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831B1 - 둥근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 Google Patents

둥근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831B1
KR102518831B1 KR1020200119256A KR20200119256A KR102518831B1 KR 102518831 B1 KR102518831 B1 KR 102518831B1 KR 1020200119256 A KR1020200119256 A KR 1020200119256A KR 20200119256 A KR20200119256 A KR 20200119256A KR 102518831 B1 KR102518831 B1 KR 102518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subtilis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034A (ko
Inventor
이제희
이숙경
정태혁
양혜림
지근호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8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46N-acyl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6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둥근전복에서 유래된 항균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양성 및 음성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지니기 때문에 의약 및 생물산업에 있어 신약 개발의 선도 물질 및 후보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둥근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Antibacterial peptide derived from Haliotis discus discus}
본 발명은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으로부터 유래한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전복은 둥근전복(까막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북방전복(참전복, H. discus hannai), 왕전복(H. madaka), 말전복(H. gigantea)이며 종에 따라 겨울철 12℃ 등온선을 경계로 제주도 근해부터 전 연안에 서식한다. 이 중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양식하는 종으로 2019년 기준 천해양식 생산량 18,436 M/T, 생산금액 591,741,551천원이며 양식규모가 매년 상승세에 있다. 전복양식 생산량의 98%가 전라남도에서 생산되며 그 외 경상남도, 충청남도, 제주도, 울산광역시 등에서 나머지 2%를 생산한다.
페니실린 이후 수많은 종류의 항생제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 들어서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균주들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의 AMR(antimicrobial resistance) 병원 항생제 보고서에 따르면,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2006년 한해 동안 약 10만명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감염되었고 그 중 사망자는 약 2만명이었다. 2010년에는 국내에서도 슈퍼박테리아라 일컬어지는 NDM-1(New Delhi metalo-beta-lactamase) 유전자를 함유한 카바페넴 내성 장내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이 발견되는 등 내성균에 의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병원균의 대사나 생합성 경로를 선택적으로 억제·제어하는 항생 물질의 개발과 약독화 병원균의 배양에 의한 백신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 기존의 항생 물질의 경우 숙주의 대사 및 생합성 경로를 조절하는 효소도 동시에 억제하여 부작용과 독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고 내성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백신 개발만으로는 신종 병원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감염성 질환을 초기에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감염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최근 들어 국내외 연구진들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에 주목하고 있다.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란 생물체가 발현시키는 작은 펩타이드 단백질로 체내에 들어온 병원균이나 곰팡이, 기생충, 바이러스 등에 대항하는 면역작용이나 항염 작용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 길이가 10~50개 아미노산으로 매우 짧고 주로 양전하(+2 내지 +9)를 띠며 30% 이상의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AMP는 음전하를 띠는 세균의 세포막에 접촉하여 알파 헬릭스(α-helix) 또는 베타 시트(β-sheet)를 형성하면서 ‘배럴-스테이브(barrel-stave)’, ‘카펫(carpet)’, 또는 ‘환상명의 포어(toroidal-pore)’ 기작으로 세포막의 구멍을 내어 세균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MP는 생물체에서 유래한 단백질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항균 활성을 가지면서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다고 알려져 의약품이나 향장품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복의 유전자원을 기반으로 전복 유래 활성물질을 탐색하고자 둥근전복의 전사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항균 펩타이드(AMP) 후보를 탐색하였으며 이들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82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으로부터 유래한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항균용 사료첨가제, 위생용품 및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양태로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으로부터 유래한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상시 항균 펩타이드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생용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따른 둥근전복에서 유래된 항균 펩타이드는 양성 및 음성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지니기 때문에 항균용 약학조성물, 식품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위생용품, 사료 조성물 등에 활용가능하다.
도 1은 AMP 후보 탐색과정(workflow)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는 동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 유래 펩타이드(HD22925_1)의 시료농도에 따른 항균력 검사 결과이다(1~10; 시료 농도, mg/㎖).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으로부터 유래한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균 펩타이드는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열번호1의 펩타이드가 3303.94 Da, 등전점(pI) 11.247, 및 전하 +7임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3303.94 Da, 등전점(pI) 11.247, 및 전하 +7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에서 RNA를 추출하고,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여 전사체를 확보하였으며, 둥근전복 전사체 서열을 단백질 서열로 변환하여 항균 펩타이드 후보물질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80 아미노산(amino acid) 이하이면서, 등전점(isoelectronic point, pI) 범위가 8~12 사이, 알파 헬릭스 경향(alpha helix propensity) 범위가 0 내지 25, 베타 시트 경향(beta sheet propensity) 범위가 25 내지 100, 생체 외 응집(in vitro aggregation, AGG)이 500 이하, 생체내 응집(in vivo aggregation, Na4vSS) 범위가 -40 내지 60인 서열들 중 항균 펩타이드를 선별하였다. 이중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33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균 펩타이드 중 서열번호1(HD22925_1)의 항균 펩타이드가 그람 양성균인 고초균(Bacillus subtilis)과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열번호1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항균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항균”이란, 유해성을 가지는 모든 미생물의 생장 또는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미생물은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일 수 있고, 상기 미생물은 구체적으로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의 펩타이드를 둥근 전복에서 유래하였는바,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는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펩타이드는 항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항균을 목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의 예로는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사료 첨가제, 위생용품, 의약외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항균 활성을 보이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부터 대표적으로 유발되는 질병인 식중독 등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열번호1의 항균 펩타이드의 고초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는 0.5mg/㎖, 최소살균농도(MBC)는 1mg/㎖를 나타내며, 녹농균에 대해서 최소억제농도(MIC)는 2mg/㎖, 최소살균농도(MBC)는 3mg/㎖, 장염비브리오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는 3mg/㎖, 최소살균농도(MBC)는 6mg/㎖, 대장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는 7mg/㎖, 최소살균농도(MBC)는 10mg/㎖ 초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서열번호1의 펩타이드를 고초균에 대해 최소억제 농도로 확인된 0.5mg/㎖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에 동시에 항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항균 펩타이드를 7mg/㎖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균 펩타이드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항균용 약학 조성물은 미생물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그람 양성균 또는 그람 음성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염성 질환은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로 이루어지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항균 펩타이드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균 펩타이드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항균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 형태로 제조 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는 항균 효과를 가져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 대체 물질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닭, 오리, 거위, 꿩, 돼지, 소, 염소, 개 및 고양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물용 배합사료 내 첨가 혼합되는 사료첨가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외의 추가적으로 항생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생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균 펩타이드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위생용품은 비누, 세정제, 물티슈, 손 소독제, 구강청정제, 구강소독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균 펩타이드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식중독은 식품의 섭취에 연관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 물질에 의해 발생했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중독은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에 의해 발병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둥근전복 유래 항균 펩타이드 후보 탐색 및 합성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은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에서 제공받았으며 전복의 외전근(abduct muscle), 소화관, 눈, 족부, 아가미, 생식소, 혈구(hemocyte), 간췌장, 맨틀(mantle), 촉수(tentacle) 등의 조직을 적출하여 액체질소로 급속 냉동하였다. 냉동된 조직 50 내지 100 mg으로부터 RNAiso plus(Total RNA extraction reagent, TaKaRa) 방법에 따라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각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total RNA를 동량으로 혼합하고 ㈜랩지노믹스에 의뢰하여 약 150 bp 크기의 라이브러리 어댑터(library adapter)를 포함하는 RNA 라이브러리(library)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RNA library 중에서 어댑터를 제외한 길이가 500 bp 이상의 염기서열들을 대상으로 ㈜인실리코젠에서 제공하는 Miseq platform으로 시퀀싱하였고 De novo assembly 과정을 통해 각 전복에 대한 전사체(transcriptome)를 확보하였다.
각 전복 전사체로부터 전복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AMP 후보를 ㈜인실리코젠에 의뢰하여 탐색하였다.
전복 전사체 서열을 단백질 서열로 변환하여 PEPSTATS, TANGO, AGGRESCAN 등의 분석 방법으로 AMP 후보 물질을 탐색하였다. AMP 후보는 크기가 80 아미노산(amino acid) 이하이면서, 등전점(isoelectronic point, pI) 범위가 8~12 사이, 알파 헬릭스 경향(alpha helix propensity) 범위가 0 내지 25, 베타 시트 경향(beta sheet propensity) 범위가 25 내지 100, 생체 외 응집(in vitro aggregation, AGG)이 500 이하, 생체내 응집(in vivo aggregation, Na4vSS) 범위가 -40 내지 60인 서열들 중에서 아직까지 발표되지 않은 신규 펩타이드만을 선별하였다(도 1).
그 결과 둥근 전복에서 33개의 신규한 AMP 후보를 선정하였다. 표 1은 둥근 전복의 AMP 분석결과이다. 선정된 AMP 후보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애니젠(주)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표 2).
Figure 112020098439504-pat00001
유래 펩타이드 ID 아미노산 서열 길이
(mer)
분자량
M.W.
(Da)
pI 전하
둥근전복
(H. discus discus)
HD22925_1 KERSKGKFKIFFKKKTDFQLRDIWTK
(서열번호1)
26 3303.94 11.247 +7
2. 둥근 전복 유래 펩타이드의 항균 효과 분석
항균활성 실험에는 그람 양성균인 고초균(Bacillus subtilis)과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표 3).
Gram 종(Species) 수탁번호
Positive(양성) Bacillus subtilits KCCM 11779
Negative(음성) Escherichia coli KCTC 1116
Pseudomonas aeruginosa KCCM11266
Vibrio parahaemolyticus KCCM 11965
항균활성 실험은 CLSI(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의 디스크 확산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순수 배양된 집락을 LB(Luria Bertani) 액체배지에 McFarland 0.5가 되도록 현탁 하였다. 면봉으로 균액을 묻여 LB 고체배지의 표면에 골고루 바른 다음 무균상태의 실온에서 10~15분간 방치하였다. 검사하고자 하는 AMP를 1 드롭(drop)한 후 30℃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억제환 생성 유무를 확인하여 항균력을 판정하였다.
AMP는 증류수에 완전히 녹여 사용했으며 시료의 농도를 10mg/㎖에서 1mg/㎖까지 점차적으로 희석하여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검사를 통하여 대략적인 항균활성 농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CLSI 기준에 따라 최소억제농도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와 최소살균농도(MBC,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를 측정하였다.
LB 액체배지에 균을 접종하여 30℃에서 배양한 후, McFarland 0.5(1~5×106 CFU/㎖)로 농도를 조절하여 균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AMP를 0.125 내지 10 ㎎/㎖까지 단계별로 희석한 후, 균 현탁액을 각각 접종하고 18시간 배양 후 MIC 값을 판정하였다. MIC 판정을 위해 처리된 각 배양액을 LB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18시간 배양한 후 최초 접종 균수의 99.9%를 사멸시키는 최대희석배수의 농도를 MBC로 판정하였다.
분석결과, 고초균에 대해서는 1 내지 10 mg/㎖ 농도에서 모두 항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대장균은 7 mg/㎖ 이상, 녹농균 및 장염비브리오균은 3 mg/㎖ 이상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2, 표 4).
펩타이드 ID Bacteria 시료농도 (mg/mL)
1 2 3 4 5 6 7 8 9 10
HD22925_1 B. subtilis + + + + + + + + + +
E. coli - - - - - - + + + +
P. aeruginosa - - + + + + + + + +
V. parahaemolyticus - - + + + + + + + +
표 5는 둥근전복 유래 AMP의 각 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를 분석한 결과이다. 표 5를 참조하면 고초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는 0.5mg/㎖, 최소살균농도(MBC)는 1mg/㎖를 나타내며, 녹농균에 대해서 최소억제농도(MIC)는 2mg/㎖, 최소살균농도(MBC)는 3mg/㎖, 장염비브리오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는 3mg/㎖, 최소살균농도(MBC)는 6mg/㎖, 대장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는 7mg/㎖, 최소살균농도(MBC)는 10mg/㎖ 초과로 나타났다(표 5).
펩타이드 ID B. subtilis E. coli P. aeruginosa V. parahaemolyticus
MIC MBC MIC MBC MIC MBC MIC MBC
HD22925_1 0.5 1 7 >10 2 3 3 6
<110>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Antibacterial peptide derived from Haliotis discus discus <130> DP20200170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D22925_1 <400> 1 Lys Glu Arg Ser Lys Gly Lys Phe Lys Ile Phe Phe Lys Lys Lys Thr 1 5 10 15 Asp Phe Gln Leu Arg Asp Ile Trp Thr Lys 20 25

Claims (8)

  1.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으로부터 유래한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인, 펩타이드.
  3. 제 1항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로서,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한 항균을 위한 것인, 항균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로서,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한 항균을 위한 것인, 항균용 식품 조성물.
  5. 제 1항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한 항균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첨가제로서,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한 항균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항균용 사료첨가제.
  7. 제 1항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생용품.
  8. 제 1항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고초균(Bacillus subti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식중독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19256A 2020-09-16 2020-09-16 둥근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KR102518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56A KR102518831B1 (ko) 2020-09-16 2020-09-16 둥근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56A KR102518831B1 (ko) 2020-09-16 2020-09-16 둥근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034A KR20220037034A (ko) 2022-03-24
KR102518831B1 true KR102518831B1 (ko) 2023-04-06

Family

ID=8093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56A KR102518831B1 (ko) 2020-09-16 2020-09-16 둥근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8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229B1 (ko) 2015-08-14 2016-10-21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굴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267B1 (ko) * 2012-03-06 2014-03-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384578B1 (ko) * 2012-03-27 2014-04-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 유래의 새로운 항미생물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42813B1 (ko) * 2016-11-14 2019-01-30 대한민국 전복의 살균침투성증가단백질로부터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899552B1 (ko) * 2016-11-18 2018-09-17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유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229B1 (ko) 2015-08-14 2016-10-21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굴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034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avandi et al. Evaluation of Pseudomonas sp. PM 11 and Vibrio fluvialis PM 17 on immune indices of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US6322783B1 (en) Bacteriophages, method for screening same and bactericidal compositions using same, and detection kits using same
Penders et al. Antibiotic resistance of motile aeromonads in indoor catfish and eel farm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Netherlands
CN114134083B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应用
CN112375712A (zh) 一株乳酸乳球菌及其应用
KR20090030386A (ko)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WO2022084978A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ntimicrobial peptide
KR102516550B1 (ko) 왕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KR102193499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세레우스 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bc13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13321708B (zh) 一种人工设计抗菌肽的制备及其在水产上的应用
CN106632606B (zh) 抗菌脂肽bacaucin衍生物及其在抑制细菌感染中的应用
JP2021510379A (ja) 魚類の体表の寄生虫感染症の処置
KR102203679B1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ef44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18831B1 (ko) 둥근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KR102247293B1 (ko) 항균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sc35 균주 및 이의용도
Zhang et al. TC38, a teleost TFPI-2 peptide that kills bacteria via penetration of the cell membrane and interaction with nucleic acids
CN116143882B (zh) 一种三斑海马hepcidin抗菌肽及其应用
KR102277576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CN115637240A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其应用
KR20180073489A (ko) 신규한 녹농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pa4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37383B1 (ko) 신규한 비브리오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vp2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131948A (ko) 슈도모나스 익스트리모리엔탈리스 균주 kacc 81047bp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37398B1 (ko)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g102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13913325A (zh) 枯草芽孢杆菌、枯草芽孢杆菌分泌的Ericin1a抗菌肽及其应用
KR101842668B1 (ko)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g2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