향(mechanical direction) 및 CD 방향(cross direction)의 인장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2. 방사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하여, 30분동안 연속적인 방사를 진행하면서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경우 - ○,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가 3회 이상 끊어지는 경우, 방사성 균일성 문제로 부직포 외관 균일도가 나쁜 경우 - ×로 하여 방사성을 평가하였다.
3. 소프트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하여, 관능 평가로 소프트성을 평가하였다. 소프트성은 숫자1 ~ 5로, 5개 등급으로 나뉘고 소프트성이 좋을수록 숫자가 낮고, 소프트성이 나쁠수록 숫자가 높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용융지수
(g/10min, a)
15 10 25 34 60
다분산지수
(Mn/Mw, b)
1.7 2.0 2.2 2.2 2.8
촉감개선제 종류 - - - - -
함량(중량부) - - - - -
평량(g/㎡) 13 13 13 20 30
조건(1), b/a 0.113 0.2 0.088 0.065 0.047
조건(2), (a1/2+b)1/2 2.36 2.27 2.68 2.83 3.25
MD 인장강도(kgf/5㎝/gsm) 0.270 0.281 0.262 0.243 0.204
CD 인장강도(kgf/5㎝/gsm) 0.12 0.067 0.090 0.078 0.107
조건(3), MD/CD 인장강도 비 2.25 4.2 2.9 3.1 1.9
방사성 평가 ×
방사성 관련 불량 사항 없음 방사균일도 불량 없음 없음 없음
소프트성 평가 2 4 2 2 2
구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용융지수
(g/10min, a)
80 60 15 12 25
다분산지수
(Mn/Mw, b)
3.3 4.1 3 3.4 2.2
촉감개선제 종류 - - - -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함량(중량부) - - - - 12
평량(g/㎡) 30 30 13 13 13
조건(1), b/a 0.041 0.068 0.22 0.283 0.088
조건(2), (a1/2+b)1/2 3.50 3.44 2.62 2.62 2.68
MD 인장강도(kgf/5㎝/gsm) 0.170 0.20 0.293 0.286 0.235
CD 인장강도(kgf/5㎝/gsm) 0.085 0.080 0.084 0.068 0.091
조건(3), MD/CD 인장강도 비 2.0 2.5 3.5 4.2 2.7
방사성 평가 × × ×
방사성 관련 불량 사항 사절발생 사절발생 없음 사절발생 없음
소프트성 평가 3 3 2 2 1
1) 상기 실시예 10은 에틸렌 단량체 및 프로필렌 단량체를 1: 0.87의 몰비로 포함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임
구분 실시예
11
비교예
1
비교예
2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용융지수
(g/10min, a)
25 10 200
다분산지수
(Mn/Mw, b)
2.2 3.4 2.8
촉감개선제 종류 에루카
아미드
- -
함량(중량부) 1.0 - -
평량(g/㎡) 13 19 55
조건(1), b/a 0.088 0.34 0.014
조건(2), (a1/2+b)1/2 2.68 2.56 4.12
MD 인장강도(kgf/5㎝/gsm) 0.239 0.294 0.142
CD 인장강도(kgf/5㎝/gsm) 0.100 0.0918 0.071
조건(3), MD/CD 인장강도 비 2.8 3.2 2.0
방사성 평가 × ×
방사성 관련 불량 사항 없음 사절발생 방사균일도 불량
소프트성 평가 1 3 5
1) 상기 실시예 11은 슬립제인 에루카 아미드를 사용한 것임
상기 표 1 내지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지수, 다분산지수 및 촉감개선제 포함여부 등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3 ~ 5, 8, 10 및 11이, 이 중에서 하나라도 누락된 실시예 2, 6, 7, 9 및 비교예 1 ~ 2에 비하여 방사성 우수하고, 소프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저중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모두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homopolymer);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촉감개선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연속 방사하여 형성되는 섬유를 통해 형성되고,
    하기 조건 (1) 내지 조건 (3)을 모두 만족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다분산지수가 3.0 이하이고,
    상기 촉감개선제는 섬유유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유연제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C4 ~ C12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1) b/a ≤ 0.3
    (2) (a1/2+b)1/2 ≤ 3.6
    (3)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 ≤ 3.8
    이때, 상기 a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지수(g/10min)이고, 상기 b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다분산지수(Mw/Mn,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임.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하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1) b/a ≤ 0.23
    (2) (a1/2+b)1/2 ≤ 3.3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용융지수가 13 ~ 70 g/10min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단위 중량당 MD 방향 인장강도가 0.19 kgf/5㎝/gsm 이상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7. 제1항에 있어서,
    단위 중량당 CD 방향 인장강도가 0.05 ~ 2.0 kgf/5㎝/gsm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C4 ~ C12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용융지수가 550 g/10min 이하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 및 프로필렌 단량체를 1 : 0.8 ~ 0.95의 몰비로 포함하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평량이 8 ~ 50 g/㎡ 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14.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 제7항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를 포함하여 형성된 위생재.
KR1020190174092A 2019-12-24 2019-12-24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KR10225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92A KR102251754B1 (ko) 2019-12-24 2019-12-24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EP20907670.2A EP4083288A4 (en) 2019-12-24 2020-12-24 NON-WOVEN FABRIC WITH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JP2022532155A JP7429779B2 (ja) 2019-12-24 2020-12-24 不織布
PCT/KR2020/019122 WO2021133110A1 (ko) 2019-12-24 2020-12-24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CN202080084695.XA CN114787437A (zh) 2019-12-24 2020-12-24 增强机械强度的无纺布
US17/788,040 US20230039949A1 (en) 2019-12-24 2020-12-24 Nonwoven fabric with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92A KR102251754B1 (ko) 2019-12-24 2019-12-24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754B1 true KR102251754B1 (ko) 2021-05-12

Family

ID=7591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092A KR102251754B1 (ko) 2019-12-24 2019-12-24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39949A1 (ko)
EP (1) EP4083288A4 (ko)
JP (1) JP7429779B2 (ko)
KR (1) KR102251754B1 (ko)
CN (1) CN114787437A (ko)
WO (1) WO202113311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277B1 (ko) 1999-06-29 2002-06-12 박호군 수처리용 스펀본드형 다기능성 카트리지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01248B1 (ko) * 2000-03-16 2003-10-11 박평렬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4302A (ko) * 2006-05-25 2009-02-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연성 및 신장성 폴리프로필렌 기반 스펀본드 부직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7835B (en) 1999-07-06 2002-03-01 Pyung-Yul Park Polypropylene fiber and preparation thereof
MY120636A (en) * 1999-11-10 2005-11-30 Kolon Glotech Inc Polypropylene fiber and preparation thereof
JP2001226865A (ja) * 2000-02-10 2001-08-21 Idemitsu Unitech Co Ltd 不織布、その製造方法および衛生材料
WO2001073174A1 (en) * 2000-03-27 2001-10-04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ypropylene fabric having high strain rate elong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20001307A (ko) * 2000-06-28 2002-01-09 구광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8663799B2 (en) * 2002-08-12 2014-03-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based fibers and nonwovens
US7998579B2 (en) * 2002-08-12 2011-08-1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based fibers and nonwovens
US20050130544A1 (en) * 2003-11-18 2005-06-16 Cheng Chia Y. Elastic nonwoven fabrics made from blends of polyolefin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CN1918228B (zh) * 2004-02-12 2010-12-01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适合纤维和无纺布的聚丙烯树脂
US8129298B2 (en) * 2006-05-31 2012-03-06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lamin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80032594A (ko) * 2006-10-10 2008-04-15 (주)동국가연 폴리프로필렌 가연사의 제조방법
JP4982615B2 (ja) * 2010-09-30 2012-07-25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KR102230520B1 (ko) * 2014-11-18 2021-03-2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부드럽고 내구성이 있는 부직포 웹
US11306415B2 (en) * 2016-07-22 2022-04-1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KR102317015B1 (ko) * 2017-11-08 2021-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직포용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277B1 (ko) 1999-06-29 2002-06-12 박호군 수처리용 스펀본드형 다기능성 카트리지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01248B1 (ko) * 2000-03-16 2003-10-11 박평렬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4302A (ko) * 2006-05-25 2009-02-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연성 및 신장성 폴리프로필렌 기반 스펀본드 부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3288A1 (en) 2022-11-02
JP2023505120A (ja) 2023-02-08
JP7429779B2 (ja) 2024-02-08
US20230039949A1 (en) 2023-02-09
CN114787437A (zh) 2022-07-22
WO2021133110A1 (ko) 2021-07-01
EP4083288A4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0335B1 (en) Propylene-based copolymers, a method of making the fibers and articles made from the fibers
EP2094891B1 (en) Elastic spunbonded nonwoven and elastic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same
US10519570B2 (en) Fiber grade with improved spinning perform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US20080199673A1 (en) Propylene Based Meltblown Nonwoven Layers and Composite Structures
EP2925920A1 (en) Polypropylene fibers and fabrics
WO2011030893A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繊維製品
EP1299584B2 (en) Polypropylene fibres
EP1169500B1 (en) Polypropylene fibres
US6720388B1 (en) Polypropylene fibres
KR102251754B1 (ko)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부직포
US6730742B1 (en) Polypropylene fibres
CN112639182A (zh) 用于熔纺纤维应用的聚丙烯组合物
KR20210154993A (ko)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부직포를 사용한 위생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