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719B1 - 개선된난연성및비부식성을가지는폴리올레핀섬유용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난연성및비부식성을가지는폴리올레핀섬유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719B1
KR100315719B1 KR1019940019838A KR19940019838A KR100315719B1 KR 100315719 B1 KR100315719 B1 KR 100315719B1 KR 1019940019838 A KR1019940019838 A KR 1019940019838A KR 19940019838 A KR19940019838 A KR 19940019838A KR 100315719 B1 KR100315719 B1 KR 10031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ber
ethylene
propylene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894A (ko
Inventor
지안키를로브라카
가이도베르텔리
레오나르도스팍놀리
Original Assignee
케빈 이. 왈쉬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빈 이. 왈쉬,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빈 이. 왈쉬
Publication of KR95000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3/08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ased on organic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1F6/1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from polymers of fluorinated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2Non-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2Heterophasic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5/02Polyphenyl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8Physical dimen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하기 일반식의 착체 0.3 - 3 중량 %;
R ·(MeX3)y
[상기 식중, R은 아민이고; Me는 비스무트 또는 안티몬이고; X는 염소 또는 브롬이고; y는 0.3 - 4.0이다]:
(b) 폴리(1,4-디이소프로필벤젠) 0.1 - 1 중량 %:
(c) 유기 에폭시드 0.1 - 0.5 중량 %
100 중량 %까지 나머지는 올레핀 중합체.

Description

개선된 난연성 및 비부식성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섬유용 조성물
본 발명은 개선된 난연성을 가지고 부식성이 없는 폴리올레핀 섬유용 조성물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섬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문에서 사용되는 "섬유(fiber)"는 필라멘트 (그 중에서도 특히 스테이플 및 연속 필라멘트 섬유) 뿐만 아니라 피부릴 (fibrlils), 모노 필라멘트 및 라피아 (raffia) 와 같은 섬유와 유사한 제품을 의미한다.
섬유에서 상기 언급된 특징을 얻기 위해서,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산화물, 스테아르산염 또는 규산염과 같은 항산(antiacid) 물질과 암모늄염 및 유기 질소 화합물의 적당한 배합물과 같은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의 제조에 역시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 자유-라디칼 프로모터와 함께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의 착체는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유럽 특허 273458 호에 난연성 첨가제로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은 아민류와 염화 비스스무트 및/또는 안티몬의 착체로 이루어지고 하기 일반식을 가진다.
R ·(MeX3)y
상기 식 중 R은 알킬, 아릴 또는 아실기로 임의 치환된 디시안디아미드 구안아민, 2-구아니디노이미다졸, 멜라민, 이소포론디아민 및 피페라진, 및 적어도 하나의 NH-기로 서로에 축합 또는 결합된 2 - 9 개의 트리아진 고리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치환되어 있고; Me는 비스무트 또는 안티모늄이고; y는 0.3 - 4의 수이다].
그러나, 섬유의 제조에서 상기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혼합물내의 할로겐화 난연제 화합물의 존재로 인한 부식성 문제는 극복될 수 없다.
상기 부식성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으며, 섬유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사기계 및 다른 장치의 철제 부품들 및 상기 섬유로부터의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들에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상기 혼합물로부터 수득한 섬유는 난연제가 높은 농도로 사용되더라도 상당이 낮은 난연도 (즉, 산소 지표)를 가진다. 이러한 후자의 측면은 높은 난연성이 필요치 않는 용도에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섬유의 사용을 명백히 제한한다.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며 부식성이 없는 섬유로 전환될 수 있는 신규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발견하였다. 상기 특성은 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의 물리적/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농도로 첨가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의 난연제, 자유 라디칼 프로모터 및 항산 화합물의 특별한 선택에 의해서 폴리올레핀 섬유에도 부여된다.
또다른 이점은 섬유의 제조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의 결과로서 다이 (die) 구멍의 막힘(plugging)에 의해서 발생하는 방사 (spinning) 단계 동안 섬유의 파괴 (breakage) 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데니어의 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상 상기 막힘은 중합체에 존재하는 난연성 화합물의 과립에 의해서 발생한다. 상기의 좋은 결과는 방사 동안 용융 상태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난연성 화합물의 낮은 융점 때문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또다른 이점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고온 (예컨대 230 ℃초과) 에서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제조 공정 중 온도를 올리는 것은 상기 공정에서 생산성을 높인다. 상기의 온도 상승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높은 열적 안정성 때문에 가능하고, 또한 그렇지 않으면 문제가 되는 나쁜 제품의 형성을 상당이 줄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기 중합체를 함유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a) 하기 일반식의 착체 0.3 - 3 중량%
R ·(MeX3)y
[상기 식중 R은 알킬, 아릴 또는 아실기로 임의 치환된 디시안디아미드, 구안아민, 2-구아니디노이미다졸, 멜라민, 이소포론디아민 및 피페라진, 및 하나 이상의 NH- 기로 서로에 축합되거나 결합된 2 - 9 개의 트리아진 고리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민이고; Me는 비스무트 또는 안티몬이고; X는 염소또는 브롬이고; y는 0.3-4.0의 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이다];
(b) 하기 일반식의 폴리(1,4-디이소프로필벤젠) 0.1 - 1 중량%:
H-[C(CH3)2-(C6H4)-C(CH3)2]n-H
[상기 식중, n은 3 - 7의 수이다];
(c) 유기 에폭시드, 바람직하게는 에폭시화 유기 오일로부터 선택된 유기 에폭시드 0.1 - 0.5 중량 %;
100 중량 %까지 나머지는 올레핀 중합체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섬유를 제공한다.
화합물 (a), (b) 및 (c)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내에 0.8 - 1.6 중량% 0.2- 0.6 중량% 및 0.15 - 0.30 중량%의 양으로 각각 존재한다.
착체 (a)에 존재하는 R 화합물 중에 하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디시안디아미드, 구안아민, 멜라민, 및 하나 이상의 -NH 기로 서로에 축합되거나 결합된 2-9개으 트리아진 고리를 가지는 화합물. 이 후자의 화합물은 "멜림", "멜렘" 및 "멜론"으로 알려져 있고, 각각에 대해 일반적으로 하기식이 제안된다 (["Proceedings, of the Second European Symposium on Thermal Analysis", University of Aberdeen, U.K. 1981. 9. 1-4., 에디터 데이비드 돌리모어]를 참고);
멜람 :
멜렘 :
멜론 :
상기 화합물은 100 - 300 ℃ 또는 그 초과의 온도에서 디시안디아미드 또는 트리아지진을 가열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으로 디시안디아미드를 트리아진 고리로 고리화, 및/또는 트리아진을 원하는 정도로 중축합할 수 있다.
착체 (a)의 예에는 C2H4N4·BiBr3(삼브롬화비스무트와 디시안디아미드), C3H6N6·BiBr3(삼브롬화비스무트와 멜라민), C4H7N5·SbBr3(삼브롬화안티몬과 아세토구안아민), 2(C3H6N6) ·BiBr3(삼브롬화비스무트와 비스멜라민) 이 있다.
착체(a)는, 예컨대, 상기 언급된 유럽특허 27345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민 몰당, 또는 일차 아민기가 화학 화합물로 존재할 경우에는 일차 아민기 몰당 0.3 몰 이상의 할로겐화 금속을 사용하여, 상기 아민류 R과 할로겐화 금속과의 혼합물을 50 - 150 ℃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b)에서 n은 6 내지 7이 바람직하다. n이 상기 언급한 바람직한 값내인 화합물 (b)의 실제예는 인터록스 브이피이 156 (interox VP 156) 이라는 상표로 PeroxideChemie GmbH에 의해서 시판되고 있다.
에폭시화 유기 오일의 바람직한 예에는 아마인유 및 두유와 같은 식물성 유기 오일들이 있다. 에폭시화 아마인유는 예컨대 에데놀 비이( EDENOL B) 316이라는 상표로 헨세(Henche) 사에 의해서 시판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섬유에 함유되는 올레핀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하기의 중합체에서 선택된다.
1) 바람직하게 90 이상의 이소택틱 값을 가지는 이소택틱인 또는 주로 이소택틱인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2) 바람직하게 35 이상의 이소택틱 값을 가지는, 에틸렌 및/또는 C4-C8α-올레핀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3)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헤테로상 (heterophasic) 의 중합체:
A)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8O 중량% 초과의 프로필렌을 함유하고 80 초과의 이소택틱 값을 가지는 에틸렌 및/또는 C4- C8α-올레핀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10 - 60 중량부 (부분 A);
B) 주위의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에틸렌의 반결정성 공중합체 부분 3 - 25 중량부 (부분 B); 및
C) 주위의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고 에틸렌 또는 C4- C8α-올레핀, 또는 그 배합물 20 - 60 중량%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및 또는 C4- C8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부분, 및 임의로 소량의 디엔 15 - 87 중량부 (부분 C);
4) 중합체 1) 및/또는 2) 및/또는 3)의 혼합물.
랜덤 공중합체 2) 및 헤테로상의 중합체 3)에 존재할 수 있는 C4- C8α-올레핀은 선형 또는 분지쇄 알켄류,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1-펜텐, 특히 1-부텐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랜덤 공중합체 2)는 0.05 - 20 중량%의 공단량체를 함유한다.
부분 A 는 10 - 50 중량부의 양으로 헤테로상의 중합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부분 A는 바람직하게는 90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98 의 이소택틱 값을 갖는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85 %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 99 %의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상기 정의된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부분 B는 바람직하게는 7 - 15 중량부의 양으로 헤테로상의 중합체 내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B부분은 DSC (시차 주사 열량계) 에 의해서 측정할 경우 약 20 - 60 %의 결정도를 갖는다. 상기 B부분에서 함유된 공중합체는 하기 형태의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55 % 초과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1 - 10 %의 상기 α-올레핀 및 55- 98 % 바람직하게는 80 - 95 %의 에틸렌 및 상기 α-올레핀을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 C4- C8α-올레핀; 55-98 % 바람직하게는 80-95 %의 상기 α-올레핀을 함유하는 에틸렌/C4- C8α-올레핀.
부분 C는 30 - 75 중량부의 양으로 헤테로상의 중합체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O - 60 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의 α-올레핀을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C4- C8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총양은 20 이상 - 40 중량 % 미만이다); 20 - 40 중량 %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 3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8 중량 % 의 α-올레핀을 함유하는 에틸렌/C4- C8α-올레핀 공중합체, 상기 C부분의 공중합체에 임의로 존재하는 디엔류는 일반적으로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고, 하기 디엔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부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및 2-에틸리덴-5-노르보르넨.
헤테로상의 프로필렌 중합체는용융상태에서 성분 A), B), 및 C)를 기계적으로 혼합함으로써, 또는 두 단계 이상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중합공정 및 매우 특정적인 찌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헤테로상의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들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촉매및 중합공정은 공개된 유럽 특허출원 제 400.333 및 472.946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섬유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몇가지 안정화제, 예컨대, 하기와 같은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0.05 - 0.15 중량% 유기 아인산염 및 포스포니트 (phosphonite), 및/또는
II) 0.5 - 0.15 중량%의 페놀계 항산화제 하나 이상 및/또는
III) 0.5 - 0.15 중량%의 광안정화제 하나 이상.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아인산염의 예에는 하기와 같은 것들이 있다: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이르가포스(Irgafos) 168이라는 상표로 시바 게이지사 (Ciba Geigy) 에 의해 시판됨: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웨스턴 (Weston) 618이라는 상표로 보르그-와너 케미칼(Borg-Waner Chemical) 에 의해 시판됨;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Mark P라는 상표로 아데카 아구스 케미칼(Adeka Argus Chemical) 에 의해 시판됨; 트리스(모노노닐 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Ultranox 626이라는 상표로 보르그-와너 케미칼 (Borg-Waner Chemical) 에 의해 시판됨: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유기 포스포니트는 산도스태브 (Sandostab) P-EPQ라는 상표로 산도즈(Sandoz)사에 의해 시판되는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디페닐렌 디포스포니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첨가제로 바람직한 페놀계 항산화계의 예에는 하기와 같은 것이 있다:
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s-트리아진-2,4,6-(1H, 3H, 5H)-트리온 상표 시아녹스 (Cyanox) l79O으로 아메리칸 시아나미드 (American Cyanamid) 사에 의해 시판됨. 칼슘 비스[모노에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s-트리아진-2,4 6(1H, 3H, 5H)트리온;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상표 이르가녹스 (Irganox) 1425, 이르가녹스 3114, 이르가녹스 1330, 및 이르가녹스 1010이라는 상표로 각각 시바 게이지 (Ciba Geigy) 에 의해 시판됨; 2,6-디메틸-3-히드록시-4-t-부틸벤질 아비에테이트(abietate)
광안정화제의 예에는 벤조트리아졸류 벤조페놀류 및 HALS [힌더드(hindered) 아민 광안정화제) 족에 관한 화합물들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에 사용될 수 있는 HALS의 예에는 하기 상표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화합물들이 있다. 치마소브(Chimassorb) 944, 치마소브 905, 티누빈(Tinuvin) 770, 티누빈 992, 티누빈 622, 티누빈 144, 스피누벡스(Spinuvex) A36, 시바 게이지에 의해 시판됨: 시아소브 (Cyasorb) UV 3346, 아메리탄 시아나미드에 의해 시판됨.
상기 안정화제에 덧붙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또한 염료, 불투명화제 및 충전제와 같은 통상의 중합체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ASTM D-1238, 조건 L (MFR-L) 에 따른 용융 유속 0.5 - 1000 g/10 min,으로 표시된 분자량 분포 (MWD) 값 3 - 6, 바람직하게는 3.5 - 4.5를 갖는다.(중량 평균 분자량) 및(수 평균 분자량) 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에 의해서 결정된다.
중합체의 바람직한 MFR-L 및 MWD 값은 중합반응에서 직접 또는 조절된 라디칼 분해로 얻을 수 있다.
조절된 라디칼 분해 공정은, 예컨대,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함으로써 펠리트화 단계 또는 섬유 제조의 압출 단계에서 집접 수행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펠리트 (pellet) 의 형태, 또는 비압출 입자, 예컨대, 플레이크, 또는 직경 0.5 - 4.5 mm인 나선형 입자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비압출 입자는 적어도 한 표면에 상기 언급한 안정화제 (또는 일반적으로 첨가제) 및/또는 과산화물로 피막되거나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올레핀 중합체를 화합물 a), b) 및 c)와 기계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혼합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고체 상태의 다양한 성분을 (예컨대, 반부리 Banbury), 헨셀 (Henshel), 또는 로지 (Loedige)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하고 이어서 얻어진 건조 혼합물을 압출함으로써 수행된다. 압출 온도는 180 - 260 ℃가 바람직하다.
대체 방법으로서, 건조 혼합물을 또한 직접 방사구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섬유는 다양한 용도, 예컨대 카딩(carding)/캘린더링, 스펀 본딩 및 멜트 블론 (melt-blown)과 같은 공지 기술에 의해서 수득 가능한 직포, 터프티드 카페트 (tufted carpet), 가정 장식 및 의류 직물, 부직포에 적당하다. 예로서, 본 발명의 섬유, 특히 스테이플 섬유 또는 연속 필라멘트 섬유로부터 수득한 부직포는 카페트에 대한 백킹(backing) 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에 기재된 중합체 조성물로 출발하여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섬유를 수득하기 위해서, 연속 필라멘트 및 연속 벌크 얀, 길거나 짧은 방사 스테이플, 스펀본딩 (spun bonding), 및 멜트 블론과 같은 용융 압출에 적당한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방사방법 및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기 방사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실험적인 방사조건
- 카페트용 섬유 (스테이플 섬유 또는 연속 필라멘트 섬유).
압출기 및 방사 헤드 (다이 오리피스) 의 온도는 180 - 260 ℃, 바람직하게는 180 - 230℃ 범위이다.
다이 (die) 오리피스 직경은 0.6 - 1.0 mm, 길이/직경비는 5 이다. 다이 오리피스의 유속은 1 - 5 g/min이고, 얀 카운트 (yarn count) 는 20 -120 dtex이다.
스트레칭은 일반적으로 증기 내에서 (스테이플 섬유를 얻기 위해서), 또는 115 - 130 ℃의 온도로 가열된 로울러 사이에서 (연속 필라멘트 섬유를 얻기 위해서) 스트레치 비 2.0 - 4.0에서 수행된다.
- 스펀 본드 섬유 (spun bonded fiber)
압출 온도는 180 - 260 ℃, 바람직하게는 220 - 230 ℃이고; 다이 오리피스직경은 0.3 - 0.8 mm이고; 다이 오리피스 유속은 0.02 - 1.0 g/min 이다.
불투명화제, 충전제, 및 염료와 같은 첨가제는 또한 방사공정 중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얀 카운트는 0.5-10 dtex 이다.
섬유에 덧붙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필름과 같은 박막 제품의 제조에 또한 적당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들은 섬유의 성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섬유에 관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시험들에 사용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산소 지수 ("제한된 산소 지수" L.O.I.)
이 측정은 25 장조사 (long roving) 의 650 텍스 스펀 섬유를 제조함으로써 만들어진 견본을 사용하여 ASTM D 2863-87에 따라 수행된다; 조사 (roving)의 말단은 꼬임 장치의 클램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사를 80 번 곤 후에 꼬이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꺽쇠를 푼다. 이어서 두 극단을 핑거 사이에 유지시키므로써 결합을 분리하여 조사의 두개의 반을 자발적으로 얇은 로프를 형성하도록 휘감는다. 남는 것을 잘라낸 후, 상기 로프를 L.O.I 를 측정하는데 이용한다.
부식성
부식성은 200 - 260 ℃의 온도에서 철판으로 중합체를 성형하고 23 ℃에서 습도 포화 환경에 노출된 판상에 가능한 외관의 산화 생성물 (녹) 을 관찰함으로써 측정된다.
광저항성; ASTM G 27.70에 따름
필라멜트 함량; ASTM D 1577-79에 따름
실시예 1, 2, 및 3
MFR-L 12 및6을 가지는 세개의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들을 삼브롬화 비스무트와 디시안디아미드의 1/1 몰 착체와 폴리프로필렌을 각각 1.5, 1.0 및 0.5 의 양으로 하기 첨가제 (중량%) 와 함께 기계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 0.4% 인터록스 VP 156 폴리(1,4-디이소프로필-벤젠):
- 0.2 % 에폭시화 아마인유
- 0.05% 이르가녹스 1010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 0.1 % 이르가포스 168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상기 제조된 중합체 조성물은 다이 오리피스 직경이 1.0 mm이고 오리피스 유속이 3 g/min 인 실험실 압출기 (최대 용량 5 kg/h) 로 220 ℃에서 방사하였다.
이 방법으로 수득한 섬유는 스트레치 비 3으로 스테이플로 스트레치된다.
이 방법으로 수득한 섬유로 결정인 L.O.I 값은 각각 26.5, 30.0 및 33.0이다.
실시예 4
MFR-L 12 g/10 min 및6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을 하기 성분 (중량 %) 과 프로필렌의 기계적 혼합으로 제조한다:
- 삼브론화 비스무트와 디시안디아미드의 1/1 몰 착체 1.0 %;
- 0.40% 인터록스 VP 156 폴리(l,4-디이소프로필-벤젠);
- 0.20 % 에폭시화 아마인유;
- 0.15 % 이르가녹스 B 245 (트리스(2,4-디-t-부틸)포스파이트 1 부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신나메이트)]메탄 2 부;
- 0.50 % 벤조페논;
- 0.50 % 벤조트리아졸;
- 0.15 % TiO2.
상기 수득된 중합체 조성물은 하기 작업조건으로 방사된다:
- 방사속도: 650 m/min;
- 방사 온도 220 ℃;
- 다이 오리피스 직경: 1.0 mm;
- 다이 오리피스 유속 2.84 g/min;
- 스트레치 비 1:3.35.
섬유를 산소 지수 및 광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름지게 하고, 절단한다 : L.O.I. 값은 28.0이고, 광저항성은 320 시간이었다 (강도는 320 시간뒤에 반으로 되었다).
이어서 섬유는 삼수화 알루미나 방화 백킹(backing) 으로 터프티드 럭을 만들도록 가공되었다. 상기 카페트는 하기 난연성 시험을 견디었다:
- 필 (pill)시험, ASTM D 2859-70 T에 따름;
- 고온 금속 너트 (hot metal nut) 시험, BS 4780 BS 5287에 따름;
- CSE RF 2/75 (바닥재에 관한 이탈리아 실내 장식부의규칙);
- CSE RF 3/77 (바닥재에 관한 이탈리아 실내 장식부의 규칙);
- 콘 (cone) 열량계, ISO DIS 566O에 따름.
실시예 5
MFR-L 35 g/1O min 및3.5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을 하기 성분 (중량 %) 과 프로필렌의 기계적 혼합으로 제조한다:
- 디시안디아미드 삼브롬화 비스무트 1.0 %;
- 0.4 % 인터록스 VP 156 폴리(l,4-디이소프로필-벤젠);
- 0.20 % 에폭시화 아마인유:
- 0.15 % 이르가녹스 B 215 (트리스(2,4-디-t-부틸)포스파이트 1 부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신나메이트)]메탄 2 부).
상기 수득한 중합체 조성물을 하기 작업조건으로 방사하였다:
- 방사 속도 : 1800 m/min;
- 방사 온도 : 220℃;
- 다이 오리피스 직경 : 0.6 mm;
- 다이 오리피스 유속 : 0.6 g/min;
생성 섬유의 L.O.I. 는 28.0이었다.
실시예 1 내지 5의 섬유는 부식 시험에서 녹의 발생을 촉진하지 않았다.
비교예 1
조성물이 예폭시화 아마인유 대신에 스테아르산 칼슘 0.2 %를 함유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고 방사한다. 수득된 섬유에 관하여 부식시험을 수행한 결과 그것을 사용함에 따라 상당한 녹이 발생함을 보인다. 산소 시험은 L.0.I. 값 26을 나타낸다.
비교예 2
조성물이 해당 올리고머 대신에 1,4-디이소프로필 벤젠 단량체 0.4 %를 함유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고 방사한다.
산소 지수 시험을 상기 수득한 섬유에 대하여 수행한 결과 L.O.I. 값은 실시예 1의 값보다 약 20 % 낮은 값을 나타낸다. 더욱이, 방사공정 동안 어떤 악취 기체가 발생하였다.

Claims (11)

  1. (a) 하기 일반식의 착체 0.3 - 3 중량 %;
    R ·(MeX3)y
    [상기 식중, R은 알킬, 아릴 또는 아실기로 임의 치환된 디시안디아미드, 구안아민, 2-구아니디노이미다졸, 멜라민, 이소포론디아민 및 피페라진, 및 하나 이상의 NH- 기로 서로에 축합되거나 결합된 2 - 9 개의 트리아진 고리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민이고; Me는 비스무트 또는 안티몬이고; X는 염소 또는 브롬이고; y는 0.3 - 4.0의 수이다]:
    (b) 하기 일반식의 폴리(1,4-디이소프로필벤젠) 0.1 - 1 중량 %:
    H-[C(CH3)2-(C6H4)-C(CH3)2]n-H
    [상기 식중, n은 3 - 7의 수이다];
    (c) 유기 에폭시드 0.1 - 0.5 중량 %, 및
    100 중량 %까지 나머지는 올레핀 중합체;
    를 함유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2. 제 l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가 하기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 90이상의 이소택틱 값을 가지는 이소택틱인 또는 주로 이소택틱인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2) 35 이상의 이노택틱 값을 가지는 에틸렌 및/또는 C4- C8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3)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헤테로상의 중합체
    A)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8O 중량 % 초과의 프로필렌을 함유하고 80 초과의 이소택틱 값을 가지는 에틸렌 및/또는 C4- C8α-올레핀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10 - 60 중량부 (부분 A);
    B) 주위의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에틸렌의 반결정성 공중합체 부분 3 - 25 중량부 (부분 B): 및
    C) 주위의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고 에틸렌 또는 C4- C8α-올레핀, 또는 그 배합물 20 - 60 중량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및/또는 C4- C8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부분, 및 임의로 소량의 디엔 15 - 87 중량부(부분 C); 및
    4) 중합체 1) 및/또는 2) 및/또는 3)의 혼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착체 (a)의 일반식에서 y가 1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에폭시드가 에폭시화 오일인 조성물.
  5.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섬유.
  6.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온도 범위 180-260 ℃ 및 오리피스 유속 1-5 g/min의 다이를 이용하여 방사하는 단계 및 스트레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스테이플 섬유.
  8. 제 6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연속 필라멘트 섬유.
  9.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온도 범위 180 - 260 ℃ 및 오리피스 유속 0.02 - 1 g/min의 다이를 이용하여 방사하는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서 수득 가능한 스펀 본드 섬유.
  11. 제 5 항에 따른 섬유로부터 수득 가능한 부직포.
KR1019940019838A 1993-08-11 1994-08-11 개선된난연성및비부식성을가지는폴리올레핀섬유용조성물 KR100315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3A001816 1993-08-11
ITMI931816A IT1271419B (it) 1993-08-11 1993-08-11 Composizioni per fibre poliolefiniche aventi migliorate caratteristiche di resistenza alla fiamma ed assenza di corrosivi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94A KR950005894A (ko) 1995-03-20
KR100315719B1 true KR100315719B1 (ko) 2002-06-22

Family

ID=1136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838A KR100315719B1 (ko) 1993-08-11 1994-08-11 개선된난연성및비부식성을가지는폴리올레핀섬유용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5494951A (ko)
EP (1) EP0638671B1 (ko)
JP (1) JP3444983B2 (ko)
KR (1) KR100315719B1 (ko)
CN (2) CN1084763C (ko)
AT (1) ATE166398T1 (ko)
BR (1) BR9403218A (ko)
CA (1) CA2117454A1 (ko)
DE (1) DE69410366T2 (ko)
IT (1) IT1271419B (ko)
TW (1) TW287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0135B4 (de) * 1997-05-14 2005-12-08 Borealis Gmbh Nichtnachverstreckte Polyolefinfasern und Polyolefingarne hoher Festigkeit und Dehnung und daraus hergestellte textile Flächengebilde
DE19722579B4 (de) * 1997-05-30 2004-02-12 Borealis Gmbh Fasern und Garne hoher Festigkeit und Dehn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CN1188461C (zh) 1999-12-23 2005-02-09 巴塞尔技术有限公司 耐火聚烯烃组合物
GB0004043D0 (en) * 2000-02-21 2000-04-12 Borealis Polymers Oy Polymer
KR100705557B1 (ko) * 2000-05-31 2007-04-10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제 혼합물
JP4228692B2 (ja) * 2002-12-26 2009-02-25 住友化学株式会社 ビスマス化合物
JP4477637B2 (ja) * 2004-06-23 2010-06-09 大塚化学株式会社 有機アンチモ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リビングラジカル重合開始剤、それを用いる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
KR100885109B1 (ko) * 2004-12-10 2009-02-20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비스무트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리빙 라디칼중합개시제, 그것을 사용하는 폴리머의 제조방법 및 폴리머
US20150176164A1 (en) * 2012-07-26 2015-06-25 Bonar B.V. Primary carpet backing and tufted carpet comprising the same
CN108793719A (zh) * 2018-06-21 2018-11-13 滁州市三和纤维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电线绝缘层材料用改性矿物纤维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86273A (ko) * 1965-07-09 1967-10-05
US3437204A (en) * 1965-12-27 1969-04-08 Bird Machine Co Screening apparatus
DE2338711C2 (de) * 1973-07-31 1982-06-16 Basf Ag, 6700 Ludwigshafen Brandschutzmittel-Konzentrat zum Ausrüsten von Polypropylen
DE2338709C2 (de) * 1973-07-31 1975-05-22 Basf Ag, 6700 Ludwigshafen Farblose Oligomere des Disopropylbenzol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2338710C2 (de) * 1973-07-31 1982-07-29 Basf Ag, 6700 Ludwigshafen Schwerbrennbar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merisaten des Propylens
CN85107974A (zh) * 1985-10-10 1986-07-02 谢建平 聚烯烃纤维耐热防缩剂及涂覆工艺
JP2705938B2 (ja) * 1986-12-30 1998-01-28 ハイモン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重合体用難燃剤として好適なビスマスまたはアンチモンハライドとアミンとの新規複合体および複合体を含有する重合体組成物
CN87102486A (zh) * 1987-03-30 1987-11-04 江苏省纺织研究所 共混改性阻燃聚丙烯长丝生产方法
IT1231769B (it) * 1989-08-02 1991-12-21 Himont Inc Procedimento per la stabilizzazione di poliolefine e prodotti da esso ottenuti.
IT1246762B (it) * 1990-07-11 1994-11-26 Enichem Sintesi Fibre e film poliolefinici resistenti alla fiamma
IT1243862B (it) * 1990-10-23 1994-06-28 Himont Inc Concentrati non estrusi di additivo antifiamma e processo per la loro preparazione.
IT1245251B (it) * 1991-03-27 1994-09-13 Himont Inc Composizioni adesive e promotori di adesione su base acquosa per poliolef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251C (zh) 2002-09-04
CN1108272A (zh) 1995-09-13
EP0638671B1 (en) 1998-05-20
ITMI931816A1 (it) 1995-02-11
DE69410366T2 (de) 1998-11-19
EP0638671A3 (en) 1995-08-02
IT1271419B (it) 1997-05-28
TW287184B (ko) 1996-10-01
US5494951A (en) 1996-02-27
CN1248646A (zh) 2000-03-29
ATE166398T1 (de) 1998-06-15
EP0638671A2 (en) 1995-02-15
BR9403218A (pt) 1995-04-11
JPH07179677A (ja) 1995-07-18
ITMI931816A0 (it) 1993-08-11
KR950005894A (ko) 1995-03-20
CN1084763C (zh) 2002-05-15
JP3444983B2 (ja) 2003-09-08
DE69410366D1 (de) 1998-06-25
CA2117454A1 (en) 1995-02-11
US5536572A (en) 1996-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7712A (en) Non-woven fabric
KR100191483B1 (ko) 열접착성 폴리올레핀섬유로부터 수득된 부직포
AU6415201A (en) Polyolefin composition containing low viscosity propylene homopolymer, fiber and extensible non-woven fabric prepared therefrom
US5529845A (en) Fiber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fabrics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softness characteristics
KR100315719B1 (ko) 개선된난연성및비부식성을가지는폴리올레핀섬유용조성물
EP0743380B1 (en) High tenacity propylene polymer fibre and process for making it
KR100649376B1 (ko)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 결합성폴리올레핀 섬유
JPH07166416A (ja) 強度および軟かさが改良された不織布の製造に好適な繊維
JPH07189021A (ja) 熱溶接性が高いポリオレフィン繊維を製造するための紡糸方法
KR19990030289A (ko) 인장 강도가 향상된 스펀본디드 재료의 제조방법
US6475617B1 (en) Thermoweldable fibers obtained from polyolefin composition
WO2004029341A1 (en) Polypropylene fibres suitable for thermally bonded non-woven fabrics
JP2006527778A (ja) 安定剤を含むオレフィンポリマー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ポリオレフィン繊維
JP2003105670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及び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成形品
ITMI940390A1 (it) Processo di filatura spun-bonding per la preparazione di filamenti poliolefinici ad elevata termosaldabili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