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493B1 -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493B1
KR102520493B1 KR1020150191181A KR20150191181A KR102520493B1 KR 102520493 B1 KR102520493 B1 KR 102520493B1 KR 1020150191181 A KR1020150191181 A KR 1020150191181A KR 20150191181 A KR20150191181 A KR 20150191181A KR 102520493 B1 KR102520493 B1 KR 10252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insulating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971A (ko
Inventor
정재훈
전광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4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 사이에 홈부를 포함하여 도전볼에 의한 패드간 전기적 단락이 최소화된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패드부의 서로 이웃한 패드 사이에 복수의 홈부를 포함함으로써, 도전볼의 뭉침 또는 도전성 이물질 주입에 의한 패드 간 전기적 단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장치에 이러한 패드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패드부 단락으로 인한 집적회로의 오작동, 퓨즈 단선 등의 전기적 불량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PAD AREA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드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패드 사이에 홈부를 포함하여 도전볼에 의한 패드간 전기적 단락이 최소화된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 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및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Display)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OLED)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명암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직류 5 내지 15V의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최근에는 TV, 모니터, 핸드폰 등 다양한 IT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전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생성하는 부품들이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가 형성되는 기판의 소정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집적회로로 구성된다.
표시 패널(10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에서 연장된 게이트 패드부(103)와, 데이터 라인에서 연장된 데이터 패드부(10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 패드부(103)는 주사 전압을 발생하는 게이트 집적회로(105)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집적회로(105)의 타측 단자는 도시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FPC: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이하 FPC라 한다)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패드부(102)는 신호 전압을 발생하는 데이터 집적회로(104)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고, 데이터 집적회로(104)의 타측 단자는 도시되지 않은 FPC에 연결된다.
이러한, 패드부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브 IC(미도시)와 접속되고, 상기 드라이브 IC(게이트 드라이브 IC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로부터 신호가 인가되어 표시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구동시킨다.
드라이브 IC를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에 따른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를 매개로 하여 패드부(게이트 패드부 및 데이터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때, 복수의 패드의 패드 전극들은 ACF의 도전볼을 통해 드라이브 IC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패드의 패드 전극과 드라이브 IC 사이에 형성된 ACF의 도전볼이 압력에 의해 파괴되면서 도전층이 형성되어, 패드 전극과 드라이브 IC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이 때, 패드와 패드 사이에서 도전볼의 뭉침 현상이 일어나거나 이물질에 기인하여 패드간의 전기적 단락(electric shortage) 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와 패드 사이의 공간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시 동시에 증착되는 절연층이 구비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활성층, 게이트 절연층, 소스-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의 제작 순서에 따라 크게 스태거드(staggered)형,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형, 코플라나(coplanar)형, 인버티드 코플라나(inverted coplanar)형 총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특히, 탑게이트 구조인 코플라나형 박막 트랜지스터는 소스 드레인 전극을 형성 후 그 상부에 절연층을 증착하고, 상기 절연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이 증착되기 때문에 다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비해 보다 두꺼운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버티드 스태거드형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상부에 바로 절연층 형성 후 그 상부에 활성층과 소스 드레인 전극이 증착되는 것으로 다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비해 다소 얇은 절연층을 포함한다.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패드와 패드 사이에,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시 증착되는 절연층이 굴곡이 없고 평평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잔존하는 도전볼이 매우 유동적인 형태로 뭉치기 때문에 탭본딩시 패드간 단락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에 따라 드라이브 IC와 패드부 연결시 도전볼에 의한 패드간 단락률이 최소화된 패드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분한 높이의 절연층을 갖는 코플라나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형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에서, 서로 이웃한 패드 사이에 적절한 깊이의 홈부를 구비하여, 패드 사이에 존재하는 도전볼들이 접촉되지 않아 서로 이웃한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지 않는 패드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패드 사이에 홈부를 구비하여, 도전볼 또는 전도성 이물질들이 홈부에 내장되어 각 패드에 접촉되지 않는 패드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간 전기적 단락률이 최소화된 패드부를 포함함으로써, 그로 인한 집적회로의 오동작, 퓨즈 단선, 램프의 수은 몰림 현상 등의 불량이 개선된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웃한 패드간 전기적 단락률이 최소화된 패드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패드부는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패드 전극, 상기 기판 및 상기 패드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패드 전극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한 패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전성 배리어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부는 상기 기판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절연층에 홈부가 포함됨으로써, 이물질이나 도전성 이물질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개구부 양 옆의 패드 간 전기적 연결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패드 전극, 상기 기판 및 상기 패드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패드 전극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한 패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전성 배리어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플라나형 박막 트랜지스트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절연층의 두께가 다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충분히 두텁기 때문에, 이를 복수의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패터닝함으로써, 패드 간 전기적 단락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TAB 방식에 따라 드라이브 IC와 패드부 연결시 패드와 패드 사이에 도전볼의 뭉침 또는 이물질에 의한 인접한 패드간 단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두께의 절연층을 갖는 코플라나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패드 사이의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인접한 패드간 단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 간 단락률을 줄이면서도 패드 부 간격을 더 좁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인 접한 패드 간 전기적 단락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드부 구조를 포함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집적회로의 오동작, 퓨즈 단선, 램프의 수은 몰림 현상 등의 불량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패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종래 패드부를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패드부와 드라이브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복수의 패드의 패드 전극들은 TAB 방식에 따라 드라이브 IC와 연결될 수 있고, 특히, 도전볼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는 종래 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패드부는 하나의 패드 전극과 그와 이웃한 패드 전극 사이의 절연층이 평평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드와 패드 사이에 도전성 배리어층(7)에 의해 노출되는 개구부(10)의 절연층은 도전볼(B)이 안착되는 지점에서 굴곡이 없다.
패드와 패드 사이의 간격은 약 10 내지 20 um 이고, 도전볼은 3 내지 4um 의 지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여러 개의 도전볼이 이격된 패드 사이에 안착되는 경우, 도 3b를 참조하면, 개구부(10)의 위치에 도전볼(B)이 뭉쳐 패드와 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볼은 패드 전극부와 그 상부에 장착될 드라이브 IC와의 전기적 접속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포되는 것이나, 패드와 패드 사이에도 잔존하게 되어 패드 간 전기적 쇼트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전성 배리어층에 의해 형성된 패드 전극과 패드 전극 사이의 개구부에 복수의 홈부를 패터닝하여 도전볼의 유동성을 낮춰 패드간 단락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한편, 인버티드 스태거드 형 박막 트랜지스터 등 코플라나형 박막 트랜지스터가 아닌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은 패드와 패드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층의 두께가 비교적 얇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패시베이션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2000Å정도이고,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중 인버티드 스태거드 형 ES 구조의 패시베이션층의 두께는 약 3500Å정도이다. 일반적인 도전볼의 지름은 3 내지 4um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얇은 절연층을 패터닝하여도 깊이가 매우 얕은 홈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전볼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기 어렵다.
이에 반해, 코플라나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소스 드레인 전극을 형성 후 그 상부에 절연층을 증착하고, 상기 절연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이 증착되기 때문에 약 6000Å정도의 두께를 갖는 절연층을 구비한다. 또한, 약 4500 Å정도의 두께를 갖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절연층 또는 절연층과 버퍼층을 함께 패터닝하는 경우 패드와 패드 사이에 도전볼 또는 도전성 이물질이 안착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갖는 홈부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비교적 두꺼운 절연층과 버퍼층을 구비하는 코플라나형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배리어층에 의해 형성된 패드 전극과 패드 전극 사이의 개구부에 복수의 홈부를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기판(1) 상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패드 전극(4), 상기 기판(1) 및 상기 패드 전극(4) 상에 위치하며, 상기 패드 전극(4)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절연층(5) 및 상기 절연층(5) 상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한 패드 전극(4)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층(5)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0)를 구비하는 도전성 배리어층(7)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0)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5)은 복수의 홈부(H)를 포함하는 패드부를 제공할 수 있다.
기판(1)은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요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시로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가 적용된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을 높이고자, 상기 절연층(5) 위로 도전성 배리어층(7)을 증착하기 전에, 금속층(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6)은 반사성이 우수한 금속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은(Ag)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전성 배리어층(7)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 인듐옥사이드(indium oxide: In2O3), 인듐갈륨옥사이드(indium gallium oxide: IG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luminum zinc oxide: AZO) 등일 수 있으나 투과형 도전 물질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개구부(10)는 도전성 배리어층(7)에 의해 정의되는 패드와 패드 사이를 지칭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홈부(H)는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이물질이나 도전볼 등이 잔존하는 경우, 이의 유동성을 어느 정도 완화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이물질의 유동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이들의 뭉침이나 응집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들의 응집물이 패드와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부는 상기 기판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홈부의 깊이는 예를 들어 5,000 내지 10,000Å일 수 있다. 이는 일정 두께 이상의 절연층을 구비하는 코플래너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패드부를 패터닝하기 때문에 가능한 두께로, 도전볼이나 도전성 이물질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서로 맞닿지 않도록 위치시키에 충분하다.
또한, 포함되는 도전볼의 크기나 장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절연층을 보다 두껍게 증착하여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패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드부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일부가 패터닝되어 기판을 향해 오목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는 상기 기판 상에 버퍼층(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코플래너(COPLANAR) 구조의 경우 버퍼층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절연층(5)에 대응되는 버퍼층(2)의 하부까지 홈부(H)의 오목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부(H)는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5)을 관통하여 이에 에 대응되는 버퍼층(2)의 상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코플래너 구조는 패드 사이의 유전층(절연층, 버퍼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여기에 패터닝된 홈부를 통해 패드 사이에 잔존하는 도전볼 또는 이물질을 캡핑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홈부(H)에 도전볼(B)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도전볼(B)은 상기 홈부(H)에 대하여 도전볼(B)의 전체 면이 삽입될 수 있고, 도전볼(B)의 일부면이 상기 홈부에 걸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부(H)의 너비는 내장되는 도전볼(B)의 지름 대비 0.5 내지 1.5배의 길이로 패터닝될 수 있다. 즉, 홈부의 너비가 도전볼의 지름보다 작은 경우, 도전볼의 일부 호가 홈부에 걸친 형태로 안착될 수 있고, 도전볼의 지름 이상인 경우에는 홈부의 깊이에 따라 도전볼의 일부만 내장되거나 도전볼 전체가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홈부(H)에 도전볼(B)의 5 내지 100%의 부피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부의 깊이와 너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전볼의 지름보다 작은 경우, 도전볼의 일부 부피만 홈부에 삽입된 형태로 도전볼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홈부의 깊이와 너비 모두 도전볼의 지름과 같거나 큰 경우, 도전볼 전체가 홈부에 삽입된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10)의 절연층(5)에 요철을 형성하는 복수의 홈부(H)가 포함되는 패턴이 구비됨으로써, 도전볼(B)이 그 요철 패턴을 따라 내장되고, 뭉치는 부분 없이 고르게 퍼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 자체의 일 변의 거리만큼 이웃한 홈부와 이격되면서, 각 홈부의 꼭지점 또는 단부만 서로 접촉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10)의 복수의 홈부(H)가 구비되는 패턴은, 상기 복수의 홈부에 따라 배치되는 상기 도전볼(B) 또는 이물질의 집합이 도전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이웃한 패드를 연결하지 않는 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홈부(H)가 서로 꼭지점이 접촉되면서 교대로 배열될 수 있고, 이는 도전볼 고정율과 패드간 단락 방지율면에서 가장 최적화된 형태이다. 도 6a과 같은 패턴은 패드와 패드 사이의 공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홈부가 배열되며, 예를 들어, 일 패드과 인접한 패드 간의 공간의 약 50 내지 70%의 공간을 홈부로 패터닝할 수 있다.
또한, 도 6b 와 같이, 복수의 홈부(H)가 서로 접촉되는 지점 없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도 6c의 개구부 절연층 패턴은 각 홈부간 횡방향 거리는 짧은 편이나, 패드(P)와 이웃한 홈부(H)의 이격 거리가 넓기 때문에, 각 홈부들에 도전볼이나 전도성 이물질이 포획되어 서로 연결되어도 패드(P)와 패드(P)간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6d의 홈부는, 일 홈부에 여러 개의 도전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홈부에 포함되는 도전볼은 종방향으로 중첩되어 뭉칠 수 있으나,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포획될 수 있기 때문에 패드부의 단락을 야기하지 않는다.
이외에도 내장되는 도전볼의 컨택률이 줄어들고, 예를 들어 도전볼의 일 측이 우 패드와 접촉되어도, 상기 도전볼과 접촉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볼의 집합이 좌 패드와 접촉될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구조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패드 전극, 상기 기판 및 상기 패드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패드 전극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한 패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전성 배리어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나 인버티드 스테거드형 등 특히, ES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경우 상기 개구부의 절연층이 매우 얇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패터닝된 패드부를 구비하기 어렵다.
반면, 코플라나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경우 패터닝할 수 있는 절연층의 두께가 도전볼을 고정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패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기판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절연층을 복수의 오목한 형상을 갖는 패턴으로 구비함으로써, 패드 간 전기적 단락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홈부는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에 대응되는 버퍼층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즉, 버퍼층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경우, 서로 이웃한 패드 사이에 구비되는 홈부는 버퍼층의 일부가 제거된 오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도전볼이나 이물질이 포획될 수 있기 때문에, 전도성 물질의 응집체가 패드와 패드를 연결함으로써 발생하는 패드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홈부에 도전볼이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부의 너비는 도전볼의 지름 대비 0.5 내지 1.5배일 수 있고, 홈부에는 도전볼의 5 내지 100%의 부피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도전볼 또는 이물질 들이 홈부에 의한 요철 패턴에 고정됨으로써, 패드 간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에 본딩되는 드라이브 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패드부와 드라이브 IC를 탭본딩하여 연결할 수 있는데, 이 때 발생할 수 있는 도전볼 뭉침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패드부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패드 간 전기적 단락률이 최소화되어,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는 집적회로의 오동작, 퓨즈 단선 등의 불량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기판
2: 버퍼층
3: 게이트 절연막
4: 패드 전극
5: 절연층
6: 금속층
7: 도전성 배리어층
10: 개구부
B: 도전볼
H: 홈부
P: 패드
101: 액정 패널
102: 데이터 패드
103: 게이트 패드
104: 데이터 집적회로
105: 게이트 집적회로

Claims (20)

  1.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패드 전극;
    상기 기판 및 상기 패드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패드 전극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한 패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전성 배리어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패드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기판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형상인,
    패드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패드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에 대응되는 버퍼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패드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도전볼이 내장되는,
    패드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너비는 도전볼의 지름 대비 0.5 내지 1.5배인,
    패드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도전볼의 5 내지 100%의 부피가 삽입되는,
    패드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패드부.
  9.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패드 전극, 상기 기판 및 상기 패드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패드 전극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한 패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전성 배리어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기판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형상인,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절연층에 대응되는 버퍼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도전볼이 내장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너비는 도전볼의 지름 대비 0.5 내지 1.5배인,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도전볼의 5 내지 100%의 부피가 삽입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에 본딩되는 드라이브 IC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코플라나(coplanar)형인,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19.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패드 전극;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패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절연층; 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패드 전극 사이의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패드부.
  20.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다이오드;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패드 전극;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패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절연층; 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패드 전극 사이의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KR1020150191181A 2015-12-31 2015-12-31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KR10252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181A KR102520493B1 (ko) 2015-12-31 2015-12-31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181A KR102520493B1 (ko) 2015-12-31 2015-12-31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971A KR20170080971A (ko) 2017-07-11
KR102520493B1 true KR102520493B1 (ko) 2023-04-11

Family

ID=5935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181A KR102520493B1 (ko) 2015-12-31 2015-12-31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783B1 (ko) * 2017-12-05 2022-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8180B1 (ko) * 2018-10-01 202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드 오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10131508A (ko) 2020-04-23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55B1 (ko) * 2008-11-27 2014-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822012B1 (ko) * 2010-12-07 2018-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6365B1 (ko) * 2013-04-19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KR102137474B1 (ko) * 2013-10-18 2020-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드 전극 구조물 및 상기 패드 전극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971A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073B2 (en) Display device
US10409121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049501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N106920821B (zh) 显示装置
US11211443B2 (en) Display apparatus
TW201839974A (zh) 具有輔助電極的顯示裝置
JP2008070873A (ja) 平板表示装置
JP6715708B2 (ja) 表示装置
KR102101028B1 (ko) 표시장치
CN104701345A (zh) 有机场致发光显示器件
US976651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7289681B2 (ja) 表示装置
KR102557445B1 (ko) 표시 장치
KR102520493B1 (ko)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US1127674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3218126A (ja) 表示装置
US2020014224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13193003A (zh) 显示装置
KR20220003685A (ko) 표시 장치
JP6905421B2 (ja) 表示装置
KR10216686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20220069043A1 (en) Display device
KR102513388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2022003353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997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