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257B1 -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257B1
KR102520257B1 KR1020210188221A KR20210188221A KR102520257B1 KR 102520257 B1 KR102520257 B1 KR 102520257B1 KR 1020210188221 A KR1020210188221 A KR 1020210188221A KR 20210188221 A KR20210188221 A KR 20210188221A KR 102520257 B1 KR102520257 B1 KR 102520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atile organic
organic compounds
adsorbent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김신한
남승하
이강홍
Original Assignee
(주) 세라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라컴 filed Critical (주) 세라컴
Priority to KR102021018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64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in the range 500-1000 m2/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Pore diameter being less than 2 nm, i.e. micropores or nan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38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충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흡착제 조성물은 활성탄을 사용한 흡착제에 비해 흡착력이 우수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고농도일 때는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착하고, 저농도일 때는 촉매를 이용하여 흡착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반영구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악취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ADSORBENT COMPOSITION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본 발명은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탄을 사용한 흡착제에 비해 흡착력이 우수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고농도일 때는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착하고, 저농도일 때는 촉매를 이용하여 흡착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교체 주기가 반영구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악취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특정 대기 유해물질로 분류되고 있으며, 또한 광화학 반응을 통하여 오존 등과 같은 2차 오염물질인 광화학 산화물을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발암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화학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 유독하며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 광화학 스모그, 악취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벤젠의 경우에는 백혈병과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매우 낮은 농도의 벤젠에 노출되었던 사람에게도 염색체 이상이 종종 발견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유기 용제류는 그 자체가 독성을 지니고 있거나 그 속에 포함된 이 물질들의 독성이 높아 문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유기용제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가 있다.
종래에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흡착 및 제거하는 흡착제 조성물로 활성탄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활성탄의 제조 원료로는 목재, 석탄, 코코넛 열매와 같은 탄소함유 물질이 사용되며, 활성탄의 종류로는 분말탄, 입상탄 그리고 섬유상 활성탄 등이 있다.
이중 입상활성탄은 충분히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압력강하가 적고 흡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비교적 쉽게 회수할 수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섬유상 활성탄은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흡착제이며, 이는 섬유상 활성탄의 기공 크기가 미세공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흡착부분이 섬유 표면으로부터 직접 미세공으로 연결되어 있어 흡착과 탈착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벌집구조나 판형 등 여러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 표면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 나열된 장점에도 불구하고, 활성탄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흡착제의 경우 생활악취 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낮고, 단순히 흡착하는 방식만으로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1 내지 2개월로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나, 상기와 같이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벤젠, 톨루엔 및 황화수소에 대해 지속적인 제거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특히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해서는 제거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벤젠, 톨루엔, 황화수소 및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해 지속적인 제거효과를 나타내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350395호(2002.08.14.)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019486호(2015.02.25.) 한국특허등록 제10-2216723호(2021.02.09.)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탄을 사용한 흡착제에 비해 흡착력이 우수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고농도일 때는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착하고, 저농도일 때는 촉매를 이용하여 흡착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반영구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악취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충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기공 직경이 6.5 내지 8 옴스트롬인 베타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타 제올라이트는 기공 직경이 6.5 내지 8 옴스트롬이며, 비표면적이 500 내지 800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제올라이트 흡착제 100 중량부, 촉매 45 내지 55 중량부, 충전재 150 내지 200 중량부 및 바인더 25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촉매는 철 촉매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재는 수경성 산화알루미늄, 팔리고르스카이트 및 세피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재는 수경성 산화알루미늄 100 중량부, 팔리고르스카이트 25 내지 35 중량부 및 세피올라이트 25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는 메틸셀룰로오스계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틸셀룰로오스계 바인더는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활성탄을 사용한 흡착제에 비해 흡착력이 우수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고농도일 때는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착하고, 저농도일 때는 촉매를 이용하여 흡착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반영구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악취개선 등의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 효과의 측정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4 및 비교예 2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악취제거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충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지며, 제올라이트 흡착제 100 중량부, 촉매 45 내지 55 중량부, 충전재 150 내지 200 중량부 및 바인더 25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상온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활성탄에 비해 선택성이 우수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 뿐만 아니라, 생활악취 등에 대해 우수한 제거효과를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는 골격 내에 균일한 기공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물질로, 제올라이트에 형성된 마이크로 기공은 분자 크기 영역의 직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자를 선택적으로 흡착, 확산시킬 수 있는 분자체(molecular sieve) 기능이 있다. 이러한 분자체 효과는 분자 선택적 흡착, 이온교환 및 촉매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흡착 공정은 CH4-CO2 및 CH4-N2 분리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기공 직경이 6.55 내지 8 옴스트롬인 베타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공 직경이 6.5이며, 비표면적(BET)이 500 내지 800 m2/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기공 직경이 6.5 내지 8 옴스트롬이며, 비표면적이 500 내지 800 m2/g인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황화수소, 톨루엔 및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해 우수한 제거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제거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상기 베타 제올라이트의 기공 직경이 6.5 옴스트롬 미만이거나 비표면적이 500 m2/g 미만이면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제거효과와 지속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베타 제올라이트의 기공 직경이 8 옴스트롬 초과이거나 비표면적이 800 m2/g 초과하더라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제거 효과의 상승이 거의 없으며 지속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촉매는 45 내지 55 중량부가 함유되며, 철 촉매(iron catalyst)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은 철 촉매로 이루어지는 촉매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에 흡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촉매의 함량이 4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촉매의 함량이 5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제올라이트 흡착제, 충전재 및 바인더의 함량이 줄어들어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성능, 기계적 물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150 내지 200 중량부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분저항성이나 흡착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수경성 산화알루미늄, 팔리고르스카이트(palygorskite) 및 세피올라이트(Sepiolit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재는 수경성 산화알루미늄 100 중량부, 팔리고르스카이트 25 내지 35 중량부 및 세피올라이트 25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경성 산화알루미늄은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분 저항성을 향상시켜 다습한 조건에서도 흡착제 조성물의 물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팔리고르스카이트는 침상으로 산출되는 2:1 점토광물로서 화학식은 [Si8Mg2Al2O20(OH)2(OH)2·4H2O]이다. 규산4면체의 사슬구조에 의한 터널(tunnel)구조를 가지며 터널 내에 물분자를 함유한다. 주로 건조지역의 토양에 존재하고, 상업적으로는 아타풀자이트(attapulgite)로 알려져 있으며 비료 제조 과정에 이용되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흡착제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며 휘발성 유기화학물의 흡착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세피올라이트는 해포석(海泡石)이라고도 하며, 화학성분은 [Mg4Si6O15(OH)2·6H2O]이다. 굳기는 2 내지 2.5이고, 비중은 2를 나타내는데, 섬유상의 결정도 있으나 보통은 토상(土狀)의 미소한 결정의 집합체로 전자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다. 백색, 회색, 녹색 및 황색을 띠며 건조한 덩어리로 된 것은 물에 뜰 만큼 가볍고, 미국에서는 염호(鹽湖)의 바닥에 다량으로 존재한다. 탐사보링용 이수(泥水)나, 구워서 건조제(乾燥劑)로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흡착제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며 휘발성 유기화학물의 흡착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재의 함량이 150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향상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충전재의 함량이 2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및 바인더의 함량이 줄어들어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력이나 분해력 및 흡착제 조성물의 결속력이 저하로 인해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30 내지 40 중량부가 함유되며, 메틸셀룰로오스계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및 충전재를 결속시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및 충전재의 결속력 저하로 인해 흡착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및 충전재의 함량이 줄어들어 흡착성능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흡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및 충전재 등과 바인더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틸셀룰로오스계 바인더는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에 나열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는 흡착제, 촉매 및 충전재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뿐만 아니라,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제올라이트 흡착제, 촉매, 충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한 후에 압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압출성형한 후에,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450 내지 550℃의 온도로 소성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제올라이트 흡착제{평균 기공 직경이 6.5 옴스트롬, 규소/알루미늄 비율이 500 초과, 비표면적이 650 m2/g인 베타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 촉매(철 촉매) 50 중량부, 충전재(수경성 산화알루미늄 114 중량부, 팔리고르스카이트 33 중량부, 세피올라이트 33 중량부) 180 중량부 및 바인더 31 중량부를 교반기가 구비된 혼합장치에 투입하고 15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고 압출하여 가로 50mm × 세로 50mm × 높이 150mm 규격이며 200cell을 나타내는 허니컴 구조로 성형한 후에 열풍건조기를 사용하여 완전 건조를 실시하고 건조된 성형물을 전기로를 사용하여 질소분위기에서 30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소성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올라이트 흡착제{평균 기공 직경이 7 옴스트롬, 규소/알루미늄 비율이 20, 비표면적이 500 m2/g인 베타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올라이트 흡착제{평균 기공 직경이 8 옴스트롬, 규소/알루미늄 비율이 5, 비표면적이 800 m2/g인 베타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올라이트 흡착제{평균 기공 직경이 6.5 옴스트롬, 규소/알루미늄 비율이 500 초과, 비표면적이 650 m2/g인 베타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 촉매(철 촉매) 51 중량부, 충전재(수경성 산화알루미늄 122 중량부, 팔리고르스카이트 34 중량부, 세피올라이트 34 중량부) 190 중량부 및 바인더 32 중량부를 사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올라이트 흡착제{평균 기공 직경이 4.5 옴스트롬, 규소/알루미늄 비율이 63, 비표면적이 450 m2/g인 베타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올라이트 흡착제 92.95 중량부를 사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올라이트 흡착제 89.35 중량부를 사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2 내지 4 및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단,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제거 효과는 아래 표 1 및 도 1에 기재된 조건에 측정하였다.}
악취가스 종류 황화수소, 톨루엔, 아세트알데히드
초기농도 (ppm) 5
촉매부피(ℓ) 0.014
가스유량(ℓ/hr.) 282.6
S.V. 20,185/hr.
황화수소 제거율
시간 (분) Inlet
(pp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10 5 0 100 0 100 0.0 100 0 100
20 5 0.05 99.0 0.1 98.0 0.0 100 0.2 96.0
30 5 0.1 98.0 0.1 98.0 0.0 100 0.5 90.0
60 5 0.1 98.0 0.1 98.0 0.0 100 0.5 90.0
120 5 0.1 98.0 0.1 98.0 0.0 100 0.5 90.0
톨루엔 제거율
시간 (분) Inlet
(pp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10 5 0.0 100 0.0 100 0.0 100 1.0 80.0
20 5 0.0 100 0.0 100 0.0 100 1.0 80.0
30 5 0.0 100 0.0 100 0.0 100 1.0 80.0
60 5 0.5 90.0 0.0 100 0.0 100 1.0 80.0
120 5 0.5 90.0 0.0 100 0.0 100 5.0 0
아세트알데히드 제거율
시간 (분) Inlet
(pp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Outlet
(ppm)
제거율
(%)
10 5 0.0 100 0.0 100 0.0 100 0.0 100
20 5 0.0 100 0.0 100 0.00 100 1.0 80.0
30 5 0.0 100 0.0 100 0.0 100 1.0 80.0
60 5 1.0 80.0 0.0 100 0.1 98.0 3.0 40.0
120 5 1.0 80.0 0.0 100 0.2 96.0 5.0 0
상기 표 2 내지 4 및 아래 도 2 내지 4에 나타낸 것처럼, 초기에 황화수소 제거 효과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2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비교예 1의 경우 90%로 제거효율이 저하되었다.
또한, 톨루엔 제거 효과는 실시예 2 내지 3의 경우 2시간 경과 후에도 100% 제거가 되었으며, 실시예 1의 경우 90%가 제거된 반면, 비교예 1은 2시간 경과후에는 톨루엔 제거 효과가 상실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세트알데히드 제거 효과는 실시예 2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비교예 1의 경우 2시간 후에는 아세트알데히드 제거 효과가 상실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4 및 비교예 2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의 악취제거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도 5에 나타내었다.
{단, 악취가스는 대표적인 황 화합물 계열인 황화수소와 탄화수소 계열인 톨루엔에 대하여 2시간 후에 제거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시험조건은 상온에서 Inlet 5ppm, S.V 20,000/h이다.}
아래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4를 통해 제조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악취제거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2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악취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올라이트 흡착제의 함량과 황화수소 제거율 사이에는 큰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톨루엔 제거효율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4에서는 90% 제거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2 내지 3의 경우 톨루엔 제거 효과가 저하되었으며, 특허 실시예 4의 경우 톨루엔 제거 효과가 80%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제올라이트의 흡착 성질 중 가장 중요한 사항인 기공의 직경과 형태, 그리고 기공의 양과 관련이 있다.
기공의 입구보다 큰 물질은 기공에 침투할 수 없어 흡착이 진행되지 못하며, 기공의 형태가 원형인가 타원형인가에 따라 가변적이며, 기공의 숫자가 증가할 수록 흡착되는 기체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아래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동일한 제올라이트를 가지고 함량만 조절한 결과, 톨루엔의 경우 황화수소보다 분자크기가 크기 때문에 제올라이트 함량이 적을수록 흡착량이 적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활성탄을 사용한 흡착제에 비해 흡착력이 우수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고농도일 때는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착하고, 저농도일 때는 촉매를 이용하여 흡착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반영구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악취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제올라이트 흡착제 100 중량부, 철 촉매 45 내지 55 중량부, 충전재 150 내지 200 중량부 및 바인더 25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기공 직경이 6.5 내지 8 옴스트롬이고 비표면적이 500 내지 800 m2/g인 베타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은 황화수소, 톨루엔 및 아세트알데히드로 이루어진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고 지속적으로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수경성 산화알루미늄, 팔리고르스카이트 및 세피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수경성 산화알루미늄 100 중량부, 팔리고르스카이트 25 내지 35 중량부 및 세피올라이트 25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메틸셀룰로오스계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틸셀룰로오스계 바인더는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KR1020210188221A 2021-12-27 2021-12-27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KR102520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221A KR102520257B1 (ko) 2021-12-27 2021-12-27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221A KR102520257B1 (ko) 2021-12-27 2021-12-27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257B1 true KR102520257B1 (ko) 2023-04-11

Family

ID=8597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221A KR102520257B1 (ko) 2021-12-27 2021-12-27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25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395B1 (ko) 2001-08-23 2002-08-29 주식회사 선양 휘발성 유기물질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필터
KR20040082246A (ko) * 2003-03-18 2004-09-24 김대승 항균 및 탈취용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KR20120108652A (ko) * 2011-03-25 2012-10-05 주식회사 다물엔씨티 산화수가 다른 복합 산화철 화합물로 표면 활성된 다공성 세라믹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9486A (ko) 2013-08-14 2015-02-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분말활성탄이 담지된 다공성 알긴산 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제거용 흡착제
JP2018176014A (ja) * 2017-04-04 2018-11-1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オゾン分解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オゾン分解方法、並びに、voc除去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voc除去方法
JP2018202404A (ja) * 2017-05-31 2018-12-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揮発性有機物質用触媒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揮発性有機物質除去装置
KR20200055847A (ko) * 2018-11-13 2020-05-22 주식회사 아이비머티리얼즈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을 위한 압출형 제올라이트 허니컴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제올라이트 허니컴 구조체
KR102168615B1 (ko) * 2019-12-11 2020-11-04 이재희 나노 다공성의 미네랄 활성탄 및 그 사용방법
KR102216723B1 (ko) 2020-07-22 2021-02-17 (주) 세라컴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허니컴형 흡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395B1 (ko) 2001-08-23 2002-08-29 주식회사 선양 휘발성 유기물질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필터
KR20040082246A (ko) * 2003-03-18 2004-09-24 김대승 항균 및 탈취용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KR20120108652A (ko) * 2011-03-25 2012-10-05 주식회사 다물엔씨티 산화수가 다른 복합 산화철 화합물로 표면 활성된 다공성 세라믹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9486A (ko) 2013-08-14 2015-02-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분말활성탄이 담지된 다공성 알긴산 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제거용 흡착제
JP2018176014A (ja) * 2017-04-04 2018-11-1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オゾン分解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オゾン分解方法、並びに、voc除去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voc除去方法
JP2018202404A (ja) * 2017-05-31 2018-12-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揮発性有機物質用触媒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揮発性有機物質除去装置
KR20200055847A (ko) * 2018-11-13 2020-05-22 주식회사 아이비머티리얼즈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을 위한 압출형 제올라이트 허니컴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제올라이트 허니컴 구조체
KR102168615B1 (ko) * 2019-12-11 2020-11-04 이재희 나노 다공성의 미네랄 활성탄 및 그 사용방법
KR102216723B1 (ko) 2020-07-22 2021-02-17 (주) 세라컴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허니컴형 흡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8761B2 (en) Catalytic adsorbents obtained from municipal sludges, industrial sludges, compost and tobacco waste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KR102216723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허니컴형 흡착제 조성물
KR100625359B1 (ko) 가스 정제용 분자체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DE60013969T2 (de) Metallorganische Polymere zur Gastrennung und Reinigung
US5447701A (en) Gas purification method
CN1272074C (zh) 超细活化复合吸附型室内空气净化剂
US8937032B2 (en) Catalytic adsorbents obtained from municipal sludges, industrial sludges, compost and tobacco waste and a rotary drying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KR880002540B1 (ko) 공기 정화제의 제조방법
JPH08239279A (ja) 窒素含有分子篩活性炭、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102520257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제 조성물
EP2558194A2 (de) Verwendung von natürlichen mineralischen granulaten als gasadsorber zur beseitigung von gasförmigen schadstoffkomponenten
RU264488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рбент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загрязнений
KR100567422B1 (ko) 수질정화용 다공성 소결골재의 제조방법
KR102672405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제올라이트 필터를 이용한 악취제거 장치
KR100842830B1 (ko) 고무 유해기체 흡착제
KR20240070975A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제올라이트 필터를 이용한 악취제거 장치
KR0124983B1 (ko) 입상 복합 분자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72403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탈착 성능이 개선된 허니컴형 활성탄 필터의 재생 장치
KR20230148597A (ko)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탈착 성능이 개선된 허니컴형 활성탄 흡착제 조성물
CN112156757A (zh) 一种复合型吸附材料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614282B1 (ko) 흡착필터 캐닝 어셈블리 조립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KR20240070974A (ko)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탈착 성능이 개선된 허니컴형 활성탄 필터의 재생 장치
DE60132861T2 (de) Verfahren zur Aktivierung von monolithischen Adsorptionsmitteln
WO2024106623A1 (ko)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탈착 성능이 개선된 허니컴형 활성탄 필터의 재생 장치
KR101111642B1 (ko) 구형 활성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