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974B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974B1
KR102139974B1 KR1020130162252A KR20130162252A KR102139974B1 KR 102139974 B1 KR102139974 B1 KR 102139974B1 KR 1020130162252 A KR1020130162252 A KR 1020130162252A KR 20130162252 A KR20130162252 A KR 20130162252A KR 102139974 B1 KR102139974 B1 KR 10213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iring
disposed
display devi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453A (ko
Inventor
이종혁
이재민
오두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97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패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어 제1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는 배선부와,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판의 하부로 노출된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패드 영역의 배선부를 기판의 하부로 노출시켜 구동 소자의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절곡에 따른 배선부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패드 영역의 배선부를 기판의 하부로 노출시켜 구동 소자의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배선부를 기판의 측면으로 절곡시켜 베젤의 크기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실시예는 베젤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는 음극선과 표시장치(CRT)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소비 전력과 낮은 구동 전압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리지드한 유리 기판 기반의 표시 장치들을 대신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가 디스플레이 분야의 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라스틱 등의 얇은 기판에 구현되어 종이처럼 접거나 말아도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플렉서블 표시장치에는 패널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드라이버 아이씨와 같은 구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게 된다.
하지만, 구동부는 배선에 의해 패널의 일측을 감싸도록 벤딩되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선의 휨에 따른 단선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배선이 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영역이 필요로 하게 되어 베젤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배선의 휨에 따른 단선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베젤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패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어 제1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는 배선부와,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판의 하부로 노출된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패드 영역의 배선부를 기판의 하부로 노출시켜 구동 소자의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절곡에 따른 배선부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패드 영역의 배선부를 기판의 하부로 노출시켜 구동 소자의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배선부를 기판의 측면으로 절곡시켜 베젤의 크기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상부에 유기 발광층(150)이 형성되고, 패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제1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는 배선부(130)와, 상기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판(100)의 하부로 노출된 배선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190)를 포함한다.
기판(1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라스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고온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인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카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ht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htyleneterepthalate) 등과 같은 고분자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금속 계열의 기판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판(100)은 제1 영역(AA)과 제2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의 제1 영역(AA)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일 수 있으며, 제2 영역(NA)은 제1 영역(AA)의 가장자리 영역인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NA)은 패드 영역일 수 있다.
기판(100)의 상부면에는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 소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소자는 기판의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소자는 각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를 경유한 전기적 신호, 예컨대 데이터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 신호를 일정 시간 유지시키기 위한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다수의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배선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된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일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유기 발광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50)은 기판(100)의 제1 영역(AA)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50)은 제1 전극층(미도시),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미도시), 유기 발광층(미도시),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미도시), 제2 전극층(미도시)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플렉서블 기판(100)에 형성된 구동 소자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구동 소자와의 접속 구조에 따라 반사막을 갖는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ITO, IZO 등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불투명 금속 재질을 가지는 반사막 상에서 화소 단위로 패터닝될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구동 소자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정공을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150)에 인가한다.
제2 전극층은 제1 전극층이 애노드 전극일 경우,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층으로는 금속 재질의 단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전극층은 유전층들 사이에 협지된 제1 및 제2 층의 금속층을 가지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의 제2 영역(NA)에는 배선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부(130)는 데이터 신호, 게이트 구동 신호, 그리고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외부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선부(130)는 구동부(190) 예컨대, 드라이버 아이씨가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 아이씨는 기판(10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부(1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30)는 구동 소자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선부(130)는 기판(100)의 제1 영역(AA)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배선부(130)는 기판(100)의 하부로 노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판(100)의 제2 영역(NA)에는 제1 개구부(H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H1)는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H1)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30)는 기판(100)의 상부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배선부(130)는 기판(100)의 제2 영역(NA)에 형성된 제1 개구부(H1)를 통해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배선부(130)는 기판(100)의 제2 영역(NA)에 형성된 제1 개구부(H1)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하부로 노출된 제1 배선부(130)는 기판(100)의 하부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제1 절연층(11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0)은 기판(100)과 배선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0)은 기판(100)과 구동 소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절연층(110)은 구동 소자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0)은 기판(100)의 제1 영역(AA) 및 제2 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의 제2 영역(NA)에 배치된 제1 절연층(110)에는 제2 개구부(H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H2)는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1 개구부(H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H2)는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1 개구부(H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선부(130)는 제1 절연층(110) 및 기판(100)에 형성된 제1 개구부(H1) 및 제2 개구부(H2)를 통해 기판(10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배선부(130)의 상부에는 제2 절연층(17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70)은 기판(100)의 제1 영역(AA) 및 제2 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은 배선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70)은 유기 발광층(1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절연층(170)은 유기 발광층(150)과 배선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절연층(170)은 다수의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제2 절연층(170)은 무기 절연층 및 유기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70)은 절연층과 베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90)는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90)는 기판(100)의 제2 영역(NA)에 형성된 제1 개구부(H1)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90)는 기판(100)의 제1 개구부(H1)를 통해 하부로 노출된 배선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90)는 배선부(130)와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패드 영역에 배치된 기판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기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배선부를 하부로 노출시키고, 노출된 배선부를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절곡에 따른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선부를 기판의 측면으로 절곡시켜 베젤의 크기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상부에 유기 발광층(270)이 형성되고, 패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200)과, 상기 기판(200) 상에 형성되어 제1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는 배선부(230)와, 상기 기판(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판(200)의 하부로 노출된 배선부(230,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2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배선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는 구동 소자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선부는 기판(100)의 제1 영역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배선부는 기판(200)의 하부로 노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선부는 제1 배선부(210)와 제2 배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부(210)는 기판(200)의 제2 영역(NA)에 형성된 제1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부(210)는 제1 개구부의 측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부(210)의 하부면은 기판(20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배선부(210)의 하부는 기판(200)의 하부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부(250)는 제1 절연층(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부(250)는 제1 절연층(230)을 관통하여 제1 배선부(2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 배선부(250)는 제1 배선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선부(250)의 상부에는 제2 배선부(250)를 덮도록 제2 절연층(28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기판(200)의 하부에는 구동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90)는 기판(200)의 제2 영역(NA)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90)는 기판(200)의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하부로 노출된 제1 배선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90)는 제1 배선부(210)와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기판 110: 제1 절연층
130: 배선부 150: 유기 발광층
170: 제2 절연층 190: 구동부

Claims (8)

  1. 패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는 배선부;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에는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대응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판의 하부로 노출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의 상부에는 상기 배선부를 덮도록 제2 절연층이 더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5. 패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는 배선부;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기판의 개구부에 배치된 제1 배선부와, 상기 제1 배선부 상에 배치된 제2 배선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부와 제2 배선부 사이에는 제1 절연층이 더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제1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배선부와 접촉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의 상부에는 제2 절연층이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30162252A 2013-12-24 2013-12-24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3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252A KR102139974B1 (ko) 2013-12-24 2013-12-24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252A KR102139974B1 (ko) 2013-12-24 2013-12-24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453A KR20150074453A (ko) 2015-07-02
KR102139974B1 true KR102139974B1 (ko) 2020-07-31

Family

ID=5378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252A KR102139974B1 (ko) 2013-12-24 2013-12-24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608B1 (ko) 2016-03-10 2022-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7064B2 (en) * 2004-06-11 2007-02-13 Lg Chem, Ltd. Display device using printed circuit board as substrate of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453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2770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rray substrate
US1082601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76098B1 (ko) 표시장치
US11211443B2 (en) Display apparatus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951512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27604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3830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691793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101631549B1 (ko)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6199056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20160372490A1 (en)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US20170162645A1 (en) Display device
US10159155B2 (en) Display device
US11527735B2 (en) Flexible display panel with connecting portion and flexible bridging por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9799744B2 (en) TFT arr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20180047579A (ko) 백플레인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07684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11410596B2 (en) Display device preventing a flow of static electricity
CN107561758A (zh) 触控显示装置
CN107505788A (zh) 触控显示装置
KR102520493B1 (ko)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KR10213997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04200041A (ja) 有機el表示装置
KR102172899B1 (ko) 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